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935B1 -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935B1
KR101548935B1 KR1020130099368A KR20130099368A KR101548935B1 KR 101548935 B1 KR101548935 B1 KR 101548935B1 KR 1020130099368 A KR1020130099368 A KR 1020130099368A KR 20130099368 A KR20130099368 A KR 20130099368A KR 101548935 B1 KR101548935 B1 KR 101548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nitrogen
outsid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075A (ko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
Priority to KR102013009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4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기(外氣)와 상기 내부 공간의 내기(內氣)를 상호 열교환하고 살균하는 제1 공기 처리부;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외기로부터 산소 및 질소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상기 산소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배출시키고, 분리된 상기 질소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기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2 공기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협소한 공간 내부에서 장시간 일하는 작업자들을 위하여 이산화탄소 및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고 신선한 공기와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INNER AIR TREATMENT DEVICE FOR TEMPORARY FACILITY}
본 발명은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 내부에서 장시간 일하는 작업자들을 위하여 이산화탄소 및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고 신선한 공기와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매표소나 주차장 관리실, 도심의 간이 매점 등과 같이 차량이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 마련된 간이시설의 내부는 매우 협소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매연이나 먼지 등에 상시 노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간이시설의 내부에서 일하는 작업자는 항상 호흡기 질환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작업자의 건강을 고려하고 협소한 내부 공간에서 장시간 일함에 피로함을 느끼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8-008434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협소한 공간 내부에서 장시간 일하는 작업자들을 위하여 이산화탄소 및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고 신선한 공기와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기(外氣)와 상기 내부 공간의 내기(內氣)를 상호 열교환하고 살균하는 제1 공기 처리부;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외기로부터 산소 및 질소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상기 산소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배출시키고, 분리된 상기 질소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기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2 공기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외기 도입 덕트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기와 상기 내기를 상호 혼합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상기 외기 도입 덕트의 배출측과, 상기 열교환기의 배출측에 각각 연결되어 오존을 분사하면서 열교환된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를 살균하는 살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에서 분리된 산소는 오존 생성을 위하여 상기 살균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는, 상기 외기 도입 덕트의 입구측에 상기 열교환기측으로 상기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제1 흡입 팬과, 상기 외기 도입 덕트에서 상기 제1 흡입 팬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1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흡입 포트와 연결되는 배관 상에 구비되고, 상기 내기를 상기 열교환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 흡입팬과, 상기 열교환기의 배출 포트와 연결되는 배관 상에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기 내기를 다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기는 상기 배출팬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상기 오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외기 도입 덕트에 구비된 열교환기를 통하여 열교환된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 포트와 배출 포트를 구비하고 내부에 중공사막 (中空絲膜)이 배치된 분리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을 통하여 분리된 산소가 배출되는 상기 분리 모듈의 산소 배출포트와 연결되어 압축 산소를 생성하고 배출시키는 산소펌프와, 상기 중공사막을 통하여 분리된 질소가 배출되는 상기 분리 모듈의 질소 배출포트와 연결되어 압축 질소를 생성하고 배출시키는 질소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산소펌프 및 상기 질소펌프는 각각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산소펌프는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측과 배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는, 상기 산소펌프의 배출측과 연결되는 주 배출 배관과, 상기 주 배출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의 살균기와 연결되는 분기 배관과, 상기 주 배출 배관과 상기 분기 배관이 만나는 지점에 장착되는 삼방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압축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주 배출 배관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분배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는, 상기 질소펌프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배출된 압축 질소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질소 탱크와, 상기 질소 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질소 탱크 내부의 압력을 확인 가능한 압력계와, 상기 질소 탱크와 연통되어 대기 또는 지중으로 상기 압축 질소의 일부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질소 