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885B1 -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 Google Patents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885B1
KR101593885B1 KR1020150123122A KR20150123122A KR101593885B1 KR 101593885 B1 KR101593885 B1 KR 101593885B1 KR 1020150123122 A KR1020150123122 A KR 1020150123122A KR 20150123122 A KR20150123122 A KR 20150123122A KR 101593885 B1 KR101593885 B1 KR 10159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receiving member
support frame
fit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표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옥근 filed Critical 표옥근
Priority to KR102015012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및 신축을 함께 완충하기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에 관한 것으로, 1개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지지프레임측 일측부에 장착된 수용부재를 구비한 2개의 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여기서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는 측방 외압을 완충하기 위해 일측 결합프레임의 수용부재에 끼워지도록 장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부위가 돌출되면서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슬라이딩부재가 설치되고, 끼움돌기가 결합프레임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의 돌출된 일부위가 수용부재에 접촉되며, 끼움돌기가 수용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 또는 제1지지프레임이 외압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수용부재 간에 여유폭(W1)을 갖도록 제작되고, 한편 지지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신출 또는 길이 방향 이동을 완충하기 위해 타측 결합프레임의 수용부재에 끼워지도록 장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부위가 돌출되면서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장착된 슬라이딩부재가 설치되고, 끼움돌기가 결합프레임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의 돌출된 일부위가 수용부재에 접촉되며, 끼움돌기가 수용부재 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 또는 제2지지프레임이 신축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수용부재 간에 여유폭(W2)을 갖도록 제작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Shock and elastic absorbing connection assembly and, absorb type sky-walk with thereof}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이나 열에 의한 신축에 대해 완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결합조립체와, 이 결합조립체를 구비한 스카이워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카이워크는 계곡 등이나 높은 구조물 사이에 이용자가 통행하면서 발 아래 및 주변 경치를 구경할 수 있도록 설치된 건축물이다. 이 스카이워크는 교각과 같은 하부구조물에 설치된 통행용 도보와 같은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구비하고, 이 지지장치는 구조물의 규격이나 지지 하중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와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물 지지장치로는 대표적으로 교좌장치가 있다. 구조물 지지장치 중에는 하부구조물의 고정단 등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상하방향의 하중만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주고, 상부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 것도 있다. 반면, 하부구조물의 일방향 가동단이나 양방향 가동단 등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상부구조물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허용하고, 풍압, 차량이나 열차의 주행, 정지, 지진 등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여 주기 위해 어느 정도까지 상부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구조물 지지장치에는 수평방향으로 완충기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기구는 통상적으로 교좌받침장치에 추가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를 설계 및 제작하기 어렵고, 설치는 물론 수리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2893호(2010.07.01.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연결프레임들을 결합할 때 신축에 의한 길이 변화 또는 폭 방향에서의 충격 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결합조립체를 이용하여 스카이워크의 여러 부위에서 신축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완충형 스카이워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는, 일측부에 장착된 수용부재 를 구비한 결합프레임; 수용부재에 끼워지도록 일측부에 장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부위가 돌출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한 지지프레임;를 포함하고, 여기서 지지프레임은 제1지지프레임이고, 슬라이딩부재가 제1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끼움돌기에 장착되고, 끼움돌기가 결합프레임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의 돌출된 일부위가 하중을 지탱하면서 수용부재의 일면에 접촉되며, 끼움돌기가 수용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 또는 제1지지프레임이 외압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수용부재 간에 여유폭(W1)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신축 및 길이 방향 이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는, 일측부에 장착된 수용부재를 구비한 결합프레임; 수용부재에 끼워지도록 일측부에 장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부위가 돌출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한 지지프레임;를 포함하고, 여기서 지지프레임은 제2지지프레임이고, 슬라이딩부재가 제2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끼움돌기에 장착되고, 끼움돌기가 결합프레임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의 