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377B1 - 리프 스프링용 패드 - Google Patents

리프 스프링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377B1
KR101552377B1 KR1020117000223A KR20117000223A KR101552377B1 KR 101552377 B1 KR101552377 B1 KR 101552377B1 KR 1020117000223 A KR1020117000223 A KR 1020117000223A KR 20117000223 A KR20117000223 A KR 20117000223A KR 101552377 B1 KR101552377 B1 KR 10155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pad
curved surface
tension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326A (ko
Inventor
즈네후미 가네마츠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13Mountings on the ax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0Leaf springs with layers, e.g. anti-friction layers, or with rollers between the l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3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 B60G11/4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the rubber springs being attached to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 B60G5/03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the arm itself being resilient, e.g. a leaf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3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패드(110)의 오목부(121)에는, 단면 곡면 형상을 이루는 곡면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123)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는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에 접촉하는 접촉부(123A)를 가지고 있다. 곡면부(123)는, 접촉부(123A)로부터 단부를 향함에 따라, 곡면부(123)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패드(110)에서는, 오목부(123)의 곡면부(123)가, 리프 스프링의 단부의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시, 그 텐션면과 곡면부(123)의 단부의 모서리부의 접촉이 회피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은 곡면부(123)의 단부의 모서리부와 마모하지 않는다. 그 결과, 마모에 의한 리프 스프링의 구부러짐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 스프링용 패드{PAD FOR LEAF SPRING}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겹쳐 사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에 대향하는 패드의 형상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트럭 등의 차량에서는, 구동축인 리어측 차축이 2축인 경우, 그 리어측 차축의 서스펜션으로서, 트러년 서스펜션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트러년 서스펜션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러버 마운트를 이용한 러버 마운트식의 것이 있다. 도 4는, 트러년 서스펜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트러년 서스펜션(1)에서는, 리어측의 타이어(3, 4)의 액슬(5, 6) 상에서, 리프 스프링(11∼13)이 겹쳐져 사용되고 있다.
리프 스프링(11, 12)의 양 단부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패드(14)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 스프링(12, 13)의 상호 단부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리프 스프링(13)의 단부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리프 스프링(12)의 스트로크 길이가 소정 길이 이상이 되었을 때에, 리프 스프링(12)의 단부와 접촉하여, 스트로크를 개시한다. 리프 스프링(11)과 액슬(5, 6)의 사이에는, 구불구불한 형상(蛇腹狀)을 이루는 러버 마운트(21, 22)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 스프링(11∼13)의 중앙부에는, 이들을 끼워 지지하는 U자 볼트(31, 32)가 배치되어 있다. U자 볼트(31, 32)의 선단부에는, 리프 스프링(13)의 상면에 배치된 패드(41)상에서 너트(33, 34)가 조여져 있다. U자 볼트(31, 32)의 저부와 리프 스프링(11)의 하면의 사이에는, 리프 스프링(11∼13)을 지지하는 트러년 시트(42)의 지지부가 배치되어 있다. U자 볼트(31, 32)의 사이에 있어서의 리프 스프링(11)의 하방에는, 트러년 샤프트(43)가 배치되어 있다. 트러년 샤프트(43)는, 트러년 시트(42)의 본체부의 구멍을 통해서 브래킷(44)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44)은, 차체(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트러년 서스펜션(1)에서는, 노면으로부터 타이어(3, 4)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이, 액슬(5, 6) 및 러버 마운트(21, 22)를 통하여 리프 스프링(11∼13)에 전달된다. 그리고, 리프 스프링(11∼13)이, 트러년 샤프트(43) 주위를 회전하고, 액슬(5, 6)상의 러버 마운트(21, 22)에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차체(2)에의 충격의 전달이 완화된다.
US6,264,231
그런데, 리프 스프링(11, 12)의 양 단부의 사이의 패드(14)에는, 도 5(A)∼(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양면의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표면은 평탄면(14A)으로 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의 평탄면(14A)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리프 스프링(11, 12)이 배치된다. 패드(14)의 양 단부의 볼록부에는, 볼트 구멍(14B)이 형성되고, 그곳을 통해서 볼트가 러버 마운트(21, 22) 상부의 플레이트(도시 생략)에 너트에 의해 조여져 있다. 이러한 패드(14)의 양면의 오목부의 평탄면(14A)에 접촉하고 있는 리프 스프링(11, 12)은, 트러년 서스펜션(1)의 동작 시에, 도 4의 윗쪽 방향으로 스트로크를 행한다. 이 경우, 리프 스프링(11∼13)의 상측의 면이 압착(compression)면이 되고, 하측의 면이 텐션면이 된다.
