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030B1 - 버섯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030B1
KR101584030B1 KR1020150044993A KR20150044993A KR101584030B1 KR 101584030 B1 KR101584030 B1 KR 101584030B1 KR 1020150044993 A KR1020150044993 A KR 1020150044993A KR 20150044993 A KR20150044993 A KR 20150044993A KR 101584030 B1 KR101584030 B1 KR 10158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tray
desce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선
Original Assignee
안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선 filed Critical 안영선
Priority to KR102015004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버섯 종균이 담긴 트레이의 안정적인 순환이 가능한 버섯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 층의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의 상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이송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아래층으로 하강시키는 한 쌍의 하강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최하층의 트레이를 최상층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섯 재배 장치{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본 발명은 버섯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버섯 종균이 담긴 트레이의 안정적인 순환이 가능한 버섯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나무의 뿌리에 균근을 형성하는 환물기생균은 인공재배가 어렵지만, 고목이나 유기질에 기생하는 사물기생성인 버섯은 배양종균에 의한 인공재배가 가능하다.
종래의 버섯 재배 장치는 일반적으로 체인과 모터를 결합시켜 트레이를 평면상에서 일정한 루트를 따라 순환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장시간 가동시 트레이의 무게 등으로 인해 체인이 점점 쳐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생육실 내에 버섯 재배판(이하, '트레이')을 복층으로 배치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량의 버섯을 재배하고 있으며, 이때 생육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품질의 균일화를 이루기 위해, 일정 경로를 따라 트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버섯 재배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하 순환방식의 버섯 재배 장치는 최상층까지 한 층씩 위로 이동된 트레이가 다시 최하층으로 돌아오는 순환 경로를 가지며, 이 경우 한 번에 복수 층의 트레이가 함께 상승해야 하므로, 트레이의 상승에 필요한 전력 등의 구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복수 개의 실린더 작동에 의해 트레이의 수평 방향 이송이 이루어졌는데, 이 경우 복수 개의 실린더가 균일하게 작동하지 못하고 이들 간에 작동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트레이가 한쪽으로 틀어지면서 경로 상에 끼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트레이의 상승 또는 하강시, 다음 차례를 위해 대기하던 트레이가 진동이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경로로 밀려 들어오면서 충돌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린더 작동에 의해 트레이가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의 거리가 먼 구간을 승강하는 경우, 대용량의 실린더를 필요로 하여 설비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를 피하기 위해 소용량의 실린더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실린더의 신축 거리를 보완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더 필요로 하여 작동 정밀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오작동시에는 정해진 위치를 지나쳐서 다른 부품과 충돌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트레이의 승강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중인 트레이가 승강 받침대로부터 이탈하여 낙하하거나, 승강 후 정해진 수평 이동 경로로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버섯 종균이 담긴 트레이의 안정적인 순환 이동이 가능한 버섯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환 경로를 재설정함으로써, 작동에 필요한 전력 등 구동력을 저감하여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레이가 정해진 순환 경로를 벗어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고장 발생율이 낮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 층의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의 상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이송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아래층으로 하강시키는 한 쌍의 하강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최하층의 트레이를 최상층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과,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재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동실린더와, 상기 회동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하강유닛은, 상기 이송레일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홀수 층 이송레일의 일단으로 이송된 트레이를 받아서 짝수 층 이송레일의 일단으로 하강시키는 제1 하강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짝수 층 이송레일의 타단으로 이송된 트레이를 받아서 홀수 층 이송레일의 타단으로 하강시키는 제2 하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강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일체로 승강하는 복수 개의 하강레일과, 상기 하강레일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하강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록킹 실린더와, 상기 록킹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록킹 실린더에 의해 상기 트레이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복수 개의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기 하강레일 방향 유동 방지를 위해, 상기 하강레일과 인접하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된 트레이의 외측을 가압 지지하는 갭 지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승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상승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승유닛은, 상기 상승레일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위치감지용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감지용 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공간부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쿨러와, 상기 상승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에 의하면, 트레이가 다층으로 이루어진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에 의하면, 한 번에 복수 개의 트레이가 한 층 밑으로 하강하고 최하층의 트레이가 최상층으로 이동하는 순환 경로를 가짐으로써, 트레이의 순환에 필요한 구동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에 의하면, 구동모터와 랙기어에 의해 트레이의 수평 방향 이송이 이루어지고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 구간의 승강이 구동모터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에 의하면, 트레이 승강 경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토퍼와 업소버가 설치되므로, 작동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에 의하면, 트레이 승강시 승강레일에 안착된 트레이는 승강레일에 견고히 지지되고, 이와 인접하는 이송레일의 트레이는 이송레일에 견고히 지지되므로, 트레이 승강시 경로 이탈에 의한 고장 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프레임 및 이송유닛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이송유닛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강유닛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유닛의 구성도.
