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430B1 -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30B1
KR101565430B1 KR1020130107289A KR20130107289A KR101565430B1 KR 101565430 B1 KR101565430 B1 KR 101565430B1 KR 1020130107289 A KR1020130107289 A KR 1020130107289A KR 20130107289 A KR20130107289 A KR 20130107289A KR 101565430 B1 KR101565430 B1 KR 10156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furan
methyl
naphtho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916A (ko
Inventor
김보연
크리사다 삭차이스리
김선옥
라메고우다 띠메오고단 나라가나할리
성낙균
안종석
황준성
류인자
장재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3/00808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38894A1/ko
Publication of KR2014003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916A/ko
Priority to US14/641,065 priority patent/US94336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45Indole-alkylamines; Amides thereof, e.g. serotonin, melato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세포 유사분열 저해제인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는 유사분열 과정에서 튜불린의 중합을 저해하여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또한 다제약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에도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다양한 암을 비롯한 세포증식성 질병의 치료에 중요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N-methylenenaphtho[2,1-b]furan-2-carbohydrazide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을 비롯한 세포 증식성 질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미세소관을 탈중합시켜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도하고, 다제약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에도 작용할 수 있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소관(microtubule)은 세포 골격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α 소단위체와 β 소단위체로 이루어진 튜불린(tubulin) 이형중합체로 구성된다. 미세소관은 세포 내 수송, 극성 유지, 세포 내 신호 전달, 세포 이주 및 증식 등 다양한 세포의 작용을 수행한다. 세포의 유사분열 중에는 방추사를 형성하여 염색체가 세포 중심에 배열된 후 양극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방추사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세포 분열이 억제되어 세포자살(apoptosis)이 일어나게 되므로, 항암제의 타겟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세소관을 타겟으로 하는 약물들은 크게 미세소관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약물과 미세소관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약물의 두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미세소관 안정제에는 taxane, paclitaxel(Taxol), decetaxel 등이 있으며, 미세소관이 탈중합되는 것을 막고 중합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대부분의 미세소관 안정 물질들은 taxane- 결합 부위 또는 β 튜불린의 overlapping site에 결합한다. 미세소관 탈안정제에는 콜키친(colchicine), vinca alkaloid 등이 있는데, 콜키친이나 vinca 결합 부위에 결합한다. 미세소관 중합체에 영향을 주는 약물보다 이들 미세소관 자체를 타겟으로 하는 약물이 더 낮은 농도에서 효과를 보이며, 결과적으로 세포 유사분열을 저해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미세소관을 타겟으로 하는 약물들, 특히 paclitaxel과 vinca alkaloid가 임상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지만, 후천적 내성 획득 및 암세포 본연의 내성으로 인해 효능(efficacy)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약물들에 대한 내성은 약물 유출 펌프인 P-glycoprotein(P-gp)과 같은 다제약내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과 관련이 있다. 내성은 tubulin isotype 수치의 변화 또는 돌연변이 발생으로 인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튜불린 저해제는 독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어(특히 신경독성) 최근 개발이 주춤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신경독성이 낮고 항암제 내성 기전에 영향받지 않는 신규한 튜불린 저해제 개발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세포 증식성 질병 치료물질을 찾고자 small-molecule library로부터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한 결과,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가 세포 유사분열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므로, 상기 화합물을 암을 비롯한 세포 증식성 질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미세소관을 탈중합시켜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발하고, 다제약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유사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암을 비롯한 세포증식성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HeLa 세포에 대한 항증식활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HeLa 세포에 처리한 경우 각 세포주기에 있는 세포의 수를 유동세포계수법으로 계수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HeLa 세포에 처리한 경우 유사분열 중에 있는 세포들을 계수한 결과, 유사분열 지표가 ~30%에서 ~80%로 증가활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단백질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면역블로팅 도이다.
도 5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자살과 관련된 단백질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면역블로팅 도이다.
도 6은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in vitro에서 튜불린의 중합에 미치는 영향을 탁도(degree of turbidity)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유사분열 중인 세포의 방추사와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하여 taxol 및 nocodazol과 비교한 도이다.
도 8은 다양한 농도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유사분열 중인 세포에 처리한 후 방추사와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컴퓨터 모델링으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튜불린에 결합하는 부위를 확인한 도이다. 회색은 α소단위체, 청색은 β 소단위체를 의미한다.
