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789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789B1
KR101556789B1 KR1020080136545A KR20080136545A KR101556789B1 KR 101556789 B1 KR101556789 B1 KR 101556789B1 KR 1020080136545 A KR1020080136545 A KR 1020080136545A KR 20080136545 A KR20080136545 A KR 20080136545A KR 101556789 B1 KR101556789 B1 KR 101556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frame rate
mo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314A (ko
Inventor
김윤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7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44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with the matrix divided into s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절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절개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로 움직임 예측에 따른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및,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를 통해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확인하여, 상기 세부 영역별로 적용될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각각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한다.
FRC, 절개, 디스플레이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종래 CRT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TV와 컴퓨터 모니터에 적용되는 LCD 또는 PDP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가 그것인데, 이들의 장점은 사이즈 면에서 얇고 평판이며, 또한 무게 면에서 가볍다는 점이다.
CRT와 LCD는 디스플레이 원칙에 큰 차이가 있다. CRT는 매우 짧은 빛이 형광체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각각의 이미지는 한 프레임 주기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원칙은 임펄스-타임이라고 부른다. 반면, LCD는 하나의 이미지가 전체 프레임 주기 동안에 같은 RGB 휘도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되는 샘플 및 홀드 특성을 갖는데, 소의 홀드-타입 디스플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LCD에서 모션 블러의 원인은 두 가지로, 긴 응답시간과 전술한 홀드-타입 디스플레이 특성이다. LCD에서 근본적으로 응답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액정 크리스털 물질과 셀 디자인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현재 일정 LUT(Look Up Table)에 기초한 일종의 오버드라이브 방법은 긴 응답시간을 경감시키도록 널리 적용되었다. 이 오버드라이브는 액정 크리스털의 응답을 가속시킬 수 있다. 현재 많은 LCD 패널은 계조 응답시간을 8ms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응답시간을 0 가까이 낮출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션 블러는 홀더-타입 디스플레이의 특성 때문에 여전히 발생한다. 이러한 홀드-타입 디스플레이의 특성으로 인한 모션 블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MEMC(Motion Estimation Motion Compensation) 방법이 있다.
Straightforward 방법으로서, 각각 2개의 원 프레임 사이에 새로운 하나의 프레임을 삽입시킴으로써 프레임 주기를 줄인다. 이 방법은 원래의 프레임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프레임을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새로운 프레임을 예측하기 위하여 움직임 추정과 움직임 보상이 필요하다.
즉, 종래에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이러한 MEMC 방법을 통해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100/120Hz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향상된 영상 품질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빠른 동영상에서의 탁월한 출력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임 레이트는 1초 동안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 수를 말하며, 프레임 레이트의 단위는 Hz이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영상 보정 기술을 적용하였을 때, 정지영상 에서의 흔들림 등과 경계면에서 불필요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여,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 영상신호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적용하여 프레임 레이트 변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 영상신호의 전체 영역을 세부 영역으로 파티션화하고, 상기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에 따른 동적인 MEMC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절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절개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로 움직임 예측에 따른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및,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를 통해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확인하여, 상기 세부 영역별로 적용될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각각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 정된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 저장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적용될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적용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전체 영상을 영역화하여, 세부 영역별로 MEMC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 변환 시 전체 영상 품질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특정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상 문제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화질이 개선된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 영상 프레임을 영역별로 구분하기 위한 절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절개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세부 영역별로 움직임 예측에 따른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와, 상기 프레임 변환부(20)를 통해 변환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를 통해 구분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확인하여, 상기 세부 영역별로 적용될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각각 설정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신호 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는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으로 절개하는 영역 절개부(22)와, 상기 영역 절개부(22)를 통해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24)와, 상기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설정된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적용하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삽입될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가상 프레임 생성부(28)와,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을 위해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임시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레이브 변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을 위한 절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저장부(10)에는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절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으로 구현되고, I2C 방식에 따라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개 정보에는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UI(User Interface) 영역만을 절개하기 위한 제 1 절개 정보,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자막 영역만을 절개하기 위한 제 2 절개 정보 및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영상 영역만을 절개하기 위한 제 3 절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UI 영역은 사용자의 UI 호출 명령에 따라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중 방송사 로고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의 UI 호출 명령에 따라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와, 방송사 로고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를 상기 UI 영역에 대한 제 1 절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송사마다 해당 프로그램의 로고 정보를 삽입하는 위치가 다를 수 있고, 또한 상기 로고 정보가 아닌 프로그램 명칭 정보를 삽입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방송 로고 정보는 이미 저장된 정보가 아니라, 입력 신호에서 상기 방송 로고 정보가 삽입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막 영역은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자막신호가 포함된 경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자막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방송신호에 포함된 자막신호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를 상기 자막 영역에 대한 제 2 절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영역은 실질적으로 수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부(30)의 전체 영역을 의미한다. 