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468B1 -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468B1
KR101578468B1 KR1020140136906A KR20140136906A KR101578468B1 KR 101578468 B1 KR101578468 B1 KR 101578468B1 KR 1020140136906 A KR1020140136906 A KR 1020140136906A KR 20140136906 A KR20140136906 A KR 20140136906A KR 101578468 B1 KR101578468 B1 KR 101578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der
sole
sho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4013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바닥의 영역 가운데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기판부, 기판부에 결합되며 공기주입부를 통해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 공기 블럭과 별도로 이루어져 공기 블럭의 공기주입부에 결합되며 튜브형 본체를 가지는 공기주입구, 공기주입구의 끝단을 노출시키면서 공기주입구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홀이 형성되고 한편으로 기판부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가지는 신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기주입부는 신발창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공기 블럭의 측면에 형성되고 따라서 공기주입구나 홀더의 홀도 신발창의 외부로 드러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신발창에서 공기 주입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데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shoe sole having pressure controlable air block and sho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바닥의 부분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과 그에 사용되는 부품에 관한 것이다.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많은 뼈와 관절, 인대와 수많은 근육과 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의 구성요소들은 직립 상태와 운동 상태에서 발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고정 구조를 이루기도 하고, 각각의 상태에서 달라지는 서로 간의 결합에 의해 몇 가지 정형적인 형태와 구조를 이루고 있다.
부연하면, 발은 직립시에 지면과 접촉하여 전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적절한 운동으로 보행이나 운동 등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고르게 하중을 분산시켜 줄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발의 발바닥은 직립시에 족궁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지면에 맞닿아 안정적인 직립을 가능하게 한다.
보행이나 달리기 등에서는 족궁이 마치 스프링과 같이 신축하면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발가락들을 포함한 발의 전단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완만하고 부드러운 보행 및 달리기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사람의 발바닥이 이루는 곡면은 사람마다 굴곡 형태에 차이가 있고, 기능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신발은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디자인된 바닥창을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의 경우, 이런 발바닥 굴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그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굴곡면을 가지는 신발창을 제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한편,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발바닥 굴곡면이 일반적인 범위에서 벗어나고 그 차이 정도가 심화될 경우, 기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가령, 내회와 외회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인간의 발들 중에는, 외회운동이 4 내지 6˚, 내회운동이 4 내지 6˚, 도합 8 내지 12˚의 움직임을 갖는 정상적인 발들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비정상적인 발들이 존재한다. 이런 비정상적인 발들은 대개 발바닥이 지면과 고르게 맞닿지 못하고, 발바닥의 외측이 들어올려지는 외회(supination), 발바닥의 내측이 들어올려지는 내회(pronation) 및 족궁이 거의 없이 발바닥의 내측이 과도하게 들어올려지는 과내회(hyperpronation)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외회화(supinated), 내회화(pronated) 및 과내회화(hyperpronated) 등의 비정상적인 형태의 발들은 달리기와 같은 격렬한 운동은 물론 기본적인 보행조차 불편하게 한다. 또한, 직립상태를 유지하는 데에도 상당한 곤란을 초래하고,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특별히 발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기구와 발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는 신발들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었다.
가령, 발의 교정을 위한 교정지구나 발에 잘 맞는 신발을 제작하기 위하여 적용대상이 되는 인간의 발을 석고붕대를 사용하여 주형을 만들고, 이 주형을 바탕으로 하여 적절한 물성의 합성수지로 교정기구를 만들거나, 신발 속에 투입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insole)을 만들었다.
