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289B1 -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 Google Patents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289B1
KR101602289B1 KR1020150095768A KR20150095768A KR101602289B1 KR 101602289 B1 KR101602289 B1 KR 101602289B1 KR 1020150095768 A KR1020150095768 A KR 1020150095768A KR 20150095768 A KR20150095768 A KR 20150095768A KR 101602289 B1 KR101602289 B1 KR 10160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ipe
micro
sludge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옥
이남국
Original Assignee
대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01F3/04248
    • B01F7/16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B01F2215/005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공정을 통해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미세기포가 조대기포가 되지 않도록 고르게 분사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슬러지의 부상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APPARATUS FOR PRESSURE-FLOATING USING REVERSE VORTEX MICRO-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슬러지를 부상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2012년부터 상수원 보호구역이나 4대강 본류로 유입되는 지천 부근에 있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크게 강화하였다.
강화된 방류수 수질기준은 용수 사용 및 공공수역의 생태계 보전에 중점을 두고 부영양화 유발의 주요인자인 영양염류 총인과 유기물에 대한 기준을 대폭 강화하였다.
방류수수질기준 강화에 따라 기존의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 공정(BNR process)으로는 T-P제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처리공정 후단에 용존성 인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적 처리방법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인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확실하고 경제적인 방법은 응집에 의한 고액분리기술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응집 반응 후 고액분리를 하는 방법으로는 침전, 부상, 여과 등의 방법이 주로 적용된다.
이중 부상법은 하수 및 폐수를 처리할 때, 수중의 고형물 입자를 수면에 부상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며, 중력식 부상과 기포식 부상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중력식 부상은 물보다 밀도가 작은 기름 등의 유분에 한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부상이라 함은 주로 기포식 부상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물보다 밀도가 높아서 침강하는 입자라도 기포를 부착시키게 되면 입자를 부상 분리할 수 있는 바, 상기 기포식 부상법은 분리하고자 하는 입자에 기포를 부착시켜 부상속도를 현저하게 높이는 방법이다.
이렇게 제거하고자 하는 현탁입자에 충분한 기포를 부착시키면 부상분리속도가 증가되어 현탁입자의 제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많은 하수 및 폐수처리의 고액분리는 주로 중력 침강에 의한 분리를 주로 이용하여 왔다.
이러한 이유는 부상분리에 있어서 미세기포를 고르게 분포시키는 것이 중요하나, 미세 기포를 만들고 분포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등록특허 [10-0767724]에서는 슬러지 부상분리를 통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767724](등록일자: 2007년10월10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가지 공정을 통해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미세기포가 조대기포가 되지 않도록 고르게 분사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슬러지의 부상분리가 가능한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는, 외부 펌프로부터 펌핑된 원수가 유입되며,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를 투입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한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원수와 약품을 혼합시키는 혼화조교반기(110),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혼화조유입측벽(120) 및 원수가 유출되는 측에 형성되며 원수가 통과 가능한 홀이 상부에 구비된 혼화조유출측벽(130)을 포함하는 혼화조(100); 상기 혼화조(100)에서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와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며, 2차응집제를 투입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한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원수와 약품을 혼합시키는 응집조교반기(210), 상기 혼화조유출측벽(130)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응집조유입측벽(220) 및 원수가 유출되는 측에 형성되며 원수가 통과 가능한 홀이 상부에 구비된 응집조유출측벽(230)을 포함하는 응집조(200); 상기 응집조(200)에서 2차응집제까지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며, 바닥에 구비되어 미세공기가 투입되는 미세기포분사구(310), 응집조유출측벽(230)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부상조유입측벽(320) 및 상기 부상조유입측벽(32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부상조유출측벽(330)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로부터 분사된 미세기포에 의해 응집된 슬러지를 수표면으로 부상시키는 부상조(300);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의 높이가 수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슬러지경사부(410)를 포함하는 슬러지조(400); 상기 부상조(300)의 수면 상부에 상기 슬러지조(4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원수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축(510), 상기 회전축(510)의 양측에 구비된 스프라켓(520), 원수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일직선 상에 위치한 스프라켓(520)들을 감싸도록 연결된 체인(530), 및 상기 체인(530)에 상기 회전축(510)과 수평하게의 연결된 스크레이퍼(540)를 포함하는 슬러지스크레이퍼부(500); 상기 슬러지조(400)의 하부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되며, 슬러지조(400)의 하부를 제외한 하면 및 측면이 막혀있는 유출조(600); 상기 유출조(60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처리수 배출관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호퍼 형상의 처리수배출부(710)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배출부(7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밸브(700); 및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와 연결되어, 펌프를 이용하여 생성한 미세기포를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에 보내주는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임펠러가 2 개 이상인 