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277B1 -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 Google Patents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277B1
KR101536277B1 KR1020140172485A KR20140172485A KR101536277B1 KR 101536277 B1 KR101536277 B1 KR 101536277B1 KR 1020140172485 A KR1020140172485 A KR 1020140172485A KR 20140172485 A KR20140172485 A KR 20140172485A KR 101536277 B1 KR101536277 B1 KR 10153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heating
heating body
pyrolysis
microwave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필성
Original Assignee
씨앤앰(주)
김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앰(주), 김필성 filed Critical 씨앤앰(주)
Priority to KR102014017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2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in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direct heating

Abstract

A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using microwaves comprises: a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having a thermal decomposition space therein into which a target material to be combusted is inserted, generating heat by microwaves; a rotating shaft being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heating element; at least one rotating wing which fixated on the rotating shaft such that the target material inserted into the thermal decomposition space can be disposed on a top surface of the rotating wing, which has a through-hole through which a gas flow generated when the target material is thermally decomposed and the target material can pass, and one end which is contiguous to the rotating shaft, slanting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other end contiguous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such that the target material disposed on the top surface can be collected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a rotation drive unit installed in the rotating shaft to drive the rotating shaft; and a first microwave oscillator irradiating microwaves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such that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generates heat. The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heats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microwaves, and uses the same as a heating source. Therefore,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ecutively carries out incineration, carbonization, dry distillation gasification, gasification/melting, gas fuel development of a large volume of target materials to be combusted, and low-rank fuels; and in addition, can burn a gas flow generated from the target materials and the low-rank fuels as well as the target materials and the low-rank fuels.

Description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gasifica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가열되는 유전발열체에 의해 방사능 폐기물, 감염성 폐기물, 피씨비에스와 같은 지정 폐기물, 및 저급연료, 하수슬러지를 소각, 탄화, 건류가스화, 가스화용융 또는 가스 연료화시키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combustion apparatus for a pyrolysis gasified fluidized bed using a microwa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apparatus using a microwa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for pyrolysis gasification using a microwave for incineration, carbonization, dry gasification, gasification melting or gasification of sewage sludge.

일반적으로 폐기물이란 쓸모없게 되어 버리는 물질을 총칭하며, 통상적 관념 내지는 폐기물 관리법에 따르면 '쓰레기, 연소재 오니(汚泥), 폐유(廢油), 폐산, 폐알칼리, 동물 사체, 합성수지 등 사람의 생활이나 산업활동에 필요 없게 되어버리는 물질'로 정의된다.Generally, waste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aste material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notion or waste management law, "waste" refers to waste materials such as waste, sludge, waste oil, waste acid, waste alkali, animal carcass, Substances that become unnecessary for industrial activities'.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폐기물 처리방안에는 감량, 재활용, 재생, 매립, 소각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감량, 재활용, 재생 등은 최종적인 폐기물 처리방안이 되지 못하며, 매립은 장기간에 걸쳐 심각한 토질 및 수질오염을 초래하므로 각국의 강력한 규제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소각, 탄화, 건류가스화, 가스화용융, 가스연료화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 데, 이는 소각, 탄화, 건류가스화, 가스화용융, 가스연료화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에너지화해서 제거하는 방법이다. On the other hand, currently used waste disposal methods include reduction in weight, recycling, reclamation, landfill, and incineration. Among them, weight loss, recycling, and regeneration are not the final waste disposal measures, and landfill is a severe regulatory target in each country because it causes serious soil and water pollu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ncineration, carbonization, dry gasification, gasification melting, and gasification are mainly used, which is a method of energy waste removal using incineration, carbonization, dry gasification, gasification melting and gasification.

그러나 소각에 의한 폐기물 처리방법은 폐기물에 직접적인 화염을 가하는 소각 방법으로 폐기물의 적재량, 밀도, 수분 함유량, 소각로 크기, 가열 온도와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완전연소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불완전 연소에 따른 그을음, 먼지, 대기오염 공해 배출가스 등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ste disposal method by incineration is an incineration method which directly applies flame to the waste, an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omplete combustion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waste, density, water content, incinerator size, heating temperature, and soot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Dust, air pollution, pollutant emission gas, and the lik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온 및 진공환경에서 폐기물을 열분해(pyrolysis) 하거나 탄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된 방법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019679호에는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이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0777616호에는 고탄소성 산업폐기물의 저온 열분해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0375569호에는 고분자 폐기물을 위한 열분해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In view of this, a method of pyrolysis or carbonization of waste in a high temperature and vacuum environment has been proposed. As a waste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proposed metho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019679 discloses a method of pyrolysis of waste using a pyrolysis apparatus, Patent Publication No. 0777616 discloses a low temperature pyrolysis apparatus of a high carbon- Patent No. 0375569 discloses a pyrolysis device for polymer waste.

이러한 열분해를 이용하여 폐기물 처리장치는 열분해 과정에서 열분해로 내부를 진공으로 조성/유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열분해의 온도관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인 장치가 과다하게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pyrolysis requires a process of forming / maintaining the inside of the pyrolysis furnace in a vacuum in the pyrolysis process, and thus the entire apparatus is excessively complicated by providing the pyrolysis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heated to the high temperature .

한편, 산업폐기물의 탄화장치가 특허공고 제1994-06872호에 폐기물 탄화 처리 소각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787948호에는 유기성 폐기물 탄화를 위한 외열식 로타리 탄화로 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 등록 제0372775호에는 폐기물 탄화 소각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rboniza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waste has been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994-06872, and the incineration plant for waste carbonization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787948, and the thermal rotary carbonization apparatus for carbonizing organic waste is disclosed. 0372775 discloses a waste carbonated incinerator.

이러한 탄화장치는 열원으로 가스, 화석연료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유지비가 소요되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Since such a carbonization apparatus uses gas, fossil fuel, etc. as a heat source, it requires a relatively large maintenance cost, and the structure is relatively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유전발열체를 이용하여 폐기물과 저급연료를 소각, 탄화, 건류가스화, 가스화용융, 가스연료화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폐기물과 저급연료 뿐 아니라 폐기물과 저급연료로부터 발생되는 유동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erforming waste incineration, carbonization, dry gasification, gasification melting and gasification of waste and low-grade fuel using a dielectric heating element, And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for a pyrolysis gas-phase gas flow using a microwave capable of burning a fluid gas generated from waste and low-grade fuel as well as low-grade fu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는 내부에 연소대상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기 위한 열분해공간이 형성되며,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제1유전발열체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열분해 공간으로 투입된 상기 연소대상물이 상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연소대상물의 열분해시 발생되는 유동가스 및 상기 연소대상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연소대상물이 회전중심 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인접된 일단부가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측면에 인접된 타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소대상물 및 유동가스를 열분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전발열체가 발열되게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마이크로파를 주사하는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yrolysis and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using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in a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comprising: a pyrolysis space for pyrolysis,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and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he rotating shaft fixed to the rotating shaft so that the combustion target inserted into the pyrolysis space is seated on the rotating shaft, And one end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is positioned below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so that the combustion target placed on the upper surface can be collected toward the rotation center side. At least one rotation blade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rotation axis,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o heat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so as to pyrolyze the object and the flowing gas; 1 microwave oscillator.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날개는 내부에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열분해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공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에어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ry shaft is formed with a hollow to allow air to flow therein. The rotary blade has an internal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flow path is injected into the pyrolysis space A plurality of spray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shaft and an air supply unit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to supply air to the hollow shaft of the rotary shaf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는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외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외부코팅부재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산화방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yrolysis gasification and combustion apparatus using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uter coating layer And a first antioxidant member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소대상물의 열분해 완료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기 위해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형성된 배출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배출공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재가 배출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된 개폐판과, 상기 회전축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본체와, 상기 개폐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판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본체에 설치된 개폐날개와, 상기 개폐본체를 회전시키는 개폐 구동부를 구비한다. The rotary shaf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unit that is rotatably inserted into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to discharge ashes generated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combustion object is completed, and is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and opens / closes the exhaust hole , The opening / clos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and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plate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discharging the ash, a switching body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rotating shaft, Closing wings provided on the opening / closing body so as to selectively open / close the through-holes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and an opening / closing drive unit for rotating the opening / closing bod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는 상기 열분해 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가스를 재연소시키는 가스연소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using a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phase catalyti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gas combus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pyrolysis space and re- .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배기관에 의해 상기 열분해 공간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관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동가스가 유입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고,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제2유전발열체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와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유전발열체를 발열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연소공간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와, 상기 연소공간 내에서 상기 산소 및 유동가스를 교반시키기 위해 상기 산소 및 유동가스의 와류 유동을 유도하는 와류발생부를 구비한다. The gas combustion unit includes a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connected to the pyrolysis space by an exhaust pipe and provided with a combustion space through which the flowing gas supplied through the exhaust pipe flows, A second microwave oscillator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for oscillating the microwave to generate heat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 oxygen supply unit for supplying oxygen to the combustion sp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d a vortex generating unit for inducing vortical flow of the oxygen and the flowing gas to stir the oxygen and the flowing gas in the space.