그러나, 석고붕대에 의한 주형의 제작 및 그 주형을 바탕으로 하는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의 제작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특정인을 대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개별적인 제작만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함은 물론 특정인 이외의 자들에 대하여는 기 제작된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4-97701호에는 스키부츠용 인솔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 스키부츠용 인솔은 발의 압력분포에 따라 전족부와 후족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된 인솔을 기술하고 있으나, 역시 특정인의 발의 압력 분포를 개별적으로 측정한 후, 그에 적절한 두께를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인솔의 두께에 따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기 제작된 인솔을 다른 사람의 발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합중국 소재 채타누가 코포레이션(Chattanooga corporation)에서는 비스콜라스(Viscolas)라는 등록상표명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 교정용 안창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이 발 교정용 안창은 족형으로 형성된 좌, 우 한 쌍의 편평한 안창판(1)들과 그에 부속될 수 있는 한 쌍의 길이방향 장심패드(2)(Longitudinal Arch Pad)와, 한 쌍의 교정뒤꿈치웨지(3)(Corrective Heel Wedge)와, 대형 및 소형의 척골패드(4)(Metatarsal Pad)와, 하나의 뉴로마패드(5)(Neuroma Pad) 및 하나의 토크레스트패드(6)(ToeCrest Pad)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웨지라는 명칭을 갖는 부품들은 모두 양측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하여 경사진 상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웨지의 적용으로 일정한 각도를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패드라는 명칭을 갖는 부품들은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창판(1)에 덧대어 안창판(1)의 두께나 안창판(1)과 발바닥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 교정용 안창은 상기 안창판(1)들에 이들 웨지 또는 패드들을 적절히 부착시켜 발바닥과 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접촉을 안창판(1)들로 보충토록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러한 발교정용 안창은 특정인에 대한 안창의 적용시에 이들 웨지 또는 패드들을 부착, 적용시킬 때의 부착위치나 부착시의 두께 등 고려하여야 할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쉽게 특정의 발에 꼭 맞게 적용시키는 데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발의 외회나 내회의 정도에 따른 지면에 대한 각도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합중국 소재 랭커 그룹(The Langer Group) 산하의 프로페셔널 프로텍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Professional Protective Technology, Incorporated)에서는 템프토틱스(Temppthotics)라는 등록상표명으로 역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 교정용 안창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이 발 교정용 안창은 발의 족궁에 대응하도록 볼록하게 가공되어 족형으로 형성된 좌, 우 한 쌍의 편평한 안창판(1)들과 그에 부속될 수 있는 한 쌍의 전단패드(7)와, 한 쌍의 후단패드(8)와, 한 쌍의 장심패드(2) 및 한 쌍의 보조패드(9)들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안창판(1)들에 이들 패드들을 적절히 부착시켜 발바닥과 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접촉을 안창판(1)으로 보충토록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발 교정용 신발 바닥 역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특정인에 대한 적용시에 이들 패드들을 부착, 적용시킬 때의 부착위치나 부착시의 두께 등 고려하여아 할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쉽게 특정의 발에 꼭 맞게 적용시키는 데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패드들이 안창판(1)의 전단부나 후단부에 전체적으로 적용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의 외회나 내회의 정도에 따른 지면에 대한 각도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회나 내회 및 과내회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정기구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발 교정용 신발 바닥의 개발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바닥은 지면과 닿고 많은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라 늘 마모가 발생하여 두께도 달라지고, 사용에 따른 형태적 변화가 올 수 있으며, 시간이나 환경에 따라 화학적 변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런 변화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닥의 상태를 인위적으로 쉽게 조절하여 변화에 대응하는 보정을 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9569호에는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이 개시된다. 여기서는 공기 출입을 통해 압력 조절을 가능하게 한 공기 블럭을 신발 창의 복수 영역에 홈을 설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황에 따라 수시로 개개 블럭의 압력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공기 블럭을 신발 바닥에 어떻게 설치할 지, 공기 출입용 노즐을 어떻게 형성할지를 제시하지 않고, 공기 주입구가 신발창의 구멍과 연결되어 이 구멍을 공기 주입을 하도록 하지만 이런 경우, 사용자가 하중을 인가한 상태에서 공기 블럭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4-97701호 등록특허 10-1269569호 :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의 발 바닥 굴곡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이한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신발 바닥 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창 및 그 신발창을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공기 블럭의 압력을 적절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신발창 및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블럭의 공기 압력을 조절할 때 공기 주입구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신발창 및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창은
발바닥의 영역 가운데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기판부,
기판부에 결합되며 공기주입부를 통해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
공기 블럭과 별도로 이루어져 공기 블럭의 공기주입부에 결합되며 튜브형 본체를 가지는 공기주입구,
