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945B1 -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 Google Patents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945B1
KR101558945B1 KR1020150039084A KR20150039084A KR101558945B1 KR 101558945 B1 KR101558945 B1 KR 101558945B1 KR 1020150039084 A KR1020150039084 A KR 1020150039084A KR 20150039084 A KR20150039084 A KR 20150039084A KR 101558945 B1 KR101558945 B1 KR 10155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obacter
soil
microorganism
pseudomonas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엽
이철효
이환
정재윤
최재헌
강두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3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12R1/06
    • C12R1/3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분해 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1 [KCTC18358P],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4 [KCTC18360P],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R8 [KCTC18361P] 각각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A Novel Microorganism with Superior Petroleum Oil Degradation Activity}
본 발명은 우수한 유류 분해능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을 위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이다.
자연 환경 내에서 미생물들은 독자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미생물, 다른 생물, 또는 주변환경과 상호관계를 이루며, 이러한 특성은 폐수처리 및 정수시스템, 병원성 미생물의 생존과 항생제 내성, 오염환경 복원, 금속의 부식 등 우리 주변에서 발견되는 거의 모든 미생물 현상에서 발견되고 있다. 복합 미생물제제는 미생물 한 종으로써는 완전하지 못한 특별한 기능을 서로 보완함으로써 단일 미생물로서 수행하기 어려운 역할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미생물의 기능과 서로 보완하는 기능 연구 등의 복합적 정보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중요한 생물자원 및 세포간의 상호작용 연구모델로서 복합 미생물의 중요성은 점차로 인식되고 있으나, 본격적인 복합 미생물 제제의 확보 및 연구는 아직 수행되지 못하고 있고, 여전히 오염물질의 환경 복원 기술은 단일 물질에 대한 단일 미생물 균주를 이용한 분해대사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분해 미생물세포의 재설계 및 바이오모니터링을 위한 프로브 개발 연구 등이 주로 수행되고 있다.
M Vinas는 5개의 미생물 복합체를 이용하여 방향족 화합물을 분해하는 실험을 통하여 원유 분해에 있어 미생물복합체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J of Industrial Microbiol. and Biotechnol.2002, 28:252-260].
Fatima Menezes Bento는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미생물 복합체를 이용하여 분해실험을 실시하여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미생물 복합체가 효과적으로 복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Braz. J. Microbiol. 2003, 34:65-68].
집적 배양 후 분리된 균들 중 잘 자라는 종은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엔테로박터(Enterobacter)와 오크로박테리움(Ochrobacterium)이였으며, t-RFLP 분석 결과에서도 동일종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들이 분해활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Wat. Air Soil Poll. 2003, 3: 103-115].
Laurie et al.은 PAH로 오염된 뉴질랜드의 와이카토 지역의 토양 두 곳과 오염되지 않은 시베리아 토양, 안타틱로스 섬의 토양으로부터 nahAc, phnAc (phenanthrene dioxygenase)의 양을 정량하였다[Appl. Environ. Microbiol. 2000, 66: 1814-1817].
Yeates et al.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웨일즈의 네 지역 중 방향족 탄화수소로 오염된 지역 두 곳과 오염되지 않은 지역 두 곳의 토양 시료를 대상으로 기존의 알려진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 유전자들로부터 만들어진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과 하이브리다이제이션(hybridization)법으로 새로운 유전자 탐색 및 이들의 기능을 관찰하였다 [Environ. Microbiol. 2000, 2: 644-653].
그리고, Jeon 등은 콜타르가 오염된 지역에서 나프탈렌 분해 미생물을 방사선동위원소 기술을 이용하여 in situ로 분석하여 미생물의 계통학적 분석과 기능적인 특징을 서로 연결하고자 하였다[Jeon et al., 2003].
