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116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116B1
KR101581116B1 KR1020140040847A KR20140040847A KR101581116B1 KR 101581116 B1 KR101581116 B1 KR 101581116B1 KR 1020140040847 A KR1020140040847 A KR 1020140040847A KR 20140040847 A KR20140040847 A KR 20140040847A KR 101581116 B1 KR101581116 B1 KR 10158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se
dehumidifier
main body
d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570A (ko
Inventor
이종수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116B1/ko
Priority to EP15162358.4A priority patent/EP2927619B1/en
Priority to ES15162358.4T priority patent/ES2622101T3/es
Priority to US14/679,272 priority patent/US9879878B2/en
Priority to CN201510160826.9A priority patent/CN104976694B/zh
Publication of KR2015011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 B65D2525/283Details relating to handles combined with container closing means, e.g. st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는 제습기 본체의 상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좌우 양측면으로 개구되는 형상으로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제습기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상기 제습기의 본체를 이동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제습기의 이동 조작을 보다 원할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기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除濕機)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濕度)를 낮추는 장치이다.
즉, 제습기는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되며, 제습된 상태의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 공간의 습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습기는 근래에 들어 제습 성능의 향상과 사용의 편의를 위해 대용량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제습기의 제습 용량은 물론 그 크기가 큰 제품들이 선호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3417에는 증발기의 하방에 바스켓의 형태로 형성되어 응축된 물을 집수하여 저장하는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습기에서는 상기 바스켓에 설정량 이상의 물이 집수되는 경우 상기 바스켓을 사용자가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바스켓의 내부의 물을 비우고 다시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8478호에는 본체의 함몰된 물통 장착부에 물통이 장착되고, 물통 전면부에 구비된 물통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물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는 제습기의 이동을 위해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 또는 그에 상응하는 구성을 찾아볼 수 없으며, 대형화 된 제습기의 경우 무리한 이동을 위한 조작시 그 높이가 높아 제습기가 넘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화 된 제습기의 경우 그 무게가 무거워 본체 자체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 만으로는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습기 본체의 상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좌우 양측면으로 개구되는 형상으로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제습기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상기 제습기의 본체를 이동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에 개구되는 손잡이 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 홀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며, 상기 손잡이 홀과 연결된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에서 연장되는 프론트 연장부 및 리어 연장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부재와; 상기 데코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핸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 부재는 양단이 상기 데코부재의 양단과 결합되며, 양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데코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 부재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진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 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 부재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돌출되는 핸들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데코부재의 상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흡입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의 배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도록 돌출 형성된 안착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홀의 하단과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단은 서로 형합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하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는, 압축기와 열교환 모듈 및 팬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좌우 양측에 개구되는 손잡이 홀이 형성되는 탑 커버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좌우 양 측면을 형성하되 상부가 상기 손잡이 홀을 항하여 라운드진 사이드 데코; 상기 사이드 데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프론트 연장부와 리어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홀과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단 및 상기 론트 연장부와 리어연장부의 결합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의하면, 제습기 본체의 상면에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제습기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무게가 무겁거나 높이가 높은 제습기의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이동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의 구조는 하면에 제공되는 바퀴와 함께 작용되어 상기 제습기의 이동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상면이 함몰되고, 함몰된 부분이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으로 개구되어 자연스럽게 양측 개구된 부분의 사이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를 구성하는 외장 부품을 이용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의 손잡이를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외관이 보다 고급스럽게 보일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별도의 핸들 부재의 부착이 아닌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손잡이가 형성되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 및 작업 공수의 절감을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제습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베이스 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탑 커버 어셈블리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리어 케이스의 결합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리어 케이스와 커버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리어 케이스와 커버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사이드 데코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사이드 데코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13-13'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피시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탱크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탱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조작 전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워터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배치되며, 냉장실이 한쌍의 도어가 좌우로 배치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냉장고 도어에 디스펜서가 구비된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제습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베이스 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1)를 형성하는 본체가 전체적으로 상방에서 바라볼 때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1)의 외관은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팬 어셈블리(10) 그리고,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 그리고 좌우 양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0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상기 제습기(1)의 상면 형상을 형성하며,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좌우 양측에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상기 제습기(1)의 이동시 파지하는 손잡이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전방에는 루버(130)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30)는 상기 제습기(1)의 내측에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131)가 형성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130)는 상기 제습기(1)의 동작시에는 회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131)가 노출되며, 상기 제습기(1)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13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루버(130)는 모터(132)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1)의 동작시 자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131)를 개방하고 제습된 공기의 토출 방향 또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에는 조작부(151)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51)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기(1)의 조작을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루버(130)의 후방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상면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151)는 정전 방식의 터치 센서, 버튼, 스위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51)와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제습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 어셈블리(10)는 상기 제습기(1)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팬(11)과 상기 베이스 팬(11)에 장착되는 바퀴(1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팬(11)은 상기 제습기(1)의 주요 구성인 압축기(20)를 비롯하여 다수의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팬(11)에는 서로 교차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다수의 구성이 장착되더라도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11)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11)의 상면 전단에는 베이스 롤러(1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롤러(13)는 워터탱크(800)가 수납되는 탱크 드로워(710)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운동 하는 