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367B1 -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367B1
KR101323367B1 KR1020130003218A KR20130003218A KR101323367B1 KR 101323367 B1 KR101323367 B1 KR 101323367B1 KR 1020130003218 A KR1020130003218 A KR 1020130003218A KR 20130003218 A KR20130003218 A KR 20130003218A KR 101323367 B1 KR101323367 B1 KR 10132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ipe
unit
opening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to KR102013000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처리대상 우수를 공급하는 우수공급부와, 우수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1유로를 갖는 제1와류발생부와, 제1와류발생부의 제1유로 상에 설치되어 제1와류발생부에 의해 유동하는 우수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를 구비한 와류유닛과, 제1와류발생부를 통과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와류발생부에 연통되는 것으로서, 제1와류발생부를 통과한 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2유로를 갖는 제2와류발생부와, 제2유로 상에 충진되어 제2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는 다수의 여과재가 마련된 여과유닛과, 여과유닛에 연결되며, 내부에 여과유닛을 통과한 우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저류공간이 마련된 저류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는 수집된 우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침전물을 분리하고, 우수의 유동경로 내에 설치된 여과수단을 통해 우수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므로 보다 깨끗한 우수를 저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Rainwater storage system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점오염원을 여과한 우수를 수집하여 저류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수 저류조는 물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서 우천시 빗물을 받아 보관하기 위해 설치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수 저류조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우수 저류조의 한쪽으로는 저수된 빗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우수 저류조로는 그 형태에 따라서 도로 등 바닥으로 내린 빗물을 모아 저수가 되게 하는 형태의 것과 공중으로 내리는 빗물이 직접 저수가 되게 하는 형태의 것이 있다.
그 중에서 바닥에 내린 빗물을 모아 저수되게 하는 형태의 우수 저류조의 경우에는 우수에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쳐야만 용수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 우수 저류조의 경우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형태에 따라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여과를 위한 여과장치가 다양하게적용되고 있다.
한편, 공중에서 내리는 빗물을 직접 받아 저수되도록 하는 형태의 우수 저류조의 경우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수 저류조에는 낙엽 등이 날려 들어올 수 있고, 그 낙엽들로 인해서 배수구가 막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입된 우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침전물을 분리하고, 우수의 유동경로 내에 설치된 여과수단을 통해 우수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저류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는 처리대상 우수를 공급하는 우수공급부와, 상기 우수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1유로를 갖는 제1와류발생부와, 상기 제1와류발생부의 제1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의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를 구비한 와류유닛과, 상기 제1와류발생부를 통과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와류발생부를 통과한 상기 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2유로를 갖는 제2와류발생부와, 상기 제2유로 상에 충진되어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는 다수의 여과재가 마련된 여과유닛과, 상기 여과유닛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여과유닛을 통과한 상기 우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저류공간이 마련된 저류조를 구비한다.
상기 제1와류발생부는 내부에 우수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우수공급부에 연통되는 제1유입구가 마련된 제1외통과, 상기 제1외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제1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2와류발생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제1내통과,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개구부까지 나선형의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외통과 제1내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제1관통구가 마련된 복수의 거름부와,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거름부 후방의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우수가 상기 거름부에 통과되도록 상기 우수를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제1가이드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차단판을 구비한다.
