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05B1 -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 Google Patents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05B1
KR101609305B1 KR1020150052939A KR20150052939A KR101609305B1 KR 101609305 B1 KR101609305 B1 KR 101609305B1 KR 1020150052939 A KR1020150052939 A KR 1020150052939A KR 20150052939 A KR20150052939 A KR 20150052939A KR 101609305 B1 KR101609305 B1 KR 10160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lifting rod
sensor
groo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이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5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04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22Pointers, e.g. settable poin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는 회전하는 도르래 홈 내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름부재와, 구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단과, 외면에 눈금게이지가 마련된 타단을 갖는 승강로드와, 승강로드의 타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부에서 눈금게이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창을 갖는 로드하우징과, 구름부재가 도르래 홈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승강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승강로드의 위치변화를 투명창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눈금게이지를 가리키는 지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APPARATUS FOR MEASURING WEAR OF PULLEY AND CRA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르래 홈의 마모를 측정하는 도르래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 등에서 정련된 용강은 수강대차에 안착된 래들에 수강된 후 크레인의 작업위치까지 이동하고, 크레인에 의해 래들을 들어 올린 후 후속 작업 공정으로 이송된다.
즉 크레인은 래들의 양측에 형성된 고리에 끼워져 걸리는 주권 후크를 갖는 빔과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 래들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게 되고, 공중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다음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크레인에는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한 윈치가 설치되고, 윈치에 의해 감기거나 풀어지는 와이어 로프는 크레인에 설치된 도르래에 일부가 감겨 수직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도르래는 용강이 담긴 래들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와의 마찰 접촉에 따라 마모 발생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 로프가 도르래 홈에 끼이거나, 탈선 및 절단으로 인해 래들이 낙하하여 사고 발생을 유발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24540호(2001.05.11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크레인에 설치된 도르래의 마모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래들의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도르래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하는 도르래 홈 내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름부재와, 상기 구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단과, 외면에 눈금게이지가 마련된 타단을 갖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타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부에서 상기 눈금게이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창을 갖는 로드하우징과,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도르래 홈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승강로드의 위치변화를 상기 투명창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눈금게이지를 가리키는 지침을 포함하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침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눈금게이지와 접촉 가능한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르래 홈이 마모되어 상기 승강로드가 이동할 때 상기 눈금게이지와 간섭되어 회전하는 상기 지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센서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장치와, 상기 센서장치에 포함되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센서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도르래 홈의 마모에 따른 교체 관련 정보를 음성형태로 출력하는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센서장치와 무선통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르래의 교체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을 들어 올리기 위한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도르래의 마모를 측정하는 마모 측정장치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마모 측정장치는 상기 도르래의 홈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름부재가 설치된 일단과, 상기 도르래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로드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타단을 가지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구름부재를 상기 도르래의 홈에 가압 접촉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르래의 홈이 마모되어 상기 승강로드가 이동할 때 상기 승강로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장치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의 타단에는 눈금게이지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하우징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상기 눈금게이지 확인을 위한 투명창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눈금게이지와 간섭되는 자유단을 갖는 지침과, 상기 승강로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지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침은 인장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지침이 회전된 후 상기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승강로드의 축부 일측에 배치되는 위치식별부재와, 상기 위치식별부재를 감지하는 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식별부재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RF 태그(radio frequency tag)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상기 RF 태그를 검출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식별부재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상기 영구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르래의 교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센서장치와 무선통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르래의 교체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크레인에 설치된 도르래의 마모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 로프의 탈선 또는 절단으로 인한 래들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장치를 구비한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크레인(10)은 용강 또는 스크랩을 담는 수강래들(20)을 후속공정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중에 설치된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몸체(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몸체(13)에는 수강래들(20)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후크 빔(21)과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30)를 감거나 풀어 수강래들(20)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권취장치(14)가 마련된다.
권취장치(14)는 와이어 로프(30)를 권취하는 윈치(15)와, 후크 빔(21)과 연결된 와이어 로프(30)를 윈치(15)로 안내하는 도르래(17)를 포함한다.
윈치(15)는 전동모터,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동력원(16)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고, 와이어 로프(30)는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르래(17)는 윈치(15)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로프(30)를 지지하여 윈치(15)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 로프(30)의 방향을 수직하게 전환시킨다.
도르래(17)에 의해 일부가 감겨 수직하게 방향 전환된 와이어 로프(30)는 수강래들(20)을 걸기 위한 한 쌍의 후크 암(22)이 마련된 후크 빔(21)과 연결될 수 있다.