돌출된 일부위가 하중을 지탱하면서 수용부재의 일면에 접촉되며, 끼움돌기가 수용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 또는 제2지지프레임이 신축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수용부재 간에 여유폭(W2)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충격 및 신축을 함께 완충하기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는, 1개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지지프레임측 일측부에 장착된 수용부재를 구비한 2개의 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여기서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는 측방 외압을 완충하기 위해 일측 결합프레임의 수용부재에 끼워지도록 장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부위가 돌출되면서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슬라이딩부재가 설치되고, 끼움돌기가 결합프레임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의 돌출된 일부위가 하중을 지탱하면서 수용부재의 일면에 접촉되며, 끼움돌기가 수용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 또는 제1지지프레임이 외압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수용부재 간에 여유폭(W1)을 갖도록 제작되고, 한편 지지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신출 또는 길이 방향 이동을 완충하기 위해 타측 결합프레임의 수용부재에 끼워지도록 장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부위가 돌출되면서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장착된 슬라이딩부재가 설치되고, 끼움돌기가 결합프레임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의 돌출된 일부위가 하중을 지탱하면서 수용부재의 일면에 접촉되며, 끼움돌기가 수용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 또는 제2지지프레임이 신축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와 수용부재 간에 여유폭(W2)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1,2,3실시 예에 공통된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의 결합부위에서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는 제1수평턱의 양측에 제1수직턱이 마련된 계단 형태로 가공되고, 결합프레임의 일측부에는 제2수평턱의 양측에 제2수직턱이 마련된 계단 형태로 가공되며, 제1수평턱에 끼움블록이 장착되고, 제2수평턱에 수용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끼움돌기는 정면상 역"T"자 형상이고, 수용부재는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되면서 상면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끼움돌기에 수용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을 연결하여 배치되면서 양측부가 각각 지지프레임 또는 결합프레임에 고정된 판 형상의 결합패널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의 하면에 배치되어 일측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타측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보강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결합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부에는 지지프레임 또는 결합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가공된 적어도 1개의 제3체결홀을 구비하고, 이 제3체결홀은 외압에 의한 지지프레임 또는 결합프레임의 측방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가공되거나, 지지프레임 또는 결합프레임의 신축 또는 외압에 의한 길이 방향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를 구비한 스카이워크는, 다수의 교각 위에 보도를 설치하여 이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스카이워크에 있어서, 보도는, 각 교각 위에 설치된 다수의 중간쉼터부; 중간쉼터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제3실시 예의 결합프레임;과 이웃한 중간쉼터부의 결합프레임을 연결하여 설치한 상기된 제3실시 예의 지지프레임;과 이격시켜 설치한 적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들을 연결하여 걸어다닐 수 있게 설치한 다수의 발판 및 발판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웃한 중간쉼터부들 중에서 일측 중간쉼터부에서의 결합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에서는 측방 외압을 완충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중간쉼터부에서의 결합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에서는 신축 및 길이 방향 이동을 완충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에 의한 신축이나 외력에 의한 길이 방향 이동과, 외력에 의한 측방향 이동 등에 대해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완충 효능을 갖는 결합조립체를 스카이워크에 적용함으로써, 강풍이나 물체 등의 외력에 대해 완충시킬 수 있고, 열에 의한 프레임의 신축 등에 대해 완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욱 안전한 스카이워크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치가 쉽고, 수리가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측방 충격을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의 결합된 상태가 나타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신축을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지지프레임과 제3연결프레임의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결합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완충 결합조립체를 이용하여 설치된 스카이워크의 평면과 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완충 결합조립체가 설치된 부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프레임(결합프레임(120)과 제1지지프레임(110) 또는, 결합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210),도 1과 도 5 참조)을 연결하여 결합할 때 측방에서 가해지는 외압과, 열 또는 기타 외력에 늘어나는 신축을 완충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2개의 결합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들 결합조립체는 2개의 프레임들이 맞닿는 측부들을 상호 대칭되게 계단 형태로 가공하고, 일측 프레임의 계단 형태 부위에 끼움블록(113)을 장착하면서 타측 프레임의 계단 형태 부위에 수용부재(123)를 장착하며, 끼움블록(113)에 원기둥 형상의 슬라이딩부재(114)를 길이 방향으로 장착하여 제작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14)는 일부위가 끼움블록(11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부위가 수용부재(123)의 하면에 닿음으로써, 프레임이 충격에 의한 측방향 또는 신축에 의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때 마찰력이 발생하는 접촉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은 계단 형태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끼움블록(113) 또는 수용부재(12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측방 외압을 완충하기 위한 결합조립체에서는 원기둥의 슬라이딩부재(114)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외압에 의해 움직이는 프레임의 측방 이동을 원활하게 보장한다. 