도 13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순환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100)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이송레일(300)과, 이송레일(300)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복수 개의 트레이(400)와, 이송레일(300)을 따라 트레이(400)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500)과, 각 층의 트레이(400)를 한 층씩 밑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유닛(610,620)과, 최하층의 트레이(400)를 최상층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유닛(7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200)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바닥면에 나란히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10)과, 지지 프레임(210)의 상측에 직사각형 형태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20)의 둘레를 따라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230)과, 수직 프레임(230)의 상단에 하부 프레임(220)과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프레임은 사각형 단면을 가진 중공 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 프레임(220)과 상부 프레임(240)은 지지 프레임(2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여 직사각 형태를 이룬다.
하부 프레임(220)과 수직 프레임(230) 및 상부 프레임(240)이 육면체 격자 형태로 결합됨에 따라 프레임(200)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에 복수 개의 이송레일(300)이 상하 이격하여 설치된다. 이송레일(300)은 사각형 단면을 가진 중공 파이프 형태로서 수직 프레임(230)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며, 프레임(200)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이송레일(300)이 서로 대향하도록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때,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이송레일(300)은 공간부 내에 각각 하나의 층을 형성한다. 즉, 프레임(200) 내부의 공간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이송레일(300)에 의해 복수 개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이송레일(300)은 후술하는 제1 하강유닛(610)과 제2 하강유닛(620) 사이의 구간에 연장 형성되며, 최상층과 최하층의 이송레일(300)은 제1 하강유닛(610)을 지나서 후술하는 상승유닛(700)의 일측까지 연장된다. 즉, 최상층과 최하층의 이송레일(300)은 나머지 이송레일(300)보다 길이가 더 길게 설치된다. 아울러, 트레이(400)의 순환 경로를 고려하여, 이송레일(300)의 총 층수는 짝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이송레일(300)의 상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400)가 안착된다.
트레이(4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으로서, 예컨대 버섯 재배판 등의 순환시키고자 하는 대상물이 내부에 수납된다. 트레이의 양 측면에는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트레이(400)의 저면 양측에는 복수 개의 롤러(420)가 구비되어 이송레일(300)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이때, 트레이(400)의 비틀림 방지를 위해, 롤러(420)의 내측면은 이송레일(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직경이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400)는 한 층의 이송레일(300)에 복수 개가 배열되어 동시에 이동될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트레이(400)는 서로 밀착하여 동시에 이동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각각의 트레이(400)가 각각 힘을 받아 이송된다.
예컨대, 트레이(400)들이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가장 후단에 위치한 트레이(400)를 밀게 되면 그 트레이(400)에 밀려 전단의 트레이(400)들이 동시에 이송될 수 있지만, 트레이(400)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이송이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100)에서는 트레이(400)의 전단에 범퍼(430)를 부착시켜 트레이(400)들 간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간격을 이용하여 각각의 트레이(400)에 힘을 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프레임(200)의 상단부 일측, 예컨대 후술하는 상승유닛(700)의 상부에 버섯 종균 배지의 살균을 위한 원적외선 램프(8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의 상단부 중앙에는 버섯 종균 배지의 배양 또는 생육 온도 제어를 위한 쿨러(9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프레임 및 이송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의 이송유닛 구성도이다.
이송유닛(500)은 각 층의 이송레일(300)에 안착된 트레이(400)를 프레임(2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프레임(200)의 폭 방향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510)과, 프레임(20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 프레임(510)을 이송시키는 구동수단(530)과, 이송 프레임(5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이송 프레임(510)의 이송시 트레이(400)를 미는 걸림부재(520)와, 걸림부재(520)를 회동시켜 트레이(400)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시키는 회동수단(540)을 포함한다.