공기주입구의 끝단을 노출시키면서 공기주입구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홀이 형성되고 한편으로 기판부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공기주입부는 신발창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공기 블럭의 측면에 형성되고 따라서 공기주입구나 홀더의 홀도 신발창의 외부로 드러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신발창에서 공기 주입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홀더는 공기 블럭의 측면 위치를 제한하도록 신발창의 측면에 설치되며 홀을 기준으로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로 나뉘어 홀은 상부 홀더의 하면과 하부 홀더의 상면에 형성된 반원통형 홈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공기주입구의 튜브형 본체 외면에는 튜브축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방향으로 뻗는(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반원통형 홈 중간에는 이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수용홈이 더 구비되어 홀더는 공기주입구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홀더는 공기 블럭의 측면 적어도 일부뿐 아니라 공기 블럭의 하면도 감싸는 블래킷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 블럭은 발의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가운데 적어도 한 곳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는 2개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공기 블럭은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모두에서 각각 좌측과 우측(혹은 양 발이 마주보는 측인 내측과 그 반대쪽인 외측)으로 구분된 2개의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곳, 바람직하게는 좌우로 구분된 2개의 영역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신발창은 전체 신발 바닥을 이루는 층구조 가운데 하나인 안창(insole) 혹은 중창(midsole)이나 밑창(outsole) 가운데 하나일 수 있고, 공기 블럭은 이들의 상면 혹은 하면 가운데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령, 공기 블럭은 안창의 저면이나 상면, 중창의 저면이나 상면, 밑창의 상면이나 중간 가운데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 블럭은 신발창 층구조 상으로는 중창의 상부나 안창의 상부 혹은 하부이면서 영역 상으로는 족궁(종아치) 부분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족궁 오목한 부분을 채우면서 받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족궁 부분에 설치되는 공기 블럭 외에 그 하부에도 착용자의 발의 좌우 밸런스와 회내, 회외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블럭들로 이루어진 공기 블럭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은 신발창과 갑피를 가지는 것으로, 전체 신발 바닥을 이루는 신발창의 적어도 한 층상 구조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신발창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의 발 바닥 굴곡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간이한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신발 바닥 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신발의 편안함과 교정용 특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규격화하기 쉬운 공기 블럭 형태를 기본 바닥부까지 완성한 신발에 추가적으로 결합시키면서 제작 및 제작 이후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개인의 상태에 따라 혹은 개인의 신체 변화에 따라 적응성 있게 신발을 관리해 나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공기 블럭의 압력을 적절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신발창 및 신발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블럭의 공기 압력을 조절할 때 공기 주입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구조를 가진 신발창 및 신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신발 바닥부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신발 안창의 부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신발 안창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기판부에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 및 아치 공기 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6의 상태에서 공기주입구가 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아치 공기 블럭 하부 홀더가 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하단 공기 블럭 상부 홀더와 하단 공기 블럭 및 공기주입구가 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신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1은 도10과 같은 실시예에서 신발창 및 전족부의 하단 공기 블럭 일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및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상태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안창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4는 이 실시예에 따른 신발 안창을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기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안창은 신발 내부 바닥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마감재로 흔히 사용되는 깔창으로 불리는 추가적인 신발 바닥층과 같이 쉽게 신발에서 착탈이 가능하며, 제일 위쪽에는 발 영역 전체에 해당하는 기판부(11)가 있고, 기판부(11)에서 중족골 후반부 이후부터 발꿈치까지의 기판부는 그 앞쪽 영역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얇게 형성된 부분에 공기 블럭이 설치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부는 발 영역 전체에 해당하지 않고 그 일부 영역만을 가령 위 실시예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만을 커버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기판부(11)는 대략 단차부를 기준으로 앞쪽의 두껍게 형성된 부분(117)과 얇게 형성된 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기판부(11)의 얇게 형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이 부분에는 아치 공기 블럭 설치를 위한 굴곡 형성 보조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부(11')는 기판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 부품으로 제작되어 기판부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일체형인 경우를 기준으로 보면 기판부(11)의 상면은 통상적인 착용자의 발바닥면의 굴곡 형상을 반영하되 전체적으로 평편하게 이루어진다. 저면은 족궁을 반영한 족궁 부분(113)이 다른 부분보다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발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주변부는 조금 높아 평면 부분(115)과 단차진 단차부(114)를 이루고 있다.
