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308B1 -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308B1
KR101538308B1 KR1020140003727A KR20140003727A KR101538308B1 KR 101538308 B1 KR101538308 B1 KR 101538308B1 KR 1020140003727 A KR1020140003727 A KR 1020140003727A KR 20140003727 A KR20140003727 A KR 20140003727A KR 101538308 B1 KR101538308 B1 KR 10153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filter
water tanks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화
정설화
박재웅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102014000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수가 저장되는 복수의 수조(10);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된 필터(100); 필터(100)의 개방구에 연결된 정화수 배출관(21); 복수의 수조(10)에 각각 연결된 공기 유입관(210); 공기 유입관(210)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가압부(200);를 포함하고, 정화모드에서는 복수의 수조(10)의 오염수가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중공(101)에 모인 후,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되며, 역세모드에서는 공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더불어, 정화모드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는 수조(10a)의 중공(101)에 유입되어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필터(100)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수처리 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건설 현장 및 소규모의 하수 처리장에 적용이 유리하며,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시키며, 유지,보수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Description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HAVING BACK-WASH FUNCTION}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한 수처리장치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는 여과도중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수처리장치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전 공정 자동화를 위한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수처리 장치의 설치 시, 부지의 면적이 크게 소요되기 때문에 건설 현장 및 소규모의 하수처리장 등에 설치하는 것이 불리하며, 공간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전자동 방식에 의해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므로, 별도의 역세수조 및 역세펌프를 설치해야 하며, 수조의 내부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또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슬러지 제거장치 및 역세수조 등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며, 수처리 장치가 차지하는 부지의 면적이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여과필터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한 보수 작업 시,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필터들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수처리 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건설 현장 및 소규모의 하수 처리장에 적용이 유리하며,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시키며, 유지,보수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수가 저장되는 복수의 수조(10); 상기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된 필터(100); 상기 필터(100)의 개방구에 연결된 정화수 배출관(21); 상기 복수의 수조(10)에 각각 연결된 공기 유입관(210); 상기 공기 유입관(210)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가압부(200);를 포함하고, 정화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조(10)의 오염수가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상기 중공(101)에 모인 후,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되며, 역세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더불어, 상기 정화모드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는 수조(10a)의 상기 중공(101)에 유입되어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상기 필터(100)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은 타단이 상기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23);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의 일단이 통합되어 정화수를 배출하는 하나의 통합관(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관(22)에는 배출밸브(24)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밸브(24)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개방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에는 각각 복수의 펌프(25)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25)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구동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100)는 상기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복수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은 타단이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25)는 상기 정화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펌프(25)가 모두 구동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펌프(25)가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세모드에서는 상기 배출밸브(24)가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펌프(25)가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100)는 원통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유입관(210)에는 유입밸브(211)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밸브(211)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폐쇄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10)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조(10) 타측에 각각 슬러지 제거부(3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는 진공 흡입에 의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는 상기 역세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가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수조(10)에 유입된 오염수를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도록 정화하여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하는 정화단계; 상기 정화단계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배출하는 정화수 배출단계; 및 상기 공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더불어, 상기 정화단계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를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는 수조(10a)의 상기 중공(101)으로 유입하여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도록 하여 상기 필터(100)를 세척하는 역세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은 타단이 상기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23)과,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의 일단이 통합되어 정화수를 배출하는 하나의 통합관(22);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22)에는 배출밸브(24)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에는 각각 복수의 펌프(25)가 설치되며, 상기 정화단계에서는 상기 배출밸브(24)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펌프(25)를 구동하며, 상기 역세단계에서는 상기 배출밸브(24)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펌프(25)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필터(100)는 상기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복수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은 타단이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세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를 구동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는 상기 수조(10)에 형성된 슬러지를 진공 흡입에 의해 제거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조(10) 타측에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건설 현장 및 소규모의 하수 처리장에 적용이 유리하며,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시키며, 유지,보수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 1실시예의 정화모드의 구성도.