다단펌프(910);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920);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 중, 상기 공기유입부(920)가 연결된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형성된 확관부(930); 및 상기 다단펌프 토출배관과 연결된 미세기포발생탱크(950);를 포함하되, 상기 다단펌프 토출배관을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편심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기유입부(92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921); 상기 공기유입구(921)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구(921)를 개폐 및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유량조절밸브(922); 상기 공기유입구(921)로 유입된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공기유량계(923); 및 상기 공기유입부(920)의 배관 상에 구비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9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는 반구형상과 원통형상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상 부분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프렌지가 양측으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앙이 일정 크기로 막혀있으며, 프렌지 사이에 구비되는 다공판(952); 상기 다공판(952)과 결합된 미세기포충돌떨림판(953); 및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중심 축 상에 상기 다공판(95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토출구가 형성된 미세기포토출배관(954);을 포함하되, 상기 다공판(952)은 상기 미세기포토출배관(954) 크기로 중앙이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토출 측 배관 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분기관(955); 및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각각의 배관마다 장착된 미세기포량조절밸브(9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각각의 배관마다,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배관과 유입 및 유출 측 배관의 크기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티관(957)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는 상기 부상조유출측벽(330)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응집조유출측벽(230)은 상기 응집조(200)에 유입되는 원수 양의 변동에 따라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웨어판(231); 및 낙하 부딪침을 업애기 위해, 상기 수위조절웨어판(231)에 경사지도록 결합된 미끄럼경사판(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상조(300)는 상기 부상조유출측벽(330)으로부터 상기 슬러지조(400) 사이의 바닥에 호퍼 형상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침강부(340); 및 상기 침강부(340)의 바닥에 설치되며, 배관의 면 상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 침강부드레인배관(3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침강부드레인배관(350)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유체의 흐름 방향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부(500)는 상기 스크레이퍼(540) 이동경로를, 수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다가, 슬러지경사부(410)와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경사부(410)와 평행하게 회전축(510)이 설치된 구간과, 수면과 평행하게 회전축(510)이 설치된 구간을 구비하도록 회전축(5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텔레스코픽밸브(700)의 처리수배출부(710)는 처리수 배출관의 외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에 의하면, 조대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관부, 다단펌프를 이용함으로써, 미세기포를 2 단계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공기 유입부에 체크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공기흡입 말단부를 부상조 수위와 관계 없이 다단펌프와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어 일률적으로 미세기포가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기포발생탱크에서 미세기포충돌떨림판, 다공판, 미세기포토출배관을 거치면서 미세기포를 추가 4 단계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분기관 및 미세기포량조절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배관 내의 유속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미세기포 투입관마다 미세기포 투입량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상조유출측벽의 전단 및 후단에 미세기포분사구를 설치함으로써, 무거운 슬러지가 침강되어 처리수와 같이 흘러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조절웨어판 및 미끄럼경사판을 설치함으로써, 응집된 플럭이 깨지거나, 거품(스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강부 및 침강부드레인배관을 설치함으로써, 바닥의 호퍼에 침강된 무거운 슬러지의 배수 시 배수되는 처리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슬러지경사부와 평행하게 회전축이 설치된 구간과, 수면과 평행하게 회전축이 설치된 구간을 구비함으로써, 스크레이퍼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텔레스코픽밸브의 처리수배출부가 처리수 배출관의 외면에 연결됨으로써, 유출면적을 크게 하고, 필요시 텔레스코픽밸브 다수개로 구성하여, 부상조 수위변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슬러지스크레퍼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미세기포발생펌프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도 3의 미세기포발생탱크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도 3의 공기유입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도 1의 미세기포분사구와 연결된 배관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1의 응집조유출측벽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도 1의 텔레스코픽밸브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러지스크레퍼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미세기포발생펌프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미세기포발생탱크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공기유입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미세기포분사구와 연결된 배관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8은 도 1의 응집조유출측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텔레스코픽밸브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는 혼화조(100), 응집조(200), 부상조(300), 슬러지조(400), 슬러지스크레이퍼부(500), 유출조(600), 텔레스코픽밸브(700) 및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를 포함한다.
혼화조(100)는 혼화조교반기(110), 혼화조유입측벽(120) 및 혼화조유출측벽(130)을 포함하되, 외부 펌프로부터 펌핑된 원수가 유입되며,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가 투입된다.