것으로,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롤러(13)보다 전방에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무게 중심이 위치되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틸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11)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20)를 지지하는 완충부재(14)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14)는 상기 압축기(20)가 안착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상기 압축기(2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팬(11)의 하면에는 바퀴(12)가 구비되어 상기 제습기(1)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바퀴(12)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기(1)의 손잡이(40)를 잡고 이동시킬 때 상기 제습기(1)를 밀거나 끌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팬(11)의 하면에 축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11)의 하면 전단에는 지지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5)는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5)의 연장된 단부가 상기 바퀴(12)의 하단보다는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5)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제습기(1)의 이동시 상기 제습기(1)가 기울어지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의 인출방향이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의 인출에 의한 무게 중심의 이동시 지면과 접하게 되어 상기 제습기(1)가 기울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제습기(1)의 전면 외관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소재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상기 베이스 팬(11)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 및 베이스 팬(11)의 둘레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연장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리어 연장부(310)와 접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둘레를 따라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하방에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배치되는 탱크 장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220)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를 구성하는 탱크 드로워(7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220)의 상단은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221)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혔을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배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21)의 중앙에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에서 돌출되는 로커(721)가 출입되는 래치홀(2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상기 제습기(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상부 좌우 양측단에는 리어 연장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상부에는 악세사리 홀(320)이 구비된다. 상기 악세사리 홀(3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악세사리 연결부(570)가 관통되는 구멍으로,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악세사리 홀(320)의 하방에는 흡입 그릴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부(330)는 내측으로 함몰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 모듈(3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구(331)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습기(1)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부(330)의 함몰된 외측에는 그릴 커버(340)가 장착된다. 상기 그릴 커버(340)는 상기 흡입 그릴부(330)의 함몰된 공간을 차폐하며, 아울러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외측면과 동일한 라인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그릴 커버(34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 그릴부(33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그릴 커버(340)는 상기 흡입 그릴부(33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부(330)와 상기 그릴 커버(340)의 사이에는 필터 어셈블리(3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41)는 상기 흡입 그릴부(3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 그릴부(330) 상에 고정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41)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부(330)의 하방에는 코드 고정구(360)와 코드 홀더(3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 홀더(350)는 좌우 양측에 각각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제습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을 상기 한쌍의 코드 홀더(350)에 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코드 고정구(360)는 상기 코드 홀더(350)의 상방에 위치되며, 중앙부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선 단부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콘센트와 같은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선을 상기 코드 홀더(350)에 감은 후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코드 고정구(360)에 삽입하여 상기 전원선을 효과적으로 고정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상하단에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팬(11)이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사이에는 사이드 데코(400)가 장착되어 상기 제습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내부에는 상부에는 송풍팬(540), 모터(530) 등이 구비되는 하우징 어셈블리(500)와 흡입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 모듈(30)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 및 열교환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600)과, 상기 열교환 모듈(3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와 상기 열교환 모듈(30)과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를 포함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 팬(11)의 중앙에는 프레임(600)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10)와 상기 수직부(61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610)는 상기 제습기(1)의 하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여 전반부에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후반부에는 상기 압축기(20)를 비롯한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610)의 좌우 양측에는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가 형성되어 탱크 드로워(710)가 슬라이딩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620)는 상기 제습기(1)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와 열교환 모듈(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열교환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워터탱크(800)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600)의 구체적인 형상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탑 커버 어셈블리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의 7-7'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커버 플레이트(110)와 커버 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습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습기(1)의 상면 전체 형상과 대응하도록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습기(1)의 손잡이(40)를 형성할 수 있는 손잡이 홀(111)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홀(111)은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상기 제습기(1)를 양측에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개구(43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루버(130)가 배치되기 위한 루버 장착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 장착구(112)는 상기 루버(130)가 닫힌 상태애서 상기 루버(130)의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1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루버(130)는 상면이 상기 루버 장착구(112)를 차폐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30)의 개방시 상기 루버 장착구(112) 또한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루버 장착구(112)의 후방에는 상기 표시부 창(113)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 창(113)은 상기 표시부(15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거나 투명한 소재로 개구된 부분이 차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 창(113)과 인접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조작부(151)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인쇄부(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부(114)를 터치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커버 결합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115)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을 관통하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커버 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와 스크류(S)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커버 고정부(116)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커버 고정부(116)는 상기 하우징 커버(520)의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일측과 접하며 스크류(S)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51) 및 표시부(152)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조작유닛(150)이 고정 장착되기 위한 조작유닛 고정부재(117)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유닛 고정부재(117)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유닛(15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유닛 고정부재(117)에 의해 상기 조작유닛(150)의 둘레를 구속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배면에 상기 조작유닛(150)이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유닛(150)은 상기 표시부(152)와 조작부(151)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인쇄회로기판(591)에 디스플레이와 다수의 스위치 또는 센서들이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152)와 조작부(151)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습기(1)의 동작을 조작하거나 동작 상태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조작유닛(150)은 상기 조작부(151)로만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152)는 독립적으로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유닛(15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을 수용하는 기판 케이스(154)가 더 포함되며, 상기 기판 케이스(154)의 둘레에는 상기 조작유닛 고정부재(117)가 삽입되어 관통된 