배출배관과, 상기 질소 탱크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분사 노즐이 구비된 제2 질소 배출배관과, 상기 제2 질소 배출배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 발생이 상기 센서부로 감지되느냐의 여부에 따라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압축 질소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개폐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공기 처리부가 외기와 내기를 상호 열교환하고 살균 처리 함으로써 1차적으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공기 질을 1차적으로 향상시키고, 제2 공기 처리부가 열교환된 외기로부터 산소를 분리하여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공기 질을 2차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쾌적한 작업 환경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센서부가 하우징 내부 공간의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제1, 2 공기 처리부가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고속도로 매표소나 주차장 관리실, 도심의 간이 매점 등과 같이 협소한 간이시설 내에서 장시간 일해야하는 작업자의 건강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공기 처리부를 통하여 외기로부터 분리된 불활성 가스인 질소의 일부를 유사시, 즉 화재 발생시 소화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등 장치 전체의 안전성 또한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에 제1, 2 공기 처리부(100, 200) 및 센서부(50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작업자가 일하는 동안 거주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301)와, 작업자가 외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창문(302)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기 처리부(100)는 하우징(300)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기(OA, 外氣)와 내부 공간의 내기(IA, 內氣)를 상호 열교환하고 살균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기(OA)의 1차적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공기 처리부(200)는 제1 공기 처리부(100)와 연결되고, 제1 공기 처리부(100)를 통하여 배출되는 외기(OA)로부터 산소 및 질소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산소는 하우징(300) 내부로 배출시키고, 분리된 질소는 하우징(300)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외기(OA)의 2차적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부(500)는 하우징(300) 내부에 장착되고 제1, 2 공기 처리부(100, 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우징(3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1, 2 공기 처리부(100, 20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제1, 2 공기 처리부(100, 200)측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질 개선장치는 센서부(500) 및 제1, 2 공기 처리부(100, 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400)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400)는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의 농도와, 기입력된 이산화탄소의 적정 농도 범위 및 하우징(300) 내부 공기 중 미세먼지의 적정 농도 범위를 비교하여 제1, 2 공기 처리부(100, 20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공기 처리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으로 도입된 외기(OA)와 내기(IA) 상호간을 열교환하고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열교환기(110)와 살균기(120)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열교환기(110)는 하우징(300)의 외측으로부터 하우징(30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외기 도입 덕트(600)의 외측을 감싸며, 외기(OA)와 내기(IA)를 상호 혼합하는 것이다.
살균기(120)는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외기 도입 덕트(600)의 배출측과, 열교환기(110)의 배출측에 각각 연결되어 오존을 분사하면서 열교환된 외기(OA) 및 열교환된 내기(IA')를 살균하는 것이다.
여기서, 후술할 제2 공기 처리부(200)에서 분리된 산소는 오존 생성을 위하여 살균기(120)로 공급된다.
이때, 제2 공기 처리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하는 장치에 관하여는 수많은 공지 기술이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그리고, 제1 공기 처리부(100)는 외기 도입 덕트(600)의 입구측에 열교환기(110)측으로 외기(OA)를 강제 유입시키는 제1 흡입 팬(13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공기 처리부(100)는 외기 도입 덕트(600)에서 제1 흡입 팬(131)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배치하여 외기(OA) 중의 이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제1 필터(1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공기 처리부(100)는 열교환기(110)의 흡입 포트(111)에 구비되고, 내기(IA)를 열교환기(110) 내부로 유입시켜 열교환하기 위한 제2 흡입팬(13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공기 처리부(100)는 열교환기(110)의 배출 포트(112)에 구비되고, 열교환기(110)를 통과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진 내기(IA')를 다시 하우징(300)의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팬(15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살균기(120)는 배출팬(150)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오존을 공급하면서 열교환된 내기(IA')의 유해 세균 등을 소멸시키게 된다.
이때, 제2 흡입팬(132)의 입구 또는 출구측 배관에는 제2 필터(142)가, 배출팬(150)의 입구 또는 출구측 배관에는 제3 필터(143)가 장착되어 미세먼지 및 부유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한다.
한편, 제2 공기 처리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기(OA)로부터 산소 및 질소를 분리하는 것으로, 크게 분리 모듈(21)과 산소펌프(220)와 질소펌프(230)를 포함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분리 모듈(210)은 하우징(300)의 외측으로부터 하우징(30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외기 도입 덕트(600)에 구비된 열교환기(110)를 통하여 열교환된 외기(OA)가 유입되는 흡입 포트(211)를 구비하고 내부에 중공사막(213, 中空絲膜)이 배치된 것이다.
산소펌프(220)는 중공사막(213)을 통하여 분리된 산소가 배출되는 분리 모듈(210)의 산소 배출포트(214)와 연결되어 압축 산소를 생성하고 배출시키는 것이다.