이렇게 현재까지 알려진 미생물의 유류 분해 실험은 단일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분해물질의 완전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환경적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야기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합 미생물제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817256호(2008.03.27)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198103호(2012.11.1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성분의 분해성능이 우수한 단일 미생물과 이들을 혼합하여 복합 미생물제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류 분해 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1 [KCTC18358P],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4 [KCTC18360P] 및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R8 [KCTC18361P] 각각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류분해용 미생물제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및 미생물제제는 휘발유, 등유 및 경유 등 유류를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므로, 유류오염 환경정화용 생물학적 복원제제에 이용되거나, 유류분해를 위한 미생물 컨소시엄 등 유류오염 지역을 복원하는데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1 [KCTC18358P] 균주의 16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균주의 16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4 [KCTC18360P] 균주의 16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R8 [KCTC18361P] 균주의 16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의 현장적용성 실험결과는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류 분해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한 미생물제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세종특별자치시 군부대의 다양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접종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유류분해용 미생물은 한국생명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석유 50ul가 도말된 배치에서 25℃ 인큐베이터에 수일간 배양하여 미생물을 순수 분리하였다.
유류 분해 성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R2A와 TSA배지에 조성된 평판배지에 도말하고 pH7.0, 2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상에 형성된 미생물 집락을 형태적 특징으로 구분하여 단일균주로 판단될 때까지 순수분리하여 계대배양을 하였고, 성장된 콜로니 형태특성과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해 분리하였다.
R2A 배지에서 17개, TSA 배지에서 8개를 각각 순수분리하여 16S ribosomal DNA의 부분 염기서열 분석으로 최종 동정을 시도한 결과 총 18개의 다른 종을 동정할 수 있었다. 16S rDNA gene 분석결과는 아래의 표1과 같다.
No. Strain Accession No %Similarity nt difference
s/compared
R1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AJ249382 99.48 5/969
R3 Arthrobacter siccitolerans GU815139 99.18 8/977
R4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AJ249382 99.69 3/977
R5 Pseudomonas extremorientalis AF405328 100 0/835
R8 Arthrobacter siccitolerans GU815139 98.77 12/977
R9 Pseudomonas extremorientalis AF405328 100 0/939
R13 Pseudomonas jessenii AF068259 99.37 6/945
R14 Pseudomonas baetica FM201274 99.26 7/950
R15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AJ249382 100 0/960
R16 Arthrobacter scleromae AF330692 99.03 9/932
R17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AJ249382 99.47 5/946
T1 Pseudomonas rhodesiae AF064459 100 0/927
T2 Arthrobacter scleromae AF330692 99.88 1/832
T3 Arthrobacter oryzae AB279889 99.89 1/920
T4 Pseudomonas arsenicoxydans FN645213 99.48 5/959
T5 Pseudomonas simiae AJ936933 100 0/879
T7 Rugamonas rubra HM038005 97.75 21/934
T8 Arthrobacter oryzae AB279889 99.66 3/891
실시예 2: 유류분해 효율 평가실험(패트리 디쉬)
유류 분해 미생물을 유류 오염토로부터 분리, 동정하여 현 오염토양에 대한 분해효율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지름 15cm의 패트리 디쉬(petri dish)에 오염토양 50g을 접종하여 미생물 18개 종에 대한 유류 분해효율을 평가하였다. 실험조건은 아래 표2과 같다.
항목 내용
오염토 세종자치시 유류오염토
수분함량 배양기간동안 10%유지
영양염류 생물학적 복원의 적정비율 C:N:P=100:10:1에 따라 12.15mg N 및 1.49mg P를 추가주입
배양온도 25℃
미생물 주입 농도 1.1 X 107 CFU/g
지름 15cm의 패트리 디쉬에 오염 토양을 50g과 미생물을 6ml를 주입하고 영양염류를 각각 2.03를 주입하여 실험군을 분비하였고, 미생물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을 준비하였다. 패트리 디쉬 안의 오염토양, 미생물, 수분을 스패튤러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25℃의 온도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 시료를 넣은 후 48시간마다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습도를 10%로 유지하여 주었다. 10일 후에 시료를 추출법을 이용하여 전처리하고, 15일 이후의 GC/FID를 이용하여 TPH 농도를 분석하고 TPH 농도를 초기농도와 비교하여 처리효율을 산정하였다. 15일 후 각 균주에 따른 토양 중 TPH 잔류농도 및 처리효율은 하기 표3과 같다.