상기 제2유전발열체는 재연소된 상기 유동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상기 제2유전발열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동가스 및 상기 산소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산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유입공간은 상기 유동가스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보조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Wherei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is opened so that the re-burned flowing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gas combustion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 inlet space for introducing the flow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pipe and the oxygen supplied from the oxygen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inflow space, As shown in FIG.

상기 산소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제2유전발열체 내부에 인입되도록 상기 제2유전발열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산소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며, 일단면에는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산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관의 내부로 상기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동로로 인입되어 상기 주입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와류축과, 상기 주입관 외측의 상기 와류축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산소를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내측면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연소공간 내에 상기 산소의 와류를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콘과, 상기 와류축에 설치되어 상기 와류축을 회전시키는 와류 구동부를 구비한다. The oxygen supply part is installed i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so that one end thereof is drawn in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xygen flows is provided, and oxygen, which flows through the flow path, And an oxygen supply member provided in the injection tube and supplying the oxygen to the inside of the injection tube,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is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is rotated And the oxyg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flows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to induce a swirling of the oxygen in the combustion space, And at least one vortex cone mounted on the vortex axis and rotating the vortex axis.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외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외부코팅부재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산화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gas combustion unit comprises: a second outer coat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so as to block outside air from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The seco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so as to shut off the seco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상기 제2유전발열체는 상기 연소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may have a waveform in which the combustion space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연소공간은 상기 유동가스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mbustion sp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may be extended in a zigzag shape so as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the flowing gas.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는 다수개가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에 외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분사부재와, 제1분배기를 통해 상기 제1분사부재들에 연통되며, 상기 제1분사부재들에 외기를 강제 송풍하는 제1송풍기를 구비한 제1냉각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first microwave oscillators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o cool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and are installed respectively in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s, And a first cool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jection members through a first distributor and having a first blower for forcibly blowing outside air to the first injection members have.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는 다수개가 상기 제2유전발열체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에 외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분사부재와, 제2분배기를 통해 상기 제2분사부재들에 연통되며, 상기 제2분사부재들에 외기를 강제 송풍하는 제2송풍기를 구비한 제2냉각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s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d the gas combustion unit cools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and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ions, And a second blow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jection members through a second distributor and forcedly blowing outside air to the second injection members, As shown in FIG.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배기관에 의해 상기 열분해 공간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관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동가스가 유입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고,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제2유전발열체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와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유전발열체를 발열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연소공간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의 내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케일 제거부를 구비한다. The gas combustion unit includes a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connected to the pyrolysis space by an exhaust pipe and provided with a combustion space through which the flowing gas supplied through the exhaust pipe flows, A second microwave oscillator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for oscillating the microwave to generate heat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 oxygen supply unit for supplying oxygen to the combustion sp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d a scale removing unit installed on the exhaust pipe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상기 스케일 제거부는 상기 배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로드와, 상기 메인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의 내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스크레핑하는 스크래퍼와, 상기 메인로드를 상기 배기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로드 이동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scale removing unit includes a main rod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a scraper installed in the main rod and scraping foreign substance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And a rod moving part that reciproc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제1유전발열체를 발열시켜 이를 열원을 이용하므로 다량의 연소대상물과 저급연료를 소각, 탄화, 건류가스화, 가스화용융, 가스연료화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연소대상물과 저급연료 뿐만 아니라 연소대상물과 저급연료로로부터 발생되는 유동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bu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microwave heating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and uses the microwave as a heat source, so that a large amount of the combustion object and the low- Melting and gasification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bustion gas and the low-grade fuel as well as the combustion gas and the flowing gas generated from the low-grade fuel passage can be burn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는 순간적으로 고열을 발생시키므로 하수슬러지, 방사능 연소대상물, 감염성 연소대상물, 고엽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피씨비에스(Polychlorinated Biphenyl: PCBs) 등과 같은 고위험성 연소대상물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하면서 에너지화할 수 있고, 저급유 내지 무연탄이나 저급 목재 등과 같은 저열량 저급연료를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초고온 상태에서 열분해시켜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for pyrolysis gasified combus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ntaneously generates high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use Polychlorinated Biphenyl (PCBs), which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sewage sludge, radioactive combustion target, infectious combustion target, And the like can be energized while safely treating high-risk burning objects such as anthracite and the like, and a low-calorific low-grade fuel such as low-grade oil, anthracite or low-grade wood can be pyrolyzed at an ultra-high temperature by using a microw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의 교반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의 가스연소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가스화 연소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의 가스연소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using a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rring unit of a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of a dry gas flow type using microwave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as combustion unit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asification and combustion apparatus for a dry gas flow in a microwa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for a dry gas flow in a microwa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for a dry gas flow in a microwa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s combustion unit of a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show a pyrolysis and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dry gas flow using a microwave.

도면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100)는 내부에 연소대상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기 위한 열분해공간(111)이 형성되며,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제1유전발열체(110)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열분해 공간(111)으로 투입된 상기 연소대상물이 상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10)에 고정되며, 상기 연소대상물의 열분해시 발생되는 유동가스 및 상기 연소대상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다수의 회전날개(180)와, 상기 회전축(3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340)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소대상물 및 유동가스를 열분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가 발열되게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에 마이크로파를 주사하는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170)와, 상기 열분해 공간(110)에 연통되게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가스를 재연소시키는 가스연소유닛(40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소대상물은 폐기물, 하수슬러지, 방사능 폐기물, 감염성 폐기물, 고엽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피씨비에스(Polychlorinated Biphenyl: PCBs) 등과 같은 고위험성 폐기물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하면서 에너지화할 수 있고, 저급유 내지 무연탄이나 저급 목재 등과 같은 저열량 저급연료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combustion apparatus 100 for pyrolysis and gasification using a microwave is provided with a pyrolysis space 111 to be pyrolyzed by introducing an object to be pyrolyed therein, (110), a rotating shaft (310)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d a rotating shaft (310) fixed to the rotating shaft (3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burned, A plurality of rotary vanes 180 having a through hole for allowing the flow gas generated during pyrolysis of the object to be burned and the object to be burned to pass therethrough and a plurality of rotary vanes 180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310 to rotate the rotary shaft 310, A rotary drive unit 340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for heating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to pyrolyze the object and the flowing gas, A first microwave oscillator 170 for injecting microwave in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d a gas combustion unit 160 connected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to communicate with the pyrolysis space 110 to re- (400). At this time, the burning object can be energy-treated while safely treating high-risk wastes such as waste, sewage sludge, radioactive waste, infectious waste, and PCBs used as a raw material for defoliating agent, Or low-grade low-grade fuel such as low-grade wood.

제1유전발열체(11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는 열분해 공간(111)에서 열분해 가스화 연소로 발생된 재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유전발열체(110)는 상기 재가 배출공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유전발열체(110)는 후술되는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170)로부터 발진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가열되어 열분해 공간(111)의 온도를 500~1600℃로 높이며, 제1유전가열체(110)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면서 열분해 공간(111)으로 유입된 연소대상물은 열분해된 후 유동가스 내지 가스연료 상태로 배출된다.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ed top surface,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so that ash generated by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in the pyrolysis space 11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may be formed so that its inner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is heated by a microwave oscillated from a first microwave oscillator 17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pyrolysis space 111 to 500 to 1600 ° C,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combustion target flowing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is pyrolyzed and then discharged as a fluid gas or a gaseous fuel.

또한, 제1유전발열체(110)의 상단에는 제1내열링(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열링(112)은 제1유전발열체(1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 캐스타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electric heater 110.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heat-resistant castabl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그리고, 제1유전발열체(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의 내주면에 외기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의 내주면에 제1산화방지부재(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산화방지부재(113)는 열분해 공간(111)에 대응되는 제1내열링(112)의 내주면에도 형성된다. 상기 제1산화방지부재(113)는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13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to prevent the ambient air from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Respectively. The first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13 is also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corresponding to the pyrolysis space 111. The first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13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alumina, and zirconia.

이때, 상기 제1산화방지부재(113)는 제1유전발열체(110)의 내측면에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코팅재를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외주면이 제1유전발열체(110)의 내측면에 접하고, 내부에 연소대상물이 유입되는 튜브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13 may be formed by coating a coating material formed of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alumina, and zirconi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Or may be formed in a tube shap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and into which the combustion object flows.

