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07B1 -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07B1
KR101585607B1 KR1020140034538A KR20140034538A KR101585607B1 KR 101585607 B1 KR101585607 B1 KR 101585607B1 KR 1020140034538 A KR1020140034538 A KR 1020140034538A KR 20140034538 A KR20140034538 A KR 20140034538A KR 101585607 B1 KR101585607 B1 KR 10158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hea
mixture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097A (ko
Inventor
홍남두
최성원
조익현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0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복령(Poria cocos Wol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이의 추출물은 증가한 체중과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의 발현,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 낭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자궁내막의 두께를 얇아지게하며, 증가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한 성장인자 mRNA를 증가시키므로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여성 불임 치료제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female infertility containing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Lycium chinense Miller, 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Poria cocos Wolf, Panax ginseng C.A. Meyer and honey as a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복령(Poria cocos Wol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및 꿀(honey)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의학적으로 불임이라 함은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았는데 2년 이상 아이를 갖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산업이 발달함으로써 공해물질에 의한 오염, 특히 환경 호르몬, 스트레스 등에 기인하여 불임환자의 숫자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을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4.3배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 불임의 원인 중 가장 많은 경우는 정상적인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고, 이러한 배란 장애는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polycystic ovarian syndrome), 갑상선 호르몬과 유즙 분비 호르몬의 분비이상, 조기 폐경 등이 원인이 된다.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은 약 6-7%의 가임 여성에서 발견되는 내인성 질환이나, 이종성(heterogeneous)이고 또한 복잡한 특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그 병인(etiology)에 관해서 거의 알려진 바 없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표현형은 다낭성 난소, 과안드로겐증(hyperandrogenism), 다모증 및 글루코오즈 이상조절과 같이 매우 가변적이다.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는 출산 문제뿐만 아니라 당뇨병, 심혈관 질환, 자궁 내 종양을 포함하는 다른 질환에 대해서도 위험하다(Legro et al., 2001; Wild et al., 2000;). 다낭성난소증후군은 0.5~0.8 cm 정도의 작은 난포가 난소 주변에 12개 이상 퍼져있는 것으로, 배란장애 원인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청소년기부터 2~30대의 가임기 여성에게 가장 많은 내분비질환이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월경불순과 월경과다, 배란불순, 불임, 체중증가, 여드름, 다모증, 피부처짐, 남성 호르몬 안드로겐 수치 상승 및 인슐린 저항성 증가 등의 증상을 동반하나, 뚜렷한 자각증상이 없어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아 결국 불임에 이르게 된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기존 치료법으로는 호르몬요법과 당뇨병약이 있다. 호르몬요법은 자궁내막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프로게스테론 제제나 경구피임약을, 임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배란유도제를 투여하는 것으로 이러한 호르몬제의 반복사용은 부작용(구토, 어지럼증, 복통 및 난소과자극으로 인한 종양이나 자궁암의 위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약은 테스토스테론의 수치를 낮추어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회복시키나 심장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있다. 이러한 치료제들은 지속적으로 사용해야하므로 부작용이 발생하고 의료비용이 증가하는 것과 함께 삶의 질이 떨어질 수가 있다는 단점이 있어서 새로운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여성 불임 중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HEA, dehydroepiandrosterone)은 영장류 및 일부 비영장류의 부신 피질에서 ACTH의 방출에 반응하여 분비되는 내인성 호르몬으로 여러 내분비 과정에서 중요한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스테로이드 호르몬 모두의 전구체이다. 또한, 유기체 내에서 DHEA의 생체내전환반응의 대사산물 중의 하나는 테스토스테론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은 현삼과(Scrophulariaceae) 식물인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의 근경으로, 주성분으로는 카탈폴(Catalpol), 베르바스코스 만니톨(Verbascose mannitol), 글루코스(Glucose), 마니노트리오스(Maninotriose), 비타민 A(Vitamin A)를 포함하고 있다. 생지황은 성분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모든 열을 풀어주고 피를 깨뜨리며, 신음을 보하고 정(精)과 혈을 북돋아 주며, 혈증(血症)을 다스리는데 쓰인다.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는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이다. 구기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과이고 건조시켰을 때에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있다. 구기자의 성분은 베타인(betaine), 제아잔틴(zeazantin), 카로틴(carotene), 티아민(thiamine), 비타민 A, B1, B2, C, 피잘리엔 및 β-시스토스테롤(β-sistosterol)과 각종 무기성분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장보신(强壯補身) 및 강압명목(强壓明目)의 효과를 지니고 있고, 저비중 콜레스테롤의 장내흡수를 억제 강하하여 간장보호에 효과적이며, 고혈압, 협심증, 동맥경화 및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탁월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동시에, 시력보호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은 인도, 베트남, 라오스, 중국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팥꽃나무과 아킬라리아속의 침향나무가 상처가 나거나 세균, 곰팡이가 침입하였을 때 방어 작용으로 생성하는 수지 성분이 침착된 수간목이다. 침향은 오랫동안 약재나 향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한방에서는 진정, 건위, 통기, 소화불량, 식욕부진, 구토, 기관지천식, 조루, 정력부족 등에 사용되어 왔다. 침향의 약리활성으로서, 중추신경계에 대한 억제작용과 사하작용이 보고되었으며, 이밖에 항균효과, 항암효과, 항염증효과 및 항알레르기 효과가 보고되었다.
