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222B1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222B1
KR101581222B1 KR1020090026949A KR20090026949A KR101581222B1 KR 101581222 B1 KR101581222 B1 KR 101581222B1 KR 1020090026949 A KR1020090026949 A KR 1020090026949A KR 20090026949 A KR20090026949 A KR 20090026949A KR 101581222 B1 KR101581222 B1 KR 10158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mage
motion range
target motion
image
differe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758A (ko
Inventor
장순근
안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22B1/ko
Priority to US12/720,904 priority patent/US8643728B2/en
Publication of KR2010010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차영상의 결과값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 결과값이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A digital picturing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picturing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 설정값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촬영 설정값을 지정하지 않더라도 좋은 품질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촬영 기능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촬영 설정값을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고 있다.
자동 촬영을 위해 촬영 설정값을 설정 시,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가 고려될 수 있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가 흔들려서 촬영될 수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의 노출 시간이 짧게 설정 된다. 그런데 노출 시간이 짧아지면 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촬상 소자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고려하여 셔터스피드 및/또는 촬상 소자 감도를 결정할 수 있다.
셔터스피드는 촬상 소자의 노출 시간을 결정하는 값으로서,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셔터스피드가 짧아질수록 촬상 소자가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지고, 촬상 소자로 입사되는 광량이 적어진다.
촬상 소자 감도는 촬상 소자에서 입사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촬상 소자 감도는 예를 들면 ISO 값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ISO 값이 커질수록 촬상 소자 감도가 높아지므로 적은 광량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필요 이상으로 고감도 촬영을 하면, 입사광에 의한 신호뿐만 아니라 노이즈도 함께 증폭되기 때문에, 화질 열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고려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모션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모션 벡터는 시간에 따른 피사체의 움직임을 블록 단위로 벡터 형태로 나타낸 정보이다.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각각의 블록의 모션 벡터가 모두 0이면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만약 모든 블록의 모션 벡터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블록에 대해서만 모션 벡터의 크기가 크게 나온다면, 촬영된 영상 내의 일부분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모션 벡터를 이용한 움직임 정도 추정은 기본적으로 블록 단위의 연산을 이용하기 때문에 세밀한 촬영 설정값 조절이 불가능하다. 또한 모션 벡터는 기본적으로 에지(edge) 부분에 대해서 신뢰도가 높으며, 에지가 없는 부분(예를 들면, 책상 위, 바닥, 땅, 건물 벽 등)에 대해서는 모션 벡터가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그 결과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실제보다 높게 산출하여 필요 이상의 고감도 촬영을 하게 되거나, 움직임 정도를 낮게 산출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피사체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소 단위의 연산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영상을 분석할 때,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가 흔들림으로 의해 발생하는 움직임은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움직임 정도를 고려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차영상의 결과값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 결과값이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촬영 설 정값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입력 영상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영상이고, 라이브뷰 입력 영상의 프레임들 중 캡쳐 영상 직전의 2개의 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의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해서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빈도수의 합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는,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상기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의 합이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상응하는 차영상 결과값이 가장 큰 목표 움직임 범위를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설정값은, 셔터 스피드 및 촬상 소자 감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고주파 성분 제거부; 상기 고주파 성분 제거부로부 터 출력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는 차영상 산출부; 각각의 상기 차영상의 결과값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는 차영상 분석부; 상기 차영상 결과값이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는 촬영 설정값 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해상도 감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성분 제거부로 입력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상기 해상도 감소부에서 해상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각각의 상기 차영상의 결과값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상기 차영상 결과값이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도록 프로그 램 된 코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휘도 기반의 차영상 분석을 이용하여 화소 단위의 연산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촬영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을 분석할 때 고주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가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움직임은 피사체가 움직임은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필요 이상으로 셔터스피드를 짧게 하고 촬영 감도를 높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산출된 결과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불가능한 경우, 다시 촬영 설정값을 산출함으로써, 산출된 촬영 설정값을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실시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광학부(110), 광학 구동부(111), 촬상소자(115), 촬상소자 제어부(116), 조작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17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0)는 피사체로부터의 입력된 광학 신호를 촬상 소자(115)로 제공한다. 광학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1)가 광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 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1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여, 차영상 결과값에 따라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촬영 설정값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기 전에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킨다(S202). 여기서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상 소자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생성된 영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캡쳐 영상 이전의 2개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은 캡쳐 영상 이전의 2개의 프레임의 휘도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Y, Cb, Cr 좌표계에서 Y성분, 즉 휘도 성분만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감소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S204).
