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719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19B1
KR101588719B1 KR1020140051636A KR20140051636A KR101588719B1 KR 101588719 B1 KR101588719 B1 KR 101588719B1 KR 1020140051636 A KR1020140051636 A KR 1020140051636A KR 20140051636 A KR20140051636 A KR 20140051636A KR 101588719 B1 KR101588719 B1 KR 10158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ating
support structure
sliding pad
struc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730A (ko
Inventor
김연호
우경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1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에 장착되는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선체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조유닛; 제1지지구조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선체에 설치되며, 중량물을 지지하는 제2지지구조유닛; 및 제1지지구조유닛과 제2지지구조유닛을 연결하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그레이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구조유닛을 연결하는 그레이팅유닛의 하나의 측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지지구조유닛 각각을 그레이팅유닛의 파손없이 연결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물에 떠서 사람, 가축, 물자 등을 싣고 물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해양을 조사, 분석하는 시설을 갖추고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선박은 전통적인 형태의 이동식 이외에도, 수심에 따라 수심이 비교적 깊지 않은 연근해지역에 설치되는 고정식, 반잠수식, 그리고, 심해저 자원개발에 사용되는 부유식의 해상구조물을 포함하며, 주로 석유 또는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 탐사 및 채취와 같은 해상 작업에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선박에는 시추 장비 등이 탑재될 수 있으며, 시추 장비를 이용하여 해저 유전 등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산업화에 따른 석유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경제성이 없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 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시추선은 다양한 종류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른 예인선에 의해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정한 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잭업 리그선이나, 고정식 플랫폼,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추선은 탐사를 마친 유전과 가스전에서 이를 생산하는 생산설비인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와 LNG-FPSO, 시추와 생산기능이 복합된 복합설비로 해양플랫폼 및 TLP(Tension Leg Platform), 반잠수식설비(Semi-submersi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LNG-FPSO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해저를 시추하여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가공 및 액화시켜 LNG저장탱크 내에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천연가스를 생산, 가공 후 액화시키는 데에 각종 설비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설비들은 상당히 무거운 하중을 갖는 것으로 부유식 해상구조물 선체의 갑판 상부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설비들을 지지하기 위해 부유식 해상구조물 선체의 갑판 상부 상에 배치되는 갑판 상부 모듈은 보통 모듈화된 형태로 제작되어 선체에 마련된 복수의 스툴(Stool)에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스툴은 바람이나 파도, 조류에 의한 선체의 거동에 의해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유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갑판 상부 모듈과 각각의 스툴은 어느 정도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되 하중이 지지되도록 특수 장치(Flexible Bearing)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LNG-FPSO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배치되는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에는,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 각각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그레이팅(Grating)이 설치되는데, 여기서, 그레이팅은 작업자 및 차량 등이 이동하는 이동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툴은 바람이나 파도, 조류에 의한 선체의 거동에 의해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유동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스톨에 설치되는 갑판 상부 모듈 역시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그레이팅이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 각각에 모두 고정되어 버리면,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유동에 의해 그레이팅의 고정 부분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2-0031043호(공개일자:2012년03월29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레이팅유닛의 하나의 측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복수의 지지구조유닛 각각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레이팅유닛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장착되는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조유닛;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중량물을 지지하는 제2지지구조유닛; 및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과 상기 제2지지구조유닛을 연결하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그레이팅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타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은,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슬라이딩패드; 상기 하측슬라이딩패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슬라이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슬라이딩패드는, 상기 그레이팅유닛에 체결되기 위해 상기 하측슬라이딩패드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하측체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체결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슬라이딩패드는, 상기 그레이팅유닛에 체결되기 위해 상기 상측슬라이딩패드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상측체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측체결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의 