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327B1 -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327B1
KR101588327B1 KR1020130152734A KR20130152734A KR101588327B1 KR 101588327 B1 KR101588327 B1 KR 101588327B1 KR 1020130152734 A KR1020130152734 A KR 1020130152734A KR 20130152734 A KR20130152734 A KR 20130152734A KR 101588327 B1 KR101588327 B1 KR 10158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gear
frame
window fram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935A (ko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riority to KR102013015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3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이 형성된 창틀, 레일이 삽입되어 미닫이되는 제1창호프레임 및 창틀에 고정된 제2창호프레임을 구비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제1창호프레임의 측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프레임; 이동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창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 제2창호프레임의 우측 프레임에 구비되며,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자동회전모터, 손잡이 회전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밀착 자동 구동부;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홈을 구비하며, 밀착 자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돌출부가 홈 내에서 이동되면 상기 창틀방향으로 제2창호프레임을 밀착시키거나 밀착된 제2창호프레임을 분리시키는 복수의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 Automatic window close/open contact and sliding system and automatic close/open contact apparatus }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프레임이 창틀과 자동으로 밀착되어 닫히고, 창짝의 이송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구비한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식의 창호시스템의 구조를 보면, 창틀의 좌우 일측에는 고정창짝을 제작하여 창틀 3면에 부착 고정시키고, 이와 평행하게 형성된 레일선상에 별도로 제작된 이동창짝이 장착되어 개폐 및 폐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동창짝의 이동 특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고정창 및 창틀과 이동창짝간에는 필연적으로 틈새가 발생된다.
이러한 유격 공간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창짝에 밀착부재를 부착 고정하나 4면이 연속되지못해 밀착부 재간의 틈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이동창짝 및 고정창짝이 교차되는 수직바의 상하단부와 창틀간에 유격 공간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구조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창호시스템에서 틈새의 차단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소음과 내,외기의 소통은 개인 사생활보호 문제 및 냉,난방비의 낭비라는 문제점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다.
결국, 고정식 창호시스템에서는 이동창짝 뿐만 아니라 고정창짝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상기한 틈새들을 완벽하게 차단할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창짝의 이송 및 밀폐구조가 사람의 힘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이루어졌다.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 2002-0081013호에 창문용 자동개폐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창짝의 이송 및 밀폐 전과정을 자동적으로 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닫이 창호프레임이 창틀의 안쪽으로 밀착되어 자동으로 닫히고 창호의 이송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구비한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일측면에 따르면, 레일이 형성된 창틀,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미닫이되는 제1창호프레임 및 상기 창틀에 고정된 제2창호프레임을 구비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측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창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 상기 제2창호프레임의 우측 프레임에 구비되며,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자동회전모터, 상기 손잡이 회전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밀착 자동 구동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 내에서 이동되면 상기 창틀방향으로 제2창호프레임을 밀착시키거나 밀착된 제2창호프레임을 분리시키는 복수의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구동부 및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상단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사용자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밀착에 대한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창호프레임이 개방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가 구동되어 상기 제2창호프레임을 닫은 후,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돌출부를 상기 밀착부재의 홈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창틀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구동모터, 상기 슬라이드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벨트연결된 제2기어를 포함한 슬라이드 구동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상단프레임에 결합된 상단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의 벨트 일측 및 상기 상단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구동모터 구동시, 벨트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1창호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의 측면 상단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받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위치에 대응되는 창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창호프레임이 닫힐 때,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을 구비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창호프레임이 닫히면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이송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결합된 자동회전축; 상기 자동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기어 및 상기 자동회전축의 타측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이동기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는, 제2창호프레임에 형성되고 회전력을 공급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자동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이송수단은, 중심에 자동회전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축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는 손잡이 기어; 상기 손잡이 기어를 하우징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 일면에 상기 손잡이 기어와 치합되는 복수의 치합홀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 회전시 상기 손잡이 기어와 상기 치합홀이 치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치합홀이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하단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하단 돌출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상단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상단 돌출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좌측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좌측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회전가능한 자동회전축; 상기 자동회전축이 관통되며 감속기어와 치합되어 자동회전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제1기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와 한 몸체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제2기어; 슬라이딩 제1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자동회전모터; 상기 자동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제2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제2기어와 구동기어를 결합하는 기어캡; 상기 기어캡의 일측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하우징 캡; 손잡이를 구비하며 기어하우징과 결합하는 핸들; 일측이 상기 핸들의 일측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캡의 일측에 삽입되어 핸들캡을 지지하며 상기 