도 3a 내지 도 3c는 저역 통과 필터를 입력 영상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동작은 다양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a은 영상에 적용 가능한 저역 통과 필터의 일례를 도시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310)의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저역 통과 필터(300)를 적용하여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도 3a의 저역 통과 필터(300)의 각각의 값들은 화소에 적용될 가중치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저역 통과 필터(300)를 각각의 화소에 대해 적용할 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화소(x 22)를 저역 통과 필터(300) 중앙에 배치하고, 저역 통과 필터(300)의 가중치를 해당 화소 및 주변 화소들에 적용하여 선형 결합함으로써,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으로부터 고주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 몸체의 흔들림으로 인한 움직임 성분을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 몸체의 흔들림까지 피사체의 움직임으로 고려하여 촬영 설정값을 결정한다면, 필요 이상으로 고감도 촬영을 수행하여 노이즈를 증폭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함에 의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 몸체의 흔들림으로 인한 움직임 성분은 제거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고감도 촬영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으로부터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전에 해상도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영상에 적용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는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커질수록,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저역 통과 필터의 단위 블록의 크기가 커진다. 예를 들면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널리 이용되는 VGA 해상도인 640x480 해상도에서는 11x11 크기의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면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저역 통과 필터의 크기가 커지면, 연산 수행 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전에 해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최적 성능을 얻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의 단위 블록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연상 수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으로부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 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한다(S20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영상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은 캡쳐 영상 이전의 두 개의 프레임이다.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은 고주파 성분이 제거됨으로써, 도 4의 그래프들(410, 420, 및 4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a)에서 위치에 대한 화소 값 변화의 기울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의 흔들림으로 인한 움직임 성분이 제거된다.
상기 제1 입력과 상기 제2 입력 영상 사이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움직임이 발생한 영역의 화소 값이 변하기 때문에, 차영상은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들은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예시적인 위치에 따른 휘도값을 나타낸다. 왼쪽 그래프(410)는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제1 입력 영상을 나타낸다.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제2 입력 영상의 위치에 따른 휘도값은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 사이에 피사체의 이동량이 적은 경우, 도 4 오른쪽의 첫 번째 그래프(420)와 같이 나타날 수 있고, 피사체의 이동량이 큰 경우, 도 4 오른쪽의 두 번째 그래프(430)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4 왼쪽의 그래프(410)와 도 4의 오른쪽 그래프들(420 및 430)을 비교해보면, 이동량이 작은 경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 결과값이 작게 나오고, 이동량이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 결과값이 크게 나올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차영상 결과값은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 사이의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다.