또한 신축을 완충하기 위한 결합조립체에서는 슬라이딩부재(114)가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 변형 또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등의 프레임 이동을 원활하게 보장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14)는 끼움블록(113)에 장착되어 수용부재(123)와 최소로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상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고, 다른 예로 구슬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2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패널(130)을 배치한 후, 양측 프레임에 각각 볼팅 체결이나 나사 체결 등으로 고정한다. 이때, 결합패널(130)에 가공된 제3체결구(131)은 측방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제1결합체(100)에서는 프레임의 측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측방으로 긴 길이를 갖는 슬롯형태로 가공되고, 신축을 완충하기 위한 제2결합체(200)에서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슬롯형태로 가공된다. 또한, 결합패널(130)의 반대측 측면에는 보강패널(140)을 배치하여 2개의 프레임이 충격완화 또는 신축에 의한 이동할 때 그 결합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보완하게 된다. 이러한 2개의 결합조립체에 대해 후술된 실시 예를 통해 제1결합조립체(100)와 제2결합조립체(200)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측방 충격을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지지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의 결합된 상태가 나타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제1결합조립체(100)로, 도 1에서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10), 결합프레임(120), 결합패널(130)과 보강패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지지프레임(1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H"빔 일 수 있고, 중공이거나 속이 찬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파이프 형태의 빔일 수도 있다. 이 제1지지프레임(110)은 일측 부위가 측면상 대략 높이에 대해 상방향으로 면적이 감소하는 계단 형태이다. 이 계단 형태로 인해 제1수평턱(111)과, 제1수평턱(111) 양측으로 제1수직턱(112)이 마련된다. 이때, 제1수직턱(112)은 수직 또는 경사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프레임(110)은 끼움블록(113), 슬라이딩부재(114), 제1체결구(115)와 제2체결구(116)를 구비한다.
여기서, 끼움블록(113)은 후술된 결합프레임(120)의 수용부재(123)에 끼워지는 부재로, 제1수평턱(111)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1체결구(11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나 너트 등을 포함한 체결부재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이 끼움블록(113)은 수용부재(123)에 끼워져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정면상 대략 역"T"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끼움블록(113)의 하부는 대략 원통형상의 슬라이딩부재(114)가 끼워지고, 슬라이딩부재(114)의 일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정면상 하부 일부위가 개방된 원형 형태로 가공된 끼움홈(117)을 구비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14)는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110)이 결합프레임(120)에 대해 충격이 가해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끼움블록(113)과 후술된 수용부재(123)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부재이다. 이 슬라이딩부재(114)는 대략 원통의 중공 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정면상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속이 찬 파이프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14)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끼움블록(113)의 끼움홈(117)에 억지끼움 또는 헐거운 끼움으로 끼워져 장착된다.
또, 제1체결구(115)는 볼트나 너트 등을 포함한 체결부재가 제1지지프레임(110)를 관통하여 끼움블록(113)과 체결될 수 있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제2체결구(116)는 결합패널(130)의 제3체결구(131)를 관통한 볼트나 너트 등을 포함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에 가공된다. 이 제2체결구(11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합프레임(120)은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측부와 연결하여 결합되는 부재로, 제1지지프레임(1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일 수 있고, 이외에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전혀 다른 형태여도 무방하다. 이 결합프레임(120)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일측부에 측면상 대략 높이에 대해 하방향으로 면적이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제1지지프레임(110)에 가공된 계단 형태에 대응하여 상호 맞춤결합이 되도록 가공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 계단 형태로 인해 제2수평턱(121)과, 제2수평턱(121) 양측으로 제2수직턱(122)이 마련된다. 이때, 제2수직턱(122)은 수직 또는 경사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프레임(120)은 제2수평턱(121)의 상면에 고정된 수용부재(123)와, 결합패널(130)의 제3체결구(131)가 체결되는 제2체결구(1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체결구(116)는 제1지지프레임(110)에 가공된 제2체결구(116)와 동일하다.
