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644B1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644B1
KR101541644B1 KR1020140026731A KR20140026731A KR101541644B1 KR 101541644 B1 KR101541644 B1 KR 101541644B1 KR 1020140026731 A KR1020140026731 A KR 1020140026731A KR 20140026731 A KR20140026731 A KR 20140026731A KR 101541644 B1 KR101541644 B1 KR 10154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ears
sprockets
pair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269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4002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6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일정궤도를 따라 공전 및 자전하면서 고기류를 익힐수 있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제1쌍의 스프라켓과 제2쌍의 스프라켓에 감기는 링 형태의 제1체인과 제2체인; 상기 제1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체인기어;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인이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가 상기 제1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고정구; 상기 제2체인에 장착된 다수의 제2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비큐 구이장치의 내부에서 고기류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므로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다.또한 통오리, 통닭, 통갈비, 통삼겸삽, 쪽갈비, 떡갈비, 기타 소, 돼지, 오리, 닭, 생선 등을 참숯을 이용하여 직화로 굽는데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Rotation type barbecue roaster}
본 발명은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고기류를 장치 내부의 일정한 궤도를 따라 공전 및 자전시킴으로써 타지 않고 보다 고르게 익힐 수 있는 바비큐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비큐 구이는 소, 돼지, 오리, 닭, 생선 등의 고기류를 통째로 굽는 조리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숯불 등에 석쇠를 올려 놓고 굽는 방법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쇠 위에서 고기류를 굽는 경우에는 자주 뒤집거나 돌려주지 않으면 쉽게 타버리는 문제가 있고, 떨어진 기름이 타면서 발생한 연기로 인해 고기류의 풍미를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고기류를 돌리면서 구울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는 고기류가 꽂힌 꼬치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면 하부에 비치된 숯불에 가까운 것은 쉽게 타버리고 너무 먼 것은 잘 익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장치를 대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741167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기류가 담긴 함형 석쇠가 체인을 따라 승강하면서 동시에 자전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익힐 수 있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감긴 체인에 피니언기어를 장착하고,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석쇠고정블록을 결합하고, 체인의 일측에 피니언기어와 치합하는 고정래크를 설치한다. 따라서 체인이 회전하면 피니언기어가 승강운동을 함과 동시에 고정래크에 의해 자전운동을 하게 되고, 석쇠고정블록과 그에 결합된 함형 석쇠도 피니언기어를 따라 승강 및 자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는 체인의 일측에 막대형 고정래크만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체인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함형 석쇠의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하지만 스프라켓의 상부 또는 하부를 지나는 구간에서는 함형석쇠가 자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바비큐 구이장치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에는 자전하지 않는 구간이 있더라도 별 영향이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전하지 않는 구간으로 인해 고기류가 균일하게 익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장치의 내측면에 가열버너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하부에 숯불을 설치하면 떨어진 기름으로 인해 연기가 발생하여 고기류의 풍미를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스, 전기 등의 가열버너를 사용할 경우 숯불 고유의 풍미를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741167호(2007.07.20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된 궤도의 전구간에서 공전 및 자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떨어진 기름으로 인한 연기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숯불 고유의 풍미를 즐길 수 있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제1쌍의 스프라켓과 제2쌍의 스프라켓에 감기는 링 형태의 제1체인과 제2체인; 상기 제1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체인기어;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인이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가 상기 제1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고정구; 상기 제2체인에 장착된 다수의 제2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는 상기 이동경로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1체인을 따라 공전운동을 하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려서 자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제1쌍의 스프라켓과 제2쌍의 스프라켓에 감기는 링 형태의 제1체인과 제2체인; 상기 제1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제1체인기어; 상기 제2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제2체인기어; 상기 다수의 제1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인이 상기 제1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제1체인기어가 상기 제1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는 제1가이드레일; 상기 다수의 제2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체인이 상기 제2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제2체인기어가 상기 제2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2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는 제2가이드레일; 상기 다수의 제1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 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2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2 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 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 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1 체인기어는 상기 제1체인을 따라 공전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맞물려서 자전운동을 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체인기어는 상기 제2체인을 따라 공전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맞물려서 자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상기 가이드레일의 양 측단에는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는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상기 