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078B1 - 오수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078B1
KR100926078B1 KR1020090047581A KR20090047581A KR100926078B1 KR 100926078 B1 KR100926078 B1 KR 100926078B1 KR 1020090047581 A KR1020090047581 A KR 1020090047581A KR 20090047581 A KR20090047581 A KR 20090047581A KR 100926078 B1 KR100926078 B1 KR 10092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ilter member
sewage
filter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시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시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시엘
Priority to KR102009004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rames axial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의 정화효율과 필터부재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고, 필터부재의 교환 등 기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오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오수정화장치는 오수가 담기는 오수처리조와, 오수처리조 내에 침수상태로 설치되며 오수처리조의 오수가 그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양면에 각각 물이 통과하는 여과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정화된 물이 흐르는 정화수유로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와, 정화된 물의 배출을 위해 정화수유로와 연통하도록 필터부재에 연결된 배출관과, 필터부재 양면의 여과부 외면 쪽에서 여과부에 부착된 오물을 물과 함께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필터부재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수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WASTE WATER}
본 발명은 오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부재를 통해 오수를 걸러서 정화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필터부재를 세척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오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나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에는 각종 부유물이나 오물이 포함되어 있다. 오수정화장치는 이러한 오폐수로부터 각종 부유물이나 오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522906호에는 오수가 회전하는 디스크형태의 필터부재를 통과하게 하는 방식으로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오수정화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가 유입되는 중앙의 드럼(1)과, 오수의 여과를 위해 드럼(1) 주위에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디스크형 필터부재(2)와, 필터부재(2) 외면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부재(2)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2) 상측에 설치된 세척장치(3)를 구비한다. 또 세척 시 필터부재(2)의 내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물을 받아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트러프(4,trough)를 구비한다.
이 오수정화장치는 중앙의 드럼(1)으로 공급된 오수가 회전하는 필터부재(2)의 내부로 유입되고, 필터부재(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여과된다. 걸러진 부유물이나 오물은 필터부재(2)의 내부에 쌓이고, 필터부재(2)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물은 처리조(5)의 배출구(5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세척을 수행할 때는 필터부재(2)가 회전하는 가운데 고압의 세척수가 필터부재(2)의 외면으로 분사되므로 필터부재(2) 내측의 부유물이나 오물이 트러브(4)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오수정화장치는 오수가 드럼(1)을 통해 회전하는 필터부재(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부유물이나 오물이 필터부재(2) 내측에 부착되거나 쌓인다. 따라서 필터부재(2)의 세척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길어질수록 필터부재(2) 내에 떠도는 부유입자가 증가하게 되면서(내부 부유물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오수의 정화처리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 장치는 필터부재(2)의 하부영역에서만 오수의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화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오수정화장치는 필터부재(2)를 세척할 때 필터부재(2)의 내측에 부착된 오물을 필터부재(2) 외측에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기 때문에 세척효율이 낮을 뿐 아니라 세척용수의 소요가 많은 결점이 있었다. 또 필터부재(2)를 부분적으로 교환하기도 힘들어 유지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필터부재(2)를 교환할 때는 동작을 정지시켜야 했다.
또 이러한 오수정화장치는 정화과정에서 필터부재(2)를 회전시켜야 하고 세척을 하면서도 필터부재(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세척수 분사를 위한 고압펌프의 가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의 정화효율과 필터부재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오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부재의 교환 등 기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오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는 오수가 담기는 오수처리조와, 상기 오수처리조 내에 침수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수가 그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양면에 각각 물이 통과하는 여과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정화된 물이 흐르는 정화수유로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와, 정화된 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정화수유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재 양면의 여과부 외면 쪽에서 상기 여과부에 부착된 오물을 물과 함께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필터부재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여과부가 대향하는 형태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설 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양면에 상기 여과부가 마련된 상기 필터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오수처리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관과, 상기 필터부재의 여과부와 근접하는 위치의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입관 내부와 연통하는 유로 및 상기 여과부와 대면하는 쪽에 형성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관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부여하여 물과 오물을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흡입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흡입관의 분리 없이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흡입관이 관통하는 중심부로부터 그 테두리까지 절개된 관진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수정화장치는 상기 오수처리조의 수위제어를 위한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수처리조의 수위는 상기 배출관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의 여과부는 오물을 걸러주는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부재의 내면 쪽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와, 상기 여과부재의 외면 쪽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정화수유로의 물을 상기 배출관 쪽으로 안내하기 위해 그 상부에 마련된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관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배출안내부에 마련된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는 필터부재들이 오수처리조 내에 완전히 침수상태로 설치되고, 각 필터부재의 거의 모든 영역이 오수의 정화에 이용되기 때문에 오수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오수의 정화효율이 높기 때문에 그 만큼 기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는 오수처리조의 물이 각 필터부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정화되기 때문에 각 필터부재에 의해 걸러지는 오물이나 부유물이 각 필터부재의 외측에 부착되고, 이러한 오물이나 부유물을 필터부재 외측의 흡입부재가 강력한 흡입력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때문에 필터부재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처럼 고압펌프로 분사하여 세척하는 경우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세척하는 것이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는 각 필터부재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고, 필터부재의 교환과정에서 흡입관 등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정화작업을 수행하면서도 필터부재의 교환작업을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는 배출관의 높이가 오수처리조의 수위보다 낮아 별도의 에너지를 투입하지 않고서도 물이 자연적으로 흐르면서 오수의 정화를 수행할 수 있고, 필터부재의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장치도 세척동작을 수행할 때만 잠시 동작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활하수나 공장폐수와 같은 오수가 담기는 오수처리조(10)와, 오수처리조(10) 내에 침수상태로 설치된 필터부재들(20)과, 정화된 물의 배출을 위해 필터부재들(20)에 연결된 배출관(30)과, 필터부재(20)에 부착된 오물이나 부유물을 제거하는 세척장치(40)를 구비한다.