핸들캡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핸들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밀착부재는, 상기 하단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단 밀착부재, 상단 돌출부가 삽입되는 상단 밀착부재, 좌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좌측 밀착부재,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우측 창틀에 구비되는 우측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밀착부재는 구형(鉤形)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밀착부재, 상단 밀착부재, 좌측 밀착부재는, 상기 제1창호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타원형의 홈이 형성된 결합프레임; 상부에 상기 구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착프레임; 및 상기 밀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프레임의 양측면과 연결되는 연결축;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밀착프레임은 상기 연결축을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밀착부재 및 상단 밀착부재는, 상기 밀착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2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은 일측에 개방된 홈을 구비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밀착부재는, 상기 결합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좌측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의 홈에 고정 또는 이탈되는 돌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우측 창틀과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의 구동속도를 줄여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의 구동속도를 줄여 완전히 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밀착닫힘상태에서, 밀폐된 공간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산화탄소량이 일정량 이상이면, 상기 슬라이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창호프레임을 이동시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닫힘동작 중 또는 밀착닫힘상태,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부힘을 감지하는 제3센서부; 및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동작상태 및 감지된 외부힘에 대응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힘동작시 외부로부터 일정한 힘이 감지되면 상기 슬라이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밀착닫힘상태,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일정힘 이상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외부힘에 의해 이동된 제1창호프레임의 상태에 대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측면은, 회전가능한 자동회전축; 상기 자동회전축이 관통되며 감속기어와 치합되어 자동회전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제1기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와 한 몸체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제2기어; 슬라이딩 제1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자동회전모터;상기 자동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제2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제2기어와 구동기어를 결합하는 기어캡; 상기 기어캡의 일측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하우징 캡; 손잡이를 구비하며 기어하우징과 결합하는 핸들; 일측이 상기 핸들의 일측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캡의 일측에 삽입되며 핸들캡을 지지하며 상기 핸들캡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핸들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일측이 상기 자동회전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제1기어와 치합되어 자동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전달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상기 핸들은 일측에 중공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핸들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하우징의 외부에 핸들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하이징커버에 형성된 하우징커버홈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핸들돌기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기어하우징의 베어링삽입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자동회전축이 관통하여 자동회전축이 기어하우징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지지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회전가능한 제2자동회전축; 상기 제2자동회전축이 관통하며 제2자동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대응되어 맞물리어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 및 제2하우징에 의해 하우징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자동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회전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제2베벨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제2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자동회전축이 관통되어 상기 제2자동회전축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 및 하우징커버의 제2자동회전축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자동회전축의 타측이 관통하며 상기 제2자동회전축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상기 제2자동회전축에 결합하여 상기 제2자동회전축이 빠지지 않도록 작용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상기 제2감속기의 축이 관통하는 감속기결합홈이 형성되고 제2감속기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감속기를 지지하는 감속기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닫이 창호프레임의 상하좌우가 창틀의 안쪽으로 밀착되어 닫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창틀과 창호프레임사이의 틈새를 막아주어 외부로부터 소음이나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외부로의 열손실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회전 또는 창호프레임의 자동개폐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창호프레임을 창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미닫이 창호프레임이 창틀과 자동으로 밀착되어 닫히고, 창짝의 이송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상단 플레이트, 도 2의 (b)는 도 1의 연결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창호프레임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자동회전축, 자동회전모터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손잡이 회전에 따른 밀착닫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밀착부재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밀착부재의 하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밀착부재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제1창호프레임의 좌측프레임의 좌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제2창호프레임에 구비된 고정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고정프레임과 도 1의 좌측 밀착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좌측 밀착부재와 돌출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전원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개략적인 전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핸들에 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기어캡, 슬라이딩 제1기어, 슬라이드 하우징 캡등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2는 기어하우징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손잡이 회전에 따른 밀착닫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자동회전축이 자동회전모터에 따라서 회전 가능할때 핸들과 기어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 대하여 핸들의 핸들돌기 및 하우징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5의 상태에 대하여 기어캡 및 슬라이딩 제2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자동회전축이 외부 힘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할때 핸들과 기어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상태에 대하여 핸들의 핸들돌기 및 하우징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자동회전축이 외부 힘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할때 기어캡 및 슬라이딩 제2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자동회전축이 외부 힘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할때 핸들돌기, 가이드 및 하우징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개략적인 전체사시도이다.
