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045B1 -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 - Google Patents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045B1
KR101583045B1 KR1020090121009A KR20090121009A KR101583045B1 KR 101583045 B1 KR101583045 B1 KR 101583045B1 KR 1020090121009 A KR1020090121009 A KR 1020090121009A KR 20090121009 A KR20090121009 A KR 20090121009A KR 101583045 B1 KR101583045 B1 KR 10158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oxidizing agent
solution
graphit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408A (ko
Inventor
정재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코비
Priority to KR102009012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0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01B32/19Preparation by exfoliation
    • C01B32/192Preparation by exfoliation starting from graphitic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22Electron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30Pur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도가 높은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천연흑연을 산화시켜 산화흑연을 제조하는 단계; 진한 황산에 상기 산화흑연, 제1 산화제 및 제2 산화제를 첨가하여 박리된 그라핀 시트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그라핀 시트 함유 용액을 홀을 구비한 멤브레인 컬럼에 투입하고, 밀봉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컬럼을 염화수소 수용액에 침지하여 1차 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컬럼을 초순수에 침지하여 2차 음파 처리를 실시하여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기재 위에 코팅하거나, 또는 저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고순도의 그라핀 파우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Process for preparing graphene film and graphene powder, and graphene film and graphene powder obtained by same processes}
본 발명은 전도도가 높은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의 빠른 성장에 따라, 식품 포장, 반도체, 가스켓팅(gasketing), 자동차 용품, 휴대용 전자 장비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나노 복합 물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나노 복합 물질은 인장 강도, 내마모성,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등과 더불어, 뛰어난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 등을 필요로 한다.
현재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나노 복합 물질로서 탄소 나노튜브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순수한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스상 공정에서 금속 촉매의 첨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 단가가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는 키랄성 및 직경에 따라 금속, 반도체 특성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어, 단일벽 카본나노튜브의 금속 특성을 적절히 이 용하기 위해서는 단일벽 카본나노튜브를 각각 분리해야 하는데, 이 경우 얻어진 최종 물질에 중금속 오염물이 존재하기 쉽기 때문에 정제/분리가 매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 채용 가능한 우수한 화학적,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새로운 나노 복합 물질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2004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Manchester University)의 안드레 제임(Andre Geim) 연구 그룹이 흑연(graphite)으로부터 그라핀(graphene)을 제조하는 방법을 소개한 이래 그라핀은 나노 복합 물질 분야에서 가장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흑연(graphite)은 6각형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탄소 집합체 시트가 2차원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라핀이란, 상기 흑연을 이루는 적층 시트로부터 분리된 탄소 원자 한층 두께의 시트 또는 수층 두께의 시트 구조를 말하며, 그 시트 두께는 대략 탄소원자 한 개에 불과한 0.3nm 이다.
상기 그라핀 시트는 주어진 두께의 그라핀 시트의 결정 방향성에 따라서 전기적 특성 변화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선택 방향으로의 전기적 특성을 발현시켜 소자를 쉽게 디자인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그라핀 시트 내에서의 전자 이동속도는 약 20,000 내지 50,000 cm2/Vs로서, 구리보다 100배 빠르고, 내열성 및 강도는 탄소 나노 튜브에 비견되는 물리화학적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그라핀 시트의 특성에 따라 향후 탄소계 전기 소자 또는 탄소계 전자기 소자 등에 매우 효 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그라핀 시트는 탄소 나노 튜브와 마찬가지로 제조 방법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 및 고순도 물질을 제조하기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인 그라핀 제조 방법으로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첫째, 결정판(니켈, 구리, 실리콘) 위에 인공적으로 카본을 화학기상증착(CVD)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경우 현재의 기술로는 1개의 층으로만 이루어진 그라핀 시트의 대량 제조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흑연 층으로 이루어진 그라핀 시트가 제조된다. 따라서 위치에 따라 0.135nm 내지 10nm 두께의 불균일한 그라핀 시트가 만들어진다. 이 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특성 결정판 위에서만 그라핀 시트가 자라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에 제한을 받고, 큰 면적 제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천연흑연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박막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예컨대, 황산 및 질산 또는 과산화수소수 용액과 같은 강산화제의 혼합 용액에 천연흑연을 넣어주면 흑연 막 사이로 산화제 및 황산이 침투하면서 흑연막을 산화시킴과 동시에 분리하여 그라핀 옥사이드 시트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시트를 환원시켜 그라핀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두 번째 방법은 첫 번째 증착 방법에 비하여 대량생산은 가능하지만 순수한 그라핀 필름을 제조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질산 및 과산화수소수 등의 강산화제를 이용하여 흑연으로부터 그라핀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흑연을 10nm 이하의 크기의 필름으로 만들면 그라핀 필름과 함께 부가 반응 산물과 산화제 등이 수용액에 공존한다. 이에 따라, 그라핀 필름을 분리할 때,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그라핀 필름과 함께 부산물들이 필터의 구멍을 막아서 분리가 매우 어렵다.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라핀 필름의 높은 부유성으로 인하여 침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라핀 필름을 고순도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을 얻기 위한 새로운 분리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순도의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그라핀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그라핀 파우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 화학적 처리 방법을 보다 개선하여 그라핀 시트를 용이하게 박리함과 동시에 그라핀 필름 제조 시에 생성되는 부산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방법들에 의해 얻어진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우선, 본 발명은 천연흑연을 산화시켜 산화흑연을 제조하는 단계;