후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걸림부(15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홀(111)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홀 리브(118)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홀 리브(118)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상단과 형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홀 리브(118)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리브 단차부(119)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데코 단차부(431)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4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면 둘레에는 테두리(160)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160)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160)의 안쪽은 라운드지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테두리(160)는 크롬 라인이 인쇄 처리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별도의 크롬 소재의 부재가 결합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아이엠엘(IML:In-mold Labeling)방식의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테두리(160)에 크롬 필름이 인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형된 커버 플레이트(110)는 별도의 크롬소재로 된 부품의 결합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성형시 상기 테두리(160)까지 한꺼번에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이엠엘 사출 방식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구조를 간결하게 구성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120)이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 프레임(12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가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 가능하게 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에 의해 간결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게 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아이엠엘 방식의 사출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배치되며,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프레임 결합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상기 커버 결합부(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결합을 위한 스크류(S)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115)는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연장된 상기 커버 결합부(115)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S)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S)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121)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 결합부(115)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상기 커버 프레임(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에 체결되는 스크류(S)가 관통되는 데코 고정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고정부(1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사이드 데코(400)의 핸들 고정부(426)와 스크류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 및 사이드 데코(40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 고정 후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 후크(123)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상기 탑 커버 결합부(211)와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프레임(120)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므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는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의 결합을 위한 탑 커버 결합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탑 커버 결합부(211)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고정 후크(123)와 걸림 결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도 8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리어 케이스의 결합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리어 케이스와 커버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리어 케이스와 커버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가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 및 베이스 팬 어셈블리(10)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습기(1) 본체의 내부를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600), 하우징 어셈블리(500) 및 열교환기 모듈(30), 압축기(20) 등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고정을 위해서 우선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하단을 상기 베이스 팬(10)에 삽입하여 가 고정시킨 후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상부를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상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접하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에는 다수의 리어 케이스 구속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 구속부(124)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내측 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 형성되는 리어 케이스 결합부(311)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 구속부(124)는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리어 케이스 결합부(3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리어 케이스 결합부(311)는 상기 프레임 고정부(121)에 걸림 구속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리어 케이스 결합부(311)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20)과 대응하는 높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 결합부(311)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리어 케이스 구속부(124)에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케이스 결합부(311)는 도 10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리어 케이스 구속부(124)와 접하는 부분이 절곡 형성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조립시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사이드 데코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사이드 데코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의 13-13'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기 제습기(1)의 측면 형상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팬(1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팬(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단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배면 양측단을 따라서 다수의 데코 결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결합부(312)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측단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데코 결합부(312)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좌우 측단을 구속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상기 사이드 데코(4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코 결합부(312)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형성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모두 상기 사이드 데코(4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하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데코부재(410)와 핸들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410)는 상기 제습기(1)의 측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접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 팬(11)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상단이 결합되되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와 리어 연장부(31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손잡이(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데코부재(41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단은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데코 결합부(312)에 측단이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41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결합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사이에서 양단이 구속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4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팬(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형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부는 상기 내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단에는 상기 핸들부재(420)가 장착된다. 상기 데코부재(410)와 핸들부재(420)는 좌우 양측단이 서로 결합되며, 사이의 공간은 개구(430)를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 홀(111)과 대응하는 크기로 이격되어 상기 손잡이(4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코부재(410)와 상기 핸들부재(42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데코부재(4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방향으로 돌출된 핸들 결합돌기(412)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의 단부는 상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핸들부재(420)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410)의 좌우 양측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데코 고정부(413)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 고정부(413)는 핸들 결합부(424)와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핸들 결합부(424)와 데코 고정부(413)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S)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410)의 배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 리브(도 3에서, 4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안착 리브(440)는 상기 데코부재(410)의 배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410)의 장착시 상기 안착리브(440)는 상기 수평부(6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는 양단이 상기 데코부재(410)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홀(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데코부재(410)와의 결합시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하 방향으로도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부(421)를 형성하며, 상기 라운드부(421)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재(420) 내측면을 손을 넣어서 감싸 쥘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와 리어 연장부(3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4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감싸 