즉,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영역을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세부 영역별 좌표 정보를 상기 영상 영역에 대한 제 3 절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제 1 절개 정보, 제 2 절개 정보 및 제 3 절개 정보는 UI 영역, 자막 영역 및 영상 영역에 대한 기준 절개 정보이며, 상위 영역(UI 또는 자막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에 따라 하위 영역(자막 또는 영상 영역)에 대한 절개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절개 정보에는 상위 영역(UI 영역)의 움직임 변화량에 따라 2' 절개정보, 2'' 절개정보, 2'''절개 정보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절개 정보에는 상위 영역(UI 영역, 자막 영역)의 움직임 변화량에 따라 3' 절개 정보, 3''절개정보, 3'''절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는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으로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에 따른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이하,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의 상세 구성요소 및 상기 상세 구성 요소에 대한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절개부(22)와,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24)와, 프레임 버퍼(28)와, 가상 프레임 생성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역 절개부(22)는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을 각 세부 영역별로 절개한다. 이때,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른 절개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절개한다.
즉,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제 1 순위로 설정된 UI 영역에 대한 제 1 절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 1 절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절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절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상기 제 1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100)(101)(102)(103)로 절개한다. 즉, 사용자의 UI 호출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영역은 제 1 영역(100), 제 2 영역(101), 제 3 영역(102) 및 제 4 영역(103)이 존재하고, 상기 각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24)는 상기 영역 절개부(22)를 통해 검출된 세부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24)는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상위 영역(UI)의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24)는 상기 세부 영역들에 대해서도 넘버링(numbering) 된 순으로 그에 따른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UI 영역 대해 제 1 영역(100), 제 2 영역(101), 제 3 영역(102), 제 4 영역(103) 순으로 그에 따른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상기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이미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상기와 같이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고, 연속된 프레임에서 각 세부 영역의 픽셀들의 이미지 데이터 간 변화량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상기 연산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기 위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을 m(픽셀 수)*n(픽셀 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이미지 프레임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을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특정 픽셀이 어느 방향으로 몇 픽셀 이동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이동한 픽셀간 거리에 따라 해당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영역에 대해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의 특정 영역과, 현재 프레임의 특정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에 제 1 임계값 이하이면, 현재 상기 영역을 통해 정지 영상이 디스플레이됨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00'으로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인 영역에 대해서는 '01', '10'으로 움직임 변화량의 차이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상기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24)를 통해 검출되는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다음 하위 영역(자막 영역)에 대한 절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 나, 상기 절개된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MEMC 레벨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UI 영역으로 절개된 각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에 제 1 임계값 이상이면,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UI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이 하위 영역인 자막 영역으로 절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UI 영역으로 절개된 각 세부 영역들 중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을 통해 현재 UI가 출력되고 있음을 인지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움직임 변화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들은 현재 UI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UI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영역(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에 대한 MEMC 레벨을 설정한다.
또한, 이와는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UI 영역에 대해서는 별도의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UI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현재 UI가 디스플레이됨을 인지하고, 상기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MEMC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MEMC 레벨은 하이(High), 로우(Low) 및 오프(Off)로 나뉜다. 상기 하이 레벨은 프레임 레이트를 최고로 설정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하기 위한 레벨이고, 로우 레벨은 프레임 레이트를 중간 정도로 설정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하기 위한 레벨이며, 오프 레벨은 프레임 레이트를 최저로 설정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하기 위한 레벨이 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이고, MEMC 레벨이 하이 레벨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고, MEMC 레벨이 로우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90Hz로 변환하며, MEMC레벨이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영상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bypass)한다.
또한,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상기 검출된 상위 영역(UI 영역)의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입력 영상 프레임을 다음 하위 영역(자막 영역)으로 절개한다. 이때,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상기 상위 영역(UI 영역)의 세부 영역들 중 움직임 변화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 2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자막 영역으로 절개한다.