이송 프레임(510)은 복수 개의 단위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이송 프레임(5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복수 개의 가이드 블록이 결합되고, 이 가이드 블록은 상부 프레임(240)의 가로 프레임 저면과 하부 프레임(220)의 가로 프레임 상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 레일에 각각 대응 결합된다. 즉, 이송 프레임(510)은 상부 프레임(240)과 하부 프레임(220)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수단(530)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531)와, 이송모터(5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533)와, 이송 프레임(510)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며 구동기어(533)와 치합하는 랙기어(534)를 포함한다. 즉, 이송모터(531) 작동시 구동기어(533)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534)와 함께 이송 프레임(510)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송모터(531)는 프레임(20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00)의 폭 방향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모터 지지블록(532)이 결합되고, 이 모터 지지블록(532)의 상측면에 이송모터(531)가 설치된다.
랙기어(534)는 브래킷에 의해 이송 프레임(510)의 하단에 결합되며, 랙기어(534)의 하부에 랙기어(534)와 치합하는 구동기어(533)가 설치된다. 이때, 구동기어(533)는 벨트 또는 체인 결합에 의해 이송모터(531)의 풀리 또는 회전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535)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재(520)는 원형 단면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서, 이송 프레임(510)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이송레일(300)과 평행하게 복수 개가 설치된다. 이때, 이송 프레임(51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브래킷(522)이 구비되며, 걸림부재(520)는 이 브래킷(5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걸림부재(52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걸림부재(520) 상부의 이송레일(300) 저면에 보조 파이프(523)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지지블록(524)이 결합되고, 보조 파이프(523)에는 하향 돌출되는 복수 개의 보조 브래킷(525)의 상단이 결합되며, 걸림부재(520)는 보조 브래킷(525)의 하단을 관통한다.
여기서, 걸림부재(520)는 브래킷(522)과 보조 브래킷(52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송 프레임(510)과 함께 프레임(2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축회전도 가능하다. 즉, 걸림부재(520)는 이송 프레임(510) 내측에 결합된 브래킷(522)과 이송레일(300)의 저면에 결합된 보조 브래킷(525)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블록(524)은 걸림부재(520)와 이송 프레임(5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도 한다. 즉, 이송 프레임(510)과 함께 걸림부재(520)의 이동시, 이송 프레임(510)의 일측에 결합된 브래킷(522)이 이송레일(300) 저면에 결합된 지지블록(524)에 걸림으로써, 이송 프레임(510)과 걸림부재(52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이다.
걸림부재(520)의 외주면에는 걸림부재(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521)가 돌출 형성된다. 예컨대, 걸림돌기(521)는 걸림부재(52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끔 외주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걸림돌기(521)는 트레이(400)의 후단 또는 전단(도 3을 기준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 지지되어, 이송 프레임(510)과 함께 걸림부재(520)의 이동시, 트레이(4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동수단(540)은 걸림부재(520)를 회전시켜 걸림돌기(521)가 트레이(400)에 지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트레이(400)로부터 걸림돌기(521)를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버섯 재배 장치(100)에서 트레이(400)의 순환시, 홀수 층의 트레이(400)가 걸림부재(520)의 걸림돌기(521)에 걸려서 일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짝수 층의 트레이(400)가 제자리를 유지하고, 반대로 짝수 층의 트레이(400)가 걸림돌기(521)에 걸려서 타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홀수 층의 트레이(400)가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회동수단(540)에 의해 걸림부재(520)가 회전하여 걸림돌기(521)가 트레이(400)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이송 프레임(510)의 이동시 걸림돌기(521)가 트레이(400)를 밀어서 이동시키게 되고, 걸림부재(520)의 회전에 의해 걸림돌기(521)가 트레이(400)로부터 이탈한 경우에는, 이송 프레임(510)이 이동하더라도 걸림돌기(521)가 트레이(400)를 밀지 못하여 트레이(400)가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회동수단(540)은 이송 프레임(5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동실린더와, 회동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이송 프레임(5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543)과, 일단이 연장 프레임(543)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이송 프레임(510)을 관통하여 걸림부재(52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바(544)를 포함한다.
