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746B1 -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746B1
KR101599746B1 KR1020140005165A KR20140005165A KR101599746B1 KR 101599746 B1 KR101599746 B1 KR 101599746B1 KR 1020140005165 A KR1020140005165 A KR 1020140005165A KR 20140005165 A KR20140005165 A KR 20140005165A KR 101599746 B1 KR101599746 B1 KR 101599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g
culture
rice
growth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5368A (en
Inventor
김석원
지은이
안명숙
고석민
박종미
서정식
유장렬
인동수
장혜림
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지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7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8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리밥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유해조류가 발생한 오염수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해조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Microcystis aerusinosa) 방제에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algae controlling composition comprising frog rice, a plant or an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which comprises treating the harmful algae controlling composition to polluted water in which harmful algae are generated, the composition of the labor rugi (Microcystis in seutiseu Oh when harmful micro-algae aerosinosa )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개구리밥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which contains frog rice, a plant or an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use thereof. [0002]

본 발명은 개구리밥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리밥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유해조류가 발생한 오염수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a harmful algae containing a frog rice, a plant or an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use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a harmful algae containing a frog rice and a plant or an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which comprises treating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to the contaminated water in which harmful algae are generated.

영양염류의 축적에 의한 수자원의 부영양화는 최근 수질관리의 큰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수자원의 부영양화는 부유성의 조류, 즉, 식물플랑크톤의 대량 증식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녹조현상을 유발한다. 녹조현상은 일반적으로 담수에서만 발생하는데 공장폐수와 생활하수, 비료, 농약, 가축과 사람의 분뇨 등등 각종 육상 오염물질들이 강 또는 호수로 유입되고 수역의 하부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된 유기물들이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질소와 인을 대량으로 생성시켜 녹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녹조는 수중의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며, 독성물질을 생산하여 어류 및 수생생물을 폐사시키고, 더 나아가 수질생태 환경파괴 및 상수원의 고도 정화설비 도입, 자연 미관의 손상 등 많은 문제점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특히 이들 유독 남조류가 생산하는 독소는 척추동물의 간에 유독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특히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은 간출혈 및 간기능부전 등의 급성 독성을 일으키는 것 외에도 오카다산(okadaic acid) 계열의 화합물과 같이 단백질 인산가수분해효소(phosphatase) 기능을 저해하는 것이 밝혀져 발암의 촉진제로서 작용할 가능성도 보고된 바 있다. 나아가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등 많은 나라에서 독성 물질 생산 남조류의 수화에 의한 동물의 피해가 보고된 바 있다. Eutrophication of water resources by the accumulation of nutrients has recently been a major problem in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eutrophication of water resources causes the algal phenomenon by acting as a factor of massive proliferation of floating birds, that is, phytoplankton. Green algae generally occurs only in fresh water, but organic pollutants such as plant wastewater, domestic sewage, fertilizer, pesticides, livestock and human manure are introduced into rivers or lakes and degraded by microorganisms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Nitrogen and phosphorus, which feed on plankton, ar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nd green tides are generated. These green algae reduc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produce toxic substances and kill fishes and aquatic organisms. Furthermore, they cause many problems such as the destruction of water quality, ecological environment, introduction of high purification facilities of water source, and damage of natural beauty. In particular, toxins produced by these toxic cyanobacteria have been shown to have a toxic effect on the liver of vertebrates, and in particular, microcystin causes acute toxicity such as hepatic hemorrhage and hepatic dysfunction, as well as okadaic acid serie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nhibits the phosphatase function of the protein as well as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animal damage caused by hydration of the toxic substance producing cyanobacteria has been report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우리나라 호소에서의 녹조현상은 주로 남조류, 녹조류, 규조류 등이 원인균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녹조류와 규조류에 의한 녹조현상의 비중은 얼마 되지 않으며 대부분이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라고 불리는 남조류(blue-green algae)들이 가장 큰 원인으로 밝혀져 있다. 이와 같은 남조류는 식물과 마찬가지로 산소발생형 광합성 과정을 통하여 증식이 이루어지며 질소(N), 인(P)와 같은 다량의 영양원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녹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정체된 호소에서 질소, 인 및 유·무기 영양염류 공급 차단, 녹조류의 증식에 적합한 수온 상승 억제, 빛의 공급 차단 등의 총체적인 제어가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발생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조류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중폭기, 전자파, 차광막과 같은 물리적 제어와 산화제, 응집제, 천연 살조제를 이용한 화학적 제어 그리고 세균, 천적 생물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제어 등이 있다. 화학적 처리 방법은 단시일에 조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황토, 응집제, 황산동, 염소, 오존 등의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It is known that the algae phenomenon in Korea is mainly caused by cyanobacteria, green algae and diatoms. However, the proportion of green algae caused by green algae and diatoms is small, and blue-green algae called cyanobacteria is the most common cause. Like cyanobacteria, these cyanobacteria proliferate through oxygenogenic photosynthesis and require large amounts of nutrients such as nitrogen (N) and phosphorus (P).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green alga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total amount of nitrogen, phosphorus, nutrients, and nutrients in the stagnant lake, to prevent water temperature rise suitable for the growth of green algae, and to shut off the light. Currently, physical control such as aqua aeration, electromagnetic wave, and shielding film as a means for controlling algae, chemical control using oxidants, coagulants, natural killer agents, and biological control using bacteria and natural creatures. The chemical treatment method is widely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s a method to control the algae in a short time, and mainly yellow loam, coagulant, copper sulfate, chlorine and ozone are used.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기술은 물리적 화학적 제어 방법에 비해 시설비, 에너지, 그리고 전문적인 유지 관리가 거의 필요 없어서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이지만 단점으로 성장을 마친 생물의 처리문제, 성장조건의 계절적 제어에 따른 효율변동의 한계점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생식물의 수질정화 능력은 수질환경 측면에서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수생식물은 직사광선을 차단해 녹조류의 증식을 억제하며, 물속의 질소와 인을 흡수해 제거한다. 또한 부유물질을 흡착해 분해하거나 침전시키고, 광합성을 통한 산소 배출로 물속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 생태학적 순기능이 있다. 현재까지 식물에 의한 수질정화는 기존의 물리, 화학, 미생물학적 유기물처리 방법의 보완 수단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부레옥잠을 중심으로 시험 공장(pilot-plant) 규모의 폐·하수처리, 오염된 저수지나 호수의 직접정화 등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생식물의 수질정화 기술은 수확물의 퇴비 또는 가축 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은 물론 더 나아가 건강 식품이나 기능성 제품으로 활용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자원순환, 건강한 생태환경 유지 등 수질개선 이외의 부차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기술은 물리, 화학적 녹조 제어나 천적을 이용한 녹조 제어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체 수단으로서 한계를 벗어나 습지와 수로, 재배지 등을 이용하여 친수기능과 조화를 이루는 유해 조류의 대량 발생 억제를 위한 고도처리법으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using aquatic plants is very economical and practical because it requires little facility cost, energy, and professional maintenance compared with physical and chemical control methods. However, disadvantages are disposal problems of grown organisms, efficiency due to seasonal control of growth conditions It has the limit of variation. Nonetheless, the water purification capacity of aquatic plants plays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terms of water quality. Aquatic plants block direct sunlight, inhibiting the growth of green algae, and absorb and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water. In addition, there is an ecological function to adsorb and decompose suspended matter, and to increase dissolved oxygen in water by oxygen discharge through photosynthesis. So far, water purification by plants has been applied as a complementary means to the existing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treatment methods of organic matter. In Korea, pilot-plant scale wastewater treatment, It is applied to the direct purification of lake. However, the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of aquatic plants can be used as compost for harvest or as a feed for livestock, as well as as a health food or a functional product. Therefore, it has a secondary effect other than water quality improvement such as continuous resource circulation and maintenance of healthy ecological environment. Can be exercised. Therefore,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using aquatic plants is an alternative mean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physical and chemical algae control and algae control technology using natural enemies. It is a marine algae that harmonize with hydrophilic functions by using wetlands, waterways, It is very likely to be used as an advanced treatment method for inhibiting mass production.

국내에 자생하는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및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L.) Schelid.)은 개구리밥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부엽성 수생식물이다. 좀개구리밥은 개구리밥에 비하여 크기가 매우 작으며(길이 3~4mm, 너비 2~3mm) 엽상체 하나에 1개의 수중근을 가지고 있다. 반면 개구리밥은 크기가 크며(길이 3-8mm, 너비 4-6mm) 엽상체 뒷면 중앙부위에 대략 5-11개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 개구리밥 식물체는 최적 조건에서 개체의 복제가 2일 이내에 이루어지는 증식 속도가 매우 빠른 식물체이다. 개구리밥의 엽상체는 건중량당 단백질 함량이 최대 45%를 차지하여 어류를 비롯한 가금류와 동물의 영양가 높은 사료로 잠재적 가치가 우수하다. 또한 개구리밥은 붕소, 우라늄, 비소, 납, 니켈, 크롬, 수은 등 환경 유해물질에 대한 내성도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축산폐수 등 유기 오염원에 대한 생물학적 복구 능력이 우수하다. 한방에서는 개구리밥의 전초를 말려서 해열, 이뇨작용은 물론 심장혈관계통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아토피 치료 등 약리적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자생중인 개구리밥 엽상체는 유성생식을 통해 증식하기보다는 주로 영양번식을 통해 개체 증식이 이루어지며 기온이 낮아지면 월동형 엽상체를 만들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다음 월동을 하고, 이듬해 수온이 상승하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라 개체 증식이 다시 이루어진다. 또한 수표면에 증식중인 개구리밥 개체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 쉽게 포집이 가능하여 다른 수생식물들에 비하여 수확이 매우 용이한 식물체이다. 따라서 개구리밥 엽상체가 호수나 저수지의 수표면을 넓게 점유하게 되면 엽상체의 개체 증식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질소, 인 등 녹조 발생의 원인 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자연적으로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조류 생존에 필요한 빛을 차단함은 물론 상대적으로 수온 상승을 억제하여 호소에서 녹조 발생에 관여하는 물리환경적 요인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처럼 개구리밥 식물체들이 가축 사료나 약리적 활용은 물론 다양한 수질환경 친화적인 순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개구리밥을 이용한 수질정화 관련 기술의 개발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개구리밥과 식물을 이용한 녹조제어 관련 기술 개발이 보고된 바가 전혀 없다. Domestic wild ducklings (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and Fagopyrum ( Spirodela polyrhiza (L.) Schelid.) Are representative infertile aquatic plants belonging to the Fagopyridae. Duckweed is very small in size (3 ~ 4mm in length, 2 ~ 3mm in width) and has one midsole in one thigh. On the other hand, the frog is large (3-8mm long, 4-6mm wide) and has about 5-11 root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ck of the thalamus. Duckweed Plants are plants with a very fast growth rate within two days of replicating individuals under optimal conditions. The leaflet of frogs has a potential value of up to 45% protein content per dry weight and is a nutritious feed for poultry and animals including fish. Duckweed is also known to be highly resistant to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such as boron, uranium, arsenic, lead, nickel, chromium, and mercury, and has excellent biological recovery ability against organic pollutants such as livestock wastewater. In one room, it is used as a pharmacologic agent of cardiovascular system as well as diaphoresis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such as atopy treatment by drying the outpost of frog. The frog thrips, which are native to Korea, are grown predominantly through reproduction of nutrients rather than proliferating by metaplastic reproduction.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they form moon-shaped thallus, sinking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n wintering. It floats up,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individual is done again. In addition, the frog species that are grow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re very small in size and are easily harvested compared to other aquatic plants because they can be easily collected. Therefore, if the foliage of a frog pluck occupies a large number of water surface of a lake or a reservoir, it will inevitably remove the causative substance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process of leaf growth. In addi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green tide in the lake. Howe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frog plants have a variety of water environment friendly functions as well as livestock feed and pharmacological utilization, the development of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using frog rice is very limited in Korea.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no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green tide control technology using frog rice and plant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유성 수생식물인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를 이용하여 녹조 원인 생물군의 증식 및 대량증식을 차단함으로써 녹조발생의 지연 또는 억제 방법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질소, 인 등 유·무기 염류 농도 변화에 따른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의 증식 효율을 조사하고,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따른 질소, 인 등 유무기 염류 제거 효율, 빛 차단 효율을 조사하여,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따른 녹조 원인균의 증식 억제 효율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녹조 원인균이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를 이용한 수질정화 및 녹조 방제 수단으로 활용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frog rice and frog lobes as a method of delaying or inhibiting the occurrence of the green algae by blocking the proliferation and mass proliferation of the organisms causing the algae were investigated. First, we investigated the propagation efficiency of foliar frogs and frog lob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and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organic salts removal such as nitrogen, phosphor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inhibition efficiency of the causative organism caused by the foliage growth of frogs and frog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causal organisms on the growth of Fagus cuspidis and Flycatcher were investigated.

