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06B1 - 안전 주사기 - Google Patents

안전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06B1
KR101605706B1 KR1020150096352A KR20150096352A KR101605706B1 KR 101605706 B1 KR101605706 B1 KR 101605706B1 KR 1020150096352 A KR1020150096352 A KR 1020150096352A KR 20150096352 A KR20150096352 A KR 20150096352A KR 101605706 B1 KR101605706 B1 KR 10160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needle
plunger
hole
need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장홍선
Original Assignee
김정규
장홍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장홍선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102015009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06B1/ko
Priority to PCT/KR2016/007310 priority patent/WO20170072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통홀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바늘 및 바늘과 연통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 유동홀과 관통홀 사이 위치에 바늘 조립체에 고정되고,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전방 플런저; 전방 플런저의 후방에,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 및 바늘 조립체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플런저; 후방 플런저와 연결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재; 전방 플런저의 전방에 바늘 조립체에 마련되고, 바늘 조립체의 전진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하우징에 대한 고정부재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바늘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를 후퇴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전 주사기{Safety Syringe}
본 발명은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채혈 또는 주사액의 흡입 또는 주입을 위해 사용된다. 최근, 진료행위 시 실수로 발생할 수 있는 찔림 사고로 인한 감염으로부터 시술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주사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종래 주사 바늘에 대한 안전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는, 주사 바늘을 주사 캡에 삽입하여 수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삽입 과정에서 주사 바늘이 뜻하지 않게 시술자의 손을 찌르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주사 바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동이 편리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안전 주사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바늘을 사용상태 및 수납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늘이 수납된 상태에서 바늘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늘의 전진/후퇴 동작 및 시술 동작이 별도의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을 갖고, 중심축과 동축 상에 마련된 관통홀과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바늘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및 관통홀에 마련되며, 바늘이 통과하도록 마련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을 갖고,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편심된 가상의 축 상에 마련된 관통홀 및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바늘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을 갖고, 회전 각도에 따라 통과홀과 관통홀이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밀봉 캡을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바늘을 사용상태 및 수납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늘 조립체를 조작하여,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상태의 바늘을 하우징 외부로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바늘이 하우징 외부로 전진된 상태에서 바늘 조립체를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채혈, 주사액의 흡입 및 주입과 관련한 시술 동작은 별도의 조작 부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밀봉부재를 통해 바늘이 수납된 상태에서 바늘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밀봉 캡을 통해 회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우징의 관통홀을 폐쇄시킴으로써, 바늘이 수납된 상태에서 바늘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또한, 바늘의 전진/후퇴 동작 및 시술 동작이 별도의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봉 캡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의 배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10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100)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주사기(100)는 하우징(110)과 바늘 조립체(120)와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및 조작 부재(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관통홀(113)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관통홀(113)이 마련된 제1 단부(111)와 제1 단부(111)와 반대방향의 제2 단부(112)를 갖는다. 상기 제2 단부(112)는 외부로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하우징(110)은 일 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C)을 갖는다. 일 실시태양으로, 하우징(110)은 중심축(C)과 동축 상에 마련된 관통홀(113) 및 관통홀(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바늘(121)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114)을 갖는다.
또한, 바늘 조립체(120)는 바늘(121) 및 바늘(121)이 장착된 바디(122)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바늘(121)은 중심축(C)과 동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 조립체(120)는 하우징(110) 내에 배치된다. 또한, 바디(122)는 바늘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연통)되는 저장공간(123) 및 상기 저장공간(123)과 연통되는 유동홀(124)을 갖는다. 바늘(121)을 통해 저장공간(123)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고, 반대로 저장공간(123)의 유체는 바늘(12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바늘 조립체(120)가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유동홀(124)을 통해 바늘 조립체(120)의 저장공간(123)의 유체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유동홀(124)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유체는 바늘 조립체(120)의 저장공간(123)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전방 플런저(130)는 유동홀(124)과 관통홀(113) 사이 위치에 바늘 조립체(1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방 플런저(130)는 바늘 조립체(1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플런저(130)는 하우징(110) 내에서 밀봉식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다. 밀봉식이라 함은 전방 플런저(130)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4)이 2개의 분리된 공간(114a, 114b)으로 구획됨을 의미한다. 특히, 전방 플런저(130)의 외주연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전방 플런저(130)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밀봉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링이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관통홀(113)과 전방 플런저(130) 사이 공간을 제1 공간부(114a)로 지칭하고,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사이 공간을 제2 공간부(114b)로 지칭한다.