도 10은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및 콜히친을 처리하여 피부 종양의 수를 확인한 도이다.
A: TPA 처리한 군;
B: TPA+ 콜히친 처리한 군; 및
C: TPA+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한 군.
도 11은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및 콜히친을 처리하여 피부 종양의 평균 수 및 부피를 확인한 도이다.
A: 피부 종양의 평균 수; 및
B: 피부 종양의 부피.
도 12는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서 피부 종양을 가지고 있는 마우스의 수를 확인한 도이다.
도 13은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서 DMBA를 억제한 후 종양의 평균 무게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8178711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15006226725-pat00094
,
Figure 112015006226725-pat00095
또는 벤질옥시페닐이고,
여기서, 상기 R2는 메틸이고, R3 메틸, 알릴, 시아노메틸 또는 -CH2(C=O)0CH2CH3이고, R4는 나이트로, 4-브로모페닐, 2,3-디클로로페닐, 4-나이트로페닐 또는 4-메틸-3-나이트로페닐이다).
삭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81787111-pat00007
,
[화학식 3]
Figure 112013081787111-pat00008
,
[화학식 4]
Figure 112013081787111-pat00009
,
[화학식 5]
Figure 112013081787111-pat00010
,
[화학식 6]
Figure 112013081787111-pat00011
,
[화학식 7]
Figure 112013081787111-pat00012
,
[화학식 8]
Figure 112013081787111-pat00013
,
[화학식 9]
Figure 112013081787111-pat00014
,
[화학식 10]
Figure 112015006226725-pat00015
, 및
[화학식 11]
Figure 112015006226725-pat00016
.

상기 세포증식성 질병은 암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암은 직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는 미세소관(microtubule)을 탈중합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는 튜불린(tubulin)의 콜히친 결합부위(colchicines-binding-site)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는 세포주기(cell cycle)를 G2기 또는 M 기에 정지시켜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는 다제약내성(multidrug resistance)을 보이는 암세포에 작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의 세포 항증식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을 여러 농도로 HeLa 세포주에 처리하고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HeLa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의 세포 항증식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을 여러 농도로 각각의 암세포주(결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뇌암, 신경교중)에 처리하고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직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뇌암, 신경교종 세포주에서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의 다제약내성을 보이는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에서세포 항증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K562, MCF7 및 각 세포주의 다제약 내성을 가진 세포주인 K562/ADR과 MCF7/ADR에 상기 화합물, doxorubicin 및 taxol을 처리하여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다제약 내성을 가진 세포주에서 저항 인자는 0.2~0.6으로 나타났으며, doxorubicin 및 taxol을 처리한 다제약 내성을 가진 세포주의 저항 인자는 377에서 1584배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이 다제약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주에서 유의적으로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3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가 세포주기 진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을 HeLa 세포에 17시간 동안 처리하고 세포 주기 분포와 유사분열 지표를 확인한 결과, 상기 화합물이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가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튜불린 탈중합 제제(depolymerizing agent)인 nocodazol을 HeLa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들인 Cdc25C, Cyclin B1, Plk1(Polo-like kinase 1)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비교한 결과, nocodazol을 처리한 세포와 마찬가지로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HeLa 세포에서도 Cdc25C가 인산화되고 Cyclin B1과 Plk1이 세포 내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가 세포자살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eLa 세포에 DMSO 및 상기 화합물을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세포사멸과 관련된 단백질들인 caspase3 및 PARP의 발현을 면역블로팅으로 확인한 결과, HeLa 세포에 상기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자살이 유발됨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의 튜불린 중합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제된 튜불린과 GTP를 포함하는 버퍼에 5μM의 상기 물질을 세포에 처리하였다. 또한, DMSO 및 같은 농도의 Taxol, vinblastine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물질로 처리된 세포를 비교한 결과, 튜불린을 처리한 세포에서 Taxol을 처리한 세포보다 탁도가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가 세포내 미세소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eLa 세포에 DMSO, Taxol(100 μM), nocodazole(200 ng/ml) 또는 상기 화합물(5 μM)을 17시간 동안 처리하고, 세포를 고정한 후, Alexa Fluor 488-conjugated anti-tubulin antibody와 Hoechst 33342 면역염색하여 α튜불린과 염색체를 확인한 결과, Taxol을 처리한 세포는 튜불린 중합을 강화시켜 염색체가 농축된 다극성 방추사를 생성케 하였고, 이와 대조적으로, nocodazole이나 상기 화합물로 처리된 세포들은 염색체가 덜 농축되어 미세소관이 파괴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화합물을 HeL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1 uM 상기 화합물의 농도에서 모든 미세소관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미세소관의 기능을 저해하여 염색체가 정확하게 분열되지 못하는 현상을 확인 하였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가 튜불린에서 결합하는 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컴퓨터 모델링을 사용하여, X-ray structure PDB code 1SA0으로부터 상기 화합물이 튜불린에 결합하는 모드를 결정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튜불린의 α와 βsubunit 사이에 결합함을 확인하였다(도 9 참조).