또한, 제1유전발열체(110)는 재가 배출되는 배출공에 배출관(145)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145)은 제1유전발열체(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열분해 가스화 연소로 발생된 재가 유출되는 유출경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배출관(145)은 하단이 제1유전발열체(11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제1유전발열체(110)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하방으로 연장된다.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145 in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ash is discharged. The discharge pipe (145)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d has an outflow path through which ash generated by pyrolysis and gasification combustion flows out. 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145 extends downwar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5 is locat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그리고 제1유전발열체(110)의 외주면에는 제1유전발열체(11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외부코팅부재(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외부코팅부재(114)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될 수 있도록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irst outer coating member 114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to prevent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from being oxidized. The first outer coating member 114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alumina, and zirconia so that microwaves can be transmitted.

그리고, 제1유전발열체(110)의 상부에는 열분해 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열덮개(142)가 설치된다. 열분해 공간(111)에 노출되는 상기 내열덮개(142)의 하면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금속소재로 형성된 내열판이 마련되어 있다. A heat-resistant lid 142 is provided o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to open and close the pyrolysis space 111. A heat-resistant plate formed of a heat-resistant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resistant lid 142 exposed in the pyrolysis space 111.

한편, 제1유전발열체(110)는 외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단열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heat insulating member for blocking external air from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단열부재는 제1유전발열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부단열부(121)와, 내열덮개(142)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상부단열부(122)와, 상기 하부단열부(121) 및 상부단열부(122)에 불활성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탱크(130)를 구비한다. The first heat insulating member includes a lower heat insulating portion 121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 upper heat insulating portion 122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resistant cover 142, 121 and a gas tank 130 for supplying an inert gas to the upper heat insulating portion 122.

하부단열부(121)는 제1유전발열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단열체(123)와, 제1단열체(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단열커버(124)를 구비한다. 제1단열체(123)는 가스탱크(130)로부터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유리섬유와 같은 단열소재로 형성된다. 제1단열커버(124)는 외부로 노출된 제1단열체(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1단열체(123)에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1단열커버(124) 일측에는 제1단열체(123)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압력변이 설치되어 있다. The lower heat insulating portion 121 includes a first heat insulating body 123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d a first heat insulating cover 124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body 123 Respectively. The first heat insulating body 123 is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fib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oids so that the inert gas supplied from the gas tank 130 can be filled.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124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body 123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events the inert gas supplied to the first heat insulating body 123 from flowing out. At this time, a first pressure 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124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first heat insulating body 123.

이때, 제1단열커버(12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1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rst microwave oscillators 170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124.

상부단열부(122)는 외부로 노출된 내열덮개(142)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단열체(126)와, 제2단열체(12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단열커버(127)를 구비한다. 제2단열체(126)는 가스탱크(130)로부터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급이 마련된 유리섬유와 같은 단열소재로 형성된다. 제2단열커버(127)는 외부로 노출된 제2단열체(12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2단열체(126)에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2단열커버(127) 일측에는 제2단열체(126)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압력변이 설치되어 있다. The upper heat insulating part 122 includes a second heat insulating body 126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resistant lid 142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127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dy 126 . The second heat insulating material 126 is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fib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lies so that the inert gas supplied from the gas tank 130 can be filled. The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127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dy 126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events the inert gas supplied to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dy 126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At this time, a second pressure 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127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dy 126.

또한, 상부단열부(122)는 연소대상물이 열분해공간(111)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연소대상물 공급관(2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소대상물 공급관(211)은 상하면이 각각 개방된 유동유로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열분해공간(111)에 노출되도록 상단단열부(122)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소대상물 공급관(211)은 제1유전발열체(11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heat insulating portion 122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target supply pipe 211 so as to be vertically penetrated so that the combustion target can b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The combustion target supply pipe 211 is formed with a flow path open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a lower end is installed to the upper end heat insulating portion 122 so as to be exposed to the pyrolysis space 1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bustion object supply pipe 211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가스탱크(130)는 복수의 가스공급관에 의해 제1 및 제2단열체(123,126)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제1 및 제2단열체(123,126) 내부에 충진된 불활성 가스에 의해 제1유전발열체(110)가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gas tank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eat insulating members 123 and 126 by a plurality of gas supply pipes and is filled with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or argo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is prevented from being in contact with oxygen and oxidized by the inert gas f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bodies 123 and 126.

한편, 제1내열링(112)의 상단 및 배출관(145)의 하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패킹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패킹부는 제1패킹링(미도시)과 제1금속링(미도시)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first and second packing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5, respectively. The first packing portion has a first packing ring (not shown) and a first metal ring (not shown).

제1패킹링은 내열재로 형성되며, 제1내열링(112)의 상단에 각각 설치된다. 제1패킹링은 제1내열링(112)의 상단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1내열링(112)의 상단 및 내열덮개(142)의 하단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진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패킹링은 제1내열링(112)의 상단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The first packing ring is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respectively. The first packing ring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dge of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heat-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packing ring is in the form of wrapp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상기 제1금속링은 제1내열링(112)에 설치된 제1패킹링의 상단면과 외주면을 감싸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금속링은 제1단열체(123)의 상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The first metal ring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encloses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acking ring provided in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The first metal ring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member 123.

이렇게 제1패킹링과 제1금속링이 제1내열링(112)의 상단부와 제1단열체(123)의 상단부를 가압 설치됨에 따라 유전발열체(110) 및 제1단열체(123)의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제1유전발열체(110)의 외측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first packing ring and the first metal ring are pres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resistant ring 112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insulating body 123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dielectric heat-generating body 110 and the first heat- Thereby preventing the outsid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er 110 from being oxidized.

그리고 제1패킹링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이 순환할 수 있는 워터자켓 형태로 형성하여 고온으로 승온하는 제1유전발열체(110)에 대한 내열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acking ring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water jacket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to increase the heat resistan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which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상기 제2패킹부는 제2패킹링(미도시)과 제2금속링(152)을 구비한다. The second packing portion has a second packing ring (not shown) and a second metal ring 152.

제2패킹링은 내열재로 형성되며, 배출관(145)의 하단에 설치된다. 제2패킹링은 배출관(145)의 하단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배출관(145)의 하단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진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패킹링은 배출관(145)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The second packing ring is formed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5. The second packing ring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dge of the discharge pipe 145 and has an inlet groove for allowing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5 to enter the interior. Thus, the second packing ring is in the form of wrapping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5.

제2금속링(152)은 제2패킹링의 하단면과 외주면을 감싸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123)의 하면과 배출관(145)을 가압하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The second metal ring 15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surrounds the lower end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acking ring and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body 123 and the discharge pipe 145.

이렇게 제2패킹링과, 제2금속링(152)이 배출관(145)의 하단부와 제1단열체(123)의 하부를 가압 설치됨에 따라 배출관(145) 및 제1단열체(123)의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제1유전발열체(110)의 외측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second packing ring and the second metal ring 152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5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member 123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145 and the first heat insulating member 123 Thereby preventing the outsid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er 110 from being oxidized.

그리고 제2패킹링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이 순환할 수 있는 워터자켓 형태로 형성하여 고온으로 승온하는 제1유전발열체(110)와 배출관(145)에 대한 내열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packing ring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water jacket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so as to increase the heat resistan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d the discharge tube 145, which are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

제1유전발열체(110)의 하부에는 연소대상물을 열분해 가스화 연소하여 발생된 재가 수집될 수 있도록 수집호퍼(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집호퍼(160)는 상면이 개방되게 설치되며, 배출공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llecting hopper 16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so that ash generated by pyrolysis and gasification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target can be collected. Preferably, the collecting hopper 160 is installed so that its top surface is open and is opposed to the discharge hol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1개의 제1유전발열체(110)가 마련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유전발열체(110)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is provid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However, the number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s 1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but may be two or more .

