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838B1 - 건식 노면 청소차 - Google Patents

건식 노면 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838B1
KR101595838B1 KR1020150033356A KR20150033356A KR101595838B1 KR 101595838 B1 KR101595838 B1 KR 101595838B1 KR 1020150033356 A KR1020150033356 A KR 1020150033356A KR 20150033356 A KR20150033356 A KR 20150033356A KR 101595838 B1 KR101595838 B1 KR 10159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filter
air
dus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채
이재우
장진영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2001/0881Details for pneumatically dislodging or removing not related to the mouth-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력이 증가되고, 공기 중 이물질의 필터링 성능이 향상된 건식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는 적재부, 제1집진장치, 유로부 그리고 제2집진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부에는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노면의 이물질이 수용된다. 제1집진장치는 적재부의 양측에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적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다중 필터링한다. 유로부는 적재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1집진장치에서 필터링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제2집진장치는 유로부에 연결되고 유로부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추가 필터링한다.

Description

건식 노면 청소차{DRY TYPE ROAD SWEEPING VEHICLE}
본 발명은 건식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력이 증가되고, 공기 중 이물질의 필터링 성능이 향상된 건식 노면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하고 있다.
특히, 도시 미관과 관련하여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도로 및 도로 주변에 대하여 청소가 실시되는 것은 높은 인구가 밀집되어 생활하고 있는 도시의 특성상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적은 인력으로도 노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노면 청소차가 사용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노면 청소차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데, 흡입된 공기는 차량 내부의 필터장치를 거치게 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대기 중으로 다시 배출되며, 필터장치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후 별도로 처리되게 된다.
한편, 노면 청소차는 습식, 건식 및 혼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습식 노면 청소차는 노면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노면에 분사된 물이 노면의 이물질 및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뭉침을 돕기 때문에, 흡입장치로의 이물질 흡입이 용이하고, 이물질이 적재부에 적재된 후 에도 비산 먼지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한다. 반면에, 차량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동절기에는 물을 분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건식 노면 청소차는 노면에 물을 살수하지 않고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따라서, 건식 노면 청소차는 살수장치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으나, 비산 먼지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344838호(2013.12.26. 공고)에는 노면 청소차가 개시되고 있다. 위 문헌에는, 흡입부를 통해 적재부에 유입된 공기가 적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부를 거쳐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송풍력 발생부 및 배출덕트를 통해 차량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위 문헌에 개시되는 노면 청소차에서는 필터부가 적재부의 상부에 하나만 구비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성능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적재부는 넓은 적재공간을 가지고, 필터부는 이러한 넓은 적재공간에 구비되기 때문에, 송풍력 발생부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이 적재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어려웠다. 따라서,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필터부를 이용하여 공기 중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터부의 조밀도를 지나치게 높이는 경우, 공기 저항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다시 흡입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344838호(2013.12.26.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입력이 증가되고, 공기 중 이물질의 필터링 성능이 향상된 건식 노면 청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노면의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다중 필터링하는 제1집진장치;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집진장치에서 필터링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부; 그리고 상기 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로부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추가 필터링하는 제2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건식 노면 청소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집진챔버와, 상기 적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와 상기 제1집진챔버를 구획하는 월 플레이트와, 상기 월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와 상기 제1집진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적재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1차 여과하는 제1여과망과, 상기 제1집진챔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집진챔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여과망을 통과한 공기 중 이물질을 1차 집진하는 제1집진필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망은 상기 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적재부의 공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필터는 상기 제1집진챔버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집진챔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제1투과 그리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필터는 상기 제1여과망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이물질을 1차 집진하는 제1필터부재와, 상기 제1필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제1필터부재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집진챔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집진챔버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필터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집진챔버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유로부의 양측면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측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의 양측면부에는 제1에어 공급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에어 공급장치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 압축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1에어 