또한, 후방 플런저(140)는 전방 플런저(130)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사이에 유동홀(124)이 위치한다. 특히, 유동홀(124)은 전방 플런저(130)와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하우징(110)의 제1 단부(111)와 상대적으로 근접한 영역이 전방으로 지칭되고, 제2 단부(112)와 상대적으로 근접한 영역이 후방으로 지칭된다. 또한, 후방 플런저(140)는 하우징(110)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110) 및 바늘 조립체(120)에 각각 활주(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실질적으로, 후방 플런저(140)는 바늘 조립체(120)와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별도의 조작부재(150)에 의하여 후방 플런저(140)는 바늘 조립체(120)에 대하여 독립적/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150)는 후방 플런저(140)와 연결된다. 또한, 조작부재(150)는 하우징(110) 외부(특히, 제2 단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조작부재(150)는 바늘 조립체(12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조작부재(150)는 바늘 조립체(120)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다. 시술자는 바늘 조립체(1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조작부재(150)를 바늘 조립체(120)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킴으로써, 후방 플런저(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 주사기(100)는 고정부재(170) 및 탄성부재(16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70)는 전방 플런저(130)의 전방에 바늘 조립체(120)에 마련된다. 고정부재(170)는 바늘 조립체(120)와 함께 이동되도록 바늘 조립체(12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70)는 바늘 조립체(120)의 전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한편, 본 문서에서, 전진이란 용어는 하우징(110)의 제1 단부(111) 측을 향한 이동을 의미하고, 후퇴란 용어는 하우징(110)의 제2 단부(112) 측을 향한 이동을 의미한다.
또한, 고정부재(170)는 하우징(11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바늘 조립체(120)에 마련된다. 일 실시태양으로, 고정부재(170)는 하우징(110)의 반경방향(x축 방향)으로 압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170)는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이고, 하우징(11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이며,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170)는 압축이 해제된 상태이며, 고정부재(170)가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탄성부재(160)는 하우징(110) 내부(114)에 마련된다. 특히, 탄성부재(160)는 하우징(110)의 제1 공간부(114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탄성부재(160)는 스프링일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160)는 고정부재(17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60)는 하우징(110)에 대한 고정부재(17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바늘(121)이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120)를 후퇴시키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시술자가 바늘 조립체(120)를 전진시키면, 바늘(121)은 관통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탄성부재(160)는 압축된다. 이후, 도 1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7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160)는 바늘(121)이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120)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한다.
하우징(110)에는 고정부재(170)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홀(115)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70)가 바늘 조립체(120)와 함께 하우징(110) 내에서 제1 단부(111)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홀(115)을 만나게 되면, 고정부재(170)의 압축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고정부재(170)는 하우징(1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팽창하게 되고, 그 결과, 고정부재(170)는 일부 영역이 고정홀(115) 내에 삽입된다. 이때, 바늘 조립체(120)는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특히, 고정홀(115)은 바늘(121)이 관통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고정부재(170)가 삽입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늘 조립체(120)의 전진/후퇴 동작은 후방 플런저(140)의 이동 동작과 개별적/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주사기(100)는 고정부재(170)가 고정홀(115)에 삽입되고, 조작부재(150)가 바늘 조립체(120)를 따라 전진 또는 후퇴되면,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사이 공간의 체적이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사이 공간(114b)의 체적이 증가하면, 외부 유체(혈액 또는 주사액)는 바늘(121)과 저장공간(123) 및 유동홀(124)을 통해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사이 공간(114b)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사이 공간(114b)의 체적이 감소하면, 전방 플런저(130)와 후방 플런저(140) 사이 공간의 유체는 유동홀(124)과 저장공간(123) 및 바늘(12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늘이 하우징(110) 내부로 후퇴한 경우, 외부 환경과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전 주사기(100)는 하우징(110)의 관통홀(113)에 마련되며, 바늘(121)이 통과하도록 마련된 밀봉 부재(180)를 포함한다. 또한, 밀봉 부재(180)는 밀봉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실시태양으로, 실리콘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18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 실시태양으로, 하우징(110)의 내벽에 접촉하는 베이스부(181) 및 베이스부(181)로부터 관통홀(113) 내부로 연장된 링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2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봉 캡(290)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200)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안전 주사기(200)는 하우징(210)과 밀봉 캡(29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10)과 동일하고, 관통홀(213)의 형성 위치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C)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210)은 중심축(C)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편심된 가상의 축(D) 상에 마련된 관통홀(213) 및 관통홀(2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바늘(221)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214: 214a, 214b)을 갖는다.