도 35 및 도 36은 손잡이 회전에 따른 밀착닫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상단 플레이트, 도 2의 (b)는 도 1의 연결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창호프레임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자동회전축, 자동회전모터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손잡이 회전에 따른 밀착닫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밀착부재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밀착부재의 하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밀착부재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제1창호프레임의 좌측프레임의 좌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제2창호프레임에 구비된 고정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고정프레임과 도 1의 좌측 밀착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좌측 밀착부재와 돌출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전원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100)은 레일(미도시)이 형성된 창틀(11a 내지 11d), 레일이 삽입되어 미닫이되는 제1창호프레임(20a) 및 창틀(11a 내지 11d)에 고정된 제2창호프레임(20b)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창호밀착을 위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100)은 슬라이드부(110), 이동프레임(200), 밀착 자동 구동부(130), 제1돌출부(160), 제2돌출부(160f), 하단돌출부(160a,160b), 상단돌출부(160c,160d), 좌측돌출부(160e, 160f), 하단 밀착부재(150a,150b), 상단 밀착부재(150c,150d), 우측 밀착부재(140), 좌측 밀착부재(150e, 150f), 전원공급부(170), 및 입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는 도 1의 상단 플레이트, 도 2의 (b)는 도 1의 연결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슬라이드부(110)는 슬라이딩 구동부(110) 및 연결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구동부(110)는 슬라이드 구동모터(111), 제1기어(112a), 제2기어(112b), 벨트(113)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구동모터(111)의 구동시, 제1기어(112a)가 회전하며 벨트(113) 연결에 의해 제2기어(112)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벨트(113)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14)는 상단플레이트(121) 및 연결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121)는 제1창호프레임(20a)의 상단프레임(12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따르면, 상단플레이트(121)는 상단프레임(12a)에 'ㄱ'자로 결합되는 플레이트(120)와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돌출된 축(122a,122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122)는 중심플레이트(123), 중심플레이트(123)의 양측에 구비되며 축(122a,122b)이 삽입고정될 수 있는 일측이 개방된 홈이 구비된 제1및 제2플레이트(124a,124b), 및 중심플레이트(123)와 벨트(113)를 연결하는 제3플레이트(12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및 제2플레이트(124a,124b)에 구비된 일측이 개방된 홈은 제1창호프레임(20a)의 밀착여부에 따라 축(122a, 122b)이 이동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1창호프레임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이동프레임(200)은 제1창호프레임(20a)의 측면 외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프레임(200)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되어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f)는 이동프레임(200)의 일면에 고정되며, 창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밀착부재(140, 150a 내지 150e)는 대응되는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f)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홈을 구비하며, 밀착 자동 구동부(300)의 구동 또는 밀착 수동 구동부(130)의 손잡이(135) 회전에 의해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f)가 홈 내에서 이동되면 창틀방향으로 제2창호프레임(20a)을 밀착시키거나 밀착된 제2창호프레임(20a)을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f)는 치합홀(40)이 형성된 이동프레임(200)으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160), 밀착 자동 구동부(300)에 삽입되며 제1창호프레임(20a)의 좌측프레임(12d)에 형성된 이동프레임(200)의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돌출부(160e, 160f), 제1창호프레임(20a)의 하단프레임(12b)에 형성된 이동프레임(200)으로부터 돌출된 하단 돌출부(160a,160b), 제1창호프레임(20a)의 상단프레임(12a)에 형성된 이동프레임(200)으로부터 돌출된 상단 돌출부(160c,16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손잡이 회전에 따른 밀착닫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밀착 자동 구동부(130)는 제2창호프레임(20a)에 연결된 손잡이(135), 손잡이(135)를 회전시키는 자동회전모터(131), 손잡이(135) 회전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프레임(200)을 이동시키는 자동이송수단(137), 제1돌출부(160)의 이동구간(138)을 구획하는 구획부(139a,139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자동이송수단(137)은 손잡이(135)의 일측에 결합된 자동회전축(136), 자동회전축(136)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기어(135a) 및 자동회전축(136)의 타측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이동기어(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회전축(136)은 일측이 손잡이(135)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이동프레임이동기어(135b)가 형성되어 이동프레임(200)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수송기어(2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프레임(200)에 연결된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e)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e)는 대응되는 밀착부재(150a 내지 150e)에 구비된 홈 내에서 이동되어 제1창호프레임(20a)을 밀착시키는 밀착닫힘(B) 또는 제1창호프레임(20a) 및창틀사이에 미세한 갭이 형성된 일반닫힘(A)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손잡이(135) 회전에 의해 제1돌출부(160)가 우측창틀(11c)의 측면에 결합된 우측 밀착부재(140)의 홈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구형(鉤形)이 될 수 있다. 도 5는 일반닫힘(A) 동작이며, 도 6은 밀착닫힘(B)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밀착부재(150a 내지 150f)는 하단 돌출부(160a,160b)가 삽입되는 하단 밀착부재(150a,150b), 상단 돌출부(160c,160d)가 삽입되는 상단 밀착부재(150c,150d), 좌측 돌출부(160e, 160f)가 삽입되는 좌측 밀착부재(150e, 150f), 제1돌출부(160)가 삽입되며 우측 창틀(11c)에 구비되는 우측 밀착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밀착부재(150a 내지 150f)는 구형(鉤形)의 홈(157)이 형성되어 대응되는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하단 밀착부재(150a,150b) 및 상단 밀착부재(150c,150d)에 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통해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좌측 밀착부재(160e)에 대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3에서 설명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밀착부재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밀착부재의 하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밀착부재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따르면, 하단 밀착부재(150a)는 이동바퀴(151a,151b), 결합프레임(154), 밀착프레임(152), 연결축(153a,153b), 볼트결합부(155)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단 밀착부재(150b) 및 상단 밀착부재(150c,150d)도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154)은 상부 결합프레임(154a) 및 상부 결합프레임(154a)의 양측끝단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 결합프레임(154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결합프레임(154a)은 제1창호프레임(20a)과 결합되며, 대응되는 돌출부(160a 내지 160e)가 삽입되는 타원형의 홈(156)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결합부(155)를 통해 제2창호프레임(20a)과 상부 결합프레임(154a)을 볼트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창호프레임(20a)의 상단프레임(12a)과 상단 밀착부재(150c,150d)와 볼트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창호프레임(20a)의 하단프레임(12b)과 하단 밀착부재(150a,150b)와 볼트결합시킬 수 있다.
