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583B1 -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 Google Patents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583B1
KR101548583B1 KR1020140020656A KR20140020656A KR101548583B1 KR 101548583 B1 KR101548583 B1 KR 101548583B1 KR 1020140020656 A KR1020140020656 A KR 1020140020656A KR 20140020656 A KR20140020656 A KR 20140020656A KR 101548583 B1 KR101548583 B1 KR 10154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frame
beams
lower device
slo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남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티슬롯에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안착하여 상기 하부기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빔과, 상기 제1 및 제2 빔의 양끝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티슬롯에 각각 체결되는 제3 및 제4 빔과, 상기 제1 및 제2 빔의 중간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는 티슬롯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5 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하부기기가 하중이 분산되어 장착됨에 따라, 철도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 및 하부기기의 하중이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가 삽입된 특정 티슬롯에 집중되지 않음으로, 응력집중으로 인한 체결볼트의 파손과 특정 티슬롯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더불어 차체의 내구성 및 안전성도 보다 향상되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LOWER PART MACHINERY MOUNTING BRACKET AND RAIL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기기를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하중을 분산시켜 장착할 수 있도록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 하부에는 차체의 중량을 차축에 전달하는 것과 동시에 주행, 제동 기능을 갖춘 대차 및 철도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전기, 유압 등을 전달하는 각종 하부기기 등이 장착된다.
따라서 하부기기는 철도차량 운행시 급출발 및 급제동에 따른 충격에도 탈락하지 않도록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하부기기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을 살펴보면,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는 언더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티슬롯(11)이 일정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고, 이와 더불어 하부기기(2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하부기기(20)를 티슬롯(11)에 지지가 되게 하는 고정편(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기기(20)가 정 위치하는 언더프레임(10)의 티슬롯(11)에는 각각 체결볼트(B)의 돌출된 상부가 끼워져 있고, 체결볼트(B)의 하부에는 하부기기(20)의 고정편(21)과 너트(N)가 삽입되어 너트(N)의 조임으로 하부기기(20)가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부기기 장착은 하부기기의 하중이 적으면 별다른 문제점이 없지만, 비교적 큰 하중의 하부기기를 장착하거나 차체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큰 하중의 하부기기를 체결볼트 및 너트만으로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장착하게 되면, 철도차량 운행시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과 하부기기의 하중이 체결볼트에 집중됨에 따라, 체결볼트가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결볼트가 삽입된 특정 티슬롯에도 응력집중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알루미늄 소재 차체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 및 하부기기의 하중이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가 삽입된 특정 티슬롯에 집중되지 않게 함으로써, 응력집중으로 인한 체결볼트의 파손과 티슬롯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하부기기를 하중을 분산시켜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으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티슬롯에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안착하여 상기 하부기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빔과, 상기 제1 및 제2 빔의 양끝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티슬롯에 각각 체결되는 제3 및 제4 빔과, 상기 제1 및 제2 빔의 중간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는 티슬롯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5 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빔은 각각 내부가 상기 언더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하부기기의 고정편과 체결되는 제1 및 제2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강성을 증대하는 제1 및 제2 보강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및 제4 빔은 각각 내부가 상기 언더프레임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티슬롯과 체결되는 제3 및 제4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강성을 증대하는 제3 및 제4 보강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5 빔은 각각 내부가 상기 언더프레임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는 티슬롯과 체결되는 제5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강성을 증대하는 제5 보강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어느 하나의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이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하부기기가 하중이 분산되어 장착됨에 따라, 철도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 및 하부기기의 하중이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가 삽입된 특정 티슬롯에 집중되지 않음에 따라, 응력집중으로 인한 체결볼트의 파손과 특정 티슬롯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더불어 알루미늄 차체의 내구성 및 안전성도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하부기기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을 도시한 정 단면도이다.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을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함을 명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을 도시한 정 단면도이며,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을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하부기기(20)를 하중을 분산시켜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100)으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티슬롯(11)에 횡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안착하여 상기 하부기기(20)의 상부에 양측으로 고정되는 고정편(21)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빔(110) 및 제2 빔(12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제1 빔(110) 및 제2 빔(120)의 양끝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10)의 하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티슬롯(11)에 각각 체결되는 제3 빔(130) 및 제4 빔(140)이 각각 형성된다.
