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600B1 -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600B1
KR101565600B1 KR1020150023194A KR20150023194A KR101565600B1 KR 101565600 B1 KR101565600 B1 KR 101565600B1 KR 1020150023194 A KR1020150023194 A KR 1020150023194A KR 20150023194 A KR20150023194 A KR 20150023194A KR 101565600 B1 KR101565600 B1 KR 10156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nwater
stormwater
water level
st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공
Original Assignee
김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공 filed Critical 김영공
Priority to KR102015002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공급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우수처리부로 배출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우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상기 우수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유닛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우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침전조와,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는 초기우수판별부와, 상기 초기우수판별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우수가 초기 우수로 판별될 경우, 상기 여과유닛에서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침전조로 상기 우수를 배출시키는 차단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는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여 초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도록 초기 우수를 침전조로 유입시키므로 초기우수에 대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Rainwater utilization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여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물부족 현상이 여러 국가의 주요한 이슈로 작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또한 이를 방치할 수 없는 국면에 이르렀고, 이러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방안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는 대기중의 여러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이를 포함한 채 내리게 되며, 지표면에서도 각종 오염물질과 함께 하천 등으로 스며들게 되므로, 이러한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하천 등의 수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우수정화시설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우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비점오염원 주변의 우수 처리시설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거나 비점오염원에서 제공되는 각종 낙석, 오일, 중금속만을 제거할 경우에는 처리되지 않은 유기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종래의 우수처리장치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554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우수가 유동하는 유로 내에 설치된 필터 스크린에 의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진다. 그러나, 초기 우수의 경우, 필터 스크린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데, 종래의 우수처리장치의 경우,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내지 못하므로 초기 우수에 대해 여과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여 초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도록 초기 우수를 침전조로 유입시키는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는 우수공급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우수처리부로 배출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우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상기 우수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유닛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우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침전조와,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는 초기우수판별부와, 상기 초기우수판별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우수가 초기 우수로 판별될 경우, 상기 여과유닛에서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침전조로 상기 우수를 배출시키는 차단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초기우수판별부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우량용기와, 상기 우량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우량용기 내부의 우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이면,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우수를 초기우수로 판별하여 상기 여과유닛에서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여과유닛에서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우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우수가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침전조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와,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배출구가 형성된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우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우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1배출구에 연통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제2배출구에 연통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유입공간의 우수가 상기 유출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형성된 구획 프레임과, 상기 구획 프레임의 상기 배수공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여과공이 마련된 스크린부재와, 상기 우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재 측으로 흐르는 상기 우수의 난류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우수를 가이드하는 정류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 프레임은 상면에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메인본체의 제1배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침전조에 연통되는 방류관이 연결되는 서브본체와, 상기 보조공간을 상기 제1배출구와 연통되는 제1단위공간과, 상기 방류관에 연통되는 제2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본체 내부의 수위가 상기 스크린부재보다 높도록 상기 배수공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단위공간으로 상기 제1단위공간의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부가 마련된 물넘이벽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를 상기 우수처리부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된 여과수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이면,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처리부는 상기 여과수 배출관에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여과유닛으로부터 여과되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보조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는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여 초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도록 초기 우수를 침전조로 유입시키므로 초기우수에 대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의 우수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의 여과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여과유닛을 전후방향 중심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여과유닛을 좌우방향 중심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중에 매립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며, 우수공급부(30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우수처리부(500)로 배출시키는 여과유닛(400)과, 상기 우수공급부(300)로부터 상기 여과유닛(400)으로 공급된 상기 우수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유닛(40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우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침전조(600)와, 상기 여과유닛(400)으로 공급되는 상기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는 초기우수판별부(700)와, 상기 초기우수판별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유닛(400)으로 공급된 우수가 초기 우수로 판별될 경우, 상기 여과유닛(400)에서 상기 우수처리부(500)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침전조(600)로 상기 우수를 배출시키는 차단유닛(800)을 구비한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다수의 여과유닛(4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되며, 일측에 우수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우수가 수용되는 우수수용실(2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수수용실(201) 하부에는 여과유닛(400)으로부터 배출된 여과수가 수용되는 여과수 수용실(202)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상기 침전조(6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거나 구조물의 옥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우수공급부(300)는 지면에 매립되거나 구조물에 설치되며, 내부에 우수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된 우수관(301)과, 상기 우수관(301) 내부의 상기 우수가 하우징(200)의 우수수용실(201)에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우수관(301)과 상기 하우징(200)의 우수수용실(201)에 연결되는 다수의 유입관(302)과, 하우징(200)의 여과수 수용실(202)에 수용된 여과수가 우수관(30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우수관(301) 및 여과수 수용실(202)에 연결되는 다수의 유출관(303)을 구비한다.