복령(Poria cocos Wolf)은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난 균핵으로, 지름 5 내지 7㎝의 공모양 혹은 타원형을 띄며, 땅 위에서는 나무껍질 조각과 함께 밤색 또는 더러운 흑색을 띤다. 복령은 코르크화되어 단단하고 0.2 내지 0.5㎜의 두께로 덮여 있고, 내용물은 하얗거나 분홍색이고, 방사상으로 균열이 생긴다. 복령은 거의 맛과 냄새가 없으나, 때로는 연한 점액과 함께 펴지며 요오드에 양성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복령은 예로부터, 지라를 건강하게 하고, 안정제로 쓰이며, 태열안정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을 따뜻하게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인삼에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명명되는 사포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사포닌은 인체구성인자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에서부터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작용까지 한다. 인삼은 오래전부터 가장 대표적인 자양 강장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그 성분과 약효에 관한 많은 과학적인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인삼의 신비한 약효가 현대의 과학적인 조명을 받고 있다.
꿀(Honey)은 꿀벌이 식물의 꽃의 꿀샘에서 분비된 다당류를 위 속에 흡수하여 설탕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시킨 것으로 소화나 분해과정 없이 바로 체내에 흡수되는 영양원이며 그 외에 단백질, 회분, 판토텐산, 젖산,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꿀은 체내에 분해되어 알칼리성으로 변하기 때문에 체내에 혈액을 알칼리성으로 유지시켜주는 알칼리성 식품이기도 하다. 이러한 꿀은 감미료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것 외에도 피로회복, 성인병 방지, 영양 공급 등의 측면에서 손쉽게 이용 가능한 건강식품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한편, 생지황, 복령, 인삼, 꿀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3781호에는 생지황을 포함하는 한방 조성물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6738호에는 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97016호에는 면역증강 활성을 나타내는 인삼 다당체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생지황, 복령, 인삼 및 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여성 불임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성 불임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이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증가된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청인자의 증가를 억제하며, 자궁의 무게, 난소의 난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복령(Poria cocos Wol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및 꿀(hone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복령(Poria cocos Wol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및 꿀(hone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복령(Poria cocos Wol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및 꿀(hone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 또는 이의 추출물은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 유도 동물모델에서 증가한 체중과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의 발현,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 낭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자궁내막의 두께를 얇아지게하며, 증가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한 성장인자 mRNA 발현을 증가시켜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여성 불임 치료제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은 프로토콜(protocol)을 나타낸 도이다.
