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463B1 -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63B1
KR101565463B1 KR1020140064602A KR20140064602A KR101565463B1 KR 101565463 B1 KR101565463 B1 KR 101565463B1 KR 1020140064602 A KR1020140064602 A KR 1020140064602A KR 20140064602 A KR20140064602 A KR 20140064602A KR 101565463 B1 KR101565463 B1 KR 10156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olumn
frame member
corn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경수
윤여상
이경윤
고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Priority to KR1020140064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면성능 및 형태 유지력이 우수하여 구조적 성능이 좋은 기둥을 형성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둥조립체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을 위한 기둥조립체로서, 기둥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자형 단면의 코너부재와, 기둥의 각 면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부재와 접합됨으로써 코너부재와 함께 기둥조립체를 폐쇄된 구조로 만들어주는 메인프레임재 및, 각 메인프레임재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메인프레임재들을 일체화시켜주되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된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Steel assembly of column for filling concret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기둥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면성능 및 형태 유지력이 우수하여 구조적 성능이 좋은 기둥을 형성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CFT(Concrete Filled Tube) 구조는 폐쇄형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형성되는 구조로서 강관이 영구 거푸집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거푸집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강관이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를 견고하게 구속해주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위와 같은 CFT 구조에 사용되는 강관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지 않기 때문에 적용이 제한된다.
그리고 CFT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기둥으로 사용되는데 강관이 폐쇄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와의 접합부 처리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보와의 접합부에서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등록번호 10-0684931의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 설치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폐쇄형 철골부재(100)는 도 1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얇은 철판을 절곡성형한 단위부재(110)를 조립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좌굴에 대한 강성이 크고 우수한 콘크리트 구속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우수하다.
도 1의 (b)에 도시된 등록번호 10-1159041의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에서는 상기 폐쇄형 철골부재(100)로 이루어지는 강관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접합부구조에서는 강관기둥 내에 위치하되 단부가 강관기둥 외부로 돌출되는 십자형상의 관통브라켓(410)을 이용하여 철골보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유리한 접합부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의 (a)에 도시된 철골부재(100)는 단위부재(110) 두께와 폭의 한계로 인해 단면 크기에 제한이 있고 주로 외다이어프램 방식의 기둥-보 접합부를 구성하게 되므로 현장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도 1의 (b)에 도시된 접합부구조의 경우는 관통브라켓(410)의 설치가 난해하여 제작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성능 및 형태 유지력이 우수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적 성능이 좋은 중·대단면의 기둥을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와의 접합 및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을 위한 기둥조립체에 있어서, 기둥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자형 단면의 코너부재와, 기둥의 각 면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부재와 접합됨으로써 코너부재와 함께 기둥조립체를 폐쇄된 구조로 만들어주는 메인프레임재 및, 각 메인프레임재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메인프레임재들을 일체화시켜주되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된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재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너부재의 레그와 같은 각도로 놓여진 상태에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재 및 코너부재의 레그 단부에는 기둥조립체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메인프레임재와 코너부재의 레그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재는 인접하는 코너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메인프레임재와 코너부재의 레그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레그가 기둥조립체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메인프레임재의 레그와 코너부재의 레그는 45도를 이루며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에 고정되는 수직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한 판형의 템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철근을 나선형으로 절곡성형한 철근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조립체가 보와 접합되는 높이에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한 판형의 다이어프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이어프램은 기둥조립체 외면의 폭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의 중앙부 공간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타설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한 코너부재의 각 레그 사이 및/또는 마주보는 메인프레임재 사이에는 타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조립체는 강재가 기둥조립체의 외면을 이루는 동시에 기둥조립체의 단면 내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에 대한 구속효과, 단면성능, 형태유지력 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내력이 큰 기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둥조립체의 외면을 이루는 부재들은 절곡부를 가지고 있어 단면성능이 우수하고 부재들 간의 접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둥조립체의 단면 내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부가 스터드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이 향상된다.