제1체인의 수직구간의 내측에는 상기 제1체인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체인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비큐 구이장치의 내부에서 고기류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므로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로가 본체의 후측면에 위치하므로 떨어진 기름으로 인한 연기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숯불 고유의 풍미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강화유리 등을 사용하여 고기류가 익는 모습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식감을 자극하여 보다 적극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는 통오리, 통닭, 통갈비, 통삼겸삽, 쪽갈비, 떡갈비, 기타 소, 돼지, 오리, 닭, 생선 등을 참숯을 이용하여 직화로 굽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체인기어와 가이드레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체인과 가이드레일에 의해 체인기어가 공전 및 자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체인기어에 고정구가 장착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제1구동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고정체인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1체인과 고정체인의 사이에서 체인기어가 공전 및 자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체인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1체인과 고정체인 사이에 체인기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체인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바비큐 구이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체인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바비큐 구이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17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100)는 도 1의 정면도 및 도 2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101), 본체의 내부(101)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고기류를 담는 바스켓(10)을 공전 및 자전시키는 제1구동유닛(110a)과 제2구동유닛(110b), 제1 및 제2 구동유닛(110a,110b)을 구동시키는 모터(170)와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2개의 구동유닛(110a,110b)을 설치한 것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하나의 구동유닛만이 설치될 수도 있고, 더 많은 구동유닛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01)의 후측면 하부에는 숯불 등을 태우는 화로(105)가 설치되고. 화로(105)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료주입구(103)와 재받이(107)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체(101)의 천정 또는 측면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배기구(109)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01)의 내부공간은 가로방향의 격벽(102)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며, 상부공간에는 각 구동유닛(110a,110b)이 설치되고, 하부공간에는 모터(170)와 각 구동유닛(110a,110b)에 모터(17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된다.
화로(105)는 상부공간과 연통되며, 화로(105)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팬(180)은 격벽(102)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격벽(102)의 상부에는 고기류에서 떨어진 기름을 수집할 수 있는 기름받이를 서랍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170) 등은 격벽(102)에 의해 고온의 상부공간과 격리되므로 과열이 방지된다. 보다 효과적인 단열을 위하여 격벽(102)의 저면에 단열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1)에서 격벽(102)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을 강화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제작하면, 고기류가 회전하면서 익어가는 모습을 밖에서 볼 수 있으므로 보는 사람의 미감을 자극하여 보다 적극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스켓(10)은 금속망 또는 석쇠를 박스형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덮개 또는 도어를 설치하여 여닫이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바스켓(10)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바스켓(10)을 대신하여 꼬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은 후술하는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1구동유닛(110a)과 제2구동유닛(110b)은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모터(170)에 의해 동작하면서 바스켓(10)을 공전 및 자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구동유닛(110a,110b)의 구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구동유닛(110a)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구동유닛(110a)은 본체(101)의 상부공간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1스프라켓(111)과, 상기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의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과,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과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의 중심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본체(101)의 측벽에 결합된 제1축(121)과 제2축(122)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1스프라켓(111)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2스프라켓(112)에는 제1체인(130a)이 감기고, 다른 제1스프라켓(111)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2스프라켓(112)에는 제2체인(130b)이 감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이 모터(17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스프라켓이고,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은 각각 제1체인(130a)과 제2체인(130b)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 스프라켓이다.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2스프라켓(111,112)을 각각 종동 및 구동 스프라켓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체인(130a)과 제2체인(130b)이 같은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을 제1축(121)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제1스프라켓(111)을 회전시키면 다른 제1스프라켓(111)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1체인(130a)과 제2체인(130b)이 같은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은 제2축(122)에 자유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체(10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제2축(12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체인(130a)에는 다수의 체인기어(1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체인(130a)이 회전하면 다수의 체인기어(140)는 제1체인(130a)을 따라 이동한다.
제1체인(130a)의 외측에는 다수의 체인기어(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90)이 설치된다.
