KR101613549B1 -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549B1
KR101613549B1 KR1020150137985A KR20150137985A KR101613549B1 KR 101613549 B1 KR101613549 B1 KR 101613549B1 KR 1020150137985 A KR1020150137985 A KR 1020150137985A KR 20150137985 A KR20150137985 A KR 20150137985A KR 101613549 B1 KR101613549 B1 KR 10161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ee end
insulating cover
outer flange
end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탑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이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양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에 고정되는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이용하여 배전선을 지지하는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보호하는 절연커버와; 상기 절연커버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절연커버 지지수단과; 상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현수애자와 접속구은 절연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절연커버에 의하여 포위되어 눈비 및 일광으로부터 보호되므로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되며, 절연커버를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방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작업자가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점검할 수 있게 되고,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구동모터가 모터케이싱 내에 장착되므로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power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폐 가능한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하여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절연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게 되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는 1차 변전소에서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154 kV 내지 745 kV)으로 승압하여 송전계통을 통해 송전하고, 다시 2차 변전소에서 특고압(22.9 kV)로 강압하여 수용가의 주변까지 송전한 후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의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전압(230kV 또는 380kV)으로 강압하여 전주에 가설된 가공배전계통을 통해 배전하게 된다.
초고압 송전계통은 인적이 드문 산야에 설치되는 송전탑에 지지되는 가공송전선을 통해 송전하고, 특고압 송전계통은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송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송전선을 통해 송전하며, 배전계통은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배전된다.
이러한 송배전계통에서 초고압 송전계통은 인적이 드문 산야지역에 설치하므로 직접적인 감전사고가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 반면, 특고압 송전계통과 상용배전계통에서는 수용가와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는 관계로 감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절연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가공배전선과 인류클램프, 현수애자를 포함하는 접속개소를 절연시키는 절연커버를 구비한 배전계통이 알려져 있다. 절연커버는 가공배전선에 대응하는 제1 커버, 현수애자에 대응하는 제2 커버, 인류클램프에 대응하는 제3 커버로 구성되고, 이들 커버는 제1 커버에서 제3 커버로 가면서 점자 처지고, 가장 크면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3 커버에는 잠금고리가 형성되어 절연커버가 가공배전선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포세레인형의 절연커버는 가공배전선에 대응하는 제4 커버, 인류클램프에 대응하는 제5 커버, 현수애자에 대응하는 제6 커버로 구성되고, 제4 커버로부터 제6 커버로 가면서 점차 커지며 중간 크기 이면서 중간에 위치하는 제5 커버에는 잠금고리가 구비되어 절연커버가 가공배전선으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절연커버는 인류클램프가 현수애자보다 큰 경우 폴리머형을 사용하고, 현수애자가 인류클램프보다 큰 경우에는 포세린형을 사용하며, 각각의 절연커버는 코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절연커버는 현수애자와 인류클램프의 크기에 따라 해당되는 절연커버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크기에 맞지 않을 경우 물리적,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배선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감전사고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절연커버는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등 높은 위치에 있어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절연커버가 분리되어 가공배전선의 절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고압 송전계통과 상용 배전계통에서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운용 및 관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168호(2012.07.03. 등록)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특고압을 배전하는 매개체인 가공 배전선들 사이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을 매개하고 감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연결 구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각종 누전 및 합선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절약하는 한편, 가변적인 위치변경을 통하여 필요한 최적의 위치를 확보 및 점유하도록 하는 감전사고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에 관한 것이며, 배전선, 현수애자, 인류클램프의 외부를 각각의 크기에 따라 감싸면서 절연시키는 절연커버; 철탑의 완철에 고정되며 절연커버의 상부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모터부가 구동되어 절연커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어 폐쇄시키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열어 개방시키는 개폐구동장치 및 개폐구동장치의 개폐모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풍속과 빗물을 검출하는 기준값을 무선인터넷으로 수신하여 기록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거나 이하로 상기 풍속과 빗물이 검출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호회로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크기가 다른 구조물의 경우에도 물리적 및 전기적인 절연상태를 유지하여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누전 및 합선의 발생을 방지하므로 에너지 자원의 이용을 효율화하며 철탑과 같이 높은 곳의 비바람 속에서도 절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장점을 가지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배전선, 현수애자, 인류클램프를 절연시키는 절연커버와, 절연커버를 개폐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개폐구동수단은 개폐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랙기어부와, 랙기어부에 대응하여 상하운동하는 피니언기어부를 구비하고, 절연커버와 개폐구동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가변신장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개폐구동수단을 구성하는 개폐구동모터, 랙기어부, 피니언기어부와 가변신장부가 대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 등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기 쉽고, 이에 따라 배전계통의 절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현수애자, 접속구의 절연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구동수단이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기능고장의 발생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배전계통의 절연상태를 안정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168호(2012.07.03. 