오수처리조(1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탱크형태이고, 그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관(11)이 연결된다. 오수처리조(10)는 정화처리를 위한 오수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되므로 그 형태가 반드시 사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수유입관(11)도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처리조(1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거나 오수처리조(10) 상측 개방부를 통해 진입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오수처리조(10)의 상부도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필터부재들(2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패널형태로 마련되며 오수처리조(10)의 오수가 그 내부로 유입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물이 통과하는 여과부들(21)을 구비하고, 양측 여과부(21) 사이에 정화된 물이 흐르는 정화수유로(26)를 구비한다. 정화수유로(26)는 양측 여과부(21)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필터부재들(20)은 양측의 여과부(21)가 대향하는 형태로 복수개가 오수처리조(10) 내에 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필터부재(20) 양측의 여과부(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나 다공성 섬유 등으로 된 여과부재(22)와, 여과부재(22)의 내면 쪽을 지지하는 그릴 형태 의 내측지지부(23), 그리고 여과부재(22)의 외면 쪽을 지지하는 금속망이나 그릴 형태의 외측지지부(24)를 포함한다. 이는 오수처리조(10) 내부의 오수가 양측 여과부재(22)를 통과하여 정화수유로(26) 쪽으로 유입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여과부재(22)가 내측 및 외측지지부(23,2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형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필터부재(20)의 상부에는 정화수유로(26)의 물을 배출관(30)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안내부(27)와, 각 필터부재(20)를 배출관(30)과 연결할 수 있도록 배출안내부(27)에 마련된 연결장치(28)가 마련된다. 정화수유로(26) 내의 정화된 물이 상측의 배출안내부(27)를 통하여 배출관(3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결장치(28)는 각 필터부재(20)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배관연결용 커플링이나 연결소켓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관(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부재(20)와 연결됨으로써 각 필터부재(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물의 배출을 안내한다. 또 배출관(30)은 오수처리조(10) 내에 담기는 오수에 침수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정화된 물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오수처리조(10)의 수위는 배출관(30)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됨으로써 수두 차에 의해 물이 배출관(30) 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오수처리조(10)의 물이 각 필터부재(20)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정화된 후 배출관(30)을 통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화처리를 수행하는데 에너지가 소요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오수처리조(10)의 상부에는 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수위센서(13)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유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각 필터부재(20)로부터 오수처리조(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관들(30a)이 오픈된 하수도와 같은 배수유로(60)를 통해 배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 배출관(30a)에는 배출관(3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들(35)이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20)를 세척하는 세척장치(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필터부재(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양단이 오수처리조(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흡입관(41)과, 각 필터부재(20)의 양측 여과부(21)에 근접하도록 흡입관(41)에 설치된 흡입부재들(42)과, 흡입관(4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3)와, 흡입관(41)에 흡입력을 부여하여 물과 오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흡입관(41)과 연결된 흡입펌프(44)를 포함한다.
흡입부재들(42)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으로부터 흡입관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흡입관(41) 내부와 연통하는 유로(42a)를 구비한다. 또 물과 오물의 흡입을 위해 각 필터부재(20)의 여과부(21)와 대면하는 쪽에 형성된 흡입구들(42b)을 구비한다. 각 필터부재(20) 양측에 배치되는 흡입부재들(42)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호 위치가 반대가 되도록 한다.