질소펌프(230)는 중공사막(213)을 통하여 분리된 질소가 배출되는 분리 모듈(210)의 질소 배출포트(215)와 연결되어 압축 질소를 생성하고 배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산소펌프(220) 및 질소펌프(230)는 각각 컨트롤러(400) 및 센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500)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400)에 의한 조작으로 각각 가동된다.
이때, 산소펌프(220)는 제1 공기 처리부(100)측,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기(120)와 배관 연결되어 살균기(120)에서 오존을 생성하기 위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2 공기 처리부(200)는 산소펌프(220)의 배출측과 연결되는 주 배출 배관(241)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배관(242)이 제1 공기 처리부(100)의 살균기(120)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제2 공기 처리부(200)는 주 배출 배관(241)과 분기 배관(242)이 만나는 지점에 장착되는 삼방 밸브(243)와, 하우징(300)의 내부에 압축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 배출 배관(241)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분배 배관(24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기(OA)로부터 분리된 압축 산소는 센서부(500)에서 이산화탄소, 산소 또는 미세먼지 등 기체와 관련된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 센서(510)가 실시간으로 감지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가스 센서(510)는 제1, 2 공기 처리부(100, 200)를 가동시키는 신호를 컨트롤러(400)에 전달하면 되는 것이다.
즉, 컨트롤러(400)는 가스 센서(510)로부터 가동 신호를 전달받아 제1 공기 처리부(100)의 제1, 2 흡입팬(131, 132) 및 배출팬(150)과 살균기(120)를 가동시키고, 산소펌프(220) 및 질소펌프(230)를 가동시켜 산소펌프(230)로부터 압축 산소를 분배배관(244)을 통하여 하우징(30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제2 공기 처리부(200)는 센서부(500)의 화재 감지 센서(520)로 발화 등 비상 상황을 감지하면 질소펌프(230)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 가스인 압축 질소를 하우징(300) 내로 분사하여 화재 진압할 수 있도록, 제1, 2 질소 배출배관(251, 252)과 질소 탱크(253)와 압력계(254)와 체크밸브(255)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탱크(253)는 질소펌프(230)의 배출측과 질소 배출 배관(256)으로 연결되어 배출된 압축 질소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압력계(254)는 질소 탱크(253)에 구비되어 질소 탱크(253) 내부의 압력을 확인 가능한 것이다.
제1 질소 배출배관(251)은 질소 탱크(253)와 연통되어 센서부(500) 및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계(254)가 질소 탱크(253) 내부의 압력이 안전 범위 내인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다가, 안전 범위를 벗어나면 대기 또는 지중으로 압축 질소의 일부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2 질소 배출배관(252)은 질소 탱크(253)와 연통되어 하우징(30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분사 노즐(252')이 구비된 것이다.
체크밸브(255)는 제2 질소 배출배관(252) 상에 장착되고 센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 발생이 센서부(500)로 감지되느냐의 여부에 따라 질소 탱크(253)로부터 압축 질소를 하우징(300)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개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 감지 센서(520)가 발화 등 비상 상황을 감지하면, 컨트롤러(400)는 화재 감지 센서(520)로부터 제2 공기 처리부(500)의 가동신호를 전달받아 체크밸브(255)를 개방하고 질소 탱크(253)로부터 압축 질소를 하우징(300) 내부로 분사하여 화재 진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 내부에서 장시간 일하는 작업자들을 위하여 이산화탄소 및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고 신선한 공기와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를 고속도로 매표소나 주차장 관리실, 도심의 간이 매점 등과 같은 간이시설 뿐만 아니라, 일반 건물이나 공장 등과 같은 작업장 등에도 모듈 개념으로 제공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응용 및 변형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100...제1 공기 처리부
200...제2 공기 처리부
300...하우징
400...컨트롤러
500...센서부

Claims (7)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기(外氣)와 상기 내부 공간의 내기(內氣)를 상호 열교환하고 살균하는 제1 공기 처리부;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외기로부터 산소 및 질소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상기 산소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배출시키고, 분리된 상기 질소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기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2 공기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외기 도입 덕트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기와 상기 내기를 상호 혼합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상기 외기 도입 덕트의 배출측과, 상기 열교환기의 배출측에 각각 연결되어 오존을 분사하면서 열교환된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를 살균하는 살균기를 포함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에서 분리된 산소는 오존 생성을 위하여 상기 살균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외기 도입 덕트에 구비된 열교환기를 통하여 열교환된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 포트와 배출 포트를 구비하고 내부에 중공사막 (中空絲膜)이 배치된 분리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을 통하여 분리된 산소가 배출되는 상기 분리 모듈의 산소 배출포트와 연결되어 압축 산소를 생성하고 배출시키는 산소펌프와,