회동실린더 작동시, 회동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연장 프레임(543)이 높이 방향으로 승강하며, 이때 회전바(544)가 걸림부재(5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부재(520)와 함께 걸림돌기(521)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회전바(544)는 이송 프레임(510)에 형성되는 장방 타원형 홀(511)을 관통하여 걸림부재(520)에 결합되며, 연장 프레임(543)이 승강할 때 걸림부재(520)를 중심으로 장방 타원형 홀(5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프레임(510)의 일측과 타측에 제1 회동실린더(541)와 제2 회동 실린더(542)가 설치되어 각각 짝수 층의 걸림부재(520)와 홀수 층의 걸림부재(520)를 회동시킨다.
예컨대, 도면상 이송 프레임(510)의 좌측 하단에 제1 회동실린더(541)가 설치되고 제1 회동실린더(541)의 단부에 상향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543)이 힌지 결합된다. 이때, 연장 프레임(5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회전바(544)가 힌지 결합되는데, 이 회전바(544)의 일단은 연장 프레임(543)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이송 프레임(510)을 관통하여 짝수 층의 걸림부재(520)에 결합된다.
또한, 도면상 이송 프레임(510)의 우측 상단에 제2 회동 실린더(542)가 설치되고 제2 회동 실린더(542)의 단부에 하향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543)이 힌지 결합된다. 이때, 연장 프레임(5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회전바(544)가 힌지 결합되는데, 이 회전바(544)의 일단은 연장 프레임(543)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이송 프레임(510)을 관통하여 홀수 층의 걸림부재(520)에 결합된다.
한편, 이송 프레임(510)과 걸림부재(520) 및 회동수단(540)은 프레임(20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송모터(531)의 작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535) 상에, 좌우 양측 이송 프레임(510)의 랙기어(534)와 치합하는 구동기어(533)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강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하강유닛은 위층의 트레이(400)를 받아서 아래층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송유닛(500)에 의해 홀수 층의 일측으로 이송된 트레이(400)를 받아서 그 아래 짝수 층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하강유닛(610)과, 짝수 층의 타측으로 이송된 트레이(400)를 받아서 그 아래 홀수 층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하강유닛(620)을 포함한다.
제1 하강유닛(610)은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하강 프레임(611)과, 제1 하강 프레임(611)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이송레일(300)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하강레일(612)과, 제1 하강 프레임(611)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실린더(61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하강 프레임(611)은 프레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230)과 보조 수직 프레임(231)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제1 하강 프레임(611)의 양측에는 수직 프레임(230)과 보조 수직 프레임(231)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대응 결합하도록 가이드 블록이 구비된다. 또한, 제1 승강실린더(613)는 그 단부가 제1 하강 프레임(611)을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브래킷의 일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승강실린더(613) 작동시 제1 하강 프레임(611)은 수직 프레임(230)과 보조 수직 프레임(231)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때, 제1 하강 프레임(61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스토퍼(미도시)와 업소버(614)가 설치되어 승강 거리를 제한하는 한편, 승강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와 업소버(614)는 수직 프레임(230)과 보조 수직 프레임(231)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브래킷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00)가 하강하는 동안 제1 하강레일(612)에서 트레이(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하강레일(612)의 일단에 'ㄱ'자 형상의 스토퍼(615)가 구비된다. 또한, 제1 하강레일(612)의 일측에는 트레이(400)를 제1 하강레일(612) 상에 고정시키는 록킹수단(630)이 구비된다.
록킹수단(630)은 제1 하강레일(612)의 일측에 설치되는 록킹 실린더(631)와, 록킹 실린더(631)의 일측에 설치되며 록킹 실린더(631)에 의해 트레이(400)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복수 개의 클램프(632)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록킹 실린더(631)가 제1 하강레일(612)의 저면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록킹 실린더(631)의 단부는 제1 하강레일(612)의 외측에 제1 하강 프레임(61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바(bar) 형상의 록킹부재(633)와 결합되며, 록킹부재(633)의 내측에는 클램프(632)가 트레이(4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클램프(632)의 끝단은 원추형으로서, 제1 하강레일(612)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634)를 관통하여, 트레이(400) 외측면의 삽입홈(410)에 삽입된다.