여기서, 원수는 하수, 폐수 등 최초 유입되는 유입수를 말하고, PH조성제는 적정 PH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가성소다(NaOH)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차응집제는 1차 응집에 사용되는 약제로 명반(ALUM)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원수,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각각의 배관 라인이 설치되어 펌프 등을 가동시켜, 각각의 원수,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를 상기 혼화조(100)에 투입시킬 수 있다.
혼화조교반기(110)는 수면 아래에 위치한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원수와 약품을 혼합시킨다.
즉, 상기 혼화조(100)는 하폐수와 약품을 혼화시키는 수조로 혼화조 교반기를 고속으로 회전하며 원수와 약품을 섞는다.
혼화조유입측벽(120)은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혼화조유출측벽(130)은 원수가 유출되는 측에 형성되며 원수가 통과 가능한 홀이 상부에 구비된다.
즉,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은 하부로 원수가 유입되며, 원수가 유출되는 측 벽은 상부로 원수가 유출된다. 이는 원수와 약품(PH조성제, 및 1차응집제)을 투입하였을 때, 원수와 약품이 혼화된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응집조(200)는 응집조교반기(210), 응집조유입측벽(220) 및 응집조유출측벽(230)을 포함하되, 상기 혼화조(100)에서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와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며, 2차응집제가 투입된다.
여기서, 2차응집제는 2차 응집에 사용되는 약제로 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응집조(200)의 응집조교반기(210)는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러지가 순두부 뭉치듯이 응집되는 것을 돕기 위함이며, 1차 고액분리를 하는 과정이다.
응집조교반기(210)는 수면 아래에 위치한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원수와 약품을 혼합시킨다.
이때, 응집조교반기(210)에 장착된 임펠러는, 상기 혼화조교반기(110)에 장착된 임펠러에 비해 큰 임펠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조유입측벽(220)은 상기 혼화조유출측벽(130)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응집조유출측벽(230)은 원수가 유출되는 측에 형성되며 원수가 통과 가능한 홀이 상부에 구비된다.
즉,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은 하부로 원수가 유입되며, 원수가 유출되는 측 벽은 상부로 원수가 유출된다. 이는 원수와 약품(2차응집제)을 투입하였을 때, 원수와 약품이 혼화된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상조(300)는 미세기포분사구(310), 부상조유입측벽(320) 및 부상조유출측벽(330)을 포함하되, 상기 응집조(200)에서 2차응집제까지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며,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로부터 분사된 미세기포에 의해 응집된 슬러지를 수표면으로 부상시키킨다.
상기 부상조(300)는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부상시킨다.
미세기포분사구(310)는 바닥에 구비되어 미세공기가 투입된다.
부상조유입측벽(320)은 응집조유출측벽(230)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부상조유출측벽(330)은 상기 부상조유입측벽(32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즉,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은 하부로 원수가 유입되며, 원수가 유출되는 측 벽은 상부로 원수가 유출된다. 이는 투입된 약품에 의해 슬러지가 생성되면 미세기포에 의해 슬러지를 부상시키고, 부상된 슬러지만 통과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부상조유출측벽(330)은 상부가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으로 일정 각도 꺽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을 줄이기 위함이다.
슬러지조(400)는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의 높이가 수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슬러지경사부(410)를 포함한다.
즉,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의 높이를 수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크레이퍼로 슬러지를 걷어내어 상기 슬러지조(400)에 넣음으로써, 원수가 상기 슬러지조(400)로 넘어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슬러지가 제거된 원수는 상기 슬러지조(400) 하부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조로 이동된다.
상기 슬러지조(400)에 걷어낸 슬러지는 탈수과정을 거쳐 외부로 반출되나, 탈수하기 전에 보내지는 임시 저장소인 슬러지저류조(800)를 거쳐 탈수과정으로 넘길 수 있다. 이는, 적은양의 슬러지를 탈수하는 것은 에너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적정량의 슬러지가 모인 후 탈수과정으로 넘기기 위함이다. 상기 슬러지저류조(800)에 저장된 슬러지를 장 시간 방치하면 고액 분리 상태로 남아있어 펌프를 이용하여 탈수과정으로 넘기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교반기를 이용하여, 고액분리된 슬러지와 원수를 혼화시켜 펌프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슬러지스크레이퍼부(500)는 회전축(510), 스프라켓(520), 체인(530) 및 스크레이퍼(540)를 포함하되, 상기 부상조(300)의 수면 상부에 상기 슬러지조(4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전축(510)은 원수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스프라켓(520)은 상기 회전축(510)의 양측에 구비된다.
체인(530)은 원수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일직선 상에 위치한 스프라켓(520)들을 감싸도록 연결된다.