도 2의 (A)는 DHEA(dehydroepiandrosterone)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며, (B)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후 20일째의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고, (C)는 DHEA 투여군의 난소 조직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의 (A)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며, (B)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후 20일째의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다낭성난소증후군과 관련한 혈청인자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A)는 글루코스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B)는 에스트라디올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C)는 프로게스테론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D)는 인슐린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의 (A)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난소의 무게 변화를 나타내며, (B)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자궁의 무게 변화를 나타내고, (C)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 자궁내막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6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난소와 관련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7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자궁과 관련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의 (A)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며, (B)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후 20일째의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9은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다낭성난소증후군과 관련한 혈청인자인 에스트라디올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의 (A)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자궁의 무게 변화를 나타내고, (B)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다음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 자궁내막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난소와 관련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자궁과 관련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난소, 자궁 또는 림프절을 이용한 유세포분석을 통하여 DHEA과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CD4(+)/CD8(+) 및 CD4(+)/CD25(+) T세포의 분포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복령(Poria cocos Wol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약 혼합물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또는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생지황 28 내지 37 중량부, 복령 3 내지 13 중량부, 인삼 1.5 내지 3.5 중량부, 꿀 30 내지 45 중량부, 구기자 0.4 내지 1.4 중량부 및 침향 0.1 내지 6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에 보존제 및 교미제를 추가하는 단계;
3) 단기 2)의 보존제 및 교미제가 첨가된 혼합물을 가열하고 연조엑스 상태가 될 때까지 증숙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혼합물을 방치하여 냉각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생지황은 잘게 파쇄하고 압착하여 생지황즙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기자, 침향, 복령 및 인삼은 건조한 후 분쇄하여 가루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침향은 목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삼은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의 연조엑스는 보존제 및 교미제가 첨가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추출해 얻은 추출액을 농축하여 물엿과 같은 조도로 만든 연조엑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증숙은 3일 내지 5일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미제는 구연산, 무수구연산, 구연산삼나트륨, L-글루타민산나트륨, 글리신,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DL-사과산, DL-사과산나트륨, D-소르비톨, 삭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아디피산, 아스파탐, DL-알라닌, DL-주석산, 초산, 초산나트륨이 있으며, 상기 보존제는 데히드로초산, 소르빈산칼륨, 소르빈산칼슘,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여성 불임 동물모델을 제작한 다음,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생약 혼합물의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1>의 혼합물에 의한 체중 변화를 확인하고, 난소를 염색해서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여성 불임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모델에서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한 후 체중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3 참조),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글루코스(glucose), 에스트라디올(estradiol),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 및 인슐린(insulin))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20일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효소분석법(enzymatic analysis)과 효소면역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serologic assay)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DHEA 투여군에 비하여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글루코스,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인슐린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 및 자궁내막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20일 후에 난소와 자궁을 취하여 무게를 측정한 결과,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난소와 자궁의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난소와 자궁의 조직을 절편을 만들어서 확인한 결과,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가 감소하였고, 자궁 내막의 두께가 얇아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사이토카인(cytokines), 케모카인(chemokines) 및 성장인자(growth factors)의 발현 조절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20일째에 난소와 자궁조직을 취하여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난소에서는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고,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도 6 참조), 자궁에서는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MMP-3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고,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여성 불임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모델에서 DHEA를 투여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유도하고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면서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결과, 투여 40일째에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체중이 감소하였고(도 8 참조),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증가한다고 알려진 혈청인자 에스트라디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40일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전기화학 면역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에스트라디올 발현이 뚜렷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9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자궁의 무게,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 및 자궁내막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40일 후에 자궁을 취하여 무게를 확인한 결과,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자궁의 무게가 농도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난소와 자궁의 조직을 절편을 만들어서 확인한 결과,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가 감소하였고, 자궁 내막의 두께가 얇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사이토카인(cytokines), 케모카인(chemokines) 및 성장인자(growth factors)의 발현 조절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40일째에 난소와 자궁조직을 취하여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난소에서는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고,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도 11 참조), 자궁에서는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MMP-3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고,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DHEA에 