단면이 한글 자음 'ㄷ' 형상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구조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에 접촉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구조유닛은,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과 맞닿는 부분에 결합되는 보조슬라이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레이팅유닛의 하나의 측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복수의 지지구조유닛 각각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레이팅유닛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체의 거동(Hull Motion)에 의한 갑판 상부 모듈의 응력 변동 및 변위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갑판 상부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설계에서 요구되는 최적화된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지지구조유닛과 제2지지구조유닛이 그레이팅유닛을 통해 연결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지지구조유닛과 제2지지구조유닛이 그레이팅유닛을 통해 연결되는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L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그레이팅유닛에 슬라이딩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슬라이딩연결유닛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슬라이딩연결유닛과의 비교를 위한 소정 형상의 슬라이딩연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연결' 또는 '결합'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를 직접 연결 또는 결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일반적인 선체의 거동(Hull Motion)에 의한 갑판 상부 모듈의 응력 변동 및 변위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갑판 상부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설계에서 요구되는 최적화된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지지구조유닛과 제2지지구조유닛이 그레이팅유닛을 통해 연결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지지구조유닛과 제2지지구조유닛이 그레이팅유닛을 통해 연결되는 모습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L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그레이팅유닛에 슬라이딩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슬라이딩연결유닛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슬라이딩연결유닛과의 비교를 위한 소정 형상의 슬라이딩연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에 장착되는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선체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조유닛(100)과, 제1지지구조유닛(100)으로부터 이격되어 선체에 설치되며, 중량물을 지지하는 제2지지구조유닛(200)과, 제1지지구조유닛(100)과 제2지지구조유닛(200)을 연결하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그레이팅유닛(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및 특수 작업선 등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선박(100)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FPSO,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등 화물을 저장 및 하역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선박은 다양한 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유닛이 구비되는 선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항해 중인 선박의 운동은 선체(H)의 길이 방향의 수평축에 대한 전후동요(surging, 서징), 선체(H)의 길이 방향의 수평축에 대한 회전동요(rolling, 롤링), 선체(H)의 횡방향 수평축을 따라 움직이는 좌우동요(swaying, 스웨잉), 선체(H)의 횡방향 수평축에 대한 회전운동(pitching, 피칭), 선체(H)의 연직축 방향으로의 상하동요(heaving, 히빙) 및 선체(H)의 연직축 방향으로 한 회전동요(yawing, 요잉) 등의 6방향 운동으로 구별된다. 여기서, 도 1의 화살표(E)는 선박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선박의 운동에 의한 갑판 상부 모듈(F)의 응력 변동 및 변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갑판 상부 모듈(F)을 지지하는 4 방향 지지부는, 도 1을 참조하면, 각각 다른 움직임을 갖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 영역은 선박의 종방향(이하 '종방향'이라 함은 선체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방향을 말한다)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설계되고, B 영역은 선박의 종방향 및 횡방향(이하 '횡방향'이라 함은 종방향의 가로방향을 말한다)의 움직임에 대한 거동이 없도록 선체(H)에 구속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1의 C 영역은 선체(H)의 횡방향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설계되고, D 영역은 선체(H)의 종방향 및 횡방향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서 갑판 상부 모듈(F)은 선체(H)의 거동으로 인한 변위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선체(H)와 갑판 상부 모듈(F) 간의 모멘트 전달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 변동이 최소화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에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F)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F) 각각은 서로 다른 거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선체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갑판 상부 모듈(F) 각각을 그레이팅유닛(300)으로 연결하되, 하나의 갑판 상부 모듈(F)에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갑판 상부 모듈(F)에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이 고정된다면,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F)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경우 그레이팅유닛(300)은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F)의 유동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그레이팅유닛(300)에 파손이 발생되거나, 또는, 그레이팅유닛(300)과 갑판 상부 모듈(F)과의 연결부위가 끊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은 하나의 갑판 상부 모듈(F)에 고정되고,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은 다른 갑판 상부 모듈(F)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의 갑판 상부 모듈(F)의 서로 다른 유동에도 그레이팅유닛(300)이 파손되지 않게 마련되는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갑판 상부 모듈(F)은 제1지지구조유닛(100) 및 제2지지구조유닛(200)과 동일한 구조체일 수 있다.