스크레이퍼(540)는 상기 체인(530)에 상기 회전축(510)과 수평하게의 연결된다.
즉, 상기 스크레이퍼(540)는 상기 부상조(300)에 부상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조(400)로 걷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체인(530)을 스프라켓(520)에 연결시키고, 스프라켓(520)을 회전시킴으로써, 체인(530)에 연결된 스크레이퍼(540)가 타원 형상으로 회전하면서 부상조(300)에 부상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조(400)로 걷어낸다.
유출조(600)는 상기 슬러지조(400)의 하부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되며, 슬러지조(400)의 하부를 제외한 하면 및 측면이 막혀있다.
상기 유출조(600)로 흘러들어온 원수는 슬러지가 제거된 원수이며, 슬러지가 제거된 원수를 처리수라 하고, 처리수를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처리수가 하천 등에 방류하기 적절한 수질인 경우 여과수 라고도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는 방류 전에 최종 단계에도 사용 가능하다.
텔레스코픽밸브(700)는 상기 유출조(60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처리수 배출관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호퍼 형상의 처리수배출부(710)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배출부(7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텔레스코픽밸브(700)는 상기 유출조(600)에 저장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텔레스코픽밸브(700)의 처리수배출부(710)는 상기 유출조(6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처리수배출부(710)의 상부로 수면이 올라가게 되면 상기 유출조(600) 상부의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배출부(710)로 유입되며, 상기 처리수배출부(710)와 연결된 배관을 따라 외부로 방출된다.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와 연결되어, 펌프를 이용하여 생성한 미세기포를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에 보내준다.
여기서, 미세기포는 30 미크론 이하의 기포를 말하며, 10미크론 이하의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10미크론 이하의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분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다단펌프(910), 공기유입부(920), 확관부(930) 및 미세기포발생탱크(950);를 포함하되, 상기 다단펌프의 토출측 배관을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편심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미세기포발생탱크의 상부는 약 10mm이상의 기포가 뭉쳐져 상부에 모이게 되어, 운전중에 간헐적으로 뿜어져 나오고, 특히, 운전시작, 운전정지 할 때 일시적으로 뿜어져 나오므로, 어렵게 부상기킨 슬러지를 깨는 문제점이 있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는 다단펌프의 토출측 배관을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편심에 연결함으로써, 원심력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평상시에 미세기포발생탱크 상부에 큰 기포가 뭉치거나, 잔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편심에 연결한다 함은 중심축에서 벗어나 어느 한 쪽으로 쏠려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도 3 내지 도 4 참조)
다단펌프(910)는 임펠러가 2 개 이상이며, 다단볼류트펌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다단펌프(910)는 평상시 공기를 흡입하므로 가압펌프 내부에 잔여공기가 있어 펌핑 시작할 때 진동현상(케비테이션 현상) 및 펌핑 불능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펌프 상부에 자동에어밴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920)는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다.
확관부(930)는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 중, 상기 공기유입부(920)가 연결된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형성된다.
다단펌프(910)의 흡입측 배관에 형성된 확관에 의한 난기류(와류)가 공기와 접촉하며 공기가 흩어지게 됨으로써, 1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미세기포의 크기를 더욱 작게 만들기 위해, 다단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흩어짐으로써, 2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미세기포발생탱크로 유입되기 전에 2 단계의 미세기포 발생 단계를 거치게 된다.
미세기포발생탱크(950)는 상기 다단펌프 토출배관과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미세기포발생탱크(950)는 반구형상과 원통형상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상 부분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프렌지가 양측으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다공판(952), 미세기포충돌떨림판(953) 및 미세기포토출배관(954)을 포함하되, 상기 다공판(952)은 상기 미세기포토출배관(954) 크기로 중앙이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공판(952)은 중앙이 일정 크기로 막혀있으며, 프렌지 사이에 구비된다.
미세기포발생탱크(950) 내의 역와류를 보호하기 위하여 기포분리를 위한 다공판(952) 중앙을 토출배관 크기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미세기포충돌떨림판(953)은 상기 다공판(952)과 결합된다.
미세기포토출배관(954)은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중심 축 상에 상기 다공판(95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토출구가 형성된다.
