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83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833B1
KR101597833B1 KR1020090106120A KR20090106120A KR101597833B1 KR 101597833 B1 KR101597833 B1 KR 101597833B1 KR 1020090106120 A KR1020090106120 A KR 1020090106120A KR 20090106120 A KR20090106120 A KR 20090106120A KR 101597833 B1 KR101597833 B1 KR 10159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bracket
button
st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206A (ko
Inventor
홍창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8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타입을 필요에 따라 틸트 타입 또는 플립 타입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스탠드, 틸트, 플립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it emitting diode module)등 여러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 기기로부터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자의 기호 또는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 또는 테이블 등 소정의 가구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걸어 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닥 또는 소정의 가구 위에 올려져 사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2가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는 바닥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베이스 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틸트 스탠드(Tilt Stand)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가 직접 바닥에 닿게 하고 상기 본체를 후측에서 플립 스탠드(Flip Stand) 타입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품 구매 후 사용자의 기호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타입을 임의로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타입을 임의로 선택하여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스탠드 타입을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동작에 의해 스탠드 타입을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포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유닛; 및 상기 지지 유닛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지지 유닛과 상기 본체가 서로 예각을 이루는 제 1 상태 또는 상기 예각 보다 큰 각을 이루는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바디의 상대적인 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바디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키는 버튼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타입을 필요에 따라 틸트 타입 또는 플립 타입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볼트 등의 체결 및 해제없이 간단하게 상기와 같은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틸트 타입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본체(10) 및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스탠드 어셈블리(2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및 후면을 감싸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제공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 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에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module) 또는 OLED(Organic ligit emitting diode module)등 여러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가 결합된다.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는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의 조작에 따라 틸트(Tilt) 타입과 플립(Flip)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틸트 타입은 상기 본체(10)가 후술할 베이스(21) 위에 올려져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형태이고, 플립 타입은 상기 본체(10)가 직접 바닥 위에 놓여져 사용되는 형태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플립 타입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가 상기 본체(1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는 도 1의 스탠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지 유닛 바디에 우측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II'로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플립 타입으로 사용될 때에 상기 본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케이스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본체(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13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31)는 마찰 계수가 큰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플립 타입으로 사용될 때에만 부착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는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배면에는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의 볼트 결합을 위한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20)에는 일측이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유닛(30), 상기 지지 유닛(3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베이스(2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지 유닛(30)의 결합 부위를 차폐하는 스탠드 덮개(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바닥에 놓여져 상기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 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 유닛(30)이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 유닛 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 삽입홈(211)은 상기 지지 유닛(30)의 단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 유닛(30)이 삽입된 후에는 요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덮개(23)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지 유닛(30)의 결합 부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 상 미려함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지 유닛(30)의 결합 부위를 차폐한다. 상기 스탠드 덮개(23)의 일부는 상기 지지 유닛(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30)은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 유닛 삽입홈(211)에 끼워진다. 상세히, 상기 지지 유닛(30)에는 탄성 부재(40)가 제공되는 바디(33), 상기 바디(33)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34, 35), 상기 바디(33)의 주변을 감싸는 프런트 커버(31) 와 백 커버(32), 및 상기 탄성 부재(40)를 가압하는 버튼(37)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디(33)는 상기 본체(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33)에는 상기 탄성 부재(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331), 상기 프레임(331)의 상단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한지 축(361)이 삽입되는 헤드(333)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331)은 플레이트 소재의 양측이 절곡되어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 임(331)의 내측에는 상기 탄성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337)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337)는 상기 프레임(331)의 외측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가이드(337)에 밀착되어 이동된다. 상기 탄성 부재(40)는 후술할 버튼(37)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상기 가이드(337)의 경사의 시작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37)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가이드(337)를 따라 이동되며 변형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브라켓(34, 35)에 대한 상기 바디(33)의 상대적인 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한다. 상세히, 상기 탄성 부재(40)는 'U'자 형상의 탄성을 지닌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브라켓(34)의 고정 홈(334, 335)에 끼워져 상기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지닌 스프링강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버튼(37)에 형성된 걸이홈(375)에 끼워지는 걸림부(41)와, 상기 탄성 부재(40)의 양측 단부가 외측으로 약 90˚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헤드(333)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34, 35)에 간섭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탄성 부재(40)의 변형량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40)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4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프레임(331)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헤드(333) 또는 상기 헤드(333)와 가까운 상기 프레임(331)의 어느 지점에 형성된 탄성 부재 삽입홀(336)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바디(3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에 끼워진 상기 절곡부(43)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은 상기 탄성 부재(40)가 상기 가이드(337)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버튼(37) 및 상기 프레임(331)에 형성된 탄성 부재 이탈 방지 리브(338)에 간섭됨으로서 상기 프레임(331)의 내측 공간에 머무른다.