압축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제1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에어 압축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상기 제1필터부재의 내측에 분사하는 제1분사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장치는 상기 유로부에 연결되는 제2집진챔버와, 상기 제2집진챔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로부를 통과한 공기를 하측으로 토출하여 상기 제2집진챔버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토출부와, 상기 제2집진챔버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2차 집진하는 제2집진필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챔버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집진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집진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필터는 상기 제1집진장치의 제1집진필터가 가지는 제1투과 그리드보다 작은 제2투과 그리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집진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되는 제1유로와, 일단부는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2집진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보다 작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는 제2유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일단부에는 제2여과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재부의 양측에 고진공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제1집진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집진필터에 의해 흡입력의 압력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제1집진챔버의 진공도를 높게 유지하여 흡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집진장치에서 공기 중 이물질을 다중 필터링하고, 제2집진장치에서 공기 중 이물질을 추가 필터링함으로써, 필터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적재부, 제1집진장치 및 유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1집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1집진필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2집진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2집진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적재부, 제1집진장치 및 유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1집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1집진필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는 적재부(100), 제1집진장치(200), 유로부(300) 그리고 제2집진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부(100)는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노면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장치(200)는 적재부(100)의 양측에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적재부(1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다중 필터링할 수 있다. 제1집진장치(200)는 적재부(100)의 양측에 마련되어 진공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부(100)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력의 증가는 차량에 구비되는 연료장치들의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로부(300)는 적재부(100)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1집진장치(200)에서 필터링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장치(400)는 유로부(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유로부(30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추가 필터링할 수 있다. 제2집진장치(400)는 제1집진장치(20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에 대해 추가 필터링을 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의 필터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적재부(100)는 노면 청소차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노면의 공기 및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력은 노면 청소차에 구비되는 블로워(5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블로워(500)는 흡입력을 제2집진장치(400), 유로부(300), 제1집진장치(200)를 거쳐 적재부(100)로 공급하며, 적재부(100)로 공급된 흡입력은 적재부(100)와 연결되는 덕트(510)를 통해 흡입장치(5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면의 이물질 및 먼지 등은 흡입장치(520)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장치(520)로 유입된 이물질 및 먼지 등은 덕트(510)를 통해 이동하여 적재부(100)로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적재부(100)의 바닥면(110)은 노면 청소차의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덕트(510)는 바닥면(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출공(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510)를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 및 먼지 등이 배출공(120)을 통해 적재부(100)로 유입되었을 때, 모래 등과 같이 무게가 나가는 이물질은 바닥면(110)을 따라 흘러내려 적재부(100)의 하측에서부터 쌓이게 된다. 배출공(120)은 바닥면(110)의 상측에 형성됨으로써, 적재부(100)에 쌓이는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장치(200)는 적재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집진장치(200)는 제1집진챔버(210), 월 플레이트(220), 제1여과망(230) 및 제1집진필터(24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집진챔버(210)는 적재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집진챔버(210)는 적재부(100)와 독립적인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월 플레이트(220)는 적재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부(100)와 제1집진챔버(210)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1여과망(230)은 월 플레이트(2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여과망(230)은 제1메시를 가지는 망일 수 있다.
제1여과망(230)은 월 플레이트(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폭 및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여과망(230)은 적재부(100)와 제1집진챔버(21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워(50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은 제1집진챔버(210)를 통해 적재부(10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00)의 공기는 제1여과망(230)을 통해 제1집진챔버(21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재부(100)에서 제1여과망(230)을 통해 제1집진챔버(210)로 이동하는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여과망(230)은 제1메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부(100)의 공기가 제1여과망(230)을 통과하여 제1집진챔버(210)로 유입될 때,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게 된다. 제1여과망(230)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은 상대적으로 대형의 흙, 모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필터(240)는 제1집진챔버(2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집진챔버(210)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집진필터(240)는 제1집진장치(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집진필터(240)는 제1필터부재(241), 제1커버(242) 및 지지부(243)를 가질 수 있다.