이때, 우수관(301)은 상기 유입관(302)들이 연결되는 제1단위관(305)과, 상기 제1단위관(305)의 후단부에 연장되고, 상기 유출관(303)들이 연결되는 제2단위관(306)과, 제1단위관(305)의 하단부 바닥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월류벽(304)을 구비한다.
제1단위관(305)은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유입관(302)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유입관(302)들은 제1단위관(305)의 바닥면에 인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위관(306)은 바닥면이 상기 제1단위관(305)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유출관(303)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유출관(303)들은 제2단위관(306)의 바닥면에 인접되도록 설치되며, 단부가 제2단위관(306)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유출관(303)은 우수관(301)으로 배출되는 여과수가 제1단위관(305)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단위관(306) 내부로 인입된 단부가 상기 우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류벽(304)은 제1단위관(305) 내의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유입관(302)에 대해 후방측에 설치되며, 제1단위관(305)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월류벽(304)은 제1단위관(305)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월류벽(304)은 제1단위관(305)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월류벽(304)에 의해 제1단위관(305) 내의 우수는 유입관(302) 측에 잔류하여 보다 용이하게 유입관(302)으로 유입된다.
여과유닛(400)은 상기 우수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어 우수수용실(201)에 수용된 상기 우수가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411)이 마련되며, 상기 침전조(600)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412)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처리부(500)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배출구(413)가 마련된 메인본체(410)와, 상기 메인본체(410)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배출구(412)에 연통되는 유입공간(418)과 상기 제2배출구(413)에 연통되는 유출공간(419)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4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공간(418)의 우수가 상기 유출공간(419)으로 배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형성된 구획 프레임(420)과, 상기 구획 프레임(420)의 배수공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는 통과되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여과공이 마련된 스크린부재(430)와, 상기 스크린부재(430) 하측의 구획 프레임(42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재(430) 측으로 흐르는 상기 우수의 난류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우수를 가이드하는 정류부재(440)와, 상기 제1배출구(412)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제1배출구(412)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공간(451)이 마련되고, 상기 침전조(600)에 연통되는 방류관(452)이 연결되는 서브본체(450)와, 상기 서브본체(45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본체(410) 내부의 수위가 상기 스크린부재(430)보다 높도록 상단부가 상기 스크린부재보다 상측이 위치 형성된 물넘이벽(460)을 구비한다.
메인본체(410)는 내부공간(411)으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유입구(4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421)에 대향되는 후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4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배출구(412)는 메인본체(4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메인본체(410)의 우측면에는 스크린 부재(43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4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배출구(413)에는 여과수 배출관(416)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여과수 배출관(416)의 타단부는 여과수 수용실(202)에 연결된다.
메인본체(410)의 전면 하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재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재구는 소재덮개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메인본체(410) 내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할 경우, 소재덮개를 분리하여 소재구를 통해 침전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메인본체(410)의 전면에는 메인관(415)에 연결되는 보조유입실(4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유입실(414)은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간은 유입구(421)에 연통되어 있다. 이때, 메인관(415)은 유입구(421)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보조유입실(414)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 프레임(420)은 제1배출구(412)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판(423)과, 상기 지지판(423)들 사이에 유입공간(418)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지판(423)들의 상단에 고정되는 덮개판(424)을 구비한다.
지지판(423)은 메인본체(41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메인본체(410)의 바닥면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지지판(423)은 상단부가 유입구(421) 및 제1배출구(412)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판(424)은 좌우단부가 지지판(423)들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며, 지지판(423)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덮개판(424)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425)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25)의 상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구획 프레임(420)은 지지판(423) 및 덮개판(424)으로 구성되어 메인본체(410) 내부를 유입공간(418)과 유출공간(419)으로 구획한다.