이런 기판부(11)는 폴리우레탄폼 등의 재질로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얇고 부드럽게 형성되어 하면의 각 공기 블럭의 압력이 영역별로 발바닥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도5의 기판부(11) 가운데 족궁을 반영한 오목한 곡면에서 기판부 내측 주변부에 아래쪽으로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12)가 부착되고, 다시 아치 공기 블럭(13)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아치 공기 블럭(13)은 족궁이 이루는 공간을 그에 맞는 형태로 채우도록 설치되며, 내측면에는 공기주입부(13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주입부(131)는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12)의 반원통형 홈(121)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반원통형 홈(121)의 중간에는 홈이 이루는 반원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돌출부 수용홈(123)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도7은 도6의 구성요소에 공기주입구(14)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다. 공기주입구(14)는 공기주입부에 먼저 끼워져 결합된 뒤, 공기주입구(14) 외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41))가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12)의 돌출부 수용홈(123)에 끼워지는 것이나, 여기서는 공기주입구(14)의 주변 구성과의 결합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도6 및 도7을 통해 결합 순서를 바꾸어 나타낸 것이다.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아치 공기 블럭 하부 홀더(혹은 아치 공기 블럭 블래킷: 15)를 더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아치 공기 블럭 하부 홀더는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12)와 마찬가지로 신발창 내측 주변부 위치에 설치되어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12)의 아래쪽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측벽 부분과 아치 공기 블럭의 하부를 감싸는 바닥 부분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측벽 부분의 상면에는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12)의 저면에 형성된 반원통형 홈(121)과 대향하여 하나의 원통형 홀을 형성하는 반원통형 홈이 있고, 이 반원통형 홈에도 중간에 돌출부 수용홈이 있어서 공기주입구(14)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41)는 이들 반원형형 홈의 돌출부 수용홈에 완전히 끼워지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아치 공기 블럭 하부 홀더(15)는 기판부에서 족궁을 반영한 오목한 곡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오목한 공간 즉 족궁 부분(113)에서 아치 공기 블럭(13)이 채우고 있는 부분의 잔여부를 모두 채워서, 그 바닥 부분의 하면은 그 주변에 있는 기판부(11)의 평면 부분(115)과 이어지는 평면 부분(152)을 이루고, 그 측벽 부분의 하면은 기판부의 주변에 있는 단차부(114)와 같이 돌출되어 평면 부분(152)과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151)를 가진다. 따라서, 이 단차부(151)는 신발창(본 실시예의 안창) 전체로 볼 때에는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12)가 설치되는 내측 주변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8의 상태에서 기판부의 얇은 부분 영역의 주변부에는 단차부(114, 151)가 둘러가면서 형성되어 있는데, 단차부(114, 151)와 접하는 단차부의 안쪽 영역에 벽체 모양 혹은 두꺼운 띠 모양의 하단 공기 블럭 상부 홀더(16)가 설치되고, 여기에 공기주입구(18)를 공기주입부(도4의 171)에 결합시킨 하단 공기 블럭(17)들을 결합시켜 도9의 형태가 된다.
하단 공기 블럭(17)은 평면 부분(115, 152)을 둘러싸는 하단 공기 블럭 상부 홀더(16)의 안쪽 측면에 접하도록 전족부(17a, 17b), 중족부(17c, 17d), 후족부(17e, 17f) 각각을 내측 외측으로 나눈 모두 6개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각 하단 공기 블럭(17)은 개략적으로 직육면체 상자형으로 형성되지만 외부로 향하는 측면에서는 부분적으로는 신발창의 측면을 이루는 외형에 맞추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하단 공기 블럭(17)은 공기 블럭이 하중을 받아 눌렸을 때 변형되면서 서로 닿아 서로 압력에 영향을 주는 것을 가능한한 방지하기 위해 서로 약간의 간격을 두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 공기 블럭(17) 각각에도 신발의 중심영역을 향하는 측면이 아니고 외부를 향하는 측면에 공기주입부(17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된 공기주입부(171)는 튜브형 공기주입구(18)에 끼워지고, 공기주입구(18)는 외경면 중간에 튜브가 이루는 원의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83)를 가진다.