제1필터부재(241)는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는 부직포나 여과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필터부재(241)는 단위시간 동안 많은 양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넓은 집진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1필터부재(241)는 주름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필터부재(24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241)의 상단부는 제1여과망(230)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1필터부재(241)의 하단부는 제1여과망(230)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여과망(230)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필터부재(241)에 곧 바로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제1필터부재(241)는 제1투과 그리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투과 그리드는 제1필터부재(241)의 조밀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집진필터(240)의 집진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투과 그리드의 크기는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투과 그리드의 형상 또한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집진필터(240)는 제1여과망(230)을 통과한 공기 중 이물질을 1차 집진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제1집진필터(240)에서 집진되는 이물질은 상대적으로 소형의 먼지 등 일 수 있다.
제1집진필터(240)에서 집진된 이물질은 제1집진필터(240)의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낙하하여 제1집진장치(200)의 바닥에 쌓일 수 있으며, 이렇게 쌓인 이물질은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
적재부(100) 및 제1집진장치(200)의 후방에는 도어(5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530)는 적재부(100) 및 제1집진장치(2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242)는 제1필터부재(24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241)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242)는 제1필터부재(241)의 하단부를 밀폐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1필터부재(241)의 하단부를 통해 제1필터부재(24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43)는 제1집진챔버(2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43)의 하단부는 제1집진챔버(21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1필터부재(241)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필터부재(241)는 제1집진챔버(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필터부재(241)는 지지부(243)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필터부재(241)의 수리를 위한 분리 및 교체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243)의 상단부는 제1집진챔버(210)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유로부(300)의 양측면부(311)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43)의 외측면에는 슬릿(24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244)을 통해 제1필터부재(241)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어 유로부(30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로부(300)는 제1유로(310) 및 제2유로(320)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제1유로(310)는 적재부(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집진장치(20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320)는 일단부가 제1유로(3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적재부(100)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로(320)는 제1유로(310)보다 작은 유로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유로(310)에서 제2유로(320)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유로(320)의 일단부, 즉, 제1유로(310)와 제2유로(320)의 연결부에는 제2여과망(32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여과망(325)은 제2메시를 가지는 망일 수 있다. 여기서, 제2메시는 제1여과망(230)의 제1메시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유로부(300)의 양측면부(311)에는, 구체적으로, 유로부(300)의 제1유로(310)의 양측면부(311)에는 제1에어 공급장치(3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에어 공급장치(350)는 제1에어 압축부(351)와 제1분사관(35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에어 압축부(351)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분사관(352)의 일단부는 제1에어 압축부(35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지지부(243)를 통해 제1필터부재(241)의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에어 압축부(351)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는 제1분사관(352)의 타단부를 통해 제1필터부재(241)의 내측에서 분사될 수 있다. 제1필터부재(241)의 내측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는 제1필터부재(241)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필터부재(241)에 고착된 먼지를 털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집진장치(200)는 제1여과망(230)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밀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진공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집진필터(240)의 제1필터부재(241)에 의해 흡입력의 압력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제1집진챔버(210)의 진공도를 높게 유지하여 흡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2집진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 청소차의 제2집진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집진장치(400)는 제2집진챔버(410), 토출부(420) 및 제2집진필터(4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집진챔버(410)는 제2유로(32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부(420)는 제2집진챔버(4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토출부(420)는 일단부가 제2유로(32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제2집진챔버(4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유로(320)로 이동하는 공기는 토출부(420)를 통해 제2집진챔버(41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토출부(420)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유로(320)를 통과한 공기를 하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필터(430)는 제2집진챔버(4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집진필터(430)는 토출부(420)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제2집진필터(430)는 제2필터부재(431), 제2커버(432) 및 어댑터(433)를 가질 수 있다.