후크 빔(21)에는 와이어 로프(30)와 연결되는 도르래가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후크 암(22)은 수강래들(20)의 양측에 설치된 걸이대(25)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크레인(10)은 수강래들(20)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후크 암(22)을 통해 수강래들(20)을 고정시킨 후 와이어 로프(30)를 감거나 풀어주게 되면 후크 빔(2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서 수강래들(20)을 승강 이동시키고, 이동몸체(13)는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면서 후속 공정으로 수강래들(20)을 운반시킨다.
이때 와이어 로프(30)는 도르래(17)에 일부가 감겨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와이어 로프(30)와 마찰 접촉하는 도르래(17)의 홈은 일정 마모가 발생되게 되나, 작업자는 공중에서 이동하는 크레인(10)에 설치된 도르래(17)의 마모 여부를 미리 인지하기는 어렵고, 도르래(17)의 홈 마모가 심하게 발생된 경우에는 마모가 발생된 부분과의 접촉에 의해 와이어 로프(30)의 탈선 또는 절단이 발생되게 되어 대형 사고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크레인(10)에 설치된 도르래(17)의 마모상태를 미리 감지하여 와이어 로프(30)의 탈선 및/또는 절단으로 인해 수강래들(20)의 낙하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르래의 마모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40)는 도르래(17)가 배치된 위치와 인접한 위치의 크레인(10)의 이동몸체(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40)는 도르래(17)의 하방에서 도르래(17)의 홈(18) 내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름부재(50)와, 구름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로드(60)와, 구름부재(50)가 도르래(17)의 홈(18)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승강로드(6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70)와, 승강로드(6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드하우징(80)을 포함한다.
구름부재(50)는 승강로드(60)의 상단에 마련된 축 브래킷(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 또는 롤러로 마련될 수 있고,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르래(17)의 홈(18)에 가압 접촉함에 따라 도르래(17)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름부재(50)는 대략 단면 타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르래(17)의 홈(18)과 접촉하는 외주 면이 도르래(17)의 홈(18) 중앙에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승강로드(6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축부(63)와, 축부(63)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원통형상의 브래킷 설치부(64)로 구성될 수 있다.
축부(63)는 중공 원통 형상의 로드하우징(8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로드하우징(80) 내부에 수용된 축부(63)의 하측 외면에는 축부(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의 눈금게이지(66)가 마련될 수 있다.
로드하우징(80)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중앙에는 승강로드(60)의 축부(63)가 관통하는 홀(81)이 형성되며, 축부(63)의 안정적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홀(81)의 주위에서 상하로 돌출된 가이드보스(8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보스(82)는 승강로드(6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찰 저항을 줄이도록 축부(63)의 외면과 면 접촉하는 베어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승강로드(60)의 안정적 이동을 위해 로드하우징(80)의 바닥에는 축부(63)가 홀(81)을 통해 삽입된 경우 축부(63)의 하단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보스(83)가 마련될 수 있다.
로드하우징(80)의 외면 일측에는 로드하우징(80) 내부에 배치된 축부(63)에 형성된 눈금게이지(66)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창(85)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로드하우징(80)의 내부에는 로드하우징(80)의 외벽 쪽에서 눈금게이지(66)를 향해 연장되는 지침(90)이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승강로드(60)의 브래킷 설치부(64)와 로드하우징(80)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승강로드(60)를 도르래(17)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양단이 각각 승강로드(60)의 브래킷 설치부(64)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67)와 로드하우징(80)에 마련된 가이드보스(82)에 지지되어, 구름부재(50)의 외주 면이 도르래(17)의 홈(18)에 가압 접촉되도록 승강로드(60)를 탄력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40)는 와이어 로프(30)를 지지하는 도르래(17)와 인접하게 배치되게 되며, 작업자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40)를 통해 도르래(17)의 마모 여부를 실시간으로 육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르래(17)에 일부가 감긴 상태로 와이어 로프(30)가 감기거나 풀리는 경우 도르래(17)의 홈(18)과 접촉하는 구름부재(50)는 도르래(17)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승강로드(60)는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장기간 사용에 따라 와이어 로프(30)와 도르래(17)의 마찰로 인해 도르래(17)의 홈(18)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60)는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도르래 홈(18)의 마모 깊이(t)만큼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로드하우징(80)에 마련된 투명창(85)을 통해 지침(90)이 가리키는 눈금게이지(66)를 확인 가능하여 도르래 홈(18)의 마모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40)는 작업자가 투명창(85)을 통해 육안으로 눈금게이지(66)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도르래 홈(18)의 마모 정도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센서장치(100) 및/또는 모니터링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장치(100)는 도르래 홈(18)의 마모에 따른 승강로드(6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장치를 구비한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센서장치(100)는 