상기 밀봉 캡(290)은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밀봉 캡(290)은 하우징(210)의 제1 단부 측에 장착된다. 또한, 밀봉 캡(290)은 관통홀(213)을 둘러싸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밀봉 캡(290)은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291)을 갖는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밀봉 캡(290)은 회전 각도에 따라 통과홀(291)과 관통홀(213)이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밀봉 캡(290)은 회전축(292)이 하우징(210)의 중심축(C)과 일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통과홀(291)과 관통홀(213)이 동축 상에 위치된 경우에만 바늘(221)이 하우징(2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바늘(221)이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통과홀(291)이 관통홀(213)과 동축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밀봉 캡(290)을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환경에 대한 밀봉이 가능하다.
한편, 안전 주사기(200)은 바늘 조립체(220)와 전방 플런저(230)와 후방 플런저(240) 및 조작부재(250)를 포함한다.
바늘 조립체(220)는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늘 조립체(220)는 바늘(221)과 바디(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늘(221)은 관통홀(213)과 동축 상에 마련된다. 또한, 바디(222)는 바늘(221)과 연통되는 저장공간(223) 및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224)을 갖는다. 한편, 바디(222)는 일부 영역이 중심축(C)과 동축 상에 마련된다. 또한, 바디(222)는 일부 영역이 관통홀(213)과 동축 상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바늘 조립체(220)의 바디(222)는 하우징(210)의 중심축(C) 방향을 따라 적어도 2회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방 플런저(230)는 유동홀(224)과 관통홀(213) 사이 위치에 바늘 조립체(220)에 고정된다. 또한, 전방 플런저(230)는 중심축(C)과 동축 상에 마련된다. 또한, 전방 플런저(230)는 바늘 조립체(2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플런저(230)는 하우징(210) 내에서 밀봉식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다. 특히, 전방 플런저(230)의 외주연은 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전방 플런저(230)와 하우징(210) 사이에는 밀봉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링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관통홀(213)과 전방 플런저(230) 사이 공간을 제1 공간부(214a)로 지칭하고, 전방 플런저(230)와 후방 플런저(240) 사이 공간을 제2 공간부(214b)로 지칭한다.