이동바퀴(151a,151b)는 밀착프레임(152)의 하단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부(110)의 구동시 및 대응되는 돌출부(160a 내지 160e)의 이동시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밀착프레임(152)은 상부에 홈(157)이 형성되고, 결합프레임(154)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축(153a,153b)은 밀착프레임(152)을 관통하여 측면 결합프레임(154b)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밀착프레임(152)은 구형의 홈(157)에 삽입된 돌출부의 이동과 연동되어 연결축(153a,153b)을 따라 좌우이동을 할 수 있다. 삽입된 돌출부의 위치에 따라 일반닫힘(A) 또는 밀착닫힘(B)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에 따르면, 밀착 자동 구동부(300)는 제2창호프레임(20a)의 우측 프레임(12c)에 구비되며, 제1창호프레임(20a)이 닫히면 사용자명령에 따라 이동프레임(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명령은 도 15과 같은 입력부(180)를 통해 창호의 개방 또는 닫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창호 ON/OFF버튼 및 밀착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밀착 ON/OFF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80)은 사용자명령에 따른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밀착 자동 구동부(300)는 전원공급부(17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제1창호프레임(20a)의 우측프레임(12a)의 측면 상단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171a,171b) 및 플러그(171a,171b) 위치에 대응되는 우측 창틀(11c) 측면에 배치되어 제1창호프레임(20a)이 닫힐 때, 플러그(171a,171b)가 삽입되는 콘센트(172a,172b) 및 콘센트(172a,172b)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배선(미도시)은 창틀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라이드부(11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밀착 자동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른 이동프레임(20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프레임(200)에 연결된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e)가 대응하는 밀착부재(140, 150a 내지 150e)의 구형홈(157)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일반닫힘(A) 또는 밀착닫힘(B)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창호프레임(20a)의 상단프레임(12a), 하단프레임(12b), 우측프레임(12c) 및 좌측프레임(12d)이 동시에 제2창호프레임(20b) 및 창틀의 일측으로 힘을 가하고 구형홈(157)의 B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창호가 완전밀착될 수 있다.
한편, 좌측프레임(12d)의 밀착시 좌측 돌출부(160e), 좌측 밀착부재(150e) 및 제2창호프레임(20b)과의 결합구조를 도 12 내지 도 14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에 따르면, 제2창호프레임(20b)은 제1창호프레임(20a)의 좌측프레임과 겹쳐지는 제2창호프레임(20b)의 좌측 프레임(12a') 일측에 밀착을 위한 고정프레임(21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10)은 제2창호프레임(20b)의 우측프레임(12c')의 일측에 개방된 홈(3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좌측 밀착부재(150e, 150f)는 결합프레임(154), 밀착프레임(152), 연결축(153a,153b), 볼트결합부(155), 및 돌출바(15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8의 하단 밀착부재 및 상단 밀착부재(150a 내지 150d)의 구성과 비교시, 좌측 밀착부재(150e)의 구성은 이동바퀴(151a,151b)가 없으며, 돌출바(158)가 더 구비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프레임(154), 밀착프레임(152), 연결축(153a,153b), 볼트결합부(155)의 구조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돌출바(158)는 슬라이드부(110)의 이동에 따라, 고정프레임(210)의 개방된 홈(30)에 삽입고정 및 이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바(158)는 밀착부재(150e) 일측의 측면결합프레임(154b)에 형성되어 제1창호프레임(20a)의 좌측프레임(12d)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프레임(210)의 홈(30)에 삽입고정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이때, 돌출바(158)가 홈(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측 돌출부(160e)가 대응하는 좌측 밀착부재(150e)의 구형의 홈(157)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밀착닫힘(B)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6에 따르면,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100)은 도 1의 구성에 제1센서부(191), 제2센서부(192), 제3센서부(193), 제어부(194) 및 출력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부(191)는 창틀(11c)과 제1창호프레임(20a)의 우측프레임(12c)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4)는 감지된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슬라이드부(110)의 구동속도를 줄이면서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하고, 감지된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슬라이드부(110)의 구동속도를 줄이면서 완전히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센서부(192)는 제1창호프레임(20a)이 밀착닫힘 상태인 경우, 밀폐된 공간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4)는 감지된 이산화탄소량이 일정량 이상이면, 슬라이드부(110)를 제어하여 제1창호프레임(20a)을 이동시켜 개방시킬 수 있다.