쥐게 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가 삽입되는 핸들 결합홀(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결합홀(423)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의 삽입 후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에 의해 상기 핸들부재(420)가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의 좌우 양측단에는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 결합부(424)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결합부(424)는 상기 데코 결합부(4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스크류(S)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하폭이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 및 리어 연장부(310)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하단 또한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 및 리어 연장부(310)의 하단 곡률과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손잡이(40)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와 데코부재(410)의 결합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상단은 개구(430)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430)는 상기 손잡이 홀(1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홀(111)의 개구된 둘레는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그 단부에는 리브 단차부(1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 단차부(119)에 대응하는 상기 데코부재(410) 및 핸들부재(420)의 상단에는 데코 단차부(431)가 형성되어 서로 형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 사이드 데코(400)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결합 구조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고정은 물론 안정적인 손잡이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는 공기의 강제유동을 위한 모터(530)와 송풍팬(540)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는 하우징 케이스(510)와 상기 하우징 커버(520)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520)와 하우징 케이스(51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송풍팬(540)이 수용되는 공간과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는 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송풍팬(54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루버(1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개구된 후면 전체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5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전면에는 모터(530)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511)가 함몰되며, 상기 모터(530)의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를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모터(530)는 상기 송풍팬(540)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수명이 길고 속도제어가 용이한 비엘디시(BLDC)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530)는 상기 모터 브라켓(531)에 의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부 공간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540)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540)은 소음이 적고 송풍능력이 우수한 시로코팬(Sirocco fan)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루버(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면은 공기의 유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도 상기 내부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면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540)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하단에서 상기 루버(130)가 장착되는 루버 장착부(550)까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540)와 루버 장착부(550)의 사이에는 커패시터(595)가 장착되는 커패시터 장착부(560)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곡면부(540)를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면 곡률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520)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521)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20)의 상부 일측에는 악세사리 연결부(570)가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는 상기 루버(130)가 장착되는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과 상기 제습기(1)의 외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는 상기 악세사리 홀(3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의 단부에는 연결부 캡(571)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 캡(571)은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의 개구된 단부를 차폐하여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 캡(571)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의 단부에는 회전 결합부(57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캡(571)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에 탈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 캡(571)을 분리한 후에는 연장 호스 또는 기타 악세사리 들이 상기 회전 결합부(572)에 회전 조작에 의해 간단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521)의 상방에는 컨트롤박스 장착부(580)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는 상기 하우징 커버(52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열교환 모듈(30)이 배치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상방에는 상기 제습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590)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는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595)는 상기 컨트롤박스(590)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박스(590)와 최단거리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하방에는 열교환 모듈(30)이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 모듈(30)은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에 안착되며,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와 상기 수평부(620)의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모듈(30)은 상기 압축기(20)와 연결되고, 상기 제습기(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되는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와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열 교환되는 응축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응축기(32)는 병립하여 설치되면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 교환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32)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한번 더 열 교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20)에서 공급되는 냉매는 팽창수단을 지나 상기 증발기(31)를 거쳐 상기 응축기(32)로 유동되며, 다시 압축기(20)로 유입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기(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31)와 응축기(32)를 차례로 지나면서 상기 오리피스(521)를 지나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31)를 통해 상기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저온으로 열 교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액화되면서 공기와 분리되어 제습 공기가 된다.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습기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32)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건조되고, 건조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31)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제습 공기의 상태로 상기 제습기(1)의 외부 공간으로 토출된다.
이처럼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응축기(32)는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33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제습되고, 상기 응축기(32)를 통과하면서 가열(건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분리되는 습기가 액화되면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환된 응축수는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에 형성되는 드레인 유로(621)를 따라서 유동하여 상기 워터탱크(800)에 집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620)에는 상기 응축기(32)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기가 장착된 영역을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2)의 하단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레인 유로(62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위치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 유로(621)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에 의해 상기 응축기(32)를 냉각시켜 상기 응축기(32)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피시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에는 컨트롤박스 장착부(580)가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에는 컨트롤박스(590)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에 장착되는 루버(130)의 후방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안착면(58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581)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리브(582)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582)는 하방에서 상기 컨트롤박스(59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581)의 일측에는 박스 고정부(58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박스 고정부(583)는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일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박스 결합부(592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스크류(S)가 상기 박스 결합부(592a)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컨트롤박스(59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박스 고정부(583)와 대향되는 일측에는 박스 가이드(584)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 가이드(584)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가이드 편(592b)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장착시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가이드 편(592b)을 상기 박스 가이드(584)에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컨트롤박스(590)가 완전히 이동되면 상기 박스 결합부(592a)는 상기 박스 고정부(583)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S)를 상방에세 체결하여 상기 컨트롤박스(590)가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반대로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상기 