미세기포발생탱크(950)로 유입되기 전에 2 단계의 미세기포 발생 단계를 거친 유체는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편심으로 유입됨으로써, 싸이클론 현상으로 회전하게 되고, 원심력 와류 발생시킨 상태로 전진 후, 미세기포충돌떨림판(953)과 충돌하게 되며, 충돌 떨림에 의해 3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유체가 다공판(952)을 통과하면서 4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끝까지 이동한 유체는 더 이상 전진이 불가능하여, 미세기포토출배관(954)의 외측을 타고 이동하게 됨으로써, 역 와류가 발생되어 5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미세기포토출배관(954)이 탱크의 중심축을 따라 중앙에 위치한 다공판(952) 후단까지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미세기포토출배관(954)의 유입구까지 이동한 유체는 또다시 방향을 전환하며, 미세기포토출배관(954)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미세기포토출배관(954)이 미세기포발생탱크(950)에 비해 좁아 속도가 빨라지게 되므로 6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1차 미세기포부터 6차 미세기포는 조대기포가 남아있다면 남아있는 조대기포를 미세기포로 만들 수 있는 단계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조대기포는 30 미크론 초과의 기포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공기유입부(920)는 공기유입구(921), 공기유량조절밸브(922), 공기유량계(923) 및 체크밸브(92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921)는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유량조절밸브(922)는 상기 공기유입구(921)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구(921)를 개폐 및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유량계(923)는 상기 공기유입구(921)로 유입된 공기의 유량을 측정한다.
체크밸브(924)는 상기 공기유입부(920)의 배관 상에 구비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미세기포의 공급원인 공기(Air)를 흡입하기 위하여, 공기흡입 말단부는 부상조 수위보다 약 1m 공기배관을 높게 설치하여 하.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데, 그로 인해 가압펌프가 공기를 흡입할 때 약 3.5m 높이의 공기배관에 채워져 있는 하.폐수를 먼저 흡입하고, 공기를 흡입하므로 공기의 흡입량이 불균일하여, 미세기포의 크기가 불규칙하게 발생 또는 미세기포가 아예 없어지고 조대기포만 생성되는 형상이 있어 수질처리 성능에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압력손실이 작은 역류방지 밸브인 체크밸브(924)를 부착하여 공기배관의 공기흡입 말단부를 부상조 수위와 관계 없이 다단펌프(910)와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미세기포 발생을 일률적으로 발생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체크밸브는 가압펌프의 압력손실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작은 압력에도 열릴 수 있도록 특별 제조한 것으로 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분기관(955) 및 미세기포량조절밸브(9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관(955)은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토출 측 배관 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며,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분기관(955)은 일반 배관에 결합된 배관이 될 수도 있으며, T 자형 배관을 이용하여 분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분기관(955)은 전체 배관 내의 유속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모든 분기관의 단면적 합이 분기되지 전 배관의 단면적과 유사하도록 배관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기포량조절밸브(956)는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각각의 배관마다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미세기포 투입관마다 미세기포 투입량을 탄력적으로 운용하기 한 것이다.
상기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각각의 배관마다,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배관과 유입 및 유출 측 배관의 크기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티관(957)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속 절반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이는, 부상조(300) 하부에 미세기포를 분사하는 미세기포분사구(310)의 관경이 작아지면 유속이 빨라지게 됨으로써, 미세기포가 물속에서 다시 합쳐지는 역효과가 발생될 수 있으며, 분출된 곳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생성된 미세기포를 분사유속을 줄이고, 부상조 전폭에 조용히 번져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티관(957)의 사용 수량을 늘리면 늘릴수록 유속을 느리게 하고, 부상조 전폭에 고르게 미세기포를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는 상기 부상조유출측벽(330)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기포 투입을 부상조(300)의 원수 유입부에 국한하여 투입하면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된 슬러지가 부상조(300) 중앙부에서는 통과면적이 약 3.5배 커짐에 따라 유속이 그만큼 느려지며, 약간 무거운 슬러지는 침강되면서 처리수와 같이 흘러나가는 문제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기포를 부상조유출측벽(330) 후단에도 설치하여 약간 무거워서 침강되는 슬러지를 다시 부상시켜 부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응집조유출측벽(230)은 수위조절웨어판(231) 및 미끄럼경사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조절웨어판(231)은 상기 응집조(200)에 유입되는 원수 양의 변동에 따라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수위조절웨어판(23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미끄럼경사판(232)은 낙하 부딪침을 업애기 위해, 상기 수위조절웨어판(231)에 경사지도록 결합된다.