이 수용부재(123)는 끼움블록(113)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가공된 부재이다. 이 수용부재(123)는 끼움블록(113)이 역"T"자인 경우, 정면상 전면(前面)이 개방되고, 상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수용부재(123)의 폭은 도 4에서와 같이 수용부재(123)와 끼움블록(113)이 끼워진 상태에서 양측 측면들 간에는 약간의 여유폭(W1)을 갖을 갖도록 가공되고, 이는 측방에서 외력이 가압되면 제1지지프레임(110)이 결합프레임(120)에 대해 약간의 유동이 발생하면서 완충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수용부재(123)의 내면에는 수용부재(123)의 하부 일부위만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이 끼움블록(113), 슬라이딩부재(114)와 수용부재(123)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1지지프레임(110) 또는 결합프레임(120)에 측방의 외압이 가해지면, 수용부재(123) 내의 끼움블록(113)이 외압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외압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끼움블록(113)의 이동시 마찰력이 슬라이딩부재(114)로 인해 최소화되어 보다 부드러운 이동이 보장된다.
또한, 다른 형태의 사용 예에서는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측부가 계단 형태가 아닌 경우에도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연장하듯 끼움블록(113)을 설치하고, 결합프레임(120)의 일측면에 연장하듯 수용부재(123)를 설치하여 끼움블록(113)을 수용부재(123)에 삽입하여 끼워 장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슬라이딩부재(114)의 배치 및 기능은 상술된 바와 같다.
결합패널(130)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의 일면을 연결하여 장착되어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 간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결합패널(130)은 대략 판 형상이고,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에 가공된 제2체결구(116)와 볼트나 너트를 포함한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가공된 제3체결구(13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3체결구(131)는 제1지지프레임(110)측 부위에 양측으로 하나씩 또는 적어도 한 쌍씩 가공되고, 결합패널(130)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롯 형태이다. 이로 인해,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측방의 외압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110)이 결합프레임(120)에 대해 측방으로 이동할 때 이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물론, 제3체결구(131)는 결합패널(130)을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에 체결하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3체결구(131)는 제1지지프레임(110)측 부위에만 가공될 수도 있고, 이때 결합프레임(120)측 부위에 적어도 1개의 일반 체결구가 가공되면서어 결합패널(130)이 결합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한다.
보강패널(140)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이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패널(130)이 설치된 반대측 측면에 배치되어 충격완화 또는 신축에 의한 제1지지프레임(110) 또는 결합프레임(120)의 이동시, 이동을 안내 및 하중을 분산 지지하고,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 보강패널(140)은 일단측 부위가 결합패널(120))에 고정되어 제1지지프레임(110)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보강패널(140)은 제1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되어 결합패널(130)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패널(130)과 제1지지프레임(110)이 체결되면 보강패널(140)이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면, 일례로 하면과 접촉하여 결합프레임(120)에 대한 제1지지프레임(110)의 처짐 방지를 조력하고,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신축을 위한 완충 결합조립체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지지프레임과 제3연결프레임의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결합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을 완충시키기 위한 제2결합조립체(200)로,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제2지지프레임(210), 결합프레임(120), 결합패널(130)과 보강패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5에서의 결합프레임(120)은 도 1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하고, 제2지지프레임(210) 역시 슬라이딩부재(114)의 배치 각도에만 차이가 있고, 결합패널(130) 역시 제3체결구(131)의 슬롯 방향에만 차이가 있으며, 보강패널(140)을 포함한 이외의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들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제결합조립체(1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결합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결합프레임(120)과 동일하다. 다만,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을 완충시키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수용부재(123)와 끼움블록(113)이 끼워진 상태에서 앞뒤 양측에는 약간의 여유폭(W2)을 갖도록 가공된다.
제2지지프레임(210)은 도 1에 도시된 제1지지프레임(110)과 유사하고, 단지 슬라이딩부재(114)가 제2지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물론, 제2지지프레임(210)의 제1수평턱(111)의 하면에 장착된 끼움블록(113)의 끼움홈(117) 역시 슬라이딩부재(114)가 장착되도록 배치 및 가공된다. 또한, 끼움블록(113)은 정면상 대략 역"T"자 형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끼움블록(113)은 제2지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수용부재(123)에 끼워져 장착되고, 슬라이딩부재(114)의 하부 일부위가 수용부재(123)의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210)이 끼움블록(113), 슬라이딩부재(114)와 수용부재(123)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2지지프레임(210) 또는 결합프레임(120)에 열에 의한 신축이 발생하면, 끼움블록(113)이 신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축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끼움블록(113)의 이동시 마찰력이 슬라이딩부재(114)로 인해 최소화되어 보다 부드러운 이동이 보장된다.