그리고,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은, 제1지지구조유닛(10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이 제1지지구조유닛(100)에 고정되는 경우,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이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이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고정되는 경우,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이 제1지지구조유닛(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이 제1지지구조유닛(100)에 고정되고,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이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지지구조유닛(100)은 선체에 설치되며, 선체에 장착되는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데, 중량물은 생산설비, 가공설비뿐만 아니라 천연가스를 생산, 가공 후 액화시키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구조유닛(100)은 복수의 메인프레임과, 복수의 메인프레임 각각을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각종의 설비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제2지지구조유닛(200) 역시 선체에 설치되되, 제1지지구조유닛(1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2지지구조유닛(200) 역시 선체에 장착되는 각종의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한,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레이팅유닛(300)은 제1지지구조유닛(100)과 제2지지구조유닛(200)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데, 그레이팅유닛(300)은 격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은 고정되고 그레이팅유닛(300) 타측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이 각종의 체결볼트(700) 또는 힐티핀(Hilti Pin,700) 등을 사용하여 제1지지구조유닛(100)에 고정되는 경우,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은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연결되되,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이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自由端)의 형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접촉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은 제2지지구조유닛(200)에서 발생되는 그레이팅유닛(300)의 슬라이딩을 보조하기 위해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은 그레이팅유닛(30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다른 재질에 비해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강도가 높기 때문에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의 경우, 부식에 강하기 때문에 부식 방지용 도장(塗裝)작업이 필요없으며, 이에 의해, 작업공정이 용이하고 도장에 필요한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은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연결부재(420)와, 상측슬라이딩패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측슬라이딩패드(410)는 그레이팅유닛(3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슬라이딩패드(41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마련되어 제2지지구조유닛(20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420)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로부터 연장되며, 그레이팅유닛(300)의 측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부재(420)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상측슬라이딩패드(430)를 연결하여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레이팅유닛(300)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다만, 연결부재(420)없이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상측슬라이딩패드(430)가 분리되는 형태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상측슬라이딩패드(430)는 그레이팅유닛(300)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측슬라이딩패드(430)는 연결부재(420)로부터 연장되며, 그레이팅유닛(3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측슬라이딩패드(430)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스틸로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커버플레이트(50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그레이팅유닛(300)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단면이 한글 자음 'ㄷ' 형상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그레이팅유닛(300)의 측면으로부터 끼워진 후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를 통해 그레이팅유닛(3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단면이 한글 자음 'ㄷ' 형상을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을 그레이팅유닛(300)의 측면에 단순히 끼워 넣은 후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로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보조슬라이딩패드(600)는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슬라이딩패드(600)도 전술한 슬라이딩연결유닛(400)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인해, 스테인레스 스틸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슬라이딩패드(600)는 제2지지구조유닛(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하측슬라이딩패드(410)가 보조슬라이딩패드(600)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보조슬라이딩패드(600)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마련되는 경우, 하측슬라이딩패드(410)는 보조슬라이딩패드(600)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도 4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연결유닛(400)에 포함되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연결부재(420)와, 상측슬라이딩패드(430)는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그레이팅유닛(300)에 끼워진 후 그레이팅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측슬라이딩패드(410)가 보조슬라이딩패드(600)를 따라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그레이팅유닛(300) 역시 하측슬라이딩패드(4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즉,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이 제1지지구조유닛(100)에 고정되고,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이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제1지지구조유닛(100)과 제2지지구조유닛(200) 각각이 서로 다른 움직임을 가지는 경우에도, 제2지지구조유닛(200)에서 접촉되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므로, 그레이팅유닛(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플레이트(500)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연결유닛(400)과 제2지지구조유닛(200)은 고정되지 않고 단순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만약, 커버플레이트(500)가 없다면 그레이팅유닛(300)이 도 3을 기준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그레이팅유닛(300)과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제2지지구조유닛(200) 상부로 들릴 수 있다.
즉, 커버플레이트(500)는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고정되고,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상측슬라이딩패드(43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연결유닛(400)과 그레이팅유닛(300)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커버플레이트(500)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에 접촉되므로, 커버플레이트(500)도 전술한 슬라이딩연결유닛(400)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인해, 스테인레스 스틸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플레이트(500)가 제2지지구조유닛(20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상측슬라이딩패드(430)가 커버플레이트(500)에 맞닿게 되는데, 상측슬라이딩패드(430)와 커버플레이트(500)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마련되는 경우, 상측슬라이딩패드(430)는 커버플레이트(500)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도 4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하측슬라이딩패드(410)는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를 통해 그레이팅유닛(300)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다만, 체결부재(800)가 볼트 또는 결합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재(800)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그레이팅유닛(300)을 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측슬라이딩패드(410)가 그레이팅유닛(300)에 체결되기 위해 하측슬라이딩패드(410)에는 하측체결플레이트(4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슬라이딩패드(410)에 형성된 하측체결플레이트(411)에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를 삽입하여 그레이팅유닛(300)과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체결플레이트(411)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하측체결플레이트(411)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와 그레이팅유닛(300)과의 체결의 안정성을 위해 한 쌍으로 마련되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전개도인 도 6를 참조하면, 하측체결플레이트(411)는 하측슬라이딩패드(410)의 양 쪽에 각각 하나씩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하측체결플레이트(411a,411b) 각각은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하측체결플레이트(411a)가 가상의 수직선 Y1에 배치되면, 제2하측체결플레이트(411b)는 가상의 수직선 Y2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하측체결플레이트(411a,411b) 각각을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배치하는 이유는, 복수의 그레이팅유닛(300a, 300b)이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도 7(b) 참조), 제1그레이팅유닛(300a)의 체결부재(800a)와, 제1그레이팅유닛(300a)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그레이팅유닛(300b)의 체결부재(800b)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한 쌍의 하측체결플레이트(411a,411b), 즉, 제1하측체결플레이트(411a)와 제2하측체결플레이트(411b)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 Y3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의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벤딩선 Z1을 따라 접혀지고,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하측슬라이딩패드(410)로부터 연장되는 제1하측체결플레이트(411a)와 제2하측체결플레이트(411b)가 벤딩선 Z2를 따라 접혀진 후, 그레이팅유닛(300)에 결합된다.