상기 차단판은 상기 거름부 부근의 상기 우수의 흐름에 와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외통의 내주면에 인접된 일단이 상기 제1내통의 외주면에 인접된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개구부와 제1배출구 사이의 상기 제1내통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통 내부로 유입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관통구가 형성된 이물질 제거망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와류발생부는 연통관을 통해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연통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연결된 상기 연통관의 타단에 연통되는 제2유입구가 마련되되, 내부에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외통과, 상기 제2외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제2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제2개구부가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저류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내통과,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 상기 여과재가 충진되는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외통과 제2내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와류발생부는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제3관통구가 마련된 복수의 메쉬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메쉬부는 인접된 상기 메쉬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대향부분으로부터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와류발생부는 상기 제2유로 내에 충진된 상기 여과재가 상기 제2내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쉬부 후방의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방지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우수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연통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우수의 유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우수를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우수의 유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우수를 상기 제1와류발생부로 공급하는 초기우수배제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기우수배제유닛은 일단이 상기 유입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우수가 유동하는 제1유동경로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유동경로에 연통되게 상기 유출관이 연결되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우수가 상기 제1와류발생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메인관과, 상단이 상기 유출구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2유동경로가 형성되되, 하단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와류발생부의 제1유로에 연통되게 연결된 서브관과, 상기 서브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관으로 유입된 상기 우수가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폐쇄판과, 상기 폐쇄판의 유입공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서브관 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부유하는 부구와, 상기 부구에 연결되며, 상기 부구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개폐부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판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부구에 의해 승하강하는 상기 개폐판의 이동궤적에 대응되게 상기 서브관의 내주면에 연장된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개폐판의 외주면에 상기 서브관의 내주면에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삽입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서브관의 내주면 또는 폐쇄판과 상기 개폐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상기 유입공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초기우수배제유닛은 상기 메인관 내부에, 상기 유출구 부근의 우수 수위를 높일 수 있도록 수위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구에 대해 전방의 상기 메인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가 상기 유출구 및 유출관으로 유입되도록 제1배수구가 형성된 제1조절판과, 상기 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구에 대해 후방의 상기 메인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가 상기 유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제2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 부근의 상기 메인관 내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수도록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배수구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2조절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는 수집된 우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침전물을 분리하고, 우수의 유동경로 내에 설치된 여과수단을 통해 우수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므로 보다 깨끗한 우수를 저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의 와류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의 여과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의 우수공급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의 우수공급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의 우수공급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의 우수공급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100)는 처리대상 우수를 공급하는 우수공급부(200)와, 상기 우수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된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유닛(300)과, 상기 와류유닛(300)을 통과한 우수를 수집하여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유닛(400)을 구비한다.
우수공급부(200)는 외부로부터 수집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연통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의 유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우수를 유출관(224)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의 유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을 경우 우수를 와류유닛(300)으로 공급하는 초기우수배제유닛(220)을 구비한다.
초기우수배제유닛(220)은 메인관(221), 서브관(222) 및 관로결정부(230)를 구비한다.
메인관(221)은 일단이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며,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메인관(221)은 내부에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유동하는 제1유동경로(239a)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제1유동경로(239a)에 연통되게 상기 유출관(224)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인관(221)은 하부 외주면에 제1발생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2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관(221)이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메인관(221)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단이 유출구(238)에 연통되게 메인관(221)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유출구(238)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2유동경로(239b)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은 연결관을 통해 후술되는 제1와류발생부(310)의 제1외통(311)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관로결정관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에 따라 우수를 상기 유출구(238) 및 유입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게이트(231,232), 수위감지센서(233), 게이트 구동부(234) 및 제어부(235)를 구비한다.
제1게이트(231)는 유출구(238)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유출구(238)에 인접된 위치의 메인관(221)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게이트(231)는 유출구(238)를 덮을 수 있도록 유출구(238)보다 크되, 부채꼴형으로 형성된다.
제2게이트(232)를 메인관(221) 내의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유출구(238)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관(221)의 제1유동경로(239a)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유동경로(239a)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위감지센서(233)는 메인관(221)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메인관(22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메인관(221) 내벽면에 설치되어 메인관(221)의 수위가 수위감지센서(233)의 설치위치보다 높아지면 후술되는 제어부(235)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게이트 구동부(234)는 제1게이트(231)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모터(236)와, 제2게이트(232)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2모터(237)를 구비한다. 게이트 구동부(234)는 제어부(235)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게이트(231,232)를 구동시킨다.
제어부(235)는 수위감진센서를 통해 감지신호를 감지하면 유출관(224)으로의 우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게이트(232)가 상기 제1유동경로(239a)를 폐쇄하도록 제2모터(237)를 작동시키고, 유출구(238)는 개방되도록 제1모터(236)를 작동시켜 제1게이트(231)를 회전시킨다. 수위감지센서(233)를 통해 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유출구(238)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모터(236)를 작동시켜 유출구(238)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1게이트(231)를 회전시키고, 우수가 유출관(224)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유동경로(239a)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2모터(237)를 작동시켜 제2게이트(232)를 회전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관로결정부(230)는 메인관(221)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값보다 낮을 경우, 초기 우수로 판단하여 유출관(224)으로 통해 외부나 하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고, 메인관(221)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유출구(238)를 통해 와류유닛(30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비교적 많은 오염원이 포함된 초기 우수는 유출관(224)을 통해 외부나 하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고, 나머지 우수는 와류유닛(300) 및 여과유닛(400)을 통과시켜 저류조(500)에 저장한다.
와류유닛(300)은 우수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된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1유로(318)를 갖는 제1와류발생부(310)와, 제1유로(318)에 설치된 스크린부(320)를 구비한다.