또한, 다른 형태의 사용 예에서는 제2지지프레임(210)의 일측부가 계단 형태가 아닌 경우에도 제2지지프레임(210)의 일측면에 연장하듯 끼움블록(113)을 설치하고, 결합프레임(120)의 일측면에 연장하듯 수용부재(123)를 설치하여 끼움블록(113)을 수용부재(123)에 삽입하여 끼워 장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슬라이딩부재(114)의 배치 및 기능은 상술된 바와 같다.
결합패널(130)은 도 1에 도시된 결합패널(130)과 동일하다. 다만, 도 7에서와 같이 제3체결구(131)가 결합패널(13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롯 형태로 가공된다. 이는 결합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210)의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신축에 의해 결합프레임(120) 또는 제2지지프레임(210)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날 때 이를 보장할 수 있다.
<스카이워크>
도 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완충 결합조립체를 이용하여 설치된 스카이워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완충 결합조립체가 설치된 부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스카이워크는 이용자가 통행하면서 아래의 경치를 구경할 수 있도록 산에서의 계곡이나 지면에서 높은 위치에 설치된 구조물이다. 즉, 스카이워크에는 강한 바람 또는 돌풍에 의해 심하게 흔들릴 수 있고, 고지대에 위치하므로 태양열에 의해 보도의 열변형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에 의한 흔들림과 열에 의한 변형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더욱 안전한 스카이워크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카이워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교각은 통상의 것이므로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카이워크는 계곡과 계곡 사이 또는, 양측 구조물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교각(300)과, 이 교각(300)들을 연결하여 이용자가 통행할 수 있는 보도(310)를 구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보도(310)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상술된 측방 외력을 완충하기 위한 제1실시 예의 제1결합조립체(100)와 신축을 완충하기 위한 제2실시 예의 제2결합조립체(200)를 구비하여 제작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스카이워크는 다수의 교각(300)과, 교각(300)들을 연결하는 보도(310)로 제작된다. 여기서, 보도(310)는 도 10에서와 같이 교각(300)의 상부에 고정된 다수의 중간쉼터부(320)와, 이들 중간쉼터부(320)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결합프레임(120)과, 이웃한 결합프레임(120)들을 연결하여 장착된 지지프레임(S)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이외에도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S)들 사이에는 이용자가 걸을 수 있도록 다수의 발판 및 발판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S)은 제1지지프레임(110)이거나 제2지지프레임(210)이고, 대략 평행하게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고, 결합프레임(120)은 지지프레임(S)의 개수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 또, 발판 및 발판 지지대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10의 "A"부위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중간쉼터부(320)에서의 결합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S)의 체결은 외압을 완충하기 위한 제1결합조립체(100)로 체결되고, "B"부위에서와 같이 다른 하나의 중간쉼터부(320)에서의 결합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S)의 체결은 신축을 완충하기 위한 제2결합조립체(200)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A"부위에서는 지지프레임(S)의 일단측과 결합프레임(120)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충격 완화를 위한 구조로 제작되고, "B"부위에서는 지지프레임(S)의 타단측과 결합프레임(120)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신축 완화를 위한 구조로 제작된다. 즉, 지지프레임(S)의 양측에는 각각 다른 구조로 제작된다. 다른 예로, 하나의 지지프레임(S)의 양측부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구조가 동일하게 제작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프레임(S)의 양측부에는 신축 완화를 위한 구조가 동일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제1결합조립체 110:제1지지프레임
111:제1수평턱 112:제1수직턱
113:끼움블록 114슬라이딩부재
115제1체결구 116:제2체결구
117:끼움홈 120:결합프레임
121:제2수평턱 122:제2수직턱
123:수용부재 130:결합패널
131:제3체결구 140:보강패널
200:제2결합조립체 210:제2지지프레임
300:교각 310:보도
320:중간쉼터부 S:지지프레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1개의 지지프레임(S);과