한국등록특허 제1340245호에는 '유해 조류 방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621917호에는 '둥굴레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개구리밥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Korean Patent No. 1340245 discloses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and Korean Patent No. 0621917 discloses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and a frog rice containing a plant of the genus Dendiln or an extrac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which contains frog rice and a plant or an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개구리밥과 식물인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이 유해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성장 억제에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개구리밥과 식물 추출물을 100 ㎍/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성장 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a harmful algae, in frog, rice frog and frog rice,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extract had a superior effect of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systeria eruginosa when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 / m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리밥과(Lemnaceae)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a plant of Lemnaceae or an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유해조류가 발생한 오염수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rmful algae control method comprising treating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to polluted water in which harmful algae are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개구리밥과 식물인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또는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의 배양처리 또는 그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가 녹조를 발생시키는 유해조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Microcystis aerusinosa)의 생육 억제에 효과적이므로, 녹조가 발생한 담수에 처리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ivation treatment of the fro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ant Spirodela polyrhiza or Lemna paucicostata or the treatment of the methanol extract of the frog rice with the microbial strain Microcystis aerusinosa ).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treat the fresh water from the green algae to obtain excellent control effect.

도 1은 MS 배지 무기염류 농도가 1/2배로 희석된 배양액에서 좀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속도에 미치는 식물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2MS BW(control); 대조구, 1/2MS 1BA; 벤질아데닌 1 mg/ℓ이 첨가된 처리구, 1/2MS 1Pyr; 피라박틴(pyrabactin) 1 mg/ℓ이 첨가된 처리구, 1/2MS 1BA+1Pyr; 벤질아데닌 1 mg/ℓ과 피라박틴 1 mg/ℓ이 첨가된 처리구.
도 2는 좀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미치는 식물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A; 대조구, B; 벤질아데닌 1 mg/ℓ이 첨가된 처리구, C; 피라박틴 1 mg/ℓ이 첨가된 처리구, D; 벤질아데닌 1 mg/ℓ과 피라박틴 1 mg/ℓ이 첨가된 처리구.
도 3은 하이포넥스원액의 희석 농도별 좀개구리밥(A)과 개구리밥(B)의 엽상체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대청호 수계의 담수에 포함되어 있는 남조류(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를 관찰한 결과이다. A; 군체(100x), B; 확대 관찰한 군체(400x)
도 5는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의 배양 기간별 엽상체 증식 밀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A; 배양 0일, B; 배양 3일, C; 배양 6일, D; 배양 9일, E; 배양 12일, F; 배양 18일. Cont.; 대조구, Lemna; 좀개구리밥, Spirodella; 개구리밥.
도 6은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에 따른 배양액 내 클로로필a의 함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rol; 무처리구, Lemna; 좀개구리밥, Spirodella; 개구리밥.
도 7은 배양 18일 경과 후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에 따른 배양액 내 클로로필a 함량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Cont.; 무처리구, Lemna; 좀개구리밥, Spirodella; 개구리밥.
도 8은 좀개구리밥 대량증식에 따른 배양액 내 총 질소원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rol; 대조구, Lemna; 좀개구리밥.
도 9는 좀개구리밥 대량증식에 따른 배양액 내 총 인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rol; 대조구, Lemna; 좀개구리밥.
도 10은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가에 따른 물 표면에서의 광투과 차단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Spirodella; 개구리밥 단독 처리구, Lemna; 좀개구리밥 단독 처리구, Spirodella+Lemna;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의 혼합처리구.
도 11은 좀개구리밥, 개구리밥 및 둥굴레 메탄올 추출물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 0.01% 메탄올 처리구, SP-100㎍/㎖; 100 ㎍/㎖ 농도의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 LP-100㎍/㎖; 100 ㎍/㎖ 농도의 좀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 PO-100㎍/㎖; 100 ㎍/㎖ 농도의 둥굴레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
도 12는 좀개구리밥, 개구리밥 및 둥굴레 메탄올 추출물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상대적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 0.01% 메탄올 처리구, SP-100㎍/㎖; 100 ㎍/㎖ 농도의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 LP-100㎍/㎖; 100 ㎍/㎖ 농도의 좀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 PO-100㎍/㎖; 100 ㎍/㎖ 농도의 둥굴레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a plant growth regulator on the rate of proliferation of Fagopyrum frondosa in a culture medium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MS medium inorganic salt is diluted to 1/2. 1 / 2MS BW (control); Control, 1 / 2MS 1BA; Treated with 1 mg / l benzyladenine, 1 / 2MS 1Pyr; Treatment with 1 mg / L of pyrabactin, 1 / 2MS 1BA + 1Pyr; Treated with 1 mg / l benzyl adenine and 1 mg / l pyra- batin.
Fig. 2 shows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proliferation of Fagopyrum frondosa. A; Control, B; Treated with 1 mg / L of benzyladenine, C; Treated with 1 mg / L pyramatine, D; Treated with 1 mg / l benzyl adenine and 1 mg / l pyra- batin.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dilution concentration of Hyponex stock solution on thallus growth of the frog (A) and the frog (B).
4 shows the results of observation of cyanobacteria (microcystis aeruginosa) contained in fresh water of the Daechung Lake water system. A; Colony (100x), B; Enlarged observation colony (400x)
FIG. 5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changes in the growth density of the thalli of frog rice and frog rice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A; Day 0, B; 3 days, C; 6 days, D; Culture 9 days, E; Culturing for 12 days, F; Culture 18 days. Cont .; Control, Lemna ; Speardella ; Fried rice.
FIG. 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contents of chlorophyll-a in the culture broth according to thallus growth of frogs and frogs. Control; No treatment, Lemna ; Speardella ; Fried rice.
FIG. 7 shows the results of visual observation of the chlorophyll-a content changes in the culture broth following the lyophilization of frog rice and frozen rice after 18 days of culture. Cont .; No treatment, Lemna ; Speardella ; Fried rice.
FIG. 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otal nitrogen source content in the culture broth due to massive proliferation of frog rice. Control; Control, Lemna ; A little fried rice.
FIG. 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otal phosphorus content in the culture broth due to massive proliferation of frog rice. Control; Control, Lemna ; A little fried rice.
10 is a graph showing the light transmission blocking efficiency at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eaflets of frog rice and frog rice. Spirodella ; Frog rice alone treatment, Lemna ; Speardella + Lemna ; Mixed treat of frog rice and fried rice.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microsystic aeruginosa on methanol extract of frog, frog, and sardine. Cont; 0.01% methanol treatment, SP-100 占 퐂 / ml; 100 μg / ml of fried rice methanol extract treatment, LP-100 μg / ml; 100 [mu] g / ml of mulberry foliar methanol extract, PO-100 [mu] g / ml; 100 ㎍ / ㎖ of methanol extracts of.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microsystic aeruginosa of methanol extract of Fagus sylvestris, Fried Rice, and Daggulle. Cont; 0.01% methanol treatment, SP-100 占 퐂 / ml; 100 μg / ml of fried rice methanol extract treatment, LP-100 μg / ml; 100 [mu] g / ml of mulberry foliar methanol extract, PO-100 [mu] g / ml; 100 ㎍ / ㎖ of methanol extracts of.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리밥과(Lemnaceae)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a plant of Lemnaceae or an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에서, 상기 개구리밥과 식물은 개구리밥 속(Spirodela sp.), 좀개구리밥 속(Lemna sp.) 또는 분개구리밥 속(Wolffia sp.)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개구리밥 속(Spirodela sp.) 또는 좀개구리밥 속(Lemna sp.)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또는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g and the plant may be Spirodela sp., Lemna sp. Or Wolffia sp. May be Spirodela sp. Or Lemna sp., And most preferably Spirodela polyrhiza or Lemna paucicostata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에서, 상기 개구리밥과 식물 추출물은 개구리밥과 식물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과 같은 C1 -5 알코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g and the plant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frogs and plants with a solvent such as methanol, ethyl acetate, acetone,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But it may be an extract obtained by using a C 1 -5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or pentanol, more preferably m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에서, 상기 개구리밥과 식물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개구리밥과 식물 중량 대비 20~50배로 첨가하여 10~30℃에서 0.5~2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40배로 첨가하여 15~25℃에서 0.5~1.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35배로 첨가하여 1시간 동안 25℃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g and the plant extract may be extracted at a temperature of 10 to 30 ° C for 0.5 to 2 hours by adding an extracting solvent at 20 to 50 times the weight of the frog and the plant weight, Preferably 25 to 40 times, and extracted at 15 to 25 ° C for 0.5 to 1.5 hours, most preferably 30 to 35 times, and the mixture is extracted at 25 ° C for 1 h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에서, 상기 유해조류는 남조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속, 아나베나(Anabaena) 속,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속, 노듈라리아(Nodularia) 속 또는 코클로디늄(Cochlodinium) 속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Microcystis aerusinosa), 마이크로시스티스 에치눌로사(M. achinulosa), 마이크로시스티스 풀베리아(M. pulverea) 또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웨센베르지(M. wesenvergii)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mful algae may be cyanobacterium, preferably those belonging to the genus Microcystis , genus Anabaena , genus Oscillatoria , Aphanizomenon , Nodularia , or Cochlodinium , and more preferably Microcystis ( Microcystis) aerosinosa , M. achinulosa , M. pulverea or M. wesenvergii , most preferably microcystisia, and most preferably E. coli ,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유해 조류 방제용 조성물은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을 물이나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효과의 안정성 및 약물의 표적 생물과의 부착 증진을 위해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담체 및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method. The extract can be used by mixing with water or an organic solvent.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ffect and the adhesion of the drug to the target organism, Ionic or ionic surfactants may be used together. In addition, suitable carriers and additive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유해 조류 방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제, 수화제, 입제, 분제, 칼셉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의 부력을 위해 도넛형과 같은 제형을 통한 접촉제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formulated into an emulsion, a wettable powder, a granule, a powder, a calcemic or a gel-like formulation, and is provided as a contact agent through a formulation such as a donut type desirable.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유해조류가 발생한 오염수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rmful algae control method comprising treating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olluted water generated from harmful algae.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방법에서, 상기 오염수는 해수 또는 담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담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harmful alga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ted water may be seawater or fresh water,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fresh water.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방법에서, 상기 유해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속, 아나베나(Anabaena) 속,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속,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속, 노듈라리아(Nodularia) 속 또는 코클로디늄(Cochlodinium) 속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Microcystis aerusinosa), 마이크로시스티스 에치눌로사(M. achinulosa), 마이크로시스티스 풀베리아(M. pulverea) 또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웨센베르지(M. wesenvergii)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mful bir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crocystis , Anabaena , Oscillatoria , Aphanizomenon , dyulra Liao (Nodularia) in or co keulrodi titanium (Cochlodinium) may lie, preferably rugi labor (Microcystis in seutiseu Oh when micro aerosinosa , M. achinulosa , M. pulverea or M. wesenvergii , most preferably microcystisia, and most preferably E. coli ,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방법에서, 상기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의 처리는 개구리밥과 식물을 유해조류가 발생한 오염수에 직접 배양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개구리밥과 식물 추출물을 처리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of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may be carried out by directly cultivating frog rice and plants in the polluted water in which harmful algae are generated, or treating frog rice and plant extracts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방법에서, 상기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중의 개구리밥과 식물 추출물은 10~300 ㎍/ml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150 ㎍/ml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ml 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g and the plant extract i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may be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 to 300 占 퐂 / ml, preferably 50 to 150 占 퐂 / ml , Most preferably at a concentration of 100 < RTI ID = 0.0 > pg / ml. ≪ / RTI >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방법에서, 상기 개구리밥과 식물 추출물의 처리는 6~15일 동안 처리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5일 동안 처리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of the frog and the plant extract may be for 6 to 15 days, more preferably for 12 to 15 days, It does not.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해조류 방제방법은 개구리밥과 식물을 유해조류가 발생한 오염수에 직접 배양하여 증식시킴으로써 유해조류를 방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좀개구리밥과 개구리밥을 오염수에 동시에 처리하여 증식시킴으로써 유해조류를 방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harmful alga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armful algae by directly growing frog rice and plants in the polluted water in which harmful algae are generated, and preferably, treating the frog rice and frog rice to the polluted water simultaneous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식물 배양 배지 종류 및 무기염류 농도에 따른 1. Depending on plant culture medium and mineral salt concentration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생장률 변화 And frog rice growth rate change