그런데, 다양한 작업환경이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그레이팅유닛(300a,300b)이 상호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하측체결플레이트(411a,411b)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 Y3에 배치되는 경우, 제1그레이팅유닛(300a)에 결합되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하측슬라이딩패드(4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1하측체결플레이트(411a)에 결합된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a)와, 제1그레이팅유닛(300a)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그레이팅유닛(300b)에 결합되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하측슬라이딩패드(4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하측체결플레이트(411b)에 결합된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b)가 서로 간섭하게 된다(도 7(b)의 확대도①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하측체결플레이트(4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되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체결부재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체결부재(800a, 800b)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복수의 그레이팅유닛(300a,300b)이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라면, 한 쌍의 하측체결플레이트(411a,411b)는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측슬라이딩패드(430)는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를 통해 그레이팅유닛(300)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다만, 하측슬라이딩패드(410)에서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800)가 볼트 또는 결합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재(800)는 상측슬라이딩패드(430)와 그레이팅유닛(300)을 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슬라이딩패드(430)가 그레이팅유닛(300)에 체결되기 위해 상측슬라이딩패드(430)에는 상측체결플레이트(4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측슬라이딩패드(430)에 형성된 상측체결플레이트(431)에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를 삽입하여 그레이팅유닛(300)과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측체결플레이트(431)는 상측슬라이딩패드(430)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측체결플레이트(431)는 상측슬라이딩패드(430)와 그레이팅유닛(300)과의 체결의 안정성을 위해 한 쌍으로 마련되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전개도인 도 6를 참조하면, 상측체결플레이트(431)는 상측슬라이딩패드(430)의 양 쪽에 각각 하나씩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측체결플레이트(431a,431b) 각각은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상측체결플레이트(431a)가 가상의 수직선 X1에 배치되면, 제2상측체결플레이트(431b)는 가상의 수직선 X2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측체결플레이트(431a,431b) 각각을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배치하는 이유는, 복수의 그레이팅유닛(300a, 300b)이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도 7(b) 참조), 제1그레이팅유닛(300a)의 체결부재(800a)와, 제1그레이팅유닛(300a)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그레이팅유닛(300b)의 체결부재(800b)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한 쌍의 상측체결플레이트(431a,431b), 즉, 제1상측체결플레이트(431a)와 제2상측체결플레이트(431b)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 X3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의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벤딩선 Z1을 따라 접혀지고,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상측슬라이딩패드(430)로부터 연장되는 제1상측체결플레이트(431a)와 제2상측체결플레이트(431b)가 벤딩선 Z2를 따라 접혀진 후, 그레이팅유닛(300)에 결합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다양한 작업환경이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그레이팅유닛(300a,300b)이 상호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측체결플레이트(431a,431b)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 X3에 배치 경우, 제1그레이팅유닛(300a)에 결합되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상측슬라이딩패드(43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1상측체결플레이트(431a)에 결합된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a)와, 제1그레이팅유닛(300a)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그레이팅유닛(300b)에 결합되는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의 상측슬라이딩패드(43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상측체결플레이트(431b)에 결합된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b)가 서로 간섭할 수 있게 된다(도 7(b)의 확대도② 참조).