시료명 초기농도(mg/kg) 처리후농도(mg/kg) 처리효율(%)
Control 3,801.80 2,381.00 37.4
R1 507.9 86.6
R3 655.9 82.7
R4 798.2 79
R5 1,063.60 72
R8 785.3 79.3
R9 951.6 75
R13 1,426.10 62.5
R14 1,678.20 55.9
R15 1,247.40 67.2
R16 1,737.50 54.3
R17 1,199.80 68.4
T1 1,799.80 52.7
T2 1,701.80 55.2
T3 1,590.60 58.2
T4 1,393.60 63.3
T5 1,434.10 62.3
T6 1,560.50 59
T7 1,363.50 64.1
T8 1,313.60 65.4
오염토양의 초기농도는 3,801.8mg/kg 이었으며, 균주는 주입하는 않은 control 시료는 평균 2,381.0mg/kg로서 처리효율은 37.4%였다. 접종한 균주 중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은 R1과 R3로서 오염토양 대비 각각 86.6%, 82.7%의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3: 유류분해 효율 평가실험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낸 R1, R3, R4, R8 및 동일한 종인 Pseudomonas frederiksbergensis로서 R15, R17 균주를 추가로 선정하여 총 6종의 균주에 대한 처리효율을 파일럿 규모에서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류 분해 효율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선정된 균주 6종을 대상으로 10배 정도 많은 양인 오염토 500g에서의 처리효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seudomonas frederiksbergensis Strain에 속하는 R1, R4, R15, R17과 Arthrobacter siccitolerans Strain에 속하는 R3, R8 이상 6종이다. 각 미생물에 대한 분해효율 실험조건은 하기 표4와 같다.
항목 내용
오염토 세종자치시 유류오염토
수분함량 배양기간동안 10%유지
영양염류 미생물과 함께 접종되는 R2A Broth 내의 N, P가 충분하여 추가적으로 공급하지 않음
배양온도 20℃
미생물 주입 농도 9.0 X 107 CFU/g
가로 20cm, 세로 15cm, 높이 5cm의 알루미늄 박스에 오염 토양을 500g과 각각 미생물을 주입하고, 미생물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을 준비하였다.(대조군2개:R2A 접종, 대조군 2개: R2A 미접종) 알루미늄 박스 안의 오염토양, 미생물, 수분을 스패튤라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에, 25℃ 온도조건의 인튜베이터에 시룔를 넣고 48시간마다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습도를 10%로 유지하였다. 15일 후에 시료를 추출법을 이용하여 전처리하고, 15일 이후의 GC/FID를 이용하여 TPH 농도를 분석하고 TPH 농도를 초기농도와 비교하여 처리효율을 산정하였다. 15일 후 각 균주에 따른 토양 중 TPH 잔류농도 및 처리효율은 하기 표5과 같다.
시료명 초기농도(mg/kg) 처리후 농도(mg/kg) 처리효율(%)
R1 2,352 540.4 77
R4 492.1 79.1
R15 876.3 62.7
R17 972.5 58.7
R3 584.4 75.2
R8 299.2 87.3
Control 1,581.20 32.8
분석결과 초기 오염토의 TPH 농도는 2,352mg/kg이며, 균주를 접종하지 않고, R2A 배지를 첨가한 control은 1,581.2mg/kg로서 처리효율 32.8%를 나타냈다. Petri dish에서의 실험과는 달리 가장 뛰어난 분해효율을 나타낸 균주는 R1, R3, R4, R8이었다.