무균배양을 통하여 유지되고 있는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KCTC PC-10605) 및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L.) Schelid., KCTC PC-10810) 엽상체 라인을 이용하여 최적 증식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배양 배지의 무기염류 농도가 엽상체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S 배지와 SH 배지(표 1)의 무기염류 농도가 각각 1/8배, 1/4배, 1/2배 및 1배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1N 수산화나트륨용액을 이용하여 배양 배지의 최종 pH를 5.8로 조정하였다. 살균된 배양병(500㎖)에 희석된 각각의 배양액 100㎖를 넣어준 다음 121℃에서 15분간 고압살균하였다.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를 각각 5개씩 살균된 배양액에 넣은 다음 25℃ 명배양 조건(약 80 umol/m2s; 광주기 16/8시간)에서 엽상체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1주일 배양 간격으로 각 배양병에 존재하는 총 엽상체의 수를 조사하여 엽상체의 증식속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모든 처리구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엽상체 수 증가 속도는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The fungi that are maintained through aseptic culture (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KCTC PC-10605) and frog ( Spirodela In order to use the polyrhiza (L.) Schelid., KCTC PC-10810) frond lines to investigate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were first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 inorganic salt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on the frond proliferation.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such that the concentrations of inorganic salts in MS medium and SH medium (Table 1) were 1/8, 1/4, 1/2 and 1, respectively, and then the final pH of the culture medium Was adjusted to 5.8. 100 ml of each culture diluted in a sterilized culture bottle (500 ml) was added, followed by high-pressure sterilization at 121 ° C for 15 minutes. Foliar growth was induced at 25 ℃ incubation condition (about 80 umol / m 2 s; 16/8 h photoperiod) after 5 fronds of frogs and frogs were put into sterilized culture medium. The growth rate of the thallus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otal thallus in each culture bottle at one week incubation interval. All treat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The rate of increase of the number of lobes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엽상체 증식속도 = 배양단계별 엽상체 수 / 배양 초기 엽상체 수 Plastid proliferation rate = number of lobes per culturing stage / number of lobes in culture

Figure 112014004242922-pat00001
Figure 112014004242922-pat00001

2. 식물 생장조절제를 이용한 2. Using plant growth regulators 좀개구리밥Frogfish 엽상체 증식속도 변화조사 Investigation of growth rate of thallus

무균배양을 통하여 유지되고 있는 좀개구리밥 엽상체 라인을 이용하여 식물생장조절제가 엽상체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기의 조건에서 확립된 최적 증식조건 1/2배 MS 배지(표 1)에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생장조절제 처리구는 싸이토키닌 처리구로 1 mg/ℓ 벤질아데닌(Benzyl adenine, BA) 그리고 앱시스산(abscisic acid, ABA)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피라박틴(pyrabactin) 1 mg/ℓ 처리구 그리고 벤질아데닌과 피라박틴의 혼용처리구(1 mg/ℓ 벤질아데닌 + 1 mg/ℓ 피라박틴)를 준비하여 좀개구리밥 엽상체를 각각 5개씩 살균된 배양액에 넣은 다음 25℃ 명배양 조건(약 80 umol/m2s; 광주기 16/8시간)에서 엽상체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1주일 배양 간격으로 각 배양병에 존재하는 총 엽상체의 개수를 조사하여 엽상체의 증식속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모든 처리구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엽상체 수 증가 속도는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thallus growth was investigated by using thrips line, which is maintained through aseptic culture. As the control, the growth regulator was not added to the MS medium (Table 1), which was established under the above-mentioned optimal growth condition, for 1/2 times. Growth regulators were treated with 1 mg / l benzyladenine (BA) and 1 mg / ℓ pyrabactin, which is known to function similar to abscisic acid (ABA), and benzyl adenine (1 mg / l benzyladenine + 1 mg / l pyrabactin) were prepared. Five frog fronds were placed in each sterilized culture medium and incubated at 25 ° C for about 80 umol / m 2 s ; Light period 16/8 hours). The growth rate of the thallus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otal thallus in each culture bottle at one week incubation interval. All treat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The rate of increase of the number of lobes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엽상체 증식속도 = 배양단계별 엽상체 수 / 배양초기 엽상체 수
Plastid proliferation rate = number of lobes per culturing stage / number of lobes in culture

3. 상업용 3. Commercial 하이포넥스Hyponex 희석 농도에 따른  Depending on dilution concentration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생장률 변화 And frog rice growth rate change

무균배양을 통하여 유지되고 있는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라인을 이용하여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가 고농도로 축적되어 있는 원예용 하이포넥스(hyponex) 용액에서 엽상체의 증식 여부를 조사하였다. 증식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원예용 하이포넥스원액(레이쇼원액(6-10-5), 하이포넥스 재팬)의 조성을 각각 1/10배, 1/30배, 1/100배, 1/300배, 그리고 1/1,000배의 농도로 멸균수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질소, 인 등의 농도를 조정하였다(표 2). 각각의 농도별 희석액을 500㎖ 배양병에 100㎖씩 넣어준 다음 좀개구밥 및 개구리밥의 엽상체를 각각 5개 및 15개씩 넣어주었다.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는 25℃ 명배양 조건 (약 80 umol/m2s, 광주기 16/8시간)에서 엽상체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약 1주일 동안 엽상체의 증식을 관찰하면서 3일 간격으로 각 배양병에 존재하는 총 엽상체의 개수를 조사하여 엽상체의 증식속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모든 처리구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The growth of thallus was investigated in a hyponex solution for horticulture in which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accumulated at a high concentration by using the foliar line of fugu mugwort and frog rice maintained through sterile culture. In order to clarify the growth conditions, first, the composition of hyponex solution for garden horticulture (Risho stock solution (6-10-5), Hyponex Japan) is 1/10, 1/30, 1/100, 1/300 times , And diluted with steriliz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1 / 1,000-fold to adjust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orus (Table 2). Each dilution of each concentration was added to a 500 ml culture bottle in an amount of 100 ml, followed by 5 and 15 fronds of frozen rice and frozen rice, respectively. The thalli of frogs and frogs were induced to proliferate at 25 ℃ incubation condition (about 80 umol / m 2 s, 16/8 h light). The growth rate of the thallus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otal thallus in each culture bottle at intervals of 3 days while observing the proliferation of the thallus for about one week. All treat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원예용 하이포넥스 레이쇼원액(6-10-5)의 조성Composition of Hypo-nex Lay stock solution (6-10-5) for gardening 구분division 함량(%)content(%) 질소전량Nitrogen total amount 66 수용성 인산Soluble phosphoric acid 1010 수용성 칼륨Soluble potassium 55 수용성 망간Water soluble manganese 0.00150.0015 수용성 붕소Soluble boron 0.00010.0001 수용성 고토Water-soluble goto 0.0560.056 수용성 몰리브덴Water-soluble molybdenum 0.00060.0006 수용성 아연Water soluble zinc 0.00050.0005

4. 4.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따른 배양액 내 클로로필a 농도 변화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Cultured Livers of Frogs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라인을 이용하여 대청호 수계에 있는 대표적인 녹조 원인균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가 포함되어 있는 대청호 수계의 담수를 배양용 원수로 사용하여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의 증식에 따른 남조류의 농도 변화를 클로로필 함량 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배양용 원수는 대청호 수계에서 채취한 담수 4L에 하이포넥스원액 10㎖을 첨가하여 1/400배 희석액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배양용 원수를 플라스틱 배양용기(40×30cm)에 4L씩 첨가한 다음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를 옮겨 주었다.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의 초기 재배 밀도는 재배용기의 표면적의 약 1/32 정도를 차지하도록 조정하여 재배를 개시하였다. 좀개구리밥의 경우 실험실 기준으로 약 3일에 한번씩 복제가 이루어지므로 총 18일 동안, 3일 간격으로 배양용 원수를 골고루 희석한 다음 약 50㎖를 취하여 클로로필a 함량을 조사하였다. 배양은 25-35℃ 범위에서, 일장은 2013년 8월 말에서 9월 중순기간 동안 온실에서 배양을 유지하였다. 대조구로는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을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 원수를 사용하였다. The freshwater of Daecheong Lake, which contains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a major cause of green algae in Daecheong water system, was used as raw water for cultiv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cyanobacteria Changes were investigated through chlorophyll content survey. The culture supernatant was adjusted to 1/400 dilution by adding 10 ml of hyponex stock solution to 4 liters of fresh water collected from Daechung water system. 4 L each of the raw water for culture was added to a plastic culture container (40 × 30 cm), and the frog and frog lobes were transferred. The initial cultivation density of duckweed and duckweed was adjusted to be about 1/32 of the surface area of the cultivation vessel and cultivation was started. In the case of duckweed, the replicate was done once every 3 days in the laboratory standard. Therefore, the raw water for culture was diluted evenly every 3 days for 18 days, and about 50 ml of chlorophyll a content was investigated. Cultures were maintained in the greenhouse for 25-35 ° C and for one day at the end of August and mid-September, 2013. As a control, raw water of the broth without added frozen rice and frozen rice was used.

클로로필a 함량 조사는 Yang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 DU®730, BECKMAN COULTER)를 통해 조사하였다. 배양액 1㎖을 에펜도르프 튜브(1.5㎖)에 넣어주고 1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펠렛에 80% 아세톤 1㎖를 첨가하여 펠렛을 풀어주면서 용매와 잘 섞이도록 흔들어 주었다. 용매와 잘 섞인 시료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잘 흔들어주면서 클로로필을 추출하고 1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가 끝난 후 시료의 상층액을 새로운 에펜도르프 튜브(1.5㎖)에 옮겨 주었다. 새로운 에펜도르프 튜브에 옮겨진 추출물을 흡광도 값이 0.3-0.85이 되도록 희석하였고, 350-750nm 측정범위에서 >2nm 간격으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으로부터 Lichtenthaler 등이 제시한 수식(Lichtenthaler and Buschmann, 2001)을 이용하여 클로로필a 함량을 조사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모든 처리구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The chlorophyll-a content was investigated using UV-VIS spectrophotometer DU®730, BECKMAN COULTER using the method of Yang et al. 1 ml of the culture was added to an Eppendorf tube (1.5 ml),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5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removed. 1 ml of 80% acetone was added to the remaining pellet, and the pellet was loosened and shaken to mix well with the solvent. Chlorophyll was extracted from the well mixed sample with shaking well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5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 of the sample was transferred to a new Eppendorf tube (1.5 ml). Extracts transferred to new Eppendorf tubes were diluted to an absorbance value of 0.3-0.85 and absorbance values were determined using an ultraviolet-visible spectrophotometer at> 2 nm intervals in the 350-750 nm measurement range. From the measured absorbance values, the chlorophyll-a content was investigated using Lichtenthaler et al. (Lichtenthaler and Buschmann, 2001). All treat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5. 5. 좀개구리밥의Duckweed 증식에 따른 배양액 내 총 질소 및 인 함량 변화 Changes in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in Cultured Medium by Proliferation

