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710B1 -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710B1
KR101607710B1 KR1020090113301A KR20090113301A KR101607710B1 KR 101607710 B1 KR101607710 B1 KR 101607710B1 KR 1020090113301 A KR1020090113301 A KR 1020090113301A KR 20090113301 A KR20090113301 A KR 20090113301A KR 101607710 B1 KR101607710 B1 KR 10160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xed fluid
flow
swash plat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823A (ko
Inventor
송세영
윤영섭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71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하우징(30)과 실린더블록(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 내부에는 흡입실(S)과 연통되는 유로(141')가 형성되며, 일단부 측면에는 상기 유로(14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로출구(142a)가 형성되는 구동축(14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140)에서 상기 실린더블록(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부(141)의 외면에는 상기 크랭크실(C)에 있는 혼합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홈형상의 배출통로(170)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170)는 상기 혼합유체에 존재하는 냉매가스와 오일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지부(173)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통로(170)는 상기 분지부(173)에서 분리된 오일을 크랭크실(C)로 귀환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분지부(173)에서 분리된 냉매가스를 상기 유로(141')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통로를 통해 냉매가스가 흡입실로 빠져나감으로써 압축기의 초기 구동시에 사판의 경사변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되며, 상기 배출통로의 오일유동부와 오일도출부를 통해 냉매가스와 분리된 오일이 다시 크랭크실로 귀환됨으로써, 압축기의 동작에 따른 오일 누설이 최소화된다.
압축기, 사판, 구동축, 배출통로, 오일

Description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누출이 최소화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 등에 사용되는 압축기로서, 토출용량을 가변 제어할 수 있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이하, '압축기'라 칭함)가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실린더블록(10)과, 상기 실린더블록(10)의 전방에 결합되어 크랭크실(C)을 형성하는 전방하우징(30), 그리고 실린더블록(10)의 후방에 결합되어 흡입실(S)과 토출실(D)을 형성하는 후방하우징(50)을 포함한다. 실제로 다수개의 볼트(B)가 상기 전방하우징(30), 실린더블록(10), 후방하우징(5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에 의해 압축기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록(10)에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가 상기 실린더블록(10)의 가장자리를 둘러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실제로 상기 실린더보어(11)는 상기 실린더블록(10)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보어(11)의 내부에는 피스톤(15)이 각각 수납되어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실린더보어(11) 내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전방하우징(30)과 실린더블록(10) 사이에는 전방하우징(30)의 후방이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크랭크실(C)이 만들어진다. 상기 크랭크실(C)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5)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설치된다.
먼저, 구동축(40)은 상기 전방하우징(30)의 축공(32)을 관통하여 실린더블록(10)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센터보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40)은 자동차의 엔진이나 차량용 구동모터,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압축기용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실(C)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40)이 중앙을 관통하고 상기 구동축(40)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43)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43)는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힌지아암(44)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40)에는 피스톤(15)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사판(45)이 설치된다. 상기 사판(45)은 압축기의 토출용량에 따라 상기 구동축(40)에 대한 경사각이 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판(45)의 경사각은 상기 구동축(40)과 직교하는 면과 상기 사판(45)의 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각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사판(45)은 상기 구동축(40)에 대하여 일정한 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변화한다.
상기 사판(45)의 일측에는 상기 로터(43)의 힌지아암(44)과 연결되는 연결아암(46)이 돌출되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연결아암(46)과 힌지아암(44)은 힌지핀(47)에 의해 상기 사판(45)의 각도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사판(45)의 가장자리부분, 즉 외주연부는 상기 피스톤(15)의 전방에 돌출되는 연결부(17)의 슈(18)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사판(45)이 경사진 상태로 회전되면 그 외주연부가 상기 슈(18) 사이를 지나감에 따라 상기 피스톤(15)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유체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사판(45)과 로터(43) 사이의 구동축(40)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반경사스프링(48)이 설치된다. 상기 반경사스프링(48)은 사판(45)의 경사각이 커지는 방향, 즉 사판(45)의 기울기가 커지도록 사판(45)을 가압하고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블록(10)과 후방하우징(50)의 사이에는 토출실(D)과 실린더보어(11) 사이에서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냉매의 유동 과정을 도 1을 참고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구동축(40)의 일단부에는 밸브부(41)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41)는 센터보어(12)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밸브부(4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실(S)과 연통되는 유로(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41)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로(41')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출구(42a)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출구(42a)는 상기 구동축(4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보어(11)와 센터보어(12)를 연통시키는 연통로(14)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흡입실(S)의 냉매는 구동축(40)의 후단부를 통해 구동축(40)의 내부의 유로(41')로 유입되고, 구동축(40)의 유로출구(42a)와 실린더블록(10)에 형성된 연통로(14)가 서로 연통되는 순간 구동축(40) 내부의 냉매가 실린더보어(11)로 전달된다. 실린더보어(11)로 전달된 냉매는 피스톤(15)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상기 밸브어셈블리(60)의 제어에 따라 토출실(D)로 토출된다.
