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641B1 - 공기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641B1
KR101562641B1 KR1020130143393A KR20130143393A KR101562641B1 KR 101562641 B1 KR101562641 B1 KR 101562641B1 KR 1020130143393 A KR1020130143393 A KR 1020130143393A KR 20130143393 A KR20130143393 A KR 20130143393A KR 101562641 B1 KR101562641 B1 KR 101562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thalpy
outdoor
blowe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830A (ko
Inventor
김진홍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청남공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남공조(주) filed Critical 청남공조(주)
Priority to KR102013014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6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실외 공기를 공급공기로서 실내 측으로 유입시키는 급기(給氣) 송풍기; 실내 공기를 배출공기로서 실외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排氣) 송풍기; 상기 공급공기가 흐르는 급기(給氣) 유로 및 상기 배출공기가 흐르는 배기(排氣)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給氣) 송풍기에 의해 유동 되는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排氣) 송풍기에 의해 유동 되는 상기 배출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전열교환기; 상기 공급공기의 온도 및 습도,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실외 엔탈피 및 실내 엔탈피를 연산하는 엔탈피 연산부; 및 상기 실외 엔탈피와 상기 실내 엔탈피를 기준으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동작과, 상기 제1 동작에 의한 단위시간당 환기량과 실질적으로 동등해지도록 상기 제1 동작 시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키는 제2 동작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엔탈피(entalphy) 차이를 기준으로 외기(外氣)와 배기(排氣) 사이의 전열교환율 및 외기의 유량이 제어되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 사무실, 영업장소, 공장 등 사람이 생활하는 건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쾌적한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조화시스템이 설치된다.
창문은 공기조화시스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직접 연결시켜 대기 중의 쾌적한 공기를 실내에서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었다.
하지만 최근의 경우에는 도시의 대기오염 및 소음, 방범, 단열, 건물의 구조적 특성, 생활의 편리성 등에 의하여 창문을 통한 환기보다는 환풍기의 환기나 공기정화기에 의한 정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실내 공간에는 사람의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여름철에는 냉방을 겨울철에는 난방을 하기 위한 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사람이 활동하는데 쾌적한 공기를 제공해주기 위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는 과정에서 냉난방장치에 의해서 조절된 실내공기의 온도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손실되고, 실외의 대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외공기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
즉, 여름철 냉방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실외의 더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므로서 실내의 냉방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겨울철 난방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의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엔탈피 차이를 이용하여 외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개시한바 있다.(한국등록특허 제10-1221393호)
구체적으로, 위 특허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엔탈피 차이를 기준으로 외기와 환기(換氣)(배기 중 일부가 다시 실내로 돌아오는 공기)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필요 이상의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므로 냉난방부하의 불필요한 증가를 유발한다. 따라서 엔탈피 제어에 의한 에너지 절약에 한계가 있다.
본 개시는 필요 이상의 외기 유입으로 인한 냉난방부하의 증가를 최소화시키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 태양(Aspect)에 의하면, 실외 공기를 공급공기로서 실내 측으로 유입시키는 급기(給氣) 송풍기; 실내 공기를 배출공기로서 실외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排氣) 송풍기; 상기 공급공기가 흐르는 급기(給氣) 유로 및 상기 배출공기가 흐르는 배기(排氣)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給氣) 송풍기에 의해 유동 되는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排氣) 송풍기에 의해 유동 되는 상기 배출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전열교환기; 상기 공급공기의 온도 및 습도,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실외 엔탈피 및 실내 엔탈피를 연산하는 엔탈피 연산부; 및 상기 실외 엔탈피와 상기 실내 엔탈피를 기준으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동작과, 상기 제1 동작에 의한 단위시간당 환기량과 실질적으로 동등해지도록 상기 제1 동작 시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키는 제2 동작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상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상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하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하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엔탈피 연산부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공급공기 입구 측의 온도 및 습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 엔탈피를 연산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배출공기 입구 측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상기 실내 엔탈피를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가 설정된 냉방 엔탈피가 되도록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냉방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냉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냉방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가 설정된 난방 엔탈피가 되도록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난방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난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냉방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는 그 회전속도가 인버터 모터에 의해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의하면, 실외 엔탈피 및 실내 엔탈피를 기준으로 급기 송풍기와 배기 송풍기를 제1 동작과 제2 동작으로 제어하므로 필요 이상의 외기 도입으로 인한 냉난방부하의 불필요한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동작과 제2 동작의 제어로 인해 전력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급기 송풍기와 배기 송풍기가 연속운전 또는 간헐운전으로 설정된 경우의 송풍기 풍량 및 기동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및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은 급기 송풍기(110), 배기 송풍기(120), 전열교환기(130), 엔탈피 연산부(140) 및 제어부(c)를 포함한다.
급기(給氣) 송풍기(110)는 실외 공기를 공급공기로서 실내 측으로 유입시키도록 구비되고, 배기(排氣) 송풍기(120)는 실내 공기를 배출공기로서 실외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는 모두 팬 본체와, 이를 구동시키는 팬 모터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팬 모터는, 그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회전수 전환기구가 배치되며, 이 회전수 전환기구에 의해 팬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팬 모터는 인버터 모터로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회전수다 변경될 수 있다.