의한 내분비장애가 T세포의 분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림프절을 이용하여 유세포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CD4(+)/CD8(+) T세포는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CD4(+)/CD25(+) T세포는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도 13 참조), DHEA에 의해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되면 내분비장애에 의하여 생리주기가 중단되므로 이를 회복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질 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한 결과,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67%의 쥐가 생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실시예 1>의 혼합물이 중단된 생리주기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증가한 체중과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의 발현,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 낭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자궁내막의 두께를 얇아지게하며, 증가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한 성장인자 mRNA를 증가시키므로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엑기스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생지황, 복령, 인삼 및 꿀의 혼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 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지황,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생약 혼합물은 구기자 또는 침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생지황 28 내지 37 중량부, 복령 3 내지 13 중량부, 인삼 1.5 내지 3.5 중량부, 꿀 30 내지 45 중량부, 구기자 0.4 내지 1.4 중량부 및 침향 0.1 내지 6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에 보존제 및 교미제(감미제)를 추가하는 단계;
3) 단기 2)의 보존제 및 교미제가 첨가된 혼합물을 가열하고 연조엑스 상태가 될 때까지 증숙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혼합물을 방치하여 냉각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생지황은 잘게 파쇄하고 압착하여 생지황즙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기자, 침향, 복령 및 인삼은 건조한 후 분쇄하여 가루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향은 목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삼은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의 연조엑스는 보존제 및 교미제가 첨가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추출해 얻은 추출액을 농축하여 물엿과 같은 조도로 만든 연조엑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증숙은 3일 내지 5일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미제는 구연산, 무수구연산, 구연산삼나트륨, L-글루타민산나트륨, 글리신,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DL-사과산, DL-사과산나트륨, D-소르비톨, 삭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아디피산, 아스파탐, DL-알라닌, DL-주석산, 초산, 초산나트륨이 있으며, 상기 보존제는 데히드로초산, 소르빈산칼륨, 소르빈산칼슘,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혼합물은 증가한 체중과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의 발현,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 낭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자궁내막의 두께를 얇아지게하며, 증가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한 성장인자 mRNA를 증가시키므로 여성 불임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지황,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혼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생지황,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을 포함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2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혼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지황,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구기자 또는 침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는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에 0.1 내지 1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5배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12 내지 48시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을 혼합한 후 추출할 수 있고,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꿀을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은 증가한 체중과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의 발현,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 낭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자궁내막의 두께를 얇아지게하며, 증가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한 성장인자 mRNA를 증가시키므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지황,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구기자 또는 침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을 혼합한 후 추출할 수 있고,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꿀을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생약 혼합물은 증가한 체중과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의 발현,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 낭포의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자궁내막의 두께를 얇아지게하며, 증가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한 성장인자 mRNA를 증가시키므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여성 불임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생지황, 구기자, 침향 , 복령, 인삼 및 꿀로 구성된 여성 불임 개선을 위한 혼합물의 제조
채취한 생지황 60 g을 깨끗이 물로 세척하여 토사를 제거하고 물기를 빼서 잘게 파쇄하고 압착하여 생지황즙 32 g을 만들었다. 또한, 구기자 1.0 g, 침향의 목부 0.15 g, 복령 8.2 g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각각 가루로 만들고, 인삼 3.0 g의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었다. 최종 수득한 생지황즙 32 g에 구기자가루 0.9 g, 침향가루 0.1 g, 복령가루 8 g 과 인삼가루 2.8 g을 넣고 꿀 38.5 g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고 연조엑스(soft extract) 상태가 될 때까지 약 3일에서 5일간 증숙 하였다. 증숙이 완료된 혼합물은 방치하여 냉각한 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생지황, 구기자, 침향 ,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의 물 추출물 제조
채취한 생지황 60 g을 깨끗이 물로 세척하여 토사를 제거하고 물기를 빼서 잘게 파쇄하고 압착하여 생지황즙 32 g을 만들었다. 또한, 구기자 1.0 g, 침향의 목부 0.15 g, 복령 8.2 g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각각 가루로 만들고, 인삼 3.0 g의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어 꿀 38.5 g과 혼합한 후 3 L 플라스크에 넣고 정제수 2,000 ml을 이용하여 100 ℃에서 환류 교반시키면서 8시간 동안 가열추출을 3회 반복 실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모아 여과한 후, 40 ℃ 이하에서 회전식 진공농축증발기를 사용하여 진공 감압 농축시켜 500 ml로 농축하였고 원심분리(3,000 rpm, 20분) 후 상층액 만을 모아 이를 다시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생지황, 구기자, 침향 ,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의 75 % 에탄올 추출물 제조
추출용매로 물 대신 25 % 물과 75%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추출하였다.
< 실시예 4>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DHEA , Dehydroepiandrosterone )로 유도된 여성 불임 동물모델 제조
DHEA에 의한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 동물모델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고 본 발명의 혼합물의 유효농도를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물 모델은 출생 후 23일 된 Sprague-Dawley(S/D) 계통의 암컷 흰쥐를 정상군, DHEA 투여군,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0.25, 0.5, 1.0, 2.0 mg/kg/day) 투여군 및 <실시예 1>의 혼합물(2.0 mg/kg/day) 단독투여군으로 나누었다. 생리식염수에 녹인 <실시예 1>의 혼합물(0.25, 0.5, 1.0, 2.0 mg/kg/day)을 흰쥐의 구강으로 투여하고, 한 시간 후에 참기름(sesame oil)에 녹인 DHEA(60 mg/kg/day)를 등쪽 피하로 20일간 투여하였다(도 1). 또한, 동물에 DHEA을 투여하면 웅성화되기 때문에 체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어, 혼합물을 투여하기 전에 매번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의 체중은 10-11일째부터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기 시작하여 20일째까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체중은 DHEA 투여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A 및 도 2B).