선발된 균주 중에서 대사산물이 우수한 분해능을 나타내는 4개의 균주를 유류 분해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1 [KCTC18358P] 및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KCTC18359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R4 [KCTC18360P] 및 아스로박터 속(Arthrobacter sp.) R8 [KCTC18361P]로 명명하여, 2015년 3월10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
균주기탁 미생물명칭 및 기탁번호는 아래와 같다.
Psudomonas sp. R1 [KCTC18358P]
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Psudomonas sp. R4 [KCTC18360P]
Arthrobacter sp. R8 [KCTC18361P]
또한 각각의 염기서열을 도1a 내지 도 1d 에 도시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수록되는 서열목록을 기재하였다. 서열목록에 제시된 염기서열의 순서는 1. Psudomonas sp. R1 [KCTC18358P], 2. 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3. Psudomonas sp. R4 [KCTC18360P], 4. Arthrobacter sp. R8 [KCTC18361P]이다.
실시예 3: 혼합균주의 현장적용성 실험
토양경작장의 1 배치 운영일수 산정을 위하여 현장실증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2,000mg/kg 이상의 TPH 오염토를 3 지역기준의 토양(2,000mg/kg미만)으로 정화하기 위해서는 20일 이내의 운영일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토양 tilling은 오염토양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빠른 생분해를 위한 호기조건을 조성하는 동시에 투입되는 미생물제제 및 영양염류의 혼합효과를 유발시켜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행된다. 경작주기는 tilling 장비는 적치 높이 이상의 오염토양 뒤집기가 가능한 굴삭기를 사용하였다.
토양 내 토착 유류분해 미생물 수는 1.0 X 04 CFU/g-soil로 확인되었으며 오염토양 내 목표 미생물접종치인 1.0 X 06CFU/g-soil를 만족하기 위해서, 토양 m3당 1.68L의 자사개발한 유류분해능 가지는 Psudomonas sp. R1 [KCTC18358P], 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Psudomonas sp. R4 [KCTC18360P], Arthrobacter sp. R8 [KCTC18361P]을 혼합한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정화기술인 토양경작법을 실시하였다.
미생물의 복잡한 성질 때문에 미생물생태계는 환경에서 변화, 특히 개체군에서 스트레스를 주는 변화에 매우 동적인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다. 스트레스에 대한 개체군의 응답을 묘사하는 용어는 적응이 있다. 또는 순응도 동의어로 사용된다. 적응기간은 초기스트레스의 노출에서 개체군이 적응될때까지의 시간간격이다. 미생물의 적응기작은 수 시간에서 수 개월로 기간의 매우 가변적이며 이에 따라 시간에 따른 순응이 높은 미생물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Psudomonas sp. R1 [KCTC18358P], 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Psudomonas sp. R4 [KCTC18360P], Arthrobacter sp. R8 [KCTC18361P]의 순응도를 위해 혼합 후 경작을 실시하였으며 최적의 조성은 Psudomonas sp. R1 [KCTC18358P], Arthrobacter sp. R3 [KCTC18359P], Psudomonas sp. R4 [KCTC18360P]의 40%:40%:20% 비율이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최적비율에 따른 정화효율은 도1과 같다. 또한, 대량생산을 위한 세부적인 배지 성분은 아래의 표 6와 같다
배지성분 사용량(0.35㎥당 kg)
함수결정포도당, 20kg 16.8
Yeast Extract, 20kg 1.925
황산암모늄 2.205
제2인산소다 2.4402
Mono Potassium phosphate, 25kg(인산칼륨) 0.61005
Magnesium sulfate heptahydrate, 25kg(황산마그네슘) 0.1
Iron(II) sulfate heptahydrate, GR, 500g(황산제1철) 0.01
Calcium chloride dihydrate, GR, 500g(염화칼슘) 0.005