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및 콜히친의 DMBA/TPA를 사용하여 암을 유발시킨 FVB/N 마우스에서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MBA를 FVB/N 마우스에 처리하여 종양생성을 유발한 후, TPA를 처리하여 종양을 촉진시키고 그룹 1: DMBA 및 아세톤 처리군(음성대조군), 그룹 2: DMBA 및 TPA 처리군(양성대조군), 그룹 3: DMBA/TPA 처리 후 콜히친 처리군(실험군 1) 및 그룹 4: DMBA/TPA 처리 후 상기 화합물 처리군(실험군 2)으로 구분하여 실험한 결과, 콜히친 및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피부 종양의 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참조).
또한,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및 콜히친(colchicines)을 처리하여 피부 종양의 수 및 크기 확인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물질을 처리한 마우스 그룹에 피부 종양의 평균 수 및 부피를 15 주 동안 관찰하고, 각 그룹 당 피부 종양의 평균 수 및 부피를 계산한 결과, DMBA/TPA를 사용하여 피부 발암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상기 화합물과 콜히친은 유의적인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참조).
또한,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및 콜히친(colchicines)을 처리하여 피부 종양을 가지고 있는 마우스의 수 확인을 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물질을 처리한 마우스 그룹을 15주 동안 관찰하고, 종양발생을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 양성대조군에서 종양(2 mm)의 발생은 8주부터 시작되었고, 10주 때 100%로 도달되었지만, 콜히친 또는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9주 또는 10주 때까지 지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참조).
또한,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 DMBA 처리 후 종양의 평균 무게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종양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DMBA를 처리한 후 종양의 평균 무게를 15주 동안 관찰 및 측정한 결과, 콜히친 또는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종양 무게를 나타내었고,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실험군 2는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1/10배 낮은 평균 종양 무게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세포 유사분열 저해제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는 유사분열 과정에서 튜불린의 중합을 저해하여 세포자살을 유도하고, 다제약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에도 효과가 우수함으로, 다양한 암을 비롯한 세포증식성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담배풀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1 mg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0.5 mg 내지 1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81787111-pat0001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15006226725-pat00096
,
Figure 112015006226725-pat00097
또는 벤질옥시페닐이고,
여기서, 상기 R2는 메틸이고, R3 메틸, 알릴, 시아노메틸 또는 -CH2(C=O)0CH2CH3이고, R4는 나이트로, 4-브로모페닐, 2,3-디클로로페닐, 4-나이트로페닐 또는 4-메틸-3-나이트로페닐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81787111-pat00024
,
[화학식 3]
Figure 112013081787111-pat00025
,
[화학식 4]
Figure 112013081787111-pat00026
,
[화학식 5]
Figure 112013081787111-pat00027
,
[화학식 6]
Figure 112013081787111-pat00028
,
[화학식 7]
Figure 112013081787111-pat00029
,
[화학식 8]
Figure 112013081787111-pat00030
,
[화학식 9]
Figure 112013081787111-pat00031
,
[화학식 10]
Figure 112015006226725-pat00032
, 및
[화학식 11]
Figure 112015006226725-pat00033
.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세포 유사분열 저해제인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는 유사분열 과정에서 튜불린의 중합을 저해하여 세포자살을 유도하고, 다제약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에도 효과가 우수함으로, 다양한 암을 비롯한 세포증식성 질병의 치료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유기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하여 제조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하거나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의 항증식 활성 확인
<1-1>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의 항증식 활성 확인
small molecule library에서 선별한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들의 항증식 활성에 대해 확인하고, 어떤 구조가 항증식 활성을 갖게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eLa 세포주(ATCC, 미국)에 하기 표 1 화합물들을 각각 처리하고 IC50(세포 성장을 50% 저해하는 농도)농도를 확인하였다(표 1).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들 중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가장 항증식 활성이 높았다.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IC50는 0.26uM로서, 0.44~5.4uM인 다른 analog 화합물들과 비교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아세테이트로부터 indole nitrogen에 부착된 acetate 기를 methyl기로 치환한 경우(화합물 A), 활성이 2배 저하되었다. propene이나 acetonitryl(화합물 B, 화합물 C)로 치환한 경우에는 항증식 활성이 8배에서 10배 감소되었다. indole 고리가 furan으로 대체되었을 때(화합물 D-H) 또는 페닐기로 치환되었을 때(화합물 I, J)의 경우는 항증식 활성이 9배에서 15배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STK899704)가 유력한 세포증식성 질병의 치료제 후보물질임을 확인하였다(표 1).