또한, 동물 모델의 난소를 취하여 0.1M pH 7.4 인산완충액이 포함된 4 %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4 ℃에서 24시간 이상 고정시킨 후 파라핀 블록을 만들어서 5 um로 절단하여 절편을 만들었고, 이를 헤마톡시린(hematoxylin)과 에오진(eosin)을 이용하여 헤마톡시린-에오진 염색(H&E staining)을 하여 DP70 광학 현미경(올림푸스, 일본)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의 난소(ovary)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병리조직학적으로 특징적인 낭포(cyst)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2C).
< 실시예 5> 여성 불임 예방 효과 확인
<5-1> 체중 감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4>로부터, <실시예 1>의 혼합물 2.0 mg/kg/day을 투여한 후, DHEA를 투여한 경우 체중의 감소와 난소 낭포의 형성에 가장 효과가 있었다고 확인하였고,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1>의 혼합물 2.0 mg/kg/day을 DHEA과 함께 투여한 후,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에 의한 다낭성난소증후군 유도군의 체중이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은 체중이 정상군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5-2>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 글루코스 ( glucose ),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 ))의 변화 조절 확인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증가한다고 알려진 혈청성분(글루코스,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인슐린(insulin))의 발현을 분석하였다(Solano et al., 2011; Anderson et al., 1997; Luchetti et al., 2004). 동물 모델에 약물투여 20일 후에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효소분석법(enzymatic analysis)과 효소면역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serologic assay)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혈청 글루코스 농도는 표준 효소 방법으로 Pureauto S GLU 시약(Sekisui, 일본)으로 글루코스 농도에 따른 색 변화를 7600-210 자동분석기(Hitachi, 일본)를 이용해서 측정하였고, 혈청 인슐린 농도는 Ultrasensitive Rat Insulin ELISA kit(Mercodia, 스웨덴)를 이용해서 각 플레이트 웰(plate-well)에 25 ul의 칼리브레이터와 샘플을 넣은 후, 100 ul 효소복합솔루션을 넣고, 플레이트 쉐이커(700-900rpm)에 실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다. 350 ul 세척버터로 6번 세척해주고 버퍼를 완전히 제거한 후, 각 웰에 200 ul 기질TMB를 넣고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다. 각 웰에 50 ul 정지 솔루션을 넣고 섞어준 후 30분동안 흡광도 450 nm로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 수치는 전기화학발광 면역분석법(Roche Diagnostics GmbH, 독일)을 이용해서 항체에 바이오틴, 아비딘 및 마그네틱 입자를 연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에서 글루코스,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및 인슐린의 발현이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DHEA 투여군에 비해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글루코스,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및 인슐린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은 글루코스,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및 인슐린의 발현이 정상군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5-3> 난소와 자궁의 무게,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 및 자궁내막의 조직학적인 변화 확인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난소와 자궁의 무게가 증가 또는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다는 보고(Rezvanfar et al., 2007; Manneras et al., 2007)가 있기 때문에, 약물투여 20일 후에 난소와 자궁을 취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에서 난소와 자궁의 무게는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DHEA 투여군에 비해 난소와 자궁의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도 5B).
또한,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난소와 자궁의 조직을 취한 후, 헤마톡시린-에오진 염색(H&E staining)을 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다수의 낭포가 관찰되었고,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낭포의 수와 크기가 DHEA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정상군과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에서는 비정상적인 낭포가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5C).
또한,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자궁내막증식증(endometrial hyperplasia)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Elia et al., 2009)가 되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혼합물이 자궁내막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물모델의 자궁내막을 취한 후, 헤마톡시린-에오진 염색(H&E staining)을 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자궁의 내막이 두꺼워졌고,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자궁내막의 두께가 얇아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5C).
<5-4>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사이토카인( cytokines ), 케모카인( chemokines ) 및 성장인자( growth factors )의 발현 조절 확인
다낭성난소증후군을 포함한 여성생식기질환에서 대식세포(macrophage)는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을 조절하면서 항원을 포식하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Wu et al., 2004; Solano et al., 2011). 이에 <실시예 1>의 혼합물이 대식세포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후 20일째에 난소와 자궁조직을 취하여 난소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인자(표 1)의 mRNA의 발현 정도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CR)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eal-time PCR은 SYBR Green PCR Master Mix(Applied Biosystems, 미국)를 총 용량 10 ul에 10 pM 프라이머, 4 ul cDNA 및 5 ul SYBR Green PCR Master Mix로 혼합하였고 50 ℃ 2분 1 사이클, 95 ℃ 10분 1 사이클, 95 ℃ 15초, 60 ℃ 30초, 72 ℃ 30초(40 사이클), 72 ℃ 10분 1 사이클로 수행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케모카인(IL-8, MCP-1) 및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DHEA 투여군에 비해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의 mRNA 발현의 증가가 감소하였다. 또한, DHEA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성장인자(TGF-β, EGF)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및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의 증감이 확인되지 않았다(도 6).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IL1-β, IL-6), 케모카인(IL-8) 및 MMP-3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DHEA 투여군에 비해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MMP-3의 mRNA 발현의 증가가 감소하였다. 또한, DHEA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성장인자(TGF-β, TGF-β1, VEGF, IGF)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DHEA 투여군에 비해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의 자궁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MP-3 및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의 증감이 확인되지 않았다(도 7).