그러나, 리프 스프링(12)의 스트로크 시, 그 하측의 텐션면에는, 패드(14)의 평탄면(14A)의 좌단부측(리프 스프링(12)의 중앙부측)의 모서리부와의 국부적 마모가 생긴다. 그리고, 리프 스프링(12)의 마모부는, 응력 최약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곳을 기점으로 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조기에 구부러짐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도 6은,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의 우측 단부의 구부러짐 손상부(12A)의 상태를 나타내고, 부호 12B는 구부러짐 손상의 기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모에 의한 리프 스프링의 구부러짐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프 스프링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는,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겹쳐 사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로서,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에 대향하는 일면에, 텐션면을 향해서 돌출하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곡면부는,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곡면부는, 접촉부로부터 텐션면의 중앙부측을 향함에 따라, 곡면부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텐션면으로부터 이간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에서는, 곡면부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로부터 텐션면의 중앙부측을 향함에 따라, 곡면부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텐션면으로부터 이간해 있다. 따라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패드에 대향 배치된 리프 스프링의 스트로크 동작 중, 그 리프 스프링의 단부의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시에도, 그 텐션면과 패드의 곡면부의 상기 중앙부측 단부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은, 패드의 곡면부의 중앙부측 단부의 모서리부와 마모하지 않으므로, 마모에 의한 리프 스프링의 구부러짐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리프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의 곡면부는, 접촉부로부터 텐션면의 중앙부측과는 반대의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곡면부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텐션면으로부터 이간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패드의 곡면부는, 리프 스프링의 스트로크 시,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의 단부와의 접촉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에 의하면,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텐션면으로부터 이간해 있는 곡면부의 곡률 반경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패드에 대향 배치된 리프 스프링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시에 그 텐션면과 패드의 곡면부의 상기 중앙부측 단부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리프 스프링용 패드가 적용된 러버 마운트식의 트러년 서스펜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리프 스프링용 패드의 확대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A)의 화살표 1B 방향으로부터 본 우측면도, (C)는 (A)의 화살표 1C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리프 스프링의 우측 단부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의 상태, 및, 리프 스프링의 최대 스트로크 시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의 상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가 적용된 러버 마운트식의 트러년 서스펜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의 확대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A)의 화살표 5B 방향에서 본 우측면도, (C)는 (A)의 화살표 5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리프 스프링용 패드의 구부러짐 손상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1) 실시 형태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패드(110)가 적용된 러버 마운트식의 트러년 서스펜션(100)이다. 도 2는, 도 1의 패드(110)의 확대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A)의 화살표 1B 방향에서 본 우측면도, (C)는 (A)의 화살표 1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트러년 서스펜션(100)은, 도 4에 있어서 패드(14) 대신에 패드(110)를 이용한 이외는, 트러년 서스펜션(1)과 동일하므로, 트러년 서스펜션(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패드(11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리프 스프링(11, 12)의 양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패드(110)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도 2(A)∼(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도 1의 하측의 면)에 대향하는 오목부(121)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볼록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110)의 이면에는, 리프 스프링(11)의 압착면(도 1의 상측의 면)에 대향하는 오목부(131)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볼록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1)에는, 단면 곡면형상을 이루는 곡면부(123)가 형성되고, 곡면부(123)는,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에 대향 배치되어, 초기 상태에 있어서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에 접촉하는 접촉부(123A)를 가지고 있다. 곡면부(123)는, 접촉부(123A)로부터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 곡면부(123)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으로부터 이간해 있다. 또한, 곡면부(123)에 있어서, 접촉부(123A)로부터 텐션면의 중앙부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향하는 부분은, 단면 곡면형상을 하지 않아도 되고, 다양한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오목부(131)의 표면은 평탄면(133)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31) 및 볼록부(132)는, 필요에 따라, 오목부(121) 및 볼록부(122)와 마찬가지로 단면 곡면형상을 해도 된다. 볼록부(122, 132)에는, 볼트 구멍(122B)이 형성되고, 이곳을 통하여 볼트가 러버 마운트(21, 22) 상부의 플레이트에 너트에 의해 조여져 있다.