회전축(310)은 상기 배출관(145) 내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회전축(310)은 상단이 열분해 공간(111) 내로 인입되고, 하단은 수집호퍼(160) 내에 인입되도록 배출관(145)의 길이보다 더 길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310)은 고정채반(180)들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ry shaft 310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145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is formed into a round b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ng shaft 3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145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drawn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drawn into the collecting hopper 16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shaft 31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center of the fixed sticks 180.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축(310)은 지지유닛에 의해 하단이 수집호퍼(1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10)은 내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tating shaft 3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llecting hopper 160 at the lower end by the supporting unit. The rotating shaft 310 is preferably made of alumina or zirconia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회전축(310)은 하측 내부에 에어공급부(350)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축(3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연소대상물 공급관(211)을 통해 열분해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연소대상물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제1분산콘(3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분산콘(311)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연소대상물 공급관(211)을 통해 열분해공간(111)으로 투입된 연소대상물은 제1분산콘(311)의 외주면에 충돌하여 제1유전발열체(110)의 내측면 측으로 분산된다. The rotating shaft 310 is formed with a hollow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ing unit 350 can flow therein. A first dispersion cone 31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310 to disperse a combustion object flowing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through the combustion object supply pipe 211. The first dispersion cone 311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The combustion object put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through the combustion object supply pipe 211 collide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ersion cone 311 and is dispers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또한, 수납호퍼(160) 내로 인입된 회전축(3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관(145)를 통해 배출되는 재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제2분산콘(3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분산콘(312)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배출관(145)를 통해 수납호퍼(160)로 투입되는 재는 제2분산콘(312)의 외주면에 충돌되어 분산된다. 제2분산콘(312)에 의해 상기 재는 수납호퍼(160) 내에 균일하게 적층된다. A second dispersion cone 312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310 that is drawn into the storage hopper 160 to disperse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45. The second dispersion cone 312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The material to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hopper 16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45 collide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ispersion cone 312 and is dispersed. And the material is uniformly stacked in the storage hopper 160 by the second dispersion cone 312.

회전날개(180)는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310)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날개(180)는 상기 회전축(310)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3개의 관통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A plurality of rotary vanes 180 are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3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ry vane 180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ry shaft 310 is expanded, and three through holes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회전날개(180)는 상면에 안착된 상기 연소대상물이 회전중심 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인접된 일단부가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측면에 인접된 타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하방향으로 상호 인접된 회전날개(180)들은 관통구가 상호 대향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ry vane 180 is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rotary vane 180 adjacent to the rotary shaft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so that the burned object placed on the upper surface can be collected toward the rotation center side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vanes 18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installed so that the through holes do not face each other.

회전날개(180)의 상면에 안착되는 연소대상물들은 경사진 회전날개(180)의 상면을 따라 구르거나 이동하면서 상호 분리되거나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면이 변경되므로 상기 연소대상물의 가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combustion object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vane 18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rolled or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rotary vane 180 or the surface oppos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is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ing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상기 회전날개(180)는 내부에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내부유로(18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181)로 유입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열분해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의 분사공(182)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rotary vane 180 has an internal passage 181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and 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passage 181 can be injected into the pyrolysis space, A hole 182 is formed.

회전 구동부(340)는 수집호퍼(160) 내에 고정된 구동모터(341)와, 상기 구동모터(341)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스프로켓(342)과, 상기 회전축(310)의 하단부에 설치된 피동스프로켓(343)과, 구동스프로켓(342) 및 피동스프로켓(343)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4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310)에 전달하는 전달체인(344)을 구비한다. The rotation driving unit 340 includes a driving motor 341 fixed in the collecting hopper 160, a driving sprocket 342 provided in a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341, a driven sprocket 342 provided in a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310 And a transmission chain 344 installed at the drive sprocket 342 and the driven sprocket 343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341 to the rotation shaft 3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는 회전축(310)을 통해 열분해공간(111)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350)와,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를 냉각하는 제1냉각유닛(600)과, 상기 배출관(145)를 개폐하는 개폐유닛(700)과,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열분해공간(111)에 투입된 상기 연소대상물이 발화시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유닛(510)을 더 구비한다. Meanwhile, th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using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supply unit 350 for supplying air to the pyrolysis space 111 through the rotation shaft 310, and an air supply unit 350 for cooling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A first cooling unit 6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145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7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145. The combustion object install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510).

에어공급부(350)는 회전축(310)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회전축(310)의 중공에 연통되게 설치된 에어공급관(351)과, 상기 에어공급관(351)에 설치되어 회전축(310)의 중공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352)를 구비한다. 에어공급장치(352)는 콤프레셔와 같이 외기를 열분해 공간(111) 내로 주입하는 장치는 무엇이든 가능하다. The air supply unit 350 supplies air into the rotation shaft 310 and includes an air supply pipe 351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of the rotation shaft 310 by a rotary joint and an air supply pipe 351 provided to the air supply pipe 351, 310 for supplying air into the air. The air supply device 352 may be any device that injects outside air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such as a compressor.

이때, 관리자는 연소대상물을 연소시킬 경우, 회전날개(180)를 통해 열분해공간(111)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에어공급부(350)로 회전축(310)의 중공에 에어를 공급하고, 연소대상물을 건류시킬 경우, 열분해공간(111)으로 에어공급이 차단되도록 에어공급부(3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At this time, when the object to be combusted is combusted, the manager supplies air to the hollow of the rotary shaft 310 by the air supply unit 350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pyrolysis space 111 through the rotary blades 180,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350 is stopped so that the air supply to the pyrolysis space 111 is interrupted.

제1냉각유닛(600)은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에 외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분사부재(610)와, 제1분배개(621)를 통해 상기 제1분사부재(610)들에 연통되며, 상기 제1분사부재(610)들에 외기를 강제 송풍하는 제1송풍기(620)를 구비한다. The first cooling unit 6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jection members 610 installed in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s and injecting outside air to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And a first blower 6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jection members 610 and forcibly blows the outside air to the first injection members 610.

제1분사부재(610)는 내부에 외기가 통과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에 대향되는 측면에는 상기 외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로에 연통되는 제1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jetting member 610 is formed with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passes and a first outflow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is formed on a side of the first injection member 610 opposite to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have.

제1송풍기(6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모터에 설치된 제1팬이 마련되어 있고,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구에는 제1분배개(6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분배개(621)는 내부에 제1송풍기(620)의 외기배출구에 연통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제1분배본체(622)와, 일단이 상기 제1분배본체(622)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제1분사부재(61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1분배관(623)을 구비한다. 제1송풍기(620)는 상기 제1분배개(621)로 외기를 강제송풍하고, 제1분배개(621)는 각 제1분사부재(610)로 외기를 전달하여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를 냉각한다. The first blower 620 is provided with a first fan installed in an electric motor operated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first distributor 621 is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outside air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e first distributor 621 includes a first distributor body 622 having a second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of the first blower 620 and a second distributor body 622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tributor body 622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distribution pipes 623 connected to the first injection member 61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blower 620 forcibly blows the outside air to the first distributor 621 and the first distributor 621 cools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by transmitting the outside air to each of the first injection members 610 .

상기 제1냉각유닛(600)에 의해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로 외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가 과열되어 오작동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irst cooling unit 600 continuously supplies the ambient air to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is prevented from overheating and malfunctioning or being damaged.

개폐유닛(700)은 상기 회전축과 배출공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재가 배출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된 개폐판(710)과, 상기 회전축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본체(720)와, 상기 개폐본체(7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판(710)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본체(720)에 설치된 개폐날개(730)와, 상기 개폐본체(720)를 회전시키는 개폐 구동부(740)를 구비한다. The opening / closing unit 700 is install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and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plate 710 having a through-hole for discharging the ash, an open / close body 720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rotating shaft, An opening and closing blade 730 install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72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through ho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7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720, And a driving unit 740.

개폐본체(720)는 중앙부에 회전축(310)이 관통되는 중공이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개폐본체(720)의 하단부는 수납호퍼(160) 내로 인입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개폐본체(7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어링에 의해 상기 회전축(310)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게 설치된다. The opening / closing main body 720 is provided at its central portion with a hollow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310 passes, and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720 is extended to be drawn into the storage hopper 16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 closing body 720 is supported by a bearing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rotation shaft 310. [

개폐판(710)은 배출관(145)의 내측면에 회전축(31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개폐판(710)은 재가 관통하여 수납호퍼(160)로 배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71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45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310. The opening / closing plate 7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sh is discharged and discharged into the storage hopper 160.

개폐날개(730)는 상기 개폐판(710) 상측의 상기 개폐본체(720)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개폐날개(730)는 개폐본체(7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판(710)의 관통구를 덮을 수 있도록 관통구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개폐날개(730)는 개폐판(710) 하측의 상기 개폐본체(7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opening / closing blade 730 protrudes from the opening / closing body 720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7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ning / closing blade 730 expands. The opening and closing vane 730 is preferably formed in a fan shap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so as to cover the through ho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710 by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7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ing / closing blade 730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 closing body 720 under the opening / closing plate 710.

개폐 구동부(740)는 수집호퍼(160) 내에 고정된 보조모터(741)와, 상기 보조모터(741)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742)과, 상기 개폐본체(720)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743)과, 제1스프로켓(742) 및 제2스프로켓(743)에 설치되어 보조모터(741)의 회전력을 상기 개폐본체(720)에 전달하는 제1연결체인(744)을 구비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740 includes an auxiliary motor 741 fixed in the collecting hopper 160, a first sprocket 742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auxiliary motor 741, 2 sprocket 743 and a first connecting chain 744 installed in the first sprocket 742 and the second sprocket 743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auxiliary motor 741 to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720 .