제2필터부재(431)는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는 부직포나 여과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2필터부재(431)는 단위시간 동안 많은 양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넓은 집진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주름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필터부재(431)는 제2투과 그리드를 가질 수 있으며, 제2투과 그리드는 제1필터부재(241)의 제1투과 그리드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필터부재(431)는 제1집진필터(240)를 통과한 공기 중 이물질을 추가로 집진하여 필터링 할 수 있다. 특히, 제2필터부재(431)는 제1필터부재(241)보다 조밀도가 높기 때문에, 제1집진필터(240)에서 필터링된 미세 먼지보다 더 미세한 먼지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제2커버(432)는 제2필터부재(43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필터부재(431)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432)는 제2필터부재(431)의 하단부를 밀폐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2필터부재(431)의 하단부를 통해 제2필터부재(43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433)는 제2필터부재(43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집진챔버(410)에 구비되는 소켓(4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필터부재(431)의 수리를 위한 분리 및 교체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집진챔버(410)의 상측에는 제2집진필터(430)의 내측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제2필터부재(431)에 고착된 먼지를 불어내기 위한 제2에어 공급장치(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에어 공급장치(360)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제2에어 압축부(361)와, 제2에어 압축부(361)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제2필터부재(431)의 내측에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제2분사관(362)을 가질 수 있다.
제2집진장치(400)를 거친 공기는 이송덕트(370)를 통해 이동된 후, 블로워(50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집진챔버(410)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집진 하우징(415)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집진 하우징(415)의 하단부에는 밸브(41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출구(41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416)는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일 수 있으며, 밸브(416)는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밸브(416)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집진필터(430)에 의해 집진되는 미세 먼지는 낙하하여 배출구(417)에 쌓이게 되며, 밸브(416)가 개방되면 쌓인 미세 먼지가 낙하될 수 있다. 밸브(416)를 개방함으로써 낙하되는 미세 먼지는 수거되어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적재부
200: 제1집진장치
210: 제1집진챔버
220: 월 플레이트
230: 제1여과망
240: 제1집진필터
241: 제1필터부재
242: 제1커버
243: 지지부
244: 슬릿
300: 유로부
310: 제1유로
320: 제2유로
400: 제2집진장치
410: 제2집진챔버
420: 토출부
430: 제2집진필터

Claims (11)

  1. 흡입력에 의해 배출공으로 유입되는 노면의 이물질이 수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다중 필터링하는 제1집진장치;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집진장치에서 필터링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부; 그리고
    상기 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로부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추가 필터링하는 제2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진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집진챔버와,
    상기 적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와 상기 제1집진챔버를 구획하는 월 플레이트와,
    상기 월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와 상기 제1집진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적재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1차 여과하는 제1여과망과,
    상기 제1집진챔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집진챔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여과망을 통과한 공기 중 이물질을 1차 집진하는 제1집진필터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슬릿이 삽입되고 상기 제1집진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슬릿을 통하여 이동되는 제1유로와,
    일단부는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2집진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보다 작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는 제2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망의 제1메시보다 작은 격자를 지닌 제2메시를 가지는 제2여과망을 가지고,
    상기 제2집진장치는
    상기 유로부에 연결되는 제2집진챔버와,
    상기 제2집진챔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로부를 통과한 공기를 하측으로 토출하여 상기 제2집진챔버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토출부와,
    상기 제2집진챔버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2차 집진하는 제2집진필터를 가지고,
    상기 적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은 상기 제1여과망에서 1차 여과되어 상기 제1집진필터에서 1차 집진된 후 상기 제2여과망에서 2차 여과되어 상기 제2집진필터에서 2차 집진됨으로써 다단으로 필터링되는 건식 노면 청소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망은 상기 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적재부의 공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 청소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필터는 상기 제1집진챔버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집진챔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제1투과 그리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 청소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필터는
    상기 제1여과망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이물질을 1차 집진하는 제1필터부재와,