화합물 구조식 IC50(μM)
STK899704
(화학식 2)
Figure 112015006226725-pat00035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0.26






A
(화학식 3)
Figure 112015006226725-pat00036

(E)-N'-(1,2-다이메틸-1H-인돌-3-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0.44
B
(화학식 4)
Figure 112015006226725-pat00037

(E)-N'-((1-알릴-2-메틸-1H-인돌-3-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1.96
C
(화학식 5)
Figure 112015006226725-pat00038

(E)-N'-((1-(시아노메틸)-2-메틸-1H-1H-인돌-3-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2.61
D
(화학식 6)
Figure 112015006226725-pat00039

(E)-N'-((5-(4-브로모페닐)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2.24
E
(화학식 7)
Figure 112015006226725-pat00040

(E)-N'-(5-(2,3-디클로로페닐)퓨란-2-일)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2.61
F
(화학식 8)
Figure 112015006226725-pat00041

(E)-N'-((5-(4-니트로페닐)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2.88
G
(화학식 9)
Figure 112015006226725-pat00042

(E)-N'-((5-(4-메틸-3-니트로페닐)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3.11
H
(화학식 10)
Figure 112015006226725-pat00043

(E)-N'-((5-니트로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5.4
I
(화학식 11)
Figure 112015006226725-pat00044

(E)-N'-(4-(벤질옥시)벤질리덴)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3.67
<1-2>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항증식활성 확인
HeLa 세포주에 각각 100 nM, 250 nM, 500 nM 및 1 μM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또는 DMSO를 4일간 처리하였다. 세포 성장은 MTT assay로 확인하였고, 모든 수치는 day 0의 수치를 정규화(normalize)시켜 산정한 수치로 표현하였다.
구체적으로, HeLa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2×103 cell/well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그런 다음 세포에 DMSO 또는 컴파운드를 처리한 후 바로 MTT 시약을 웰 당 10 ul씩 첨가하여 2시간 후 OD 450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Day 0로 하고, 4일 후 다시 MTT 시약을 첨가하여 2시간 후 OD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assay를 세 번 반복하여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는 농도 의존적으로 HeLa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이 때, IC50은 260 nM임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항증식 효과 확인
<2-1>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항증식 효과 확인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HeLa(자궁경부암 세포주)뿐 아니라 다른 암세포에도 항증식 활성을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microtiter plate(1-3 x 103 cells/well)에 다양한 암세포주(결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뇌암, 신경교종 세포주)를 배양하고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하여 4일간 배양하였다. 세포독성은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MTT assay로 확인하였고, IC50은 log-dose response curve로 산정하였다. 데이터는 assay를 세 번 반복하여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
그 결과,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자궁경부암, 직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뇌암, 신경교종 세포주에서 세포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으며, 이 때 IC50은 0.22에서 1.06 μM으로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세포주 종양 기원 부위 IC 50 ( nM )
HeLa 자궁경부 260
Hep3B 683
HepG2 820
HCT116 대장 717
HT-29 대장 701
PC-3 전립선 650
A549 843
NCl-H460 806
MDA-MB-231 유방 543
SNU-484 221
SNU-601 773
HL60 혈액 563
A-172 603
SNB-75 588
U373MG 517
<실시예 3> 다제약내성을 보이는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항증식 효과 확인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다제약내성(Multi Drug Resistance)을 보이는 암세포주에도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microtiter plate(1-3 x 103cells/well)에 K562, MCF7(바이오평가센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 및 각 세포주의 다제약 내성을 가진 세포주인 K562/ADR과 MCF7/ADR(바이오평가센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를 배양하고,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doxorubicin, 또는 taxol을 처리하여 4일간 배양하였다. 세포독성은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MTT assay로 확인하였고, IC50은 log-dose response curve로 산정하였다. 데이터는 assay를 세 번 반복하여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표 3).
