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371B1 -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371B1
KR101608371B1 KR1020140168111A KR20140168111A KR101608371B1 KR 101608371 B1 KR101608371 B1 KR 101608371B1 KR 1020140168111 A KR1020140168111 A KR 1020140168111A KR 20140168111 A KR20140168111 A KR 20140168111A KR 101608371 B1 KR101608371 B1 KR 10160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er
production line
photographing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6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는 생산라인에 구비되어 작업자별 업무 효율,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 및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라인의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작업자별 및 생산라인별 업무 효율과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산출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부를 구비하므로, 관리자가 상기 작업자 및 상기 생산라인을 일일이 감독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생산라인별로 생산수량 및 생산 효율과, 작업자별 작업시간 및 업무 효율과, 부적합 제품의 발생자 및 품질문제 발생내역을 산출 및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line in manufacturing plant}
본 발명은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는 생산라인에 구비되어 작업자별 업무 효율,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 및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현장은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생산라인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공정을 거쳐 최종적인 제품으로 완성되도록 분업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생산현장에서는 각각의 생산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의 난이도, 효율성 및 제품의 생산현황을 파악하고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관리 및 감독하여, 공정 및 인력 재배치, 개선 사항의 분석, 개선 대책의 수립, 생산성 향상 기반의 조성 등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자가 배치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생산현장에서 관리자는 각각의 생산라인별 및 작업자별로 수작업으로 노트에 기재하거나 문서화하여,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 및 작업자별 업무 효율을 산출 및 분석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생산현장에서는 다수의 생산라인을 관리하기 위해 다수의 관리자가 배치되어야 하므로, 관리 인원의 수가 증가하여 생산 비용의 증가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생산현장은 관리자의 인력으로 관리되므로 관리자의 부주의, 착오, 태만 등의 판단 실수가 발생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개선 사항의 분석 및 개선 대책의 수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생산현장은 생산된 제품에 품질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관리자가 품질문제가 발생된 공정 또는 품질문제를 발생시킨 발생자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동일한 작업자 또는 공정에 의해 품질문제의 발생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생산현장의 생산라인별로 생산수량 및 생산 효율을 자동으로 산출 및 관리하고, 각각의 생산라인에서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한 작업시간 및 업무 효율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관리하며, 각각의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에 대해 발생자 및 품질문제 발생내역을 산출 및 관리할 수 있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라인에 설치된 이동레일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을 수행하는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각 제품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별 업무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을 산출하는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 중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더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작업자가 작업 공정을 시작한 후 종료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단위작업시간으로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초로 LOB(line of balance) 편성율을 산출하고, 상기 작업자에 대해 상기 단위작업시간의 순위를 할당하여 후순위에 위치한 네크(Neck) 작업자를 선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설정된 표준작업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를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한 시간동안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계산하여 UPH(unit per hour)를 산출하고, 상기 UPH를 상기 생산라인에 투입된 작업인원의 수로 나누어 UPMH(unit per man hour)를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작업자별로 단위작업시간, LOB 편성율, 네크 작업자 및 작업 숙련도를 산출하는 작업자 관리수단; 및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 UPH 및 UPMH를 산출하는 라인운영 관리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근거로 작업자별 불량율 및 생산라인별 불량율을 산출하는 품질 관리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에서 이동하는 상기 촬영부를 기설정된 촬영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촬영위치 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바코드를 스캔하여 각각의 작업자를 식별하는 작업자 식별수단; 상기 식별된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제품의 생산라인에서, 상기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을 수행하는 작업자 또는 상 기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촬영하는 단계; (2)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되는 각 제품의 제품 바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및 (3)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별 업무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판독한 제품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을 산출하며, 상기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1-1)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된 이동레일 상에서, 카메라 및 바코드 스캐너를 기설정된 촬영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1-2) 상기 촬영 위치에서, 상기 바코드 스캐너가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바코드를 스캔하여 각각의 작업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1-3) 상기 식별된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상기 카메라에서 영상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3-1)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을 촬영한 영상에서 작업자별로 단위작업시간, LOB(line of balance) 편성율, 네크(Neck) 작업자 및 작업 숙련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3-2) 상기 제품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 UPH(unit per hour) 및 UPMH(unit per man hour)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3-3) 