이는, 하측체결플레이트(411)에 결합된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이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측체결플레이트(4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되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체결부재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체결부재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복수의 그레이팅유닛(300a,300b)이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라면, 한 쌍의 상측체결플레이트(431a,431b)는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그레이팅유닛(300)과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은 볼트 또는 결합핀과 같은 체결부재(800)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용접의 경우, 그레이팅유닛(300)에 형성된 격자 모양으로 인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레이팅유닛(30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 예를 들어, 아연도금을 수행하는 경우, 용접이 어렵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인레스 스틸의 경우 용접시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유닛(300)과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은 볼트 또는 결합핀과 같은 체결부재(8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체 작업물량이나 작업환경 또는 그레이팅유닛(300) 격자모양의 크기에 따른 용접의 용이성, 도금의 필수여부, 스테인레스 스틸의 변형정도가 미치는 영향 등 전체적인 작업요인을 고려하여, 용접에 의해 그레이팅유닛(300)과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그레이팅유닛(300)의 하나의 측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복수의 지지구조유닛 각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그레이팅유닛(300)의 일측은 제1지지구조유닛(100)에 고정결합되고, 그레이팅유닛(300)의 타측은 슬라이딩연결유닛(400)에 결합되어 제2지지구조유닛(20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은 단면이 한글 자음 'ㄷ'형상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그레이팅유닛(300)의 측면으로부터 끼워진 후 볼트 또는 결합핀 등의 체결부재(800)를 통해 그레이팅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구조유닛(200)의 상부에는 보조슬라이딩패드(600)가 결합되어 하측슬라이딩패드(410)에 맞닿게 되고, 연결부재(420)에 의해 하측슬라이딩패드(410)에 연결되는 상측슬라이딩패드(430)의 상부에는 커버플레이트(500)가 배치되어 상측슬라이딩패드(430)에 맞닿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연결유닛(400)과, 보조슬라이딩패드(600)와, 커버플레이트(50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연결유닛(400)이 보조슬라이딩패드(600)와, 커버플레이트(500) 사이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연결유닛(400)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유닛(30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복수의 지지구조유닛 각각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레이팅유닛(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제1지지구조유닛 200 : 제2지지구조유닛
300 : 그레이팅유닛 400 : 슬라이딩연결유닛
410 : 하측슬라이딩패드 411 : 하측체결플레이트
420 : 연결부재 430 : 상측슬라이딩패드
431 : 상측체결플레이트 500 : 커버플레이트
600 : 보조슬라이딩패드

Claims (7)

  1. 선체에 장착되는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조유닛;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중량물을 지지하는 제2지지구조유닛;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과 상기 제2지지구조유닛을 연결하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그레이팅유닛; 및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타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은,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슬라이딩패드;
    상기 하측슬라이딩패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그레이팅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슬라이딩패드를 포함하는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슬라이딩패드는, 상기 그레이팅유닛에 체결되기 위해 상기 하측슬라이딩패드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하측체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체결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는 선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슬라이딩패드는, 상기 그레이팅유닛에 체결되기 위해 상기 상측슬라이딩패드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상측체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측체결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서로 다른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여지는 선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의 단면이 한글 자음 'ㄷ' 형상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선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구조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에 접촉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구조유닛 또는 상기 제2지지구조유닛은, 상기 슬라이딩연결유닛과 맞닿는 부분에 결합되는 보조슬라이딩패드를 더 포함하는 선박.

KR1020140051636A 2014-04-29 2014-04-29 선박 KR10158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636A KR101588719B1 (ko) 2014-04-29 2014-04-29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636A KR101588719B1 (ko) 2014-04-29 2014-04-29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30A KR20150124730A (ko) 2015-11-06
KR101588719B1 true KR101588719B1 (ko) 2016-01-26

Family

ID=5460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636A KR101588719B1 (ko) 2014-04-29 2014-04-29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266B1 (ko) * 2019-08-02 2019-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76A (ja) 2002-09-13 2004-04-08 City Rise:Kk 側溝用のグレーチングのアタッチメン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230Y1 (ko) * 1996-01-29 1999-03-20 김광호 청정실 내장 바닥재용 그레이팅 구조
KR100953279B1 (ko) * 2008-01-23 2010-04-19 이근식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KR101665392B1 (ko) * 2010-07-15 2016-10-1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내에서의 형상 검출 방법
KR101337272B1 (ko) 2012-03-15 2013-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76A (ja) 2002-09-13 2004-04-08 City Rise:Kk 側溝用のグレーチングのアタッチ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30A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346B1 (en) Tension-based tension leg platform
US20150298775A1 (en) Low Heave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Sharma et al. Issues in offshore platform research-Part 1: Semi-submersibles
US7383784B2 (en) Lashing of tender assist drilling unit to a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KR101588719B1 (ko) 선박
KR101487513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Webb et al. Offshore Construction–Installing the World's Deepest FPSO Development
KR20170035663A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US20150217836A1 (en) Methods for assembling a modular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KR102632396B1 (ko) 문풀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Mansour et al. A Low Motion FPSO Design Hosting SCR and TTR in Harsh Environment
Meenan Technical aspects of decommissioning offshore structures
KR200469615Y1 (ko) 쌍동선형 시추선
KR20160004519U (ko) 해양구조물
WO2016098520A1 (ja) フェアリングカバー
KR101491672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1722376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Sharma et al. Optimum Design of an Ultra-Low Motion Semi-Submersible Platform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20140006635A (ko)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KR20140143523A (ko)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Ochoa Manobel Proposals for the improvement of security in special anchor operations for the setting of offshore structures
Manobel Trabajo de Fin de Grado
KR101475024B1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