다제약내성을 보이는 세포주의 저항 인자(resistance factor)는 내성이 없는 모세포주(parent)의 IC50에 대한 다제약내성 세포주의 IC50의 비율을 의미하며, 괄호 안에 숫자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제약내성 세포주는 doxorubicin, taxol에 대해 저항인자가 377에서 1584 배에 달하여, 큰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에 대해서는 저항 인자가 0.2~0.6으로 나타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오히려 다제약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주에 더 강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3).
세포주 IC 50 (μM)
STK899704 Doxorubicin Taxol
K562 450 3.3 2
K562/ADR 285(0.6) 3805(1153) 1822(911)
MCF7 1060 53 4.3
MCF7/ADR 225(0.2) 5230(98) 1625(377)
<실시예 4>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주기 진행에 미치는 효과 확인
<4-1> 세포 수의 확인
HeLa 세포에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17시간 동안 처리하고 세포 주기 분포와 유사분열 지표(mitotic index)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주기 분포는 HeLa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3X 104의 농도로 DMSO 또는 컴파운드를 18 시간동안 처리한 후, 세포에 프로피디움 요오 다이(propidium iodine dye)를 첨가하여 세포 DNA를 염색하고 FAC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유사분열 지표는 HeLa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3X 104의 농도로 DMSO 또는 컴파운드를 18 시간동안 처리한 후, 세포에 프로피디움 요오 다이(propidium iodine dye)를 첨가하여 세포 DNA와 알파 튜불린(alpha-Tubulin)를 형광염색하여 현미경에서 관찰한 후 유사분열시 보이는 특이적인 현상을 직접 수로 세어 그 비율을 수치화하였다. 이때, DNA가 유사분열 시 응축되어 염색사가 실처럼 보이는 현상과 알파 튜불린(alpha-Tubulin)이 방추사를 만드는 현상을 대표적인 판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G2/M 기의 4N DNA 함량이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다. 0.5~1.0 μM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G2/M 기에 있는 세포들의 수는 43%에서 78%로 증가하였다(도 2).
이 때 유사분열 중에 있는 세포(mitotic cells)와 유사한 형태의 원형세포(rounded cells)의 증가를 수반하였다. 유사분열 중에 있는 세포들을 계수한 결과, 유사분열 지표는 ~30%에서 ~80%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도 3). 데이터는 assay를 세 번 반복하여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 오차 막대는 표준 오차를 나타낸다.
따라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G2, M 기에서 세포주기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2>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들에 미치는 영향 확인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분열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비교 대상으로 잘 알려진 튜불린 탈중합 제제(depolymerizing agent)인 nocodazol을 사용하였다.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들인 Cdc25C, Cyclin B1, Plk1(Polo-like kinase 1)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포 분열 과정에서 Cdc25C가 활성화될 때 과인산화되어 SDS-PAGE상에서 더 천천히 이주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Cdc25C의 활성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또한 Cyclin B1과 Plk1의 발현이 세포 주기의 각 단계별로 다르게 조절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Cyclin B1 및 Plk1의 수치는 G1에서 최소이며, S 기에서 축적되기 시작하여 G2/M 경계에서 최대치를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HeLa 세포에 DMSO, nocodazole(NOC), 또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17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수확한 후 cyclin B1, Cdc25C, Plk1, GAPDH에 각각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블로팅 분석을 수행하였다. GAPDH는 로딩 컨트롤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codazole을 처리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한 HeLa 세포에서도 Cdc25C가 인산화되고 cyclin B1과 Plk1이 세포 내 축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4-2> 결과를 통해,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 주기를 G2/M단계에서 억제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5>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발하는지 여부 확인
상기 <실시예 4>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 유사분열을 정지시킴을 확인했으므로, 이것이 세포자살(apoptosis)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eLa 세포에 DMSO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 세포사멸과 관련된 단백질들인 caspase3 및 PARP의 발현을 면역블로팅으로 확인하였다. PARP(poly(ADP-ribose)polymerase)는 caspase 3가 쪼개져(cleavage) 활성화된 결과 활성화되는(downstream cleavage) 단백질의 하나이다. 면역블로팅은 caspase3, PARP, GAPDH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spase-3의 cleavage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처리 24시간 내에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0.5μM 처리하고 48시간이 지난 후에는 크게 유도되었다.. caspase-3의 cleavage 정도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1, 5μM 처리한 경우 더욱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농도, 시간 의존적으로 caspase-3의 cleavage를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PARP의 cleavage도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배양한지 48시간 후에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자살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6>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튜불린 중합에 미치는 효과 확인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튜불린의 중합(polymerization)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6-1> 탁도 확인
