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569B1 -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569B1
KR101269569B1 KR1020110091284A KR20110091284A KR101269569B1 KR 101269569 B1 KR101269569 B1 KR 101269569B1 KR 1020110091284 A KR1020110091284 A KR 1020110091284A KR 20110091284 A KR20110091284 A KR 20110091284A KR 101269569 B1 KR101269569 B1 KR 10126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e
foot
air block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820A (ko
Inventor
양재호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양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양재호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1009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5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기본 바닥부와 이 기본 바닥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공기 블럭을 구비하는 신발과, 이 신발에 적합한 공기 블럭이 개시된다. 공기 블럭은 내부의 공기실과 외기를 연결하며 공기를 투입 혹은 배출할 수 있도록 압력 조절 수단으로 노즐부를 구비할 수 있고, 발바닥의 각 위치에 설치된 공기 블럭의 공기 압을 조절하여 개인의 발 바닥 굴곡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간이한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신발 바닥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신발의 편안함과 교정용 특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규격화하기 쉬운 공기 블럭 형태를 기본 바닥부까지 완성한 신발에 추가적으로 결합시키면서 제작 및 제작 이후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shoe having air block}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바닥의 부분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과 그에 사용되는 부품에 관한 것이다.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많은 뼈와 관절, 인대와 수많은 근육과 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의 구성요소들은 직립 상태와 운동 상태에서 발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고정 구조를 이루기도 하고, 각각의 상태에서 달라지는 서로 간의 결합에 의해 몇 가지 정형적인 형태와 구조를 이루고 있다.
부연하면, 발은 직립시에 지면과 접촉하여 전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적절한 운동으로 보행이나 운동 등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고르게 하중을 분산시켜 줄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발의 발바닥은 직립시에 족궁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지면에 맞닿아 안정적인 직립을 가능하게 한다. 보행이나 달리기 등에서는 족궁이 마치 스프링과 같이 신축하면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발가락들을 포함한 발의 전단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완만하고 부드러운 보행 및 달리기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사람의 발바닥이 이루는 곡면은 사람마다 굴곡 형태에 차이가 있고, 기능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신발은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디자인된 바닥창을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의 경우, 이런 발바닥 굴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그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굴곡면을 가지는 신발창을 제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한편,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발바닥 굴곡면이 일반적인 범위에서 벗어나고 그 차이 정도가 심화될 경우, 기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가령, 내회와 외회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인간의 발들 중에는, 외회운동이 4 내지 6˚, 내회운동이 4 내지 6˚, 도합 8 내지 12˚의 움직임을 갖는 정상적인 발들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비정상적인 발들이 존재한다. 이런 비정상적인 발들은 대개 발바닥이 지면과 고르게 맞닿지 못하고, 발바닥의 외측이 들어올려지는 외회(supination), 발바닥의 내측이 들어올려지는 내회(pronation) 및 족궁이 거의 없이 발바닥의 내측이 과도하게 들어올려지는 과내회(hyperpronation)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외회화(supinated), 내회화(pronated) 및 과내회화(hyperpronated) 등의 비정상적인 형태의 발들은 달리기와 같은 격렬한 운동은 물론 기본적인 보행조차 불편하게 한다. 또한, 직립상태를 유지하는 데에도 상당한 곤란을 초래하고,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특별히 발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기구와 발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는 신발들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었다.
가령, 발의 교정을 위한 교정지구나 발에 잘 맞는 신발을 제작하기 위하여 적용대상이 되는 인간의 발을 석고붕대를 사용하여 주형을 만들고, 이 주형을 바탕으로 하여 적절한 물성의 합성수지로 교정기구를 만들거나, 신발 속에 투입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insole)을 만들었다.