프라이머 시퀀스(5'→3') 시퀀스(5'→3')
TGF-β CTT CAG CTC CAC AGA GAA GAA CTG C(서열번호 : 1) CAC GAT CAT GTT GGA CAA CTG CTC C(서열번호 : 2)
VEGF CAG CTA TTG CCG TCC AAT TGA(서열번호 : 3) CCA GGG CTT CAT CAT TGC A(서열번호 : 4)
IGF ATT GTG GAT GAG TGT TGC TTC(서열번호 : 5) ATT GAT ATT TGG CAG GTG TTC C(서열번호 : 6)
TGF-β1 GGA CTA CTA CGC CAA AGA AG(서열번호 : 7) TCA AAA GAC AGC CAC TCA GG(서열번호 : 8)
EGF TGC CTT GCC CTG ACT CTA C(서열번호 : 9) AGC CAA TGA CAC AGT TGC AC(서열번호 : 10)
IL1-β GAC CTG TTC TTT GAG GCT GAC(서열번호 : 11) TTC ATC TCG AAG CCT GCA GTG(서열번호 : 12)
MCP-1 GGC CTG TTG TTC ACA GTT GCT(서열번호 : 13) ACA CCT GCT GCT GGT GAT TCT(서열번호 : 14)
iNOS TCT GTG CCT TTG CTC ATG ACA(서열번호 : 15) TGC TTC GAA CAT CGA ACG TC(서열번호 : 16)
MMP-3 AGG AAA TCA ATT CTG GGC(서열번호 : 17) CTT CAA AGT GTG TGT CAC TTT C(서열번호 : 18)
TNF-α TGA TCG GTC CCA ACA AGG A(서열번호 : 19) TGC TTG GTG GTT TGC TAC GA(서열번호 : 20)
IL-6 CAA GAG ACT TCC AGC CAG TTG C(서열번호 : 21) TGG CCG AGT AGA CCT CAT AGT GAC C(서열번호 : 22)
IL-8 ACGCTGGCTTCTGACAACACTAGT(서열번호 : 23) CTTCTCTGTCCTGAGACGAGAAGG(서열번호 : 24)
GAPDH AGG TCA TCC CAG AGC TGA ACG(서열번호 : 25) CAC CCT GTT GCT GTA GCC GTA T(서열번호 : 26)
< 실시예 6> 여성 불임 치료 효과 확인
이전 실험에서 <실시예 1>의 혼합물이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발생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기에, 출생 후 23일령의 암컷 S/D 계통의 흰쥐에 DHEA(60 mg/kg/day, 피하투여)을 15일간 투여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유도하고,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된 흰쥐를 DHEA 투여군과 3군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0.5, 1.0, 2.0 mg/kg/day, 경구투여) 투여군으로 나누되 군 간의 체중이 동일하게 나누고,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을 40일째까지 투여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혼합물의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DHEA이 15일간 투여된 흰쥐 중에서 무작위로 3마리를 선택하여 난소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되었는지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3마리 모두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1> 체중 감소 효과 확인
DHEA에 의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된 동물에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면서 체중 변화를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DHEA 투여군에 비하여 체중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정도는 30-33일째부터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40일째에는 정상군의 체중에 비하여 DHEA 투여군의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의 혼합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체중이 감소하였고,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2.0 mg/kg/day)의 체중은 정상군의 체중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8).
<6-2>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혈청인자 에스트라디올 변화 확인
동물 모델에 약물투여 40일 후에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증가한다고 알려진 혈청인자 에스트라디올의 발현을 상기 실시예 <5-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에서 에스트라디올 발현이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뚜렷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은 정상군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9).
<6-3> 자궁의 무게, 난소의 낭포의 수와 크기 및 자궁내막의 조직학적인 변화 확인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난소와 자궁의 무게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다는 보고(Rezvanfar et al., 2007; Manneras et al., 2007)가 있기 때문에, 약물투여 40일 후에 자궁을 취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에서 자궁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자궁의 무게는 <실시예 1>의 혼합물의 농도와 비례하여 감소하였다(도 10A).