25% Sodium hydroxide, 20kg(수산화나트륨) 5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358P 201503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359P 201503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360P 201503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361P 20150316
<110> KWON, Taekyung <120> A Novel Microorganism with Superior Petroleum Oil Degradation Activity <130> P2015 <160> 4 <170> KoPatentIn <210> 1 <211> 969 <212> RNA <213> Pseudomonas sp. <400> 1 tgcaagtcga gcggcagcac gggtacttgt acctggtggc gagcggcgga cgggtgagta 60 atgcctagga atctgcctgg tagtggggga taacgctcgg aaacggacgc taataccgca 120 tacgtcctac gggagaaagc aggggacctt cgggccttgc gctatcagat gagcctaggt 180 cggattagct agttggtgag gtaatggctc accaaggcga cgatccgtaa ctggtctgag 240 aggatgatca gtcacactgg aactgagaca cggtccagac tcctacggga ggcagcagtg 300 gggaatattg gacaatgggc gaaagcctga tccagccatg ccgcgtgtgt gaagaaggtc 360 ttcggattgt aaagcacttt aagttgggag gaagggcatt aacctaatac gttagtgttt 420 tgacgttacc gacagaataa gcaccggcta actctgtgcc agcagccgcg gtaatacaga 480 gggtgcaagc gttaatcgga attactgggc gtaaagcgcg cgtaggtggt ttgttaagtt 540 ggatgtgaaa tccccgggct caacctggga actgcattca aaactgacaa gctagagtat 600 ggtagagggt ggtggaattt cctgtgtagc ggtgaaatgc gtagatatag gaaggaacac 660 cagtggcgaa ggcgaccacc tggactgata ctgacactga ggtgcgaaag cgtggggagc 720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ccgtaaacga tgtcaactag ccgttgggag 780 ccttgagctc ttagtggcgc agctaacgca ttaagttgac cgcctgggga gtacggccgc 840 aaggttaaaa ctcaaat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900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c cttgacatcc aatgaacttt ccagagatgg 960 attggtgcc 969 <210> 2 <211> 978 <212> RNA <213> Arthrobacter sp. <400> 2 tgcaagtcga acgatgatcc cagcttgctg ggggattagt ggcgaacggg tgagtaacac 60 gtgagtaacc tgcccttaac tctgggataa gcctgggaaa ctgggtctaa taccggatat 120 gactcctcat cgcatggtgg ggggtggaaa gctttattgt ggttttggat ggactcgcgg 180 cctatcagct tgttggtgag gtaatggctc accaaggcga cgacgggtag ccggcctgag 240 agggtgaccg gccacactgg gactgagaca cggcccagac tcctacggga ggcagcagtg 300 gggaatattg cacaatgggc gaaagcctga tgcagcgacg ccgcgtgagg gatgacggcc 360 ttcgggttgt aaacctcttt cagtagggaa gaagcgaaag tgacggtacc tgcagaagaa 420 gcgccggcta actacgtgcc agcagccgcg gtaatacgta gggcgcaagc gttatccgga 480 attattgggc gtaaagagct cgtaggcggt ttgtcgcgtc tgccgtgaaa gtccggggct 540 caactccgga tctgcggtgg gtacgggcag actagagtga tgtaggggag actggaattc 600 ctggtgtagc ggtgaaatgc gcagatatca ggaggaacac cgatggcgaa ggcaggtctc 660 tgggcattaa ctgacgctga ggagcgaaag catggggagc gaacaggatt agataccctg 720 gtagtccatg ccgtaaacgt tgggcactag gtgtggggga cattccacgt tttccgcgcc 780 gtagctaacg cattaagtgc cccgcctggg gagtacggcc gcaaggctaa aactcaaagg 840 aattgacggg ggcccgcaca agcggcggag catgcggatt aattcgatgc aacgcgaaga 900 accttaccaa