그러나, 상기 상위 영역(UI 영역)의 세부 영역들 중 움직임 변화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으로 분리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제 1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으로 분리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상기 상위 영역(UI 영역)의 세부 영역들 중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 2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을 자막 영역(200)(201)으로 절개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상기 상위 영역(자 막 영역)의 세부 영역들(200)(201) 중 움직임 변화량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 3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을 영상 영역들(300)(301)(302)(303)(304)(305)(306)(307)(308)(309)(310)(311)(312)(313)(314)(315)로 절개한다.
그리고, 상기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24)는 상기 각각의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여 제어부(40)에 전달하고, 제어부(40)는 상기 각각의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상기 각각의 세부 영역들에 대한 MEMC 레벨을 설정한다.
한편,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상기 상위 영역(UI 영역)의 세부 영역들 중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으로 절개한다. 즉, 제 1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으로 절개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한 MEMC 레벨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UI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설정되는 MEMC 레벨은 오프 MEMC 레벨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영역의 세부 영역들 중 제 1 영역(100)의 움직임 변화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영역(1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201)으로 절개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I 영역의 세부 영역들 중 제 1 영역(100)의 움직임 변화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이고, 자막 영역 중 제 1 영역(201)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이 제 2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영역(100)(201)에 대한 MEMC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100)(20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 영역으로 절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UI 영역 중 움직임 변화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UI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역)과, 자막 영역 중 움직임 변화량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영역(자막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역)에 설정되는 MEMC 레벨은 오프 MEMC 레벨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입력 신호에 자막 신호가 포함되어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자막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자막 영역에 대해서는 별도의 움직임 변화량을 판단하지 않고, 해당 영역에 대한 MEMC 레벨을 오프 MEMC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임계값은 UI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인지하기 위한 기준 움직임 변화량을 의미하고, 상기 제 2 임계값은 자막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인지하기 위한 기준 움직임 변화량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상기 영역 절개부(22)는 UI영역 중 움직임 변화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영역(100)과, 자막 영역 중 움직임 변화량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영역(20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 영역(300')(301')(302')(303')(304')(305')(306')(307')(308')(309')(310')(311')으 로 절개한다. 즉, 상기 영역 절개부(22)를 통해 절개되는 영역은 상위 영역(UI 영역 또는 UI 영역/자막 영역)의 움직임 변화량에 따라 가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UI 영역 중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는 오프 MEMC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자막 영역 중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도 오프 MEMC 레벨을 설정한다.
또한, 영상 영역으로 절개된 각각의 세부 영역들에 대해서는 각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에 따라 오프 MEMC 레벨, 로우 MEMC 레벨 및 하이 MEMC 레벨을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변화량을 1~100 단계로 구분하였을 경우, 1~10 단계의 움직임 변화량을 갖는 영역에 대해서는 오프 MEMC 레벨을 설정하고, 11~60 단계의 움직임 변화량을 갖는 영역에 대해서는 로우 MEMC 레벨을 설정하며, 61~100 단계의 움직임 변화량을 갖는 영역에 대해서는 하이 MEMC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가상 프레임 생성부(26)는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설정된 MEMC 레벨을 기준으로 각 영역별 가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6)는 동일 MEMC 레벨이 설정된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하고, 상기 영역에 설정된 MEMC 레벨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기준으로 가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즉,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8)는 하이 레벨로 설정된 영역을 하나의 영역(하이 레벨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하이 레벨 영역에 대해 제 1 프레임 레 이트를 적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8)는 상기 하이 레벨 영역에 대한 60Hz 영상신호를 120Hz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생성되는 가상 프레임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생성된다.
또한,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8)는 로우 레벨로 설정된 영역을 하나의 영역(로우 레벨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로우 레벨 영역에 대해 제 2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8)는 상기 영역에 대한 60Hz 영상신호를 90Hz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즉, 상기 90Hz 영상신호는 실질적으로 120Hz의 프레임이 존재하며, 상기 새롭게 생성되는 60 프레임 중 30 프레임은 상기와 같이 움직임 변화에 따른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생성되며, 나머지 30 프레임은 이전 프레임의 복사를 통한 동일 프레임으로 생성된다.