개구리밥보다 증식 속도가 빠른 좀개구리밥을 이용하여 담수조류 중 유해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가 포함되어 있는 대청호 수계의 담수를 배양용 원수로 사용하여 좀개구리밥 증식에 따른 배양액 내 잔류 총 질소 및 인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용 원수는 대청호 수계에서 채취한 담수 4L에 하이포넥스원액 10㎖을 첨가하여 1/400배 희석액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배양용 원수를 플라스틱 배양용기(40×30cm)에 4L씩 첨가한 다음 좀개구리밥 엽상체를 옮겨 주었다. 좀개구리밥 초기 재배 밀도는 재배용기의 표면적의 약 1/32 정도를 차지하도록 조정하여 재배를 개시하였다. 좀개구리밥의 경우 실험실 기준으로 약 3일에 한번씩 복제가 이루어지므로 총 18일 동안, 3일 간격으로 배양용 원수를 골고루 희석한 다음 약 50㎖를 취하여 총 질소 및 인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배양은 25~35℃ 범위에서, 일장은 2013년 8월 말에서 9월 중순 기간 동안 온실에서 배양을 유지하였다. 대조구로는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을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 원수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로는 남조류가 포함되어 있는 배양용 원수를 사용하였다. Using freshwater from Daechung Lake, which contains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a harmful cyanobacterium among the freshwater algae, as a source for culture, the remaining total nitrogen and The contents of phosphorus were investigated. The culture supernatant was adjusted to 1/400 dilution by adding 10 ml of hyponex stock solution to 4 liters of fresh water collected from Daechung water system. 4 L each of the raw water for culture was added to a plastic culture container (40 × 30 cm), and the frog lobes were transferred. The initial cultivation density of duckweed rice was adjusted to be about 1/32 of the surface area of the cultivation vessel and cultivation was started. The total amount of nitrogen and phosphorus was measured by taking about 50 ml of the raw water for 3 days and then diluting the raw water for a total of 18 days. Cultivation was maintained in the greenhouse for 25 ~ 35 ℃, and for the end of August and end of September, 2013. As a control, raw water of the broth without added frozen rice and frozen rice was used. As a control, raw water for culture containing cyanobacteria was used.

총 질소 및 인의 함량은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푸른환경㈜에 의뢰하여 환경부 고시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준하여 수질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질소 함량은 자외선 흡광도분석법을 사용하여 시료 중 모든 질소화합물을 알칼리성 과황산칼륨을 첨가해 120℃ 부근에서 유기물과 함께 분해하여 질산화시킨 후 산성 상태로 하여 홉광도를 220nm에서 측정하고 질산칼륨을 표준용액(100 mg/L)으로 사용하여 검정곡선을 그린 후 비교 정량하였다, 총 인 함량은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분광광도계(visible spectrometer 50CON'C)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배양 배지 내 유기물화합물 형태의 인을 산화 분해하여 모든 인 화합물을 인산염(PO4 3 -) 형태로 변화시킨 다음 몰리브덴산암모늄과 반응하여 생성된 몰리브댄산인암모늄을 아스코빈산으로 환원하고 생성된 몰리브덴산의 홉광도 값 880nm에서 측정하고 인산이수소칼륨(100 mg/ℓ)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여 검정곡선을 그리고 비교 정량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모든 처리구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총 질소 및 총 인의 배양기간별 제거효율은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analysis,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s were requested to Blue Environment Co., Ltd. and water quality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wate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determined by ultraviolet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ll nitrogen compounds in the sample were added with alkaline potassium persulfate and decomposed together with organic matter at 120 ℃, nitrified and acidified. HOP intensity was measured at 220 nm and potassium nitrate (100 mg / L). The total phosphorus content was determined by ascorbic acid reduction method using a visible spectrometer (50CON'C). First, oxidized and decomposed phosphorus in the form of an organic compound in the culture medium to convert all the phosphorus compounds into phosphate (PO 4 3 - ) form and then reacting with ammonium molybdate to produce ammonium molybdate, which is reduced to ascorbic acid Molybdic acid was measured at 880 nm and the calibration curves were compared and quantified using potassium dihydrogenphosphate (100 mg / L) as a standard solution. All treat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removal efficiencies we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총 질소 제거효율(%)=(배양초기 총 질소농도(㎎/ℓ) - 배양후기 총 질소농도(㎎/ℓ))/ 배양초기 총 질소농도(㎎/ℓ) × 100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y (%) =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t the Initial Stage (㎎ / ℓ) - Total Late Nitrogen Concentration (㎎ / ℓ)

총 인 제거효율(%)=(배양초기 총 인농도(㎎/ℓ) - 배양후기 총 인농도(㎎/ℓ))/ 배양초기 총 인농도(㎎/ℓ) × 100
Total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 =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at the initial stage (㎎ / ℓ) -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at the end of culture (㎎ / ℓ)) /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at the initial stage (㎎ /

6. 6.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따른 광 차단 효율 조사 And the light block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liferation of the frog leaf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의 개체수 증가에 따른 물 표면에서 빛의 차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노출계(Light meter LI-250, U.S.A.)를 사용하여 물 표면에서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수 증가에 따른 물 표면 아래에서 광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투명한 배양 접시를 센서부분 위에 얹고 광도를 측정한 후 물을 접시 위 센서부분에 덮도록 첨가한 다음 광도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물 표면(약 3.8 cm2)에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를 초기 2개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그 수를 증가시키면서 물 표면을 완전히 덮을 때까지 15초간 평균 광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모든 처리구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엽상체 수 증가에 따른 광투과도 효율은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locking effect of light on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s of frogs and frogs, light meter (LI-250, USA) was used to measure the light intensity Changes were investigated. First, a transparent culture plate was placed on the sensor part, and the lightness was measured. Then, water was added to cover the sensor part on the plate, and then the brightness was measured. Next, the average brightness was measured for 15 seconds until the surface of the water was completely covered, starting from the initial two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foliage of frogs and frogs on the surface of water (about 3.8 cm 2 ). All treat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The light transmittance efficiency with increasing number of lobes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광투과도 효율(%)= 엽상체 수별 광도(umol/m2s)/엽상체 무처리시 광도(umol/m2s) × 100
Light transmittance efficiency (%) = luminosity by number of lobes (umol / m 2 s) / luminosity without lumber treatment (umol / m 2 s) × 100

7. 7.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의 남조류  And cyanobacterial extract of methanol extract of frog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에Ah 루기노사 증식억제 효과 조사Investigation of the inhibition effect of Luginosa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의 메탄올 추출물이 담수 조류 중 유해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와 녹조류인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의 증식 억제 및 살조 효과 여부를 조사하였다.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를 수거하여 동결건조한 다음 막자사발에 넣고 마쇄하여 건조 파우더를 준비하였다. 남조류 방제 활성이 보고되어 있는 둥굴레 건조 뿌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을 제작하기 위해 곱게 마쇄된 각각의 건조 파우더 0.75g을 25㎖의 100% 메탄올이 들어 있는 튜브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메탄올 추출액을 회수하기 위하여 8,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이 섞이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수거한 상층액을 새 튜브 옮겨 냉동보관한 다음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살조 효과를 조사하였다. 액체 배양을 통해 증식이 이루어진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KCTC AG-20763) 및 클로렐라 불가리스(KCTC AG-10034)의 배양액을 준비한 다음 각각 배양액의 초기 조류 농도를 0.17 ㎍/㎖ 및 0.17 ㎍/㎖로 조정하였다.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 및 클로렐라 불가리스의 배양액 50㎖에 좀개구리밥, 개구리밥 그리고 둥굴레 메탄올 추출액을 희석하여 처리농도가 각각 0, 10, 30, 100, 그리고 300 ㎍/㎖가 되도록 추출액을 첨가한 다음 25℃ 명배양기에서 배양을 개시하였다. 대조구는 0.01%(v/v) 메탄올용액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각 처리구로부터 3일 간격으로 배양액을 회수하여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 및 클로렐라 불가리스의 증식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배양액으로부터 클로로필a 함량을 조사하였다. A little methanol extract of the duckweed and duckweed fronds were examined whether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s and saljo freshwater cyanobacteria algae harmful micro during seutiseu Oh rugi labor and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Chlorella vulgaris) during. The leaflets of frogs and frogs were collected, lyophilized, and then put into a mortar and ground to prepare a dry powder. The dried roots of Dangguul were used as a control. To prepare the methanol extract, 0.75 g of each finely ground powder was added to a tube containing 25 ml of 100% methanol, mixed well, and then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he methanol extract was centrifuged at 8,000 rpm for 20 minutes to recover the supernatant solution carefully so that the precipitate did not mix. The collected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and stored frozen, and the killing effect of Microsysteria eruginosa was examined. (KCTC AG-20763) and chlorella bulgaris (KCTC AG-10034), which had been proliferated through liquid culture, were prepared, and then the initial algal concentrations of the culture broth were adjusted to 0.17 쨉 g / ml and 0.17 쨉 g / Respectively. The extracts were added to 50 ml of the culture medium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chlorella bulgurus to dilute the frozen rice, frog rice and donggulle methanol extracts so th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s were 0, 10, 30, 100, and 300 ㎍ / The culture was started in a 25 ° C incubator. A 0.01% (v / v) methanol solution was added to the control. The culture solution was collected from each treatment at intervals of 3 days to examine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chlorella bulgaris, and the content of chlorophyll-a was examined from the culture solution.

클로로필a 함량 조사는 Yang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를 통해 조사하였다. 배양액 1㎖을 에펜도르프 튜브(1.5㎖)에 넣어주고 1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남은 펠렛에 80% 아세톤 1㎖를 첨가하여 펠렛을 풀어주면서 용매와 잘 섞이도록 흔들어 주고 용매와 잘 섞인 시료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잘 흔들어주면서 클로로필을 추출하고 1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가 끝난 후 시료의 상층액을 새로운 에펜도르프 튜브(1.5㎖)에 옮겨 주었다. 새로운 에펜도르프 튜브에 옮겨진 추출물을 흡광도 값이 0.3-0.85이 되도록 희석하였고, 350-750nm 측정범위에서 >2nm 간격으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으로부터 Lichtenthaler 등이 제시한 수식(Lichtenthaler and Buschmann, 2001)을 이용하여 클로로필a 함량을 조사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모든 처리구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The content of chlorophyll-a was investigated by UV-Visible spectrophotometer using Yang et al. 1 ml of the culture was added to an Eppendorf tube (1.5 ml),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5 minutes, and then the supernatant was removed. To the remaining pellet, 1 ml of 80% acetone was added, and the pellet was loosened. The sample mixed well with the solvent was shaken. The sample mixed well with the solvent was shaken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while extracting chlorophyll and centrifuging at 13,000 rpm for 5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 of the sample was transferred to a new Eppendorf tube (1.5 ml). Extracts transferred to new Eppendorf tubes were diluted to an absorbance value of 0.3-0.85 and absorbance values were determined using an ultraviolet-visible spectrophotometer at> 2 nm intervals in the 350-750 nm measurement range. From the measured absorbance values, the chlorophyll-a content was investigated using Lichtenthaler et al. (Lichtenthaler and Buschmann, 2001). All treat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클로로필a 함량 상대비교는 각각의 배양기간별 대조구의 클로로필a 함량을 100%로 환산하여 각 식물별 처리구를 단순비교하였다.
The chlorophyll - a content of each plant was compared with the chlorophyll - a content of each control.

