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459B1 -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459B1
KR101609459B1 KR1020140083301A KR20140083301A KR101609459B1 KR 101609459 B1 KR101609459 B1 KR 101609459B1 KR 1020140083301 A KR1020140083301 A KR 1020140083301A KR 20140083301 A KR20140083301 A KR 20140083301A KR 101609459 B1 KR101609459 B1 KR 10160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atrix
composite
slurry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202A (ko
Inventor
정성호
김요섭
정은혜
하정현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459B1/ko
Priority to US14/788,797 priority patent/US20160006019A1/en
Priority to JP2015133289A priority patent/JP6069622B2/ja
Priority to CN201510389184.XA priority patent/CN105244479B/zh
Publication of KR2016000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a)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b)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분쇄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차전지용 음극과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CARBON-SILICON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HT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기 및 자동차 배터리 용도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고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재료를 필요로 한다. 그에 따라 고용량의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재료로서 실리콘이 주목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순수한 실리콘은 4200 mAh/g의 높은 이론 용량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탄소계 재료와 비교하여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므로 아직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음극 활물질로서 상기 실리콘과 같은 무기질 입자를 그대로 리튬 흡장 및 방출 물질로서 사용한 경우에 충방전 과정에서 부피 변화로 인해 활물질 사이의 도전성이 저하되거나, 음극 집전체로부터 음극 활물질이 박리되기 때문이다. 즉 음극 활물질에 포함된 실리콘과 같은 무기질 입자는 충전에 의하여 리튬을 흡장하여 그 부피가 약 300 내지 400%에 이를 정도로 팽창한다. 그리고 방전에 의하여 리튬이 방출되면 상기 무기질 입자는 수축하게 되며, 이와 같은 충방전 사이클을 반복하게 되면 무기질 입자와 음극 활물질 사이에 발생하는 빈 공간으로 인해 전기적 절연이 발생할 수 있어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이차전지에 사용하기에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 및 수명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서, (a)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b)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분쇄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a)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b)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분쇄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에서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입자 분포에서 50% 누적질량 입자크기 분포 직경을 D50이라 할 때, 2nm<D50<180nm일 수 있다.
상기 (a)에서 고분자 단량체는 아크릴산(acrylic acid), 아크릴레이트(acrylate), 메틸메타크릴산(methyl methacrylic acid),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아크릴아미드(acryamide),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말레인산(maleic acid), 스티렌(styr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페놀(phen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및 비닐디플루라이드(vinyl di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에서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N,N-(1,2-디하이드록시에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1,2-dihydroxyethylene)bisacrylamide) 및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에서 Si 슬러리:고분자 단량체:가교제는 10:5~10:1~5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b)에서 열처리 공정은 상압 하에 300-500℃에서 0.5-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에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는 상기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된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d)에서 제1 탄소 원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e)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와 제2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에서 제2 탄소 원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로부터 형성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 및 제1 탄소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는 상기 제 1 탄소 매트릭스 내에 포획되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Si 대 C의 질량비를 1:99 내지 10:90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 보다 높은 공극률(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에 제2 탄소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소 입자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 도전재; 결합재;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코팅한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매우 균일하게 분산되어 포함됨으로써, 이로부터 형성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는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된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 사용시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 및 수명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에너지 분산형 분석기(Energy-dispersive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얻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 중 Si에 대한 EDS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한 후, FIB(Focus Ion Bean)으로 절단한 절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이차전지에 대하여 싸이클에 따른 방전용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a)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b)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분쇄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는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인 것으로,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는 Si 슬러리를 준비하고, 준비된 Si 슬러리에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는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매우 균일하게 분산되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i 슬러리는 Si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Si 입자는 2nm 내지 200nm의 직경을 갖는 구형일 수 있고, 상기 분산매는 Si 슬러리의 분산성 및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용매로서, N-메틸-2-피롤리돈(NMP),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물, 메탄올, 에탄올, 시클로헥산올, 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N-메틸-2-피롤리돈(NMP) 용매 또는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를 사용한 경우, 보다 우수한 분산성 및 안정성을 가진다.