스크류(S)를 해제한 후에 상기 컨트롤박스(59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590)는 상기 제습기(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59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이 수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기판 베이스(592)와 상기 기판 베이스(592)를 상방과 하방에서 감싸는 기판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판 베이스(59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단에는 상기 박스 결합부(592a)와 상기 가이드 편(592b)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 케이스(154)는 상부 케이스(593)와 하부 케이스(594)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593)와 하부 케이스(594)의 사이 공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이 수용된 상기 기판 베이스(59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케이스(154)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만약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기판 케이스(154) 내부에서만 연소가 일어나도록 하여 상기 제습기(1)의 다른 구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전방에는 커패시터 장착부(56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는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패시터(595)는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패시터 커버(596)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커패시터 커버(596)는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595)는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된 상기 커패시터 커버(596)는 상기 커패시터(595)를 완전히 감싸서 상기 커패시터(595)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커패시터(595)는 그 높이 비교적 높으며, 용량이 큰 경우 그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595) 및 커패시터 커버(596)를 상기 컨트롤박스와 분리 구성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장착 공간을 보다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탱크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600)의 수직부(610)의 전방에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부(610)의 전방에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를 구성하는 탱크 드로워(7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상기 워터탱크(800)가 완전히 인입되어 었을 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600)의 전면 중앙부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평부(620)의 전단에는 상기 로커(721)가 삽입되며, 상기 로커(721)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650)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650)는 상기 래치홀(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힐 때 상기 로커(721)와 걸림 구속되어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래치(650)는 상기 로커(721)가 한번 삽입되면 걸림 구속되며, 상기 로커(721)가 외력에 의해 다시 한 번 전진하게 되는 경우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속구조는 일반적인 누름 방식의 래치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로 구성되는 록킹 유닛은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조가 아닌 다른 구속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탱크 드로워(710)를 향하는 상기 수직부(610)의 전면에는 만수위 감지부(660)가 형성된다.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에는 한쌍의 센서가 상하 배치되며, 상기 워터탱크(800)의 플로터(830)의 위치를 감지하여 만수위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한쌍의 센서 중 하부의 수위 센서(661)는 상기 워터탱크(800)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로 플로터(830)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152)로 만수위 신호를 전달하여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센서 중 상부의 안전 센서(662)는 상기 플로터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습기(1)의 운전을 중지하여 상기 워터탱크(800)로 더 이상의 응축수가 집수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만수위를 외부로 알려 사용자가 상기 워터탱크(800)를 비울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측방에 대응하는 상기 수직부(610)의 일측에는 라이팅 모듈(670)이 장착된다.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상기 워터탱크(800)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워터탱크(800)의 수위를 가시화하는 한편 간접 조명과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를 향하여 측방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671)와 상기 발광부재(671)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는 분산부재(6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재(671)는 엘이디와 같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발광 가능한 다른 소재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발광부재(671)는 다수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1)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에서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671)의 색상을 달리하여, 정상 수위에서는 청색, 만수위에서는 황색 위험수위에서는 적색을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투과창(722)을 통해 보여지는 색상만으로 수위 상태를 인지하여 물통을 비울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습기(1)로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습도에 따라서 적정 습도일때는 청색, 정상 이상의 습도일 때는 황색, 제습이 꼭 필요한 고습 상황일 때는 적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습기(1)의 일측에는 외부 습도를 확인하는 습도센서(3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습도센서(370)와 라이팅 모듈 및 만수위 감지부(660)는 모두 컨트롤박스(590)와 연결되어 상기 제습기(1)의 상태에 따른 상기 워터탱크(800)를 이용한 가시화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산부재(67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광부재(671)를 차폐하여 상기 발광부재(671)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워터탱크(800) 내에 균일하고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산부재(672)에서 반사 및 굴절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탱크(800) 전체를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 전체가 밝혀 질 수 있으며,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외부로 조사되어 간접 조명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 확인되는 색상을 통해 제습기(1)의 동작 상황을 원거리에서도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측면 또는 상기 라이팅 모듈(670)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라이팅 홀이 형성되어 상기 워터탱크(800)가 상기 탱크 드로워(7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610)의 좌우 양측면에는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가이드(630) 및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슬라이딩 인출입 및 틸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보다 더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메인 가이드(630)는 상기 수직부(6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롤링 유닛(680)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메인 가이드(630)는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파트(632)와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파트(63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631)와 로어 파트(632)는 대응하는 경사 또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퍼 파트(631)와 로어 파트(632)의 양단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632)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는 하향 경사부(633)와, 상기 하향 경사부(633)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는 상향 경사부(6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향 경사부(633)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개방되고 틸팅됨에 따라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완전히 인출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향 경사부(633)와 상향 경사부(634)에는 모두 내측 방향으로 기어부(635)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635)는 랙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롤링 유닛(680)에 구비되는 롤링 기어(681)가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치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631)는 상기 롤링 유닛(680)의 메인 롤러(682)와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이동시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어퍼 파트(631)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631)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와 상기 수직부(610)의 모서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리브(636)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636)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63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하방에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서브 롤러(69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서브 롤러(690)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이 인출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인출부(641)와 상기 인출부(641)의 단부에서 상기 탱크 드로워(710)이 틸팅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틸팅부(642)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부(641)는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틸팅부(642)는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상기 열교환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상기 프레임(60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600)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고,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하부를 축으로 회동되어 상면이 더 열리도록 틸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워터탱크(800)와 상기 워터탱크(800)와, 상기 워터탱크(800)가 수용되며 인출입 및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워터탱크(800)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탱크 드로워(7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습기(1)의 전면 일부 즉,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부(720)와, 상기 전면부(720)의 후방에서 상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워터탱크(8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수납되는 수납부(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730)는 