구동모터(4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능을 갖춘 통상의 감속기어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수처리조(10)의 외측에 설치되고 벨트와 풀리 등에 의해 흡입관(41)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43)는 각 필터부재(20)의 세척을 수행할 때 흡입관(41)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필터부 재(20) 양측의 흡입부재들(42)이 흡입관(41)과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세척장치(40)는 흡입펌프(44)가 동작하는 가운데 구동모터(43)가 동작하여 흡입부재들(42)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각 필터부재(20)의 외측에 부착된 오물이나 부유물을 세척한다. 즉 흡입펌프(44)가 동작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필터부재(20)의 여과부(21)와 인접하도록 설치된 각 흡입부재(42)의 흡입구(42b)에 강력한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필터부재(20)의 여과부(21) 외면에 부착된 오물이 물과 함께 흡입부재(42) 내측으로 흡입된다. 동시에 각 흡입부재(4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과 함께 회전하므로 필터부재(20) 양측 외면의 넓은 영역(회전에 의해 흡입부재가 도달하는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각 흡입부재(42)의 내측으로 흡입된 물과 오물은 흡입관(41)과 흡입펌프(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입관(41)을 통해 배출되는 물과 오물은 오수처리조(10) 상류에 마련되는 별도의 처리조(미도시)로 수집되었다가 다시 오수처리조(10)로 유입되거나 별도의 공정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이처럼 필터부재(20) 외측에 부착된 오물이나 이물질을 흡입방식으로 세척을 하면, 흡입부재(42)가 위치하는 필터부재(20)의 외면에 국부적으로 강력한 흡입력이 작용하여 오물이나 이물을 흡입하고, 회전에 의해 흡입부재(42)의 위치가 변해가면서 여과부(21)의 많은 면적을 세척을 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필터부재(20)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종래처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하는 경우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세척하는 것이 세척효과도 높고 에너지 효율에서도 유리하다. 통상적으로 같은 면적에 작용하는 분사력보다는 흡입력의 영향이 훨씬 크기 때문이 다.
이러한 세척동작은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거나, 기기의 제어수단에 의해 주기적으로 자동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1시간에 1분씩 세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각 필터부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이 관통하는 중심부로부터 그 테두리까지 절개된 형태로 마련된 관진입부(29)를 구비한다. 이는 흡입관(41)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각 필터부재(20)를 개별적으로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오수처리조(10)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필터부재(20)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관진입부(29)가 각 필터부재(20)의 중심으로부터 각 필터부재(20)의 하단까지 길게 형성된다.
다음은 이러한 오수정화장치의 오수정화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유입관(11)을 통하여 오수처리조(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는 수위센서(13)가 설치된 오수처리조(10)의 설정수위까지 채워진다. 오수처리조(10) 내부의 오수는 각 필터부재(20)의 양측 여과부(21)를 통하여 각 필터부재(2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정화되고, 정화된 물은 각 필터부재(20)의 정화수유로(26) 및 배출안내부(27)를 통해 배출관(30)을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관(30)은 그 높이가 오수처리조(10)의 설정수위보다 낮기 때문에 오수처리조(10)로 유입된 물은 자연스럽게 각 필터부재(20)를 통과하여 배출관(30) 쪽으로 흐르면서 정화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물의 자연적인 흐름에 의해 오수의 정화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 필터부재들(20)이 오수처리 조(10)에 완전히 침수된 상태를 유지하여 각 필터부재(20)의 거의 전역을 이용하여 물의 정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정화효율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처리용량이 비슷한 종래 장치에 비하여 기기의 소형화도 가능하다.
필터부재들(20)의 세척은 정화를 수행하는 중에 물을 배수시키지 않고서도 수행할 수 있다. 이때는 구동모터(43)를 통하여 흡입관(41)을 회전시키는 가운데 흡입펌프(44)가 동작하도록 하여 각 필터부재(20) 양측 외면에 부착된 오물이 물과 함께 각 흡입부재(42)로 흡입되도록 한다. 각 흡입부재(42)의 흡입구(42b)는 각 필터부재(20)의 양측 여과부(21) 외면에 근접하고 흡입구(42b)를 통해 강력한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각 필터부재(20)의 양측 여과부(21) 외면에 부착된 오물은 물과 함께 흡입부재(42)로 흡입된다. 흡입된 오물은 흡입관(41)과 흡입펌프(44)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세척동작은 대략 1시간에 한번 꼴로 주기적으로 시행하기 때문에 각 필터부재(20)가 정화하기에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세척동작은 정화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수행되고 시간도 짧기 때문에 정화처리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구동모터(43)와 흡입펌프(44)는 세척동작을 수행할 때만 잠시 동작하기 때문에 세척동작으로 인한 에너지의 소모는 그다지 크지 않다. 즉 필터부재들(20)을 계속 회전시키면서 고압펌프로 세척수를 분사해야 하는 종래의 오수정화장치에 비하면 에너지의 소모가 현저하게 적다.