상기 고분자 단량체는 고분자를 형성하기 위한 출발물질로서, Si의 완충 작용을 위한 것으로, 아크릴산(acrylic acid), 아크릴레이트(acrylate), 메틸메타크릴산(methyl methacrylic acid),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아크릴아미드(acryamide),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말레인산(maleic acid), 스티렌(styr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페놀(phen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및 비닐디플루라이드(vinyl di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단량체로 아크릴산(acrylic acid)을 사용하였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고분자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를 서로 가교결합시킴으로써, Si-고분자 매트릭스 입자가 망상 구조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N,N-(1,2-디하이드록시에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1,2-dihydroxyethylene)bisacrylamide) 및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가교제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였다.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일 수 있고,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1,1'-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ABCN),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azobisisobutyronitrile : AIBN), 벤조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1,1'-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ABCN)을 사용하였다.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고분자 매트릭스는, 상기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된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망상 구조(Network Structure)’는 가교점을 가진 무정형 고분자 물질의 마이크로 모형으로 고안된 구조로서, 매듭과 그것을 연결하는 사슬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Si는 이러한 망상 구조의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망상 구조의 고분자 매트릭스는 Si의 완충 작용을 하기 위한 물질로 적합하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로 인하여,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매우 균일하게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매트릭스는 가교제에 의한 가교결합으로 인하여 겔(gel) 타입 고분자 매트릭스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입자 분포에서 50% 누적질량 입자크기 분포 직경을 D50이라 할 때, 2nm<D50<180n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상기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된 망상 구조를 가짐으로써, 별도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지 않는 Si 입자 슬러리에 비해,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분산성이 뛰어나므로, 입자 간의 뭉침 현상이 줄어들어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D50이 작으면서 입자간 크기 편차가 작은 균일한 분포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그 결과,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가 제1 탄소 매트릭스 내에서 보다 고르게 잘 분산될 수 있다.
상기 Si 슬러리:고분자 단량체:가교제는 10:5~10:1~5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1의 중량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b)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것으로, 상기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된 망상 구조만 남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는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된 망상 구조를 가짐으로써,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제1 탄소 매트릭스와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는 제조과정 중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뭉쳐지지 않게 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크게 뭉쳐져 형성되지 않으면서 제1 탄소 매트릭스 내에 고르게 잘 분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로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경우, 이차전지는 초기 충전 용량을 현저히 높이면서도 수차례 싸이클 후에도 충진 용량 저하 문제를 현저히 개선하여 수명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50 내지 6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고, 압력 조건은 0.5bar 내지 10bar 로 저압 내지 고압 조건으로 목적에 맞추어 수행될 수 있으며, 열처리 공정은 0.5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목적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하나의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압 하에 300-500℃에서 0.5-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공정은 상압 하에 400℃에서 1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c)는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분쇄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인 것인 것으로,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분쇄함으로써, 제조되는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제1 탄소 원료에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d)는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는 입자상으로 혼합하는데, 상기 제1 탄소 원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소 원료는 일반적으로 석탄계 콜타르 피치 또는 석유계 피치를 상업적으로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원료는 이어서 진행되는 탄화 공정에 의해 탄화되어 결정성 탄소, 비결정성 탄소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탄소 매트릭스로서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소 원료는 전도성 및 비전도성인 경우를 구별하지 않고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용액 중 Si 대 C의 질량비가 1:99 내지 10:90이 되도록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질량비로 Si 과 C가 포함되도록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적절한 함량으로 혼합한다. 이로써 제조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이차전지의 음극활물질 용도로 적용시 고용량의 실리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면서도 충방전시 부피 팽창 문제를 완화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화 공정(Carbonization Process)'은 탄소 원료를 고온에서 소성하여 무기물로서 탄소를 잔존시키는 공정을 의미하고, 상기 탄화 공정에 의해 제1 탄소 원료가 제1 탄소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탄화 공정에서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의 탄화 수율은 4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중 탄화 공정의 탄화 수율을 높임으로써 휘발분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그 처리가 용이해져서 친환경적인 공정이 될 수 있다.