ggcttgacat gaaccggaaa cacctggaaa caggtgcccc gcttgcggtc 960 ggtttacagg tggtgcat 978 <210> 3 <211> 977 <212> RNA <213> Pseudomonas sp. <400> 3 tgcaagtcga gcggcagcac gggtacttgt acctggtggc gagcggcgga cgggtgagta 60 atgcctagga atctgcctgg tagtggggga taacgctcgg aaacggacgc taataccgca 120 tacgtcctac gggagaaagc aggggacctt cgggccttgc gctatcagat gagcctaggt 180 cggattagct agttggtgag gtaatggctc accaaggcga cgatccgtaa ctggtctgag 240 aggatgatca gtcacactgg aactgagaca cggtccagac tcctacggga ggcagcagtg 300 gggaatattg gacaatgggc gaaagcctga tccagccatg ccgcgtgtgt gaagaaggtc 360 ttcggattgt aaagcacttt aagttgggag gaagggcagt tacctaatac gtaattgttt 420 tgacgttacc gacagaataa gcaccggcta actctgtgcc agcagccgcg gtaatacaga 480 gggtgcaagc gttaatcgga attactgggc gtaaagcgcg cgtaggtggt tcgttaagtt 540 ggatgtgaaa tccccgggct caacctggga actgcattca aaactgacga gctagagtat 600 ggtagagggt ggtggaattt cctgtgtagc ggtgaaatgc gtagatatag gaaggaacac 660 cagtggcgaa ggcgaccacc tggactgata ctgacactga ggtgcgaaag cgtggggagc 720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ccgtaaacga tgtcaactag ccgttgggag 780 ccttgagctc ttagtggcgc agctaacgca ttaagttgac cgcctgggga gtacggccgc 840 aaggttaaaa ctcaaat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900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c cttgacatcc aatgaacttt ccagagatgg 960 attggtgcct tcgggaa 977 <210> 4 <211> 978 <212> RNA <213> Arthrobacter sp. <400> 4 tgcaagtcga acgatgatgc cagcttgctg gtggattagt ggcgaacggg tgagtaacac 60 gtgagtaacc tgcccttaac tctgggataa gcctgggaaa ctgggtctaa taccggatat 120 gactcctcat cgcatggtgg ggggtggaaa gctttattgt ggttttggat ggactcgcgg 180 cctatcagct tgttggtgag gtaatggctc accaaggcga cgacgggtag ccggcctgag 240 agggtgaccg gccacactgg gactgagaca cggcccagac tcctacggga ggcagcagtg 300 gggaatattg cacaatgggc gaaagcctga tgcagcgacg ccgcgtgagg gatgacggcc 360 ttcgggttgt aaacctcttt cagtagggaa gaagcgaaag tgacggtacc tgcagaagaa 420 gcgccggcta actacgtgcc agcagccgcg gtaatacgta gggcgcaagc gttatccgga 480 attattgggc gtaaagagct cgtaggcggt ttgtcgcgtc tgccgtgaaa gtccggggct 540 caactccgga tctgcggtgg gtacgggcag actagagtga tgtaggggag actggaattc 600 ctggtgtagc ggtgaaatgc gcagatatca ggaggaacac cgatggcgaa ggcaggtctc 660 tgggcattaa ctgacgctga ggagcgaaag catggggagc gaacaggatt agataccctg 720 gtagtccatg ccgtaaacgt tgggcactag gtgtggggga cattccacgt tttccgtacc 780 gtagctaacg cattaagtgc cccgcctggg gagtacggcc gcaaggctaa aactcaaagg 840 aattgacggg ggcccgcaca agcggcggag catgcggatt aattcgatgc aacgcgaaga 900 accttaccaa ggcttgacat gaaccggaaa tacctggaaa caggtgcccc gcttgcggtc 960 ggtttacagg tggtgcat 978

Claims (5)

  1. 삭제
  2. 아스로박터 시시톨러란스 (Arthrobacter siccitolerans) R3 [KCTC18359P]을 포함하는 유류분해용 미생물 제제.
  3. 삭제
  4. 아스로박터 시시톨러란스 (Arthrobacter siccitolerans) R8 [KCTC18361P]을 포함하는 유류분해용 미생물 제제.