또한, 후방 플런저(240)는 전방 플런저(230)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전방 플런저(230)와 후방 플런저(240) 사이에 유동홀(224)이 위치한다. 특히, 유동홀(224)은 전방 플런저(230)와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방 플런저(240)는 하우징(210)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210) 및 바늘 조립체(220)에 각각 활주(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실질적으로, 후방 플런저(240)는 바늘 조립체(220)와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별도의 조작부재(250)에 의하여 후방 플런저(240)는 바늘 조립체(220)에 대하여 독립적/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250)는 후방 플런저(240)와 연결된다. 또한, 조작부재(250)는 하우징(210) 외부(특히, 제2 단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조작부재(250)는 바늘 조립체(22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조작부재(250)는 바늘 조립체(220)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다. 시술자는 바늘 조립체(2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조작부재(250)를 바늘 조립체(220)에 대하여 전진(도 6 참조) 및 후진시킴으로써, 후방 플런저(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 주사기(200)는 고정부재(270) 및 탄성부재(26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70)는 전방 플런저(230)의 전방에 바늘 조립체(220)에 마련된다. 고정부재(270)는 바늘 조립체(220)와 함께 이동되도록 바늘 조립체(22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70)는 바늘 조립체(220)의 전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우징(210)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재(270)는 하우징(21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바늘 조립체(220)에 마련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270)는 하우징(210)의 반경방향으로 압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재(270)는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이고, 하우징(21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이며,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270)는 압축이 해제된 상태이며, 고정부재(270)가 하우징(21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탄성부재(260)는 하우징(210) 내부(214)에 마련된다. 특히, 탄성부재(260)는 하우징(210)의 제1 공간부(214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탄성부재(260)는 스프링일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260)는 고정부재(27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60)는 하우징(210)에 대한 고정부재(27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바늘(221)이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220)를 후퇴시키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바늘 조립체(220)를 전진시키면, 바늘(221)은 관통홀(213)을 통해 하우징(21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탄성부재(260)는 압축된다. 이후,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7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260)는 바늘(221)이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220)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고정부재(270)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홀(215)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270)가 바늘 조립체(220)와 함께 하우징(210) 내에서 제1 단부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홀(215)을 만나게 되면, 고정부재(270)의 압축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고정부재(270)는 하우징(2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팽창하게 되고, 그 결과, 고정부재(270)는 일부 영역이 고정홀(215) 내에 삽입된다. 이때, 바늘 조립체(220)는 하우징(210)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늘 조립체(220)의 전진/후퇴 동작은 후방 플런저(240)의 이동 동작과 개별적/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주사기(200)는 고정부재(270)가 고정홀(215)에 삽입되고, 조작부재(250)가 바늘 조립체(220)를 따라 전진 또는 후퇴되면, 전방 플런저(230)와 후방 플런저(240) 사이 공간(214b)의 체적이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부재(250)를 통해 상기 공간의 체적을 조절시킴으로써 유체의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주사기(300)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300)의 배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안전 주사기(300)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주사기(300)는 관통홀(313)을 갖는 하우징(310)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바늘 조립체(320)를 포함한다. 바늘 조립체(320)는 바늘(321) 및 바늘(321)과 연통되는 저장공간(323)과 저장공간(323)과 연통되는 유동홀(324)을 갖는 바디(322)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 주사기(300)는 유동홀(325)과 관통홀(313) 사이 위치에 하우징(310) 내에 밀봉식으로 고정되고, 바늘 조립체(320)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전방 플런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플런저(330)는 하우징(310) 내에 밀봉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늘 조립체(320)는 전방 플런저(330)를 관통한 상태에서, 전방 플런저(33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주사기(300)는 전방 플런저(330)의 후방에, 하우징(310)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310) 및 바늘 조립체(320)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플런저(340)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 주사기(300)는 후방 플런저(340)와 연결되며 하우징(310)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35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재(350)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조작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주사기(300)는 바늘 조립체(320)를 관통홀(313) 측으로 전진 또는 관통홀(313)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누름 버튼(371)을 포함한다.