진한 황산에 상기 산화흑연, 제1 산화제 및 제2 산화제를 첨가하여 박리된 그라핀 시트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그라핀 시트 함유 용액을 홀을 구비한 멤브레인 컬럼에 투입하고, 밀봉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컬럼을 염화수소 수용액에 침지하여 1차 음파 처리(sonification)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멤브레인 컬럼을 초순수에 침지하여 2차 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서 천연흑연을 산화시키는 방법은
천연흑연, 제3 산화제 및 황산을 고온에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증류수로 희석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로부터 반응 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 산화제로는 오산화인(P2O5), 과망간산칼륨(KMnO4) 및 과산화수소수(H2O2)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산화인(P2O5)을 사용한다. 상기 제3 산화제는 상기 천연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0∼150 중량부의 비율, 바람직하게 10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산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천연흑연의 산화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며, 산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 대비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황산은 천연흑연에 대한 산화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용매로서, 상기 천연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400∼600 중량부의 비율, 바람직하게 약 50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흑연에 대한 산화 공정은 약 80∼100℃, 바람직하게 약 90℃ 온도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서 그라핀 시트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산화흑연을 진한 황산에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저온에서 교반하면서 제1 산화제를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고온에서 교반하면서 제2 산화제를 첨가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산화제는 산화흑연 막 사이에 침투하여 그라핀 시트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산화제는 오산화인, 과망간산칼륨 및 과산화수소수 용액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예로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산화제는 과망간산칼륨이고, 제2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수 용액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제1 산화제는 산화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400 중량부의 비율, 바람직하게 약 33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산화제는 산화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0∼3500 중량부의 비율, 바람직하게 약 330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제1 및 제2 산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산화흑연으로부터 그라핀 시 트 분리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며, 제1 및 제2 산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 대비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2 혼합물 형성 공정은 저온에서, 바람직하게 0℃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3 혼합물 형성 공정은 고온에서, 바람직하게 50℃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멤브레인 컬럼은 그라핀 제조 공정 시 생성되는 여러 가지 부산물들을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친수성 컬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멤브레인에 구비된 홀의 크기는 10∼10,000 나노미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00 나노미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나노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멤브레인 홀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부산물들이 홀을 막아 분리가 어려우며, 홀 크기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부산물들과 함께 그라핀 시트 용액이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컬럼은 후속 공정에서 HCl, 초순수에 침지되었을 때 그라핀 함유 용액이 멤브레인 컬럼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멤브레인 양쪽을 밀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멤브레인 컬럼을 염화수소 수용액에 침지하고 음파 처리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산화흑연으로부터 그라핀 시트 박리 시 발생한 메탈 이온 등과 같은 부산물들의 결합을 약화시킨다. 상기 음파 처리 공정은 이온 부산물의 제거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는 공정으로, 상온에서 수차례, 바람직하게 1∼5회 반복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멤브레인 컬럼을 초순수에 침지하고 음파 처리 공 정을 실시함으로써, 그라핀 시트 함유 용액에 함유된 부산물 등이 멤브레인 컬럼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초순수로 확산되므로 멤브레인 내부의 불순물 농도가 낮아진다. 상기 음파 처리 공정은 상온에서 수차례, 바람직하게는 4∼5회 반복 실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천연흑연으로부터 그라핀 시트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라핀 시트 제조 시에 생성된 부산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고순도의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그라핀 필름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직접 코팅제로 사용하여 그라핀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코팅제로 이용한 그라핀 필름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을 초순수로 희석하는 단계; 및 상기 희석된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을 기재 위에 스핀-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라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라핀 용액을 초순수로 희석함으로써, 금속 잔여 염산 등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방법은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 코팅 후, 환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라핀 옥사이드는 전기적 특성이 그라핀 보다 열등하다. 따라서, 그라핀 옥사이드를 그라핀으로 변형하기 위한 환원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기재는 실리콘 웨이퍼 또는 니켈 및 구리 등의 금속판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그라핀 필름은 소정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4∼10nm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핀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라핀 필름을 제공한다.