작업자는 연소대상물이 열분해공간(111)에서 가열시, 연소대상물이 배출관(145)을 통해 수납호퍼(160)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판(710)의 관통구를 개폐날개(730)가 덮을 수 있도록 개폐본체(720)를 회전시키고, 연소대상물의 열분해 공정이 완료되면 열분해공간(111)의 재를 수납호퍼(160)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판(710)의 관통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본체(720)를 회전시킨다. The worker has the opening and closing wings 73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710 so that the object to be burn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torage hopper 16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45 when the object to be burned is heated in the pyrolysis space 111 The through hol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710 may be opened so as to discharge the ash of the pyrolysis space 111 to the storage hopper 160 when the opening / closing body 720 is rotated so that the opening / The main body 720 is rotated.

소화유닛(510)은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에 설치되며, 발화된 상기 연소대상물을 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열분해공간(111)으로 모래를 투입하는 모래투입부(511)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분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512)와, 상기 온도측정센서(512)를 통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열분해공간(111)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연소대상물이 과열, 발화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열분해공간(111)으로 상기 모래가 투입되도록 상기 모래투입부(51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13)를 구비한다. The fire extinguishing unit 510 includes a sand inserting unit 511 install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for inputting the sand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so as to extinguish the ignited object,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512 installed in the dielectric heating body 11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yrolysis space and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51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yrolyzing space 111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512, And a control unit 513 for operating the sand charging unit 511 to determine that the object to be burned is overheated or ignited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to inject the sand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

상기 모래투입부(511)는 투입관(516)을 통해 상기 열분해공간(111)에 연통되게 상기 제1유전발열체(110)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다량의 모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모래저장호퍼(514)와, 상기 투입관(516)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관(516)의 내부유로(18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sand charging unit 511 is installed o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yrolysis space 111 through a charging pipe 516. The sand charging unit 511 includes a sand having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sand, A storage hopper 514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charging pipe 5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passage 181 of the charging pipe 516.

상기 개폐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투입관(516)의 내부유로(18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관(516)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710)과, 상기 개폐판(7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71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제어부(513)에 의해 작동되어 개폐판(710)을 이동시킨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may include an opening / closing plate (not shown) installed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pipe 516 so as to open / close the internal flow path 181 of the charging pipe 516 And a moving memb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710 to move the opening / closing plate 710. The moving member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513 to move the opening / closing plate 710.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소화유닛(510)은 온도측정센서(512)를 통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연소대상물의 과열, 발화상태로 판단하여 열분해공간(111)으로 모래를 투입한다. 이때, 모래는 고온상태에서 물과 같이 증발하지 않고, 연소대상물을 덮어 연소대상물로의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연소대상물을 소화시킨다. When the temperature data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51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e extinguishing unit 5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that the object to be burned is overheated or ignited, and sand i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space 111 do. At this time, the sand does not evaporate like water in a high temperature state, covers the object to be burned, and cuts off oxygen supply to the object to be burned, so that the object is more stably bur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는 순간적으로 고열을 발생시키므로 하수슬러지, 방사능 폐기물, 감염성 폐기물, 고엽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피씨비에스(Polychlorinated Biphenyl: PCBs) 등과 같은 고위험성 폐기물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하면서 에너지화할 수 있고, 저급유 내지 무연탄이나 저급 목재 등과 같은 저열량 저급연료를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초고온 상태에서 열분해시켜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 flow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antaneously generates high temperature, the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gasification pyrolysis It is possible to energize the high-hazardous waste while safely treating it, and it is also possible to thermally decompose the low-temperature low-grade fuel such as low-grade oil, anthracite or low-grade wood by microwave using energy.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100)는 연소대상물을 열분해 가스화 연소시키는 것으로서, 연소대상물을 소각, 탄화, 건류가스화, 가스화용융 또는 가스 연료화시킨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100)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제1유전발열체(110)를 발열시켜 이를 열원을 이용하고, 연소대상물 공급유닛(미도시)을 통해 연소대상물을 주입하므로 다량의 연소대상물의 열분해 가스화 연소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내열튜브를 통해 제1유전발열체(11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Th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100 using the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phase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apparatus 100 pyrolyzes and combusts the object to be burned, thereby burning the object to be burned, carbonized, dry gasified, gasified or gasified. The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and combustion apparatus 100 generates microwave heat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10 and uses it as a heat source. The pyrolytic gasification and burning operation of a large amount of the combustion object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the first dielectric heat generating body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through the first heat-resisting tube to increase the service life of the device.

한편, 가스연소유닛(400)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gas combustion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가스연소유닛(400)은 제2유전발열체(411), 제2단열부재(412),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430), 산소공급부(440) 및 와류발생부(450)를 구비한다. The gas combustion unit 400 includes a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a second heat insulating member 412, a second microwave oscillator 430, an oxygen supplying unit 440 and a vortex generating unit 450.

제2유전발열체(411)는 내부에 연소공간(413)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되되,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유전발열체(411)는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430)로부터 발진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가열되어 연소공간(413)의 온도를 1100~1800℃로 높이며, 제2유전발열체(411)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면서 연소공간(413)으로 유입된 유동가스는 열분해 연소된 후 배출된다.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411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space 413 therein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is heated by the microwave oscillated from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430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space 413 to 1100 to 1800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The flow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space 413 is discharged after pyrolytic combustion.

그리고, 제2유전발열체(4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유전발열체(411)의 내주면에 외기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유전발열체(411)의 내주면에 제2산화방지부재(4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산화방지부재(431)는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규산소다나트륨을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eco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43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so as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Respectively. The seco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431 is preferably formed by mixing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alumina or zirconia with sodium silicate.

이때, 상기 제2산화방지부재(431)는 제2유전발열체(411)의 내측면에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코팅재를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외주면이 제2유전발열체(411)의 내측면에 접하고, 내부에 연소대상물이 유입되는 튜브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co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431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material formed of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alumina, or zirconia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or by form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Or may be formed in a tube shap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and into which the combustion object flows.

또한, 제2유전발열체(411)의 외주면에는 제1유전발열체(411)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외부코팅부재(4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외부코팅부재(432)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될 수 있도록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규산소다나트륨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econd outer coating member 43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to prevent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411 from being oxidized. The second outer coating member 432 is preferably formed by mixing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alumina, or zirconia with sodium silicate so that microwaves can be transmitted.

제2단열부재(412)는 제2유전발열체(4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단열체(414)와, 제3단열체(414)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단열커버(415)와, 제3단열체(414)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보조탱크(416)를 구비한다. The second heat insulating member 412 includes a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member 411 and a third heat insulating cover 415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 And an auxiliary tank 416 for supplying an inert gas to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

제3단열체(414)는 보조탱크(416)로부터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세라믹 섬유와 같은 단열소재로 형성된다. 제3단열커버(415)는 외부로 노출된 제3단열체(414)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3단열체(414)에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3단열커버(415) 일측에는 제3단열체(414)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3압력변이 설치되어 있다.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is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ceramic fiber having a plurality of voids so that the inert gas supplied from the auxiliary tank 416 can be filled. The third heat insulating cover 415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exposed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inert gas supplied to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from flowing out. At this time, a third pressure 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heat insulating cover 415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이때, 제2유전발열체(411)의 상부에는 배기관(40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관(401)은 일단이 상기 연소공간(413)에 연통되고, 타단은 제2단열체(126)를 관통하여 열분해공간(111)에 연통되게 제1유전발열체(110)에 설치된다. 배기관(401)을 통해 열분해 공간(111) 내의 배기가스가 제2유전발열체(411) 내부의 연소공간(413)으로 유입된다. At this time, an exhaust pipe 40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er 411. The exhaust pipe 401 is install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110 so that one end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combustion space 413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dy 126 and communicates with the pyrolysis space 111. The exhaust gas in the pyrolysis space 111 flows into the combustion space 413 inside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through the exhaust pipe 401.

보조탱크(416)는 보조공급관에 의해 제3단열체(414)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제3단열체(414) 내부에 충진된 불활성 가스에 의해 제2유전발열체(411)가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auxiliary tank 416 is connected to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by an auxiliary supply pipe, and is filled with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or argo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is prevented from being in contact with oxygen and oxidized by the inert gas filled in the third heat insulating body 414. [

한편, 제2유전발열체(411)의 상하단 및 제3단열체(414) 사이에는 제3패킹링(미도시) 및 제3금속링(421)이 설치되어 있다. 제3패킹링은 내열재로 형성되며, 제2유전발열체(411)의 상하단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2유전발열체(411)의 상하단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진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패킹링은 제2유전발열체(411)의 상하단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A third packing ring (not shown) and a third metal ring 421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and the third insulating body 414. The third packing ring is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and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An inlet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can enter into the third packing ring have. Therefore, the third packing ring cover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er 411.