전열교환기(130)는 공급공기가 흐르는 급기(給氣) 유로 및 배출공기가 흐르는 배기(排氣) 유로를 포함하며, 급기 송풍기(110)에 의해 유동 되는 공급공기와 배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 되는 배출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비된다.
전열교환기(130)에서는 급기 유로를 흐르는 실외의 공기와, 배기 유로를 흐르는 실내의 공기 중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열과 수분이 이동한다. 즉, 전열교환기(130)에서는 습윤공기 사이에서 엔탈피가 교환되도록 구성된다.
엔탈피 연산부(140)는 공급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배출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실외 엔탈피 및 실내 엔탈피를 연산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엔탈피 연산부(140)는 공급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급기측 온습도검침구 및 배출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배기측 온습도검침구를 포함한다. 또한 엔탈피 연산부(140)는, 전열교환기(130)의 공급공기 입구 측의 온도 및 습도를 이용하여 실외 엔탈피를 연산하며, 전열교환기(130)의 배출공기 입구 측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실내 엔탈피를 연산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c)는 실외 엔탈피와 실내 엔탈피를 기준으로,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동작(연속운전)과, 제1 동작에 의한 단위시간당 환기량과 실질적으로 동등해지도록 제1 동작 시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키는 제2 동작(간헐운전)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급기 송풍기와 배기 송풍기가 연속운전 또는 간헐운전으로 설정된 경우의 송풍기 풍량 및 기동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연속운전보다 간헐운전 쪽이 풍량이 많으나, 연속운전보다 간헐운전의 운전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양자의 환기량은 동일 값으로 설정된다.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가 연속운전으로 설정되면, 인버터 모터에 의해 임의환기운전 시의 최저 회전속도보다 더욱 느린 회전속도로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가 회전된다.
한편,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가 간헐운전으로 설정되면,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의 인버터 모터 회전수가 증가 되며, 간헐운전을 한다.
따라서 연속운전의 풍량(B)은 간헐운전의 풍량(A) 보다 작으며, 풍량이 많은 간헐운전의 경우에서 전열교환기(130)에 의한 열교환효율이 낮아진다.
결국,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외부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전열교환기(130)에 있어서,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온도를 실내온도에 가까워지지 않게 할 경우에는 간헐운전을 실행한다. 반대로,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온도를 실내온도에 가까워지게 할 경우에는 연속운전을 실행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c)는,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상이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상이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하이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하이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1에서, 실외 엔탈피(H1)가 미리 정해진 설정 엔탈피(Hset)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설정 엔탈피(Hset)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와 습도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ST1는 실외의 계절을 판정하는 것이다. ST1에서 실외 엔탈피(H1)는 전열교환기(130)의 급기측 입구 엔탈피이므로, 실외의 엔탈피와 거의 동일하다. 이 실외 엔탈피(H1)가 설정 엔탈피(Hset) 이상이면 여름으로 판정하고, 이 실외 엔탈피(H1)가 설정 엔탈피(Hset) 미만이면 겨울로 판정한다. 그리고 ST1의 조건을 만족하면 여름으로 판정하고 ST2로 이동하며, 그렇지 않으면 겨울로 판정하고 ST3으로 이동한다.
ST2에서는 실외 엔탈피(H1)가 실내 엔탈피(H2)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ST2의 조건을 만족하면, ST4로 이동하여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에 간헐운전을 시킨다.
한편, ST2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ST5로 이동하여 상기 각 팬(20, 21)에 연속운전을 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내 엔탈피(H2)는 전열교환기(130)의 배기 측 입구 엔탈피이므로, 실내 엔탈피와 거의 동일하다.
ST2에서, 여름의 경우, 실외 엔탈피(H1)가 실내 엔탈피(H2)보다 낮을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이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간헐운전시킨다(ST4).
이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낮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이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실외 엔탈피(H1)가 실내 엔탈피(H2) 이상일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낮춘 후,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연속운전 시킨다(ST5).
이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높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인 후,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ST3에서는, 실외 엔탈피(H1)가 실내 엔탈피(H2)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ST3의 조건을 만족하면, ST6로 이동하여 상기 각 팬(20, 21)에 간헐운전을 시킨다.
한편 ST3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ST7로 이동하여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에 연속운전을 시킨다.
ST3에서 겨울인 경우에는 여름과는 반대로, 실외 엔탈피(H1)가 실내 엔탈피(H2)보다 낮을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인 후,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연속운전시킨다(ST7).
이와 같이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높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인 후,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 실외 엔탈피(H1)가 실내 엔탈피(H2)보다 높을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낮추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간헐운전시킨다(ST6).
이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낮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낮추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 엔탈피(H1) 및 실내 엔탈피(H2)에 기초하여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운전시킴으로써,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가 설정된 냉방 엔탈피가 되도록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기구(15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c)는, 냉방기구(1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실외 엔탈피가 냉방 엔탈피보다 큰 경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냉방기구(1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실외 엔탈피가 냉방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제2 동작으로 제어한다.