상기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근거로 작업자별 불량율 및 생산라인별 불량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1)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작업 공정을 시작한 후 종료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상기 단위작업시간으로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1)단계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초로 LOB 편성율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작업시간의 순위를 할당하여 후순위에 위치한 네크 작업자를 선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1)단계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설정된 표준작업 시간과 비교하여, 작업자별 작업 숙련도를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2)단계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한 시간동안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UPH를 산출하고, 상기 UPH를 상기 생산라인에 투입된 작업인원의 수로 나누어 상기 UPMH를 산출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생산라인의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각 제품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작업자별 및 생산라인별 업무 효율과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산출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부를 구비하므로, 관리자가 상기 작업자 및 상기 생산라인을 일일이 감독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생산라인별로 생산수량 및 생산 효율과, 작업자별 작업시간 및 업무 효율과, 부적합 제품의 발생자 및 품질문제 발생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현장에 배치되는 관리 인원의 수를 감소시켜도 생산라인 및 작업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관리 인원의 감소로 인해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문서화하지 않더라도 관리 서버부에서 자동으로 생산라인 및 작업자의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관리 서버부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생산현장에서의 개선 사항의 분석 및 개선 대책의 수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적합 제품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적합 제품을 가공 또는 조립한 작업자 및 생산라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부적합 제품의 발생 시 조기에 작업자 교육 등의 조치 및 생산라인의 개선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동일한 작업자 또는 동일 공정에 의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생산라인에 설치된 라인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생산라인에 설치된 라인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관리 시스템은, 촬영부(110), 촬영위치 조정부(120), 바코드 리더부(130) 및 관리 서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촬영부(110)는 생산현장의 생산라인(10)에서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을 수행하는 작업자(11) 또는 상기 작업자(11)의 작업 공정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생산라인(10) 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작업자(11)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후술할 관리 서버부(140)로 전송하도록 구비되며, 작업자 식별수단(111), 촬영수단(112), 통신수단(113) 및 구동수단(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레일(20)은 상기 생산라인(10)에서 가공 또는 조립될 제품을 이송하는 컨베어를 따라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어의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배치된다. 즉, 상기 촬영부(110)는 상기 컨베어를 따라 형성된, 상기 이동레일(20)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작업자(11)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촬영부(110)는 상기 생산라인(10)의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이동 또는 촬영을 수행하도록 동작시키거나, 기설정된 설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또는 촬영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식별수단(111)은 상기 생산라인(10)에서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작업자(11)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 식별 바코드를 스캔하여 각각의 작업자(11)를 식별하도록 구비되며, 바코드 스캐너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11)의 작업복에는 각각의 작업자(1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작업자 식별 바코드가 사전에 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 식별 바코드에는 각 작업자(11)가 회사로부터 부여받은 사번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112)은 상기 작업자 식별수단(111)에서 식별한 작업자(11)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식별된 작업자(11)의 작업 공정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후술할 관리 서버부(140)에서 각 작업자(11)의 단위작업시간 및 업무 효율을 산출 및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112)은 카메라, 캠 또는 CCTV 장치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113)은 상기 촬영수단(112)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촬영수단(112)에서 촬영된 영상을 후술할 관리 서버부(140)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수단(113)과 후술한 관리 서버부(140)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 신호에 탑재하여 전송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113)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P) 또는 무선통신 모듈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14)은 상기 촬영부(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촬영부(110)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14)에는 바퀴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14)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바퀴가 상기 이동레일(20)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촬영부(110)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110)의 각 구성요소인, 상기 작업자 식별수단(111), 상기 촬영수단(112), 상기 통신수단(113) 및 상기 구동수단(114)은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각 구성요소가 일체형으로 조립 또는 결합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촬영위치 조정부(120)는 상기 촬영부(110)가 기설정된 촬영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촬영부(110)가 상기 이동레일(20)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촬영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촬영부(110)를 정지시켜 상기 작업자(11)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의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촬영위치 조정부(120)는 상기 이동레일(2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위치 센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레일(20) 상에서 각 작업자(11)의 위치 또는 각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에 상기 위치 센서가 설치되게 된다.