상기 워터탱크(8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워터탱크(800)의 장착 상태에서 물공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800)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전면부(720)의 상단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커(721)가 구비되며, 상기 로커(721)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65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720)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부(730)에 장착된 워터탱크(800)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7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확인창(72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워터탱크(8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수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인창(722)은 상기 전면부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모듈(670)과 먼 쪽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발광시 국부적으로 강한 빛이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물에 의해 분산된 상태로 부드럽고 고른 상태의 빛이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상기 확인창(722)은 상기 전면부(720)가 단순히 개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투명한 소재에 의해서 개구된 부분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빛을 간접조명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확인창(722)을 구성하는 투명소재에 특정 색상이나 패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800)에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외부로 새어나와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상태 식별은 물론 무드램프와 같은 간접조명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730)의 측면에는 투과부가 형성된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라이팅 홀과 상기 라이팅 모듈(67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이 동작되면, 상기 라이팅 모듈(67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팅 홀과 상기 투과부를 거쳐 상기 워터탱크(800)의 측방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로 조사되어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를 밝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부(730)의 후면에는 수위의 감지를 위한 감지구(731)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감지구(731)는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여 만수위 또는 위험수위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730)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732)와 하부 연장부(733)가 각각 한쌍식 구비된다. 상기 상부 연장부(732)는 상기 수납부(730)의 상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연장부(733)는 상기 수납부(730)의 가장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장부(732)는 상기 하부 연장부(733)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732)의 단부에는 롤링 유닛(680)이 장착되고,상기 하부 연장부(733)의 후단에는 서브 롤러(690)가 장착되어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인출입 및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상부 연장부(732)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기어부(635)와 치형결합되며,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 이동되는 롤링 기어(681)와 상기 롤링 기어(681)의 회전속도 및 충격을 완화하시키기 위한 댐퍼(683) 그리고,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어퍼 파트(631)와 접하는 메인 롤러(68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링 기어(681)와 상기 메인 롤러(682)는 각각 상기 로어 파트(632)와 어퍼 파트(631)에 각각 접하여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인출 또는 틸팅을 가능하게 되며, 상기 롤링 기어(681)는 상기 로어 파트(632)의 기어부(635)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어퍼 파트(631)의 내주면과 접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인출 및 틸팅되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어부(635)와 롤링 기어(68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댐퍼(683)는 상기 롤링 기어(68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롤링 기어의 회전시 상기 롤링 기어(681)의 회전 속도를 줄이도록 하여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구체적인 동작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탱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워터탱크(800)는 상기 수납부(730)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투명 집수부(810)와 상부의 집수부 커버(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집수부(810)는 투명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성형 작업 또한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부(810)의 내측에는 상기 플로터(830)가 수용되는 플로터 수용부(811)가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플로터(830)의 이동경로를 확보하며,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와 동일한 수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의 내측에는 상기 플로터(830)가 수용되며, 수위에 따라서 상기 플로터(8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는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를 따라서 이동하는 자석이 내장된 플로터(830)의 위치를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에서 센서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의 개구된 상면은 플로터 커버(831)로 차폐되어 상기 플로터(830)가 분실되지않고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에는 한쌍의 핸들 장착부(812)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장착부(812)에는 상기 워터탱크(800)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탱크 핸들(840)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 장착부(812)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착구(813)가 형성된다.
상기 탱크 핸들(840)의 장착돌기(841)는 상기 장착구(813)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탱크 핸들(840)은 상기 장착구(813)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워터탱크(800)를 들어내거나 운반할 때에는 상기 탱크 핸들(840)을 상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고, 상기 워터탱크(800)를 상기 탱크 드로워(71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탱크 핸들(84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집수부 커버(82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집수부 커버(820)는 상기 집수부(8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8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차폐부(821)와 상기 차폐부(821)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810)의 상면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82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810)에 채워진 물을 비우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822)를 회동시켜 상기 집수부(810) 내부의 물을 비우거나 상기 집수부 커버(820) 전체를 분리한 후 물을 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부 커버(820)에는 핸들 홀(823)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 홀(823)은 상기 탱크 핸들(840)의 가로방향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탱크 핸들(840)이 인출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탱크 핸들(84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842)와 상기 파지부(842)의 양단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843)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843)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장착돌기(841)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돌기(841)는 상기 집수부(810)에 형성된 상기 장착구(813)를 따라서 상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탱크 핸들(840)은 미사용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핸들(840)을 완전히 인입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탱크 핸들(840)은 상기 집수부 커버(8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상기 탱크 핸들(840)의 상면이 위치되도록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집수부(810)의 중앙과 상기 집수부 커버(82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방으로 향하여 함몰되는 로커홈(850)이 형성된다. 상기 로커홈(850)은 상기 워터탱크(800)의 장착시 상기 로커(721)가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수납부(73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홈(850)에 삽입되어 상기 워터탱크(800)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800)의 삽입 또는 인출시에 상기 로커(721)는 상기 로커홈(8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습기의 동작을 위해서 우선, 사용자는 제습을 위한 공간에 상기 제습기(1)를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제습기(1)는 하면에 바퀴(12)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면의 양측에 손잡이(40)가 형성되어 대용량의 경우 매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 상면의 손잡이 홀(111)로 손을 집어넣어 상기 사이드 데코(400)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40)를 감싸 쥘 수 있으며, 양측을 잡고 상기 제습기(1)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습기(1)가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습기(1)를 조작하여 상기 제습기(1)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습기(1)의 구동 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기(20)와 모터(530)가 구동되며, 상기 루버(130)는 회전하여 토출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20)의 구동에 의해 냉동사이클에서의 냉매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압축기는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토출하게 되며, 팽창수단을 거쳐 상기 증발기(31)로 유입된 저온의 냉기에 의해 상기 증발기(31)는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1)에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상변화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32)로 향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32)에서 재차 열교환된 후 상기 압축기(20)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사이클의 순환에 의해 상기 증발기(31)는 지속적으로 냉각되고 상기 응축기(32)는 발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530)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54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540)의 회전으로 상기 제습기(1)가 위치된 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331)를 통해서 상기 제습기(1)의 내측으로 강제 흡입된다.