상기 헤드(333)는 상기 프레임(33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33)의 회전 운동을 위한 힌지축(361)이 관통하는 축 홀(334)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헤드(333)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걸림 돌기(357)에 간섭되어 상기 바디(33)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돌기(3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 돌기(335)는 상기 헤드(333)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33)의 상방 회전과 하방 회전을 모두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바디(33)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좌측 브라켓(34)과 우측 브라켓(35)이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34, 35)에는 각각 상기 지지 유닛(30)이 상기 본체(10)에 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 홀(341, 35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이 상기 바디(33)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이는 일예에 불과하며 하나의 브라켓이 상기 바디(33)의 양측에 결합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브라켓(34)과 우측 브라켓(35)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설명 의 편의를 위해 여기서는 우측 브라켓(35)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우측 브라켓(35)은 상기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지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333)와 마주보도록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암(353)을 포함한다.
상기 암(353)에는 상기 힌지축(361)이 관통하는 축 홀(356)이 상기 바디(33)의 축 홀(33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33)는 상기 힌지축(361)을 중심으로 상기 우측 브라켓(3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353)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33)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 돌기(357)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357)는 상기 제한 돌기(335)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바디(33)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암(353)에는 상기 헤드(333)를 관통한 상기 절곡부(43)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 홈(354, 35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홈(354, 355)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틸트 타입으로 사용될 때 상기 절곡부(43)가 끼워지는 제 1 고정 홈(354)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플립 타입으로 사용될 때 상기 절곡부(43)가 끼워지는 제 2 고정 홈(35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 홈(354)은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제 1 고정 홈(354)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틸트 타입으로 사용될 때, 상기 본체(10)의 상하 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홈(354, 355)은 상기 바디(33)의 회전 중 상기 절곡부(4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43)의 이동 궤적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 홈(355)은 상기 바디(33)가 충분히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고정 홈(354)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고정 홈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화상면이 다양한 각도를 향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수의 고정 홈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43)가 끼워지는 구조는 홈이 아니라 구멍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제 1 고정 홈(354)에 끼워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틸트 타입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제 1 상태라고 하고, 상기 제 2 고정 홈(355) 또는 다른 홈에 끼워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플립 타입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제 2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브라켓(35)은 상기 힌지축(361)에 의해 상기 바디(33)에 연결된다. 상기 힌지축(361)은 상기 축 홀(334, 356)을 관통한다. 이때, 상기 바디(33)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헤드(333)와 상기 암(353)의 측에는 와셔(362, 364)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335)와 상기 암(35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셔(363)가 제공되어 상기 헤드(335)와 상기 암(353)이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와셔(363)의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야 상기 고정 홈(354, 355)에 끼워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고정 홈(354, 355)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40)의 변형량이 너무 커서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까지 한번에 빠져나와 상기 탄성 부재(40)가 상기 바디(33)로부터 탈거되는 문제를 예방한다. 따라서, 상기 와셔(363)의 개수는 상기 헤드(335)와 상기 암(353) 사이의 거리가 상기 탄성 부재(40)의 변형량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셔(363)는 상기 바디(33)와 상기 브라켓(35)을 이격시키는 것이므로 스페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축(361)의 단부에는 디스크 스프링(365)이 리벳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브라켓(34)은 상기 우측 브라켓(35)과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상기 바디(33)의 전방은 상기 프런트 커버(31)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프런트 커버(31)의 상단부에는 상기 암(353)과 상기 헤드(335)의 결합 부위가 끼워질 수 있는 힌지부 삽입홈(313)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바디(33)와 상기 브라켓(34, 35)의 결합체는 상기 암(353)과 상기 헤드(335)의 결합 부위가 상기 힌지부 삽입홈(3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프런트 커버(3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커버(31)는 결합 후 상기 브라켓(34, 35)의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33)의 후방은 상기 백 커버(32)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백 커버(32)는 상기 프런트 커버(31)가 상기 바디(33)와 상기 브라켓(34, 35)의 결합체에 끼워진 후 상기 바디(33) 및 상기 프런트 커버(31)에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2)에는 상기 버튼(37)이 끼워지는 버튼 삽입부(323)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 삽입부(323)는 상기 버튼(37)이 끼워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버튼(37)이 직선 운동하여 상기 탄성 부재(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튼 삽입부(323)는 상기 걸림부(4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튼(37)은 누름식으로 작동되며, 상기 바디(33)와 상기 백 커버(3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 부재(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튼(37)에는 상기 버튼 삽입부(323)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371), 상기 누름부(371)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37)의 탈거를 방지하는 간섭부(373), 및 상기 걸림부(41)가 끼워지는 걸림홈(375)이 포함된다.