상기 탄화 공정은 상기 혼합 용액에 대하여 400 내지 14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고, 압력 조건은 1 bar 내지 15 bar 로 저압 내지 고압 조건으로 목적에 맞추어 수행할 수 있으며, 탄화 공정은 1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탄화 공정은 목적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하나의 단계로 수행할 수도 있고, 다단계로 수행할 수도 있다.
(e)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와 제2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와 제2 탄소 원료는 입자상으로 혼합하는데, 상기 제2 탄소 원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화 공정에 의해 제2 탄소 원료가 제2 탄소 입자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탄화 공정의 구체적인 조건은 (d)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탄소-실리콘 복합체
또한, 본 발명은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로부터 형성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 및 제1 탄소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는 상기 제 1 탄소 매트릭스 내에 포획되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는 제1 탄소 원료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제1 탄소 매트릭스와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는 제조과정 중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뭉쳐지지 않게 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크게 뭉쳐져 형성되지 않으면서 제1 탄소 매트릭스 내에 고르게 잘 분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는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1 탄소 매트릭스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용도로 적용시 고용량의 실리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면서도 충방전시 부피 팽창 문제를 완화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보다 더 고르게 잘 분산된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동일 함량의 실리콘을 포함하더라도 보다 더 우수한 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이론 용량의 약 80% 이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입자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입자 직경이 0.5㎛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서 적용시 고용량의 실리콘 특성으로 인한 충전 용량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면서도 충방전시 부피 팽창 문제를 완화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Si 대 C의 질량비를 1:99 내지 10:90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도 고함량으로 Si을 함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고함량의 Si을 함유하면서도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잘 분산되어 있으므로, Si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문제되는 충방전시 부피 팽창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예를 들어, 이차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는 산화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산소 함량이 매우 낮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산소 함량이 0 중량% 내지 1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는 다른 불순물 및 부산물 화합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고, 대부분 탄소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 중 탄소 함량이 70 중량%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제1 탄소 매트릭스 내부 전 영역에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분포하고, 표면 쪽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잘 분산되어 존재한다. 내부에도 잘 분산되어 존재한다는 의미는, 구체적으로,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는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 반지름의 5%에 해당하는 깊이 이상의 내부에 포획되어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반지름의 1% 내지 100%에 해당하는 깊이에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반지름의 5% 미만의 깊이에 해당되는 표면 쪽에만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분포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와는 구별된다. 당연히,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 반지름의 1% 내지 100%에 해당하는 깊이에 존재한다는 의미가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 반지름의 0% 내지 1%에 해당하는 깊이에 존재한다는 의미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적으로 탄화 공정 수행시 원료로 사용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끼리 뭉쳐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덩어리로 뭉쳐지기 때문에,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끼리 뭉쳐서 형성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의 분산이 고르게 잘 되었다는 의미는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제1 탄소 매트릭스 전체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함을 의미하고, 또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각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 직경의 통계학적인 분석 측면에서 편차 값이 작음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 직경의 최대값이 일정 수준 이하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잘 분산되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이러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 내에서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뭉쳐 형성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의 직경이 2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입자의 경우, 탄화 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입자 내 탄소 이외의 산소 또는 수소 등 다른 불순물 및 부산물 화합물은 탄화되지 못하고 기화되어, 탄소 이외의 산소 또는 수소 등 다른 불순물 및 부산물 화합물이 있던 공간은 빈 공간으로 남게 되므로, 상기 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는 대부분 탄소만 이루어진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에 비해 높은 공극률(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입자의 탄화 수율은 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의 탄화 수율은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는 다른 불순물 및 부산물 화합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고, 대부분 탄소만 이루어져 있어 탄화시 탄화 수율이 월등히 우수한 것이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입자는 탄소 이외의 산소 또는 수소 등 다른 불순물 및 부산물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 탄화시 탄화 수율이 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입자의 직경이란 입자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입자의 표면과 만나면서 정의되는 2개의 지점 간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입자의 직경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X-선 회절분석(XRD)을 이용하거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분석하여 측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입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소 입자와 함께 구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와 상기 제2 탄소 입자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와 상기 제2 입자를 구형화하기 위해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 및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소 입자는 제2 탄소 원료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는 비정질 탄소이고, 상기 제2 탄소 입자는 결정질 탄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탄소 입자가 흑연인 경우 판상 또는 절편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와 함께 구형화되어, 겹겹의 제2 탄소 입자 사이사이에 구형의 탄소-실리콘 복합체가 포획되어 분산된 상태로 구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소 입자가 흑연인 경우, 구체적으로 평탄면에서의 평균 직경이 0.5㎛ 내지 500㎛이고, 두께가 0.01㎛ 내지 100㎛인 판상 또는 절편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추가적으로 최외각층으로서 비정질 탄소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차전지용 음극