제3금속링(421)은 제3패킹링의 외주면을 감싸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제3단열체(414)와 제2유전발열체(411)의 후단을 가압하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3패킹링과 제3금속링(421)은 제2유전발열체(411) 및 제3단열체(414)의 후단부를 가압 설치됨에 따라 제2유전발열체 및 제3단열체(414)의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제2유전발열체(411)의 외측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third metal ring 42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packing ring and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press the rear end of the third heat insulating member 414 and the second dielectric heat generating member 411. The third packing ring and the third metal ring 421 a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and the third dielectric body 414 as the rear ends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and the third insulating body 414 are pressed, Thereby prevent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er 411 from being oxidized.

그리고 제3패킹링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이 순환될 수 있는 워터자켓 형태로 형성하여 고온으로 승온하는 제2유전발열체(411)에 대한 내열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third packing ring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heat resistan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water jacket in which water can circulate and which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한편, 제2유전발열체(411) 내부에는 보조관(4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관(433)은 상단이 상기 배기관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유동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이 상기 유동가스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관(433)은 제2유전발열체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n auxiliary pipe 433 is installed i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411. The auxiliary pipe 433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pipe at an upper end thereof. An inflow space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pipe 433 so that the flowing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pipe can flow into the auxiliary pipe 433.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pipe 433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heated by hea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보조관(433)이 배기관에 1개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보조관(433)의 설치갯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e auxiliary pipe 433 is provided in the exhaust pipe. However, the number of auxiliary pipes 433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but may be two or more.

상기 배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동가스는 보조관(433)을 통과하며 하방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보조관(433)의 하면을 통해 연소공간(413)으로 배출된다. 연소공간(413)로 배출된 유동가스는 가열되면서 개방된 제2유전발열체(411)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보조관(433)을 통해 유동가스의 유동경로가 증가되어 유동가스의 가열시간이 확장되어 유동가스의 처리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The flowing gas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flows downward through the auxiliary pipe 433 and is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space 413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ed auxiliary pipe 433. [ The flowing gas discharged into the combustion space 41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411 which is opened while being heated. The flow path of the flowing gas is increased through the auxiliary pipe 433 and the heating time of the flowing gas is extended to increase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the flowing gas.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1개의 제2유전발열체(411)가 마련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2유전발열체(411)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is provided. However, the number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ies 411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but may be two or more. .

산소공급부(440)는 전단부가 상기 보조관(433)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상기 보조관(433)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산소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며, 하면에는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산소가 상기 연소공간(413)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된 주입관(441)과, 상기 유동로에 연통되게 상기 주입관(441)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관(441)으로 상기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재(442)를 구비한다. The oxygen supply unit 440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pipe 433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oxygen supply unit 440 is drawn into the auxiliary pipe 433. The oxygen supply unit 440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xygen flows, An injection pipe 441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so that oxygen is discharged into the combustion space 413 and an oxygen supply pipe 443 provided in the injection pipe 441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Member 442 as shown in FIG.

산소공급부재(442)는 산소공급관(443)에 의해 주입관(441)의 유동로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산소가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소공급부재(442)로부터 공급된 산소는 발열로 본체(410)의 연소공간(413)으로 공급되어 고온으로 가열된 배기가스를 연소시킨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xygen supply member 442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of the injection pipe 441 by the oxygen supply pipe 443 and oxygen is filled therein. The oxygen supplied from the oxygen supply member 442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space 413 of the main body 410 with the heat generated thereby to burn the exhaust ga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와류발생부(450)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동로로 인입되며, 상기 주입관(4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와류축(451)과, 주입관(441) 외측의 와류축(451)에 설치되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산소를 상기 내열튜브의 내주면 측으로 유동하여 연소공간(413) 내에 산소의 와류를 유도하는 다수의 와류콘(452)과, 상기 와류축(451)에 서치되어 상기 와류축(451)을 회전시키는 와류 구동부(453)를 구비한다. The vortex generating unit 450 includes a vortex axis 451 that is drawn into the flow passage through the outlet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vortex tube 441 and a vortex axis 451 A plurality of vortexes 452 for flowing the oxyg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resistant tube to induce a vortex of oxygen in the combustion space 413; And a vortex drive unit 453 for rotating the vortex axis 451.

와류축(45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주입관(441)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The vortex axis 451 extends vertically and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injection tube 441.

와류콘(452)은 다수개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와류축(451)에 각각 설치되며, 용이하게 산소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A plurality of vortex cones 452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vortex axis 451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formed into a conical shape whos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downward so as to easily induce oxygen.

또한, 와류콘(452)는 외주면에 다수의 발산돌기(4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산돌기(454)는 다수개가 와류콘(452)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와류콘(45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발산돌기(454)는 와류콘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만곡되게 연장형성된다. The vortex cone 452 has a plurality of diverging projections 45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diverging protrusions 45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ortex cone 452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ortex cone 452. At this time, the divergence projection 454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er of the vortex cone to the edge.

와류 구동부(453)는 와류축(451)의 상단부에 체결된 제3스프로켓(455)과, 제3단열커버(415)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456)와, 상기 회전모터(456)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4스프로켓(457)과, 상기 제3 및 제4스프로켓(455,457)에 연결되어 회전모터(456)의 회전력을 와류축(451)에 전달하는 제2연결체인(458)을 구비한다. The vortex drive unit 453 includes a third sprocket 455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vortex axis 451, a rotation motor 456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thermal insulation cover 415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 fourth sprocket 457 mounted on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456 and a second connecting chain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sprockets 455 and 457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otor 456 to the vortex shaft 451 458).

와류 구동부(453)에 의해 와류콘(452)는 회전하여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산소에 와류를 발생시키므로 보조관(433) 내부로 유입된 유동가스와 산소와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킨다. The vortex cone 452 is rotated by the vortex drive unit 453 to generate a vortex in the oxyge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hereby improving the mixing efficiency of the flow gas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conduit 433 and oxygen.

한편, 가스연소유닛(400)은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에 외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분사부재(810)와, 제2분배기(821)를 통해 상기 제2분사부재(810)들에 연통되며, 상기 제2분사부재(810)들에 외기를 강제 송풍하는 제2송풍기(820)를 구비한다. The gas combustion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members 810 that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s and emit ambient air to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And a second blower 8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jection members 810 and forcibly blows the outside air to the second injection members 810.

제2분사부재(810)는 내부에 외기가 통과하는 제3유로가 형성되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에 대향되는 측면에는 상기 외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3유로에 연통되는 제2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jetting member 810 is formed with a thir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passes and a second outflow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flow path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have.

제2송풍기(8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모터에 설치된 제2팬이 마련되어 있고,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구에는 제2분배기(8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분배기(821)는 내부에 제2송풍기(820)의 외기배출구에 연통되는 제4유로가 형성된 제2분배본체(822)와, 일단이 상기 제2분배본체(822)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제2분사부재(81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2분배관(823)을 구비한다. 제2송풍기(820)는 상기 제2분배기(821)로 외기를 강제송풍하고, 제2분배기(821)는 각 제2분사부재(810)로 외기를 전달하여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를 냉각한다. The second blower 820 is provided with a second fan installed in an electric motor operated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second distributor 821 is installed at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outside air. The second distributor 821 includes a second distribution body 822 having a fourth flow path communicated with the outlet of the second blower 820 and a second distribution body 82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distribution body 822 And the other end has a plurality of second distribution pipes 823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second injection member 810. The second blower 820 forcibly blows the outside air to the second distributor 821 and the second distributor 821 conveys the outside air to each of the second jetting members 810 to cool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상기 제2냉각유닛(800)에 의해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로 외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가 과열되어 오작동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second cooling unit 800 continuously supplies the ambient air to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is prevented from overheating and malfunctioning or being damaged.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유전발열체(411)가 도시되어 있다. 4 shows a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4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제2유전발열체(411)는 상기 보조관(433) 대신에 상면을 폐쇄되고, 하면을 개방되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유동가스 중에 포함된 재를 수집할 수 있도록 배출호퍼(417)가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411 is closed on its upper surface instead of the auxiliary pipe 43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411 is formed to be open, and a discharge hopper 417 ).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배출호퍼(417)가 제2유전발열체(4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유전발열체 내부에 쌓인 재를 제거하는 재 처리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charge hopper 417 is installed under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411,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processing operation for removing the material accumulated i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is not required.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유전발열체(522)가 도시되어 있다. 5, a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52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면을 참조하면, 제2유전발열체(522)는 상기 연소공간(413)이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와류축(451)에는 1개의 와류콘(452)이 설치되며, 연소공간(413)에는 다수의 와류콘(452)이 설치되는 로드(523)가 마련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522 has a waveform in which the combustion space 41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one vortex cone 452 is provided in the vortex axis 451 and a rod 523 in which a plurality of vortex cones 452 are installed in the combustion space 413.