또한,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8)는 오프 레벨로 설정된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하고, 상기 영역에 대해 제 3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8)는 상기 영역에 대한 60Hz 영상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한다. 즉, 상기 영상에 대해서는 이전 프레임을 그대로 복사한 동일 프레임을 프레임 사이에 삽입하여, 60Hz 영상을 120Hz 영상으로 변환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28)를 통해 영역별 서로 다른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체 영상을 영역화하여, 세부 영역별로 MEMC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 변환 시 전체 영상 품질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특정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상 문제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화질이 개선된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으로 절개한다(S101)(S102).
이어서,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파악한다(S103). 즉, 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움직임 벡터 연산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다른 예로 해당 영역의 APL(Average Picture Level)을 통해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악된 움직임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MEMC 레벨을 설정한다(S104). 즉, 상기 파악된 움직임 변화량에 따라 하이 레벨, 로우 레벨 및 오프 레벨 중 어느 하나의 MEMC 레벨을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로 각각 설정한다. 즉, 움직임 변화량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임계값, 제 2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세부 영역들에 대해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는 오프 레벨을 설정하고,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는 로우 레벨을 설정하며, 제 2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는 하이 레벨을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설정된 MEMC 레벨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S105). 즉, 하이 레벨로 설정된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제 1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상기 영역에 대한 움직임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120Hz의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로우 레벨로 설정된 영역을 하나의 영역(로우 레벨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로우 레벨 영역에 대해 제 2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로우 레벨 영역에 대한 60Hz 영상신호를 90Hz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상기 90Hz 영상신호는 실질적으로 120Hz의 프레임이 존재하며, 상기 새롭게 생성되는 60 프레임 중 30 프레임은 상기와 같이 움직임 변화에 따른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생성되며, 나머지 30 프레임은 이전 프레임의 복사를 통한 동일 프레임으로 생성된다.
또한, 상기 오프 레벨로 설정된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하고, 상기 영역에 대해 제 3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오프 레벨로 설정된 영역에 대한 60Hz 영상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된 60Hz영상신호는 실질적으로 120Hz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새롭게 생성되는 60 프레임 영상에 대해서는 이전 프레임을 그대로 복사한 동일 프레임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S10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한다(S201).
이어서, 상기 절개된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파악한다(S202).
그리고, 상기 파악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즉, 현재 사용자 요청에 따른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203)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한 MEMC 레벨을 설정한다(S204). 즉,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한 MEMC 레벨을 오프 레벨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MEMC 레벨이 설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으로 절개한다(S205). 다시 말해서, 제 1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으로 절개한다.
이어서, 상기 절개된 자막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파악한다(S206).
그리고, 상기 자막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7). 즉, 기설정된 레벨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을 갖는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입력 영상 프레임 중 자막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207)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을 갖는 영역(자막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의 MEMC 레벨을 설정한다(S208). 즉, 상기 자막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MEMC 레벨을 오프 레벨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MEMC 레벨이 설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영역 영역으로 절개한다(S209). 즉, 자막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및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영역 영역으로 절개한다.
이어서, 상기 절개된 영상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파악한다(S210).
그리고, 상기 파악된 영상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영역의 세부 영역별 MEMC 레벨을 설정한다(S211).
한편, 상기 판단결과(S203)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즉 현재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한다(S212).
그리고, 상기 절개된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파악 한다(S213).