그러나, 석고붕대에 의한 주형의 제작 및 그 주형을 바탕으로 하는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의 제작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특정인을 대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개별적인 제작만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함은 물론 특정인 이외의 자들에 대하여는 기 제작된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4-97701호에는 스키부츠용 인솔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 스키부츠용 인솔은 발의 압력분포에 따라 전족부와 후족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된 인솔을 기술하고 있으나, 역시 특정인의 발의 압력분포를 개별적으로 측정한 후, 그에 적절한 두께를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인솔의 두께에 따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기 제작된 인솔을 다른 사람의 발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합중국 소재 채타누가 코포레이션(Chattanooga corporation)에서는 비스콜라스(Viscolas)라는 등록상표명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 교정용 안창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이 발 교정용 안창은 족형으로 형성된 좌, 우 한 쌍의 편평한 안창판(1)들과 그에 부속될 수 있는 한 쌍의 길이방향 장심패드(2)(Longitudinal Arch Pad)와, 한 쌍의 교정뒤꿈치웨지(3)(Corrective Heel Wedge)와, 대형 및 소형의 척골패드(4)(Metatarsal Pad)와, 하나의 뉴로마패드(5)(Neuroma Pad) 및 하나의 토크레스트패드(6)(ToeCrest Pad)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웨지라는 명칭을 갖는 부품들은 모두 양측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하여 경사진 상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웨지의 적용으로 일정한 각도를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패드라는 명칭을 갖는 부품들은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창판(1)에 덧대어 안창판(1)의 두께나 안창판(1)과 발바닥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 교정용 안창은 상기 안창판(1)들에 이들 웨지 또는 패드들을 적절히 부착시켜 발바닥과 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접촉을 안창판(1)들로 보충토록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러한 발교정용 안창은 특정인에 대한 안창의 적용시에 이들 웨지 또는 패드들을 부착, 적용시킬 때의 부착위치나 부착시의 두께 등 고려하여야 할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쉽게 특정의 발에 꼭 맞게 적용시키는 데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발의 외회나 내회의 정도에 따른 지면에 대한 각도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합중국 소재 랭커 그룹(The Langer Group) 산하의 프로페셔널 프로텍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Professional Protective Technology, Incorporated)에서는 템프토틱스(Temppthotics)라는 등록상표명으로 역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 교정용 안창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이 발 교정용 안창은 발의 족궁에 대응하도록 볼록하게 가공되어 족형으로 형성된 좌, 우 한 쌍의 편평한 안창판(1)들과 그에 부속될 수 있는 한 쌍의 전단패드(7)와, 한 쌍의 후단패드(8)와, 한 쌍의 장심패드(2) 및 한 쌍의 보조패드(9)들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안창판(1)들에 이들 패드들을 적절히 부착시켜 발바닥과 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접촉을 안창판(1)으로 보충토록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발 교정용 신발 바닥 역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특정인에 대한 적용시에 이들 패드들을 부착, 적용시킬 때의 부착위치나 부착시의 두께 등 고려하여아 할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쉽게 특정의 발에 꼭 맞게 적용시키는 데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패드들이 안창판(1)의 전단부나 후단부에 전체적으로 적용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의 외회나 내회의 정도에 따른 지면에 대한 각도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회나 내회 및 과내회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정기구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발 교정용 신발 바닥의 개발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바닥은 지면과 닿고 많은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라 늘 마모가 발생하여 두께도 달라지고, 사용에 따른 형태적 변화가 올 수 있으며, 시간이나 환경에 따라 화학적 변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런 변화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닥의 상태를 인위적으로 쉽게 조절하여 변화에 대응하는 보정을 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의 발 바닥 굴곡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이한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신발 바닥 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수단을 구비하여 개인에게 적합한 바닥면을 이룰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의 기본적으로 구비된 바닥에 부착될 수 있으며, 공기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기 블럭은 내부에 2 이상으로 분할된 공기실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은,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기본 바닥부와 이 기본 바닥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공기 블럭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공기 블럭은 신발의 기본 바닥부와 반영구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신발의 기능과 용도에 따라 가령, 실내화의 경우, 착탈식으로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공기 블럭은 내부의 공기실과 외기를 연결하며 공기를 투입 혹은 배출할 수 있도록 압력 조절 수단으로 노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기본 바닥부에는 공기 블럭이 일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역으로 나위어진 해당 장착 위치마다 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 블럭은 신발 기본 바닥부에서의 장착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기본 바닥부에서 구역으로 나뉘어진 해당 장착 위치의 형태와 닮은 