또한, 약물투여 40일 후에 난소와 자궁의 조직을 취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마톡시린-에오진 염색(H&E staining)을 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다수의 낭포가 관찰되었고,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낭포의 수와 크기가 DHEA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정상군과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에서는 비정상적인 낭포가 확인되지 않았다(도 10B).
또한,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자궁내막증식증(endometrial hyperplasia)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Elia et al., 2009)가 되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혼합물이 자궁내막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물모델의 자궁내막을 취한 후, 헤마톡시린-에오진 염색(H&E staining)을 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자궁의 내막이 두꺼워졌고,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는 DHEA 투여군과 상대적으로 자궁 내막의 두께가 얇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10B).
<6-4> 다낭성난소증후군 관련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 조절 확인
다낭성난소증후군을 포함한 여성생식기 질환에서 대식세포는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의 발현을 조절하면서 항원을 포식하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Wu et al., 2004; Solano et al., 2011). 따라서 <실시예 1>의 혼합물이 대식세포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후 40일째에 난소와 자궁조직을 취하여 난소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인자(표 1)의 mRNA의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을 통하여 상기 실시예 <5-4>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EA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케모카인(MCP-1) 및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DHEA 투여군에 비해서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또한, DHEA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성장인자(TGF-β, EGF)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의 난소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및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의 증감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11). DHEA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IL1-β, IL-6), 케모카인(IL-8) 및 MMP-3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DHEA 투여군에 비해서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MMP-3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또한, DHEA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성장인자(TGF-β, TGF-β1, VEGF, IGF)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의 자궁에서는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물 단독투여군의 자궁에서는 염증성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MP-3 및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의 증감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12).
<6-5> 활성화된 면역기능 억제 확인
DHEA에 의한 내분비장애는 T세포의 분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Sander et al., 2006), DHEA은 T세포와 결합하며(Meikle et al., 1992; Okabe et al., 1995),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Luchetti et al., 2004)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다낭성난소증후군 모델의 림프절을 이용한 유세포분석(FACS)을 통하여 <실시예 1>의 혼합물이 T세포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림프절의 단일 세포 현탄액을 2 %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키고, 이를 1 % FBS가 포함된 PBS로 씻은 후, mouse anti-rat CD32(BD Bioscience)로 10분간 Fc receptor를 블로킹 시킨 후, 1 % FBS가 포함된 PBS로 두 번 씻는다. 이를 APC-conjugated mouse ante-rat CD4(OX-35;BD Bioscience)와 PE-conjugated mouse ante-rat CD8a 항체(OX-8;BD Bioscience)로 30분간 4 ℃에서 반응시킨 후, 2 % FBS가 포함된 PBS로 두 번 씻는다. 이를 FACSCalibur flow cytometer(BD Bioscience)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고, CellQuest Pro software(BD Bio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프절의 CD4(+)/CD8(+) T세포는 DHEA 투여군에서 증가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CD4(+)/CD25(+) T세포는 DHEA 투여군에서 감소하였으나,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 투여군에서 DHEA 투여군에 비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13).