등록)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가능한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하여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절연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게 되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주의 양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에 고정되는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이용하여 배전선을 지지하는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보호하는 절연커버와; 상기 절연커버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절연커버 지지수단과; 상기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연커버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고정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완철에 고정되는 고정단 내측 플랜지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와, 상기 원통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자유단 내측 플랜지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와 고정단 내측 플랜지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 자유단 내측 플랜지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는 신축성 및 가요성이 우수하며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 내측 플랜지, 고정단외측 플랜지, 자유단 내측 플랜지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에는 보강철판이 매설되고,
상기 절연커버 지지수단은 상기 완철의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과, 상기 고정단 외측 플랜지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이 관통되는 안내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싱과, 상기 모터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주면 좌반부에는 오른나선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는 왼나선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을 가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오른나선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오른나선 수나사부를 가지며 좌측 절연커버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에 고정되는 좌측 구동봉과, 상기 왼나선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왼나선 수나사부를 가지며 우측 절연커버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에 고정되는 우측 구동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케이싱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몸체와 상기 케이싱몸체의 상부에 복개되는 케이싱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몸체와 케이싱덮개의 양단을 상기 완철의 하면에 고정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전진모드 또는 후퇴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진모드작동명령 또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전진모드구동신호 또는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현수애자와 접속구은 절연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절연커버에 의하여 포위되어 눈비 및 일광으로부터 보호되므로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되며, 절연커버를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방하여 현수애자와 접속구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작업자가 현수애자와 접속구를 점검할 수 있게 되고, 절연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구동모터가 모터케이싱 내에 장착되므로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는 전체 사시도,
도 3은 작동상태 종단면도,
도 4는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은 전주(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20)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20)에 고정되는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이용하여 배전선(50)을 지지하는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보호하는 절연커버(100)와; 상기 절연커버(1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절연커버 지지수단(200)과; 상기 절연커버(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0); 및 상기 개폐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20)은 완철밴드(21)와 조임볼트너트(22)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현수애자(30)는 숫나사부(32)를 가지는 연결봉(31)과, 상기 수나사부(31)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33)에 의하여 완철(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절연커버(10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원통부(110)와, 상기 원통부(110)의 고정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완철(20)에 고정되는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원통부(110)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110)와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는 신축성 및 가요성이 우수하며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 고정단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는 보강철판(123, 133)이 매설된다.
상기 보강철판(123, 133)은 원통부(110),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Insert)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연커버 지지수단(200)은 상기 완철(20)의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220)과, 상기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220)이 관통되는 안내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0)는 일단부와 상기 완철(20)을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B1)와 상기 볼트(B1)의 관통돌출단에 체결되는 너트(N1)에 의하여 완철(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안내봉(220)은 상기 지지대(210)의 하면 양단에 고정된 지지편(221)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10)에 고정지지된다.
상기 안내공(230)은 고무재질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와 함께 보강철판(123, 133)에도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20)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싱(310)과, 상기 모터케이싱(3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주면 좌반부에는 오른나선 암나사부(322)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는 왼나선 암나사부(32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21)을 가지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오른나선 암나사부(322)에 맞물리는 오른나선 수나사부(331)를 가지며 좌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좌측 구동봉(330)과, 상기 왼나선 암나사부(323)에 맞물리는 왼나선 수나사부(341)를 가지며 우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우측 구동봉(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몸체(311)와 상기 케이싱몸체(311)의 상부에 복개되는 케이싱덮개(312)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몸체(311)와 케이싱덮개(312)의 양단을 상기 완철(20)의 하면에 고정한다.