상기 기둥조립체는 메인프레임재와 형상유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선조립체를 먼저 제작하고 현장에 설치한 후 선조립체에 코너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는데, 개방적인 형태를 가지는 선조립체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이음 및 보강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조립체가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다이어프램이 기둥-보 접합부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응력을 전달을 명확하게 하는 것 외에도, 기둥조립체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때에는 기둥 상에서 보가 접합되어야할 위치를 안내해주고 기둥과 보의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 설치구조',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조립체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기둥조립체를 이루는 메인프레임재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메인프레임재와 코너부재가 접합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4는 상기 메인프레임재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메인프레임재와 코너부재가 접합되는 방법의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5는 상기 기둥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기둥조립체를 이루는 형상유지부재가 템플레이트인 경우에 있어 수직철근이 템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기둥조립체의 이음 시 수직철근을 겹침이음 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형상유지부재가 철근성형체인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철근성형체가 메인프레임재와 접하는 방법의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10은 상기 기둥조립체가 콘크리트 타설관을 더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기둥조립체가 다이어프램을 더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을 위한 기둥조립체(600)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됨으로써 기둥을 이루게 되는 구조재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조립체(600)는 폐쇄적인 단면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CFT구조의 기둥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조립체(600)의 외면을 이루는 부재는 기둥의 외피를 이루는 동시에 기둥 단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고, 기둥조립체 외면의 내부 공간으로도 강재가 배치되므로 콘크리트에 대한 구속효과, 단면성능, 형태유지력 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소요내력이 큰 중·대단면의 기둥에도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둥조립체(600)는, 기둥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자형 단면의 코너부재(610)와, 기둥의 각 면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부재(610)와 접합됨으로써 코너부재(610)와 함께 기둥조립체(600)를 폐쇄된 구조로 만들어주는 메인프레임재(620) 및, 각 메인프레임재(620)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메인프레임재(620)들을 일체화시켜주되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된 형상유지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는 상기 기둥조립체(60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강판을 ㄱ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작한 코너부재(610)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ㅡ자 또는 ㄱ자 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재(620)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조립체(600)의 둘레부분에 배치되어 기둥조립체(600)가 강재에 의해 폐쇄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재(620)는 ㅡ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경우에 따라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가 접합되는 모습이 달라진다.
상기 메인프레임재(620)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의 레그는 같은 각도로 놓여진 상태에서 접합된다.
도 2에 도시된 기둥조립체(600)의 경우 메인프레임재(620)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의 레그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접합되어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 레그의 외면이 같은 면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위 경우, 메인프레임재(620) 및 코너부재(610)의 레그 단부에는 기둥조립체(60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611, 621)가 형성되고 각 부재의 절곡부(611, 621)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기둥조립체(600)의 외면에는 기둥조립체(600)의 길이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게 된다. 이 홈은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의 접합시 용접채움 공간이 되어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의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재(620) 및 코너부재(610)의 레그 단부가 절곡됨으로 인해 부재의 단면성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절곡부(611, 621)가 콘크리트와 위 두 부재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스터드의 역할을 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우수한 기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프레임재(620)가 코너부재(610)의 레그와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접합되는 경우, 위와 같이 메인프레임재(620) 및 코너부재(610) 레그 단부에 절곡부(611, 6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곡부(611, 621)를 구비하지 않고 접합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재(620)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가 접합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재(620)는 인접하는 코너부재(610)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의 레그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접합된다.