본 발명은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 도전재; 결합재;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코팅한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 도전재; 결합재;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코팅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전재로는 탄소계 물질, 금속 물질, 금속 산화물 및 전기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퍼니스 블랙, 카본 파이버, 플러렌,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산화 코발트, 산화 티탄, 폴리페닐렌 유도체, 폴리티오펜, 폴리아센, 폴리아세틸렌,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재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CMC, Carboxymethyl Cellulose),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등 다양한 종류의 바인더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증점제는 점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로는 스테인레스강, 니켈, 구리, 티탄,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중 구리 또는 구리합금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차전지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이차전지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 나노 크기의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매우 균일하게 분산되어 포함된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사용하였는바, 충전 용량 및 수명 특성이 보다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분리막; 및 전해액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재료로는 LiMn2O4, LiCoO2, LiNIO2, LiFeO2 등 리튬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상기 전극들을 절연시키는 분리막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다공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으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벤조니트릴, 아세트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γ-부티로락톤, 디옥소란, 4-메틸디옥소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설포란, 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디메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메틸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디부틸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디메틸에테르 등의 하나 이상의 비양자성 용매에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4F9SO3, LiSbF6,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2y+1SO2)(단, x,y는 자연수), LiCl, LiI 등의 리튬염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해질을 혼합하여 용해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 다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중대형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트럭; 전기 상용차; 또는 전력 저장용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대형 디바이스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Si -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의 제조
평균 입경이 50nm인 Si 입자 1g을 N-메틸-2-피롤리돈(NMP) 분산매 9g에 분산시켜 Si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Si 슬러리에 아크릴산 5g,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g,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0.5g을 첨가한 후, 7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이때,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측정 기기: ELS-Z2, Otsuka Electronics 제조)에 의해 Si의 분포 특성을 측정한 결과, D50=120nm이다.
준비된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전기로에서 4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제조하였고, 250rpm으로 30분 동안 플래니터리 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에 350℃에서 증발된 석탄계 피치를 입자상으로 약 12시간 혼합하였다. 석탄계 피치:Si-고분자 매트릭스 입자 = 97.5:2.5의 중량비로 혼합되었다. 이어서, 10℃/min으로 승온하여 90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탄화를 수행하여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250rpm으로 1시간 동안 플래니터리 밀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분급 과정을 거쳐 50㎛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만을 선별한 분말을 얻었다.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 분말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여, 음극 활물질:카본블랙(CB):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CMC):스티렌부타디엔(SBR) = 91:5:2:2의 중량비로 물에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구리 집전체에 코팅하고, 110℃ 오븐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 및 압연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차전지의 제조
상기 이차전지용 음극, 분리막, 전해액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 (1:1 중량비)의 혼합 용매로서, 1.0M LiPF6 첨가됨), 리튬 전극 순으로 적층하여 코인 셀(coin cell) 형태의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대신 Si 슬러리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콘-탄소 복합체 분말 및 이를 적용한 이차전지용 음극과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 분말 대신 350℃에서 증발된 석탄계 피치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콘-탄소 복합체 분말 및 이를 적용한 이차전지용 음극과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에너지 분산형 분석기(Energy-dispersive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얻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 중 실리콘에 대한 EDS 이미지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에너지 분산형 분광기(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로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는 Si:C = 2.5: 97.5의 중량비로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제1 탄소 매트릭스 내부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형성되어,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는 직경이 약 20㎛ 이하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는 Si:C = 2.5:97.5의 중량비로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 가 제1 탄소 매트릭스 내부에 뭉쳐서 형성되어,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덩어리 입자는 직경이 약 20㎛를 초과하여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한 후, FIB(Focus Ion Bean)으로 절단한 절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FIB(Focus Ion Bean)으로 절단한 절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는 제1 탄소 매트릭스 내부에 공극율 (porosity)이 낮은 부분이 고르게 형성되어,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제1 탄소 매트릭스 내부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는 제1 탄소 매트릭스 내부에 공극율 (porosity)이 낮은 부분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제1 탄소 매트릭스 내부에 뭉쳐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이차전지에 대하여 하기 조건으로 충방전 실험하였다.