상기 로드(5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소공간(413)에 대응되게 파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의 와류콘(452)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로드(52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유닛(미도시)에 의해 연소공간(413)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d 52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curved in a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space 413, and a plurality of vortex cones 452 are install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d 523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space 413 by a support unit (not shown).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연소공간(413)이 파형으로 형성되므로 와류콘(452)에 의해 유도된 산소가 만곡된 제2유전발열체(522)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보다 용이하게 와류가 발생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bustion space 413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the oxygen induced by the vortex cone 452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second dielectric heater 522, and vortices are more easily generated.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유전발열체(611)가 도시되어 있다. 6 shows a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6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제2유전발열체(611)는 연소공간(413)이 상기 유동가스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상기 유동가스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기 위해 내부에 제1가이드판(612) 및 제2가이드판(613)이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611 has a combustion space 413 formed therein so as to be formed in a staggered shape so as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owing gas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the flowing gas. A guide plate 612 and a second guide plate 613 are provided.

이때, 제2유전발열체(611)는 상하면은 폐쇄되되, 상측면에 상기 배기관(401)의 단부에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배출호퍼에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611 is closed at the top and bottom,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end of the exhaust pipe 40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pp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상기 제1가이드판(612)은 연소공간(413)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단이 배출공에 인접된 위치의 제2유전발열체(611)의 천장면에 형성되며, 연소공간(413)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판(6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유동가스가 통과되는 통과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단부가 제2유전발열체(611)의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guide plate 612 is formed on a ceiling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er 61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 so that the combustion space 413 can be defined. Are formed to have corresponding widths. The first guide plate 612 may extend upward and downward and may have a lower end spac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er 611 so that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flow gas flows downward is formed.

제2가이드판(613)은 제1가이드판(612)에 대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2유전발열체(611)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연소공간(413)을 구획할 수 있도록 연소공간(413)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판(61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측으로 유동가스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제2유전발열체(611)의 천장면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guide plate 61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611 at a position spaced away from the discharge ho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plate 612, The width of the combustion space 413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combustion space 413. The second guide plate 613 may be vertically extend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613 is spaced below the ceiling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611 so that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flow gas passes may be formed upward.

이때,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판(612,613)은 고온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캐스타블, 알루미나, 지르코이아로 형성될 수 있고,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규산소다나트륨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guide plates 612 and 613 may be formed of a heat resistant castable, alumina, or zirconia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to prevent oxidation due to high temperature,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lumina and zirconia, And sodium may be mixed.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2유전발열체(611)는 제1가이드판(612) 및 제2가이드판(613)에 의해 연소공간(413)이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므로 연소공간(413)으로 유입된 유동가스의 체류시간이 연장되어 피씨비에스(PCBs)와 같은 유독물질이 연소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Since the combustion space 413 is formed in a staggered configuration by the first guide plate 612 and the second guide plate 613 as described above,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combustion space 413 The residence time of the gas is prolonged to provide sufficient time for toxic substances such as PCBs to burn.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소유닛(900)이 도시되어 있다. 7, a gas combustion unit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연소유닛(900)은 배기관(401)의 내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스케일 제거부(905)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as-fired unit 900 further includes a scale removing unit 905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401.

상기 스케일 제거부(905)는 상기 배기관(4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배기관(401)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로드(910)와, 상기 메인로드(910)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401)의 내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스크레핑하는 스크래퍼(920)와, 상기 메인로드(910)를 상기 배기관(40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로드 이동부(930)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와류발생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메인로드(9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The scale removing unit 905 includes a main rod 910 installed inside the exhaust pipe 401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401 and a main rod 910 installed inside the exhaust pipe 401 And a rod moving part 930 reciprocating the main rod 9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401. The rod moving part 930 reciprocates the main rod 9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401. The scraper 920 scrapes the foreign matter fix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401, Although the vortex generating unit is not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vortex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main rod 910.

상기 메인로드(910)는 상기 배기관(40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로드(910)는 일단부가 보조관(433)과 배기관(401)의 연통된 부분을 통해 배기관(401)으로 인입되며, 타단부는 보조관(433)에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메인로드(910)는 보조관(43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rod 910 is formed in a round bar shape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40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read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e end of the main rod 910 is inserted into the exhaust pipe 401 through the communicated portion of the auxiliary pipe 433 and the exhaust pipe 401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rod 910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auxiliary pipe 433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rod 910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pipe 433.

스크래퍼(920)는 메인로드(910)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가장자리가 배기관(401)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배기관(40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상기 보조관(43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래퍼(920)는 외주면에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거돌기(9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거돌기(921)는 다수개가 스크래퍼(9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스크래퍼(92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만곡되게 연장형성된다. The scraper 92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rod 910 and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exhaust pipe 401 so that the edge can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40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e is decreased. In addition, the scraper 920 has a plurality of removing protrusions 921 so as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the removing protrusions 9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craper 920 and extend from the center of the scraper 920 to the edge.

이때, 스크래퍼(920)와 메인로드(910) 사이에는 내열패킹부재(911)가 설치되어 있다. 내열패킹부재(911)는 스크래퍼(920)와 메인로드(9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 캐스타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heat-resistant packing member 911 is provided between the scraper 920 and the main rod 910. The heat-resistant packing member 911 is preferably formed of a heat-resistant castabl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so as to prevent heat transfer between the scraper 920 and the main rod 910.

로드 이동부(930)는 상기 메인로드(910)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로드(910)에 치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관(433)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이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로드이동기어에 치합되어 이동모터의 회전력을 로드이동기어에 전달하는 전달기어를 구비한다. The rod moving unit 93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rod 910 and includes a moving motor, a driving gear provided on a driving shaft of the moving motor, A rod moving gear rotatably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pipe 433 and having a hollo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coupled to the rod; And a transmission gear.

상기 로드 이동부(930)는 배기관(401)의 이물질 제거작업 시, 메인로드(910)를 회전시켜 배기관(401) 내로 스크래퍼(920)를 인입시킨 다음, 메인로드(910)를 왕복이동시켜 배기관(401) 내측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배기관(401)의 이물질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스크래퍼(920)가 배기관(401)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메인로드(910)를 후퇴시켜, 배기관(401)을 통해 보조관(433)으로 유동가스가 유입되도록 한다. The rod moving unit 930 rotates the main rod 910 to draw the scraper 920 into the exhaust pipe 401 and moves the main rod 910 back and forth, Thereb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401. The main rod 910 is retracted so that the scraper 920 is drawn out of the exhaust pipe 401 and the flow gas is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pipe 433 through the exhaust pipe 401 Respectively.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스케일 제거부(905)에 의해 배기관(401)에 고착된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내측면에 고착된 이물질에 의해 배기관(401)이 막혀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The scale removing unit 90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eriodical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exhaust pipe 401, thereby preventing the exhaust pipe 401 from being clogged due to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ner side, There are advantag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110: 제1유전발열체
170: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
180: 회전날개
181: 내부유로
182: 분사공
310: 회전축
311: 제1분산콘
312: 제2분산콘
400: 가스연소유닛
411: 제2유전발열체
430: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
440: 산소공급부
450: 와류발생부
600: 제1냉각유닛
610: 제1분사부재
620: 제1송풍기
700: 개폐유닛
100: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er
110: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170: first microwave oscillator
180: Rotating blade
181:
182: Spray hole
310:
311: First dispersion cone
312: 2nd distributed cone
400: gas combustion unit
411: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430: second microwave oscillator
440: oxygen supply section
450: vortex generator
600: first cooling unit
610: First injection member
620: First blower
700: opening / closing unit

Claims (15)