in vitro상에서 튜불린의 중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정제된 튜불린과 GTP를 포함하는 버퍼(buffer)에 5 μM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하였다. DMSO, 같은 농도의 Taxol, vinblastine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튜불린이 미세소관으로 조립되었는지 여부는 탁도(degree of turbidity)가 340 nm인지에 따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불린 처리시 Taxol 처리시보다 탁도가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6-2> 염색체 분포 확인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세포내 미세소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eLa 세포에 DMSO, Taxol(100 μM), nocodazole(200 ng/ml) 또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5 μM)를 17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고정한 후, Alexa Fluor 488-conjugated anti-tubulin antibody와 Hoechst 33342 면역염색하여 α튜불린과 염색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Taxol은 튜불린 중합을 강화시켜 염색체가 농축된 다극성 방추사를 생성케 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nocodazole이나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로 처리된 세포들은 염색체가 덜 농축되어 있고 미세소관이 파괴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도 7).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HeL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1 uM의 농도에서 모든 미세소관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미세소관의 기능을 저해하여 염색체가 정확하게 분열되지 못하는 현상을 확인 하였다(도 8).
따라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는 미세소관을 탈중합시키는 제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7> 결합 부위 확인
튜불린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결합하는 부위를 확인하고자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모델링을 사용하여, X-ray structure PDB code 1SA0으로부터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튜불린에 결합하는 모드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는 tubulin의 α와 β subunit 사이에 결합함을 확인하였다(도 9. 무지개색 막대). 콜키친(colchicine)의 결합부위는 핑크색 막대로 나타내었다.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의 결합 부위가 콜키친의 결합 부위와 겹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콜키친은 주로 β 튜불린 소단위체와 결합하는 반면,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는 튜불린 이합체(dimer) 사이 공간 내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부터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튜불린에 결합하며, 항증식 활성은 콜키친 결합 부위에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가 결합함으로써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DMBA/TPA를 사용하여 암을 유발시킨 FVB/N 마우스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및 콜히친(colchicines)의 항암 효과 확인
<8-1> 마우스의 사육 및 구성
본 발명에서 수컷 FVB/N 마우스(6-7 주령, Jackson Laboratory, 미국)는 12 시간 밝은 조명, 12시간 어두운 조명 일주기하에서 물과 사료가 자유롭게 주어지며 온도 24 ± 2℃, 습도 50 ±10%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사육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 관련 진행과정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물시험 관련 위원회로부터 검토되고 승인 받았다. DMBA(7,12-dimethylbenz[α]anthracene),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및 콜히친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구입하였으며 Dr. Thimmegowda로부터 합성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8-2> 피부 종양 유발 마우스 제조 및 항암효과 확인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및 콜히친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FVB/N 마우스의 복부 피부(dorsal skin) 주변을 실험하기 2일 전에 면도 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마우스에 아세톤 0.2 ml에 DMBA 100 ug을 첨가하여 1 주일 동안 단일 국소적으로 처리하여 종양생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상기 종양이 유도된 마우스에 아세톤 0.2 ml에 TPA 5 ug을 첨가하여 15주 동안 두 번씩 처리하여 종양을 촉진 시킨 후, 콜히친 또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아세톤 0.2 ml에 500 Nm 농도로 첨가하여 국소적으로 30 분씩 15주 동안 두 번씩 처리하였다. 각 그룹은 10마리 이상의 마우스로 구성하여 4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그룹 1: DMBA 및 아세톤 처리군(음성대조군)
그룹 2: DMBA 및 TPA 처리군(양성대조군)
그룹 3: DMBA/TPA 처리 후 콜히친 처리군(실험군 1)
그룹 4: DMBA/TPA 처리 후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처리군(실험군 2)