또한, 안전 주사기(300)는 바늘 조립체(320)와 연결되며, 누름 버튼(371)의 누름 동작에 기초하여 바늘 조립체(320)의 전진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바늘 조립체(320)의 전진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추력부(372)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 주사기(300)는 바늘 조립체(320)의 전진 상태가 해제되면, 바늘(321)이 하우징(3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320)를 후퇴시키기 위한 탄성부재(360)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누름 버튼(371)에 의해, 바늘(321)이 하우징(310)의 관통홀(313) 외부로 노출되면, 누름버튼(371)과 추력부(372)의 선택적 맞물림 동작에 의하여 바늘 조립체(320)의 전진상태가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누름 버튼(271)과 추력부(372)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볼펜과 같은 필기류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누름 버튼과 추력부(thrust part)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력부(372)는 추력관(374)(thrust tube) 및 추력관(374)을 전진/후퇴시키는 돌출부를 갖는 추력장치(373)(thrust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추력부(372)는, 누름 버튼(371)의 누름 동작에 따라, 추력관(374)과 추력장치(373)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추력관(374) 및 추력장치(373)는 선택적 맞물림을 통해 전진 고정 및 후진 고정이 가능한 원리를 기초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추력관(374)은 상기 누름 버튼(371)과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안전 주사기(300)는 바늘 조립체(320)의 전진상태(320)가 고정되고, 조작부재(350)가 전진 또는 후퇴되면, 전방 플런저(330)와 후방 플런저(340) 사이 공간의 체적이 조절되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전방 플런저(330)와 후방 플런저(340) 사이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면, 외부 유체는 바늘(321)과 저장공간(323) 및 유동홀(324)을 통해 전방 플런저(330)와 후방 플런저(340) 사이 공간(314b)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전방 플런저(330)와 후방 플런저(340) 사이 공간(314b)의 체적이 감소하면, 전방 플런저(330)와 후방 플런저(340) 사이 공간의 유체는 유동홀(324)과 저장공간(323) 및 바늘(32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조작부재(350)는 추력부(372)를 관통하여 하우징(31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바늘 조립체(320)와 추력부(372) 및 누름 버튼(371)은 동축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추력부(372)는 하우징(310) 내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350)는 바늘 조립체(320)와 이격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조작부재(350)는 추력부(372)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조작부재(350)는 조작시 누름버튼(371)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추력부(372)의 둘레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전 주사기는 관통홀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바늘 및 바늘과 연통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와, 유동홀과 관통홀 사이 위치에 하우징 내에 밀봉식으로 바늘 조립체에 마련된 전방 플런저와, 전방 플런저의 후방에,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 및 바늘 조립체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플런저 및 후방 플런저와 연결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플런저 및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과 바디의 저장공간은 유동홀을 통해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늘 조립체 및 조작부재를 이동시킴에 따라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체적이 변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100, 200, 300: 안전 주사기
110: 하우징
120: 바늘 조립체
130: 전방 플런저
140: 후방 플런저
150: 조작부재
160: 탄성부재
170: 조작부재
180: 밀봉 부재
190: 밀봉 캡

Claims (20)

  1.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을 갖고, 중심축과 동축 상에 마련된 관통홀과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바늘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관통홀에 마련되며, 바늘이 통과하도록 마련된 밀봉 부재;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중심축과 동축 상에 마련된 바늘 및 바늘과 연통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
    유동홀과 관통홀 사이 위치에 바늘 조립체에 고정되고,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전방 플런저;
    전방 플런저의 후방에,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 및 바늘 조립체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플런저; 및
    후방 플런저와 연결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실리콘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안전 주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로부터 관통홀 내부로 연장된 링부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플런저의 전방에 바늘 조립체에 마련되고, 바늘 조립체의 전진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하우징에 대한 고정부재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바늘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를 후퇴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이 마련된 안전 주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가 고정홀에 삽입되고, 조작부재가 전진 또는 후퇴되면,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체적이 조절되도록 마련된 안전 주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면, 외부 유체는 바늘과 저장공간 및 유동홀을 통해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안전 주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체적이 감소하면,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유체는 유동홀과 저장공간 및 바늘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된 안전 주사기.
  10.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을 갖고, 중심축과 동축 상에 마련된 관통홀과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바늘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관통홀에 마련되며, 바늘이 통과하도록 마련된 밀봉 부재;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바늘 및 바늘과 연통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
    유동홀과 관통홀 사이 위치에 하우징 내에 밀봉식으로 고정되고, 바늘 조립체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전방 플런저;
    전방 플런저의 후방에,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 및 바늘 조립체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플런저; 및
    후방 플런저와 연결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바늘 조립체를 관통홀 측으로 전진 또는 관통홀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누름 버튼;
    바늘 조립체와 연결되며, 누름 버튼의 누름 동작에 기초하여 바늘 조립체의 전진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바늘 조립체의 전진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추력부; 및
    바늘 조립체의 전진 상태가 해제되면, 바늘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를 후퇴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바늘 조립체의 전진상태가 고정되고, 조작부재가 전진 또는 후퇴되면,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체적이 조절되도록 마련된 안전 주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면, 외부 유체는 바늘과 저장공간 및 유동홀을 통해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안전 주사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체적이 감소하면, 전방 플런저와 후방 플런저 사이 공간의 유체는 유동홀과 저장공간 및 바늘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된 안전 주사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조작부재는 추력부를 관통하여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안전 주사기.