  5. 아스로박터 시시톨러란스 (Arthrobacter siccitolerans) R3 [KCTC18359P], 및 아스로박터 시시톨러란스 (Arthrobacter siccitolerans) R8 [KCTC18361P]을 포함하는 유류분해용 미생물 제제.
KR1020150039084A 2015-03-20 2015-03-20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KR10155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84A KR101558945B1 (ko) 2015-03-20 2015-03-20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84A KR101558945B1 (ko) 2015-03-20 2015-03-20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945B1 true KR101558945B1 (ko) 2015-10-12

Family

ID=5434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084A KR101558945B1 (ko) 2015-03-20 2015-03-20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2394A (zh) * 2019-01-25 2019-05-07 黑龙江大学 一株砷氧化假单胞菌及其应用
CN110551662A (zh) * 2019-09-25 2019-12-10 天津科技大学 节杆菌菌株zj-h及其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remediation, Biodiversity and Bioavailability, Vol.3, pp.55-60(2009.)*
Int. J. Environ. Res., Vol.2, pp.431-440(2008.0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2394A (zh) * 2019-01-25 2019-05-07 黑龙江大学 一株砷氧化假单胞菌及其应用
CN109722394B (zh) * 2019-01-25 2022-05-17 黑龙江大学 一株砷氧化假单胞菌及其应用
CN110551662A (zh) * 2019-09-25 2019-12-10 天津科技大学 节杆菌菌株zj-h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nesh et al. Diesel degradation and biosurfactant production by Gram-positive isolates
Fujitani et al. Isolation of sublineage I N itrospira by a novel cultivation strategy
CN109402016A (zh) 用于化工废水处理的复合微生物菌剂及其筛选和制备方法
CN103981119B (zh) 含油污泥中石油高效降解菌及菌组的应用
Prakash et al. Biodegradation potential of petroleum hydrocarbons by bacteria and mixed bacterial consortium isolated from contaminated sites
CN107937321B (zh) 一种枯草芽孢杆菌及其在多环芳烃污染物菲降解中的应用
CN110283741B (zh) 一株具有高效降解多环芳烃功能的玫瑰变色菌及其应用
CN105647838B (zh) 皮特不动杆菌及其用途
Ji et al. Isolation of aluminum-tolerant bacteria capable of nitrogen removal in activated sludge
Wang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microbial consortium for effectively degrading phenanthrene
CN109161499A (zh) 一种产表面活性剂细菌及其在煤/石油化工废水中原位削减多环芳烃的应用
WO2008062557A1 (fr) Nouveau microorganisme capable de décomposer par voie microbienne des produits agrochimiques à base de chloro-, de méthylthio- et de méthoxy-triazine
CN109439602B (zh) 嗜盐弧菌yl5-2及其菌剂在高盐条件下降解转化污染物中的应用
KR20000034035A (ko) 석유계 탄화수소 분해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 생물학적 정화방법
KR101558945B1 (ko) 유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미생물
EP2217391B1 (en) Underground in situ bioremediation using site-specific microorganisms
CN115449489A (zh) 降油菌及其复合菌剂和制备方法及应用
CN101851027A (zh) 一种使用组合菌液恢复受石油污染水源的方法
US8614084B2 (en) Microbial strain Alteromonas SP. SN2 for degradi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JP7191825B2 (ja) 細菌株、並びにmtbe、tba、及び/又はhchoを分解するためのそれを含むコンソーシアム
KR101052063B1 (ko) 유류 오염 정화용 복합 미생물제제
Swanson et al. Status report on the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halite and groundwater samples from the WIPP
CN104046580A (zh) 用于降解多环芳烃类有机污染物的鞘氨醇杆菌菌株及其应用
KR20140133247A (ko) 유류를 분해하는 알카니보락스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물정화방법
JP4754700B2 (ja) 揮発性芳香族炭化水素分解能を有する新規菌株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