그라핀 파우더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얻어진 상기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파우더로 형성하여 고분자 수지 또는 나노 복합물 등 제조 시에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그라핀 파우더를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을 급속 냉동하는 단계; 및 상기 냉동된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초진공 분위기 하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라핀 파우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냉동 공정은 -30℃∼-10℃, 바람직하게는 -20℃ 분위기 하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진공 조건은 상기 냉동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10-3 ∼10-2 torr, 바람직하게 약 10-4 torr 의 초진공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핀 파우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라핀 파우더를 제공한다.
통상 그라핀 용액 건조 공정은 대부분 고온에서 수행되면서 고체 그라핀 시트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었다. 그 결과, 고분자 수지 제조 시에 첨가제로 사용될 경우, 유기 용매 및 반응물 내에 고르게 분산되기 매우 어려웠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그라핀 용액을 저온 건조하여 그라핀 시트를 파우더를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반응 용매 내에 첨가제를 고르게 분포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는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전도성이 우수하고, 그라핀 시트의 균일도가 높아 반도체 장치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라핀 시트를 튜브 형상으로 제조할 경우 광섬유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연흑연으로부터 그라핀 시트를 고순도로 용이하게 박리해 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는 투명 전극, 수소 소장체, 광섬유, 전기 소자 등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조예.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1 단계) 산화흑연 제조
800 매쉬의 99% 천연흑연(40g)을 오산화인(P2O5)(40g)이 함유된 진한 황산(SO3 함유)(200g)에 첨가한 후, 약 95℃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에 반응물을 냉각시킨 다음,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희석시켰다. 반응물을 여과하여 산화흑연(30g)을 얻었다.
2 단계)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 제조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산화흑연(30g)을 진한 황산(500g)에 첨가한 후, 온도를 0℃로 낮추었다. 반응 용액을 교반하면서 과망간칼륨(100g)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반응 용액을 50℃에서 5시간 추가 반응시킨 후, 반응 용액을 교반하면서 20% 과산화수소수 용액(1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 용액(200g)을 200nm 크기의 구멍이 구비된 멤브레인 안에 넣고 멤브레인의 양 끝을 밀봉하였다. 밀봉된 멤브레인을 5% HCl 수용액(10L)이 담긴 수조에 침지한 후, 교반하면서 음파 처리하였다. 상기 수조 속의 HCl 수용액을 3차례 갈아주면서 음파 처리를 반복하였다. 이어서, 수조에 초순수(10L)를 넣고 멤브레인을 재침지한 다음 교반하면서 음파 처리를 실시하였다. 수조 속의 초순수를 약 2차례 갈아주면서 음파 처리를 반복한 다음, 멤브레인을 수조로부터 분리하여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그라핀 필름 제조 방법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10g)을 초순수(1L)로 희석한 후, 8인치 실리콘 웨이퍼 위에 1500rpm 속도로 스핀 코팅하여 1nm 두께의 그라핀 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웨이퍼를 건조하여 고순도의 그라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그라핀 필름을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도 2 참조).
실시예 2. 그라핀 파우더 제조방법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200g)을 -2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온도를 -20℃로 유지하면서 초진공 (10-4 torr) 분위기 하에서 완전히 건조시켜 고순도의 그라핀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파우더를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도 3 참조).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필름 표면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파우더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

Claims (17)

  1. 천연흑연을 산화시켜 산화흑연을 제조하는 단계;
    진한 황산에 상기 산화흑연, 제1 산화제 및 제2 산화제를 첨가하여 박리된 그라핀 시트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그라핀 시트 함유 용액을 홀을 구비한 멤브레인 컬럼에 투입하고, 밀봉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컬럼을 염화수소 수용액에 침지하여 1차 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멤브레인 컬럼을 초순수에 침지하여 2차 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흑연을 산화시키는 공정은
    천연흑연, 제3 산화제 및 황산을 고온에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증류수로 희석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로부터 반응 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산화제는 오산화인(P2O5), 과망간산칼륨(KMnO4) 및 과산화수소수(H2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산화제는 천연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황산은 천연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6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연흑연에 대한 산화 공정은 80∼1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핀 시트 함유 용액 제조 공정은
    상기 산화흑연을 진한 황산에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저온에서 교반하면서 제1 산화제를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고온에서 교반하면서 제2 산화제를 첨가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산화제는 각각 오산화인, 과망간산칼륨 및 과산화수소수 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산화제는 산화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40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제2 산화제는 산화흑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0∼3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 형성 공정은 0℃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3 혼합물 형성 공정은 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컬럼은 친수성 컬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에 구비된 홀의 크기는 10∼10,000 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 제조 방법.