    상기 중공사막을 통하여 분리된 질소가 배출되는 상기 분리 모듈의 질소 배출포트와 연결되어 압축 질소를 생성하고 배출시키는 질소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산소펌프 및 상기 질소펌프는 각각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산소펌프는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측과 배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는,
    상기 외기 도입 덕트의 입구측에 상기 열교환기측으로 상기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제1 흡입 팬과,
    상기 외기 도입 덕트에서 상기 제1 흡입 팬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1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처리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흡입 포트와 연결되는 배관 상에 구비되고, 상기 내기를 상기 열교환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 흡입팬과,
    상기 열교환기의 배출 포트와 연결되는 배관 상에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기 내기를 다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기는 상기 배출팬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상기 오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는,
    상기 산소펌프의 배출측과 연결되는 주 배출 배관과,
    상기 주 배출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의 살균기와 연결되는 분기 배관과,
    상기 주 배출 배관과 상기 분기 배관이 만나는 지점에 장착되는 삼방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압축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주 배출 배관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분배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는,
    상기 질소펌프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배출된 압축 질소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질소 탱크와,
    상기 질소 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질소 탱크 내부의 압력을 확인 가능한 압력계와,
    상기 질소 탱크와 연통되어 대기 또는 지중으로 상기 압축 질소의 일부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질소 배출배관과,
    상기 질소 탱크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분사 노즐이 구비된 제2 질소 배출배관과,
    상기 제2 질소 배출배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 발생이 상기 센서부로 감지되느냐의 여부에 따라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압축 질소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개폐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KR1020130099368A 2013-08-22 2013-08-22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KR101548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68A KR101548935B1 (ko) 2013-08-22 2013-08-22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68A KR101548935B1 (ko) 2013-08-22 2013-08-22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75A KR20150022075A (ko) 2015-03-04
KR101548935B1 true KR101548935B1 (ko) 2015-09-02

Family

ID=5302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368A KR101548935B1 (ko) 2013-08-22 2013-08-22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65B1 (ko) * 2018-09-10 2019-04-05 이의석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661A (ja) 2010-01-25 2011-08-04 Takasago Thermal Eng Co Ltd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661A (ja) 2010-01-25 2011-08-04 Takasago Thermal Eng Co Ltd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75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753B1 (ko) 방독면 필터 테스트 장치
KR200406536Y1 (ko)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US20090134995A1 (en) Workspace enclosure system with automatic shut-off
JP5931135B2 (ja) 化学的なプロセスのためのユニバーサル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BRPI0709832A2 (pt) laboratàrio màvel para anÁlise de agentes patogÊnicos
KR20110115562A (ko)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JP2011027308A (ja) 中央制御室の換気方法及び中央制御室換気装置
US10753683B2 (en) Device and system for gas injection in and extraction from a building structure
CN106075763A (zh) 智能化火灾预防及应对***
KR101548935B1 (ko)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KR20150046930A (ko) 실외공기를 강제 유입 정화하여 실내공기압을 높여 주는 공기정화장치
KR101840682B1 (ko)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KR102240700B1 (ko) 실내의 유독가스 절감시스템
KR20170115308A (ko) 관내 복합 안전시스템
CN106966250B (zh) 一种可自动报警救援电梯
EP2865424A1 (en) Air compressor system
TWM578362U (zh) 除霾系統
KR102031385B1 (ko) 가스 전달 패널로부터 스크러버 배기를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장치
JP4369767B2 (ja) 化学剤汚染地域の隔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90112547A (ko) 관 내부 갱생작업을 위한 환기 및 유해물질 제거시스템
CN207562524U (zh) 高效空气净化过滤装置
CN216105476U (zh) 电梯轿厢杀菌设备及电梯
US2022025229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rol systems for use with hot work enclosures or habitats
JPH04135647A (ja) クリーンルーム
JP2004169952A (ja) 差圧制御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