또, 내측에는 상기 제1 빔(110) 및 제2 빔(120)의 중간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10)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는 티슬롯(11)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5 빔(150)을 형성된다.
상기 제1 빔(110) 및 제2 빔(120)은 각각 내부가 언더프레임(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빔(110) 및 제2 빔(120)의 하부 내측에는 관통되어 상기 하부기기(20)의 양측 고정편(21)과 각각 체결되는 제1 체결공(111) 및 제2 체결공(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빔(110) 및 제2 빔(120)의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빔(110) 및 제2 빔(120)의 강성을 각각 증대하는 제1 보강재(112) 및 제2 보강재(12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3 빔(130) 및 제4 빔(140)은 각각 내부가 언더프레임(10)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빔(130) 및 제4 빔(140)의 상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언더프레임(10)의 하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티슬롯(11)과 체결되는 제3 체결공(131) 및 제4 체결공(14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빔(130) 및 제4 빔(140)의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3 빔(130) 및 제4 빔(140)의 강성을 각각 증대하는 제3보강재(132) 및 제4 보강재(14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5 빔(150)은 각각 내부가 상기 언더프레임(10)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5 빔(150)의 상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언더프레임(10)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는 티슬롯(11)과 체결되는 제5 체결공(15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5 빔(150)의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강성을 증대하는 제5 보강재(152)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철도차량에는 상술한 제1 및 제2 빔(110, 120)과, 제3 및 제4 빔(130, 140)과, 제5 빔(150)으로 이루어진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1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는 언더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티슬롯(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와 더불어 하부기기(2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하부기기(20)를 티슬롯(11)에 지지가 되게 하는 고정편(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하부기기(20)가 장착되려하는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100)을 먼저 설치하고, 그 다음으로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100)에 하부기기(20)를 장착하면 된다.
즉, 제3 및 제4 빔(130, 140)이 체결되려하는 언더프레임(10)의 하부 바깥쪽 티슬롯(11)에 각각 체결볼트(B)의 돌출된 상부를 끼우고, 이와 동시에 제5 빔(150)이 체결되려하는 언더프레임(10)의 하부 안쪽 티슬롯(11)에도 각각 체결볼트(B)의 돌출된 상부를 끼워,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각각의 체결볼트(B)를 정 위치시킨다.
그리고 언더프레임(10)의 하부 바깥쪽 티슬롯(11)에 위치한 각각의 체결볼트(B)에는 제3 빔(130)의 제3 체결공(131) 및 제4 빔(140)의 제4 체결공(141)을 각각 끼우고, 동시에 언더프레임(10)의 하부 안쪽 티슬롯(11)에 위치한 체결볼트에도 제5 빔(150)의 제5 체결공(151)을 각각 끼운 다음, 각각의 체결볼트(B)의 하부에 너트(N)를 삽입시켜 조이면,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는 제3 및 제4 빔(130, 140)과, 또 제5 빔(150)이 견고히 고정되고, 이와 더불어 제3 및 제4 빔(130, 140)과, 제5 빔(150)에 연결된 제1 및 제2 빔(110, 120)도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지지된다.