응집조에서 응집된 슬러지는 부상조에서 공급될 때 너무 빠른 유속 또는 낙차에 의한 부딪힘이 있을 때 응집된 플럭이 깨지는 단점과 거품(스컴)이 생성되는 단점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유입수량의 변동에 따라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웨어판을 구성하고, 또한 낙하 부딪침을 없애기 위한 미끄럼 경사판을 구성하여 낙하로 인한 거품(스컴)생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부상조(300)는 침강부(340) 및 침강부드레인배관(3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침강부드레인배관(350)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유체의 흐름 방향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강부(340)는 상기 부상조유출측벽(330)으로부터 상기 슬러지조(400) 사이의 바닥에 호퍼 형상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침강부드레인배관(350)은 상기 침강부(340)의 바닥에 설치되며, 배관의 면 상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다.
일부분 아주 무거운 슬러지는 바닥의 호퍼에 침강되는데 이를 배수 할 때 불필요한 많은 양의 처리수가 같이 배수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침강부드레인배관(350)을 침강부(340) 바닥 전폭에 투입하고, 침강부드레인배관(350) 하부 쪽에 구멍(OPEN)을 구성하되, 배수쪽은 작은 구멍 반대쪽은 큰 구멍을 구성하여 바닥에 침강된 슬러지를 균일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슬러지스크레이퍼부(500)는 상기 스크레이퍼(540) 이동경로를, 수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다가, 슬러지경사부(410)와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경사부(410)와 평행하게 회전축(510)이 설치된 구간과, 수면과 평행하게 회전축(510)이 설치된 구간을 구비하도록 회전축(5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부상된 슬러지를 스크레이퍼(540)가 수면위로 슬러지 경사판 경사면을 따라 걷어 내는데 있어서, 1 개의 스프라켓을 이용하면 스크레퍼 끝단에 달린 고무판이 경사판 경사면을 휘어지면서 걷어내야 하므로, 고무판이 휘어졌다가 펴질 때 슬러지를 튕겨내어 사방으로 튀기는 단점이 있고, 체인 및 모터에 부하를 주어 결국 체인의 파손 현상 및 모터 수명 단축이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슬러지경사부(410)와 평행하게 회전축(510)이 설치된 구간(적어도 2 개의 회전축 구비)과, 수면과 평행하게 회전축(510)(적어도 2 개의 회전축 구비)이 설치된 구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회전축(510)이 4 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더 많은 수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최소 3개의 회전축으로 구현(도 2의 하부 그림에서 좌측 하단, 우측 하단, 우측 상단 3 개의 축 만으로도 구현 가능)이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의 텔레스코픽밸브(700)의 처리수배출부(710)는 처리수 배출관의 외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부상조 수위는 부상 슬러지를 적절한 농도로 걷어내기 위하여 슬러지 배출 경사면의 일정 기준에 맞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유입수량의 변동에 부상조 수위가 변동이 심한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텔레스코픽밸브(700)를 처리수배출부(710) 안쪽에 구성하지 않고, 처리수배출부(710) 바깥쪽에 구성함으로써 유출면적을 크게 하고, 필요시 텔레스코픽밸브(700) 다수개로 구성하여, 부상조(300) 수위변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응집조(200)에서 부상조(300)에 원수가 유입될 때 1 개의 통로 또는 2 개의 통로로 유입되면 유입 유속이 그 부분만 빨라, 그 부위만 솟구치는 편류 현상이 되어 미세 기포와의 접촉율이 저조하여 그만큼 부상효율이 떨어지므로, 부상조(300) 전체 폭으로 유입되게 하여 미세기포와의 접촉율을 극대화 킬 수 있다.