스크린 부재(430)는 상기 배수공을 덮도록 덮개판(424)의 돌출부(425)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 부재(430)는 다수의 여과공이 마련된 메쉬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우수는 통과되되,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되는 것이 차단된다.
정류부재(440)는 스크린 부재(430) 하측의 덮개판(424)에 설치된다. 상기 정류부재(440)는 스크린 부재(430)로 유입되는 우수의 흐름에 난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공(4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공(441)은 정류부재(4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원형 또는 육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본체(450)는 메인본체(410)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제1배출구(412)를 통해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1배출구(412)에 연통되는 보조공간(451)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본체(450)는 제1배출구(412)에 대향되는 후면에 방류관(452)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방류관(452)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침전조(600)에 인입되게 설치된다.
물넘이벽(460)은 제1배출구(412)와 방류관(452) 일단부 사이의 서브본체(450) 내부에 설치되며, 서브본체(450)의 보조공간(451)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서브본체(450)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물넘이벽(460)은 전단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서브본체(450)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넘이벽(460)은 상단부가 스크린부재(43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메인본체(410) 내의 수위가 스크린부재(430) 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본체(410)의 유입공간(418)의 우수가 스크린 부재(430) 측으로 용이하게 유동된다.
우수처리부(500)는 유출관(303)에 연결된 연결관(502)과, 상기 연결관(502)에 연결되며, 내부에 유출관(303)으로부터 연결관(502)으로 유입된 우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저수조(501)를 구비한다. 여과수 수용실(202)에 수용된 우수는 저수조(501)에 저수되거나 우수관(301)으로 재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저수조(501)에는 내부에 수용된 여과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보조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침전조(600)는 하우징(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여과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우수가 저수될 수 있도록 저수공간이 마련된다. 서브본체(450)에 연결된 방류관(452)의 타단부는 침전조(60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침전조(600)의 상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60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601)은 단부가 침전조(600) 내부로 소정길이 인입되게 연장되되, 침전조(600) 내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침전조(600)의 바닥면에는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 배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전물 배출부는 일단이 침전조(600)의 바닥면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침전조(600) 외부의 침전물 처리부에 연결된 청소관과, 상기 청소관에 설치되어 침전물을 펌핑하는 침전물 처리부로 공급하는 공급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초기우수판별부(700)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411)이 형성된 우량용기(710)와, 상기 우량용기(710)에 설치되어 상기 우량용기(710) 내부의 우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720)를 구비한다.
우량용기(710)는 우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외부 및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량용기(710)는 내부에 수용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관(711)이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관(711)은 조절밸브(713)이 설치되어 있어 조절밸브(71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우량용기(710)는 우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버플로우관(712)이 설치되어 있다. 오버플로우관(712)은 우량용기(710)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되되, 우량용기(7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연장형성된다. 오버플로우관(712)의 상단부에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우량용기(7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수위측정센서(720)는 우량용기(7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량용기(710) 내의 수위를 측정한다. 수위측정센서(720)는 우량용기(710)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수위만큼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우천 시 우량용기(710)로 우수가 유입되어 우수의 수위가 올라가 수위측정센서(720)를 통해 우수가 검출되면 차단유닛(800)은 초기의 우수가 지나간 상태로 판별한다.
차단유닛(800)은 여과수 배출관(416)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배출관(416)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801)와, 상기 수위측정센서(720)에 연결되어 상기 수위측정센서(72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710)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이면, 상기 여과수 배출관(416)의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801)를 제어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72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710)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여과수 배출관(416)의 내부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밸브(801)를 제어하는 제어부(802)를 구비한다.
한편, 제어부(802)는 상기 보조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저수조(501) 내부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여과수 배출관(416)의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801)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수관(301)의 제1단위관(305)을 통과하는 우수는 유입관(302)을 통해 하우징(200)의 우수수용실(201)로 유입된다. 우수수용실(201)에 유입된 우수는 메인관(415)을 통해 메인본체(410) 내부로 유입된다. 메인본체(410) 내로 유입된 우수는 스크린 부재(43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걸러진다. 스크린 부재(430)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여과수 배출관(416)을 통해 하우징(200)의 여과수 수용실(202)에 유입된다. 여과수 수용실(202)에 수용된 여과수는 유출관(303)을 통해 우수관(301)의 제2단위관(306) 또는 저수조(501)로 유입된다.