흡입되는 냉기는 우선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있던 수분은 상기 증발기(31)와의 열교환 과정 중에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31)를 따라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한 공기는 연속하여 응축기(32)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32)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한 상태의 공기가 되어 상기 오리피스(521)로 유입된다.
상기 오리피스(5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540)에 의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 벽면을 따라서 유동하게 되고, 상방의 루버(130)를 통해서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과정은 실내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이때에 발생되는 상기 증발기(31)의 응축수들은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에 형성된 드레인 유로(621)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워터탱크(800)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부(810)의 내측에 집수되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집수된다.
상기 워터탱크(800)에 집수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플로터(830)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위 센서(661)에 의해 상기 플로터(830)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152)를 통해 만수위를 알려 사용자에게 상기 워터탱크(800)의 물을 비울 것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830)의 위치가 상기 안전 센서(662)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습기(1)는 동작을 강제 종료하여 상기 워터탱크(800)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습기(1)의 동작 중 사용자의 조작이나 설정에 의해 상기 라이팅 모듈(670)이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시 상기 워터탱크(800)는 간접조명과 같이 빛을 발산하게 되며 외부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에 집수된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9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조작 전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습기(1)가 정상 구동되고 상기 워터탱크(800)가 만수위가 되기 전에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전면부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어 일체감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가장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서브 롤러(690) 또한 상기 서브 가이드(640)의 가장 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로커(721)는 상기 래치(65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커(721)와 래치(650)의 구속에 의해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0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워터탱크(800)의 물을 비우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상기 로커(721)가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상부를 후방으로 한번 누른 후 떼게 되면,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롤링 유닛(680)의 롤링 기어(681)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링 기어(681)는 하방으로 향하는 하향 경사부(6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워터탱크(800)가 수용된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자중에 의해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롤링 기어(681)와 연동하는 댐퍼(683)에 의해 상기 롤링 기어(681)의 회전 속도는 급격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일정한 속도 범위 내에서 전방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어퍼 파트(631)와 접하는 상태로 상기 어퍼 파트(631)를 따라 구름 운동하여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인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상기 롤링 기어(681)가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브 롤러(690)는 상기 서브 가이드(640)를 따라서 구름 운동하며, 상기 서브 가이드(640)의 인출부(641)의 하향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탱크 드로워는 도 20 및 도 21의 상태가 될 때가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된다.
도 22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롤링 기어(681)가 상기 하향 경사부를 벗어나는 시점에서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최대 속도로 전방 이동하게 되며, 전방 이동되는 관성에 의해 상기 롤링 기어(681)는 상기 상향 경사부(63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롤링 기어(681)는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기어부(635)에 지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상향 경사로 인해 상기 롤링 기어(681)의 이동 속도는 점차 느려지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어퍼 파트(631)를 따라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롤링 기어(681)가 상기 기어부(635)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롤링 기어(681)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서브 롤러(690)는 상기 틸팅부(642)로 진입하여 구름 운동하게 되며, 상기 틸팅부(642)의 이동거리는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이동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된다.
이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상기 베이스 팬(11)에 구비되는 베이스 롤러(1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최대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워터 탱크(710)의 위치를 고려할 때 상기 베이스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점보다 전방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게 되어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틸팅된다.