제3센서부(193)는 제1창호프레임(20a)의 닫힘동작중 또는 닫힘상태 및 개방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부힘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95)는 제1창호프레임(20a)의 동작상태 및 감지된 외부힘에 대응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94)는 닫힘동작 중 외부로부터 일정한 힘이 감지되면 슬라이드부(110)를 제어하여 제1창호프레임(20a)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밀착닫힘, 닫힘상태 및 개방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일정힘 이상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외부힘에 의해 이동된 제1창호프레임의 상태에 대한 음성메시지 출력하도록 출력부(195)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95)는 닫힘동작 중 외부로부터 일정한 힘이 감지되면, "조심하세요", "문이 닫히는 중입니다" 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95)는 밀착닫힘, 닫힘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일정힘 이상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경고음 등과 함께 "문이 열립니다" 등을 출력할 수 있고, 개방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일정힘 이상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경고음 등과 함께 "문이 닫힙니다"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개략적인 전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핸들에 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기어캡, 슬라이딩 제1기어, 슬라이드 하우징 캡등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2는 기어하우징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손잡이 회전에 따른 밀착닫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자동회전축이 자동회전모터에 따라서 회전 가능할때 핸들과 기어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 대하여 핸들의 핸들돌기 및 하우징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5의 상태에 대하여 기어캡 및 슬라이딩 제2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자동회전축이 외부 힘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할때 핸들과 기어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은 도 28의 상태에 대하여 핸들의 핸들돌기 및 하우징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자동회전축이 외부 힘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할때 기어캡 및 슬라이딩 제2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자동회전축이 외부 힘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할때 핸들돌기, 가이드 및 하우징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밀착 자동 구동부(130)는 제2창호프레임(20a)에 형성되고 자동이송수단(137)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500), 자동밀착해제장치(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2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자동이송수단(137) 및 제1돌출부(160)의 이동구간(138)을 구획하는 구획부(139a,139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이송수단(137)은 손잡이 기어(539), 캡(532)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밀착해제장치(500)는 손잡이 기어(539)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자동회전축(590), 자동회전축(590)이 관통되며 감속기어(592a)와 치합되어 자동회전축(59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제1기어(580), 슬라이딩 제1기어(580)의 일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제1기어(580)와 한 몸체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제2기어(580a), 자동회전축(590)의 일측에 키등에 의하여 자동회전축과 결합되는 구동기어(594), 내부에 슬라이딩 제2기어(580a) 및 구동기어(594)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제2기어(580a)와 구동기어(594)를 결합하는 기어캡(570), 기어캡(570)의 일측에 결합하며 기어캡(570)과 볼트 결합하는 슬라이드 하우징 캡(560), 슬라이드 하우징 캡(560)의 일측에 삽입되며 핸들캡(510)을 지지하고 핸들캡(5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핸들스프링(520), 손잡이(536)를 구비하며 기어하우징(550)과 결합하는 핸들(530) 및 핸들(530)의 일측에 핸들스프링(520)의 일측을 억압하여 지지하는 핸들캡(5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밀착해제장치(500)는 일측이 자동회전모터(593)에 연결되고 타측이 슬라이딩제1기어와 치합되어 자동회전모터(593)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전달하는 감속기(59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592)의 일측에 감속기어(592a)가 돌출되어 슬라이딩 제1기어(580)와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감속기(592)는 기어비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로서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여 이에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핸들(530)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핸들스프링(520)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자동밀착해제장치(500)는 일측이 핸들(530)의 일측과 결합하고 타측이 하우징커버(551)와 볼트 또는 용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54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530)은 일측에 중공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핸들하우징(537)을 형성하고, 핸들하우징(537)의 외부에 핸들돌기(538)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40)에 형성된 가이드홈(541)과 하이징커버(551)에 형성된 하우징커버홈(553)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핸들돌기(538)가 관통할 수 있다.
지지베어링(591)은 기어하우징(550)의 베어링삽입부(555)에 삽입되며, 지지베어링(591)의 내부에 자동회전축(590)이 관통하여 자동회전축(590)이 기어하우징(550)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동회전축(590)의 회전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회전모터(593)의 회전력이 감속기(592)를 거쳐 슬라이딩 제1기어(580) 및 슬라이딩 제2기어(580a)에 전달될 수 있다. 슬라이딩 제2기어(580)에 전달된 회전력은 기어캡(570)에 의해서 구동기어(594)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기어(594)에 전달된 회전력은 자동회전축(590)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자동회전모터(593)에 의해서 자동회전축(590)이 회전할때 핸들(530)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핸들(530)은 회전하지 않는다. 슬라이딩 제1기어(580) 및 슬라이딩 제2기어(580a), 기어캡(570), 구동기어(594), 자동회전축(590)만 회전운동할 수 있다.