제1와류발생부(310)는 제1외통(311), 제1내통(312) 및 제1가이드부재(313)를 구비한다.
제1외통(311)은 내부에 우수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314)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우수공급부(200)로부터 제1수용공간(314)으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관이 연통되는 제1유입구(315)가 형성된다. 이때, 제1유입구(315)는 제1외통(311)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내통(312)은 제1외통(311)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내통(312)은 제1외통(3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되, 제1외통(311)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내통(312)은 제1외통(311) 내에 수용된 우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제1개구부(316)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개구부(316)로 용이하게 우수가 유입되기 위해 하단부가 제1외통(3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제1외통(311)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내통(312)은 상부 외주면에 후술되는 여과유닛(400)의 제2와류발생부(410)로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317)가 마련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재(313)는 제1유입구(315)로부터 제1개구부(316)까지 나선형의 제1유로(318)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외통(311)과 제1내통(312) 사이에 설치되며, 제1내통(31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가이드부재(313)는 제1외통(311) 및 제2내통(412)의 외경 차이의 절반만큼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부재(313)에 의해 성형된 제1유로(318)를 통해 우수는 유동하고, 나선방향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우수 내에 포함된 침전물이 분리되어 제1외통(311)의 내주면 및 바닥면으로 침전된다.
스크린부(320)는 제1유로(318) 상에 설치되어 제1와류발생부(310)에 의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서, 복수의 거름부(321) 및 복수의 차단판(322)을 구비한다.
거름부(321)는 제1유로(318)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제1가이드부재(313)에 각각 형성된다. 거름부(321)는 우수가 하방으로 통과되되,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제1관통구(324)가 마련된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거름부(321)는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인접되는 거름부(321)에 대향되는 제1가이드부재(313)의 대향부분에 대해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판(322)은 제1유로(318)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거름부(321) 후방의 제1가이드부재(313)에 각각 설치되며, 우수가 거름부(321)에 통과되도록 우수를 가이드할 수 있게 제1가이드부재(3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차단판(322)은 제1유로(318)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제1외통(311)의 내주면에 인접된 일단이 제1내통(312)의 외주면에 인접된 타단보다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322)에 의해 거름부(321) 인근에서 와류가 발생되어 우수 내의 이물질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킨다.
제1가이드부재(313)에 의해 형성된 제1유로(318)의 단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크린부(320)는 제1개구부(316)와 제1배출구(317) 사이의 제1내통(312) 내부에 설치되어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관통구가 형성된 이물질 제거망(323)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망(323)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은 폐쇄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내통(312)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물질 제거망(323)은 다수의 제2관통구가 마련된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을 통해 제1외통(311)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제1가이드부재(313)에 의해 형성된 제1유로(318)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한다. 우수의 나선형 유동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이 분리되어 제1외통(311)의 바닥면으로 침전된다. 제1유로(318)를 통과한 우수는 제1개구부(316)를 통해 제1내통(312)으로 유입되고, 제1내통(312)에 유입된 우수는 제1배출구(317)를 통해 여과유닛(400)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1내통(312) 내에 유입된 우수는 이물질 제거망(323)에 의해 이물질이 재차 걸러져서 제1배출구(317)를 통해 배출된다.
여과유닛(400)은 제1와류발생부(310)를 통과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와류발생부(310)에 연통되는 것으로서, 제1와류발생부(310)를 통과한 우수가 유돌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2유로(416)를 갖는 제2와류발생부(410)와, 제2유로(416) 상에 충진되어 제2유로(416)를 통해 유동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는 다수의 여과재(420)를 구비한다.
제2와류발생부(410)는 제2외통(411), 제2내통(412), 제2가이드부재(413), 다수의 메쉬부(414) 및 다수의 방지판(415)을 구비한다.
제2외통(411)은 내부에 우수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411a)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내통(312)으로부터 우수가 제2수용공간(411a)으로부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통관(401)이 연통되는 제2유입구(411b)가 형성된다. 이때, 연통관(401)은 일단이 제1내통(312)의 제1배출구(317)에 연통되며, 타단은 제1외통(311)의 제2유입구(411b)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유입구(411b)는 제2외통(411)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내통(412)은 제2외통(411)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내통(412)은 제2외통(4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되, 제2외통(411)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내통(412)은 제2외통(411) 내에 수용된 우수가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 하부에 제2개구부(412a)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개구부(412a)로 용이하게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제2외통(4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제2외통(411)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내통(412)은 상부 외주면에 저류조(500)로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배출구(4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내통(412)의 제2배출구(412b)에는 배출관(412c)이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412c)은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외통(411)을 관통하도록 연장형성된다.