곡면부(123)의 최저점인 단부로부터 곡면부(123)의 최고점인 접촉부(123A)까지의 높이는, 곡면부(123)의 곡률 반경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곡면부(123)는, 제조에 있어서의 리프 스프링의 셋팅 공정 시,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과 곡면부(123)의 단부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이 회피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리프 스프링(12)의 단부의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시에 있어서, 리프 스프링(12)과 곡면부(123)의 단부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이 회피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2)실시 형태의 동작
리프 스프링(12)의 동작 시의 패드(110)의 상태에 대해서, 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리프 스프링(11, 12)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패드(110)의 상태, 및, 리프 스프링(11, 12)의 동작 시의 패드(110)의 상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도 1에 있어서의 리프 스프링(11, 12)의 우측 부분을 나타내고, 리프 스프링(11, 12) 및 패드(110) 이외의 구성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좌측 및 우측의 패드(110)는, 동일한 동작을 행하므로, 도 1의 좌측의 패드(110)의 동작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도 3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패드(110)가 리프 스프링(11, 12)의 사이에 배치되고, 패드(110)의 상면에는, 접촉부(123A)만이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도면의 하측면)에 접촉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액슬(6)로부터 러버 마운트(22)를 통하여 리프 스프링(11, 12)에 하중이 인가되면, 리프 스프링(11, 12)의 우측 단부는, 트러년 샤프트(43)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 스트로크를 행한다. 이 경우, 리프 스프링(12)의 우측 단부의 텐션면은, 패드(110)의 오목부(121)의 곡면부(123)를 향해서 휘어지고, 곡면부(123)의 형상에 따라 오목부(121)의 접촉부(123A)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자연스럽게 접촉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패드(110)에서는, 오목부(110)의 곡면부(123)가, 리프 스프링(12)의 우단부의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시,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과 곡면부(123)의 좌측 단부의 모서리부의 접촉이 회피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은, 곡면부(123)의 좌단부의 모서리부와 마모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에 대향 배치되는 곡면부(123)의 곡률 반경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리프 스프링(12)의 스트로크 동작 중, 그 리프 스프링(12)의 단부의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시에도, 그 텐션면과 패드(110)의 곡면부(123)의 단부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은, 패드(110)의 곡면부(123)의 단부의 모서리부와 마모하지 않으므로, 마모에 의한 리프 스프링(12)의 구부러짐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리프 스프링(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패드(110)의 곡면부(123)는, 접촉부(123A)로부터 텐션면의 중앙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그 두께가 감소하도록 하여 존재하므로, 리프 스프링의 스트로크 시, 리프 스프링(12)의 텐션면과의 접촉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다.
11, 12 : 리프 스프링 110 : 패드(리프 스프링용 패드)
123 : 곡면부 123A : 접촉부

Claims (2)

  1.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겹쳐 사용되는 리프 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에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텐션면을 향해서 돌출하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의 이면에, 타방의 리프 스프링의 압착면에 대향하는 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리프 스프링의 텐션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텐션면의 중앙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곡면부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텐션면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곡면부 및 상기 평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에, 상기 텐션면 측 또는 상기 압착면 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 스프링용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텐션면의 중앙부측과는 반대의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곡면부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텐션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 스프링용 패드.
KR1020117000223A 2008-07-09 2009-06-25 리프 스프링용 패드 KR101552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78791 2008-07-09
JP2008178791A JP5398184B2 (ja) 2008-07-09 2008-07-09 リーフスプリング用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326A KR20110053326A (ko) 2011-05-20
KR101552377B1 true KR101552377B1 (ko) 2015-09-10

Family

ID=4150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223A KR101552377B1 (ko) 2008-07-09 2009-06-25 리프 스프링용 패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70558B2 (ko)
EP (1) EP2301772B1 (ko)
JP (1) JP5398184B2 (ko)
KR (1) KR101552377B1 (ko)
CN (1) CN102089165B (ko)
CA (1) CA2729332C (ko)
WO (1) WO2010004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3206B2 (ja) * 2009-01-30 2013-07-3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リーフスプリングの端部支持構造