실시예Example 1. 식물 배양 배지 종류, 및 무기염류 농도에 따른  1.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culture medium and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salts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생장률 변화 최적 증식 조건 규명 And Growth Rate of Frozen Rice

개구리밥(Spirodela) 및 좀개구밥(Lemna)의 엽상체 증식에 미치는 대표적인 식물조직배양 배지의 무기염류 농도를 조사한 결과 좀개구리밥 엽상체의 증식에는 SH 배지 보다는 MS 배지가 10배 이상으로 증식효율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표 3). 이는 배지에 존재하는 질소, 인 등 무기염류의 농도가 MS 배지가 더 높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배양 후 4일 간격으로 3주 정도 개체 계수 결과 좀개구리밥은 초기보다 최소(1배 MS 배지) 75배에서 최대(1/4배 MS 배지) 150배 이상 개체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구리밥의 엽상체의 경우도 좀개구리밥과 마찬가지로 MS 배지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organic salt concentration of representative plant tissue culture medium on the thrips proliferation of Spirodela and Lemna , it was found that MS medium was more than 10 times more efficient than SH medium (Table 3). This is probably due to the higher concentration of inorganic sal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present in the medium. As a result, the number of populations of duckweed increased more than 150 times at the maximum (1/4 times MS medium) at the minimum (1 times MS medium) 75 tim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MS medium wa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the foliage of frogs.

배지의 무기염류 농도가 엽상체 증식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좀개구리밥의 경우는 무기염류 농도가 높은 1배 MS 배지 보다는 무기염류의 농도를 1/2배 또는 1/4배로 희석한 배양 배지 조건에서 증식속도가 더 빠름을 알 수 있었다(표 3, Lemna). MS 배지 무기염류의 농도를 1/2배 또는 1/4배로 희석한 배양 조건에서는 배지 1배 MS 배지보다 1.4배에서 1.9배 정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무기염류의 농도가 1/8배 이상으로 희석될 경우는 증식속도가 1.2배 증가하여 오히려 엽상체 증식 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지 농도가 낮아질수록 백화된 개체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MS 배지의 무기염류 농도는 1/2배 또는 1/4배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좀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에 최적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SH 배지의 무기염류의 농도가 좀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도 MS 배지와 마찬가지로 희석을 하는 것이 증식속도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전체적으로 MS 배지의 경우보다 증식속도가 크게 낮아졌다. 개구리밥의 엽상체의 경우는 좀개구리밥의 경우와 달리 MS 배지 무기염류의 농도를 희석한 경우보다는 1배 MS 배지에서 증식이 더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표 3, Spirodela). SH 배지에서 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은 좀개구밥과 마찬가지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개구리밥의 엽상체의 경우는 좀개구리밥보다 질소, 인 등 무기염류의 농도가 더 높은 조건에서 생장이 이루어지는 식물체로 사료된다.The effect of inorganic salt concentration on the growth rate of thallus was investigated in the culture medium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salts was diluted 1/2 times or 1/4 times that of 1 times MS medium with high inorganic salt concentration And the growth rate was faster (Table 3, Lemna ). MS culture medium was diluted 1.4 times to 1.9 times that of MS culture medium. However, when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salts was diluted more than 1/8 times, the rate of proliferation increased by 1.2 times, and the rate of proliferation of the fronds decreased. In addition, as the concentration of the medium was lowered, many whitened individuals occurre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ilution of the inorganic salt concentration in the MS medium was 1/2 or 1/4 times the optimum condition for thallus growth of frozen rice.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the inorganic salt concentration of the SH medium on the proliferation of the frog lobster thallus, the dilution similarly to the MS medium helps to increase the propagation speed, but the proliferation rate is lower than that of the MS medium as a whole. In the case of the foliage of frogs, the growth was more favorable in the 1 × MS medium than in the dilution of the MS medium inorganic salts, unlike the frozen rice (Table 3, Spirodela ). The leaf growth of frog rice in SH mediu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rozen ri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oliage of frog rice is grown under conditions of higher concentration of inorganic sal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than that of frozen rice.

좀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속도를 비교해 보면 최적 배양 조건인 1/2배 MS 배지에서 좀개구리밥 엽상체의 경우 약 3주 배양 후 초기 접종량에 비해 약 110배 이상의 개체수 증식이 이루어졌으나 개구리밥의 경우 동일 배양 조건에서 약 9배의 개체수 증가가 이루어져 좀개구리밥이 개구리밥에 비해 엽상체 증식속도가 약 10배 이상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증식속도의 차이는 좀개구리밥이나 개구리밥이 비록 동일한 분류군에 속하는 식물체이지만 수변 생태환경의 적응성이나 영양 요구성 등 생리적 특성이 상이한 식물체임을 암시하는 결과라 사료된다. 따라서 각 개구리밥 엽상체를 이용하여 수질정화나 조류 발생 억제 등 산업적 활용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질 경우 수질 환경조건에 따라 개구리밥 식물의 단독 또는 혼합 재배를 통해 엽상체 증식의 극대화가 이루어지면 수질 오염원의 제거나 녹조 방제 등 산업적 활용에 더욱 효과적인 모델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In the comparison of the growth rate of the foliar growth of the frog rice and the frog rice, the growth rate of the frog rice was about 11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initial inoculation after about 3 weeks of cultivation in the frozen rice frond,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rate of thrips was 10 times faster than that of frogs. The difference in the growth rate is suggested to be that the frogs and frogs are plants belonging to the same taxa but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daptability and nutritional requirements of the waterside ecology are different. Therefore, when an attempt is made for industrial application such as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or prevention of algae occurrence by using the frangipani fronds, if foliar growth is maximized through single or mixed cultivation of frog plant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nstruct more effective model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Figure 112014004242922-pat00002
Figure 112014004242922-pat00002

실시예Example 2. 식물 생장조절제를 이용한  2. Using plant growth regulators 좀개구리밥Frogfish 엽상체 증식속도 증가 Increase of thyroid growth rate

좀개구밥의 엽상체 증식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1/2배 MS 배지에서 증식된 좀개구리밥 엽상체의 수는 배양 1주일 경과 후 8.4배가 증가하였으며 배양 2주일 경과 후 147.8배로 증가했다(도 1). 그러나 배양 2주 경과 후에는 백색 또는 갈변 고사되는 개체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도 2A). 싸이토키닌 처리구인 1 mg/ℓ 벤질아데닌 처리구에서 증식된 엽상체의 수는 배양 1주일 경과 후 7.8배 증가하여 대조구와 거의 유사한 속도로 엽상체 증식이 이루어졌지만 배양 2주 후에는 164.2배로 증가하여 대조구에 비해 배양이 지속될 수록 엽상체 증식속도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도 1). 1 mg/ℓ 벤질아데닌 처리구에서 좀개구리밥 증식속도는 대조구보다 약 11% 증가하여 1.1배 높음을 알 수 있었다(도 1). 또한 배양 2주 후 대조구에 보였던 갈변 및 고사되는 개체들의 빈도도 크게 감소하여 배양이 장기화되어도 녹색을 유지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B). 1 mg/ℓ 피라박틴 처리구에서는 증식된 엽상체의 수가 배양 1주일 경과 후는 10.4배 증가하였으며, 배양 2주 후에는 183.4배 증가하여 대조구 보다 엽상체 증식속도가 24% 증가하여 1.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 그러나 1 mg/ℓ피라박틴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서 보였던 갈변 및 고사 개체들이 관찰되었다(도 2C). 벤질아데닌과 피라박틴의 혼용처리구에서는 증식된 엽상체의 수가 배양 1주일 경과 후는 6.6배 증가하지만 배양 2주 후에는 232.4배로 크게 증가하여 대조구 보다 엽상체 증식속도가 57% 증가하여 1.5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 또한 배양 2주 후에도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조구에 보였던 갈변 및 고사되는 개체들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녹색을 유지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D).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좀개구리밥 엽상체의 증식속도는 벤질아데닌이나 피라박틴의 단독처리보다는 벤질아데닌과 피라박틴의 혼용처리구가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좀개구리밥 엽상체의 증식속도 향상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바이오매스 생산성 증가와 직접적인 상관이 있다. 따라서 식물생장조절제 처리를 통한 증식속도 향상은 개구리밥 식물체를 이용한 수질정화나 조류 발생 억제 및 가축사료 등 산업적 활용을 위한 매우 중요한 조절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thallus growth of the rice frozen rice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frog thrips grown in the 1/2 × MS medium was increased 8.4 times after 1 week of incubation and increased to 147.8 times after 2 weeks of incubation (Fig. 1). However, after two weeks of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dividuals that were white or browned (FIG. 2A). In the cytokinin treatment, 1 mg / ℓ benzyladenine increased the number of thalli after 7 weeks of incubation. The number of thalli were increased by 7.8 fold, The growth rate of the thallus was further improved as the culture was continued (FIG. 1). In the 1 mg / l benzyladenine treatment, the rate of proliferation of mugwort was 1.1%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Fig. 1).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browning and decaying individuals, which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2 weeks after the culture, was greatly decrease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greenness was maintained even when the culture was prolonged (FIG. 2B). In the case of 1 mg / ℓ pyramatine treatment, the number of proliferated fronds increased 10.4 times after 1 week of incubation and 183.4 times after 2 weeks of incubation, One). However, browning and dead bodies were observed in the 1 mg / l pyrabatin treated control (Fig. 2C). In the mixed treatment with benzyladenine and pyrabatin, the number of proliferated fronds increased 6.6 times after 1 week of incubation but increased to 232.4 times after 2 weeks of incubation. The rate of proliferation of fronds was increased by 57% and 1.57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1). In addition, even after 2 weeks of culture, it was observed that the browning and decaying individuals, which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remained almost nonexistent and maintained green (FIG. 2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roliferation rate of the frog thrips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benzyl adenine or pyrabatine alone. The increase in the growth rate of the frog lobster is ultimately direct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biomass productivit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rowth rate of plant growth regulators is very important for th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inhibition of algal bloom, and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livestock feed.

실시예Example 3. 상업용  3. Commercial 하이포넥스Hyponex 희석 농도에 따른  Depending on dilution concentration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생장률 변화 최적 증식 조건 규명 And Growth Rate of Frozen Rice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가 고농도로 존재하는 수용액에서 좀개구밥 및 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여부를 조사하였다(도 3). 좀개구리밥은 물론 개구리밥 엽상체는 모두 1/10배(질소 0.6%, 인 1%, 칼륨 0.5%), 1/30배(질소 0.2%, 인 0.34%, 칼륨 0.17%) 이상의 고농도 하이포넥스용액에서는 개체 증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1/100배 하이포넥스용액(질소 0.06%, 인 0.1%, 칼륨 0.05%)에서도 두 식물체 모두 증식은 가능하지만 상기의 1/2배 MS 배지 조건에 비해 증식속도가 약 2배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1/300배와 1/1,000배 하이포넥스용액에서는 1/2배 MS 배지 조건과 비슷한 속도로 일주일 동안 초기 개체수에 비해 6배 증가하여 개체 증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3A). 개구리밥의 경우도 좀개구리밥과 마찬가지로 고농도의 하이포넥스용액에서는 증식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저농도에서는 활발하게 개체 증식이 이루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3B). 이상의 결과는 좀개구리밥이나 개구리밥의 엽상체의 경우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농도의 질소나 인이 존재하는 재배환경에서는 오히려 개체 증식이 어렵다는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개구리밥 엽상체를 이용한 수질 정화 등 야외 환경생태 조건에서 적용시 최적 배양 염류농도를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축산폐수 등 오염원의 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 개구리밥 식물체의 단계적인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rice leaf and frog rice were lyophiliz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Fig. 3). In high-concentration hyponex solutions of 1/10 times (1 / 10th of nitrogen, 1% of phosphorus, 0.5% of potassium), 1/30 times (0.2% of nitrogen, 0.34% of phosphorus and 0.17% of potassium) No proliferation was achieved. However, even in the case of 1/100 times Hyponex solution (0.06% of nitrogen, 0.1% of phosphorus, 0.05% of potassium), both plants were able to proliferate, but their growth rate was reduced by about 2 times compared to the 1/2 times of MS medium. However, in 1/300-fold and 1 / 1,000-fold Hyponex solution, the growth rate was 6 times that of the initial population for one week at a rate similar to 1/2 times the MS medium condition, . In the case of frog rice, the growth was not observed in the high-concentration hyponex solution as in the case of the frog rice,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growth of the frog was actively observed at the low concentration (FIG. 3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th of the foliage of Fagus cuspidis or Fagus cuspidata is difficult to grow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where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r phosphorus is too high or too low. The optimal culture salt concentration should be maintained when applied. In addition, if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such as livestock wastewater are too high, it should be applied gradually.