도 2는 제 1실시예의 역세모드의 구성도.
도 3은 제 2실시예의 정화모드의 구성도.
도 4는 제 2실시예의 역세모드의 구성도.
도 5는 필터의 제 1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필터의 제 2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는 오염수가 저장되는 복수의 수조(10);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된 필터(100); 필터(100)의 개방구에 연결된 정화수 배출관(21); 복수의 수조(10)에 각각 연결된 공기 유입관(210); 공기 유입관(210)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가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정화모드 및 역세모드에서 각각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정화모드에서는 복수의 수조(10)의 오염수가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중공(101)에 모인 후,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된다.(도 1,3,5).
반면, 역세모드에서는 정화모드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는 수조(10a)의 중공(101)으로 유입되어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을 투과하면서 필터(100)를 세척한다(도 2,4,6).
여기서, 공기 유입관(210)을 통해 수조(10a)로 유입된 공기가 기포를 생성하고, 상기 기포가 간접적으로 필터(100)의 측벽에 충돌하면서 역세 효율을 높이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위 정화모드 및 역세모드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오염수의 정화 및 필터의 세척이 가능하므로, 수처리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처리장치와 비교하여 별도의 역세수조 및 역세펌프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수처리 장치가 차지하는 부지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성이 높아 건설 현장 및 소규모의 하수처리장에 설치하기에 매우 유리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100)는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구조로서, 필터(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음과 아울러, 내부에서 외부로 오염물질의 탈리(역세)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상관없다.
즉, 필터(100)는 평판형, 나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인 정화 및 세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필터(100)는 다수의 미세중공이 형성된 재질(풀로오르수지 등)로서, 오염수가 이를 투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 사용된 수조(10)는 복수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각각 필터(100)가 설치된 구조가 특징이다(도 1).
이러한 구조를 통해, 유지보수 작업 또는 역세모드를 수행해야하는 해당 필터(100)의 가동만을 중단하고, 나머지 필터(100)들은 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필터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한 보수작업 시,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필터들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해당 필터(100)가 설치된 수조(10a)의 가동만을 정지하면 되므로, 전체 수처리 공정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 사용된 정화수 배출관(21)은 타단이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23);과, 복수의 분기관(23)의 일단이 통합되어 정화수를 배출하는 하나의 통합관(22);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도 1 내지 4).
또한, 위의 통합관(22)에는 배출밸브(24)가 설치되고, 이 배출밸브(24)는 정화모드에서 개방되며, 역세모드에서 폐쇄된다.
즉, 정화모드에서는 배출밸브(24)가 개방됨으로써, 정화가 이루어진 처리수가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반면, 역세모드에서는 배출밸브(24)가 폐쇄됨으로써,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수조(10a)를 제외한 타 수조(10)의 처리수가 배출되지 않고 다시 역방향으로 흘러 해당 수조(10a)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분기관(23)에는 각각 복수의 펌프(25)가 설치되고, 이 펌프(25)는 정화모드에서 구동하여 오염수가 필터(100)의 내부 중공으로 투과되는 것을 강제하고, 역세모드에서 정지한다.
정화수 배출관(21)이 위의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펌프(25)는 정화모드에서는 복수의 펌프(25)가 모두 구동하며, 역세모드에서는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수조(10a)에 설치된 펌프(25)가 정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역세모드에서는 배출밸브(24)가 폐쇄되고,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100)와 연결된 분기관(23)에 설치된 펌프(25)가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4).
즉, 평상 시에는 펌프(25)들에 의하여 각각의 수조(10)에 있는 여과 처리수를 흡입하여 방류하는 반면, 필터(100)의 표면에 이물질이 덮이는 경우 정화효율을 저해하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할 경우, 해당 필터(100)와 연결된 펌프(25)의 작동만을 중단하여 역세모드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 때, 펌프(25)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은 타 수조(10)의 처리수는 펌프(25)에 의하여 분기관(23)을 통해 통합관(22)에서 합쳐져 배출되다가 배출밸브(24)가 폐쇄됨으로써, 다시 역방향으로 흘러 펌프(25)의 작동을 중단한 해당 수조(10a)로 유입되게 된다(도 2,4).