체인기어(140)의 일측에는 바스켓(10)을 장착하는 고정구(150)가 결합되며, 고정구(150)는 체인기어(140)에 고정되어 체인기어(140)와 함께 회전한다.
제2체인(130b)에도 체인기어(140)를 장착하고, 그 주변에 가이드레일(19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체인(130b)에는 고정구(150)만을 결합할 수도 있다.
가이드레일(190)은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체인기어(140)의 이동경로의 외곽에 설치되어 각 체인기어(140)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이동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다수의 체인기어(140)는 가이드레일(19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운동을 하게 된다.
가이드레일(190)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어 홀(192)이 형성된 긴 금속판의 양단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링 형상으로 제조된다.
가이드레일(190)에 구비된 다수의 기어 홀(192)은 체인기어(140)의 기어이(gear tooth)와 치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 체인기어(140)는 제1체인(130a)을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레일(190)의 기어 홀(192)과 치합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체인기어(140)의 공전과 자전이 동시에 가능해진다.
가이드레일(190)은 평판 형태일 수도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의 양 측단에 측벽(194)이 형성된 각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작하면 양 측벽(194)의 사이에 체인기어(140)가 삽입되므로 체인기어(14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체인(130a)의 내측에는 내측체인가이드(160)가 설치된다. 내측체인가이드(160)는 제1체인(130a)의 수직구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제1체인(130a)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1체인(130a) 보다 넓은 폭을 갖는 금속판 또는 금속 막대 등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내측체인가이드(160)를 설치하면 부품간 유격으로 인해 제1체인(130a)이 늘어나거나 동작 중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제1체인(130a)과 가이드레일(19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1체인(130a)과 함께 이동하는 체인기어(140)는 가이드레일(190)과 안정적으로 치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제1체인(130a)에 결합된 체인기어(140)가 제2스프라켓(112)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면서 동시에 자전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체인기어(140)는 제1 스프라켓(111)의 둘레를 지나는 동안에도 마찬가지로 자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인기어(140)를 따라 이동하는 바스켓(10)이 본체(101)의 내부에서 끊임없이 자전하면서 승강운동을 하므로 고기류를 보다 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체인기어(140)는 이동하면서 가이드레일(190)과 맞물려서 자전해야 하므로 제1체인(13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체인기어(140)를 제1체인(13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전술한 등록특허와 같이 체인에 별도의 고정편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에 체인기어(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체인(130a)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봉(135)을 통상의 것보다 길게 형성하여 연결봉(135)의 돌출부분을 체인기어(140)의 축홀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체인기어(140)의 회전축을 제1체인(130a)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봉(135)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체인기어(140)에서 제1체인(130a)에 결합되는 측면의 반대쪽 면에는 바스켓(10)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고정구(150)가 설치된다. 고정구(150)는 체인기어(140)와 함께 회전해야 하므로 체인기어(140)의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어야 한다.
고정구(1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기어(140)의 측면에 고정되고 일단에 내측으로 돌턱이 형성된 통 형상의 하우징(152), 하우징(152)의 상기 돌턱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56)를 구비하는 이동부재(154), 하우징(15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154)에 바깥쪽으로의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58)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스켓(10)의 중심축(12)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홈(14)에 고정구(150)의 끼움돌기(156)를 삽입하여 이동부재(154)를 후퇴시키면, 바스켓 중심축(12)의 타단을 제2체인(130b)에 결합된 고정구(15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바스켓(10)의 중심축(12)이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끼움돌기(156)를 다각 기둥으로 형성하고, 끼움홈(14)은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각 기둥 형상의 끼움돌기(156)는 제1체인(130a)의 고정구 또는 제2체인(130b)의 고정구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해도 무방하다.
제2체인(130b)에도 제1체인(130a)과 마찬가지로 체인기어를 결합하고, 그 주변에 가이드레일(190)을 설치한다.