부상조(300)에서 분리된 처리수는 물속 저면부 유출부분에서 유속이 빨라지면서 부상슬러지, 침강슬러지가 딸려 나갈 수 있으므로, 부상조(300) 전체 폭으로 유출 되도록 하여 유속을 최대한 느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상조(300) 전체 폭의 유속이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혼화조
110: 혼화조교반기 120: 혼화조유입측벽
130: 혼화조유출측벽
200: 응집조
210: 응집조교반기 220: 응집조유입측벽
230: 응집조유출측벽
231: 수위조절웨어판 232: 미끄럼경사판
300: 부상조
310: 미세기포분사구 320: 부상조유입측벽
330: 부상조유출측벽 340: 침강부
350: 침강부드레인배관
400: 슬러지조
410: 슬러지경사부
500: 슬러지스크레이퍼부
510: 회전축 520: 스프라켓
530: 체인 540: 스크레이퍼
600: 유출조
700: 텔레스코픽밸브
710: 처리수배출부
800: 슬러지저류조
900: 미세기포발생펌프부
910: 다단펌프 920: 공기유입부
921: 공기유입구 922: 공기유량조절밸브
923: 공기유량계 924: 체크밸브
930: 확관부 950: 미세기포발생탱크
952: 다공판
953: 미세기포충돌떨림판 954: 미세기포토출배관
955: 분기관 956: 미세기포량조절밸브
957: 티관

Claims (11)

  1. 외부 펌프로부터 펌핑된 원수가 유입되며,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를 투입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한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원수와 약품을 혼합시키는 혼화조교반기(110),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혼화조유입측벽(120) 및 원수가 유출되는 측에 형성되며 원수가 통과 가능한 홀이 상부에 구비된 혼화조유출측벽(130)을 포함하는 혼화조(100);
    상기 혼화조(100)에서 PH조성제 및 1차응집제와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며, 2차응집제를 투입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한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원수와 약품을 혼합시키는 응집조교반기(210), 상기 혼화조유출측벽(130)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응집조유입측벽(220) 및 원수가 유출되는 측에 형성되며 원수가 통과 가능한 홀이 상부에 구비된 응집조유출측벽(230)을 포함하는 응집조(200);
    상기 응집조(200)에서 2차응집제까지 혼합된 원수가 유입되며, 바닥에 구비되어 미세공기가 투입되는 미세기포분사구(310), 응집조유출측벽(230)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부상조유입측벽(320) 및 상기 부상조유입측벽(32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부상조유출측벽(330)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로부터 분사된 미세기포에 의해 응집된 슬러지를 수표면으로 부상시키는 부상조(300);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의 높이가 수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측 벽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슬러지경사부(410)를 포함하는 슬러지조(400);
    상기 부상조(300)의 수면 상부에 상기 슬러지조(4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원수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축(510), 상기 회전축(510)의 양측에 구비된 스프라켓(520), 원수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일직선 상에 위치한 스프라켓(520)들을 감싸도록 연결된 체인(530), 및 상기 체인(530)에 상기 회전축(510)과 수평하게의 연결된 스크레이퍼(540)를 포함하는 슬러지스크레이퍼부(500);
    상기 슬러지조(400)의 하부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되며, 슬러지조(400)의 하부를 제외한 하면 및 측면이 막혀있는 유출조(600);
    상기 유출조(60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처리수 배출관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호퍼 형상의 처리수배출부(710)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배출부(7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밸브(700); 및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와 연결되어, 펌프를 이용하여 생성한 미세기포를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에 보내주는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
    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임펠러가 2 개 이상인 다단펌프(910);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920);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 중, 상기 공기유입부(920)가 연결된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단펌프(910)의 유입측 배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이 형성된 확관부(930); 및
    상기 다단펌프(910)의 토출배관과 연결된 미세기포발생탱크(950);
    를 포함하되,
    상기 다단펌프(910)의 토출배관을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편심에 부착하고,
    상기 다단펌프(910)의 흡입측 배관에 형성된 확관에 의한 난기류가 공기와 접촉하며 공기가 흩어지게 됨으로써, 1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다단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흩어짐으로써, 2차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다단펌프(910)의 토출배관으로 토출하고,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는
    반구형상과 원통형상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상 부분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프렌지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앙이 일정 크기로 막혀있으며, 프렌지 사이에 구비되는 다공판(952);
    상기 다공판(952)과 결합된 미세기포충돌떨림판(953); 및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중심 축 상에 상기 다공판(95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토출구가 형성된 미세기포토출배관(954);
    을 포함하되,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로 유입되기 전에 2단계의 미세기포 발생 단계를 거친 유체는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편심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미세기포충돌떨림판(953)과 충돌하며, 충돌 떨림에 의해 3차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상기 다공판(952)은 상기 미세기포토출배관(954) 크기로 중앙이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92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921);
    상기 공기유입구(921)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구(921)를 개폐 및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유량조절밸브(922);
    상기 공기유입구(921)로 유입된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공기유량계(923); 및
    상기 공기유입부(920)의 배관 상에 구비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924);
    를 포함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상기 미세기포발생탱크(950)의 토출 측 배관 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분기관(955); 및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각각의 배관마다 장착된 미세기포량조절밸브(956);
    를 더 포함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발생펌프부(900)는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각각의 배관마다,
    상기 분기관(955)으로 분기된 배관과 유입 및 유출 측 배관의 크기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티관(957)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분사구(310)는
    상기 부상조유출측벽(330)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응집조유출측벽(230)은