실시예Example 4.  4.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이 배양액 내 클로로필a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um

1. 대청호 담수의 현미경 관찰을 통한 1.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of fresh water in Daecheongho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에루기노사Aeruginosa 존재 확인 Check presence

녹조 현상이 발견된 대청호 인근 옥천군 추소리에서 배양액 원수를 채취하였다. 대조구로는 사용한 원수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물속에는 녹조의 원인균인 남조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가 포함되어 있음을 현미경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4). 유해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는 다양한 모양의 군체로 물 위에 떠 있었으며(도 4A), 고배율로 관찰한 결과 녹색의 구형 모양의 개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도 4B).
The source of the culture water was collected from Chuseori, Ochin - gun near Daecheong - ho where the algae phenomenon was found.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raw water used as a control sample revealed that the water contained a cyanobacterial microsistema eruginosa, which is a causative organism of green alga (FIG. 4).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a harmful cyanobacteria, floated on water with various shapes of colonies (Fig. 4A), and it was composed of green spherical individuals as a result of high magnification (Fig. 4B).

2. 대청호 담수에서 배양 기간별 2. In Daecheong-ho fresh water culture period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 밀도 변화 And frog leaf thrips growth density

배양액 원수에 담수조류 중 유해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는 MS 배지나 하이포넥스 희석액에 배양한 경우와 거의 유사한 속도로 엽상체 증식이 이루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5). 좀개구리밥의 경우 초기 엽상체 접종 밀도가 배양용기 표면의 약 1/32에 불과하였지만(도 5A) 개체 복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배양 9일경에는 배양용기 표면의 전면을 거의 덮을 정도로 개체 증식이 이루어졌다(도 5D). 배양기간이 증가하면서 초기에 투입된 영양 염류의 농도 변화로 일부 개체는 백색으로 퇴화되면서 죽기 시작하였지만 실험기간 동안 녹색을 띠면서 배양용기 표면을 덮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5F). 반면에 개구리밥의 경우는 좀개구리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체 복제 속도가 늦음을 알 수 있었다. 초기 개구리밥 엽상체 접종 밀도가 배양용기 표면의 약 1/32이었으며(도 5A) 약 3일 간격으로 개체 복제가 이루어져 배양 18일 경과 후에야 비로소 배양용기 표면의 전면을 덮을 수 있었다(도 5F). 이상의 결과는 남조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존재가 좀개구리밥이나 개구리밥의 엽상체 증식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들 서로 간에 질소, 인 등 양분에 대한 경쟁을 하는 관계임을 나타내는 결과라 사료된다.
Despite the presence of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a harmful cyanobacteria among the freshwater algae in the source of the culture, it was observed that the thalli of frogs and frogs were grown at a rate similar to that of MS or Hyponex dilution (Fig. 5). In the case of duckweed, the initial thallus inoculation density was only about 1/32 of the surface of the culture container (FIG. 5A), but individual reproduction was actively carried out. 5D). As the incubation period increased, some individuals became depleted to white due to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itially introduced, but they were found to cover the surface of the culture vessel with green during the experiment (FIG. 5F).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rog rice, it was found that the reproduction rate of the frog was slower than that of the frog. The density of the initial frog lobe thallus inoculation density was about 1/32 of the surface of the culture container (FIG. 5A), and individual replication was performed at intervals of about 3 days,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culture container could be covered only after 18 days of culture (FIG. 5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microcystis aeruginosa in cyanobacteria has little effect on the growth of leaflet of frogs or frogs and that they are in competition for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3. 3.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따른 배양액의 클로로필 함량 변화 And chlorophyll content of cultured broth following frog lobe growth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의 증식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배양액 내의 클로로필a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액 원수로 사용한 대청호 담수 대조구의 클로로필a 초기 농도는 0.23±0.07 ㎍/㎖이었다(도 6). 배양기간이 증가할수록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남조류의 농도 증가가 육안식별이 가능할 만큼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다. 대조구의 경우 배양 6일째 클로로필a 함량이 2.41±0.1 ㎍/㎖로 초기에 비해 약 10배가량 농도 증가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도 6). 배양 9일 경과 후 클로로필a 함량은 2.09±0.08 ㎍/㎖로 매우 높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육안으로는 녹색의 정도가 가장 심한 상황이었지만 남조류의 응집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군체를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배양 12일 이후 배양 대조구의 클로로필a 농도는 크게 감소하였지만 0.8 ㎍/㎖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도 6). 배양 12일 이후 대조구의 클로로필a 농도가 감소한 이유로 제한된 영양 염류 조건에서 남조류의 대량 발생을 통한 양분 감소도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그보다는 배양 9일째부터 시작된 남조류의 응집현상의 심화로 시료 채취시 남조류의 군체를 완전하게 분산시키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클로로필a 함량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추측된다. Changes in the chlorophyll - a content in the broth during the period of proliferation of frogs and frogs were investigated.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was 0.23 ± 0.07 ㎍ / ㎖ in the fresh water control of Daecheongho used as the culture medium (Fig. 6). As the incubation period increased,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yanobacteria contained in the culture solution was accelerated so that the naked eye could be identified. In the case of control, chlorophyll-a content was 2.41 ± 0.1 ㎍ / ㎖ on the 6th day of cultiv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creased about 10 times as compared with the initial concentration (Fig. 6). After 9 days of incubation, chlorophyll - a content was found to be very high at 2.09 ± 0.08 ㎍ / ㎖, and the degree of greenness was the highest in the naked eye. However, And it was observed that After 12 days of culture, the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broth was greatly decreased, but maintained at over 0.8 ㎍ / ㎖ (Fig. 6). The decrease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the control after 12 days of cultivation is presumed to be caused by the decrease of nutrients due to the mass production of cyanobacteria under the limited nutrient conditions. However, the coagulation phenomenon of cyanobacteria started from the 9th day of cultivation, It is presumed that the chlorophyll-a content is relatively undervaluated.

좀개구리밥의 증식이 이루어지는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에서 클로로필a 함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배양 6일째에서 클로로필a 함량이 0.74±0.03 ㎍/㎖로 대조구에 비해 약 3.3배나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배양용기의 수표면을 모두 덮는 시기인 배양 9일째 0.75±0.06 ㎍/㎖로 최고조에 달한 이후 배양 12일부터는 클로로필a 함량이 크게 감소하여 0.2~0.3 ㎍/㎖ 수준을 유지하였다(도 6). 좀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배양 개시 6일을 기점으로 대조구에 비해 배양액 내 클로로필a 농도가 3배 이상 낮아지게 되며 이러한 남조류 발생 억제는 좀개구리밥의 개체수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계속 유지되어 배양 18일 경과 후에도 대조구에 비해 약 3배의 남조류 발생억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6). 또한 배양 18일 경과 후 배양액을 방치한 다음 육안으로 배양액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좀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클로로필 함량이 감소하였음을 육안으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하였다(도 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좀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배양용기의 표면을 전부 덮은 시점을 기준으로 배양액의 클로로필a 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좀개구리밥의 증식이 이루어지면 남조류의 발생이 크게 억제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사료된다. 그러나 좀개구리밥 처리구에서도 배양 초기 증식이 이루어졌던 남조류의 군체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배양용기의 가장자리나 엽상체의 표면에 부착하여 존재하였다. The chlorophyll - a content was 0.74 ± 0.03 ㎍ / ㎖ at the 6th day when the chlorophyll - a content reached the peak in the control. The chlorophyll-a conten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day 12 after culture reached the peak at 0.75. + -. 0.06 .mu.g / ml on the 9th day of culture, which is the period of covering all the water surface of the culture container (FIG. 6).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in the culture broth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6 days after initiation of culture. The inhibition of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was continued with increasing number of frog rice, and after 18 days of culture, (Fig. 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fter 18 days of incubation, the culture medium was left to stand, and the culture broth was compared with the naked eye. As a result, the chlorophyll content of the frozen rice was sligh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lorophyll a content of culture broth can be greatly reduc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surface of the culture vessel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frozen ric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ccurrence of blue - green algae can be greatly suppressed if the proliferation of frogs is carried out. However, the cyanobacterial colonies which were initially grown in the fungus treatments were not completely removed but adhered to the edges of the culture vessels or to the surface of the fronds.

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에서 클로로필a 함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배양 6일째에서 클로로필a 함량이 1.41±0.08 ㎍/㎖로 대조구에 비해 약 1.7배 감소하였다. 배양용기의 수표면의 절반을 덮는 시기인 배양 12일째 클로로필a 함량은 0.79±0.05 ㎍/㎖이었으며 배양용기의 수표면을 모두 덮는 시기인 배양 15일째 클로로필a 함량은 0.59±0.03 ㎍/㎖이었다(도 6). 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배양 개시 6일을 기점으로 대조구에 비해 배양액 내 클로로필a 농도가 1.8배 이상 낮아지게 되며 이러한 남조류 발생 억제는 개구리밥의 개체수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계속 유지되어 배양 18일 경과 후에도 대조구에 비해 약 1.5배의 남조류 발생억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배양 18일까지는 클로로필a 함량이 0.54 ㎍/㎖ 수준을 유지하였다. 배양 18일 경과 후 배양액을 방치한 다음 육안으로 배양액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도 클로로필 함량이 감소하였음을 육안으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하였다(도 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배양용기의 표면을 전부 덮은 시점을 기준으로 배양액의 클로로필a 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개구리밥의 증식이 이루어지면 남조류의 발생이 크게 억제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사료된다. 그러나 개구리밥의 남조류 발생 억제 효과는 좀개구리밥의 경우보다 절반 정도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개구리밥의 경우 좀개구리밥의 경우보다 엽상체의 크기가 커서 수표면을 덮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그 기간 동안 존재하는 남조류의 증식이 이루어져서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대조구의 배양액에서 보였던 남조류의 군체 발생 현상은 개구리밥에서도 크게 감소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배양용기의 가장자리나 엽상체의 표면에 부착하여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개구리밥 엽상체의 대량 증식은 남조류나 녹조류의 발생 억제 수단으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chlorophyll - a content was 1.41 ± 0.08 ㎍ / ㎖ at the 6th day when the chlorophyll - a content reached the peak in the control. The chlorophyll-a content was 0.79 ± 0.05 ㎍ / ㎖ on the 12th day of culturing, which is the half of the water surface of the culture vessel, and the chlorophyll-a content was 0.59 ± 0.03 ㎍ / ㎖ on the 15th day of culture, 6).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 cultured broth was lowered by 1.8 times than that of the control at 6 days after initiation of culture. The inhibition of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was continued with increasing populations of frog rice, and after 18 days of culture, 1.5 times of inhibition of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was found. The amount of chlorophyll - a was maintained at 0.54 ㎍ / ㎖ until the 18th day of culture. After 18 days of incubation, the culture broth was left to stand, and the culture broth was compared with the naked eye. As a result, the chlorophyll content of the frozen rice was also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Fig. 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lorophyll a content of the culture broth can be greatly reduc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surface of the culture vessel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frozen ric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can be greatly suppressed when the frog rice is proliferated. However,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in frog rice was about half that of frog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foliage size of the frog ri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frog ric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c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occurrence of colony of cyanobacteria in the culture of control was greatly decreased in frozen rice but it was not attached completely to the edge of the culture vessel or the surface of thallu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mass proliferation of leaf thrips in frog leopard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means to inhibit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and green algae.