  16.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을 갖고,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편심된 가상의 축 상에 마련된 관통홀 및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바늘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을 갖고, 회전 각도에 따라 통과홀과 관통홀이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밀봉 캡;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관통홀과 동축 상에 마련된 바늘 및 일부 영역이 중심축과 동축 상에 마련되고, 바늘과 연통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
    유동홀과 관통홀 사이 위치에 바늘 조립체에 고정되고,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전방 플런저;
    전방 플런저의 후방에, 하우징 내에서 밀봉식으로 하우징 및 바늘 조립체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플런저; 및
    후방 플런저와 연결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밀봉 캡은 회전축이 하우징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장착된 안전 주사기.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전방 플런저의 전방에 바늘 조립체에 마련되고, 바늘 조립체의 전진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하우징에 대한 고정부재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바늘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바늘 조립체를 후퇴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바늘 조립체의 바디는 하우징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2회 구부러진 안전 주사기.
KR1020150096352A 2015-07-07 2015-07-07 안전 주사기 KR10160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52A KR101605706B1 (ko) 2015-07-07 2015-07-07 안전 주사기
PCT/KR2016/007310 WO2017007234A1 (ko) 2015-07-07 2016-07-06 안전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52A KR101605706B1 (ko) 2015-07-07 2015-07-07 안전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706B1 true KR101605706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352A KR101605706B1 (ko) 2015-07-07 2015-07-07 안전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80B1 (ko) * 2016-04-11 2016-09-30 김정규 주사기 결합형 안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KR20200026552A (ko) * 2018-09-03 2020-03-11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안전주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8359B2 (ja) * 2000-07-17 2010-12-15 テルモ株式会社 液体注入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8359B2 (ja) * 2000-07-17 2010-12-15 テルモ株式会社 液体注入器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80B1 (ko) * 2016-04-11 2016-09-30 김정규 주사기 결합형 안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WO2017179813A1 (ko) * 2016-04-11 2017-10-19 김정규 주사기 결합형 안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CN107921222A (zh) * 2016-04-11 2018-04-17 金桢窥 注射器结合型安全组装体及包括其的安全注射器
KR20200026552A (ko) * 2018-09-03 2020-03-11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안전주사기
KR102161219B1 (ko) * 2018-09-03 2020-09-29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안전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33603A5 (ko)
ES2728753T3 (es) Jeringa bloqueable y método de montaje de la misma
ES2970240T3 (es) Jeringa precargada con característica de fuerza de ruptura
ES2749508T3 (es) Jeringa de seguridad para recogida de sangre que tiene una aguja retráctil manualmente
KR101661580B1 (ko) 주사기 결합형 안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기
JP2018519023A5 (ko)
JP6295059B2 (ja) 留置針
JP2018020195A5 (ko)
ES2740642T3 (es) Dispositivo de inyección
JP2016533214A5 (ko)
RU201415356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хранения и/или обработки крови либо других веществ человеческого или живот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оединений крови или други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ES2531366T3 (es) Empuñadura de seguridad para bisturí
RU2018108381A (ru) Медицинское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чищающей камерой
RU2010154095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втягиваемой канюлей
KR101605706B1 (ko) 안전 주사기
JP6643901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6211790B2 (ja) 注射器
JP2017522928A5 (ko)
RU2019113034A (ru)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шприц-ручка,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введения нескольких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ES2968636T3 (es) Dispositivo médico con accesorio frontal deslizante y aguja retráctil
JP2005312895A (ja) 注射器
JP2017510326A (ja) 排出装置
KR101599499B1 (ko) 안전 주사기
KR101579849B1 (ko) 안전 주사기
ES2881961T3 (es) Dispositivo médico mejorado con aguja de seguridad elásticamente retrác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