인접하는 코너부재(610)들은 각 부재의 레그 사이에 좁은 틈이 형성될 정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됨으로써 위 틈이 용접채움 공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메인프레임재(620)의 단부는 절곡되어 메인프레임재(620)의 단면성능 및 콘크리트와 메인프레임재(620)의 일체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재(620)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가 접합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메인프레임재(620)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메인프레임재(620)의 각 레그는 기둥조립체(600)의 내측을 향하도록 기둥조립체(600) 외면 중앙에 놓이고, 메인프레임재(620)의 레그와 코너부재(610)의 레그는 45도 각도를 이루며 접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재(620)의 레그와 코너부재(610)의 레그가 45도 각도를 이루며 접합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홈은 용접채움 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재(620)가 기둥조립체(600)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코너부재(610)의 레그 말단은 메인프레임재(620)의 레그 선단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너부재(610)의 레그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611)가 메인프레임재(620)의 레그 외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재(620)가 절곡부(621)를 가지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메인프레임재(620)로 기성의 ㄷ자 형강을 사용하고,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메인프레임재(620)로 기성의 ㄱ자형 앵글을 사용하여 메인프레임재(620)의 제작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재(620)는 형상이 단순하여 후판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므로 그 두께를 코너부재(61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여,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 부재 접합시 보 부재의 플랜지 두께와 관계없이 기둥조립체(600)에 직접 접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재(630)는 각 메인프레임재(620)의 내측면과 접합되어 기둥조립체(600)의 네 면에 배치된 메인프레임들이 일체화되도록 연결해줌으로써 기둥조립체(600)의 사각형 단면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형상유지부재(630)의 중앙부는 개방적으로 형성되어 기둥조립체(60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가 고르게 충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조립체(600)는 제작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형상유지부재(630)와 메인프레임재(620)만을 먼저 조립한 후 코너부재(610)를 부착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재(620)들은 강성이 크고 형상유지부재(630)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재(620)와 형상유지부재(630)의 조립체(이하 '선조립체(E)'라 한다)는 그 형상이 견선조립체(E)는 코너부재(610)가 미부착된 상태의 부재로서 개방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내부로 작업도구 등을 접근시킬 수 있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수직철근(640) 등의 배치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고, 형태 유지력이 우수하여 코너부재(610) 등의 부착작업시 작업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본 발명에 의한 기둥조립체(600)는 상기 형상유지부재(630)에 고정되는 수직철근(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철근(640)은 기둥의 소요 내력이 큰 경우에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콘크리트와 합성됨으로써 기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형상유지부재(63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기둥조립체(600)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관통홀(h)이 형성된 수평한 판형의 템플레이트(630A)일 수 있다.
상기 템플레이트(630A)는 메인프레임재(620)의 형상에 따라 마름모 또는 팔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재(620)들을 일체화시킨다. 그리고 템플레이트(630A)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h)은 콘크리트 타설공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판형의 템플레이트(630A) 아래 공간에까지 콘크리트가 고르게 타설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관통홀(h) 외에도 템플레이트(630A)가 메인프레임재(620)와 접하게 되는 단부에는 홈을 두어 템플레이트(630A)와 메인프레임재(620) 사이에 콘크리트 에어홀(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템플레이트(630A) 하면과 메인프레임재(620) 내측면 사이의 공기에 의해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형상유지부재(630)가 템플레이트(630A)인 경우에 있어 수직철근(640)이 템플레이트(630A)에 고정되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템플레이트(630A)에는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직철근(640)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가지는 철근삽입공(I)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철근(640)이 철근삽입공(I)을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템플레이트(630A)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템플레이트(630A)의 가장자리에 철근안치홈(L)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철근(640)이 철근안치홈(L) 내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템플레이트(630A)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철근삽입공(I) 및 철근안치홈(L)은 템플레이트(630A)의 제작 시에 수직철근(640)의 배치형태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직철근(640)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철근안치홈(L)에 의하여 수직철근(640)이 고정되는 경우에는 U형고리(U) 내 공간에 수직철근(640)을 삽입시키고 U형고리(U)의 단부를 템플레이트(630A)에 용접하거나, 수직철근(640)을 템플레이트(630A)에 태그용접함으로써 철근안치홈(L) 내에서 수직철근(6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상기 기둥조립체(600)는 길이방향으로 이음을 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기둥조립체(600)의 이음 시 수직철근(640)의 겹침이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템플레이트(630A)에 수직철근(640)의 수보다 많은 수의 철근삽입공(I) 또는 철근안치홈(L)을 형성하고 상하로 이음되는 수직철근(640)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근한다.
템플레이트(630A)에의 수직철근(640) 고정 방법으로는 상기한 방법 외에도 요철이 없는 템플레이트(630A)의 가장자리에 용접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형상유지부재(63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타 실시예의 형상유지부재(630)는 철근을 나선형으로 절곡성형한 철근성형체(630B)이다.
상기 철근성형체(630B)는 하나의 철근으로 연속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메인프레임재(620)와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상기 철근성형체(630B)는 도 9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재(620)와 선적으로 접하도록 메인프레임재(620)의 내측면 형상에 맞추어 절곡될 수도 있고, 도 9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재(620)와 점적으로 접하도록 절곡될 수도 있다. 철근성형체(630B)와 메인프레임재(620)가 점적으로 접하는 경우에는 두 부재가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재(620)가 절곡부(621)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철근성형체(630B)와 메인프레임재(620)가 여러 점에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철근성형체(630B)가, 도 9의 (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메인프레임과 선적 및 점적으로 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형상유지부재(630)의 중앙부 공간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타설공(p)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관(67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는 콘크리트 타설관(670)이 구비된 경우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관(670)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트레미관이 다른 부재와 부딪히지 않고 기둥조립체(600) 내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기둥조립체(6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기둥조립체(60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관(670)에 형성된 타설공(p)은 콘크리트 타설관(670) 외부의 공간으로도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관(670)은, 형상유지부재(630)에 태그용접되어 부착된다.