한편, 압축기의 초기 구동시에 초기응답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크랭크실(C)의 압력을 흡입실(S)로 빼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구동축(40)에는 상기 크랭크실(C)과 상기 유로(41')를 연통시키는 추기통로(42b)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추기통로(42b)를 통해 크랭크실(C)의 냉매가스가 오일과 함께 토출됨으로써 압축기의 윤활과 냉각을 위해 압축기 내에 머물러야할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면서도 크랭크실의 냉매가스는 원활하게 배출시켜주는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실린더보어를 가지는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함으로써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흡입실과 토출실을 형성하는 후방하우징과, 상기 전방하우징과 실린더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흡입실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부 측면에는 상기 유로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로출구가 형성되는 구동축, 그리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피스톤에 동력을 전달하는 사판을 포함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서 상기 실린더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부의 외면에는 상기 크랭크실에 있는 혼합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홈형상의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혼합유체에 존재하는 냉매가스와 오일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지되는 분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분지부에서 분리된 오일을 크랭크실로 귀환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분지부에서 분리된 냉매가스를 상기 유로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로출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에 존재하는 혼합유체가 이동하도록 하는 혼합유체유동부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분지부와, 상기 분지부에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실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혼합유체에서 분리된 오일이 유동하는 오일유동부, 그리고 상기 분지부에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상기 유로출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혼합유체에서 분리된 냉매가스가 유동하는 가스유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유체유동부, 상기 오일유동부 및 상기 가스유동부는 각각 나선형으 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유체유동부의 입구와 상기 오일유동부의 출구는 상기 밸브부에서 상기 크랭크실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유체유동부와 분지부 중 어느 일측에는 유로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유동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스유동부와 상기 유로출구를 연결하는 홈형상의 가스도출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유동부의 단부에는 상기 밸브부를 관통하는 가스도출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통로를 통해 냉매가스가 흡입실로 빠져나감으로써 크랭크실의 초기압력을 낮아져 압축기의 초기 구동시에 사판의 경사변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된다. 한편, 상기 배출통로의 오일유동부와 오일도출부는 냉매가스와 분리된 오일을 다시 크랭크실로 귀환시켜주므로, 압축기의 동작에 따른 오일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실질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동일하다.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구조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동축을 제외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1의 도면부호를 인용한다.
[제1실시예]
도 2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축의 제1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동축(140)은 실린더블록(10)의 센터보어(12)와 전방하우징(30)의 축공(32)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이다. 상기 구동축(140)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축(140)의 일단부에는 실린더보어(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141)의 내부에는 흡입실(S)과 연통되는 유로(141')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141')는 상기 밸브부(141)의 일단부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141)의 측면에는 상기 유로(141')와 상기 연통로(14)를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출구(14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부(141)의 외면에는 크랭크실(C)의 냉매가스를 흡입실(S)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170)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제로 크랭크실(C)에는 냉매가스와 오일이 혼합된 상태의 혼합유체가 존재하는데, 상기 배출통로(170)는 상기 혼합유체를 안내하다가 오일과 냉매가스를 분리하여 냉매가스는 유로(141')로 전달하고, 오일은 크랭크실(C)로 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출통로(170)는 크게 혼합유체가 안내되는 혼합유체유동부(171)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가 갈라지는 분지부(173), 상기 분지부(173)에서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일유동부(175), 상기 분지 부(173)에서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스유동부(177), 상기 가스유동부(177)와 상기 유로출구(142a)를 연결하는 가스도출부(178)로 구성된다.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의 입구(172)는 상기 밸브부(141)에서 상기 크랭크실(C)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172)를 통해서 상기 크랭크실(C)에 존재하는 혼합유체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는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유로출구(142a)를 향해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40)이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혼합유체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를 따라서 분지부(17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오일유동부(175)는 상기 분지부(173)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계속해서 연장되는데, 상기 크랭크실(C)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오일유동부(175)의 오일도출부(176)는 상기 밸브부(141)에서 상기 크랭크실(C)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4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혼합유체가 분지부(173)를 만나면, 무거운 오일과 가벼운 냉매가스가 분리되는데, 이때 오일은 오일유동부(175)를 따라 이동하여 오일도출부(176)를 통해 크랭크실(C)로 귀환한다.