실시예Example 5.  5. 좀개구리밥Frogfish 배양액 내 총 질소 및 인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in culture

1. One. 좀개구리밥Frogfish 엽상체 증식에 따른 배양액의 총 질소 함량 변화 Changes in Total Nitrogen Content of Cultured Livers by Thoracic Proliferation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남조류의 대량 증식이 이루어짐에 따라 대조구의 경우 배양액 내 총 질소의 함량 감소가 이루어졌다(도 8). 대조구의 총 질소 함량은 배양 3일째 157.1±0.03 mg/ℓ에서 출발하여 남조류의 대량증식이 이루어지는 배양 9일째 93.26±0.01 mg/ℓ로 큰 폭의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배양 18일째까지 총 질소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38.21±0.01 mg/ℓ로 낮아졌으며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총 질소의 함량이 초기에 비해 약 75.7%가 제거되었다. 대조구의 경우 남조류의 증식과정에 이들 질소원이 사용되어 감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As a result of the mass proliferation of the cyanobacteria contained in the culture, the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culture medium was reduced in the control (FIG. 8).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the control group started from 157.1 ± 0.03 mg / ℓ on the 3rd day of cultivation, and decreased to 93.26 ± 0.01 mg / ℓ on the 9th day of cultivation in which cyanobacterial mass was proliferated. After 18 days of culture, the total nitrogen content decreased continuously to 38.21 ± 0.01 mg / ℓ,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by 75.7%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 In the control group, these nitrogen sources were used for the proliferation of cyanobacteria.

좀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총 질소 함량은 배양 3일째 148.5±0.03 mg/ℓ에서 출발하여 배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엽상체의 증식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면서 지속적인 감소가 이루어졌다(도 8). 대조구에서 남조류의 대량증식이 이루어지는 배양 9일째에 좀개구리밥 처리구에서는 좀개구리밥의 증식으로 물 표면적을 거의 점유하는 시기로 총 질소 함량은 109.9±0.01 mg/ℓ로 대조구에서 보였던 큰 폭의 총 질소 함량 감소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배양 9일 이후 좀개구리밥이 물 표면을 완전히 덮을 정도로 개체수 증식이 이루어진 이후로는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크게 증가하여 배양 18일째는 25.7±0.01 mg/ℓ에 달하여 초기에 비해 약 82.7%의 총 질소 제거가 이루어졌으며 대조구에 비해 총 질소 제거 효율이 약 9.2% 증가하였다(도 8). 이와 같은 총 질소 제거 효율은 비록 초기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남조류의 증식을 통해 제거되는 효과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지만 좀개구리밥이 증식이 이루어지면 남조류의 증식이 크게 억제되는 결과(도 6)와 연관시켜 보면 좀개구리밥의 대량증식에 의해 총 질소의 제거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좀개구리밥을 포함한 개구리밥 엽상체의 대량증식은 담수 및 오염수에서 유해 녹조 원인균의 생존 및 증식에 필요한 총 질소원을 제거하여 녹조의 발생 억제는 물론 오염수의 수질정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the mugwort rice treatments was 148.5 ± 0.03 mg / ℓ at the third day of cultivation, and the growth of the thallus was rapidly accelerated as the incubation period was increased (FIG. 8).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109.9 ± 0.01 mg / ℓ at 9 days after the growth of cyanobacteria in the control.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109.9 ± 0.01 mg / ℓ. . However, after 9 days of cultivation, the 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opulation growth was so complete that the frog was completely covered with water. The total nitrogen uptake increased to 25.7 ± 0.01 mg / ℓ at 18 days after culture and about 82.7% Nitrogen removal was performed and the 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by about 9.2% compared to the control (FIG. 8). The 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y may include the effect of removing the cyanobacteria contained in the initial culture solution, but the result is that the proliferation of the frog is greatly inhibited by the growth of the cyanobacteria (Fig. 6) This suggests that the removal of total nitrogen by the mass proliferation of frog rice was very rapi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ss proliferation of frog lobes including frog rice can be used as a means of purifying polluted water as well as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green algae by removing the total nitrogen source necessary for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the causative organisms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2. 2. 좀개구리밥Frogfish 엽상체 증식에 따른 배양액의  The culture medium 총 인Gun person 함량 변화 Content change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총 인의 함량의 경우도 총 질소 함량과 마찬가지로 좀개구리밥의 증식에 따라 감소가 이루어졌으며 대조구에 비해 약 45.2% 제거 효율이 증가하였다(도 9).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남조류의 대량 증식이 이루어짐에 따라 대조구의 경우도 배양액 내 총 인의 함량 감소가 이루어졌다. 대조구의 총 인함량은 배양 3일째 136.2±0.03 mg/ℓ에서 출발하여 남조류의 대량증식이 이루어지는 배양 9일째 119.2±0.3 mg/ℓ로 큰 폭의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배양 18일째까지 총 인의 함량은 완만한 속도로 감소하여 116.4±0.02 mg/ℓ로 낮아졌으며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총 인의 함량이 초기에 비해 약 14.6%가 제거되었다. 대조구의 경우 남조류의 증식과정에 인 성분들이 사용되어 감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tent of total phosphorus in the culture was decreased as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decreased by the proliferation of duckwe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by about 45.2% compared to the control (FIG. 9). The amount of total phosphorus in the culture broth was decreased in the case of control as the massive growth of cyanobacteria contained in the culture broth. The total phosphorus content of the cont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36.2 ± 0.03 mg / ℓ on the third day of culture to 119.2 ± 0.3 mg / ℓ on the 9th day of cultivation in which cyanobacteria were mass - grown. The content of total phosphorus was decreased to 116.4 ± 0.02 mg / ℓ at the gentle rate until the 18th day of culture, and the content of total phosphorus in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by about 14.6%. In the case of control, phosphorus was used for the proliferation of cyanobacteria, and the decrease was observed.

좀개구리밥 처리구의 경우 총 인 함량은 배양 3일째 133.05±0.01 mg/ℓ에서 출발하여 배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엽상체의 증식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면서 지속적인 감소가 이루어졌다. 대조구에서 남조류의 대량증식이 이루어지는 배양 9일째에 좀개구리밥 처리구에서는 좀개구리밥의 증식으로 물 표면을 거의 점유하는 시기로 총 인 함량은 122.9±0.01 mg/ℓ로 대조구에서 보였던 큰 폭의 총 질소 함량 감소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배양 9일 이후 좀개구리밥이 물 표면을 완전히 덮을 정도로 개체수 증식이 이루어진 이후로는 총 인의 제거 효율이 크게 증가하여 배양 18일째는 104.8±0.03 mg/ℓ에 달하여 초기에 비해 약 21.2%의 총 인 제거가 이루어졌으며 대조구에 비해 약 45.2%가량 총 인 제거 효율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총 인 제거 효율은 비록 초기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남조류의 증식을 통해 제거되는 효과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지만 좀개구리밥의 증식이 이루어지면 남조류의 증식이 크게 억제되는 결과(도 6)와 연관시켜 보면 좀개구리밥의 대량증식에 의해 총 인의 제거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좀개구리밥을 포함한 개구리밥 엽상체의 대량증식은 담수 및 오염수에서 유해 녹조 원인균의 생존 및 증식에 필요한 총 인성분을 제거하여 녹조의 발생 억제는 물론 오염수의 수질정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total phosphorus content of duckweed rice was 133.05 ± 0.01 mg / ℓ on the 3rd day of cultivation, and the growth of thallus grew rapidly with the incubation period. The total phosphorus content was 122.9 ± 0.01 mg / ℓ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control was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On the 9th day of cultivation in which cyanobacterial growth was observed in the control, . However, after 9 days of cultivation, the removal efficiency of total phosphoru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opulation growth to the extent that the frozen rice completely covered the surface of the water, reaching 104.8 ± 0.03 mg / ℓ on the 18th day of culture and about 21.2% The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by 45.2% compared with the control. Although the total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may include the effect of removing the cyanobacteria contained in the initial culture solution, the proliferation of the cyanobacteria is greatly inhibited by the proliferation of the frog (Fig. 6)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emoval of total phosphorus was proceeded very rapidly by mass proliferation of frog ri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massive proliferation of frog lobes including frog rice can be prevented by eliminating the total phosphorus component necessary for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the causative organism causing harmful kelin in fresh water and contaminated water, Is expected to be possible.

실시예Example 6.  6.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엽상체 증식에 따른 광 차단 효율 조사 And the light block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liferation of the frog leaf

물 표면에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 수 증가에 따라 물 표면 아래에서는 광투과도가 크게 감소하며 광의 차단 효과는 엽상체 수가 증가하여 표면적을 완전히 덮을 때까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도 10). 좀개구리밥의 경우 엽상체의 면적이 작아 물 표면을 모두 덮는데 약 26개의 엽상체가 요구되었으며 완전히 덮게 되면 식물체가 전혀 없을 때 광투과도 100%(82.73 umol/m2s)와 비교하면 광도가 26.11±2.2%(21.6 umol/m2s)로 약 74%의 광투과도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개구리밥의 경우는 약 10개의 엽상체가 존재하면 물 표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었으며 식물체가 전혀 없을 때 광투과도 100%(80.68 umol/m2s)와 비교하면 광투과도가 15.28±3.7%(12.33 umol/m2s)로 약 85%의 광투과도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좀개구리밥과 개구리밥의 엽상체 면적 차이에 따른 결과라 사료되며 엽상체 면적이 큰 개구리밥이 좀개구리밥에 비해 적은 수로도 빛 차단 효과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개구리밥 엽상체 사이의 공간에 크기가 작은 좀개구리밥 엽상체가 존재하면 광투과도가 더욱 증가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좀개구리밥과 개구리밥 엽상체를 1:1 비율로 준비하여 엽상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광투과도 차단효과를 조사하였다.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의 혼합처리구의 경우 식물체가 전혀 없을 때 광투과도 100%(82.26 umol/m2s)와 비교하면 엽상체 수가 8개(좀개구리밥 4개+개구리밥 4개)가 되었을 때 광투과도가 30.26±1.5%(24.89 umol/m2s)로 약 69.7%의 광투과도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엽상체 수가 12개가 되면 물 표면을 완전히 덮는 단계에 달하며, 이때 광투과도는 14.84±1.4%(12.23 umol/m2s)로 약 86.2%의 광투과도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도 10). 혼합처리구에서 광투과 차단 효과는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의 단독 처리구에서 각각의 엽상체 수 처리구에서의 광투과도 감소량 합과 거의 유사한 수치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좀개구리밥과 개구리밥의 혼합처리구의 경우 더욱 적은 엽상체 수가 존재하여도 유사한 광투과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구리밥의 엽상체 사이에 존재하는 빈공간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좀개구리밥 엽상체가 존재하였을 때 광투과율 차단 효과가 더욱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라 사료된다. 개구리밥 엽상체를 이용한 물 표면에서 광투과도 차단효과에 대한 결과는 개구리밥 엽상체가 물 표면을 덮을 경우 비록 빛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 표면 아래에서 약 75~85%의 빛을 차단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물 표면 아래에서 생육하는 유해 녹조 원인균들의 효율적인 생장 억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호수나 저수지 등 담수원에서 좀개구리밥이나 개구리밥이 물 표면에 우점하게 되면 남조류 등 녹조 원인균의 생존에 필요한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유해 녹조의 대량발생 조기 예방 및 억제 수단으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나아가 증식된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엽상체는 쉽게 채집이 가능하므로 회수된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어류나 축산 사료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t was found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is greatly reduced below the water surface and the light blocking effect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lobes until the surface area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fronds and frog rice fronds on the water surface (Fig. 10). In the case of duckweed, 26 leafs were required to cover all the water surface because the leaf area was small. When the plant was completely covered, the luminosity was 26.11 ± 2.2 compared with 100% (82.73 umol / m 2 s) in% (21.6 umol / m 2 s ) it was found yirueojim the light transmission reduction of approximately 74%. In the case of frog rice, about 10 lobes were able to completely c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as 15.28 ± 3.7% (12.33 μmol / m 2 ) when compared to the light transmittance of 100% (80.68 μmol / 2 s) showed a decrease in light transmittance of about 85%. This result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leaf area between duckweed and duckweed.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light shielding is significant even when the number of ducklings is larger than that of duckwe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light transmittance increases even in the presence of small frangipani thrips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ds, the ratio of 1: 1 fronds and frog fronds was prepared and the effect of blocking light transmission Respectively. The light transmittance was lower in the mixed treatments of frog rice and frog rice than that of 100% (82.26 umol / m 2 s) when there were no plants at the time of 8 plants (4 frog rice + 4 frog rice) 30.26 ± 1.5% (24.89 umol / m 2 s),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as reduced by about 69.7%. When the number of fronds was 12, the surface of the water was completely covered. At this time, the light transmittance was 14.84 ± 1.4% (12.23 μmol / m 2 s),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as decreased by about 86.2% (FIG. The light transmission blocking effect in the mixed treatment was almost similar to the sum of the decrease in the light transmittance in the treatments of individual hawks and frogs,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mbined treatment of duckweed and frozen rice showed a similar effect of reducing the light transmittance even in the presence of fewer fronds. In the presence of relatively small flea fronds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leaflets of frog,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blocking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The result of the light blocking effect on the water surface using frog rice frond is that the frog frond covers the water surface, though it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light but it has the effect of blocking 75 ~ 85%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growth inhibition of the causative organisms causing harmful algal blooms under the surface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the frog or frog rice dominate the water surface in the freshwater source such as lake or reservoir, the light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the causative organism such as cyanobacterium can be effectively blocked, ultimately leading to prevention and control of massive occurrence of harmful green alga It is expected to be fully utiliz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thrips of frogs and frogs can be easily harvested, so that the biomass can be utilized for fish and livestock feed industries.