    상기 지지프레임(S)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지지프레임(S)측 일측부에 장착된 수용부재(123)를 구비한 2개의 결합프레임(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S)의 일측부에는 측방 외압을 완충하기 위해 일측 결합프레임(120)의 수용부재(123)에 끼워지도록 장착된 끼움블록(113)과, 끼움블록(113)에 일부위가 돌출되면서 지지프레임(S)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슬라이딩부재(114)가 설치되고, 끼움블록(113)이 결합프레임(120)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114)의 돌출된 일부위가 하중을 지탱하면서 수용부재(123)의 일면에 접촉되며, 상기 끼움블록(113)이 수용부재(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120) 또는 제1지지프레임(110)이 외압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블록(113)과 수용부재(123) 간에 여유폭(W1)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지지프레임(S)의 타측부에는 신축 또는 길이 방향 이동을 완충하기 위해 타측 결합프레임(120)의 수용부재(123)에 끼워지도록 장착된 끼움블록(113)과, 끼움블록(113)에 일부위가 돌출되면서 지지프레임(S)의 폭 방향으로 장착된 슬라이딩부재(114)가 설치되고, 끼움블록(113)이 결합프레임(120)에 끼워지면 슬라이딩부재(114)의 돌출된 일부위가 수용부재(123)에 접촉되며, 상기 끼움블록(113)이 수용부재(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프레임(120) 또는 제2지지프레임(210)이 신축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움블록(113)과 수용부재(123) 간에 여유폭(W2)을 갖도록 제작된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S)과 결합프레임(120)의 결합부위에서 지지프레임(S)의 일측부에는 제1수평턱(111)의 양측에 제1수직턱(112)이 마련된 계단 형태로 가공되고, 결합프레임의 일측부에는 제2수평턱(121)의 양측에 제2수직턱(122)이 마련된 계단 형태로 가공되며,
    상기 제1수평턱(111)에 끼움블록(113)이 장착되고, 상기 제2수평턱(121)에 수용부재(123)가 장착된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블록(113)은 정면상 역"T"자 형상이고,
    상기 수용부재(123)는 끼움블록(113)이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되면서 상면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제작된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블록(113)에 수용부재(123)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S)과 결합프레임(120)을 연결하여 배치되면서 양측부가 각각 지지프레임(S) 또는 결합프레임(120)에 고정된 판 형상의 결합패널(1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S)과 결합프레임(120)의 하면에 배치되어 일측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타측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보강패널(1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패널(130)의 일측 또는 양측부에는 지지프레임(S) 또는 결합프레임(1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가공된 적어도 1개의 제3체결구(131)을 구비하고,
    상기 제3체결구(131)은 외압에 의한 지지프레임(S) 또는 결합프레임(120)의 측방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프레임(S)의 폭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가공되거나, 지지프레임(S) 또는 결합프레임(120)의 신축 또는 외압에 의한 길이 방향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프레임(S)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가공된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
  8. 다수의 교각(300) 위에 보도(310)를 설치하여 이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스카이워크에 있어서,
    상기 보도(310)는,
    각 교각(300) 위에 설치된 다수의 중간쉼터부(320);
    상기 중간쉼터부(320)에 돌출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일측부에 장착된 수용부재(123)를 구비한 2개의 결합프레임(120);과
    이웃한 중간쉼터부(320)의 결합프레임(120)을 연결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측방 외압 및 신축 또는 길이 방향 이동을 완충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결합프레임(120)의 수용부재(123)에 끼워지도록 장착된 끼움블록(113)과, 끼움블록에 일부위가 돌출되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장착된 슬라이딩부재(114)를 구비한 지지프레임(S);과
    이격시켜 설치한 적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S)들을 연결하여 걸어 다닐 수 있게 설치한 다수의 발판 및 발판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를 구비한 스카이워크.
  9. 제8항에 있어서,
    이웃한 중간쉼터부(320)들 중에서 일측 중간쉼터부(320)에서의 결합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S)의 결합부위에서는 측방 외압을 완충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중간쉼터부(320)에서의 결합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S)의 결합부위에서는 신축 및 길이 방향 이동을 완충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를 구비한 스카이워크.