즉, 록킹 실린더(631)에 의해 록킹부재(633)가 제1 하강레일(612) 방향으로 당겨지면, 클램프(632)가 트레이(400) 외측면의 삽입홈(410)에 삽입되어 트레이(4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트레이(400)를 다시 이송레일(300) 방향으로 이송시킬 때에는, 록킹 실린더(631)에 의해 록킹부재(633)가 제1 하강레일(612)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며, 이때 클램프(632)가 트레이(400)의 삽입홈(410)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트레이(400)는 제1 하강레일(61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강레일(612)과 인접하는 이송레일(300)의 상측에는, 제1 하강레일(612)의 승강시 이송레일(300)에 안착된 트레이(400)가 제1 하강레일(612)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400)의 외측을 가압 지지하는 갭 지그(250)가 수직 프레임(23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 갭 지그(250)는 수직 프레임(230)의 내측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51)와,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일면에서 트레이(4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252)와, 가이드부재(252)의 일단에 결합되는 가압판(253)을 포함하며, 가이드부재(252)의 외주면에는 각각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54)가 개재된다. 가압판(253)은 탄성부재(254)의 탄성력에 의해 트레이(400)의 외측을 가압 지지하며, 가압판(253)의 내측면 일측에는 제1 하강레일(612)의 반대쪽으로 갈수록 낮게 테이퍼지는 경사면(25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하강유닛(620)은 프레임(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승강실린더(623)에 의해 제2 하강레일(622)이 승강하게 된다.
제2 하강유닛(620)은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하강 프레임(621)과, 제2 하강 프레임(621)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이송레일(300)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하강레일(622)과, 제2 하강 프레임(621)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실린더(623)를 포함한다. 이때, 제2 하강 프레임(621)은 전술한 제1 하강유닛(610)의 제1 하강 프레임(611)과 비교하여 2개 층의 높이만큼 그 길이가 더 길다.
제2 하강 프레임(621)은 프레임(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0)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제2 하강 프레임(621)의 양측에는 인접하는 양측의 수직 프레임(230)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대응 결합하도록 가이드 블록이 구비된다.
제2 승강실린더(623)는 그 단부가 제2 하강 프레임(621)을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브래킷의 일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승강실린더(623) 작동시 제2 하강 프레임(621)은 양쪽 수직 프레임(23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제2 하강 프레임(62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스토퍼(미도시)와 업소버(624)가 설치되어 승강 거리를 제한하는 한편, 승강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와 업소버(624)는 양쪽 수직 프레임(2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브래킷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제1 하강유닛(610)과 마찬가지로, 제2 하강레일(622)에도 트레이(400)의 이탈 방지를 위한 'ㄱ'자 형상의 스토퍼(6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하강 프레임(621)에는 하강시 트레이(400)를 제2 하강레일(62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수단(6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강유닛(620)의 록킹수단(630)은 전술한 제1 하강유닛(610)의 록킹수단(630)과 비교하여 록킹부재(633)의 길이가 더 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구성이 유사하므로, 록킹수단(630)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하강레일(622)과 인접하는 이송레일(300)의 상측에도 역시, 제2 하강레일(622)의 승강시 이송레일(300)의 트레이(400)가 제2 하강레일(622)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갭 지그(250)가 수직 프레임(23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하강유닛(610)과 제2 하강유닛(620)은 프레임(20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유닛의 구성도이다.
상승유닛(700)은 최하층의 트레이(400)를 받아서 최상층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하강유닛(610)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 수직 프레임(231)과 그 바깥쪽의 수직 프레임(230)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이송유닛(500)에 의해 최하층의 일측으로 이송된 트레이(400)를 받아서 최상층의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승유닛(700)은, 프레임(200)의 일측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대향 설치되는 구동풀리(710) 및 종동풀리(720)와, 이들을 연결하는 컨베이어 벨트(730)와, 구동풀리(7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730)를 순환시키는 승강모터(740)와, 컨베이어 벨트(730)에 일측이 결합되어 컨베이어 벨트(730)와 함께 승강하는 상승레일(750)을 포함한다.