한편, 가스유동부(177)는 상기 분지부(173)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유로출구(142a)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스유동부(177)의 단부에서는 가스도출부(178)가 상기 유로 출구(142a) 까지 연장된다. 상기 분지부(173)에서 오일과 분리된 냉매가스는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상기 가스유동부(177)를 따라 이동하며, 가스도출부(178)를 통해 상기 유로출구(142a)로 빠져나가게된다. 그리고 유로출구(142a)를 빠져나간 냉매가스는 상기 밸브부(141) 내의 유로(141')를 통해 흡입실(S)로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배출통로(170)를 통해 냉매가스가 흡입실로 빠져나감으로써 크랭크실의 초기압력을 낮아져 압축기의 초기 구동시에 사판(45)의 경사변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된다. 한편, 상기 배출통로(170)의 오일유동부(175)와 오일도출부(176)는 냉매가스와 분리된 오일을 다시 크랭크실(C)로 귀환시켜주므로, 압축기의 동작에 따른 오일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의 제2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은 제1실시예의 구동축과는 가스유동부(177)와 유로출구(142a)를 연결하는 가스도출부(178) 대신 밸브부(241)를 관통하는 가스도출공(278)을 가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동축(240)은 실린더블록(10)의 센터보어(12)와 전방하우징(30)의 축공(32)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이다. 상기 구동축(240)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축(240)의 일단부에는 실린더보어(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241)의 내부에는 흡입실(S)과 연통되는 유 로(241')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241')는 상기 밸브부(241)의 일단부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241)의 측면에는 상기 유로(241')와 상기 연통로(14)를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출구(24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부(241)의 외면에는 크랭크실(C)의 냉매가스를 흡입실(S)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270)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제로 크랭크실(C)에는 냉매가스와 오일이 혼합된 상태의 혼합유체가 존재하는데, 상기 배출통로(270)는 상기 혼합유체를 안내하다가 오일과 냉매가스를 분리하여 냉매가스는 유로(241')로 전달하고, 오일은 크랭크실(C)로 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출통로(270)는 크게 혼합유체가 안내되는 혼합유체유동부(271)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가 갈라지는 분지부(273), 상기 분지부(273)에서 상기 구동축(2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일유동부(275), 상기 분지부(273)에서 상기 구동축(2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스유동부(277), 상기 가스유동부(277)의 단부에 상기 밸브부(24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스도출공(278)으로 구성된다.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의 입구(272)는 상기 밸브부(241)에서 상기 크랭크실(C)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272)를 통해서 상기 크랭크실(C)에 존재하는 혼합유체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는 구동축(2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유로출구(242a)를 향해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240)이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혼합유체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를 따라서 분지 부(27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오일유동부(275)는 상기 분지부(273)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축(2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계속해서 연장되는데, 상기 크랭크실(C)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오일유동부(275)의 오일도출부(276)는 상기 밸브부(241)에서 상기 크랭크실(C)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24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혼합유체가 분지부(273)를 만나면, 무거운 오일과 가벼운 냉매가스가 분리되는데, 이때 오일은 오일유동부(275)를 따라 이동하여 오일도출부(276)를 통해 크랭크실(C)로 귀환한다.
한편, 가스유동부(277)는 상기 분지부(273)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축(2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유로출구(242a)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스유동부(277)의 단부에는 상기 밸브부(241)를 관통하는 가스도출공(278)이 형성된다. 상기 분지부(273)에서 오일과 분리된 냉매가스는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상기 가스유동부(277)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스유동부(277)를 따라 이동하던 냉매가스는 가스도출공(278)을 통해 상기 밸브부(241)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24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241')로 유입된 냉매가스는 밸브부(241)의 후단부를 통해 흡입실(S)로 빠져나간다.