차영상이 산출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한다(S208).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는 도 5에 도시된 히스토그램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상치 제어 방법은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를 분석하여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한다(S210).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차영상 결과값에 따른 빈도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문턱값 이하의 차영상 결과값들은 목표 움직임 범위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움직임 문턱값 이하의 차영상 결과값은 제외하고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미세한 움직임을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고려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고, 특히,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의 흔들림은 움직임으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의 흔들림과 같은 미세한 움직임에서는 차분값이 작게 나오기 때문에, 흔들림에 의한 차영상 결과값 성분은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할 수 없다. 따라서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만을 고려함으로써,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의 흔들림을 움직임으로 인식하여 노출 시간을 줄이고 촬상 소자의 감도를 증가시켜, 필요 이상으로 고감도 촬영을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들 중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이 두 개 이상인 경우, 빈도수가 가장 높은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 b와 c 중에서, 빈도수가 더 높은 c를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목표 움직임 범위가 결정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촬영 설정값을 결정한다(S212). 예를 들면,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셔터스피드 및/또는 촬상 소자 감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목표 움직임 범위가 결정되면,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원 불가능한 경우,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를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하는 것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의 S602, S604, S606, S608, 및 S610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S202, S204, S206, S208, 및 S210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목표 움직임 범위가 결정되면(S610),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1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저장된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른 셔터스피드 및 지원가능여부에 대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른 셔터스피드 및 지원가능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움직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아니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된 차영상 결과값을 제외하고,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한다(S614). 이를 위해 이전에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된 차영상 결과값들은 따로 저장될 수 있다.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 경우(S6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촬영 설정값을 결정한다(S616).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셔터스피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할 때(S610), 지원 불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에 상응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은, 목표 움직임 범위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실시예도 함께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를 디지털 촬영 장치가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비강체 피사체의 촬영 시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 설정값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8은 비강체 피사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비강체로 동작하는 피사체(800)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의 각 구간의 이동량이 서로 다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800)가 t위치에서 t+1 위치로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 회전 운동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이동량이 적어지고, 회전 운동의 중심에서 멀수록 이동량이 많아질 것이다. 따라서 움직임 정도를 강, 중, 약으로 표현한다면, 제1 구간이 강, 제2 구간이 중, 제3 구간이 약의 움직임 정도를 갖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피사체(800)는 제1 구간의 면적이 가장 넓고, 제3 구간의 면적이 다음으로 넓고, 제2 구간의 면적이 가장 좁다고 가정한다. 도 8의 피사체(800)는 가장 움직임 정도가 많은 제3 구간의 면적이 가장 넓으므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3 구간에 대응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것이다. 그런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상기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와 가장 가까운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제1 구간 다음으로 면적이 넓은 구간은 제3 구간이므로, 제3 구간에 대응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면, 이전에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가장 가까운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정하는 경우보다 캡쳐 영상의 품질이 더 좋아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불가능한 경우,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함으로써,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목표 움직임 범위에 상응하는 촬영 설정값을 지원하는 것을 보장하면서도, 좋은 품질의 캡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를 정의하고, 상기 복수의 범위들에 대한 빈도수를 구하며, 복수의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한다.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들은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의 S902, S904, S906, 및 S908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S202, S204, S206, 및 S208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가 산출되면(S908),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들에 대해,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의 빈도수의 합을 산출한다(S910).
각각의 범위의 빈도수가 산출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범위들 중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한다(S912).
도 10은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들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들은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범위들 중,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범위가 목표 움직임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목표 움직임 범위를 초과하는 범위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빈도수가 더 높은 범위를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범위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빈도수를 가짐으로,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목표 움직임 범위가 결정되면(S912),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14).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한 정보가 복수의 범위들에 대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아니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를 제외한 복수의 범위들 중에서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한다(S916). 이를 위해 이전에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된 범위를 따로 저장할 수 있다.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 경우(S91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 에 따라 촬영 설정값을 결정한다(S918).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셔터스피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a)는 해상도 감소부(1110), 고주파 성분 제거부(1120), 차영상 산출부(1130), 차영상 분석부(1140),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a), 및 촬영 설정값 결정부(1160a)를 포함할 수 있다.