제1 하강유닛(610)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 수직 프레임(231)과 그 바깥쪽의 수직 프레임(230)에는 서로의 대향면에 각각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승레일(750)의 양측에는 이와 대응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어, 승강모터(740) 작동시 상승레일(750)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승강모터(740)는 프레임(200)의 일측 하단부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블록 상에 설치되며,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승강모터(74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741)이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 회전축(741) 상에 구동풀리(710)가 구비되며, 종동풀리(720)는 상부 프레임(24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풀리(710)와 종동풀리(720)는 컨베이어 벨트(730)에 의해 연결되며, 컨베이어 벨트(730)의 일측에 상승레일(750)이 결합된다.
상승레일(750)은, 수직 플레이트 형상이며 내측에 트레이(400)가 안착되도록 이송레일(300)과 평행하게 레일부(751)가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752)와, 베이스부(752)의 외측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부(753)를 포함하며, 날개부(753)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754)가 형성되고 절곡부(754)의 측면에 각각 가이드 블록이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날개부(753) 중 어느 하나의 날개부(753)는 내측 모서리를 따라 수직하게 결합부(755)가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 바(bar) 형상의 결합부재(756)가 컨베이어 벨트(730)를 가압 지지하도록 결합부(755)에 결합된다. 즉, 결합부재(756)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730)의 일측이 상승레일(750)의 결합부(755)에 결합됨에 따라, 승강모터(740) 작동시 컨베이어 벨트(730)와 함께 상승레일(750)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체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레일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스토퍼(미도시)와 업소버(760)가 설치되어 상승레일(750)의 승강 거리를 제한하는 한편, 승강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이드 레일 하단의 스토퍼와 업소버(760)는 브래킷에 의해 하부 프레임(220)의 일측에 좌우 한 쌍씩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 상단의 스토퍼와 업소버(760)는 브래킷에 의해 수직 프레임(230)과 보조 수직 프레임(231)의 일측에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승레일(750)이 정확한 위치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230)의 내측면에 상하 이격하여 한 쌍의 위치감지센서(780)가 설치되고, 상승레일(750)의 일측에는 위치감지용 부재(790)가 힌지 결합된다. 위치감지용 부재(790)는 원기둥 바(bar) 형태로서 일단이 상승레일(750)의 레일부(75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승레일(750)의 일측을 지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위치감지센서(780)는 위치감지용 부재(790) 방향을 향하도록 브래킷에 의해 수직 프레임(23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승레일(750)의 승강시 위치감지용 부재(79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승레일(750)의 승강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상승레일(750)의 하강시 정확한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상승레일(750)의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감지용 부재(790)의 단부가 위치감지센서(780)의 아래쪽에 결합된 기준블록(781)과 접촉하여 회동하면서 위치감지센서(780)의 센싱범위를 벗어나게 되며, 위치감지센서(780)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상승레일(750)을 정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한편, 구동풀리(710)와 종동풀리(720), 컨베이어 벨트(730) 및 상승레일(750)은 프레임(20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순환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는 이송레일(300)이 상하 8층으로 형성되고, 한 층에 트레이(400)가 10개의 열(최하층에는 11개의 열)로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레일(300)은 프레임(200) 내에 짝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층에 배치되는 트레이(4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층(1층)의 이송레일(300)의 좌측에 트레이(400)가 안착된 상승레일(75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 하강레일(612)은 트레이(400)가 안착된 상태로 3층, 5층, 7층의 이송레일(300) 좌측에 위치하며, 제2 하강레일(622)은 트레이(400) 없이 1층, 3층, 5층, 7층의 이송레일(300) 우측에 위치한다.