  12. 청구항 1 기재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을 초순수로 희석하는 단계; 및 상기 희석된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을 기재 위에 스핀-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필름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 코팅 후, 기재를 환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필름 제조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 기재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핀 옥사이드 용액을 급속 냉동하는 단계; 및 상기 냉동된 그라핀 옥사이드 수용액을 초진공 분위기 하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파우더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냉동 공정은 -30℃∼-10℃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며,
    상기 진공 조건은 상기 냉동 온도를 유지하면서 10-3 ∼10-2 torr의 초진공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핀 파우더 제조 방법.
  17. 삭제
KR1020090121009A 2009-12-08 2009-12-08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 KR10158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009A KR101583045B1 (ko) 2009-12-08 2009-12-08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009A KR101583045B1 (ko) 2009-12-08 2009-12-08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08A KR20110064408A (ko) 2011-06-15
KR101583045B1 true KR101583045B1 (ko) 2016-01-07

Family

ID=4439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009A KR101583045B1 (ko) 2009-12-08 2009-12-08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478B1 (ko) * 2020-07-27 2022-02-07 주식회사 덕양에코 포장재 및 비닐하우스 필름용 필러의 제조방법, 그 필러 및 그 필러를 사용한 필름
KR102483223B1 (ko) * 2021-12-23 2023-01-02 주식회사 랩엠제로 화학적 박리법에 기반한 산화 그래핀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116A (ja) * 2001-12-07 2003-06-24 Mitsubishi Gas Chem Co Inc 炭素からなる骨格を持つ大型の薄膜状粒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999B1 (ko) * 2007-12-07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펀트로 도핑된 산화그라펜의 환원물, 이를 포함하는 박막및 투명전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116A (ja) * 2001-12-07 2003-06-24 Mitsubishi Gas Chem Co Inc 炭素からなる骨格を持つ大型の薄膜状粒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08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da et al. MXene based emerging materials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s: Recent advances, challenges, and future perspectives
Kim et al. Synthesis of hexagonal boron nitride heterostructures for 2D van der Waals electronics
Bhimanapati et al. 2D boron nitride: synthesis and applications
Shi et al. Recent advances in inorganic 2D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 lithium and sodium batteries
Feng et al. Doping two-dimensional materials: ultra-sensitive sensors, band gap tuning and ferromagnetic monolayers
Bao et al.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two-dimensional hexagonal boron nitride in electronics manufacturing
Bharech et al. A review on th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graphene
US9452934B2 (en) Synthesis of ultra-large graphene oxide sheets
WO2014021257A1 (ja) グラフェンと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からなる複合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316547B1 (ko) 저 에폭시 그룹을 가지는 산화 그래핀의 제조 방법
JP2011032156A (ja) グラフェンまたは薄膜グラファイトの製造方法
KR101294223B1 (ko) 대면적 그래핀 필름의 제조방법
KR101701369B1 (ko) 탄소가 포함된 액체상의 전구체를 이용한 연속 롤투롤 방식의 고품질 그래핀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US20150118491A1 (en) Hollow graphene nanop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71224B1 (ko) 그라핀 박막의 형성 방법
Das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Peng et al. Recent Advances for the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2-Dimensional Ternary Layered Materials
KR101583045B1 (ko) 그라핀 필름 및 그라핀 파우더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그라핀 필름 및 파우더
KR101108578B1 (ko) 전자빔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 제조방법
KR101179711B1 (ko) 그라핀 코팅층 형성방법 및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60104430A (ko) 그래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그래핀
KR101270441B1 (ko) 그라핀 분산액 및 그 제조 방법
Zhao et al. Electrochemical exfoliation of 2D materials beyond graphene
CN110010460B (zh) 一种低维材料形成方法
KR101687619B1 (ko) 산화 그래핀을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