꼴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공기 블럭은 기본 바닥부에 포함되는 신발 중창의 상부 혹은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 설치될 때에는 위쪽에 공기조절 노즐을 하부에 설치될 때에는 아래쪽에 공기조절 노즐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공기 블럭이 기본 바닥부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시 신발의 하부 전체를 감싸거나, 각각의 공기 블럭 하면을 커버하는 밑창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의 발 바닥 굴곡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간이한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신발 바닥 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신발의 편안함과 교정용 특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규격화하기 쉬운 공기 블럭 형태를 기본 바닥부까지 완성한 신발에 추가적으로 결합시키면서 제작 및 제작 이후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개인의 상태에 따라 혹은 개인의 신체 변화에 따라 적응성 있게 신발을 관리해 나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신발 바닥부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공기 블럭 중간 부분을 잘라 벌려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신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바닥부와 여기에 결합되는 공기 블럭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본 바닥부와 여기에 결합되는 공기 블럭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6은 도5의 실시예에 밑창이 더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른 한 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7에 도6과 다른 형태의 밑창이 결합된 실시예를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른 한 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공기 블럭을 운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형태를 보여주는 설명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공기 블럭 중간 부분을 잘라 벌려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공기 블럭(10)은 직육면체에 가깝게 형성되고, 합성고무나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일 측면에는 내부의 공기를 빼거나 내부로 공기를 넣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11)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11)은 축구공이나 자전거 튜브의 노즐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블럭(10)은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도 직육면체 형태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도록 면 중심부(12)는 두껍고, 모서리 부분(14)은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내부 공기압이 높아져도 면 중심이 부풀어올라 구형 비슷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공기 블럭의 내부 공기실은 도3에서는 단일한 것으로 도시되나, 복수의 공기실을 가질 수 있다, 가령, 도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절단면에서 볼 때 대각선을 이루는 격벽(16)이 형성되어 격벽 위쪽과 아래쪽의 두 개의 공기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공기실에는 외부와의 통로가 되는 노즐이 하나씩 형성된다. 따라서, 어느 한 공기실의 공기압을 낮추면 이 공기 블럭이 장착된 신발 바닥 부분에서는 발 폭방향 혹은 발 전후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고, 각 공기실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신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바닥부와 여기에 결합되는 공기 블럭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본 바닥부와 여기에 결합되는 공기 블럭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6은 도5의 실시예에 밑창이 더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른 한 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4에서 신발의 기본 바닥부 저면은 제일 앞쪽의 족지부를 제외한 부분을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1, 후족부2로 발의 길이 방향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을 발의 폭방향으로 보면, 전족부와 중족부는 내측, 중간, 외측의 3 부분으로, 발의 후족부1, 후족부2는 내측 및 외측의 2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기본 바닥부(110)에는 구분된 구역(site)별로 공기 블럭(10)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이들 구역에는 공기 블럭의 결합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한 홈이 바닥면에서 공기 블럭과 같은 크기 및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기 블럭(10)은 구역에 상관없이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공기 블럭(10)에서 지면과 닿게 되는 저면에는 공기 블럭 내의 공기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 출입을 담당하는 노즐(11)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블럭의 하면 중앙의 노즐(11)은 축구공의 공기주입구나 물놀이 튜브의 공기 노즐과 같은 구성의 공기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시로 압력을 측정하여 편의성 측면이나 자세 교정 측면에서 발 바닥 곡면에 대응하는 적정한 신발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바닥부에 부착되는 공기 블럭이 표준화되어 크기와 형태가 일정한 이 실시예에서는 적정한 신발 하면 부위별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신발의 크기별로 혹은 신발 착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병리에 따라 신발의 기본 바닥부에 결합되는 공기 블럭의 위치 및 갯수가 달리 조정될 수 있다.
도5의 실시예에서도 신발의 기본 바닥부(210) 저면을 도4의 실시예와 같이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1, 후족부2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을 폭방향으로 3부분 혹은 2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
기본 바닥부(210)에는 구분된 구역(site)별로 공기 블럭(20a, 20b, 20c 등)이 결합되어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이들 구역에는 공기 블럭(20)의 결합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한 홈(216a, 216b, 216c)이 기본 바닥부(210) 면에 형성된다.
공기 블럭은 도6에서 나타나듯이 홈에 끼워지는 부분과 기본 바닥부(210)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다.