    상기 제1필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제1필터부재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집진챔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집진챔버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필터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집진챔버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유로부의 양측면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측면에 상기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 청소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의 양측면부에는 제1에어 공급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에어 공급장치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 압축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1에어 압축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제1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에어 압축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상기 제1필터부재의 내측에 분사하는 제1분사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 청소차.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챔버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집진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집진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 청소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필터는 상기 제1집진장치의 제1집진필터가 가지는 제1투과 그리드보다 작은 제2투과 그리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 청소차.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33356A 2015-03-10 2015-03-10 건식 노면 청소차 KR10159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56A KR101595838B1 (ko) 2015-03-10 2015-03-10 건식 노면 청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56A KR101595838B1 (ko) 2015-03-10 2015-03-10 건식 노면 청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838B1 true KR101595838B1 (ko) 2016-02-19

Family

ID=5544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56A KR101595838B1 (ko) 2015-03-10 2015-03-10 건식 노면 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8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121B1 (ko) * 2016-10-06 2017-03-2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고진공 노면 청소차
KR101718122B1 (ko) * 2016-10-06 2017-03-2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집진 필터 모듈을 구비하는 고진공 노면 청소차
CN109440702A (zh) * 2018-11-16 2019-03-08 衡阳博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公路清洁装置
CN110184985A (zh) * 2019-06-21 2019-08-30 湖南鑫迪风机制造有限公司 一种洗扫车专用洗扫风机
CN111501636A (zh) * 2020-04-26 2020-08-07 徐州徐工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扫路车节能控制***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11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건식 청소차
KR100977510B1 (ko) * 2009-08-17 2010-08-23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백필터 장치가 구비된 도로 분진 청소차
KR101344838B1 (ko) 2012-06-19 2013-12-26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노면 청소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11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건식 청소차
KR100977510B1 (ko) * 2009-08-17 2010-08-23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백필터 장치가 구비된 도로 분진 청소차
KR101344838B1 (ko) 2012-06-19 2013-12-26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노면 청소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121B1 (ko) * 2016-10-06 2017-03-2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고진공 노면 청소차
KR101718122B1 (ko) * 2016-10-06 2017-03-2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집진 필터 모듈을 구비하는 고진공 노면 청소차
CN109440702A (zh) * 2018-11-16 2019-03-08 衡阳博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公路清洁装置
CN110184985A (zh) * 2019-06-21 2019-08-30 湖南鑫迪风机制造有限公司 一种洗扫车专用洗扫风机
CN111501636A (zh) * 2020-04-26 2020-08-07 徐州徐工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扫路车节能控制***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838B1 (ko) 건식 노면 청소차
KR101715391B1 (ko)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
KR100732411B1 (ko) 건식 청소차
KR101552163B1 (ko) 고효율 건식 노면 청소차
KR101970624B1 (ko) 펄싱 작업에 필터링 공기를 이용하는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1387171B1 (ko) 도로 청소장치
ES2306071T3 (es) Unidad de limpieza de calles y similares.
KR100868487B1 (ko) 도로 분진 청소차
KR101296194B1 (ko) 미세먼지제거용 건식 및 습식 진공흡입청소차
KR100926900B1 (ko) 사계절 운영이 가능한 도로 분진 청소차
EP2121205A1 (en) Apparatus for on-site cleaning of landscape rock
KR101898100B1 (ko) 건식 청소차
CN101674765A (zh) 用于清洁纺织品和其它无张力表面的再循环吸尘器装置
KR100977510B1 (ko) 백필터 장치가 구비된 도로 분진 청소차
DE102014105756A1 (de) Bodenpflegegerät mit einer Abluftrückführung
KR101119118B1 (ko) 필터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CN102755140A (zh) 吸尘器的自动清洁过滤装置
KR100882015B1 (ko) 건식 노면청소차
CN105625238B (zh) 清洁用吸嘴、气力***和清洁车
CN105862640A (zh) 一种循环水气清洗路面装置及其清洗方法
CN105797506A (zh) 塑烧板除尘器
CN103282096A (zh) 集尘器
KR20160083234A (ko) 건습식 필터 유닛 및 이를 갖는 도로 청소차
CN107700405A (zh) 一种扫路机的气力输送及除尘***
KR101718122B1 (ko) 집진 필터 모듈을 구비하는 고진공 노면 청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