상기 케이싱몸체(311)와 케이싱덮개(312)를 완철(20)의 하면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대(210)를 완철(2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B1)를 케이싱몸체(311)와 케이싱덮개(312)의 양단부에까지 관통시킨 다음 볼트(B1)의 관통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구동봉(330)을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좌측 구동봉(3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나사부(332)를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된 구동봉 결합공(134)에 관통시키고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의 내외측에서 너트(N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구동봉(340)을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우측 구동봉(340)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나사부(342)를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된 구동봉 결합공(134)에 관통시키고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의 내외측에서 너트(N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구동모터(320)의 전진모드 또는 후퇴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410)와, 상기 입력부(41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진모드작동명령 또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420) 및, 상기 제어부(420)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진모드구동신호 또는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400)을 구성하는 입력부(410)와 제어부(420) 및 모터구동부(430)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실장하여 제어모듈(440)로 구성하여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컨트롤박스(45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450) 내에는 상기 제어모듈(4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460)가 내장된다. 상기 충전배터리(460)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440)에는 배전선(50)에 흐르는 상용전류를 입력받아 충전배터리(460)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류를 출력하는 충전회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본체(451)와 상기 박스본체(45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45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452)는 박스본체(451)의 일측에 경첩(미도시)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적인 잠금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잠글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450)를 전주(10)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완철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완철밴드 형태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볼트/너트(BN)에 의하여 조여지는 한 쌍의 밴드(471, 472)와, 일측 밴드(471)와 박스본체(451)를 관통하는 볼트(B3)와 박스본체(451)의 내측에서 볼트(B3)에 체결되는 너트(N3)를 이용한 방식을 예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에 의한 절연커버(100)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상시, 입력부(410)에는 전진모드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420)는 전진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모터구동부(430)는 제어부(420)의 출력명령에 따라 구동모터(320)에 전진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20)가 전진모드로 구동되며 중공형 모터축(321)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중공형 모터축(321)의 내주면 좌반부에 형성된 오른나선 암나사부(322)와 좌측 구동봉(330)의 오른나선 수나사부(331)의 나사작용으로 좌측 구동봉(330)이 전진방향(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중공형 모터축(321)의 내주면 우반부에 형성된 왼나선 암나사부(323)와 우측 구동봉(340)의 왼나선 수나사부(341)의 나사작용으로 우측 구동봉(340)이 전진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좌측 구동봉(330)의 선단부(좌측단부)는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좌측 절연커버(100)의 주름관 형태의 원통부(110)가 펼쳐져서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포위하여 보호하게 되며, 우측 구동봉(340)의 선단부(우측단부)는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우측 절연커버(100)의 주름관 형태의 원통부(110)가 펼쳐져서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포위하여 보호하게 된다(도 3의 실선표시 참조).
따라서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는 절연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절연커버(100)에 의하여 포위되어 눈비 및 일광(日光)으로부터 보호되므로 누전, 감전, 합선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좌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가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 외측 플랜지(132)는 안내봉(220)과 안내공(230)에 의하여 직선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절연커버(10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입력부(410)에 후퇴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420)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구동부(430)가 구동모터(320)에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20)가 후퇴모드로 구동되며 중공형 모터축(321)은 후퇴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술한 전진모드 시와는 반대방향 작동에 의하여 좌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는 후퇴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우측 절연커버(100)의 자유단부는 후퇴방향(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절연커버(100)에 의해 포위되어 있던 현수애자(30)와 접속부(40)가 노출된다(도 3의 가상선 표시 참조).
이러한 후퇴모드는 현장작업자가 현수애자(30)와 접속부(40)를 점검하는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현장작업자가 컨트롤박스(450) 내의 제어모듈(440)에 구비된 입력부(41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연커버를 하는 것에 의하여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의 보수유지를 위한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연커버(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320)가 모터케이싱(310) 내에 장착되므로 우수 또는 눈,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기능고장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배전계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주 20 : 완철
30 : 현수애자 40 : 접속구
50 : 배전선 100 : 절연커버
110 : 원통부 121, 131 : 내측 플랜지
122, 132 : 외측 플랜지 123, 133 : 보강철판
200 : 절연커버 지지수단 210 : 지지대
220 : 안내봉 300 : 개폐수단
310 : 모터케이싱 320 : 구동모터
321 : 중공형 모터축 322 : 오른나선 암나사부
323 : 왼나선 암나사부 400 : 제어수단
410 : 입력부 420 : 제어부
430 : 모터구동부

Claims (1)

  1. 전주(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20)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20)에 고정되는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이용하여 배전선(50)을 지지하는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30)와 접속구(40)를 보호하는 절연커버(100)와; 상기 절연커버(1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절연커버 지지수단(200)과; 상기 절연커버(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0); 및 상기 개폐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10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원통부(110)와, 상기 원통부(110)의 고정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완철(20)에 고정되는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상기 원통부(110)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110)와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와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는 신축성 및 가요성이 우수하며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 내측 플랜지(121), 고정단외측 플랜지(122), 자유단 내측 플랜지(131) 및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는 보강철판(123, 133)이 매설되고,