도9의 상태에서 하단 공기 블럭(17)의 측면 가운데 하단 공기 블럭 상부 홀더(16)로 커버되지 않는 노출된 부분과 저면을 감싸는 블래킷 형태의 하단 공기 블럭 하부 홀더(19)를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에서 결합하면 다시 도3과 같은 사시도에서 볼 수 있는 안창(10)이 완성된다.
여기서, 하단 공기 블럭(17)의 공기주입부(171)와 그에 결합되는 공기주입구(18), 공기주입구의 돌출부(183)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홈을 가지는 하단 공기 블럭 상부 홀더(16)와 하단 공기 블럭 하부 홀더(19)의 결합관계는 앞서 본 아치 공기 블럭의 공기주입부와 공기주입구,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 및 아치 공기 블럭 하부 홀더의 돌출부 수용홈의 결합관계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안창(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혹은 부품들은 서로 접촉하는 면이 점착제나 접착제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가령 공기 블럭의 공기주입부와 튜브형 공기주입구는 서로 보다 내구적으로 결합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각각의 공기 블럭이나 각 홀더 상부와 홀더 하부는 향후 공기 블럭의 수리 교체를 염두에 두고 서로 접하는 면을 점착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공기 블럭은 대략 직육면체에 가깝게 형성되고, 합성고무나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공기를 빼거나 내부로 공기를 넣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주입부는 공이나 자전거 튜브의 노즐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블럭의 벽체는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도 직육면체 형태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도록 면 중심부는 두껍고, 모서리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공기 블럭이 아치 공기 블럭과 하단 공기 블럭의 두 층을 함께 구비하여 이루어지나 하단 공기 블럭 층만 가지거나 아치 공기 블럭 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도 상정할 수 있다.
아치 공기 블럭은 발의 족궁 부분이 충분히 기능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충분히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을 것이 요구되므로 상대적으로 내부 공기압력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 공기 블럭은 너무 무르면 발이 안정되지 않을 수 있고, 발의 내측 혹은 외측을 튼튼하게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중점적으로 지지하는 영역의 공기 블럭은 상대적으로 내부 공기압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측 공기 블럭의 압력을 단독으로 매우 높이는 것보다, 내측 공기 블럭의 압력을 조금만 높이고 반대로 외측 공기 블럭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낮추는 방법으로 내구성을 높이면서도 좌우 밸런스를 더 넓은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홀더도 기판부와 같이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만들 수 있으며, 공기 블럭을 제 위치에서 잡아주는 기능을 위해 일정한 인장 강도를 가지면서 비교적 변형이 자유로운 신축성 재질로 하고, 아래에서 공기 블럭을 지지하는 블래킷 형태의 하단 공기 블록 하부 홀더는 상부 홀더에 비해 좀 더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공기 블럭의 공기주입부와 연결된 공기주입구는 안창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므로 착용자가 바닥에 실시예와 같은 안창을 놓고 두 발로 체중을 실어 밟은 상태에서 펌프 노즐을 끼워 공기 압력을 조절하면서 공기를 주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신발창으로 전체 신발 바닥의 층구조 가운데 하나인 안창(insole)의 하면에 공기 블럭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기 블럭이 설치되는 신발창은 중창(midsole)이나 밑창(outsole) 가운데 하나일 수 있고, 공기 블럭은 이들의 중창의 상면 혹은 밑창의 하면 가운데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홀더는 블래킷 형태로 공기 블럭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바닥 부분을 가지지만 바닥 부분이 형성되지 않고 공기 블럭 하면이 노출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신발창이 신발 바닥 층상 구조를 이루는 밑창에 적용된 신발의 실시예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의 안창과 비슷한 구조의 밑창(30)이 드러나 있고, 밑창(30) 위쪽으로는 갑피(20) 부분이 나타나 있다. 도시되지 않지만 밑창(30) 위쪽에는 중창이 설치되며, 중창과 밑창(30) 사이에는 갑피(30) 주변부가 접혀서 밑창(30) 주변부와 겹치게 된 채로 결합되며, 이런 갑피와 밑창, 중창의 결합 방식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밑창 가운데 중족골두가 포함되지 않는 중족골 후반부에서 발뒤꿈치 영역은 밑창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이 부분은 족궁에 해당하여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단과 상단 아래쪽의 비교적 평평한 하단으로 층구분이 이루어진다. 상단에는 하나의 공기주입구 입구(131)가 드러나 있고, 하단에는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영역의 신발창(밑창) 측면에 하나씩 공기주입구 입구(181)가 노출된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중창 위쪽으로 신발 내측에는 안창도 설치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도시되지 않지만, 신발의 외측 측면에도 하단 공기 블럭과 결합된 공기주입구가 노출된다.