도5에서 보듯이, 여기서는 도4의 실시예와 달리 기본 바닥부(210)의 위치별로 홈(216a, 216b, 216c)의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지고, 이들 홈에 결합되는 공기 블럭(20a, 20b, 20c)의 크기와 형태도 서로 다르지만 각각의 공기 블럭은 그 것이 결합되는 홈의 형태와 닮은 꼴을 이루고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신발의 사이즈(size)가 조금 달라져도 어느 정도의 사이즈 범위에서는 기본 바닥부에 구역(site)별로 형성되는 홈의 면적과 모양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홈은 규격화되어 기본 바닥부가 다소 큰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나 다소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별로 홈에 공기 블럭이 설치된다. 설치되는 공기 블럭도 신발의 일정 규격 범위에서는 홈의 크기에 대응하여 규격화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저면도에서 본다면, 큰 사이즈의 신발에 규격화된(동일 크기의) 공기 블럭이 설치될 경우, 공기 블럭들 사이에는 틈이 크고, 작은 사이즈의 신발에 규격화된 공기 블럭이 설치될 경우, 공기 블럭들 사이에는 틈이 없거나 틈이 작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홈을 이용하여 크기(면적)가 다른 공기 블럭을 결합할 수도 있다. 즉, 공기 블럭에서 홈에 끼워지는 부분은 모두 홈과 같은 모양과 크기로 하고, 큰 신발 사이즈에는 기본 바닥부면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부분은 해당 홈과 같은 모양(닮은 꼴)이지만 크기(면적)가 큰 공기 블럭을 결합하고, 작은 신발 사이즈에는 돌출되는 부분은 홈과 같은 크기 혹은 홈보다 조금만 더 큰 크기의 공기 블럭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4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기본 바닥부 위치, 동일한 갯수의 공기 블럭을 이용한 이러한 적용이 가능하지만, 도4의 실시예는 공기 블럭의 갯수와 부착 위치를 변화시키는 형태에 적합한 데 비해 도5 및 도6의 실시예에서는 특히 신발 크기에 따라 기본 바닥부에 결합되는 공기 블럭의 갯수와 부착 위치를 변화시킬 필요는 줄어들게 된다는 점에 더 적합하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신발의 바닥부(210)는 안창(211)과 중창(213)으로 이루어지고, 중창에는 구역(site) 별로 공기 블럭(20)의 노즐(21)과 연결을 위한 노즐구멍(2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공기 블럭(2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신발에서 갑피(220)로 싸인 내부 공간으로 펌프의 공기주입핀을 넣으면서, 착탈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안창(211)을 벗기고, 노즐구멍(215)으로 공기주입핀을 넣는다. 노즐구멍은 공기 블럭(20)의 노즐(21)과 연장선상에 있어서 공기주입핀을 노즐(21)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공기 블럭(20)이 결합된 기본 바닥부(210)의 아래쪽에는 별도의 보강용 신발창으로서 밑창(230)이 준비되어 있다. 밑창은 위로 절곡된 주변부를 가지고 있어서 이 밑창주변부 내면에 접착제(미도시)를 바르고, 밑창주변부의 내면을 신발의 기본 바닥부(210)의 주변부(외면)에 밀착하여 결합시킨다.
물론, 신발에서 기본 바닥부의 저면은 통상의 밑창 재질로 마감되어 있고, 도4의 실시예와 같이 공기 블럭은 직접 지면에 닿게 될 수도 있으며, 공기 블럭이 중창(213) 위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6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서는 동일하고, 다만 보강용 신발창이 신발 저면 전체를 통괄하는 밑창(230)이 아니고, 개개의 공기 블럭이나 공기 블럭이 없는 족지부와 같은 신발 앞부분에서는 이 부분을 커버하는 분할 밑창(230')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에서는 개별 공기 블럭을 수선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전체를 포괄하는 밑창(230)을 떼어낼 필요가 없이 개별 공기 블럭을 직접 손질할 수 있다는 이점과 밑창 재료를 절약할 수 있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신발을 이용하여 신발 바닥부를 구성하는 사용예를 보여준다.
도8의 왼쪽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족지부,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로 나눈 신발 바닥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족지부,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에는 각 부분의 전체면을 커버하는 공기 블럭(30a, 30d, 30g, 30i)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신발 바닥면을 길이방향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은 도8의 오른쪽의 단면도들과 같이 된다.
이들 단면도 가운데 제일 위쪽에 있는 것은 각각의 공기 블럭을 같은 두께 같은 정도 압력으로 공기를 채웠을 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발 바닥부(310)가 수평을 이루고 있다. 평소의 생활을 할 때에는 이런 형태로 공기 블럭의 압력을 맞추어 놓아 서있는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걷기 운동을 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어느 한 부분을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하면 예를 들어 그 아래쪽에 있는 ①, ②, ③의 록커 버텀(Rocker Bottom)과 같은 단면을 이룰 수 있다.
가령, ①과 같은 단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족부의 공기 블럭(30d)의 공기압을 높여 전족부 공기 블럭(30d)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그 주변의 공기 블럭(30a, 30g)은 중간 정도의 압력을 후족부의 공기 블럭(30i)은 낮은 정도의 압력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②와 같은 단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중족부의 공기 블럭(30g)의 공기압을 높여 중족부의 공기 블럭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전족부와 후족부의 공기 블럭(30d, 30i)의 압력은 중간정도로, 족지부의 공기 블럭(30a)의 압력은 낮은 정도로 한다. 이런 형태의 신발 바닥 단면에서는 발바닥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마사지의 효과를 볼 수도 있다.