이후, 작업자는 하기기기(10)를 들어올려 하부기기(20)의 상부 양측에 고정편(21) 내측과 제1 및 제2 빔(110, 120)의 제1 및 제2 체결공(111, 121)을 각각 맞닿게 하여 체결볼트(B)를 끼워 넣고 너트(N)로 조이면, 하부기기(20)가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100)을 통해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하부기기(20)가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100)을 통해 언더프레임(10)의 하부에 장착되면, 철도차량 운행시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과 하부기기(20)의 하중은 언더프레임(10) 전반에 분산되므로, 체결볼트(B) 및 특정 티슬롯(11)에는 종래처럼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응력집중으로 인한 체결볼트(B)의 파손과 특정 티슬롯(11)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즉, 하부기기(20)를 체결한 제1 및 제2 빔(110, 1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빔(130, 140)은 언더프레임(10)의 하부 바깥쪽으로 충격 및 하중을 각각 분산시키고, 이와 동시에 하부기기(20)를 체결한 제1 및 제2 빔(110, 120)의 내측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제5 빔(150)은 언더프레임(10)의 하부 안쪽으로 충격 및 하중을 각각 분산시키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언더프레임 11: 티슬롯
20: 하부기기 21: 고정편
100: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110: 제1 빔
111: 제1 체결공 112: 제1 보강재
120: 제2 빔 121: 제2 체결공
122: 제2 보강재 130: 제3 빔
131: 제3 체결공 132: 제3 보강재
140: 제4 빔 141: 제4 체결공
142: 제4 보강재 150: 제5 빔
151: 제5 체결공 152: 제5 보강재
B: 체결볼트 N: 너트

Claims (5)

  1.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하부기기를 하중을 분산시켜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으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티슬롯에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안착하여 상기 하부기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빔과,
    상기 제1 및 제2 빔의 양끝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티슬롯에 각각 체결되는 제3 및 제4 빔과,
    상기 제1 및 제2 빔의 중간부위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는 티슬롯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5 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빔은 각각 내부가 상기 언더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하부기기의 고정편과 체결되는 제1 및 제2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강성을 증대하는 제1 및 제2 보강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빔은 각각 내부가 상기 언더프레임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티슬롯과 체결되는 제3 및 제4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강성을 증대하는 제3 및 제4 보강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5 빔은 각각 내부가 상기 언더프레임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는 티슬롯과 체결되는 제5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각 삽입 고정되어 강성을 증대하는 제5 보강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5. 삭제
KR1020140020656A 2014-02-21 2014-02-21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KR10154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56A KR101548583B1 (ko) 2014-02-21 2014-02-21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56A KR101548583B1 (ko) 2014-02-21 2014-02-21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583B1 true KR101548583B1 (ko) 2015-08-31

Family

ID=5406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656A KR101548583B1 (ko) 2014-02-21 2014-02-21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65B1 (ko) * 2016-03-22 2017-11-06 디케이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부착물용 클램프
KR101825398B1 (ko) * 2016-06-29 2018-02-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489A (ja) 2006-10-24 2008-05-08 Hokuetsu Kogyo Co Ltd 車両搭載機器の吊り下げ支持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489A (ja) 2006-10-24 2008-05-08 Hokuetsu Kogyo Co Ltd 車両搭載機器の吊り下げ支持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65B1 (ko) * 2016-03-22 2017-11-06 디케이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부착물용 클램프
KR101825398B1 (ko) * 2016-06-29 2018-02-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229B2 (en) Structure for rear part of vehicle body
JP5237950B2 (ja) 車両用のバンパー・ビーム
US9228628B2 (en) Crush-can attached to a frame rail through a vehicle body
US10850775B2 (en) Vehicle lower portion structure
KR101548583B1 (ko)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JP5433270B2 (ja) 車両の牽引装置
CN104787072A (zh) 一种低地板轨道车辆底架结构
KR101488345B1 (ko) 대차의 능동형 댐퍼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KR20150113250A (ko) 판스프링타입 서스펜션장치
US10953923B2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RU2399518C1 (ru) Многооб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колесной транспортной техники, перевозимой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платформе
KR101896712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차체 마운팅 구조물
KR20170067606A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 마운팅 보강 구조
JP2005225341A (ja) 緩衝装置付き車体フレームを備えた車両
US9896812B2 (en) Mounting device for a debris deflector
CN204548119U (zh) 低地板轨道车辆下铰安装座及底架结构
KR10139933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N203047132U (zh) 一种商用车前下防护装置
CN111601748B (zh) 轨道车转向架承梁
CN109532792A (zh) 一种货车辅助刹车***
KR200476421Y1 (ko) 차량용 에어탱크 마운팅장치
CN104442656A (zh) 一种倒车防撞减震装置
KR20210023521A (ko) 차량용 코일 스프링 지지구조
KR20150050886A (ko) 스몰 오버랩 대응 보강부재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방법
CN219277429U (zh) 宽体自卸车保险杠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