제2가이드부재(413)는 제2유입구(411b)로부터 제2개구부(412a)까지 나선형의 제2유로(416)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2외통(411)과 제2내통(412) 사이에 설치되며, 제2내통(41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가이드부재(413)는 제2외통(411) 및 제2내통(412)의 외경 차이의 절반만큼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부재(413)에 의해 성형된 제2유로(416)를 통해 우수는 유동하고, 나선방향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우수 내에 포함된 침전물이 분리되어 제2외통(411)의 내주면 및 바닥면으로 침전된다.
메쉬부(414)는 제2유로(416)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제2가이드부재(413)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우수는 통과하되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관통된 다수의 제3관통구(417)가 마련된 메쉬구조를 갖는다. 상기 메쉬부(414)는 제2유로(416)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메쉬부(414)는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인접되는 메쉬부(414)에 대향되는 제2가이드부재(413)의 대향부분에 대해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지판(415)은 제2유로(416)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메쉬부(414) 후방의 제2가이드부재(413)에 각각 설치되며, 우수가 상기 메쉬부(414)를 통과하도록 우수를 가이드하고, 제2유로(416)에 충진된 여과재(420)가 제2유로(41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부재(4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방지판(415)은 제2유로(416)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부재(413)에 의해 형성된 제2유로(416)의 단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관(401)을 통해 제2외통(411)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제2가이드부재(413)에 의해 형성된 제2유로(416)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한다. 우수의 나선형 유동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은 재차 분리되어 제2외통(411)의 바닥면에 침전된다. 제2유로(416)를 통과한 우수는 제1개구부(316)를 통해 제2내통(412)으로 유입되고, 제2내통(412)에 유입된 우수는 제2배출구(412b)를 통해 저류조(500)로 배출된다. 이때, 제2가이드부재(413)에 형성된 메쉬부(414)를 통해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은 재차 걸러지게 된다.
여과재(420)는 제2유로(416) 내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본체(421)와, 본체(421)의 상하면에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재(422)를 구비한다. 본체(421)는 제2유로(416)를 통과하는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재(422)는 본체(42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여과재(420)들은 제2유로(416) 내에서 부유하여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여 분리시킨다.
저류조(500)는 제2배출구(412b)에 연통된 배출관(412c)을 통해 제2내통(412)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2내통(412)을 통과한 우수가 유비되어 저수될 수 있도록 저류공간(501)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저류조(500)는 내부의 저류공간(501)에 상기 와류유닛(300) 및 여과유닛(400)이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100)는 수집된 우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침전물을 분리하고, 우수의 유동경로 내에 설치된 스크린부(320) 및 여과재(420)를 통해 우수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저류조(500)에 저수하므로 보다 깨끗한 우수를 저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로결정부(6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관로결정부(600)는 폐쇄판(610) 및 개폐부(620)를 구비한다.
폐쇄판(610)은 연결관과의 연결부분보다 상측의 상기 서브관(222) 내부에 설치되며, 서브관(222)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되도록 중앙부분에 유입공(61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폐쇄판(610)은 서브관(222)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620)는 서브관(222)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폐쇄판(610)의 유입공(611)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부구(621), 로드(622) 및 개폐판(623)을 구비한다.
부구(621)는 서브관(222) 내에 설치되며, 메인관(221)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에 부유할 수 있도록 내부에 부력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부구(621)는 메인관(221) 내의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승강하고, 낮아지면 하강한다. 로드(622)는 상하방향을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은 부구(621)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개폐판(623)에 고정되어 있다.