아울러, 유두종과 같은 피부종양을 실험기간 동안 매주 기록하였고, 2 mm이상의 종양은 양성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15주 후 CO2를 사용하여 마우스를 희생 시켰으며 조직병리학 및 생화학적 분석을 하기 위하여 피부 종양을 제거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히친 및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한 실험군은 피부 종양의 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8-3> 피부 종양이 유발된 FVB/N 마우스에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및 콜히친(colchicines)을 처리하여 피부 종양의 수 및 크기 확인
상기 실시예 <8-2>의 방법으로 각기 다른 물질을 처리한 마우스 그룹에 피부 종양의 평균 수 및 부피를 15 주 동안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우스의 각 그룹에서 종양을 관찰하고 데이터를 15주 동안 기록하였으며, 각 그룹 당 피부 종양의 평균 수 및 부피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PA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은 피부 종양의 평균 수 및 부피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15주째 실험 종료 시, 콜히친 또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한 실험군은 피부 종양의 평균 수가 양성 대조군에 비해 각각 2.86배 또는 4.75배 감소하였으며, 피부 종양의 평균 부피는 양성대조군 보다 각각 31.5% 또는 20.30%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8-3>의 결과들을 통해 DMBA/TPA를 사용하여 피부 발암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와 콜히친은 유의적인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8-4> 피부 종양을 가지고 있는 마우스의 수 확인
상기 실시예 <8-2>의 방법으로 각기 다른 물질을 마우스 그룹에 처리하여 피부 종양을 가지고 있는 마우스의 수 확인을 하기 위하여, 15 주 동안 관찰하였으며, 종양발생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대조군에서 종양(2 mm)의 발생은 8주부터 시작되었고, 10주 때 100%로 도달되었지만, 콜히친 또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한 실험군은 9주 또는 10주 때까지 지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8-5> 피부 종양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DMBA 처리 후 종양의 평균 무게 확인
상기 실시예 <8-2>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종양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DMBA를 처리한 후 종양의 평균 무게를 확인하기 위하여 15주 동안 관찰 및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히친 또는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한 실험군은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종양 무게를 나타내었고, 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를 처리한 실험군 2는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1/10배 낮은 평균 종양 무게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직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피부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47775516-pat0004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15047775516-pat00098
    또는
    Figure 112015047775516-pat00099
    이고,
    여기서, 상기 R2는 메틸이고, R3 메틸, 알릴, 시아노메틸 또는 -CH2(C=O)0CH2CH3이고, R4는 나이트로, 4-브로모페닐, 2,3-디클로로페닐, 4-나이트로페닐 또는 4-메틸-3-나이트로페닐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에틸(2-메틸-3-{(E)-[(나프토[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2)(E)-N'-(1,2-다이메틸-1H-인돌-3-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3)(E)-N'-((1-알릴-2-메틸-1H-인돌-3-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4)(E)-N'-((1-(시아노메틸)-2-메틸-1H-1H-인돌-3-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5)(E)-N'-((5-(4-브로모페닐)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6)(E)-N'-(5-(2,3-디클로로페닐)퓨란-2-일)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7)(E)-N'-((5-(4-니트로페닐)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8)(E)-N'-((5-(4-메틸-3-니트로페닐)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 및
    (9)(E)-N'-((5-니트로퓨란-2-일-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르보하이드라지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피부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미세소관(microtubule)을 탈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피부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튜불린(tubulin)의 콜히친 결합부위(colchicines-binding-site)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피부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주기(cell cycle)를 G2기 또는 M 기에 정지시켜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피부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제약내성(multidrug resistance)을 보이는 직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피부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세포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직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백혈병, 신경교종, 피부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47775516-pat0007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15047775516-pat00100
    또는
    Figure 112015047775516-pat00101
    이고,
    여기서, 상기 R2는 메틸이고, R3 메틸, 알릴, 시아노메틸 또는 -CH2(C=O)0CH2CH3이고, R4는 나이트로, 4-브로모페닐, 2,3-디클로로페닐, 4-나이트로페닐 또는 4-메틸-3-나이트로페닐이다).