즉, 상기 촬영위치 조정부(120)는 상기 촬영부(110)가 각각의 작업자(11) 전방에서 정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촬영부(110)는 상기 촬영위치 조정부(120)에 의해 정지하게 되면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는 특정 공정이 수행된 생산라인(10)과 상기 생산라인(10)에서 상기 작업자(11)에 의해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을 식별 및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생산라인(10) 및 상기 제품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광학식 마크 판독 장치로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바코드 리더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에서는, 상기 생산라인(10)을 식별할 수 있는 라인 바코드, 상기 생산라인(10)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제품 바코드 및 공정별 작업자(11)를 식별할 수 있는 이동전표 바코드를 판독하고, 판독한 바코드의 정보를 후술할 관리 서버부(140)로 전송하여 상기 제품이 생산된 생산라인(10) 및 상기 제품의 생산수량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는 상기 제품 바코드를 판독하고 후술할 관리 서버부(140)로 전송하여, 상기 생산라인(10)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생산수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는 상기 생산라인(10)에서 마지막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생산라인(10)의 컨베어에서 이송되는 각 제품의 제품 바코드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작업자(11)에 의해 수동으로 판독하게 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부(140)는 상기 촬영부(110) 및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에서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작업자별 업무 효율,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 및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산출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 관리수단(141), 라인운영 관리수단(142) 및 품질 관리수단(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부(140)는 상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별 업무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을 산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부(140)는 상기 생산라인(10)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 및 상기 부적합 제품을 가공 또는 조립한 작업자(11)에 대한 정보까지 관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은 상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작업자별로 단위작업시간, LOB(line of balance) 편성율, 네크(Neck) 작업자 및 작업 숙련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작업시간은 상기 작업자(11)가 작업 공정을 시작한 후 완료한 시간을 뜻하며, 상기 LOB 편성율은 상기 생산라인(10)의 각 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균형을 이루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공정이 편성된 효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크 작업자는 타 작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업 공정의 처리가 더딘 작업자를 뜨하며, 상기 작업 숙련도는 상기 작업자(11)가 작업 공정에 숙련된 정도를 뜻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은 상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작업자(11)가 작업 공정을 시작한 후 종료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단위작업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은 상기 영상을 분석하는 분석툴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작업자(11)의 작업 공정을 분석하고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산출하도록 구비되거나, 스톱워치 방식으로 상기 작업 공정의 시작 및 종료를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게 하여 상기 단위작업시간이 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톱워치 방식의 경우, 상기 촬영부(110)가 상기 작업자(11)의 전방에 위치한 시점에, 관리자 또는 상기 작업자(11)가 직접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부(110)의 촬영을 시작하게 하고 상기 작업자(11)의 작업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촬영부(110)의 촬영을 종료시키며,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에서는 상기 촬영부(110)에서 영상이 촬영이 이루어진 시간을 상기 단위작업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은 상기 생산라인(10)에 배치된 복수의 작업자(11)에 대한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취합하여 상기 LOB 편성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은 네크 공정의 작업시간과 작업인원의 수를 곱한 값을 각 공정의 평균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상기 LOB 편성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크 공정은 상기 단위작업시간이 가장 긴 공정을 뜻하며, 상기 평균작업시간은 상기 단위작업시간의 평균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한 값을 뜻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은 상기 복수의 작업자(11)에 대해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비교하여 각각의 작업자별로 순위를 할당한 후, 후순위에 위치한 작업자(11)를 상기 네크 작업자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은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설정된 표준작업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작업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 숙련도는 상기 표준작업시간에 따라 S, A, B 내지 D의 등급으로 나뉘어 산출된다.
또한, 상기 라인운영 관리수단(142)은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생산라인(10)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 UPH(unit per hour) 및 UPMH(unit per man hour)를 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라인운영 관리수단(142)에는 상기 생산라인(10)의 작업인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수의 작업자(11)에 대한 출퇴근 정보를 출퇴근기록기에서 전송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별 및 라인별 결근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라인운영 관리수단(142)은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생산라인(10)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인운영 관리수단(142)은 상기 생산라인(10)에서 한 시간동안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UPH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운용 관리수단은 상기 출퇴근기록기에서 전송받은 출퇴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산라인(10)에 투입된 작업인원을 산출하고, 상기 UPH를 상기 작업인원의 수로 나누어 상기 UPMH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품질 관리수단(143)은 상기 생산라인(10)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근거로 작업자별 불량율 및 생산라인별 불량율을 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품질 관리수단(143)은 상기 부적합 제품의 발생 시, 상기 바코드 리더부(130)에서 판독한 상기 이동전표 바코드를 근거로 상기 부적합 제품을 가공 또는 조립한 작업자(11)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품질 관리수단(143)은 상기 부적합 제품의 작업자(11)를 식별하고 해당 작업자(11)의 생산라인(10)을 확인하여, 각각의 생산라인별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품질 관리수단(143)에서 상기 부적합 제품을 가공 또는 조립한 작업자(11)가 산출되면, 상기 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한 후 교육을 실시하여 작업방법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품질 관리수단(143)으로 상기 교육에 대한 일자, 횟수 및 교육결과 등이 입력되어, 상기 부적합 제품의 작업자(11) 및 불량율을 산출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부(140)의 각 구성요소인,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 상기 라인운영 관리수단(142) 및 상기 품질 관리수단(143)은 하드웨어적으로도 구현될 수 있지만 하드웨어와 함께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게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부(140)는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접속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외부 PC(30)에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부(140)에서 관리되는 각종 정보, 즉, 상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 관리수단(141), 상기 라인운영 관리수단(142) 및 상기 품질 관리수단(143)에서 산출된 각 정보를 조회 및 확인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라인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생산라인에 설치된 이동레일 상에서 촬영부를 기설정된 촬영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S100).