한편, 자동밀착해제장치(500)의 자동회전축(590)은 손잡이 기어(539)와 체결될 수 있다. 손잡이 기어(539)는 중심에 자동회전축(59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축 삽입홀(133)을 구비하며, 손잡이(536)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캡(532)은 손잡이 기어(539)를 하우징할 수 있으며, 자동회전축(590)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홈(13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535)는 9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창호프레임(20a)의 우측프레임(12c)에 형성된 이동프레임(200) 일면에 손잡이 기어(539)와 치합되는 복수의 치합홀(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536) 회전시 손잡이 기어(539)와 치합홀(40)이 치합되어 이동프레임(200)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프레임(200)에 연결된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e)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f)는 대응되는 밀착부재(150a 내지 150f)에 구비된 홈 내에서 이동되어 제1창호프레임(20a)을 밀착시키는 밀착닫힘(B) 또는 제1창호프레임(20a) 및 창틀사이에 미세한 갭이 형성된 일반닫힘(A)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따르면, 자동회전축(590)의 회전에 의해 제1돌출부(160)가 우측창틀(11c)의 측면에 결합된 우측 밀착부재(140)의 홈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구형(鉤形)이 될 수 있다. 도 23은 일반닫힘(A) 동작이며, 도 24는 밀착닫힘(B)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밀착부재(150a 내지 150f)는 하단 돌출부(160a,160b)가 삽입되는 하단 밀착부재(150a,150b), 상단 돌출부(160c,160d)가 삽입되는 상단 밀착부재(150c,150d), 좌측 돌출부(160e, 160f)가 삽입되는 좌측 밀착부재(150e, 150f), 제1돌출부(160)가 삽입되며 우측 창틀(11c)에 구비되는 우측 밀착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밀착부재(150a 내지 150f)는 구형(鉤形)의 홈(157)이 형성되어 대응되는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수동으로 핸들(530)을 돌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6을 참고하면, 핸들하우징(537)에 형성된 핸들돌기(538)는 하우징커버(551)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단지, 하우징커버(551)에 일측에 돌출 형성된 하우징커버돌출부(554)의 일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수동으로 핸들(530)을 돌리기 위해서, 손잡이(536)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536)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면, 핸들돌기(538)가 자동회전축(59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핸들하우징(537)의 내부에 형성된 기어캡안착부(531)가 기어캡(570)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핸들하우징(537)의 내부에 형성된 기어캡안착부(531)가 기어캡(570)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핸들스프링(520)의 탄성력에 의해서 기어캡(570)이 기어캡안착부(531)에 안착될 수 있다. 이후에, 외부에서 핸들(530)에 외력이 작용하면, 외력에 의해서 핸들(530)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핸들돌기(538)가 하우징커버홈(553)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어캡(570)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기어캡(570)이 슬라이딩 제2기어(580a)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핸들(530)을 돌리면 기어캡(570)이 회전할 수 있고, 기어캡(570)에 전달된 회전력이 구동기어(594)에 전달되어 자동회전축(590)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제1기어(580) 및 슬라이딩 제2기어(580a)는 자동회전축(536)이 관통되어 있을 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지는 않으므로, 슬라이딩 제1기어(580) 및 슬라이딩 제2기어(580a)는 자동회전축(536)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도 31을 참조하면, 외부에서 핸들(530)을 돌리면, 핸들돌기(538)는 하우징커버(551)에 돌출 형성된 하우징커버 결합부(552)와 가이드단턱(540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다시 자동회전축(590)을 자동회전모터(593)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핸들캡(510)을 외부 힘으로 누르면 기어캡(570)을 핸들(530)의 기어캡안착부(53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핸들돌기(538)가 하우징커버홈(553)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어캡(570)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기어캡(570)이 슬라이딩 제2기어(580a)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캡(570)이 핸들(530)의 기어캡안착부(53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핸들(530)의 손잡이(536)를 하우징커버(551)와 평행하게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손잡이(536)가 회전됨에 따라서 핸들돌기(538)가 자동회전축(590)을 중심으로 하우징커버(551)에 일측에 돌출 형성된 하우징커버돌출부(554)의 일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핸들하우징(537)에 형성된 핸들돌기(538)는 하우징커버(551)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의 자동밀착해제장치의 개략적인 전체사시도이다. 도 35 및 도 36은 손잡이 회전에 따른 밀착닫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밀착 자동 구동부(130)는 제2창호프레임(20a)에 형성되고 자동이송수단(137)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600), 자동밀착해제장치(6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2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자동이송수단(137) 및 제1돌출부(160)의 이동구간(138)을 구획하는 구획부(139a,139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이송수단(137)은 손잡이 기어(639), 캡(632)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밀착해제장치(600)는 손잡이 기어(639)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자동회전축(610), 제2자동회전축(610)이 관통하며 제2자동회전축(6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640), 제1베벨기어(640)과 대응되어 맞물리어 제2감속기(6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650), 제2하우징(601)에 의해 하우징되며 회전력을 공급하는 자동회전모터(660), 자동회전모터(66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제2베벨기어(650)에 전달하여 제2베벨기어(650)를 회전시키는 제2감속기(670), 제2감속기(670)의 축이 관통하는 감속기결합홈(680a)이 형성되고 제2감속기(670)의 일측과 다수의 볼트(691)에 의해서 결합되어 제2감속기(670)를 지지하는 감속기결합부(680), 제2하우징(601)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자동회전축(610)이 관통되어 제2자동회전축(6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620), 하우징커버(602)의 제2자동회전축 결합홈(602a)에 삽입되고 제2자동회전축(610)의 타측이 관통하며 제2자동회전축(602a)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630) 및 제2자동회전축(610)에 결합하여 제2자동회전축(610)이 빠지지 않도록 작용하는 스냅링(69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밀착해제장치(600)의 제2하우징(601)의 일측에는 핸들결합부(601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핸들결합부(601a)의 내부에는 제2자동회전축 삽입홈(601b)이 형성되어 제2자동회전축(610)이 관통될 수 있다. 제2감속기(670)는 기어비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로서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여 이에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제2자동회전축(610)의 회전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회전모터(660)의 회전력이 제2감속기(670)를 거쳐 제2베벨기어(650) 및 제1베벨기어(6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베벨기어(640)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자동회전축(6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손잡이(636)이를 사용자가 회전시켜 제2자동회전축(6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자동밀착해제장치(600)의 제2자동회전축(610)은 손잡이 기어(639)와 체결될 수 있다. 손잡이 기어(639)는 중심에 제2자동회전축(6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축 삽입홀(133)을 구비하며, 손잡이(636)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캡(632)은 손잡이 기어(639)를 하우징할 수 있으며, 제2자동회전축(610)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홈(13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636)는 9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창호프레임(20a)의 우측프레임(12c)에 형성된 이동프레임(200) 일면에 손잡이 기어(639)와 치합되는 복수의 치합홀(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636) 회전시 손잡이 기어(539)와 치합홀(40)이 치합되어 이동프레임(200)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프레임(200)에 연결된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e)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160,160a 내지 160f)는 대응되는 밀착부재(150a 내지 150f)에 구비된 홈 내에서 이동되어 제1창호프레임(20a)을 밀착시키는 밀착닫힘(B) 또는 제1창호프레임(20a) 및 창틀사이에 미세한 갭이 형성된 일반닫힘(A)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에 따르면, 제2자동회전축(610)의 회전에 의해 제1돌출부(160)가 우측창틀(11c)의 측면에 결합된 우측 밀착부재(140)의 홈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구형(鉤形)이 될 수 있다. 도 35는 일반닫힘(A) 동작이며, 도 36은 밀착닫힘(B)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밀착부재(150a 내지 150f)는 하단 돌출부(160a,160b)가 삽입되는 하단 밀착부재(150a,150b), 상단 돌출부(160c,160d)가 삽입되는 상단 밀착부재(150c,150d), 좌측 돌출부(160e, 160f)가 삽입되는 좌측 밀착부재(150e, 150f), 제1돌출부(160)가 삽입되며 우측 창틀(11c)에 구비되는 우측 밀착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밀착부재(150a 내지 150f)는 구형(鉤形)의 홈(157)이 형성되어 대응되는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20a : 제1창호프레임