상기 기둥조립체(600)는, 기둥조립체(600)가 보(700)와 접합되는 높이에서 중앙에 관통홀(h)이 형성된 수평한 판형의 다이어프램(6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다이어프램(650)이 더 구비된 기둥조립체(60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650)은 보(700)가 철골 또는 강재조립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 보(700)의 플랜지 높이에 설치되어 기둥-보 접합부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응력의 전달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650)은 기둥조립체(650) 외면의 폭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51)는 기둥 상에서 보가 접합되어야할 위치를 안내해주고 보가 기둥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이어프램(650)에 돌출부(65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다이어프램(650)이 메인프레임재(620)와 간섭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다이어프램(650)이 설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메인프레임재(62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프레임재(620)가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코너부재(610)가 기둥조립체(600) 외면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다이어프램(650)에 설치되는 위치에서 코너부재(610)에 긴 홈을 형성하여 다이어프램(650)이 코너부재(610)와 간섭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코너부재(610)의 각 레그 사이 및/또는 마주보는 메인프레임재(620) 사이에는 타이부재(6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이부재(660)는 기둥조립체(600)의 형상 유지력을 보다 향상시켜 기둥조립체(600)의 강성을 증대시켜주고 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해 기둥조립체(6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600 : 기둥조립체 610 : 코너부재
611, 621 : 절곡부 620 : 메인프레임재
630 : 형상유지부재 630A : 템플레이트
630B : 철근성형체 640 : 수직철근
650 : 다이어프램 660 : 타이부재
670 : 콘크리트 타설관 700 : 보
h : 관통홀 p : 타설공

Claims (12)

  1.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을 위한 기둥조립체(600)에 있어서,
    기둥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자형 단면의 코너부재(610)와, 기둥의 각 면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너부재(610)와 접합됨으로써 코너부재(610)와 함께 기둥조립체(600)를 폐쇄된 구조로 만들어주는 메인프레임재(620) 및, 각 메인프레임재(620)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메인프레임재(620)들을 일체화시켜주되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된 형상유지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기둥조립체(600)가 보(700)와 접합되는 높이에는, 중앙에 관통홀(h)이 형성된 수평한 판형의 다이어프램(650)이 구비되며,
    한 코너부재(610)의 각 레그 사이와, 마주보는 메인프레임재(62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타이부재(6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재(620)는 인접하는 코너부재(610)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메인프레임재(620)와 코너부재(610)의 레그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재(62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레그가 기둥조립체(60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메인프레임재(620)의 레그와 코너부재(610)의 레그는 45도를 이루며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재(630)는 중앙에 관통홀(h)이 형성된 수평한 판형의 템플레이트(63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재(630)는 철근을 나선형으로 절곡성형한 철근성형체(63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650)은 기둥조립체(600) 외면의 폭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64602A 2014-05-28 2014-05-28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KR101565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602A KR101565463B1 (ko) 2014-05-28 2014-05-28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602A KR101565463B1 (ko) 2014-05-28 2014-05-28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463B1 true KR101565463B1 (ko) 2015-11-03

Family

ID=5459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602A KR101565463B1 (ko) 2014-05-28 2014-05-28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46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218B1 (ko) 2017-03-07 2017-05-29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박스형 cft기둥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
JP2018096071A (ja) * 2016-12-12 2018-06-21 大成建設株式会社 複合建物
CN108468381A (zh) * 2018-03-12 2018-08-31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房屋的主承重立柱结构
KR101926248B1 (ko) 2017-01-17 2018-12-06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제작 프레임 및 바인딩 프레임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KR101926247B1 (ko) * 2017-01-17 2018-12-06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바인딩 프레임이 구성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KR20190002101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포스코 중공 구조체 및, 기둥과 보의 접합 구조