이때,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될 제품을 이송하는 컨베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촬영부에는 작업자 식별수단 및 촬영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생산라인에서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식별하여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촬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자 식별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은 각각 바코드 스캐너 및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생산라인의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이동 및 촬영을 수행하게 하거나, 기설정된 설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및 촬영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에는 서보모터와 바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관리자의 조작 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에는 복수 개의 위치 센서로 구비된 촬영위치 조정부가 사전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촬영부가 상기 이동레일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촬영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촬영부가 정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촬영 위치에서, 상기 촬영부가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바코드를 스캔하여 각각의 작업자를 식별하게 된다(S200).
이때, 상기 촬영부는 상기 촬영위치 조정부에 의해 정지한 위치에서, 상기 작업자 식별 바코드의 스캔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작업자 식별 바코드는 상기 촬영부의 작업자 식별수단, 즉, 상기 바코드 스캐너에서 스캔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 식별 바코드에는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상기 작업자가 회사로부터 부여받은 사번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의 소정 위치로 사전에 부착된다.
다음, 상기 촬영부는 상기 식별된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영상으로 촬영하게 된다(S300).
이때, 상기 촬영부의 촬영수단, 즉, 카메라가 동작하여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공정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촬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촬영부에서는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관리 서버부에 전송하게 된다.
다음,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되는 각 제품의 제품 바코드가 바코드 리더부로 입력된다(S400).
이때,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제품 바코드를 포함하여, 상기 생산라인을 식별할 수 있는 라인 바코드 및 공정별 작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이동전표 바코드의 판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바코드 리더부로 입력된 각각의 바코드의 정보는 관리 서버부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라인 바코드는 상기 생산라인의 확인을 위해 최초 1회만 입력하거나 날마다 한번씩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이동전표 바코드는 각각의 부품별로 최초 1회만 입력하거나 날마다 한번씩 입력될 수 있으나, 상기 제품 바코드의 경우에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되는 각각의 제품에 대해 각각 판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품 바코드의 판독 시, 상기 생산라인의 첫 번째 그룹 또는 작업자가 각각의 제품에 상기 제품 바코드를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생산라인의 마지막 그룹 또는 작업자가 상기 각각의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제품 바코드를 상기 바코드 리더부를 이용하여 입력 또는 판독하게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관리 서버부에서는 상기 촬영부에서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별 단위작업시간, LOB(line of balance) 편성율, 네크(Neck) 작업자 및 작업 숙련도를 포함하는 작업자별 업무 효율을 산출하게 된다(S500).
이때,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작업자가 작업 공정을 시작한 후 종료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상기 단위작업시간으로 산출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초로 LOB 편성율을 산출하게 되며,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비교하여 각각의 작업자의 순위를 할당하여 후순위에 위치한 네크 작업자를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OB 편성율은 상기 단위작업시간이 가장 긴 공정인 네크 공정의 작업시간과 작업인원의 수를 곱한 값을 각 공정의 평균작업시간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평균작업시간은 상기 단위작업시간의 평균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한 값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작업자에 대해 산출된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설정된 표준작업 시간과 비교하여 작업자별 작업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숙련도는 기설정된 등급으로 구분되게 된다.
다음, 상기 관리 서버부에서는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제품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 UPH(unit per hour) 및 UPMH(unit per man hour)를 포함하는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을 산출하게 된다(S600).
이때,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품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한 후 상기 생산라인에서 한 시간동안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UPH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UPH를 산출한 후, 상기 UPH를 상기 생산라인에 투입된 작업인원의 수로 나누어 상기 UPMH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인원의 수는 각각의 작업자에 대한 출퇴근 정보를 출퇴근기록기에서 전송받아 출근한 작업자의 수를 상기 작업인원의 수로 계산하게 된다.