개폐판(623)은 상면에 로드(622)의 하단이 고정되어 부구(621)에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승하강한다. 개폐판(623)은 폐쇄판(610)의 유입공(611)을 폐쇄할 수 있도록 유입공(611)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폐판(623)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판(623)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바(6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바(624)들은 개폐판(623)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개폐판(623)의 외주면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바(624)들은 서브관(2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625)들에 각각 삽입되는데, 상기 슬라이딩홈(625)들은 서브관(2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개폐판(62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우수가 유입될 경우, 메인관(221) 내에 유입되는 유량이 많지 않으므로 개폐판(623)을 승강시킬 정도의 부력이 발생되지 않아 폐쇄판(610)의 유입공(611)은 개폐판(623)에 의해 폐쇄되어 연결관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초기 이후에는 비교적 많은 유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데, 이때, 메인관(221) 내의 수위는 상승하고, 부구(621)는 부력에 의해 상승한다. 상승하는 부구(621)에 의해 개폐판(623)은 상승하여 폐쇄판(610)의 유입공(611)의 개방되어 우수가 연결관을 통해 와류유닛(300)으로 공급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관로결정부(600)는 메인관(221)에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유입공(611)을 개폐하므로 별도의 전력이 소요되지 않아 시설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로결정부(7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관로결정부(700)는 메인관(221) 내부에, 상기 유출구(238) 부근의 우수 수위를 높일 수 있도록 수위조절부(7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수위조절부(710)는 제1 및 제2조절판(711,712)을 구비한다.
제1조절판(711)은 메인관(221) 내부의 제1유동경로(239a)를 통해 유동하는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유출구(238)에 대해 전방의 메인관(221)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유출구(238) 및 유출관(224)으로 유입되도록 제1배수구(7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조절판(711)은 메인관(221) 내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배수구(713)는 제1조절판(711)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제2조절판(712)은 유출구(238)에 대해 후방의 메인관(221) 내부에 설치되며, 제1배수구(713)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유출관(224)으로 배출되도록 제2배수구(714)가 형성된다. 제2조절판(712)은 메인관(221) 내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2배수구(714)는 제2조절판(712)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조절판(711,712) 사이의 우수의 수위가 상승할 수 있도록 제2배수구(714)는 제1배수구(713)보다 작은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위조절부(710)에 의해 유출구(238) 인근의 수위가 주변지역의 수위보다 높으므로 부구(621)에 보다 큰 부력이 작용하여 용이하게 개폐판(623)을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로결정부(8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관로결정부(800)는 개폐판(623)을 상기 유입공(611)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801)를 더 구비한다. 폐쇄판(610) 하측의 서브관(222)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801)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바(80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바(802)들은 서브관(2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서브관(222) 내주면에 각각 서브관(222)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탄성부재(801)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하단은 고정바(802)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단은 유입공(611)을 통해 관통되어 개폐판(623)의 하면에 고정되며,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관(221) 내의 수위가 내려갈 경우, 상기 탄성부재(801)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판(623)은 용이하게 하강하여 폐쇄판(610)의 유입공(611)을 폐쇄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200: 우수공급부
210: 유입관
220: 초기우수배제유닛
300: 와류유닛
310: 제1와류발생부
311: 제1외통
312: 제1내통
313: 제1가이드부재
318: 제1유로
320: 스크린부
321: 거름부
322: 차단판
323: 이물질 제거망
400: 여과유닛
410: 제2와류발생부
411: 제2외통
412: 제2내통
413: 제2가이드부재
414: 메쉬부
415: 방지판
420: 여과재
500: 저류조

Claims (14)

  1. 처리대상 우수를 공급하는 우수공급부와;
    상기 우수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1유로를 갖는 제1와류발생부와, 상기 제1와류발생부의 제1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의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를 구비한 와류유닛과;
    상기 제1와류발생부를 통과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와류발생부를 통과한 상기 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제2유로를 갖는 제2와류발생부와, 상기 제2유로 상에 충진되어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는 다수의 여과재가 마련된 여과유닛과;
    상기 여과유닛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여과유닛을 통과한 상기 우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저류공간이 마련된 저류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와류발생부는
    내부에 우수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우수공급부에 연통되는 제1유입구가 마련된 제1외통과,
    상기 제1외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제1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2와류발생부로 상기 우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제1내통과,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개구부까지 나선형의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외통과 제1내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제1관통구가 마련된 복수의 거름부와,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거름부 후방의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우수가 상기 거름부에 통과되도록 상기 우수를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제1가이드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차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거름부 부근의 상기 우수의 흐름에 와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외통의 내주면에 인접된 일단이 상기 제1내통의 외주면에 인접된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개구부와 제1배출구 사이의 상기 제1내통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통 내부로 유입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관통구가 형성된 이물질 제거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류발생부는
    연통관을 통해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연통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와류발생부에 연결된 상기 연통관의 타단에 연통되는 제2유입구가 마련되되, 내부에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외통과,
    상기 제2외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제2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제2개구부가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저류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내통과,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 상기 여과재가 충진되는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외통과 제2내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류발생부는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우수는 통과하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제3관통구가 마련된 복수의 메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인접된 상기 메쉬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대향부분으로부터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류발생부는