KR20190097757A (ko) * 2018-02-13 2019-08-21 유진오 철판절곡 기둥구조체 및 철판절곡 기둥구조체의 제조방법
WO2020061663A1 (pt) * 2018-09-27 2020-04-02 Prates Aguiar Otavio Componente de aço espiralado por barra de armadura helicoidal para composição de elementos e ligações mistas
JP2020204257A (ja) * 2020-09-15 2020-12-24 大成建設株式会社 複合建物
KR20230125633A (ko) * 2022-02-21 2023-08-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Cft기둥용 보강근 조립 고정장치
KR102676301B1 (ko) * 2021-08-03 2024-06-19 염경수 자립형 링컬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293B1 (ko) * 2005-08-22 2006-10-27 대한주택공사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KR100684931B1 (ko) * 2006-02-28 2007-02-22 염경수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설치구조
KR101159041B1 (ko) * 2011-07-25 2012-07-03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293B1 (ko) * 2005-08-22 2006-10-27 대한주택공사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KR100684931B1 (ko) * 2006-02-28 2007-02-22 염경수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설치구조
KR101159041B1 (ko) * 2011-07-25 2012-07-03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6071A (ja) * 2016-12-12 2018-06-21 大成建設株式会社 複合建物
KR101926248B1 (ko) 2017-01-17 2018-12-06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제작 프레임 및 바인딩 프레임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KR101926247B1 (ko) * 2017-01-17 2018-12-06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바인딩 프레임이 구성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KR101741218B1 (ko) 2017-03-07 2017-05-29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박스형 cft기둥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
KR102131488B1 (ko) * 2017-06-29 2020-07-07 주식회사 포스코 중공 구조체 및, 기둥과 보의 접합 구조
KR20190002101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포스코 중공 구조체 및, 기둥과 보의 접합 구조
KR20190097757A (ko) * 2018-02-13 2019-08-21 유진오 철판절곡 기둥구조체 및 철판절곡 기둥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99504B1 (ko) * 2018-02-13 2020-04-09 유진오 철판절곡 기둥구조체 및 철판절곡 기둥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8468381B (zh) * 2018-03-12 2020-06-30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房屋的主承重立柱结构
CN108468381A (zh) * 2018-03-12 2018-08-31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房屋的主承重立柱结构
WO2020061663A1 (pt) * 2018-09-27 2020-04-02 Prates Aguiar Otavio Componente de aço espiralado por barra de armadura helicoidal para composição de elementos e ligações mistas
JP2020204257A (ja) * 2020-09-15 2020-12-24 大成建設株式会社 複合建物
KR102676301B1 (ko) * 2021-08-03 2024-06-19 염경수 자립형 링컬럼
KR20230125633A (ko) * 2022-02-21 2023-08-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Cft기둥용 보강근 조립 고정장치
KR102630634B1 (ko) * 2022-02-21 2024-01-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Cft기둥용 보강근 조립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463B1 (ko)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0727541B1 (ko) 구축물용 구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89561B1 (ko)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KR101741218B1 (ko)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박스형 cft기둥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
JP2010203139A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577019B1 (ko) Cft기둥의 다이아프램 및 수평응력 보강 구조와, 동 구조가 적용된 cft기둥의 제작방법
KR101900310B1 (ko) L형 강재의 모서리가 내향 설치된 선조립 src 기둥 구조체
JP7186017B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及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の施工方法
KR101619067B1 (ko)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KR20170066192A (ko)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제조방법
KR20160137705A (ko) Cft기둥의 합성거더 접합구조
KR101989224B1 (ko)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JP4802111B2 (ja) 長尺構造物及び鉄骨鉄筋部材
JP2017095986A (ja) 鉄骨コンクリート架構の補強構造
JP2005220699A (ja) 既設柱の補強構造、及びその補強方法
KR101990496B1 (ko) Cft기둥용 조립식 튜브컬럼의 제작방법
KR101926247B1 (ko) 바인딩 프레임이 구성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KR20180005946A (ko) 선조립 src 기둥 구조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846501B1 (ko) 철근래티스 콘크리트 스틸합성 박스형 기둥 구조체
KR101926248B1 (ko) 제작 프레임 및 바인딩 프레임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JP6148697B2 (ja) 型枠
JP6512431B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