이후, 승강모터(740)의 작동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730)가 구동풀리(710)와 종동풀리(720) 사이의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결합부(755)와 결합부재(756)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730)의 일측에 결합된 상승레일(750)이 컨베이어 벨트(730)와 함께 상승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8층)의 이송레일(300)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실린더(613)의 작동에 의해 제1 하강 프레임(611)이 하강하여 제1 하강레일(612)이 한 층씩 아래층으로 하강한다. 즉, 제1 하강레일(612)은 2층, 4층, 6층의 이송레일(300)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모터(531)의 작동에 의해 이송 프레임(510)과 함께 걸림부재(520)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동시 걸림돌기(521)는 트레이(400)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이동 완료 후 제1 회동실린더(541)의 작동에 의해 짝수 층의 걸림부재(520)가 회동하여 트레이(400)의 좌측에 걸림돌기(521)가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승강실린더(623)의 작동에 의해 제2 하강 프레임(621)이 상승하여 제2 하강레일(622)이 한 층씩 위층으로 상승한다. 이때, 제2 하강레일(622)은 짝수 층의 이송레일(300)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송모터(531)의 작동에 의해 이송 프레임(510)이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걸림부재(520)의 걸림돌기(521)가 걸린 짝수 층의 트레이(400)는 걸림돌기(521)에 밀려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홀수 층의 트레이(400)는 걸림돌기(521)가 걸려있지 않으므로 이동하지 않으며, 짝수 층의 이송레일(300) 최우측에 위치하였던 트레이(400)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하강레일(622)로 각각 진입하게 된다.
이후, 제2 승강실린더(623)의 작동에 의해 제2 하강 프레임(621)이 하강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강레일(622)이 한 층씩 아래층으로 하강한다. 즉, 제2 하강레일(622)은 홀수 층의 이송레일(300)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 회동실린더(541)의 작동에 의해 짝수 층의 걸림부재(520)가 회동하고, 짝수 층 트레이(400)의 좌측에 걸려있던 걸림돌기가 트레이(400)로부터 벗어난다. 한편, 제2 회동 실린더(542)의 작동에 의해 홀수 층의 걸림부재(520)가 회동하여 트레이(400)의 우측에 걸림돌기(521)가 걸리게 된다.
이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8층에 위치하였던 상승레일(750)이 하강하여 1층으로 내려오며, 2층, 4층, 6층에 위치하였던 제1 하강레일(612)이 한 층씩 상승하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 5층, 7층의 이송레일(300)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이송모터(531)의 작동에 의해 이송 프레임(510)이 좌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걸림부재(520)의 걸림돌기(521)가 걸린 홀수 층의 트레이(400)는 걸림돌기(521)에 밀려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짝수 층의 트레이(400)는 걸림돌기(521)가 걸려있지 않으므로 이동하지 않으며, 3층, 5층, 7층의 이송레일(300) 최좌측에 위치하였던 트레이(400)는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하강레일(612)로 각각 진입하고, 1층의 이송레일(300) 최좌측에 위치하였던 트레이(400)는 상승레일(750)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에는, 다시 상승레일(750)의 상승, 제1 하강레일(612)의 하강, 제2 하강레일(622)의 상승, 짝수 층 트레이(400)의 우측 이동, 제2 하강레일(622)의 하강, 상승레일(750)의 하강, 제1 하강레일(612)의 상승, 홀수 층 트레이(400)의 좌측 이동이 반복되면서 각 층의 트레이(400)는 일정 경로를 따라 프레임(200)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버섯 재배 장치 200 : 프레임
300 : 이송레일 400 : 트레이
500 : 이송유닛 510 : 이송 프레임
520 : 걸림부재 530 : 구동수단
540 : 회동수단 541 : 제1 회동실린더
542 : 제2 회동실린더 543 : 연장 프레임
544 : 회전바 610 : 제1 하강유닛
612 : 제1 하강레일 613 : 제1 승강실린더
620 : 제2 하강유닛 622 : 제2 하강레일
623 : 제2 승강실린더 630 : 록킹수단
700 : 상승유닛 730 : 컨베이어 벨트
750 : 상승레일 780 : 위치감지센서
800 : 원적외선 램프 900 : 쿨러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 층의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의 상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이송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아래층으로 하강시키는 한 쌍의 하강유닛;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최하층의 트레이를 최상층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강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일체로 승강하는 복수 개의 하강레일과, 상기 하강레일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하강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록킹 실린더와, 상기 록킹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록킹 실린더에 의해 상기 트레이 외측면의 삽입홈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복수 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강유닛은, 상기 이송레일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홀수 층 이송레일의 일단으로 이송된 트레이를 받아서 짝수 층 이송레일의 일단으로 하강시키는 제1 하강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짝수 층 이송레일의 타단으로 이송된 트레이를 받아서 홀수 층 이송레일의 타단으로 하강시키는 제2 하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과,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재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기 하강레일 방향 유동 방지를 위해, 상기 하강레일과 인접하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된 트레이의 외측을 가압 지지하는 갭 지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쿨러와, 상기 상승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장치.