로드하우징(80)의 외벽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110)을 구비하며, 센서하우징(110) 내에는 센서부(120), 알람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도르래 홈(18)의 마모에 따라 이동하는 승강로드(6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센서하우징(110) 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침(121)과, 지침(12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위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침(121)은 일측이 인장스프링(123)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센서하우징(110) 내에서 눈금게이지(66)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침(121)의 자유단(121a)은 눈금게이지(66)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르래 홈(18)의 마모에 따라 승강로드(60)의 축부(63)가 올라가게 되면, 눈금게이지(66)와 간섭된 지침(121)은 상부로 회전하게 되어 스위치(122)를 가압한다. 그리고 축부(63)가 일정 높이에 이르게 되면 인장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지침(121)은 승강로드(60)가 올라간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게이지(66)를 가리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투명창(85)을 통해 지침(121)이 가리키는 눈금게이지(66)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122)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이러한 스위치(122)는 마이크로 스위치, 리드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알람부(130)는 도르래 홈(18)의 마모 정도에 따른 교체 관련 정보를 음성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업자에게 도르래(17)의 마모 상태 알림을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센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비롯하여 이에 필요한 실행프로그램 및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도르래(17)의 교체를 위한 스위치(122)의 기준 감지 횟수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통신부(15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신호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청소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후술하는 모니터링장치(200)와 무선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위치(122)로부터 획득된 감지신호의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스위치(122)에 의한 신호가 감지된 경우 도르래(17)의 마모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부(130)를 통해 도르래(17)의 교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센서부(120)가 눈금게이지(66)와 접촉하는 지침(121)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122)를 구비한 구성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센서부(120)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승강로드(60)의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 예로, 센서부(1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식별부재(125)와 위치검출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식별부재(125)는 승강로드(60)의 축부(63) 일측에 배치되어,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RF 태그(radio frequency tag)를 채용할 수 있고, 위치검출센서(126)는 센서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RF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RF 수신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치식별부재(125)는 승강로드(60)의 축부(63) 일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생성하는 영구 자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위치검출센서(126)는 센서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영구 자석에 의한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침(90)의 자유단(91)은 눈금게이지(66)와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작업 환경에 소음 발생이 많은 경우에는 도르래(17)와 인접하게 배치된 센서장치(100)의 알람부(130)를 통해 발생되는 경고음이 작업자에게 잘 들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모니터링장치(200)는 센서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크레인(10)을 운용하는 작업자 또는 크레인(10) 근처의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장치(200)는 센서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는 디지털 TV, 데스크 탑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니터링장치(200)는 센서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송수신부(210)는 센서장치(100)의 통신부(150)와 송수신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장치(20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센서장치(100)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도르래(17)의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모니터링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명령을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센서장치(100)에서 제공된 승강로드(6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도르래 홈(18)의 마모 정도를 판단하고, 도르래 홈(18)의 마모가 일정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도르래(17)의 교체 여부, 또는 도르래 홈(18)의 마모 정도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10: 크레인, 17: 도르래,
20: 수강래들, 30: 와이어 로프,
40: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50: 구름부재,
60: 승강로드, 63: 축부,
66: 눈금게이지, 70: 탄성부재,
80: 로드하우징, 85: 투명창,
90,121: 지침, 100: 센서장치,
120: 센서부, 122: 스위치,
123: 인장스프링, 125: 위치식별부재,
126: 위치검출센서, 200: 모니터링장치.