도9의 왼쪽에는 전족부를 폭방향으로 3부분으로 나눈 신발 바닥면이 나타나 있다. 이런 신발 바닥을, BB'선을 신발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자르면 공기 블럭의 압력 배치에 따라 오른쪽의 두 단면도와 같은 단면을 얻을 수 있다. 갑피(420), 발가락(크고 작은 원으로 표시된 부분), 신발 기본 바닥부(410)와 공기 블럭(40a, 40b, 40c)의 형태를 보면, ①에서는 엄지발가락 아래쪽의 공기 블럭(40a)의 압력이 높고, 두께도 두꺼워져서 발의 내측이 위로 솟아오르고, ②에서는 새끼발가락 아래쪽의 공기 블럭(40c)의 압력이 높고 두께도 두꺼워져서 발의 외측이 위로 솟아올라 있다.
따라서, ①에서는 걸음걸이에서 회외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②에서는 걸음걸이에서 회내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걸음걸이에서 신체 구조적 문제로 회내의 성향을 가지는 사람은 ①과 같은 공기 블럭의 압력 분포를 가지도록 한 신발을 신고 걸으면 걸음걸이가 바르게 될 수 있고, 회외의 성향을 가지는 사람은 ②와 같은 공기 블럭의 압력 분포를 가지도록 한 신발을 신고 걸으면 걸음걸이가 바르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20: 공기 블럭 11, 21: 노즐
16: 격벽 27: 공기실
30a, 30d, 30g, 30i, 40a, 40b, 40c: 공기 블럭
110, 210, 310, 410: 기본 바닥부 215: 노즐 구멍
211: 안창 213: 중창
220, 420: 갑피 230: 밑창
230': 부분 밑창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기본 바닥부와
    상기 기본 바닥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며, 내부가 비어 공기실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실에 채워진 공기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공기 블럭 복수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본 바닥부 저면에는 상기 공기 블럭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홈이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에서 상기 기본 바닥부에는 노즐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블럭에서 상기 홈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기 노즐 구멍과 정렬된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블럭이 설치된 상기 기본 바닥부 아래로 상기 기본 바닥부 전면을 포괄하도록 감싸는 밑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바닥부는 중창 및 안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블럭은 상기 중창의 위쪽, 상기 안창의 위쪽, 상기 안창의 아래쪽 가운데 하나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10091284A 2011-09-08 2011-09-08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KR10126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84A KR101269569B1 (ko) 2011-09-08 2011-09-08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84A KR101269569B1 (ko) 2011-09-08 2011-09-08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20A KR20130027820A (ko) 2013-03-18
KR101269569B1 true KR101269569B1 (ko) 2013-06-05

Family

ID=4817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84A KR101269569B1 (ko) 2011-09-08 2011-09-08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1020A (zh) * 2019-06-22 2019-08-20 申振 一种无胶竹炭鞋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53Y1 (ko) * 1996-06-27 1999-05-15 이태석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317608Y1 (ko) * 2003-03-19 2003-06-25 고상수 신발용 에어백
KR20050088885A (ko) * 2004-03-03 2005-09-07 김경훈 조립식 발 교정용 깔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53Y1 (ko) * 1996-06-27 1999-05-15 이태석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317608Y1 (ko) * 2003-03-19 2003-06-25 고상수 신발용 에어백
KR20050088885A (ko) * 2004-03-03 2005-09-07 김경훈 조립식 발 교정용 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1020A (zh) * 2019-06-22 2019-08-20 申振 一种无胶竹炭鞋垫
CN110141020B (zh) * 2019-06-22 2021-03-09 安徽益健鞋材科技有限公司 一种无胶竹炭鞋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20A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096B1 (ko) 발 교정용 안창
US20120198723A1 (en) Therapeutic shoe
US2616190A (en) Walking angle corrective footwear
US6594922B1 (en) Medial/lateral counter foot stabilizer
CA2730360C (en)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20130160331A1 (en) Shoe Insole or Midsole with a Tri-Dome Configuration for Foot Rehabilitation
US20120192455A1 (en) Outer sole for shoes and shoes comprising such outer soles
US20090139114A1 (en)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JP2000516509A (ja) 内部シャシーを備えた靴
JP2011512184A5 (ko)
GB2526192A (en) Orthotic insole
US20090019728A1 (en) Adjustable Arch Support
US20130061496A1 (en) Footwear support structures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KR100937471B1 (ko)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인솔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US20150013181A1 (en) Happy Heelz--An Anatomically Designed Heeled Shoe
KR101269569B1 (ko)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WO2012079646A1 (en) Multi-layered sole for heeled footwear
TWI806564B (zh) 鞋子以及鞋子中底的成形方法
JP2022501125A (ja) 靴底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インサートシステム
WO2021173898A1 (en) An in-shoe insole to provide comfort and reduce pain in high heeled shoes and boots, constructed from an anatomically shaped last
CN214904224U (zh) 一种带有按摩功能的鞋垫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