이어서, 상기 파악된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4). 즉, 현재 자막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214)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단계(S208)로 진입하고, 상기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영상 영역으로 절개한 후(S214), 상기 단계(S210)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체 영상을 영역화하여, 세부 영역별로 MEMC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 변환 시 전체 영상 품질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특정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상 문제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화질이 개선된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절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절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3 절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절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3'절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5)

  1.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기 위한 절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절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로 움직임 예측에 따른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입력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하는 출력 프레임 레이트를 생성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및,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를 통해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확인하여, 상기 세부 영역별로 적용될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각각 세부 영역 별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각 세부 영역 별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상기 각 세부 영역 별로 적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출력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고,
    상기 출력 프레임 레이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출력 영상이 초당 시청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 수인,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절개 정보,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절개 정보 및 제 3 영역에 대응되는 절개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 1 영역은 UI(User Interface) 영역, 제 2 영역은 자막 영역, 제 3 영역은 영상 영역인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영역 절개부와,
    상기 영역 절개부를 통해 절개된 세부 영역별로 각각의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와,
    상기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설정된 상기 각 세부 영역 별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상기 각 세부 영역 별로 적용하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삽입될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가상 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을 위해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임시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절개부는
    상기 UI 영역, 자막 영역 및 영상 영역 순으로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절개하고,
    상기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는 상기 영역 절개부의 절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당 절개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절개부는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 중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고,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절개부는 상기 절개된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 중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UI에 대한 세부 영역들 중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 및 상기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 중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 중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 중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변화량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상기 세부 영역별로 적용될 MEMC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동일 MEMC 레벨이 설정된 영역별로 해당 출력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MEMC 레벨은 하이(High), 로우(Low) 및 오프(Off)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는 하이 MEMC 레벨이 설정된 영역은 제 1 프레임 레이트, 로우 MEMC 레벨이 설정된 영역은 제 2 프레임 레이트 및 오프 MEMC 레벨이 설정된 영역은 제 3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되어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출력 프레임 레이트가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기 저장된 절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적용될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각각 세부 영역 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각 세부 영역 별 MEMC(Motion Estimate Motion Compensation) 레벨을 상기 각 세부 영역 별로 적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입력 프레임 레이트를 출력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UI(User Interface) 영역, 자막 영역 및 영상 영역순으로 절개하는 단계이며,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절개되는 UI 영역, 자막 영역 및 영상 영역에 대한 움직임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UI 영역, 자막 영역 및 영상 영역으로 절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단계와,
    상기 절개된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단계와,
    상기 절개된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 중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로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 적용될 MEMC 레벨을 각각 세부 영역 별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UI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 중 제 1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의 MEMC 레벨을 오프 MEMC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자막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 중 제 2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 변화량이 검출된 영역의 MEMC 레벨을 오프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영역에 대한 세부 영역들의 움직임 변화량을 기준으로 오프, 로우 및 하이 MEMC 레벨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는
    제 1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상기 하이 MEMC 레벨로 설정된 영역의 출력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와,
    제 2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상기 로우 MEMC 레벨로 설정된 영역의 출력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와,
    제 3 프레임 레이트를 적용하여 상기 오프 MEMC 레벨로 설정된 영역의 출력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레이트, 제 2 프레임 레이트 및 제 3 프레임 레이트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제 1 프레임 레이트 ≥ 제 2 프레임 레이트 ≥ 제 3 프레임 레이트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세부 영역별로 서로 다른 출력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되어 출력되는 상기 입력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136545A 2008-12-30 2008-12-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56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545A KR101556789B1 (ko) 2008-12-30 2008-12-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545A KR101556789B1 (ko) 2008-12-30 2008-12-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314A KR20100078314A (ko) 2010-07-08
KR101556789B1 true KR101556789B1 (ko) 2015-10-01

Family

ID=4263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545A KR101556789B1 (ko) 2008-12-30 2008-12-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886B1 (ko) * 2015-01-05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70B1 (ko) 2002-12-24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신호의 화질개선 장치 및 방법
JP2008306330A (ja) 2007-06-06 2008-12-1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動きベクトル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補間画像生成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70B1 (ko) 2002-12-24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신호의 화질개선 장치 및 방법
JP2008306330A (ja) 2007-06-06 2008-12-1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動きベクトル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補間画像生成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314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7957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gradation
KR20070108949A (ko) 표시 장치, 콘트라스트 조정 방법 및 콘트라스트 조정프로그램
EP1811454A2 (en) Edge area determining apparatus and edge area determining method
US7667739B2 (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s for video frames of video sequence by applying scene change detection and/or blinking detection and brightness adjusting devices thereof
US81746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itioning from a first display format to a second display format
US20090243515A1 (en) Motion adaptive ambient lighting
KR200700687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08739A (ja) 映像信号制御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信号制御方法
US2010007966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7511159A (ja) 周囲のビデオコンテンツに基づくクローズキャプション・テキストの適合
EP288474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display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5041831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0330505A (ja) 表示装置の輝度レベル制御装置および輝度レベル制御方法
KR20160018937A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장치
KR10155678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90071683A (ko) 영상표시기기 및 잔상 방지 방법
EP1903803A2 (en) Frame interpolating circuit, frame interpol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JP200304680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EP2091241A1 (en) Transparent OSD menu for a television system or the like
KR101585247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46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830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WO2010119667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1427421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KR1014905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