상기 버튼(37)은 상기 걸림부(41)가 상기 걸림홈(375)에 끼워지도록 상기 바디(33)에 결합되며, 상기 백 커버(32)는 상기 버튼(37)이 상기 바디(33)에 결합된 후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371)는 상기 버튼 삽입부(323)를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371)를 누르면, 상기 걸림부(41)가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3)가 가압되면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절곡부(43)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커버(31)와 상기 백 커버(32)의 하측에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 유닛 삽입홈(211)에 끼워지는 삽입부(315, 325)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및 각 상태 사이의 이동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6은 제 1 상태에서의 지지 브라켓에 대한 바디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제 2 상태에서의 지지 브라켓에 대한 바디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틸트 타입으로 사용되는 경우, 즉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은, 상기 지지 유닛(30), 특히 상기 프런트 커버(31)와 상기 본체(10)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1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30˚보다 작은 크기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은 상기 절곡부(43)가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바디(33)는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바디(33)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의 폭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 들면,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은 상기 본체(10)가 상하방으로 각각 10˚씩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에 끼워져있을 때의 상기 본체(10)의 각도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33)와 상기 브라켓(34, 35) 사이의 마찰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베이스(21)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를 플립 타입, 즉 제 2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21)를 제거하고, 상기 버튼(37)을 누른 후 상기 지지 유닛(30)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와 상기 제 2 상태의 구체적인 전환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제 2 고정 홈(355, 345)에 끼워진다. 상기 제 2 고정 홈(355, 345)은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과 달리 상기 절곡부(43)가 끼워진 후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절곡부(4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지지 유닛(30), 특히 상기 프런트 커버(31)와 상기 본체(10)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지지 유닛(30)과 상기 본체(10)가 이루는 각도보다 큰 각도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본체(10)의 화상면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90˚ 내지 120˚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제 2 고정 홈(355, 345)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고정 홈(355, 345)과 같은 다수 개의 고정 홈이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 2 상태로 사용되는 모습은 도 1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131)가 바닥에 닿도록 놓여지며 상기 지지 유닛(30)에 의해 하중이 지탱되도록 소정 각도 기울여져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버튼이 눌려지기 전의 도 2의 I-I'로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버튼이 눌려지기 전의 탄성 부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버튼이 눌려진 후의 도 2의 I-I'로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버튼이 눌려진 후의 탄성 부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버튼(37)이 눌려지기 전과 후의 모습을 알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버튼(37)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누름부(371)는 상기 백 커버(32)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가이드(337)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0)의 양측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31, 32)를 파지하고 상기 버튼(37)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37)은 상기 버튼 삽입부(323)에 안내되어 직선 이동되고, 상기 걸림부(41)가 전방으로 밀린다.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바디(3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절곡부(43)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337)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가이드(337)를 따라 미끄러지며 탄성 변형된다. 즉, 상기 탄성 부재(40)의 측부가 상기 바디(33)의 중앙부를 향해 굽어지고, 상기 절곡부(43) 또한 상기 바디(33)의 중앙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암(353)의 두께 이상 이동되면, 상기 탄성 부재(40)에 의한 상기 바디(33)와 상기 브라켓(34, 35)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33)는 상기 브라켓(34, 35)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33)의 회동 각도는 상기 걸림 돌기(357)와 상기 제한 돌기(335)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63)에 의해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브라켓(34, 35)으로부터 빠져나온 후에도 소정 길이 더 변형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40)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로부터 빠져나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3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이 상기 제 2 고정홈(355, 345)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바디(33)의 