JP5197411B2 (ja) * 2009-01-30 2013-05-1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積層ラバーの連結構造
JP2013167269A (ja) * 2012-02-14 2013-08-29 Chuo Spring Co Ltd 重ね板ばね用サイレンサおよび重ね板ばね
CN103223833B (zh) * 2013-05-06 2015-03-11 东风汽车公司 一种副板簧滑板
JP6401506B2 (ja) * 2014-06-11 2018-10-1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US20160159183A1 (en) * 2014-12-05 2016-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ise reduction for rear suspension leaf spring with tip insert - round head
WO2016148709A1 (en) * 2015-03-18 2016-09-22 Watson & Chalin Manufacturing, Inc. Trunnion-type vehicle suspension system
KR102452677B1 (ko) * 2016-08-08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CN106611091B (zh) * 2017-01-03 2019-09-03 山东理工大学 非等偏频一级渐变刚度板簧的初始切线弧高的设计方法
KR102518176B1 (ko) * 2018-06-21 2023-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판 복합재스프링 서스펜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8299A (en) * 1933-06-30 1936-01-21 Cleveland Graphite Bronze Co Spring leaf spacer
US2861798A (en) * 1955-03-28 1958-11-25 Lenet Sidney Vehicle spring
US2815945A (en) * 1955-12-13 1957-12-10 Green Gabriel Vehicle spring accessory
JPS4914896Y1 (ko) * 1969-08-01 1974-04-13
JPS55127141U (ko) * 1979-03-05 1980-09-08
JPS5623735U (ko) * 1979-08-01 1981-03-03
JPS6212920Y2 (ko) * 1981-03-30 1987-04-03
JPS5850338A (ja) * 1981-09-19 1983-03-24 Hino Motors Ltd 重ね板ばね
JPS60220233A (ja) * 1984-04-17 1985-11-02 Nhk Spring Co Ltd Frp板ばね装置
JPS60231036A (ja) * 1984-04-28 1985-11-16 Nhk Spring Co Ltd Frp板ばね装置
JPS61157843A (ja) * 1984-12-28 1986-07-17 Nhk Spring Co Ltd Frp板ばね装置
US4750718A (en) 1985-09-05 1988-06-14 A. O. Smith Corporation Dual rate leaf spring construction
JPH0446098Y2 (ko) * 1985-10-23 1992-10-29
JPH01182641A (ja) * 1988-01-14 1989-07-20 Nippon Petrochem Co Ltd Frp板ばねの製造法
JPH0522881U (ja) * 1991-09-09 1993-03-26 日産デイ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スプリングのサイレンサ構造
SE502846C2 (sv) * 1991-10-07 1996-01-29 Saab Scania Ab Anordning för upptagande av krafter och rörelser mellan en hjulaxel och en bladfjäder i ett fordons hjulupphängningssystem
US5251886A (en) * 1992-05-14 1993-10-12 Bursel Joseph S Semi-elliptical spring suspension with automatic spring rate varying capacity
JPH0643380U (ja) * 1992-11-13 1994-06-07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スプリングサスペンションのシャックル
JP3775090B2 (ja) * 1999-01-28 2006-05-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リーフスプリング用樹脂製サイレンサ
US6264231B1 (en) * 2000-03-20 2001-07-24 The Boler Company Axle suspension connection
JP2001343277A (ja) * 2000-06-01 2001-12-14 Yazaki Corp 車両用荷重測定装置
US6371466B1 (en) * 2001-04-19 2002-04-16 Lonnie K. Spears Overload support apparatus for leaf spring suspen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326A (ko) 2011-05-20
EP2301772A1 (en) 2011-03-30
JP5398184B2 (ja) 2014-01-29
EP2301772A4 (en) 2011-11-30
EP2301772B1 (en) 2014-08-13
WO2010004878A1 (ja) 2010-01-14
CN102089165A (zh) 2011-06-08
CA2729332C (en) 2016-04-19
JP2010018086A (ja) 2010-01-28
CN102089165B (zh) 2014-08-20
CA2729332A1 (en) 2010-01-14
US20110095456A1 (en) 2011-04-28
US8770558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377B1 (ko) 리프 스프링용 패드
US7828308B2 (en) Stabiliser bar for a vehicle
US7878518B2 (en) Motor vehicle flexible axle, comprising a cross bracing with open cross-section whereof the flanks include non-rectilinear edges, cross bracing and corresponding motor vehicle
US20110278911A1 (en) Non-pneumatic tire
JP2006503750A (ja) シャックルアッセンブリ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JP488818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1407267B2 (en) Silencer for leaf spring for commercial vehicle
KR101349014B1 (ko) 상용차의 리프 스프링
CN102971239A (zh) 输送带刮除器的段体
JP7397795B2 (ja) 車両と併せて使用するバネ
CN215662826U (zh) 一种钢簧片缓冲限位结构、汽车前桥总成以及汽车
KR102579357B1 (ko) 현가장치용 복합재 리프스프링의 센터부 체결장치
CN210234599U (zh) 一种车辆悬挂
JPH1163067A (ja) 圧縮コイルばね外挿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7153097A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
JP4996109B2 (ja) 軸箱支持用弾性体
CN108473016A (zh) 限动器支架
JP2023042628A (ja) 変速機リフトアップ機構
KR100482971B1 (ko) 차량용 현가 장치
KR20230150082A (ko) 트레일링 암용 부싱
JP2004026085A (ja) 電動車両
KR101339215B1 (ko) 후륜 현가장치
JP4703305B2 (ja) タンデム車軸懸架装置
JPH0527376U (ja) リーフスプリング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