위의 역세모드를 통해 해당 필터(100)가 설치된 수조(10a)에는 슬러지가 형성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수조(10a) 타측에 각각 슬러지 제거부(300)를 설치한 구조를 제시한다.
슬러지 제거부(300)는 정화수 배출관(21)의 구조와 유사하게 분기관 및 통합관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분기관이 복수의 수조(10)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이 분기관들이 하나의 통합관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위의 역세모드 시, 해당 수조(10a)에 설치한 슬러지 제거부(300)만 구동함으로써, 역세가 수행된 처리수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역세모드 시, 해당 필터(100)와 연결된 펌프(25)만을 정지하고, 해당 필터(100)와 연결된 슬러지 제거부(300)만을 구동하므로, 수처리의 효율성을 보다 극대화하고, 유지보수 작업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슬러지 제거부(300)는 진공 흡입방식에 의하여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슬러지 제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종래에는 별도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며 수처리 장치가 차지하는 부지의 면적이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큰 부피를 차지하는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해당 수조(10a)에 연결된 슬러지 제거부(300)만을 가동하면 되므로,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더불어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필터(100)가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복수가 설치되며, 복수의 분기관(23)은 타단이 분기되어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구조를 통해 수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관(210)에는 유입밸브(211)가 설치되는데, 이는 정화모드에서 폐쇄되어 정화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역세모드에서 개방되어 공기를 수조(10)의 내부 로 유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수조(10)에 유입된 오염수를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도록 정화하여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하는 정화단계가 이루어진다(도 5).
이 정화단계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배출하는 정화수 배출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더불어, 위의 정화단계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를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는 수조(10a)로 유입하여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도록 하여 필터(100)를 세척하는 역세단계가 이루어진다(도 6).
이 때, 정화수 배출관(21)은 타단이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23)과, 복수의 분기관(23)의 일단이 통합되어 정화수를 배출하는 하나의 통합관(22);을 포함하며, 통합관(22)에는 배출밸브(24)가 설치되고, 복수의 분기관(23)에는 각각 복수의 펌프(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의 정화단계에서는 배출밸브(24)를 개방함과 아울러, 복수의 펌프(25)를 모두 구동한다.
반면, 위의 역세단계에서는 배출밸브(24)를 폐쇄함과 아울러,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수조(10a)에 설치된 펌프(25)만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의 역세단계에서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수조(10a)에 설치된 슬러지 제거부(300)를 구동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 제거부(300)는 수조(10)에 형성된 슬러지를 진공 흡입에 의해 제거하도록, 복수의 수조(10)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필터(100)는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복수가 설치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복수의 분기관(23)은 타단이 분기되어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수조 21 : 정화수 배출관
22 : 통합관 23 : 분기관
24 : 배출밸브 25 : 펌프
100 : 필터 101 : 필터의 중공
200 : 가압부 210 : 공기 유입관
211 : 유입밸브 300 : 슬러지 제거부

Claims (15)

  1. 오염수가 저장되는 복수의 수조(10);
    상기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된 필터(100);
    상기 필터(100)의 개방구에 연결된 정화수 배출관(21);
    상기 복수의 수조(10)에 각각 연결된 공기 유입관(210);
    상기 공기 유입관(210)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가압부(200);
    진공 흡입에 의하여 상기 수조(10)에 형성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조(10) 타측에 각각 설치된 슬러지 제거부(300);를
    포함하고,
    정화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조(10)의 오염수가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상기 중공(101)에 모인 후,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되며,
    역세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더불어, 상기 정화모드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는 수조(10a)의 상기 중공(101)에 유입되어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상기 필터(100)를 세척하고,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은
    타단이 상기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23);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의 일단이 통합되어 정화수를 배출하는 하나의 통합관(22);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22)에는 배출밸브(24)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밸브(24)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개방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폐쇄되며,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에는 각각 복수의 펌프(25)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25)는 상기 정화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펌프(25)가 모두 구동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는 상기 배출밸브(24)가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펌프(25)가 정지하고,