회전시에는 상기 탄성 부재(40)가 변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곡부(43)에는 상기 브라켓(34, 35)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 삽입홀(336)이 상기 제 2 고정홈(355, 345)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37)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절곡부(43)는 자동으로 상기 제 2 고정홈(355)에 삽입되고, 상기 버튼(37)은 다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의 전환은, 상기 버튼(37)을 가압한 후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제 1 고정홈(354, 344)에 끼워지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스탠드 타입을 필요에 따라 틸트 타입 또는 플립 타입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볼트 등의 체결 및 해제없이 상기 베이스(21)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버튼(37)을 가압한 후 상기 지지 유닛(30)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상기와 같은 전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틸트 타입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탠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지 유닛 바디에 우측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II'로 절개되는 단면도.
도 6은 제 1 상태에서의 지지 브라켓에 대한 바디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 2 상태에서의 지지 브라켓에 대한 바디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버튼이 눌려지기 전의 도 2의 I-I'로 절개되는 단면도.
도 9는 버튼이 눌려지기 전의 탄성 부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버튼이 눌려진 후의 도 2의 I-I'로 절개되는 단면도.
도 11은 버튼이 눌려진 후의 탄성 부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립 타입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Claims (13)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포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바디의 상대적인 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바디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거리가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량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브라켓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 및
    상기 지지 유닛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바디와 상기 본체가 서로 예각을 이루는 제 1 상태 또는 상기 예각보다 큰 각을 이루는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브라켓에 간섭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간섭을 해제하는 버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는 버튼이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영상이 출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바디의 상대적인 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바디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키는 버튼;이 포함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버튼의 가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바디를 감싸는 커버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커버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튼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거리가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량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브라켓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 개의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와 간섭되어 상기 바디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버튼의 가압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며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106120A 2009-11-04 2009-11-04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120A KR101597833B1 (ko) 2009-11-04 2009-11-0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120A KR101597833B1 (ko) 2009-11-04 2009-11-0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06A KR20110049206A (ko) 2011-05-12
KR101597833B1 true KR101597833B1 (ko) 2016-02-25

Family

ID=4436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120A KR101597833B1 (ko) 2009-11-04 2009-11-0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693B1 (ko) 2016-12-23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5B1 (ko) 2007-05-08 2008-06-09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584A (ko) * 2004-08-25 200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힌지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5B1 (ko) 2007-05-08 2008-06-09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06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0330B2 (ja) 電子機器
US10578903B2 (en) Display apparatus
US7403376B2 (en) Automatic stabilizing device for a display
US9095042B2 (en) Display apparatus
KR101249495B1 (ko)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KR101597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26307A1 (en) Display apparatus
JP4982473B2 (ja) 電子機器
KR100632738B1 (ko) 휴대용 컴퓨터
US6233026B1 (en) Monitor comprising snap engaging bottom shield
KR200700582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267675A (ja) 横置き・壁掛け兼用可能な電子機器
KR200454003Y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커버
JP2009105479A (ja) スピーカー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6173401B2 (ja) 電子機器
CN110107790B (zh) 壁挂装置及显示器
JP5874482B2 (ja) 表示装置
JP5525490B2 (ja) クレードル
KR100587350B1 (ko)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KR200483894Y1 (ko)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JP5473712B2 (ja) 前パネルへのセンサー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7408428B2 (ja) 建具
KR20050095439A (ko) 디스플레이장치
JP6651129B2 (ja) 電子機器
KR100621198B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