    상기 절연커버 지지수단(200)은 상기 완철(20)의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220)과, 상기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와 자유단 외측 플랜지(132)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220)이 관통되는 안내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20)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싱(310)과, 상기 모터케이싱(3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주면 좌반부에는 오른나선 암나사부(322)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는 왼나선 암나사부(32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21)을 가지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오른나선 암나사부(322)에 맞물리는 오른나선 수나사부(331)를 가지며 좌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좌측 구동봉(330)과, 상기 왼나선 암나사부(323)에 맞물리는 왼나선 수나사부(341)를 가지며 우측 절연커버(100)의 고정단 외측 플랜지(122)에 형성된 구동봉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자유단 외측 플랜지(123)에 고정되는 우측 구동봉(3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몸체(311)와 상기 케이싱몸체(311)의 상부에 복개되는 케이싱덮개(31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210)의 일단부와 상기 완철(20)과 케이싱몸체(311) 및 케이싱덮개(312)를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B1)와 상기 볼트(B1)의 관통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10)는 완철(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케이싱(310)은 완철(2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구동모터(320)의 전진모드 또는 후퇴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410)와, 상기 입력부(41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진모드작동명령 또는 후퇴모드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420) 및, 상기 제어부(420)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진모드구동신호 또는 후퇴모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400)을 구성하는 입력부(410)와 제어부(420) 및 모터구동부(430)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실장하여 제어모듈(440)로 구성하여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컨트롤박스(45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박스(450) 내에는 상기 제어모듈(4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460)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본체(451)와 상기 박스본체(45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452)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450)는 볼트/너트(BN)에 의하여 조여지는 한 쌍의 밴드(471, 472)와, 일측 밴드(471)와 박스본체(451)를 관통하는 볼트(B3)와 박스본체(451)의 내측에서 볼트(B3)에 체결되는 너트(N3)를 이용하여 전주(1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KR1020150137985A 2015-09-30 2015-09-30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KR10161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985A KR101613549B1 (ko) 2015-09-30 2015-09-30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985A KR101613549B1 (ko) 2015-09-30 2015-09-30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549B1 true KR101613549B1 (ko) 2016-04-19

Family

ID=5591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985A KR101613549B1 (ko) 2015-09-30 2015-09-30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5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55B1 (ko) * 2017-08-10 2017-11-23 (주)진성전기공사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
KR101829670B1 (ko) 2017-09-05 2018-02-19 대승전력기술 (주)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 덮개
KR101860945B1 (ko) * 2017-06-12 2018-05-28 (주)한빛기술단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CN108376939A (zh) * 2018-04-18 2018-08-0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线路悬垂绝缘子串更换装置
CN114256795A (zh) * 2021-11-09 2022-03-29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输电线路防钓卡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68B1 (ko) * 2012-03-15 2012-07-11 진우전기감리(주)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
KR101416847B1 (ko) * 2014-03-17 2014-07-09 임상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68B1 (ko) * 2012-03-15 2012-07-11 진우전기감리(주)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
KR101416847B1 (ko) * 2014-03-17 2014-07-09 임상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945B1 (ko) * 2017-06-12 2018-05-28 (주)한빛기술단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KR101799855B1 (ko) * 2017-08-10 2017-11-23 (주)진성전기공사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
KR101829670B1 (ko) 2017-09-05 2018-02-19 대승전력기술 (주)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 덮개
CN108376939A (zh) * 2018-04-18 2018-08-0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线路悬垂绝缘子串更换装置
CN108376939B (zh) * 2018-04-18 2023-05-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线路悬垂绝缘子串更换装置
CN114256795A (zh) * 2021-11-09 2022-03-29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输电线路防钓卡口装置
CN114256795B (zh) * 2021-11-09 2023-11-1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输电线路防钓卡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549B1 (ko)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KR101799855B1 (ko)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
CN105375376B (zh) 组合式变电站用电开关柜
DE102016121629A1 (de) Ladestationsfundament und Ladestation
WO2009003834A3 (de) Vorrichtung zum umrichten eines elektrischen stromes
CN206225974U (zh) 一种快装式电缆转接箱
KR101860945B1 (ko) 배전계통운용과 관리시스템
KR100610156B1 (ko)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CN105846195A (zh) 一种电气配电箱用带有接地连接器的接线装置
KR101597156B1 (ko) 가공 송전 선로의 보호장치
CN103701059A (zh) 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柜
CN210326561U (zh) 一种底部设置有电缆引出结构的低压开关柜
CN208874263U (zh) 一种螺杆加固的高压电缆中间接头防护壳
CN206619559U (zh) 用于空气开关在线并接和更换的电流跨接器
JP3521678B2 (ja) 高圧受電設備
CN206195163U (zh) 一种户外预制式母线
CN108074761B (zh) 一种防雨型隔离开关保护装置
CN205790502U (zh) 电气配电箱用带有接地连接器的接线装置
CN204375988U (zh) 一种验电接地留余位置保护装置
CN210867089U (zh) 一种高压开关柜用穿墙套管
CN214754857U (zh) 一种电力工程用的安全性高的高低压配电柜
CN205231473U (zh) 智能变电站35kV进线电缆的安装结构
CN206542114U (zh) 一种防触电可调节操作杆
CN103633574A (zh) 一种低压开关柜
CN203660353U (zh) 环网柜接地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