1g 중량당 300mA를 1C라고 가정할 때, 충전 조건은 0.2C로 0.01V까지 정전류와 0.01V에서 0.01C까지 정전압으로 제어하였으며, 방전 조건은 0.2C로 1.5V까지 정전류로 측정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이차전지에 대하여 싸이클에 따른 방전용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초기 충전 용량(mAh/g) 결과 및 초기 충전 용량 대비 21 싸이클 후 충전 용량 유지율을 %로 환산한 21 싸이클 후 충전 용량 유지율(%)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충전 용량
(mAh/g)
488 356 217
21 싸이클 후 충전 용량 유지율
(%)
97.0 40.8 95.3
도 3 및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차전지는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 결과, 고용량 실리콘으로 인하여 초기 충전 용량이 현저히 높으면서도, 21 싸이클 후에도 충전 용량 저하 문제를 현저히 개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반하여,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는 21 싸이클 후 충전 용량이 크게 저하되어 전형적으로 실리콘 사용시 발생되는 용량 저하 문제를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차전지는 실리콘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에 기인한 싸이클에 따른 용량 저하 문제는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비해 초기 충전 용량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8)

  1. (a)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b)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에 대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를 분쇄하여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와 제1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 내 Si는, 입자 분포에서 50% 누적질량 입자크기 분포 직경을 D50이라 할 때, 2nm<D50<180nm인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고분자 단량체는 아크릴산(acrylic acid), 아크릴레이트(acrylate), 메틸메타크릴산(methyl methacrylic acid),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아크릴아미드(acryamide),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말레인산(maleic acid), 스티렌(styr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페놀(phen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및 비닐디플루라이드(vinyl di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N,N-(1,2-디하이드록시에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1,2-dihydroxyethylene)bisacrylamide) 및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Si 슬러리:고분자 단량체:가교제는 10:5~10:1~5의 중량비인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에서 열처리 공정은 상압 하에 300-500℃에서 0.5-5시간 동안 수행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에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는 상기 가교제에 의해 가교결합된 망상 구조를 가진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에서 제1 탄소 원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와 제2 탄소 원료를 혼합한 후, 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에서 제2 탄소 원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Si 슬러리, 고분자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Si-고분자 매트릭스 슬러리로부터 형성된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 및
    제1 탄소 원료로부터 형성된 제1 탄소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Si-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는 상기 제 1 탄소 매트릭스 내에 포획되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는 Si 대 C의 질량비를 1:99 내지 10:90로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탄화 매트릭스 입자가 상기 제1 탄소 매트릭스 보다 높은 공극률(porosity)을 가지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제1 탄소 원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실리콘 복합체에 제2 탄소 입자를 더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소 입자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그라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탄소-실리콘 복합체.
  17. 제11항에 따른 탄소-실리콘 복합체; 도전재; 결합재;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코팅한
    이차전지용 음극.