Claims (13)

  1. 회전하는 도르래 홈 내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름부재;
    상기 구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단과, 외면에 눈금게이지가 마련된 타단을 갖는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타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부에서 상기 눈금게이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창을 갖는 로드하우징;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도르래 홈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승강로드의 위치변화를 상기 투명창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눈금게이지를 가리키는 지침;을 포함하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눈금게이지와 접촉 가능한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르래 홈이 마모되어 상기 승강로드가 이동할 때 상기 눈금게이지와 간섭되어 회전하는 상기 지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센서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장치;
    상기 센서장치에 포함되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센서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도르래 홈의 마모에 따른 교체 관련 정보를 음성형태로 출력하는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센서장치와 무선통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르래의 교체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5. 대상물을 들어 올리기 위한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도르래의 마모를 측정하는 마모 측정장치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마모 측정장치는,
    상기 도르래의 홈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름부재가 설치된 일단과, 상기 도르래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로드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타단을 가지는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구름부재를 상기 도르래의 홈에 가압 접촉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도르래의 홈이 마모되어 상기 승강로드가 이동할 때 상기 승강로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장치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타단에는 눈금게이지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하우징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상기 눈금게이지 확인을 위한 투명창이 마련되는 크레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눈금게이지와 간섭되는 자유단을 갖는 지침과, 상기 승강로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지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은 인장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지침이 회전된 후 상기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되는 크레인.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승강로드의 축부 일측에 배치되는 위치식별부재와, 상기 위치식별부재를 감지하는 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크레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식별부재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RF 태그(radio frequency tag)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상기 RF 태그를 검출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하는 크레인.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식별부재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상기 영구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크레인.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르래의 교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센서장치와 무선통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르래의 교체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KR1020150052939A 2015-04-15 2015-04-15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KR10160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39A KR101609305B1 (ko) 2015-04-15 2015-04-15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39A KR101609305B1 (ko) 2015-04-15 2015-04-15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305B1 true KR101609305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39A KR101609305B1 (ko) 2015-04-15 2015-04-15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3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436A (ko) * 2016-11-18 2018-05-29 주식회사 호원 근접센서장치
JP2019189365A (ja) * 2018-04-18 2019-10-3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シーブ溝測定装置およびシーブ溝測定方法
KR20200063632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포스코 댐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처리 방법
KR20220004459A (ko) * 2020-07-03 2022-01-11 한국전력공사 디스크 커터의 마모도 측정 장치, 디스크 커터의 마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6216209A (zh) * 2021-12-03 2023-06-06 湘潭市恒欣实业有限公司 一种单轨吊驱动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48B1 (ko) 2007-06-11 2007-12-21 송재한 카테나리 디지털 마모 측정기
US20090172963A1 (en) 2008-01-04 2009-07-09 Gammon James H Wear gauge
JP2011046522A (ja) 2009-08-28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巻上機のシーブ溝の摩耗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48B1 (ko) 2007-06-11 2007-12-21 송재한 카테나리 디지털 마모 측정기
US20090172963A1 (en) 2008-01-04 2009-07-09 Gammon James H Wear gauge
JP2011046522A (ja) 2009-08-28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巻上機のシーブ溝の摩耗測定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436A (ko) * 2016-11-18 2018-05-29 주식회사 호원 근접센서장치
KR101923524B1 (ko) 2016-11-18 2018-11-30 (주)호원 근접센서장치
JP2019189365A (ja) * 2018-04-18 2019-10-3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シーブ溝測定装置およびシーブ溝測定方法
KR20200063632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포스코 댐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처리 방법
KR102156710B1 (ko) * 2018-11-28 2020-09-16 주식회사 포스코 댐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처리 방법
KR20220004459A (ko) * 2020-07-03 2022-01-11 한국전력공사 디스크 커터의 마모도 측정 장치, 디스크 커터의 마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04591A (ko) * 2020-07-03 2022-01-11 한국전력공사 디스크 커터의 마모도 측정 장치, 디스크 커터의 마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49160B1 (ko) * 2020-07-03 2022-01-12 한국전력공사 디스크 커터의 마모도 측정 장치, 디스크 커터의 마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65397B1 (ko) 2020-07-03 2022-02-23 한국전력공사 디스크 커터의 마모도 측정 장치, 디스크 커터의 마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6216209A (zh) * 2021-12-03 2023-06-06 湘潭市恒欣实业有限公司 一种单轨吊驱动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305B1 (ko)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US20190062127A1 (en) Device for monitoring operating data and/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state of wear of a cable during use on lifting apparatuses
EP2847119B1 (en) Crane monitoring system
US11440766B2 (en) Cable tension monitor
EP3406560A1 (en) Hoist cable load sensor
EP3299331B1 (en) Fibre rope, hoisting system with such a fibre rop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hoisting system
JP2017508690A (ja) 吊上装置に使用するケーブル交換時期決定のための装置
CA2438864A1 (en) A load monitoring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for use with a load conveyor
EP3643667B1 (en) Water detection in elevator pit using pit sensors
JP2019085242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JP6776166B2 (ja) 電動巻上機及び電動巻上機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溝の摩耗検知方法
CN110944923B (zh) 电梯带位置跟踪***
CN104444882B (zh) 卷扬***及包括该卷扬***的起重机
KR20190076724A (ko)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 장치
JP7152226B2 (ja) ワイヤーロープ監視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監視方法
WO2017002192A1 (ja) エレベータの綱溝摩耗量検知装置
KR20140108907A (ko)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CN111532990B (zh) 一种起重机卷扬防乱绳控制***、控制方法及起重机
JP5832381B2 (ja) 作業機械
KR101619991B1 (ko) 안전 장치가 설치된 크레인
KR101121689B1 (ko) 크레인 하중센서
CN213455254U (zh) 一种起重机钢丝绳磨损检测装置
KR101766530B1 (ko) 작업자 긴급탈출장치
CN106365057A (zh) 一种塔式起重机力矩监测报警装置
KR200363683Y1 (ko) 무선방식을 이용한 카고크레인 과권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