    상기 응집조(200)에 유입되는 원수 양의 변동에 따라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웨어판(231); 및
    낙하 부딪침을 업애기 위해, 상기 수위조절웨어판(231)에 경사지도록 결합된 미끄럼경사판(232);
    을 포함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조(300)는
    상기 부상조유출측벽(330)으로부터 상기 슬러지조(400) 사이의 바닥에 호퍼 형상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침강부(340); 및
    상기 침강부(340)의 바닥에 설치되며, 배관의 면 상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 침강부드레인배관(35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침강부드레인배관(350)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유체의 흐름 방향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부(500)는
    상기 스크레이퍼(540) 이동경로를, 수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다가, 슬러지경사부(410)와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경사부(410)와 평행하게 회전축(510)이 설치된 구간과, 수면과 평행하게 회전축(510)이 설치된 구간을 구비하도록 회전축(5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밸브(700)의 처리수배출부(710)는
    처리수 배출관의 외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KR1020150095768A 2015-07-06 2015-07-06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KR10160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68A KR101602289B1 (ko) 2015-07-06 2015-07-06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68A KR101602289B1 (ko) 2015-07-06 2015-07-06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89B1 true KR101602289B1 (ko) 2016-03-21

Family

ID=5565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768A KR101602289B1 (ko) 2015-07-06 2015-07-06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049B1 (ko) 2017-02-17 2017-07-26 주식회사 케이디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부상 및 연속 여과 복합형 수처리 장치
CN110127799A (zh) * 2019-06-25 2019-08-16 浙江晟科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微气泡溶气水发生***
CN110127798A (zh) * 2019-06-25 2019-08-16 浙江晟科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微气泡溶气水发生装置
KR102027366B1 (ko) * 2019-03-27 2019-10-0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처리 장치
KR20200114104A (ko) * 2019-03-27 2020-10-0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처리 장치
CN112661305A (zh) * 2020-12-24 2021-04-16 安徽蔚来东方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工废水的处理设备
CN114526269B (zh) * 2022-02-18 2024-01-12 湖南白泽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漂浮式水面排污泵
CN117585755A (zh) * 2023-12-29 2024-02-23 无锡工源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浮刮渣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367A (ja) * 2003-01-30 2004-08-19 Pcs:Kk 微細気泡発生を特徴とする加圧浮上処理装置
KR100447271B1 (ko) * 2004-05-13 2004-09-04 한국수자원공사 용존공기부상지의 가변형 유출웨어와 유출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367A (ja) * 2003-01-30 2004-08-19 Pcs:Kk 微細気泡発生を特徴とする加圧浮上処理装置
KR100447271B1 (ko) * 2004-05-13 2004-09-04 한국수자원공사 용존공기부상지의 가변형 유출웨어와 유출비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049B1 (ko) 2017-02-17 2017-07-26 주식회사 케이디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부상 및 연속 여과 복합형 수처리 장치
KR102027366B1 (ko) * 2019-03-27 2019-10-0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처리 장치
KR20200114104A (ko) * 2019-03-27 2020-10-0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처리 장치
KR102230349B1 (ko) * 2019-03-27 2021-03-22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처리 장치
CN110127799A (zh) * 2019-06-25 2019-08-16 浙江晟科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微气泡溶气水发生***
CN110127798A (zh) * 2019-06-25 2019-08-16 浙江晟科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微气泡溶气水发生装置
CN110127799B (zh) * 2019-06-25 2023-12-26 浙江晟科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微气泡溶气水发生***
CN110127798B (zh) * 2019-06-25 2023-12-26 浙江晟科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微气泡溶气水发生装置
CN112661305A (zh) * 2020-12-24 2021-04-16 安徽蔚来东方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工废水的处理设备
CN114526269B (zh) * 2022-02-18 2024-01-12 湖南白泽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漂浮式水面排污泵
CN117585755A (zh) * 2023-12-29 2024-02-23 无锡工源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浮刮渣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289B1 (ko)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KR101779748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0919367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KR101964832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835271B1 (ko)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093198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상수, 중수,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
KR100882200B1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1336169B1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JP2011000583A (ja) 廃液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163089B1 (ko)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KR100794324B1 (ko) 역 부상 가압 부상조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JP4711074B2 (ja) 凝集反応装置
KR101554211B1 (ko) 직분사를 이용한 고액 부상 분리 장치
KR101723161B1 (ko)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KR20150029938A (ko) 수처리 장치
KR100530772B1 (ko) 2차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200290B1 (ko)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KR101620261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담수조류 제거시스템
JP2006043626A (ja) 水処理装置
KR101026768B1 (ko) 케비테이션 고액분리 부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장치
KR200396223Y1 (ko) 가압부상조
KR101077248B1 (ko) 저진공 믹싱에 의한 미세기포 부상 고액분리장치
KR200421751Y1 (ko) 원형 경사판을 가지는 침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