    상기 공기 유입관(210)에는 유입밸브(211)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밸브(211)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폐쇄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개방되며,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는
    상기 역세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00)는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수조(10)에 유입된 오염수를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도록 정화하여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하는 정화단계;
    상기 정화단계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배출하는 정화수 배출단계; 및
    상기 공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더불어, 상기 정화단계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를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는 수조(10a)의 상기 중공(101)으로 유입하여 상기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도록 하여 상기 필터(100)를 세척하는 역세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은 타단이 상기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23)과,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의 일단이 통합되어 정화수를 배출하는 하나의 통합관(22);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22)에는 배출밸브(24)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에는 각각 복수의 펌프(25)가 설치되며,
    상기 정화단계에서는 상기 배출밸브(24)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펌프(25)를 구동하며,
    상기 역세단계에서는 상기 배출밸브(24)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펌프(25)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00)는
    상기 복수의 수조(10) 내부에 각각 복수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분기관(23)은
    타단이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필터(100)의 일단 개방구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조(10) 중,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수조(10a)에 설치된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를 구동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제거부(300)는 상기 수조(10)에 형성된 슬러지를 진공 흡입에 의해 제거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조(10) 타측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KR1020140003727A 2014-01-13 2014-01-13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53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727A KR101538308B1 (ko) 2014-01-13 2014-01-13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727A KR101538308B1 (ko) 2014-01-13 2014-01-13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308B1 true KR101538308B1 (ko) 2015-07-21

Family

ID=5387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727A KR101538308B1 (ko) 2014-01-13 2014-01-13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109B1 (ko) 2019-10-25 2020-05-27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원심 교반형 흡착 여과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714B1 (ko) * 2007-08-22 2008-03-27 주식회사 한화건설 고도정수처리장치
JP2010253418A (ja) * 2009-04-27 2010-11-11 Yanmar Co Ltd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KR101291299B1 (ko) * 2011-08-09 2013-07-30 삼건세기(주)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714B1 (ko) * 2007-08-22 2008-03-27 주식회사 한화건설 고도정수처리장치
JP2010253418A (ja) * 2009-04-27 2010-11-11 Yanmar Co Ltd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KR101291299B1 (ko) * 2011-08-09 2013-07-30 삼건세기(주)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109B1 (ko) 2019-10-25 2020-05-27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원심 교반형 흡착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306B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KR100530806B1 (ko) 여과망 흡입세척식 수처리용 여과장치
CN106149280B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US20080257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Micro-filtration Tubules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US9844755B2 (en) Membrane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KR101538308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CN219984137U (zh) 滤芯可自清理的净水设备
CN105420989B (zh) 洗衣机以及具有循环水过滤***的洗衣机的控制方法
KR20080092612A (ko) 하폐수 여과 장치
CN116655054A (zh) 一种超滤膜污水处理设备及污水处理方法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JP2017177042A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1557884B1 (ko) 회전형 스트레이너 섬유 여과기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CN105986433B (zh) 洗衣机
KR200370318Y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CN207680154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WO2019153744A1 (zh) 一种固液分离***
CN107050981B (zh) 一种循环清洗的过滤设备
JP2002126468A (ja) 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及び膜ろ過装置
KR101474195B1 (ko) 섬유관 필터 및 하이브리드 필터
KR102571445B1 (ko) 자동 세척 기능이 있는 배관형 정밀여과장치
KR101493348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011697B1 (ko) 오수 처리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스크린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