실시예Example 7.  7. 좀개구리밥Frogfish 및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의 남조류  And cyanobacterial extract of methanol extract of frog 마이크로시스티Microsysti The 아에루기노사Aeruginosa 증식억제 효과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의 조류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에 대한 생장 억제 즉 방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4).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 배양액은 배양기간이 증가할수록 클로로필a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배양 12일 차에 배양 초기와 비교하여 약 20배 이상 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배양기간이 더 늘어나면 배양 배지 내 양분의 고갈로 인해 클로로필a 함량이 감소하였다.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0-30 ㎍/㎖ 처리구에서는 배양 후 9일째까지는 클로로필a 함량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후 배양기간이 증가되면 클로로필a 함량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농도 100-300 ㎍/㎖ 처리구에서는 배양 6일 후부터 큰 폭으로 클로로필a 함량 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 내에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이 존재하며 이들의 작용 농도는 100 ㎍/㎖ 이상의 농도에서 효과적인 방제 효과를 가짐을 보여주는 결과라 사료된다. 좀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개구리밥과 마찬가지로 저농도에서는 배양기간이 길어져야 효과를 보이지만 고농도에서는 배양 6일 경과 후 남조류의 생장억제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메탄올 추출액의 농도별 남조류 생장억제 효과는 대조구로 사용한 둥굴레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생장 억제에 효과적인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는 100 ㎍/㎖임을 알 수 있었다. 좀개구리밥 및 개구리밥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의 녹조류인 클로렐라 불가리스에 대한 생장억제 효과를 조사하였으나 300 ㎍/㎖ 이상 고농도 처리구에서도 뚜렷한 생장억제 효과를 볼 수 없었다. 둥굴레 추출물의 경우도 클로렐라 불가리스에 대해서는 전혀 생장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lgal control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the frog rice and the frog plan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against the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the cyanobacteria, is excellent (Table 4). The amount of chlorophyll - a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incubation period. The concentration of chlorosulfur a increased about 20 times compared to that of the initial culture at 12 days of incubation. When the culture period was further increased, the chlorophyll - a content decreased due to the depletion of nutrients in the culture medium. In the case of methanol extract of frog rice, the chlorophyll - a content was not affected by 10 - 30 ㎍ / ㎖ treatment until 9th day after the incubation. However, the chlorophyll - a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igh concentration 100-300 ㎍ / ㎖ after 6 days of culture. This result suggests that a substance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is present in the foliar methanol extract and that its action concentration has an effective controlling effect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 / ml or more. The methanol extract of Fagopyrum japonica also showed the effect of longer incubation period at low concentration as in the case of frog rice, but the inhibition of the growth of blue - green algae was observed after 6 days of culture at high concentra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n the growth of blue - green algae also showed the same result in the case of donggulle which was used as a control.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methanol extract effective to inhibit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was 100 μg / ml. We investigate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chlorella bulgaris, a green algae of methanol extract of Japanese frog rice and frog rice plant. However, no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even at high concentration of 300 ㎍ / ㎖ or mor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could not be observed even in the case of the extract of Dinggoli.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그리고 둥굴레 추출물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생장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처리 후 3일째는 생장억제 효과가 보이지 않지만 배양 6일째부터 생장억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배양 12일째 최대 생장억제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도 11). 배양 12일에서 대조구의 클로로필a 함량은 3.42±0.01 ㎍/㎖이었다. 그러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그리고 둥굴레 처리구의 경우 배양 12일째 클로로필a 함량이 각각 1.10±0.01, 1.06±0.02 그리고 0.74±0.01 ㎍/㎖로 나타나 클로로필a 함량이 3.1-4.6배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의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생장 억제 효과는 거의 유사하였으며 둥굴레의 경우가 개구리밥보다 약 1.5배 높았다(도 11). 이 결과는 남조방제 효과가 보고되어 있는 둥굴레 뿌리보다 생장억제 효과는 약간 낮지만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 역시 유해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에 대한 생장억제 효과가 매우 뚜렷함을 나타내는 결과라 사료된다.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microsysticulus eruginosa with that of frog rice, mugwort rice, and dongguloe extract, the effect of inhibiting growth was not observed on the third day after treatment, but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growth was observed on the sixth day after cultivation. Growth inhibition was observed (Fig. 11). The chlorophyll-a content of the control was 3.42 ± 0.01 ㎍ / ㎖ at 12 days of culture. However, the contents of chlorophyll - a in the frog, duckweed, and dungburo treatments were 1.10 ± 0.01, 1.06 ± 0.02, and 0.74 ± 0.01 ㎍ / ㎖ at 12 days of culture,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microcystis aeruginosa on frog rice and duckweed was almost similar, and that of Dougulla was about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frog (Fig. 1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Drosophila melanogaster is very low, although the inhibitory effect of Drosophila melanogaster extract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Dandelion root.

배양기간별 클로로필a 함량을 대조구와 상대 비교한 결과 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 처리후 3일째부터 소폭으로 함량 감소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배양 6일째 대조구에 비해 30-40% 수준으로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의 농도 감소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생장억제 효과는 배양기간이 지속되어도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12). 좀개구리밥 추출물의 경우 개구리밥보다 약간 높은 30-45% 수준, 그리고 둥굴레의 경우 20-25% 수준으로 유지되어 가장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개구리밥 및 좀개구리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비록 둥굴레의 경우보다 높지는 않지만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 생장억제가 뚜렷하며, 최적 처리 농도는 100 ㎍/㎖ 수준이며 생장억제 효과는 처리 6일 후 거의 최대가 되어 이후 배양기간 동안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개구리밥 추출물로부터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 생장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 분리 및 동정이 이루어진다면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유해 녹조 방제를 위한 새로운 생물학적 방제 수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As a result of relative comparison of chlorophyll-a content with the control, the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from the third day after the treatment with the methanol extract of the frog rice, and the concentrat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was decreased to 30-40% And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cubation period (FIG.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tracts of Fagopyrum japonica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Fagopigrappa and 30 ~ 45% and 20-2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ethanol extracts of frogs and mulberry leaves are not as high as those of Aspergillus oryzae, but they inhibit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The optimal treatment concentration is 100 ㎍ / ㎖, And it was maintained during the subsequent incubation perio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 new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the control of the new harmful green algae will be available if the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substance having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microsysteal aeruginosa growth is carried out from the frog rice extract in the future.

Figure 112014004242922-pat00003
Figure 112014004242922-pat00003

Claims (14)

개구리밥 속(Spirodela sp.) 또는 좀개구리밥 속(Lemna sp.)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ntaining an extract of Spirodela sp. Or Lemna sp. As an active ingredi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리밥 속(Spirodela sp.) 또는 좀개구리밥 속(Lemna sp.)은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또는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3]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irodela sp. Or Lemna sp. Is Spirodela polyrhiza or Lemna paucicostat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리밥 속(Spirodela sp.) 또는 좀개구리밥 속(Lemna sp.) 추출물은 C1-5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 of Spirodela sp. Or Lemna sp. Is a C 1-5 alcohol extr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리밥 속(Spirodela sp.) 또는 좀개구리밥 속(Lemna sp.) 추출물은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2]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 of Spirodela sp. Or Lemna sp. Is a methanol extract.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조류는 남조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6.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harmful alga is a cyanobacteriu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남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속(Microcystis s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blue-green algae in the micro during seutiseu (Microcystis sp.). < / RTI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티스 속(Microcystis sp.) 유해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Microcystis aerus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icro during seutiseu in (Microcystis sp.) The harmful alga is a microcystis aerusinosa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유해조류가 발생한 오염수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 방법.A harmful algae controll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harmful algae controlling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o a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from harmful alga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는 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 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ntaminated water is fresh wa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조류는 남조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 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harmful alga is a cyanobacteriu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중의 개구리밥 속(Spirodela sp.) 또는 좀개구리밥 속(Lemna sp.) 추출물은 50~150㎍/㎖ 농도로 6~15일 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pirodela sp. Or Lemna sp. Extract i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birds i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0 to 150 占 퐂 / ml for 6 to 15 days How to control harmful bird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05165A 2014-01-15 2014-01-15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KR101599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65A KR101599746B1 (en) 2014-01-15 2014-01-15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65A KR101599746B1 (en) 2014-01-15 2014-01-15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68A KR20150085368A (en) 2015-07-23
KR101599746B1 true KR101599746B1 (en) 2016-03-04

Family

ID=5387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165A KR101599746B1 (en) 2014-01-15 2014-01-15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7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556B1 (en) 2021-02-02 2021-07-07 허교 Composition for removing harmful algae and block manufacture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953Y1 (en) * 2001-04-07 2001-10-11 김진범 Apparatus for purifying lake using the artificial wetl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556B1 (en) 2021-02-02 2021-07-07 허교 Composition for removing harmful algae and block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68A (en)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mar et al. Algae as Bio-fertilizers: Between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ive
Bezerra et al. Cultivation of the red seaweed Gracilaria birdiae (Gracilariales, Rhodophyta) in tropical waters of northeast Brazil
Schrader et al. Development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common off-flavors in a biofloc technology system used for the culture of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CN101575144B (en) Method for repairing water ecology
Granéli et al.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by Prymnesium parvum cells grown under N-or P-deficient conditions
Nath et al. Chromium in tannery industry effluent and its effect on plant metabolism and growth
CN103392642A (en) Method for breeding mandarin fish by utilizing microorganic feed
Cheung et al. Properties of animal manures and sewage sludges and their utilisation for algal growth
CN112110546A (en) Construction method of landscape lake water ecosystem
Wang et al. Effects of two species of macroalgae—Ulva pertusa and Gracilaria lemaneiformis—on growth of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Ekram-Ul-Azim The potential of periphyton-based aquaculture production systems
CN109258537A (en) A kind of method of paddy field aquaculture Penaeus Vannmei
CN112974505B (en) Method for restoring rice field soil cadmium pollution by using activator and nitrogen-fixing blue algae
Hootsmans et al. Allelopathic limitation of algal growth by macrophytes
Soltan et al. Agricultural drainage water as a source of water for fish farming in Egypt
KR101599746B1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comprising Lemnaceae or i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CN103430871A (en) Scientific and precise artificial cultivation method for four-gill weever
Mulderij Chemical warfare in freshwater, allelopathic effects of macrophytes on phytoplankton
KR102395377B1 (en) Ginseng cultivation method using aquaponics
Khastini et al. Microbial consortia effects on the yields of water spinach in milkfish aquaponics system
KR101977222B1 (en) Agar-algae removing agent containing egg shell pow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hluwalia Cyanobacterial and algal allelopathy
Ghaderiardakani Ulva growth,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CN110896916B (en)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algae stable ecosystem by aquaculture water
CN109279700A (en) Administer leavening, composite bacteria agent, the Preparation method and use of blue algae polluted wate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