다음,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 작업자별 불량율 및 생산라인별 불량율을 산출하게 된다(S700).
이때,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이동전표 바코드를 근거로 상기 부적합 제품을 가공 또는 조립한 작업자 및 생산라인을 식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적합 제품이 발생된 수를 누적하여, 상기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산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작업자 및 생산라인에서 상기 부적합 제품을 발생시킨 수를 계산하여 상기 작업자별 불량율 및 상기 생산라인별 불량율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현장의 관리자는 상기 관리 서버부에 의해 상기 부적합 제품을 가공 또는 조립한 작업자가 산출되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한 후 교육을 실시하여 해당 작업자의 작업방법을 용이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부로 상기 교육에 대한 일자, 횟수 및 교육결과 등을 입력하여, 작업자별 PPM 및 부적합 제품의 발생내역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 촬영부
111 : 작업자 식별수단
112 : 촬영수단
113 : 통신수단
114 : 구동수단
120 : 촬영위치 조정부
130 : 바코드 리더부
140 : 관리 서버부
141 : 작업자 관리수단
142 : 라인운영 관리수단
143 : 품질 관리수단

Claims (20)

  1.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될 제품을 이송하는 컨베어를 따라 형성된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을 수행하는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촬영하는 촬영부;
    복수 개의 위치 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에서 이동하는 상기 촬영부를 기설정된 촬영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촬영위치 조정부;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각 제품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별 업무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을 산출하는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바코드를 스캔하여 각각의 작업자를 식별하는 작업자 식별수단;
    상기 식별된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상기 촬영부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 중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작업자가 작업 공정을 시작한 후 종료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단위작업시간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초로 LOB(line of balance) 편성율을 산출하고, 상기 작업자에 대해 상기 단위작업시간의 순위를 할당하여 후순위에 위치한 네크(Neck) 작업자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설정된 표준작업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한 시간동안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계산하여 UPH(unit per hour)를 산출하고, 상기 UPH를 상기 생산라인에 투입된 작업인원의 수로 나누어 UPMH(unit per man hour)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작업자별로 단위작업시간, LOB 편성율, 네크 작업자 및 작업 숙련도를 산출하는 작업자 관리수단; 및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바코드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 UPH 및 UPMH를 산출하는 라인운영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근거로 작업자별 불량율 및 생산라인별 불량율을 산출하는 품질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1-1) 카메라 및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는 촬영부가, 제품의 가공 또는 조립을 수행하는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촬영하기 위해, 생산라인을 따라 설치된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위치 센서로 구비된 촬영위치 조정부에 의해 기설정된 촬영 위치에서 정지하는 단계;
    (1-2) 상기 촬영 위치에서, 상기 바코드 스캐너가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바코드를 스캔하여 각각의 작업자를 식별하는 단계;
    (1-3) 상기 카메라가, 상기 식별된 작업자의 작업 공정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단계;
    (2) 바코드 리더부가,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되는 각 제품의 제품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관리 서버부가, 상기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별 업무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부에서 판독된 제품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생산라인별 생산 효율을 산출하며, 상기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3-1) 상기 관리 서버부가,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작업 공정을 촬영한 영상에서 작업자별로 단위작업시간, LOB(line of balance) 편성율, 네크(Neck) 작업자 및 작업 숙련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3-2) 상기 관리 서버부가, 상기 제품 바코드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생산라인에서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 UPH(unit per hour) 및 UPMH(unit per man hour)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3-3) 상기 관리 서버부가, 상기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부적합 제품의 발생현황을 근거로 작업자별 불량율 및 생산라인별 불량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1)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작업자가 작업 공정을 시작한 후 종료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상기 단위작업시간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1)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초로 LOB 편성율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작업시간의 순위를 할당하여 후순위에 위치한 네크 작업자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1)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위작업시간을 기설정된 표준작업 시간과 비교하여, 작업자별 작업 숙련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2)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생산라인에서 한 시간동안 가공 또는 조립된 제품의 생산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UPH를 산출하고, 상기 UPH를 상기 생산라인에 투입된 작업인원의 수로 나누어 상기 UPMH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방법.