내부에 연소대상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기 위한 열분해공간이 형성되며,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제1유전발열체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열분해 공간으로 투입된 상기 연소대상물이 상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연소대상물의 열분해시 발생되는 유동가스 및 상기 연소대상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연소대상물이 회전중심 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인접된 일단부가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측면에 인접된 타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소대상물 및 유동가스를 열분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전발열체가 발열되게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마이크로파를 주사하는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A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hat generates a pyrolysis space for pyrolysis by injecting an object to be burned therein and generates heat by microwaves;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The pyro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yrolysis space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so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pyrolysis space is seated, a flow gas generated during pyrolysis of the pyrolysis target and a combustion hole are formed through the pyrolysis chamber, At least one rotation blade formed so that one end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is inclined such that the end of the one end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is positioned below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 generating element so that the object to be burned can be collected toward the rotation center side;
A rotation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a first microwave oscillator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and scanning the microwave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so that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generates heat so as to pyrolyze the object and the flowing gas Gas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device using microwa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날개는 내부에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열분해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공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에어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shaft is hollowed to allow air to flow therein,
Wherein the rotary vane has an inne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and a plurality of spray holes are formed 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flow path can be injected into the pyrolysis space,
Further comprising an air supply unit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to supply air to the hollow shaft of the rotary shaf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외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외부코팅부재와;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산화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rst outer coat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Further comprising: a first oxidation preventing member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소대상물의 열분해 완료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기 위해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형성된 배출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배출공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재가 배출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된 개폐판과,
상기 회전축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본체와,
상기 개폐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판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본체에 설치된 개폐날개와,
상기 개폐본체를 회전시키는 개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otary shaft is rotatably inserted into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for discharging ashes generated upon completion of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object to be burned,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for opening / closing the discharge hole,
The opening /
An opening / clos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rotary shaf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 discharging the ash;
An opening / closing body provid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rotary shaft,
An opening / closing blade provided on the opening / closing body so as to selectively open / close a through hol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opening /
And an open / close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opening / closing main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가스를 재연소시키는 가스연소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gas combus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yrolysis space and re-burning the flowing gas. The pyrolysis gasification bur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배기관에 의해 상기 열분해 공간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관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동가스가 유입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고,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제2유전발열체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와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유전발열체를 발열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연소공간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와,
상기 연소공간 내에서 상기 산소 및 유동가스를 교반시키기 위해 상기 산소 및 유동가스의 와류 유동을 유도하는 와류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as-
A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connected to the pyrolysis space by an exhaust pipe and provided with a combustion space into which the flowing gas supplied through the exhaust pipe flows,
A second microwave oscillator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for oscillating the microwave to generate heat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 oxygen supply unit for supplying oxygen to the combustion sp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er,
And a vortex generating unit for guiding the vortex flow of the oxygen and the flowing gas to stir the oxygen and the flowing gas in the combustion sp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전발열체는 재연소된 상기 유동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상기 제2유전발열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동가스 및 상기 산소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산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유입공간은 상기 유동가스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보조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re-burned flowing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gas combus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and has an inflow space therein so that the flowing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pipe and the oxygen supplied from the oxygen supply unit can be introduced Wherein the inflow spac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ipe whose bottom is opened so that the flowing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sp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제2유전발열체 내부에 인입되도록 상기 제2유전발열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산소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며, 일단면에는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산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관의 내부로 상기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동로로 인입되어 상기 주입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와류축과,
상기 주입관 외측의 상기 와류축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산소를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내측면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연소공간 내에 상기 산소의 와류를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콘과,
상기 와류축에 설치되어 상기 와류축을 회전시키는 와류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산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xygen supply unit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xygen flows is provided in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so that one end thereof is drawn in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The tube,
And an oxygen supply member installed in the injection tube and supplying the oxygen into the injection tube,
The vortex generating unit
A vortex shaft that is drawn into the flow path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jection tube,
At least one vortex cone installed in the vortex axis outside the injection tube and flowing the oxygen discharged through the vents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to induce vortex of the oxygen in the combustion space,
And a vortex drive unit installed on the vortex axis for rotating the vortex axi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외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외부코팅부재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산화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as combustion unit may include a second outer coat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to block external air from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so as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전발열체는 상기 연소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is formed such that the combustion space has a wave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연소공간은 상기 유동가스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mbustion sp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is formed in a staggered shape so as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the flowing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는 다수개가 상기 제1유전발열체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마이크로파 발진기에 외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분사부재와, 제1분배기를 통해 상기 제1분사부재들에 연통되며, 상기 제1분사부재들에 외기를 강제 송풍하는 제1송풍기를 구비한 제1냉각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irst microwave oscillators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dielectric heating element,
A plurality of first injection members installed in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s for spraying outside air to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for cooling the first microwave oscillator, And a first blower for blowing the outside air to the first injection members, wherein the first blower blows the outside air to the first blowing memb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는 다수개가 상기 제2유전발열체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에 외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분사부재와, 제2분배기를 통해 상기 제2분사부재들에 연통되며, 상기 제2분사부재들에 외기를 강제 송풍하는 제2송풍기를 구비한 제2냉각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s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element,
Wherein the gas combustion unit is provided for cooling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member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s and injecting outside air to the second microwave oscillato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injection members and having a second blower for forcibly blowing the outside air to the second injection members, wherein the microwave-assisted pyrolysis gasification combus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유닛은
배기관에 의해 상기 열분해 공간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관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동가스가 유입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고,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발열하는 제2유전발열체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와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유전발열체를 발열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2마이크로파 발진기와,
상기 제2유전발열체의 연소공간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의 내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케일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as-
A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connected to the pyrolysis space by an exhaust pipe and provided with a combustion space into which the flowing gas supplied through the exhaust pipe flows,
A second microwave oscillator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for oscillating the microwave to generate heat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ing body;
An oxygen supply unit for supplying oxygen to the combustion space of the second dielectric heater,
And a scale removing unit installed on the exhaust pipe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제거부는
상기 배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로드와,
상기 메인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의 내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스크레핑하는 스크래퍼와,
상기 메인로드를 상기 배기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로드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건류가스 유동상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cale removing unit
A main rod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A scraper installed on the main rod for scraping foreign matter adher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And a rod moving part for reciprocating the main ro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KR1020140172485A 2014-12-03 2014-12-03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KR101536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85A KR101536277B1 (en) 2014-12-03 2014-12-03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85A KR101536277B1 (en) 2014-12-03 2014-12-03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277B1 true KR101536277B1 (en) 2015-07-13

Family

ID=5379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485A KR101536277B1 (en) 2014-12-03 2014-12-03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2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431B1 (en) * 2016-11-18 2017-05-0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An incinerator constituting a high-efficiency combustion stocker device
JP2020512475A (en) * 2017-03-27 2020-04-23 スキャンシップ・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Microwave pyrolysis rea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9170A (en) * 1992-04-18 1993-11-12 Ryoji Watabe Hot-air combustion apparatus using dielectric heating element
JP2009142760A (en) * 2007-12-14 2009-07-02 Ryuji Teraoka Simple domestic-waste incinerator utilizing microwave and heat generating material that absorbs microwave
KR101270721B1 (en) * 2012-02-23 2013-06-03 나문주 Carbonizing an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utilizing of waste
KR101440142B1 (en) * 2013-03-27 2014-09-12 김필성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9170A (en) * 1992-04-18 1993-11-12 Ryoji Watabe Hot-air combustion apparatus using dielectric heating element
JP2009142760A (en) * 2007-12-14 2009-07-02 Ryuji Teraoka Simple domestic-waste incinerator utilizing microwave and heat generating material that absorbs microwave
KR101270721B1 (en) * 2012-02-23 2013-06-03 나문주 Carbonizing an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utilizing of waste
KR101440142B1 (en) * 2013-03-27 2014-09-12 김필성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431B1 (en) * 2016-11-18 2017-05-0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An incinerator constituting a high-efficiency combustion stocker device
JP2020512475A (en) * 2017-03-27 2020-04-23 スキャンシップ・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Microwave pyrolysis reactor
JP7128882B2 (en) 2017-03-27 2022-08-31 スキャンシップ・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microwave pyrolysis re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8583B2 (en) High 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or
KR101055854B1 (en)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KR101498260B1 (en)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KR101516789B1 (en) Reductional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CN104998888A (en) Medical waste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101736838B1 (en) Hybrid type combustion device using pyrolysis of water and combustion air
CN204799671U (en) Medical waste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100312137B1 (en) Pyrolysis Waste Incinerator
KR101536277B1 (en)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KR101270724B1 (en)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for waste
KR101204756B1 (en) Solid fuel combusting boiler apparatus by pyrolysis and gasification
KR0181484B1 (en) Refuse furnace
KR102238864B1 (en) A garbage incineration system
KR101469172B1 (en) Reductional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KR101385208B1 (en) The carbonization apparatus used microwave
CN107152683A (en) Clinical waste microwave plasma control oxygen cat-cracker
KR101440142B1 (en)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KR101113403B1 (en) Heat recovery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KR101293272B1 (en) Apparatus for continuous pyrolysis and method thereof
KR102122069B1 (en) Low Temperature Pyrolysis System
KR101463229B1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247708B1 (en) Carbonizing apparatus with mixing blades
KR20100104783A (en) The advanced trash burner
RU2539414C2 (en) Apparatus for burning solid fuel in pulsating flow
JP5490956B1 (en) Inci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