이와 달리, 실내 공기가 설정된 난방 엔탈피가 되도록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기구(16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c)는, 난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실외 엔탈피가 난방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난방기구(16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실외 엔탈피가 냉방 엔탈피보다 큰 경우 제2 동작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열교환기(130)가 냉방기구 및 난방기구와 연동되면서 운전된다.
ST11에서, 공기조화시스템(100)의 운전모드가 냉방운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냉방운전으로 판정하면 ST12로 이동하며, 냉방운전이 아니면 난방운전으로 판정하여 ST13으로 이동한다. 즉, 공기조화시스템(100)의 운전모드가 냉방이면 여름으로 판정하고, 난방이면 겨울로 판정한다.
ST12에서는 실외 엔탈피(H1)가 공기조화시스템(100)의 냉방 엔탈피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실외 엔탈피(H1)가 냉방 엔탈피보다 낮을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이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간헐운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낮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이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실외 엔탈피(H1)가 냉방 엔탈피 이상일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낮춘 후, 그 공기를 거실 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연속운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높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낮춘 후,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ST13에서는, 실외 엔탈피(H1)가 공기조화시스템(100)의 난방 엔탈피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실외 엔탈피(H1)가 난방 엔탈피보다 높을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낮추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간헐운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낮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낮추지 않고,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실외 엔탈피(H1)가 난방 엔탈피 이하일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 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인 후,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연속운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130)의 온도 교환효율이 높아지므로, 실외의 공기온도를 가능한한 전열교환기(130)에서 높인 후, 그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실외 엔탈피(H1)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100)의 설정온도 및 설정습도에 기초하여 급기 송풍기(110)와 배기 송풍기(120)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운전시킴으로써,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실외 공기를 공급공기로서 실내 측으로 유입시키는 급기(給氣) 송풍기;
    실내 공기를 배출공기로서 실외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排氣) 송풍기;
    상기 공급공기가 흐르는 급기(給氣) 유로 및 상기 배출공기가 흐르는 배기(排氣)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給氣) 송풍기에 의해 유동 되는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排氣) 송풍기에 의해 유동 되는 상기 배출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전열교환기;
    상기 공급공기의 온도 및 습도,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실외 엔탈피 및 실내 엔탈피를 연산하는 엔탈피 연산부; 및
    상기 실외 엔탈피와 상기 실내 엔탈피를 기준으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동작과, 상기 제1 동작에 의한 단위시간당 환기량과 실질적으로 동등해지도록 상기 제1 동작 시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키는 제2 동작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상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상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하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실외 엔탈피가 제1 기준 이하이고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엔탈피 연산부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공급공기 입구 측의 온도 및 습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 엔탈피를 연산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배출공기 입구 측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상기 실내 엔탈피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동작시 풍량이 상기 제1 동작시 풍량보다 많으며, 상기 제2 동작의 운전시간이 상기 제1 동작의 운전시간보다 짧게 하여, 상기 제1,2 동작시 환기량이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가 설정된 냉방 엔탈피가 되도록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냉방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냉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냉방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가 설정된 난방 엔탈피가 되도록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난방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동작으로 제어하며, 상기 난방기구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난방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동작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기와 상기 배기 송풍기는 그 회전속도가 인버터 모터에 의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20130143393A 2013-11-25 2013-11-25 공기조화시스템 KR101562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393A KR101562641B1 (ko) 2013-11-25 2013-11-25 공기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393A KR101562641B1 (ko) 2013-11-25 2013-11-25 공기조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30A KR20150059830A (ko) 2015-06-03
KR101562641B1 true KR101562641B1 (ko) 2015-10-23

Family

ID=5350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393A KR101562641B1 (ko) 2013-11-25 2013-11-25 공기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81B1 (ko) * 2015-12-31 2022-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249789B (zh) * 2016-09-09 2018-04-03 天顺风能(苏州)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环境控制***及控制方法
IT201700107190A1 (it) * 2017-09-25 2019-03-25 De Longhi Appliances Srl Condizionatore portatile e metodo di regolazi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423B1 (ko) 2008-01-30 2010-07-15 주식회사 엔텍 배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423B1 (ko) 2008-01-30 2010-07-15 주식회사 엔텍 배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30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0011B2 (ja) 空気調和機
CN101878398B (zh) 空调机构
JP532895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047754B1 (ko) 다기능 스마트 공조시스템
JP625377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1174674A (ja) 空調システム
JP2004354040A (ja) 換気兼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0025539A (ja) 換気装置
WO201805619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1256781B1 (ko) 간접 부하 제어 모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JP2015143594A (ja) 換気装置
JP6074651B2 (ja) 全熱交換型換気装置
KR101562641B1 (ko) 공기조화시스템
WO2006035825A1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2005114254A (ja) 空気調和設備
JP2015206570A (ja) 換気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JP5359170B2 (ja) 空調装置
JP2013181671A (ja) 空気調和機
JP2010145012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2007298252A (ja) 住宅用換気装置
JP2004003866A (ja) 換気空調装置
JPH08210690A (ja) 換気空調装置
JP2008157503A (ja) 空気調和装置
KR102216720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JP2004301350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