장기간 사용으로 필터부재(20)를 교환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다. 특히 각 필터부재(20)는 관진입 부(29)를 구비하기 때문에 흡입관(41) 등을 분리할 필요 없이 쉽게 교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각 필터부재(20)를 개별적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시행할 수 있다. 필터부재(20)의 교환을 위해 기기의 다른 부분을 분리하거나 물을 배수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기의 유지관리도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오수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의 필터부재들과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의 필터부재와 흡입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정화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수처리조, 13: 수위센서,
20: 필터부재, 21: 여과부,
26: 정화수유로, 27: 배출안내부,
29: 관진입부, 30: 배출관,
40: 세척장치, 41: 흡입관,
42: 흡입부재, 43: 구동모터,
44: 흡입펌프.

Claims (7)

  1. 오수가 담기는 오수처리조와,
    상기 오수처리조 내에 침수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수가 그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양면에 각각 물이 통과하는 여과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정화된 물이 흐르는 정화수유로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와,
    정화된 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정화수유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재 양면의 여과부 외면 쪽에서 상기 여과부에 부착된 오물을 물과 함께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필터부재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오수처리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관과, 상기 필터부재의 여과부와 근접하는 위치의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입관 내부와 연통하는 유로 및 상기 여과부와 대면하는 쪽에 형성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관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부여하여 물과 오물을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여과부가 대향하는 형태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흡입관의 분리 없이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흡입관이 관통하는 중심부로부터 그 테두리까지 절개된 형태로 마련된 관진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정화장치는 상기 오수처리조의 수위제어를 위한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수처리조의 수위는 상기 배출관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여과부는 오물을 걸러주는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부재의 내면 쪽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와, 상기 여과부재의 외면 쪽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정화수유로의 물을 상기 배출관 쪽으로 안내하기 위해 그 상부에 마련된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관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배출안내부에 마련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장치.
KR1020090047581A 2009-05-29 2009-05-29 오수정화장치 KR10092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81A KR100926078B1 (ko) 2009-05-29 2009-05-29 오수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81A KR100926078B1 (ko) 2009-05-29 2009-05-29 오수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078B1 true KR100926078B1 (ko) 2009-11-11

Family

ID=4156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581A KR100926078B1 (ko) 2009-05-29 2009-05-29 오수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0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48B1 (ko) * 2010-11-18 2011-04-06 주식회사 이시엘 오수정화장치
CN103191593A (zh) * 2013-04-27 2013-07-10 江苏兆盛环保集团有限公司 新型滤布滤池
CN103203130A (zh) * 2013-04-27 2013-07-17 江苏兆盛环保集团有限公司 新型滤布滤池的反冲洗机构
CN108283833A (zh) * 2018-02-28 2018-07-17 陈鹏 一种污水滤芯的自动清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663A (en) 1978-10-06 1980-09-09 The Harshaw Chemical Company Multiple plate filter apparatus
US6488842B2 (en) * 1999-02-26 2002-12-03 Tadayoshi Nagaoka Filtering device
KR100872863B1 (ko) 2008-08-05 2008-12-10 주식회사 한미엔텍 악취 제거와 여과 효율이 향상된 하수 및 오수 처리장치
KR100876198B1 (ko) * 2008-07-11 2008-12-31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다중세척장치가 적용된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663A (en) 1978-10-06 1980-09-09 The Harshaw Chemical Company Multiple plate filter apparatus
US6488842B2 (en) * 1999-02-26 2002-12-03 Tadayoshi Nagaoka Filtering device
KR100876198B1 (ko) * 2008-07-11 2008-12-31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다중세척장치가 적용된 여과장치
KR100872863B1 (ko) 2008-08-05 2008-12-10 주식회사 한미엔텍 악취 제거와 여과 효율이 향상된 하수 및 오수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48B1 (ko) * 2010-11-18 2011-04-06 주식회사 이시엘 오수정화장치
CN103191593A (zh) * 2013-04-27 2013-07-10 江苏兆盛环保集团有限公司 新型滤布滤池
CN103203130A (zh) * 2013-04-27 2013-07-17 江苏兆盛环保集团有限公司 新型滤布滤池的反冲洗机构
CN108283833A (zh) * 2018-02-28 2018-07-17 陈鹏 一种污水滤芯的自动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JPH0910162A (ja) 食器洗浄器の洗浄水浄化装置
KR20170130544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기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KR100328545B1 (ko) 액체 여과용 필터의 연속 세척 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JP4117342B2 (ja) 汚水浄化装置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101499781B1 (ko) 오토 스트레이너
JP6544525B2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080092612A (ko) 하폐수 여과 장치
KR102305739B1 (ko)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KR20030024518A (ko) 산업용 스트레이너
KR200171118Y1 (ko) 자동 여과장치
KR101027448B1 (ko) 오수정화장치
CN102188852B (zh) 转盘式超声波自清洗微滤机
KR20090048137A (ko) 오수 여과장치
KR101641888B1 (ko) 여과장치
JP4277589B2 (ja) 上向流式ろ過装置
RU1780804C (ru) Отстойник с фильтр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