다만, 제1체인(130a)과 제2체인(130b)에 결합된 체인기어(1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이 다르면 그 사이에 설치된 바스켓 중심축(12)의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런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도 1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체인(130b)에는 체인기어, 가이드레일 등을 설치하지 않고 고정구(150)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체인기어(14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70)의 회전력을 제1스프라켓(11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02)의 하부공간에 위치하는 모터(170)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172)를 장착하고, 구동기어(172)에는 종동기어(174)를 맞물리도록 결합한다. 또한 격벽(102)의 하부공간에는 종동기어(174)에 축결합된 수평방향의 구동축(114)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축(114)의 일단과 타단에는 제1구동유닛(110a)을 동작시키는 제1구동스프라켓(176)과 제2구동유닛(110b)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스프라켓(178)이 각각 결합된다.
제1구동유닛(110a)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축(121)에는 제1종동스프라켓(179a)을 제1스프라켓(111)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축결합하고, 제1종동스프라켓(179a)과 제1구동스프라켓(176)에는 제1구동체인(132a)을 감는다.
제2구동유닛(110b)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축(121)에는 제2종동스프라켓(179b)을 제2구동유닛(110b)의 제1스프라켓(111)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축결합하고, 제1종동스프라켓(179a)과 제2구동스프라켓(178)에는 제2구동체인(132b)을 감는다.
제1 및 제2종동스프라켓(179a,179b)은 제1축(121)에 고정하거나, 제1스프라켓(111)에 고정한다.
따라서 모터(170)가 회전하면, 구동기어(172), 종동기어(174), 구동축(114), 제1 및 제2 구동스프라켓(176,178), 제1 및 제2 종동스프라켓(179a,179b)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제1 및 제2 종동스프라켓(179a,179b)에 대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각 구동유닛(110a,110b)의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이 회전하면 제1 및 제2스프라켓(111,112)에 감긴 제1 및 제2체인(130a,130b)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체인(130a)에 결합된 다수의 체인기어(140)가 제1체인(130a)과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90)의 기어홀(192)에 맞물려서 자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각 체인기어(140)에 장착된 고정구(150)가 회전하게 되고, 고정구(150)에 결합된 바스켓(10)의 중심축(12)이 회전하면서 결국 바스켓(10)에 담긴 고기류가 자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100)에서는 다수의 체인기어(140)가 제1체인(130a)에 결합되어 제1체인(130a)을 따라 이동한다. 그런데 제1체인(130a)에 다수의 체인기어(140)를 일일이 결합하면 유지보수에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체인기어(140)를 제1체인(130a)에 고정하지 않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7의 측면도 및 도 8의 부분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100)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101)의 내부에 제1구동유닛(110a)과 제2구동유닛(110b)을 포함하고, 제1구동유닛(110a)과 제2구동유닛(110b)은 동일한 모터(170)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101)의 내부공간이 격벽(10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본체(101)의 후측면 하부에 화로(105)가 배치되며, 화로(105)의 상부와 하부에 연로공급구(103)와 재받이(107)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격벽(102)의 하부에 모터(170), 송풍팬(180), 동력전달수단 등이 설치된다.
또한 체인기어(140)에 고정구(150)를 결합하는 방법과 고정구(150)에 바스켓(10)을 결합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100)는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21)에 감기는 제1체인(130a)의 외곽에 고정체인(200)이 설치되고, 제1체인(130a)과 고정체인(200)의 사이에 다수의 체인기어(140)가 설치된다. 이때 다수의 체인기어(140)는 고정체인(200)과 제1체인(130a)의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으며, 기어이(gear tooth)가 고정체인(200)과 제1체인(130a)에 동시에 맞물린 상태가 된다.