  18. 제17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0140083301A 2014-07-03 2014-07-03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301A KR101609459B1 (ko) 2014-07-03 2014-07-03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4/788,797 US20160006019A1 (en) 2014-07-03 2015-07-01 Carbon-silicon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htod of the same
JP2015133289A JP6069622B2 (ja) 2014-07-03 2015-07-02 炭素‐シリコン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510389184.XA CN105244479B (zh) 2014-07-03 2015-07-03 碳‑硅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301A KR101609459B1 (ko) 2014-07-03 2014-07-03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2A KR20160005202A (ko) 2016-01-14
KR101609459B1 true KR101609459B1 (ko) 2016-04-06

Family

ID=5501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301A KR101609459B1 (ko) 2014-07-03 2014-07-03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06019A1 (ko)
JP (1) JP6069622B2 (ko)
KR (1) KR101609459B1 (ko)
CN (1) CN105244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1254B2 (en) * 2015-10-15 2019-09-10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5489867A (zh) * 2016-01-21 2016-04-13 泰山医学院 一种多孔碳硅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90249059A1 (en) * 2016-06-13 2019-08-15 Teijin Limited Silicon carbide production method and silicon carbide composite material
CN107134565A (zh) * 2017-03-17 2017-09-05 西安交通大学苏州研究院 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155366B (zh) * 2017-12-27 2020-06-26 桑德新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碳硅复合材料的制备方法、碳硅复合材料、锂离子电池负极材料和锂离子电池
CN108046267B (zh) * 2018-01-08 2020-08-21 河北同光晶体有限公司 一种合成高纯SiC粉料的***及方法
CN109461937B (zh) * 2018-10-19 2021-06-22 深圳市优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三维混合导电粘结剂以及包含该粘结剂的电池
KR102243610B1 (ko) * 2018-12-17 2021-04-27 주식회사 티씨케이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N114203998A (zh) * 2020-09-02 2022-03-18 北京清创硅谷科技有限公司 一种碳硅复合二次颗粒及其制备方法
WO2023053764A1 (ja) * 2021-09-30 2023-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5382A (ja) * 2004-03-26 2005-10-13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9240B (zh) * 2008-07-15 2016-06-08 杜伊斯堡-艾森大学 ***硅和/或锡的多孔碳基底
US20110200874A1 (en) * 2008-09-30 2011-08-18 Tetsushi Ono Anodic carbon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battery anod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odic carbon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US8940192B2 (en) * 2008-12-26 2015-01-27 Sekisui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particles for electrode, carbon particles for electrode, and negative-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JP2010165610A (ja) * 2009-01-19 2010-07-29 Toyota Motor Corp 電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2011119207A (ja) * 2009-11-05 2011-06-16 Sekisui Chem Co Ltd 電極用粒子、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電極用粒子の製造方法
JP5573149B2 (ja) * 2009-12-24 2014-08-2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リチウム2次電池負極用炭素材、リチウム2次電池負極およびリチウム2次電池
JP5636351B2 (ja) * 2011-09-27 2014-12-03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
KR20130034513A (ko) * 2011-09-28 2013-04-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용 실리콘 산화물-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US9831491B2 (en) * 2013-02-19 2017-11-28 Lg Chem, Ltd. Si/C composi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i/C composite
EP3076461B1 (en) * 2013-11-27 2018-06-2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arbon material for negative electrode of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and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5382A (ja) * 2004-03-26 2005-10-13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2A (ko) 2016-01-14
US20160006019A1 (en) 2016-01-07
JP6069622B2 (ja) 2017-02-01
CN105244479A (zh) 2016-01-13
CN105244479B (zh) 2018-04-17
JP2016013967A (ja)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647B1 (ko) 탄소-Si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9459B1 (ko) 탄소-실리콘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013481A1 (en)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6126902B2 (ja) 複合黒鉛粒子およびその用途
KR10113193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615439B1 (ko) 탄소-실리콘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572364B1 (ko) 탄소-실리콘 복합체,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US20170040602A1 (en)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12603B1 (ko) 탄소-실리콘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JP4933092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592773B1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12602B1 (ko) 탄소-실리콘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탄소-실리콘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8055999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活物質用低結晶性炭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4585589A (zh) 人造石墨、制备人造石墨的方法、包含所述人造石墨的负极、以及锂二次电池
JP7009049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用炭素材料、その中間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負極又は電池
CN112514111A (zh) 负极活性材料、制备负极活性材料的方法、负极和包含所述负极的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