20b : 제2창호프레임 10a, 10b : 유리
110 : 슬라이드부 130 : 밀착 자동 구동부
200 : 이동프레임 160 : 제1돌출부
160f : 제2돌출부 160a,160b : 하단 돌출부
160c,160d : 상단 돌출부 160e : 좌측 돌출부
150a,150b : 하단 밀착부재 150c,150d : 상단 밀착부재
150e, 150f : 좌측 밀착부재 140 : 우측 밀착부재
170 : 전원공급부 180 : 입력부
191 : 제1센서부 192 : 제2센서부
193 : 제3센서부 194 : 제어부
195 : 출력부
137 : 자동이송수단 136 : 자동회전축
135a : 손잡이기어 135b : 이동프레임이동기어
210 : 이동프레임수송기어 131 : 자동회전모터
500 : 자동밀착해제장치
536 : 자동회전축 510 : 핸들캡
520 : 핸들스프링 530 : 핸들
536 : 손잡이 538 : 핸들돌기
537 : 핸들하우징 531 : 기어캡안착부
550 : 기어하우징 560 : 슬라이드 하우징캡
570 : 기어캡 580 : 슬라이딩 제1기어
580a : 슬라이딩 제2기어 594 : 구동기어
591 : 지지베어링 590 : 자동회전축
592 : 감속기 592a : 감속기어
593 : 자동회전모터 551 : 하우징커버
552 : 하우징커버 결합부 553 : 하우징커버홈
554 : 하우징커버 돌출부 540 : 가이드
541 : 가이드홈 540a : 가이드단턱
542 : 가이드 중공부 555 : 베어링삽입부
600 : 자동밀착해제장치 601 : 제2하우징
601a : 핸들결합부 601b : 제2자동회전축 삽입홈
602 : 하우징커버 602a : 제2자동회전축 결합홈
610 : 제2자동회전축 620 : 제1베어링
630 : 제2베어링 640 : 제1베벨기어
650 : 제2베벨기어 660 : 자동회전모터
670 : 제2감속기 680 : 감속기결합부
680a : 감속기결함홈 690 : 스냅링

Claims (26)

  1. 레일이 형성된 창틀,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미닫이되는 제1창호프레임 및 상기 창틀에 고정된 제2창호프레임을 구비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측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창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
    상기 제2창호프레임의 우측 프레임에 구비되며,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자동회전모터, 상기 손잡이 회전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밀착 자동 구동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 내에서 이동되면 상기 창틀방향으로 제2창호프레임을 밀착시키거나 밀착된 제2창호프레임을 분리시키는 복수의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구동부 및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상단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 및
    사용자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밀착에 대한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창호프레임이 개방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가 구동되어 상기 제2창호프레임을 닫은 후,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돌출부를 상기 밀착부재의 홈 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창틀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구동모터, 상기 슬라이드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벨트연결된 제2기어를 포함한 슬라이드 구동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상단프레임에 결합된 상단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의 벨트 일측 및 상기 상단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구동모터 구동시, 벨트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1창호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의 측면 상단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받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위치에 대응되는 창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창호프레임이 닫힐 때,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을 구비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창호프레임이 닫히면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송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결합된 자동회전축;
    상기 자동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기어 및
    상기 자동회전축의 타측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이동기어을 포함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자동 구동부는,
    제2창호프레임에 형성되고 회전력을 공급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자동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이송수단은,
    중심에 자동회전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축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는 손잡이 기어;
    상기 손잡이 기어를 하우징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 일면에 상기 손잡이 기어와 치합되는 복수의 치합홀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 회전시 상기 손잡이 기어와 상기 치합홀이 치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치합홀이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하단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하단 돌출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상단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상단 돌출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좌측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좌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회전가능한 자동회전축;
    상기 자동회전축이 관통되며 감속기어와 치합되어 자동회전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제1기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와 한 몸체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제2기어;
    슬라이딩 제1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자동회전모터;
    상기 자동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제2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제2기어와 구동기어를 결합하는 기어캡;
    상기 기어캡의 일측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하우징 캡;
    손잡이를 구비하며 기어하우징과 결합하는 핸들;
    일측이 상기 핸들의 일측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캡의 일측에 삽입되어 핸들캡을 지지하며 상기 핸들캡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핸들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회전가능한 제2자동회전축;
    상기 제2자동회전축이 관통하며 제2자동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대응되어 맞물리어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 및
    제2하우징에 의해 하우징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자동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밀착부재는,