이때, 메인본체(410) 내에 유입된 우수 중 일부는 제1배출구(412)를 통해 서브본체(450)로 유입되고, 방류관(452)을 통해 침전조(600)로 유입된다. 침전조(600)에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침전조(600)의 하부에 침전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우수는 배수관(6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어부(802)는 초기우수판별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유닛(400)으로 공급된 우수가 초기 우수로 판별될 경우, 상기 여과유닛(400)에서 상기 우수처리부(500)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침전조(600)로 상기 우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여과수 배출관(416)을 폐쇄하도록 개폐밸브(801)를 제어한다. 그리고 초기우수판별부(700)로부터 초기 우수가 지난상태로 판별되는 상기 여과수 배출관(416)을 개방하도록 개폐밸브(801)를 제어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100)는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여 초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도록 초기 우수를 침전조(600)로 유입시키므로 초기우수에 대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200: 하우징
300: 우수공급부
400: 여과유닛
410: 메인본체
420: 구획 프레임
430: 스크린 부재
440: 정류부재
450: 서브본체
460: 물넘이벽
500: 우수처리부
501: 저수조
600: 침전조
700: 초기우수판별부
710: 우량용기
720: 수위측정센서
800: 차단유닛
801: 개폐밸브
802: 제어부

Claims (6)

  1. 우수공급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우수처리부로 배출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우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상기 우수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유닛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우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침전조와;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우수 중 초기 우수를 판별하는 초기우수판별부와;
    상기 초기우수판별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우수가 초기 우수로 판별될 경우, 상기 여과유닛에서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침전조로 상기 우수를 배출시키는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초기우수판별부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유닛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우량용기와, 상기 우량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우량용기 내부의 우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이면,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급된 우수를 초기우수로 판별하여 상기 여과유닛에서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여과유닛에서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우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우수가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침전조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처리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배출구가 마련된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우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우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1배출구에 연통되는 유입공간 및 상기 제2배출구에 연통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유입공간의 우수가 상기 유출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형성된 구획 프레임과,
    상기 구획 프레임의 상기 배수공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여과공이 마련된 스크린부재와,
    상기 우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재 측으로 흐르는 상기 우수의 난류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우수를 가이드하는 정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프레임은 상면에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메인본체의 제1배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침전조에 연통되는 방류관이 연결되는 서브본체와,
    상기 서브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본체 내부의 수위가 상기 스크린부재보다 높도록 상단부가 상기 배수공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물넘이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를 상기 우수처리부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된 여과수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이면,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우량용기의 내부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처리부는 상기 여과수 배출관에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여과유닛으로부터 여과되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보조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여과수 배출관의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20150023194A 2015-02-16 2015-02-16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56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94A KR101565600B1 (ko) 2015-02-16 2015-02-16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94A KR101565600B1 (ko) 2015-02-16 2015-02-16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600B1 true KR101565600B1 (ko) 2015-11-03

Family

ID=5459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194A KR101565600B1 (ko) 2015-02-16 2015-02-16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434A (zh) * 2017-01-16 2017-06-13 安溪钟泰专利技术转移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城市防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434A (zh) * 2017-01-16 2017-06-13 安溪钟泰专利技术转移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城市防汛***
CN106836434B (zh) * 2017-01-16 2019-02-22 珠海潮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城市防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860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인공습지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3045B1 (ko) 제어기능을 갖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24075B1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865253B1 (ko)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EP2995735B1 (en) Rainwater discharge chamber capable of discharging rainwater and soil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1323367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10119451A (ko) 초기우수의 지하침투 처리시설
KR20160107382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565600B1 (ko) 빗물 이용 및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0953473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우수받이 시스템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101912323B1 (ko)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1925564B1 (ko) 저류조를 구비한 빗물집수장치
KR20120062449A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101710638B1 (ko) 침투도랑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