해상도 감소부(1110)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상 소자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생성된 영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캡쳐 영상 이전의 2개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은 캡쳐 영상 이전의 2개의 프레임의 휘도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Y, Cb, Cr 좌표계에서 Y성분, 즉 휘도 성분만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a)의 촬상 소자(115)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미리 결정된 색좌표로 변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촬상 소자(115)는 소정의 단위 픽셀, 예를 들면 R, Gb, Gr, 및 B로 이루어진 단위 픽셀로 이루어진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입사광을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10)는 촬상 소자(115)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촬상 소자에서 생성된 신호는 색좌표 변환부(1220)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색좌표로 변환된다. 예를 들면 촬상 소자(115)에서 생성된 신호는 RGB 신호로 변환되고, Y, Cb, 및 Cr 신호로 변환된 뒤, HSV, HSB 좌표계 등의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고주파 성분 제거부(1120)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고주파 성분 제거부(1120)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ter)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주파 성분 제거부(112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차영상 산출부(1130)는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한다. 차영상 산출부(113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도 4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차영상 분석부(1140)는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한다.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는 도 5에 도시된 히스토그램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a)는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를 분석하여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한다.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a)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도 5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촬영 설정값 결정부(1160a)는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a)에서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촬영 설정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셔터스피드 및/또는 촬상 소자 감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b)는 해상도 감소부(1100), 고주파 성분 제거부(1120), 차영상 산출부(1130), 차영상 분석부(1140),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 장치 지원 가능 여부 판단부(1310), 및 촬영 설정값 결정부(1160b)를 포함할 수 있다.
해상도 감소부(1100), 고주파 성분 제거부(1120), 차영상 산출부(1130), 및 차영상 분석부(1140)에 대한 설명은 도 1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는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를 분석하여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한다.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는 도 5에 도시된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들 중,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는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이 두 개 이상인 경우, 빈도수가 가장 높은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장치 지원 가능 여부 판단부(1310)는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에서 목표 움직임 범위가 결정되면,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장치 지원 가능 여부 판단부(1310)는 도 7과 같이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치 지원 가능 여부 판단부(1310)에서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는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된 차영상 결과값을 제외하고,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한다. 이를 위해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는 이전에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된 차영상 결과값들을 따로 저장할 수 있다.
촬영 설정값 결정부(1160b)는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가 지원 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인 경우,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에서 결정된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촬영 설정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촬영 설정값 결정부(1160b)는 도 7에 도시된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셔터스피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는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할 때, 지원 불가능한 목표 움직임 범위에 상응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은, 목표 움직임 범위의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를 정의하고, 상기 복수의 범위들에 대한 빈도수를 구하며, 복수의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한다.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들은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영상 분석부(1140)는 차영상 산출부(1130)에서 차영상 결과값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가 산출되면,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들에 대해,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의 빈도수의 합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차영상 분석부(1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범위들에 대하여 빈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1150b)는 복수의 범위들 중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범위를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한 정보가 복수의 범위들에 대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은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컴퓨터 코드들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 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실시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저역 통과 필터를 입력 영상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영상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차영상 결과값에 따른 빈도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저장된 목표 움직임 범위에 따른 셔터스피드 및 지원가능여부에 대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비강체 피사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복수의 범위들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낸 히 스토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4)

  1.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해상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해상도가 감소된 상기 제2 입력 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차영상의 결과값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 결과값이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입력 영상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영상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라이브뷰 입력 영상의 프레임들 중 캡쳐 영상 직전의 2개의 프레임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의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해서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빈도수의 합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는,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상기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의 합이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7.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상응하는 차영상 결과값이 가장 큰 목표 움직임 범위를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설정값은, 셔터 스피드 및 촬상 소자 감도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9.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해상도 감소부;
    해상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해상도가 감소된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고주파 성분 제거부;
    상기 고주파 성분 제거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는 차영상 산출부;
    각각의 상기 차영상의 결과값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는 차영상 분석부;