여기서는 공기 블럭이 신발에서 일체를 이루면서 형성된 밑창(30)에 형성되므로 착용자가 신발을 벗고 신발 내에 설치된 안창을 다시 꺼내어 공기주입구가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공기주입을 할 필요가 없이, 착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이미 외부에 드러나 있는 공기주입구들(131, 181)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서 각 영역에 설치된 공기 블럭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단 공기 블럭 하면을 감싸는 하단 공기 블럭 하부 홀더의 바닥은 바로 지면에 닿게 되므로 통상의 신발 밑창과 같은 단단하고 내구적인 재질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이 바닥 부분이 아니라도 신발에서 그대로 외측으로 드러나는 아치 공기 블럭 홀더, 하단 공기 블럭 홀더도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연한 재질보다는 내구적이고 단단하여 외부 충격이나 스크래치에 잘 견딜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밑창 기판부에 이들을 결합시킬 때 통상의 점착제보다는 강한 결합력을 가지는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사용중에 쉽게 구성요소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11a는 도10의 BB 위치에서 전족부를 폭방향으로 내측 외측의 두 부분으로 나눈 신발창이 나타나 있다. 이런 신발창을, BB'선과 같이 신발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자르면 공기 블럭의 압력 배치에 따라 도11b, 도11c와 같은 단면을 얻을 수 있다. 갑피(20), 중족골(크고 작은 원으로 표시된 부분), 신발 밑창의 기판 및 부품과 공기 블럭(17a, 17b)의 형태를 보면, 도11b에서는 엄지발가락과 연결되는 중족골의 아래쪽의 공기 블럭(17a)의 압력이 높고, 두께도 두꺼워져서 발의 내측이 위로 솟아오르고, 도11c에서는 새끼발가락과 연결되는 중족골의 아래쪽의 공기 블럭(17b)의 압력이 높고 두께도 두꺼워져서 발의 외측이 위로 솟아올라 있다.
따라서, 도11b에서는 걸음걸이에서 회외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도11c에서는 걸음걸이에서 회내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걸음걸이에서 신체 구조적 문제로 회내의 성향을 가지는 사람은 도11b와 같은 공기 블럭의 압력 분포를 가지도록 한 신발을 신고 걸으면 걸음걸이가 바르게 될 수 있고, 회외의 성향을 가지는 사람은 도11c와 같은 공기 블럭의 압력 분포를 가지도록 한 신발을 신고 걸으면 걸음걸이가 바르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 기판부 12: 아치 공기 블럭 상부 홀더
13: 아치 공기 블럭 131: 공기주입부
14, 18: 공기주입구 141, 183: 돌출부
15: 아치 공기 블럭 하부 홀더
16: 하단 공기 블럭 상부 홀더
17: 하단 공기 블럭
19: 하단 공기 블럭 하부 홀더

Claims (7)

  1. 발바닥의 영역 가운데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결합되며 공기주입부를 통해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
    상기 공기 블럭과 별도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 블럭의 상기 공기주입부에 결합되며 튜브형 본체를 가지는 공기주입구,
    상기 공기주입구의 끝단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홀이 형성되고 한편으로 상기 기판부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블럭은 복수 개가 서로 구분되도록 구비되어 신발창의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가운데 적어도 한 곳에서 장착되며,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각각에 있어서 장착될 때에는 좌측과 우측(혹은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된 2개의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공기 블럭 각각은 자체만의 공기주입부 및 공기주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는 신발창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공기 블럭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나 상기 홀더의 홀도 외부로 드러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튜브형 본체 외면에는 튜브축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신발창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로 나뉘어 상기 홀은 상기 상부 홀더의 하면과 상기 하부 홀더의 상면에 형성된 반원통형 홈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상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의 상기 반원통형 홈 중간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수용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은 전체 신발 바닥을 이루는 층구조 가운데 하나인 안창(insole), 중창(midsole), 밑창(outsole) 가운데 하나이고,