KR1020150044993A 2015-03-31 2015-03-31 버섯 재배 장치 KR10158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93A KR101584030B1 (ko) 2015-03-31 2015-03-31 버섯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93A KR101584030B1 (ko) 2015-03-31 2015-03-31 버섯 재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030B1 true KR101584030B1 (ko) 2016-01-12

Family

ID=5517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993A KR101584030B1 (ko) 2015-03-31 2015-03-31 버섯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0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593B1 (ko) * 2016-11-28 2017-10-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정 상하 순환식 버섯 재배 장치
KR101801103B1 (ko) 2016-08-24 2017-11-27 (주)푸드앤테이블 자동 적재 로봇을 적용한 작물 재배 시스템
CN110651669A (zh) * 2019-11-14 2020-01-07 沈阳农业大学 一种具有移动功能的食用菌架
KR20210003400A (ko) * 2019-07-02 2021-01-12 박태건 스마트 팜 시스템
KR102620934B1 (ko) * 2022-09-29 2024-01-09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무인택배함용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02B1 (ko) * 2011-06-27 2012-06-18 신근영 버섯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
KR101406293B1 (ko) * 2013-07-24 2014-06-12 안영선 순환식 재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02B1 (ko) * 2011-06-27 2012-06-18 신근영 버섯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
KR101406293B1 (ko) * 2013-07-24 2014-06-12 안영선 순환식 재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103B1 (ko) 2016-08-24 2017-11-27 (주)푸드앤테이블 자동 적재 로봇을 적용한 작물 재배 시스템
KR101776593B1 (ko) * 2016-11-28 2017-10-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정 상하 순환식 버섯 재배 장치
KR20210003400A (ko) * 2019-07-02 2021-01-12 박태건 스마트 팜 시스템
KR102303204B1 (ko) 2019-07-02 2021-09-16 박태건 스마트 팜 시스템
CN110651669A (zh) * 2019-11-14 2020-01-07 沈阳农业大学 一种具有移动功能的食用菌架
KR102620934B1 (ko) * 2022-09-29 2024-01-09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무인택배함용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031B1 (ko) 버섯 재배 장치의 승강유닛
KR101584030B1 (ko) 버섯 재배 장치
CN106005857B (zh) 一种自动仓储储存***
CN107840153B (zh) 一种面板存放装置
KR101290414B1 (ko) 버섯 재배용 포트병의 배지 타공 장치
KR20070076371A (ko) 트레이 반송 시스템
KR101424090B1 (ko)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SG176605A1 (en) Conveying system, tower structure with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containers with a conveying system
RU2016123704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даления яиц с яйцесб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яиц с яйцесб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CN104843461A (zh) 一种将电子器件载板传输至运输轨道的机构
KR101776593B1 (ko) 상하 순환식 버섯 재배 장치
CN1190351C (zh) 仓储货架
CN108945622B (zh) 一种显示面板装箱装置
US4143758A (en)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KR101244121B1 (ko)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CN207467086U (zh) 一种包装盒拆分传输装置
KR101515352B1 (ko) 트레이 순환장치
CN115489928B (zh) 一种水培自动化***及其运输装置
CN109809166B (zh) 一种玩具球分装自动化生产***
KR101416433B1 (ko) 이동 재치 장치
CN110654876A (zh) 一种托盘自动堆、解垛设备
CN105600514A (zh) 锻件装载机
KR20060039838A (ko) 다단 균상 순환이송식 버섯재배장치
JPH079856Y2 (ja) 搬送用架台
CN210709338U (zh) 芯片自动输料机、芯片自动检测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