    상기 제2유로 내에 충진된 상기 여과재가 상기 제2내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쉬부 후방의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방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연통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우수의 유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우수를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우수의 유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우수를 상기 제1와류발생부로 공급하는 초기우수배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배제유닛은
    일단이 상기 유입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우수가 유동하는 제1유동경로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유동경로에 연통되게 상기 유출관이 연결되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우수가 상기 제1와류발생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메인관과,
    상단이 상기 유출구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2유동경로가 형성되되, 하단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와류발생부의 제1유로에 연통되게 연결된 서브관과,
    상기 서브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관으로 유입된 상기 우수가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폐쇄판과,
    상기 폐쇄판의 유입공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서브관 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부유하는 부구와, 상기 부구에 연결되며, 상기 부구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판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부구에 의해 승하강하는 상기 개폐판의 이동궤적에 대응되게 상기 서브관의 내주면에 연장된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개폐판의 외주면에 상기 서브관의 내주면에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삽입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서브관의 내주면 또는 폐쇄판과 상기 개폐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상기 유입공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배제유닛은 상기 메인관 내부에, 상기 유출구 부근의 우수 수위를 높일 수 있도록 수위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제1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구에 대해 전방의 상기 메인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가 상기 유출구 및 유출관으로 유입되도록 제1배수구가 형성된 제1조절판과,
    상기 제1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우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구에 대해 후방의 상기 메인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가 상기 유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제2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 부근의 상기 메인관 내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수도록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배수구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2조절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KR1020130003218A 2013-01-11 2013-01-11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KR101323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18A KR101323367B1 (ko) 2013-01-11 2013-01-11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18A KR101323367B1 (ko) 2013-01-11 2013-01-11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367B1 true KR101323367B1 (ko) 2013-10-29

Family

ID=496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218A KR101323367B1 (ko) 2013-01-11 2013-01-11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3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484A (ko) 2015-12-13 2015-12-31 한상관 민물과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음료와 같은 유체성 식품과, 기호성 식품과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13220A (ko) 2016-01-04 2016-02-03 한상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3748A (ko) 2016-02-12 2016-03-03 한상관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7962A (ko) 2016-02-21 2016-03-10 한상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200144390A (ko) * 2019-06-18 2020-12-29 이용선 와류 및 스크린 복합형 비점 오염 저감 장치
KR20220045623A (ko) 2020-10-06 2022-04-13 (주)이앤이솔루션 상징수 유량 조절이 가능한 고효율 디켄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290A (ja) * 2001-02-15 2002-08-28 Kubota Corp 雨水分離桝
KR100763119B1 (ko) * 2006-05-30 2007-10-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우수처리시스템
KR101041716B1 (ko) * 2011-01-26 2011-06-14 신명옥 초기강우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67699B1 (ko) * 2009-01-23 2011-09-27 주식회사 장호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290A (ja) * 2001-02-15 2002-08-28 Kubota Corp 雨水分離桝
KR100763119B1 (ko) * 2006-05-30 2007-10-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우수처리시스템
KR101067699B1 (ko) * 2009-01-23 2011-09-27 주식회사 장호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41716B1 (ko) * 2011-01-26 2011-06-14 신명옥 초기강우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484A (ko) 2015-12-13 2015-12-31 한상관 민물과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음료와 같은 유체성 식품과, 기호성 식품과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13220A (ko) 2016-01-04 2016-02-03 한상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3748A (ko) 2016-02-12 2016-03-03 한상관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7962A (ko) 2016-02-21 2016-03-10 한상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200144390A (ko) * 2019-06-18 2020-12-29 이용선 와류 및 스크린 복합형 비점 오염 저감 장치
KR102259725B1 (ko) * 2019-06-18 2021-06-01 이용선 와류 및 스크린 복합형 비점 오염 저감 장치
KR20220045623A (ko) 2020-10-06 2022-04-13 (주)이앤이솔루션 상징수 유량 조절이 가능한 고효율 디켄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367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KR102081960B1 (ko)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US8496814B2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99851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865253B1 (ko)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558239B1 (ko) 빗물 여과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673075B1 (ko)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US20130008841A1 (en) Water transfer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chambers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047570B1 (ko) 맨홀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2315260B1 (ko)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101036019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장치
CN105318046B (zh) 一种单向阀及具有自动调节阀口大小的排泥阀装置
KR100923632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