이때, 상기 롤링 유닛(680)과 보조 롤러(690)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틸팅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틸딩되어 상기 수납부(730)의 개구된 상면이 상방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완전히 틸팅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 17 및 도 18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롤링 유닛(680)과 상기 서브 롤러(690)는 각각 상기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24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워터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틸팅까지 완료되면, 상기 워터탱크(800)는 상기 수납부(730)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탱크(800)를 상기 수납부(73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워터탱크(800)의 개폐부(822)를 회동하여 상기 워터탱크(800) 내의 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워터탱크(800)의 분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탱크 핸들(840)을 상방으로 인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탱크 핸들(840)을 잡고 상기 워터탱크(800)를 분리 또는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에 개구되는 손잡이 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 홀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며,
    상기 손잡이 홀과 연결된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에서 연장되는 프론트 연장부 및 리어 연장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부재와;
    상기 데코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핸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양단이 상기 데코부재의 양단과 결합되며, 양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데코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진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돌출되는 핸들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데코부재의 상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흡입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의 배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도록 돌출 형성된 안착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홀의 하단과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단은 서로 형합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하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3. 삭제
  14. 압축기와 열교환 모듈 및 팬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좌우 양측에 개구되는 손잡이 홀이 형성되는 탑 커버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좌우 양 측면을 형성하되 상부가 상기 손잡이 홀을 항하여 라운드진 사이드 데코;
    상기 사이드 데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프론트 연장부와 리어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홀과 상기 사이드 데코의 상단 및 상기 프론트 연장부와 리어연장부의 결합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5. 삭제
KR1020140040847A 2014-04-05 2014-04-05 제습기 KR10158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47A KR101581116B1 (ko) 2014-04-05 2014-04-05 제습기
EP15162358.4A EP2927619B1 (en) 2014-04-05 2015-04-02 Dehumidifier
ES15162358.4T ES2622101T3 (es) 2014-04-05 2015-04-02 Deshumidificador
US14/679,272 US9879878B2 (en) 2014-04-05 2015-04-06 Dehumidifier
CN201510160826.9A CN104976694B (zh) 2014-04-05 2015-04-07 除湿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47A KR101581116B1 (ko) 2014-04-05 2014-04-05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70A KR20150115570A (ko) 2015-10-14
KR101581116B1 true KR101581116B1 (ko) 2015-12-29

Family

ID=5282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847A KR101581116B1 (ko) 2014-04-05 2014-04-05 제습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79878B2 (ko)
EP (1) EP2927619B1 (ko)
KR (1) KR101581116B1 (ko)
CN (1) CN104976694B (ko)
ES (1) ES262210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1683A (zh) * 2013-04-27 2014-10-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面板部件、空调器及空调器的制造方法
KR101588126B1 (ko) * 2014-07-09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USD791925S1 (en) * 2015-07-13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box for dehumidifier
KR102407647B1 (ko) * 2015-08-17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N105605693A (zh) * 2016-02-29 2016-05-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除湿机
CN106482235A (zh) * 2016-11-09 2017-03-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机箱顶盖、机箱及除湿机
USD854134S1 (en) * 2018-01-03 2019-07-16 The Pure Company Global, Llc Air purifier
KR102069074B1 (ko) * 2018-08-2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US11647835B2 (en) 2020-03-30 2023-05-16 Smith System Manufacturing Company Storage assembly
CN114797395B (zh) * 2022-05-17 2023-06-20 河海大学 一种可再生吸附式除湿机
CN116906991A (zh) * 2023-06-28 2023-10-20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稳定型转轮除湿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6275A2 (en) 1994-12-05 1996-06-12 Emerson Electric Co. Humidifier with exposed spaced bottl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3922A (ja) 1987-05-15 1988-11-21 Meiki Co Ltd 射出成形機
US4967569A (en) * 1989-09-29 1990-11-06 Marine Products, Inc. Portable air-conditioning unit for through-hatch marine use
JPH053815U (ja) * 1991-05-21 1993-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1993014353A1 (en) * 1992-01-08 1993-07-22 Ebco Manufacturing Company Portable dehumidifier
US5901565A (en) * 1997-10-23 1999-05-11 Whirlpool Corporation Slanted heat exchanger-encased fan-dehumidifier
JP2000240977A (ja) * 1999-02-19 2000-09-0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US6335517B1 (en) * 1999-05-28 2002-01-01 The Holmes Group, Inc. Humidifier having induction heating system
CN1256542C (zh) 2001-12-25 2006-05-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除湿机
US7260953B2 (en) * 2003-01-27 2007-08-2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20050083417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EP1893920A2 (en) * 2005-06-13 2008-03-0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KR20060129677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CN2903763Y (zh) 2006-02-27 2007-05-23 江苏友奥电器有限公司 带推手式移动空调
US7752863B2 (en) * 2006-07-03 2010-07-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H698538B1 (de) * 2006-08-17 2009-08-31 Lux Internat Ag Gehäuse mit Traggriffen und abnehmbarer Gehäusewand.
CN101178214A (zh) 2006-11-08 2008-05-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
CN202040906U (zh) 2011-04-29 2011-11-16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
KR20130055369A (ko) * 2011-11-18 2013-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의 토출구 구조
KR102013865B1 (ko) * 2012-06-11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6275A2 (en) 1994-12-05 1996-06-12 Emerson Electric Co. Humidifier with exposed spaced bott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76694A (zh) 2015-10-14
US9879878B2 (en) 2018-01-30
US20150285531A1 (en) 2015-10-08
EP2927619A2 (en) 2015-10-07
CN104976694B (zh) 2017-10-27
EP2927619A3 (en) 2015-11-11
KR20150115570A (ko) 2015-10-14
EP2927619B1 (en) 2017-02-08
ES2622101T3 (es)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116B1 (ko) 제습기
KR101588126B1 (ko) 제습기
KR20150124834A (ko) 제습기 및 제습기용 워터탱크
CN110857797B (zh) 除湿机
CN110873499B (zh) 冰箱
CN109668371B (zh) 冰箱
EP2927617B1 (en) Dehumidifier
US11498027B2 (en) Dehumidifier
JP7001473B2 (ja) 衣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50113793A (ko) 제습기
KR101581114B1 (ko) 제습기 및 제습기의 워터탱크 인출 방법
KR101581115B1 (ko) 제습기
KR101532876B1 (ko) 제습기
KR101581549B1 (ko) 제습기
KR101671575B1 (ko) 제습기
JP4097650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4090440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4108046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2005233555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2005233554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2001065919A (ja) 空気調和機
JP2005233584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2002364877A (ja) 除湿機
JP2000234763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