[제3실시예]
도 4에는 도 3의 실시예의 변형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의 일측에는 확장부(280)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280)는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의 유로단면적이 커지는 부분이다. 상기 확장부(280)는 상기 혼합유체에서 오일 분리가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즉, 상기 혼합유체는 혼합유체유동부(271)를 따라 이동하던 중 상대적으로 점성이 큰 오일은 혼합유체유동부(271)의 양쪽 벽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점성이 작고 가벼운 냉매가스는 혼합유체유동(271)의 중앙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의 양쪽 벽면을 따라 이동하던 오일이 상기 확장부(280)를 지나면서 유속이 줄어들어 냉매가스와 분리가 잘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확장부(280)는 상기 분지부(283)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혼합유체유동부(271)에 여러 개소 형성하여 유분리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물론, 확장부(28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축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축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실린더블록 12: 센터보어
30: 전방하우징 50: 후방하우징
140: 구동축 141: 밸브부
141': 유로 142a: 유로출구
170: 배출통로 171: 혼합유체유동부
172: 입구 173: 분지부
175: 오일유동부 176: 오일도출부
177: 가스유동부 178: 가스도출부
278: 가스도출공 280: 확장부
C: 크랭크실 S: 흡입실

Claims (7)

  1.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를 가지는 실린더블록(10)과,
    상기 실린더보어(11) 내에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함으로써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피스톤(15)과,
    상기 실린더블록(10)의 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크랭크실(C)을 형성하는 전방하우징(30)과,
    상기 실린더블록(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흡입실(S)과 토출실(D)을 형성하는 후방하우징(50)과,
    상기 전방하우징(30)과 실린더블록(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흡입실(S)과 연통되는 유로(141')가 형성되고, 일단부 측면에는 상기 유로(14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로출구(142a)가 형성되는 구동축(140), 그리고
    상기 크랭크실(C) 내에서 상기 구동축(14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피스톤(15)에 동력을 전달하는 사판(45)을 포함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40)에서 상기 실린더블록(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부(141)의 외면에는 상기 크랭크실(C)에 있는 혼합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홈형상의 배출통로(170)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170)는 상기 혼합유체에 존재하는 냉매가스와 오일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지되는 분지부(173)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통로(170)는 상기 분지부(173)에서 분리된 오일을 크랭크실(C)로 귀환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분지부(173)에서 분리된 냉매가스를 상기 유로(141')로 전달하고,
    상기 배출통로(170)는,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로출구(142a)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C)에 존재하는 혼합유체가 이동하도록 하는 혼합유체유동부(171)와,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분지부(173)와,
    상기 분지부(173)에서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실(C)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혼합유체에서 분리된 오일이 유동하는 오일유동부(175), 그리고
    상기 분지부(173)에서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상기 유로출구(142a)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혼합유체에서 분리된 냉매가스가 유동하는 가스유동부(17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 상기 오일유동부(175) 및 상기 가스유동부(177)는 각각 나선형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의 입구와 상기 오일유동부(175)의 출구는 상기 밸브부(141)에서 상기 크랭크실(C)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체유동부(171)와 분지부(173) 중 어느 일측에는 유로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28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6. 제1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동부(177)의 단부에는 상기 가스유동부(177)와 상기 유로출구(142a)를 연결하는 홈형상의 가스도출부(178)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동부(177)의 단부에는 상기 밸브부(141)를 관통하는 가스도출공(278)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090113301A 2009-11-23 2009-11-23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60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01A KR101607710B1 (ko) 2009-11-23 2009-11-23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01A KR101607710B1 (ko) 2009-11-23 2009-11-23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23A KR20110056823A (ko) 2011-05-31
KR101607710B1 true KR101607710B1 (ko) 2016-03-30

Family

ID=4436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01A KR101607710B1 (ko) 2009-11-23 2009-11-23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7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23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96540A (ja) 圧縮機
JP3855940B2 (ja) 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H11182431A (ja) 圧縮機
KR101607710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451472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EP1447563A2 (en) Piston compressor
KR10159954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541917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6397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41840B1 (ko) 압축기
US20180230986A1 (en) Double-headed swash plate-type compressor
KR101058652B1 (ko) 압축기
KR102303112B1 (ko) 오일 분리기를 구비하는 사판식 압축기
KR101452513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059063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KR20090038145A (ko) 사판식 압축기
KR101166286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65437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31646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599548B1 (ko) 압축기
KR101452499B1 (ko) 압축기
KR101058666B1 (ko) 압축기
KR10191596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40007706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050006483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