한편 체인기어(140)가 제1체인(130a)과 고정체인(200)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기 위해서는 제1체인(130a)과 고정체인(20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체인(200)의 외측에 고정체인(200)이 바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금속판 형태의 링 형상의 외측체인가이드(210)를 설치한다. 이때 고정체인(200)은 외측체인가이드(2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고정체인(200)에 외측체인가이드(21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체인(130a)의 수직구간의 내측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측체인가이드(160)를 고정 설치한다. 내측체인가이드(160)는 제1체인(130a)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품간 유격으로 인해 제1체인(130a)이 늘어나거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제1체인(130a)과 고정체인(20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체인기어(140)가 제1체인(130a)과 고정체인(200)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체인(130a)이 회전운동을 하면, 체인기어(140)는 비록 제1체인(130a)에 결합되지는 않았지만 제1체인(130a)과 고정체인(200)에 맞물린 상태이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체인(130a)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전 및 공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르면 제1체인(130a)의 내측에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12)이 맞물리고 외측에 체인기어(140)가 맞물린다, 따라서 체인기어(140)가 제1스프라켓(111) 또는 제2스크라켓(112)의 둘레를 지나는 동안에는 각 스프라켓(111,112)의 기어 이와 체인기어(140)의 기어 이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체인(130a)에 2열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열 체인은 2개의 서브체인(130a-1, 130a-2)이 나란히 결합된 형태이다.
따라서 제1서브체인(130a-1)은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12)의 둘레에 감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서브체인(130a-2)과 고정체인(200)의 사이에 다수의 체인기어(140)를 설치하면 체인기어(140)가 제1, 제2스프라켓(111,112)과 간섭 없이 전 구간을 공전 및 자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체인(130a)을 2열 체인으로 구성하더라도, 제1체인(130a)의 외측에는 각 서브체인(130a-1, 130a-2)을 모두 둘러싸거나 어느 하나만 둘러싸도록 외측체인가이드(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체인(130a)과 나란히 배치된 제2체인(130b)의 외곽에는 체인기어, 고정체인 등을 설치하지 않고 고정구(150)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체인(130a)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체인기어(140), 고정체인(200) 등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체인(130b)도 2열 체인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1체인(130a) 또는 제2체인(130b) 중 적어도 하나를 2열 체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과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이 각각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체인(130a)과 제2체인(130b)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체인(130a,130b)의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치장치(10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12)이 제1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축(121)과 제2축(122)이 각각 제2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12)은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축(121)과 제2축(122)은 각각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치장치(100)도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12)은 제1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축(121)과 제2축(122)이 각각 제2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12)은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축(121)과 제2축(122)은 각각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체인(130b)에는 체인기어(140)를 설치하지 않고 고정구(150)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170)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구동부(110a,110b)를 모두 동작시켰으나, 각 구동부를 별도의 모터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동력전달부재는 전술한 내용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고정구(150)에 탄성이 부여된 이동부재(154)를 설치하고 이동부재(154)의 끼움돌기(156)를 바스켓 중심축(12)의 끼움홈(14)에 삽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바스켓(10)의 중심축(12)의 일단 또는 타단에 끼움홈(14)을 갖는 이동부재를 설치하고, 고정구(150)에 끼움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회전식 구이장치(100)가 숯불용 화로(105)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숯불 구이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종류의 열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1)의 내측면에 전기히터, 가스버너 등의 열원을 배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각 구동부(110a,110b)가 서로 평행한 2개의 체인(130a,130b)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양 체인의 고정구(150)의 사이에 바스켓(10)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구동부(110a,110b)에 제1체인(130a)만을 설치하면, 비교적 가벼운 꼬치류의 일단만을 고정구(150)에 장착으로써 꼬치류의 공전과 자전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스켓, 꼬치 등에 고기류를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로 고기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바스켓 12: 중심축
14: 삽입돌기 100: 바비큐 구이장치
101: 본체 102: 격벽
103: 연료공급구 105: 화로
107: 재받이 109: 배기구
110a, 110b: 제1, 제2구동유닛 111, 112: 제1, 제2스프라켓
114: 구동축 121, 122: 제1, 제2축
130a, 130b: 제1, 제2체인 132a, 132b: 제1, 제2구동체인
140: 체인기어 150: 고정구
152: 하우징 154: 이동부재
156: 끼움돌기 158: 스프링
160: 내측체인가이드 170: 모터
172: 구동기어 174: 종동기어
176,178: 제1, 제2구동스프라켓 179a, 179b: 제1, 제2종동스프라켓
180: 송풍팬 190: 가이드레일
192: 기어 홀 194: 측벽
200: 고정체인 210: 외측체인가이드

Claims (5)

  1.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제1쌍의 스프라켓과 제2쌍의 스프라켓에 감기는 링 형태의 제1체인과 제2체인;
    상기 제1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체인기어;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인이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가 상기 제1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고 양 측단에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가 삽입되는 측벽이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제1체인의 수직구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체인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체인가이드;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고정구;