    상기 차영상 결과값이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는 촬영 설정값 결정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지원 가능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는,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입력 영상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영상인,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라이브뷰 입력 영상의 프레임들 중 캡쳐 영상 직전의 2개의 프레임인,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는, 상기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의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해서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빈도수의 합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상기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의 합이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9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 결정부는,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상응하는 차영상 결과값이 가장 큰 목표 움직임 범위를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설정값은, 셔터 스피드 및 촬상 소자 감도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해상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해상도가 감소된 상기 제2 입력 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차영상을 산출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각각의 상기 차영상의 결과값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상기 차영상 결과값이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빈도수가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차영상 결과값을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촬영 설정값을 결정하기 이전에,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 및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원 가능 움직임 범위에 포함되는 차영상 결과값들 중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를 다시 결정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입력 영상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영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라이브뷰 입력 영상의 프레임들 중 캡쳐 영상 직전의 2개의 프레임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움직임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차영상 결과값들의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해서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차영상 결과값들에 대한 빈도수의 합을 산출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는,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상기 복수의 범위들 각각에 대한 빈도수의 합이 빈도수 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복수의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3. 제17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램 된 코드 부분은,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에 상응하는 차영상 결과값이 가장 큰 목표 움직임 범위를 상기 목표 움직임 범위로 결정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설정값은, 셔터 스피드 및 촬상 소자 감도 중 적어도 하나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090026949A 2009-03-30 2009-03-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58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49A KR101581222B1 (ko) 2009-03-30 2009-03-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12/720,904 US8643728B2 (en) 2009-03-30 2010-03-10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photographing settings based on image object mo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49A KR101581222B1 (ko) 2009-03-30 2009-03-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58A KR20100108758A (ko) 2010-10-08
KR101581222B1 true KR101581222B1 (ko) 2015-12-30

Family

ID=4278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949A KR101581222B1 (ko) 2009-03-30 2009-03-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43728B2 (ko)
KR (1) KR101581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4059A1 (en) * 2008-03-26 2009-10-01 Kulkarni Gaurav 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virtual world environments based upon existing physical environments
US8704821B2 (en) * 2008-09-18 2014-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irtual world environments based upon existing physical environments
US20100138755A1 (en) * 2008-12-03 2010-06-03 Kulkarni Gaurav N Use of a virtual world to manage a secured environment
US9383916B2 (en) 2009-09-30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image presentation
JP2011118099A (ja) * 2009-12-02 2011-06-16 Canon Inc 表示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88002B2 (en) * 2018-12-17 2024-01-3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ynamically programmable image sensor
US11962928B2 (en) 2018-12-17 2024-04-1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rogrammable pixel array
US11935291B2 (en) 2019-10-30 2024-03-1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sensor system
US11948089B2 (en) 2019-11-07 2024-04-02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parse image sensing and processing
US11825228B2 (en) 2020-05-20 2023-11-2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rogrammable pixel array having multiple power domai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984A (ja) * 2004-01-06 2005-10-2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8144B1 (en) * 1998-05-20 2001-10-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Device for and method of detecting motion in an image
KR100439676B1 (ko) * 2001-09-10 2004-07-12 이선용 광 영역 차량 추적식 영상 검지 시스템.
US7535515B2 (en) * 2003-12-23 2009-05-19 Ravi Ananthapur Bacche Motion detection in video signals
KR101016451B1 (ko) * 2003-12-24 2011-02-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디더블류티티 시험의 연성 및 취성정량화 방법
US8237803B2 (en) * 2007-07-09 2012-08-07 Panasonic Coporation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including control section that performs camera shake correction and motion detecting section that detects speed of subject
US8063942B2 (en) * 2007-10-19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Motion assisted image sensor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984A (ja) * 2004-01-06 2005-10-2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5600A1 (en) 2010-09-30
KR20100108758A (ko) 2010-10-08
US8643728B2 (en)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22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4582423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US802300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ickup method,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43257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594300B1 (ko) P s f를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608527B1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3021767A1 (ja) 動体検出装置及び方法
US2011022192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6267502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6947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のプログラム
JP622305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39492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信号のノイズ低減方法
US907176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09998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18466B2 (en) Notify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notifying method, image captu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8045102A (ja) 焦点調節装置及び撮像装置
JP6391304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44724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8185823A (ja) 焦点検出装置およびカメラ
JP4310282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KR101605769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US971089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888829B2 (ja) 動画処理装置、動画撮影装置および動画撮影プログラム
JP5322842B2 (ja) 自動合焦装置、自動合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15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