    상기 공기 블럭은 상기 안창의 저면이나 상면, 상기 중창의 상면이나 저면, 상기 밑창의 상면이나 중간 가운데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은 전체 신발 바닥을 이루는 층구조 가운데 하나인 안창(insole), 중창(midsole), 밑창(outsole) 가운데 하나이고,
    상기 공기 블럭 가운데 상기 중창의 상면이나 상기 안창의 상면 혹은 하면이면서 영역 상으로는 족궁(종아치) 부분에 착용자의 족궁 오목한 부분을 채우면서 받치도록 형성되는 공기 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6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의 신발창과 상기 신발창 위쪽에 형성되는 갑피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40136906A 2014-10-10 2014-10-10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KR101578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06A KR101578468B1 (ko) 2014-10-10 2014-10-10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06A KR101578468B1 (ko) 2014-10-10 2014-10-10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468B1 true KR101578468B1 (ko) 2015-12-17

Family

ID=5508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906A KR101578468B1 (ko) 2014-10-10 2014-10-10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Y1 (ko) 2005-08-01 2005-11-04 강형철 신발용 에어쿠션
KR100777252B1 (ko) * 2007-03-16 2007-11-28 광 지 진 공기 유입 밸브가 결합되고 외부로 표시되는 에어 튜브를형성한 신발의 바닥창
KR100986676B1 (ko) * 2010-05-03 2010-10-08 주식회사화승 에어펌프식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Y1 (ko) 2005-08-01 2005-11-04 강형철 신발용 에어쿠션
KR100777252B1 (ko) * 2007-03-16 2007-11-28 광 지 진 공기 유입 밸브가 결합되고 외부로 표시되는 에어 튜브를형성한 신발의 바닥창
KR100986676B1 (ko) * 2010-05-03 2010-10-08 주식회사화승 에어펌프식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283A (en) Shoe insole for correction, control, and underfoot comfort
US20120198723A1 (en) Therapeutic shoe
US20090172972A1 (en) Adjustable orthopedic insoles
US20110000102A1 (en) Customisable Inserts, Footwear For Use With Same and a Method of Selecting an Insert For Footwear
US20130185955A1 (en) Ergonomic footwear
US1044103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e insole
US6523206B2 (en) Custom orthotic sandal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KR102454866B1 (ko) 교정용 밑창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US11337489B2 (en) Modular orthotic footwear system
US20160021971A1 (en) High heeled shoe with internal comfort and pronation control system
WO2020092600A1 (en) Footwear stability and comfort system
US11737510B2 (en) Toe guider device for footwear
CN106604658B (zh) 足部位置引导辅助器
KR101578468B1 (ko)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US20150013181A1 (en) Happy Heelz--An Anatomically Designed Heeled Shoe
TWI806564B (zh) 鞋子以及鞋子中底的成形方法
KR101269569B1 (ko)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US20180000194A1 (en) Anatomical insole for footwear
WO2024146538A1 (zh) 具调整足压鞋体结构及其制备方法
KR101218211B1 (ko) 지압용 신발
US20220039516A1 (en) Footwear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180180B2 (ja) 一体型歩行改善パットおよびインソール組立キット
CN204363098U (zh) 多种高度的鞋子
KR20230119617A (ko) 발 아치 지지를 위해 삼각 구조물을 탑재하여 균형적인 보행을 유도하는 신발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