KR1020150123122A 2015-08-31 2015-08-31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KR10159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22A KR101593885B1 (ko) 2015-08-31 2015-08-31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22A KR101593885B1 (ko) 2015-08-31 2015-08-31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885B1 true KR101593885B1 (ko) 2016-02-12

Family

ID=5535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22A KR101593885B1 (ko) 2015-08-31 2015-08-31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88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464B1 (ko) * 2016-11-14 2017-02-13 (주)셈텍 방진완충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KR101782562B1 (ko) * 2017-05-30 2017-09-27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WO2018117389A3 (ko) * 2016-12-20 2018-08-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실과 본 건물의 사이를 활용한 감쇠 시스템
KR102227301B1 (ko) * 2020-01-14 2021-03-12 휴먼이엔씨주식회사 투광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KR102410461B1 (ko) * 2022-03-07 2022-06-22 (주)한맥기술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KR102430385B1 (ko) * 2021-10-21 2022-08-08 김지나 채혈기
KR102458211B1 (ko) 2022-05-04 2022-10-24 길승환 곡선형 레일의 신축 안전 확보 시스템
CN115317171A (zh) * 2021-05-21 2022-11-11 珠海大拇指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减震低噪音的电动牙刷
KR20230135226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바른비아이엠스틸 방향키 및 각도키를 포함하는 기둥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KR102636027B1 (ko) 2022-09-27 2024-02-14 길승환 신축 이음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891Y1 (ko) * 2001-04-03 2001-10-10 주식회사 수성기술단 강재 플레이트 거더 교량 상판 낙교방지 장치
KR200403753Y1 (ko) * 2005-09-05 2005-12-14 신천희 교량용 교좌장치
KR100949292B1 (ko) * 2009-06-01 2010-03-23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온도신축의 영향을 받지않는 가설교량의 지점부 시공방법
KR20100072893A (ko) 2008-12-22 2010-07-01 조영철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1403266B1 (ko) * 2013-09-05 2014-06-02 김동수 기둥 상부에 조립식 접합구조를 갖는 보도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891Y1 (ko) * 2001-04-03 2001-10-10 주식회사 수성기술단 강재 플레이트 거더 교량 상판 낙교방지 장치
KR200403753Y1 (ko) * 2005-09-05 2005-12-14 신천희 교량용 교좌장치
KR20100072893A (ko) 2008-12-22 2010-07-01 조영철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0949292B1 (ko) * 2009-06-01 2010-03-23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온도신축의 영향을 받지않는 가설교량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1403266B1 (ko) * 2013-09-05 2014-06-02 김동수 기둥 상부에 조립식 접합구조를 갖는 보도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464B1 (ko) * 2016-11-14 2017-02-13 (주)셈텍 방진완충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WO2018117389A3 (ko) * 2016-12-20 2018-08-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실과 본 건물의 사이를 활용한 감쇠 시스템
US11299902B2 (en) 2016-12-20 2022-04-12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nkook University Damping system utilizing space between stair chamber and inner building
KR101782562B1 (ko) * 2017-05-30 2017-09-27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KR102227301B1 (ko) * 2020-01-14 2021-03-12 휴먼이엔씨주식회사 투광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CN115317171A (zh) * 2021-05-21 2022-11-11 珠海大拇指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减震低噪音的电动牙刷
CN115317171B (zh) * 2021-05-21 2024-03-22 珠海大拇指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减震低噪音的电动牙刷
KR102430385B1 (ko) * 2021-10-21 2022-08-08 김지나 채혈기
KR102410461B1 (ko) * 2022-03-07 2022-06-22 (주)한맥기술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KR20230135226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바른비아이엠스틸 방향키 및 각도키를 포함하는 기둥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KR102458211B1 (ko) 2022-05-04 2022-10-24 길승환 곡선형 레일의 신축 안전 확보 시스템
KR102636027B1 (ko) 2022-09-27 2024-02-14 길승환 신축 이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885B1 (ko)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KR100991868B1 (ko) 가드레일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49065B1 (ko) 데크로드 및 목교 시스템
JP5561661B2 (ja) 構造物用の滑り支承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492132B1 (ko)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KR200473182Y1 (ko)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KR10100578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KR100757212B1 (ko) 면진 핑거 조인트
KR101370820B1 (ko) 교량받침장치
KR101575743B1 (ko)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JP2007154621A (ja) 伸縮手摺装置
KR101588325B1 (ko)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JP2007332665A (ja) 変位調整機能付き落橋防止装置
JP5297635B2 (ja) 手摺型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KR102121907B1 (ko)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데크
JP6494556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470336Y1 (ko) 간격유지 및 소음 방지용 서포터
KR20090112512A (ko) 쐐기형 전단키
KR100805186B1 (ko) 방음벽 어셈블리
JP6682393B2 (ja) チューンド・マス・ダンパー
US20030205004A1 (en) Roof seismic motion-absorbing gap cover
EP3851585A1 (en) Fixing module for extended structure, prestressed cantilever including same, and extended structure including same
KR102305534B1 (ko) 지진동 완충 구조가 구비된 아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