<6-6> 정지된 생리주기 정상화 확인
DHEA에 의해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되면 내분비장애에 의하여 생리주기가 중단된다. <실시예 1>의 혼합물이 중단된 생리주기를 회복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유도되고 <실시예 1>의 혼합물을 투여하기 시작하는 첫날부터 실험종료 시점까지(24일간) 질검사(vaginal smear)를 시행하여 생리주기를 판정하였다. 마지막 10일간 발정전기, 발정기 및 발정후기의 소견이 1회 이상 관찰되면 정상적인 생리를 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서는 83 %, DHEA 투여군에서는 33 %, DHEA + <실시예 1>의 혼합물(2.0 mg/kg/day) 투여군에서는 67 % 및 <실시예 1>의 혼합물(2.0 mg/kg/day) 단독투여군에서는 83 %의 쥐가 생리를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실시예 1>의 혼합물이 다낭성난소증후군에 의하여 중단된 생리주기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KWANG DONG PHARMACEUTICAL Co., LTD <120>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female infertility containing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Lycium chinense Miller, 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Poria cocos Wolf, Panax ginseng C.A. Meyer and honey as a active ingredient <130> 14P-02-24 <160> 2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_F <400> 1 cttcagctcc acagagaaga actgc 25 <210> 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_R <400> 2 cacgatcatg ttggacaact gctcc 25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GF_F <400> 3 cagctattgc cgtccaattg a 21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GF_R <400> 4 ccagggcttc atcattgca 19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F_F <400> 5 attgtggatg agtgttgctt c 21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F_R <400> 6 attgatattt ggcaggtgtt cc 22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1_F <400> 7 ggactactac gccaaagaa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1_R <400> 8 tcaaaagaca gccactcagg 20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GF_F <400> 9 tgccttgccc tgactctac 19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GF_R <400> 10 agccaatgac acagttgcac 20 <210> 1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_F <400> 11 gacctgttct ttgaggctga c 21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_R <400> 12 ttcatctcga agcctgcagt g 21 <210> 1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P1_F <400> 13 ggcctgttgt tcacagttgc t 21 <210> 1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P1_R <400> 14 acacctgctg ctggtgattc t 21 <210> 1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_F <400> 15 tctgtgcctt tgctcatgac a 21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_R <400> 16 tgcttcgaac atcgaacgtc 20 <210> 1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3_F <400> 17 aggaaatcaa ttctgggc 18 <210> 1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3_R <400> 18 cttcaaagtg tgtgtcactt tc 22 <210> 1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_F <400> 19 tgatcggtcc caacaagga 19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_R <400> 20 tgcttggtgg tttgctacga 20 <210> 2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_F <400> 21 caagagactt ccagccagtt gc 22 <210> 2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_R <400> 22 tggccgagta gacctcatag tgacc 25 <210> 2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8_F <400> 23 acgctggctt ctgacaacac tagt 24 <210> 2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8_R <400> 24 cttctctgtc ctgagacgag aagg 24 <210> 2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F <400> 25 aggtcatccc agagctgaac g 21 <210> 2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R <400> 26 caccctgttg ctgtagccgt at 22

Claims (14)

  1.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purpurae Makino) 28 내지 37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0.4 내지 1.4 중량부, 침향(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0.1 내지 6 중량부, 복령(Poria cocos Wolf) 3 내지 13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1.5 내지 3.5 중량부 및 꿀(honey) 30 내지 45 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polycystic ovarian syndrome)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엑기스제, 에어로젤 및 주사용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연조 엑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염증성사이토카인(cytokines) 및 케모카인(chemokines)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성장인자(growth factors)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생지황 28 내지 37 중량부, 구기자 0.4 내지 1.4 중량부, 침향 0.1 내지 6 중량부, 복령 3 내지 13 중량부, 인삼 1.5 내지 3.5 중량부 및 꿀 30 내지 45 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9. 삭제
  10. 삭제
  11. 생지황 28 내지 37 중량부, 구기자 0.4 내지 1.4 중량부, 침향 0.1 내지 6 중량부, 복령 3 내지 13 중량부, 인삼 1.5 내지 3.5 중량부 및 꿀 30 내지 45 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삭제
  13. 생지황 28 내지 37 중량부, 구기자 0.4 내지 1.4 중량부, 침향 0.1 내지 6 중량부, 복령 3 내지 13 중량부, 인삼 1.5 내지 3.5 중량부 및 꿀 30 내지 45 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14. 삭제
KR1020140034538A 2014-03-25 2014-03-25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85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538A KR101585607B1 (ko) 2014-03-25 2014-03-25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538A KR101585607B1 (ko) 2014-03-25 2014-03-25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097A KR20150111097A (ko) 2015-10-05
KR101585607B1 true KR101585607B1 (ko) 2016-01-19

Family

ID=5434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538A KR101585607B1 (ko) 2014-03-25 2014-03-25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0975A (zh) * 2015-11-18 2016-01-20 张剑 一种治疗***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7111529A1 (ko) * 2015-12-24 2017-06-29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착상 증진 효능을 갖는 배란착상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동의보감의 경옥고’, 인터넷 URL: http://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soongsilmedi&logNo=110037185710 (2008.11.06.)*
대한산부회지, 2010년, 제53권, 제10호, 페이지 869-880*
한국전통지식포탈, 건보호잠환, 2007.12.6.(DB 발행일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097A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25B1 (ko)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0126431B1 (ko)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US10342836B2 (en) Composition having a function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pain
KR101419463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2045903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5607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67028B1 (ko) 산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931226B1 (ko)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7849B1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6512A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0270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5347B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20280583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ncluding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
KR102687842B1 (ko) 감초, 창출, 오수유 및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70796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4458B1 (ko)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0793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1130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671571B1 (ko)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2671544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