    상기 하단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단 밀착부재, 상단 돌출부가 삽입되는 상단 밀착부재, 좌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좌측 밀착부재,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우측 창틀에 구비되는 우측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밀착부재는 구형(鉤形)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밀착부재, 상단 밀착부재, 좌측 밀착부재는,
    상기 제1창호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타원형의 홈이 형성된 결합프레임;
    상부에 상기 구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착프레임; 및
    상기 밀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프레임의 양측면과 연결되는 연결축;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밀착프레임은 상기 연결축을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밀착부재 및 상단 밀착부재는,
    상기 밀착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2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은 일측에 개방된 홈을 구비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밀착부재는,
    상기 결합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좌측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의 홈에 고정 또는 이탈되는 돌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우측 창틀과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우측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의 구동속도를 줄여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의 구동속도를 줄여 완전히 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밀착닫힘상태에서, 밀폐된 공간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산화탄소량이 일정량 이상이면, 상기 슬라이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창호프레임을 이동시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닫힘동작 중 또는 밀착닫힘상태,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부힘을 감지하는 제3센서부; 및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동작상태 및 감지된 외부힘에 대응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닫힘동작시 외부로부터 일정한 힘이 감지되면 상기 슬라이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창호프레임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밀착닫힘상태,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일정힘 이상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외부힘에 의해 이동된 제1창호프레임의 상태에 대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17. 회전가능한 자동회전축;
    상기 자동회전축이 관통되며 감속기어와 치합되어 자동회전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제1기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제1기어와 한 몸체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제2기어;
    슬라이딩 제1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자동회전모터;
    상기 자동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제2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제2기어와 구동기어를 결합하는 기어캡;
    상기 기어캡의 일측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하우징 캡;
    손잡이를 구비하며 기어하우징과 결합하는 핸들;
    일측이 상기 핸들의 일측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캡의 일측에 삽입되며 핸들캡을 지지하며 상기 핸들캡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핸들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일측이 상기 자동회전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제1기어와 치합되어 자동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전달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상기 핸들은 일측에 중공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핸들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하우징의 외부에 핸들돌기가 형성된 자동밀착해제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하이징커버에 형성된 하우징커버홈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핸들돌기가 관통할 수 있는 자동밀착해제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밀착해제장치는,
    기어하우징의 베어링삽입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자동회전축이 관통하여 자동회전축이 기어하우징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지지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밀착해제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30152734A 2013-12-10 2013-12-10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KR10158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734A KR101588327B1 (ko) 2013-12-10 2013-12-10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734A KR101588327B1 (ko) 2013-12-10 2013-12-10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35A KR20150080935A (ko) 2015-07-13
KR101588327B1 true KR101588327B1 (ko) 2016-02-12

Family

ID=5379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734A KR101588327B1 (ko) 2013-12-10 2013-12-10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5661B (zh) * 2022-03-28 2023-03-24 付义成 一种吊轨侧移推拉漂移门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577B1 (ko) * 2008-02-29 2010-03-12 이재민 윈도우 디지탈 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35A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0854B2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integrated door check mechanism
KR101579782B1 (ko)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
US9234377B2 (en) Powered garage door opener
EP2824774B1 (en) Charge port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6162816B2 (ja) テールゲート用の切り離し可能なパワードライブ
EP2923019B1 (en) Disassemblable hinge with a safety catch
US7635966B2 (en) Barrier movement operator battery backup and power equipment battery charging center
EP3325753B1 (fr) Équipement d'enroulement d'écran à attache murale articulée
US20080047672A1 (en) Garage door opener
JP2007527744A (ja) 多機能揺りかご及び電動式幼児用自動車
KR101588327B1 (ko) 자동창호밀착해제 및 이송시스템과 자동밀착해제장치
JP4009860B2 (ja) パワースライディングドア開閉システム
CN110656836B (zh) 车门开闭装置、车门总成以及具有其的车辆
KR20180090556A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KR100639666B1 (ko) 전동식 창호 작동장치
CN212614297U (zh) 自动开门关门器
JP3597732B2 (ja) 開閉体移動装置
KR102677002B1 (ko)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100783965B1 (ko) 차량용 루프형 에이브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51482Y1 (ko) 다기능 요람 겸 유아 전동차
JP2002138755A (ja) 自動引戸用センサユニットの構造
KR101228870B1 (ko) 트렁크용 개폐장치
CN111997477A (zh) 自动开门关门器
KR200338392Y1 (ko) 보조발판이 구비된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 장치
JP2000080872A (ja) 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