KR1020130107289A 2012-09-07 2013-09-06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5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8084 WO2014038894A1 (ko) 2012-09-07 2013-09-06 에틸(2-메틸-3{(E)-[(나프타[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4/641,065 US9433607B2 (en) 2012-09-07 2015-03-06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N-methylenenaphtho[2,1-b]furan-2-carbohydrazide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9412 2012-09-07
KR1020120099412 2012-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916A KR20140032916A (ko) 2014-03-17
KR101565430B1 true KR101565430B1 (ko) 2015-11-03

Family

ID=5064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289A KR101565430B1 (ko) 2012-09-07 2013-09-06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3607B2 (ko)
KR (1) KR101565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56A1 (ko) * 2020-06-10 2021-12-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N-아실히드라존 유도체-표지자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31B1 (ko) 2013-04-26 2016-01-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 튜불린 중합 저해제 및 그 합성방법
KR101721490B1 (ko) 2014-07-30 2017-03-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페닐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10292306A1 (en) * 2016-02-19 2021-09-2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Novel indole derivative and anti-cancer con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839391B1 (ko) * 2018-01-30 2018-03-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아실하이드라존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5012226A (es) 2003-05-27 2006-02-10 Basf Ag Derivados de hidrazona para combatir insectos y aracnidos daninos.
WO2013076275A1 (en) * 2011-11-23 2013-05-30 The Provost, Fellows, Foundation Scholars, & The Other Members Of Board, Of The College Of The Holy & Undiv.Trinity Of Queen Elizabeth Near Dublin Androgen receptor ligand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 CABONI et al, J. Med. Chem., 2012, 55, pp. 1635-44(Published online 2012.01.26.).*
SUPPLEMENTARY INFORMATION pp. S1-1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56A1 (ko) * 2020-06-10 2021-12-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N-아실히드라존 유도체-표지자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2502A1 (en) 2015-07-02
US9433607B2 (en) 2016-09-06
KR20140032916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3268B2 (ja) Cdk8/cdk19選択的阻害剤、ならびに癌のための抗転移および化学防御の方法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US10047078B2 (en) Aminothiazole compounds
RU2492864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ка, несущего мутации egfr
KR101565430B1 (ko)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088616A (ja) 再発性神経膠腫および進行性の二次性脳腫瘍からなる群から選択される悪性腫瘍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薬剤の調製方法
US9926306B2 (en) Inhibition of MCL-1 and/or BFL-1/A1
CN101222850B (zh) 治疗对药物有抗性的癌症的方法
CN101102776B (zh) 抗肿瘤药
KR20080031440A (ko) Gsk-3 저해제
US8362072B2 (en) BRCA1-based breast or ovarian cancer treatment agents and methods of use
JP2015536986A (ja) 併用療法
US20090082406A1 (en) Cancer Therapy
JP2003535038A (ja) 蛋白質キナーゼ活性の調節および癌化学療法において用いるための3−ヘテロアリーリデニル−2−インドリノン化合物
Wang et al. Based on 2-(difluoromethyl)-1-[4, 6-di (4-morpholinyl)-1, 3, 5-triazin-2-yl]-1H-benzimidazole (ZSTK474),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PI3Kα selective inhibitors
WO2014038894A1 (ko) 에틸(2-메틸-3{(E)-[(나프타[2,1-b]퓨란-2-일카보닐)하이드라조노]메틸}-1H-인돌-1-일)아세테이트,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80147182A1 (en) Breast cancer therapeutic agent containing 5&#39;-hydroxy-5-nitro-indirubin-3&#39;-oxime as active ingredient
US11427574B2 (en) Compounds for treating Rac-GTPase mediated disorder
US20200276181A1 (en) Thienoisoquinolines and their derivatives for targeting tubulin, ch-tog, aurora a kinase, tpx2, cdk5rap2 and/or aspm
US11141402B2 (en) Compounds useful in inhibiting human trefoil factor 3
WO2018187414A1 (en) Inhibitors of mtor-rictor interactions
CA2441941A1 (en) Thiazolidinedion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for inhibiting or reducing tumour growth
JP2006348021A (ja) 細胞周期阻害剤
WO2019230679A1 (ja) 抗腫瘍剤及び腫瘍治療方法
Xiao Discovery of Novel Tubulin Polymerization Inhibitors and Survivin Inhibitors a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JP2024515727A (ja) チューブリン重合阻害剤としての代謝的に安定なピリミジニルジヒドロキノキサリノ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