KR1020140168111A 2014-11-28 2014-11-28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111A KR101608371B1 (ko) 2014-11-28 2014-11-28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111A KR101608371B1 (ko) 2014-11-28 2014-11-28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371B1 true KR101608371B1 (ko) 2016-04-01

Family

ID=5579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111A KR101608371B1 (ko) 2014-11-28 2014-11-28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3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936B1 (ko) * 2016-10-05 2018-03-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위치기반 공정데이터 자동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1915A (ko) * 2016-11-30 2018-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검사방법
KR102110453B1 (ko) * 2019-09-06 2020-05-13 임주환 농산물 가공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102189901B1 (ko) * 2020-04-23 2020-12-11 주식회사 더온에프앤비 주문 음식의 조리 시간 최적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18828A (ko) * 2020-08-07 2022-02-15 (주)협신식품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9567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작업자 숙련도 반응형 작업지도서 제시 방법 및 작업대
KR20230056966A (ko) 2021-10-21 2023-04-28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선소 공정 실적 분석 장치
KR102540669B1 (ko) * 2021-12-17 2023-06-08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암호화되어 편집 불가능 상태로 보관되는 작업 데이터를 이용한 작업 이력 인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843A (ja) 2004-07-20 2006-02-02 Canon Inc 生産管理方法及び生産システム
JP2006215690A (ja) * 2005-02-02 2006-08-17 Nec Computertechno Ltd 無線タグ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生産管理システム
JP2007102644A (ja) * 2005-10-06 2007-04-19 Omron Corp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方法、生産管理プログラム、生産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生産システム
JP2011090446A (ja) 2009-10-21 2011-05-06 Yamato Scale Co Ltd 生産ライン構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843A (ja) 2004-07-20 2006-02-02 Canon Inc 生産管理方法及び生産システム
JP2006215690A (ja) * 2005-02-02 2006-08-17 Nec Computertechno Ltd 無線タグ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生産管理システム
JP2007102644A (ja) * 2005-10-06 2007-04-19 Omron Corp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方法、生産管理プログラム、生産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生産システム
JP2011090446A (ja) 2009-10-21 2011-05-06 Yamato Scale Co Ltd 生産ライン構成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936B1 (ko) * 2016-10-05 2018-03-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위치기반 공정데이터 자동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1915A (ko) * 2016-11-30 2018-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검사방법
KR101891126B1 (ko) 2016-11-30 2018-08-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검사방법
KR102110453B1 (ko) * 2019-09-06 2020-05-13 임주환 농산물 가공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102189901B1 (ko) * 2020-04-23 2020-12-11 주식회사 더온에프앤비 주문 음식의 조리 시간 최적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18828A (ko) * 2020-08-07 2022-02-15 (주)협신식품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7735B1 (ko) 2020-08-07 2023-06-26 (주)협신식품 축산물 가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9567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작업자 숙련도 반응형 작업지도서 제시 방법 및 작업대
KR102534077B1 (ko) * 2020-12-30 2023-05-18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작업자 숙련도 반응형 작업지도 시스템
KR20230056966A (ko) 2021-10-21 2023-04-28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선소 공정 실적 분석 장치
KR20240063098A (ko) 2021-10-21 2024-05-09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선소 공정 실적 분석 장치
KR102540669B1 (ko) * 2021-12-17 2023-06-08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암호화되어 편집 불가능 상태로 보관되는 작업 데이터를 이용한 작업 이력 인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371B1 (ko) 생산현장의 라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60325A (zh) 基于bim的桥梁施工进度管理***
US9229445B2 (en) Mobility product traceability building system and production line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CN107239720A (zh) 一种龙门架式条码扫描装置
JP5406074B2 (ja) 作業者位置認識システム
US105654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workers at worksites
CN109716381A (zh) 基于视频的建筑施工及维护统合管理方法
CN108627520A (zh) 一种非均质固体材料外观质量的在线检测***和方法
CN105051781A (zh) 机器视觉***以及用于产品的远程质量检验的方法
JP6716351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10360692B2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wood products in a production line
KR102515258B1 (ko)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CN104281132A (zh) 基于机器视觉的机械制造车间生产过程信息采集***及采集方法
CN110348698A (zh) 工件标识装置及方法
KR20030068661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24103539A (ja) 監視システム
KR102515253B1 (ko)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장치
WO2019087951A1 (ja) 検査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検査作業管理方法
KR101893588B1 (ko) 근태 관리를 포함하는 근무자 관리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티처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N117055503A (zh) 一种基于工业互联网机电控制的智能生产线***
KR101535804B1 (ko) 작업자의 동작인식을 이용한 생산 자동화 시스템
CN111275299B (zh) 核电站物料远程验收***
JP2008217608A (ja) 産業機械の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07098B1 (ko) 이미지 분석을 통한 수량 판단장치 및 그 방법
US20230039394A1 (en) Portable production machine, mobile terminal,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