    상기 제2체인에 장착된 다수의 제2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는 이동경로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1체인을 따라 공전운동을 하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려서 자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2.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제1쌍의 스프라켓과 제2쌍의 스프라켓에 감기는 링 형태의 제1체인과 제2체인;
    상기 제1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제1체인기어;
    상기 제2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제2체인기어;
    상기 다수의 제1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인이 상기 제1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제1체인기어가 상기 제1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고, 양 측단에 상기 다수의 제1 체인기어가 삽입되는 측벽이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상기 다수의 제2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체인이 상기 제2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제2체인기어가 상기 제2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2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고, 양 측단에 상기 다수의 제2 체인기어가 삽입되는 측벽이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의 수직구간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체인가이드;
    상기 다수의 제1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 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2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2 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 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 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1 체인기어는 이동경로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1체인을 따라 공전운동을 하고 동시에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맞물려서 자전운동을 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체인기어는 이동경로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2체인을 따라 공전운동을 하고 동시에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맞물려서 자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3. 삭제
  4. 삭제
  5.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감기는 링 형태의 체인;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
    상기 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체인기어;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체인이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감겨서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가 상기 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 전체의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의 기어 이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고, 양 측단에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가 삽입되는 측벽이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체인의 수직구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체인가이드;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고정구;
    상기 다수의 고정구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체인기어는 이동경로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체인을 따라 공전운동을 하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려서 자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20140026731A 2014-03-06 2014-03-06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54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31A KR101541644B1 (ko) 2014-03-06 2014-03-06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31A KR101541644B1 (ko) 2014-03-06 2014-03-06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24A Division KR101430885B1 (ko) 2013-12-11 2013-12-11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269A KR20150068269A (ko) 2015-06-19
KR101541644B1 true KR101541644B1 (ko) 2015-08-03

Family

ID=5351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731A KR101541644B1 (ko) 2014-03-06 2014-03-06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3610B2 (en) 2019-10-25 2023-01-1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524B1 (ko) * 2018-01-02 2019-07-23 박용하 자전운동을 이용한 농작물 건조장치
KR102077945B1 (ko) * 2018-11-05 2020-04-02 임영주 고기구이 장치
KR102167764B1 (ko) * 2018-12-11 2020-10-19 대한민국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CN110604484A (zh) * 2019-10-24 2019-12-24 李庆宝 磁吸串式无烟自动烤串机
KR102453286B1 (ko) * 2020-07-02 2022-10-12 주식회사대한기계 첨가물 도포장치
KR102558014B1 (ko) * 2021-02-25 2023-07-21 아라온영어조합법인 전열식 훈연장치
CN113692186B (zh) * 2021-08-16 2024-01-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长岛县供电公司 一种供电线路风偏报警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67B1 (ko) * 2006-03-24 2007-07-20 백록종합식품(주) 바비큐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67B1 (ko) * 2006-03-24 2007-07-20 백록종합식품(주) 바비큐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3610B2 (en) 2019-10-25 2023-01-1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269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44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368138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601783B1 (ko) 상부회전식 구이장치
KR101346628B1 (ko) 고기 구이용 장치
KR101679695B1 (ko)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KR101937050B1 (ko) 꼬치구이기
KR100837069B1 (ko) 훈제 구이기
KR101430885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950534B1 (ko)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20070047541A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0644844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100762986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180019826A (ko)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200408165Y1 (ko) 고기구이장치
KR101011590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333549B1 (ko)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한 고기구이장치
KR200423312Y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102410672B1 (ko) 회전고기구이시스템
KR101719242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0112742Y1 (ko) 적외선 훈제 구이기
KR102410674B1 (ko) 회전고기구이장치
KR100871830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200250036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자동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