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829B1 - 다기능 빔 클램프 - Google Patents

다기능 빔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829B1
KR101533829B1 KR1020140072413A KR20140072413A KR101533829B1 KR 101533829 B1 KR101533829 B1 KR 101533829B1 KR 1020140072413 A KR1020140072413 A KR 1020140072413A KR 20140072413 A KR20140072413 A KR 20140072413A KR 101533829 B1 KR101533829 B1 KR 10153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anger
shaft
upper body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626A (ko
Inventor
박을식
Original Assignee
박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을식 filed Critical 박을식
Priority to KR102014007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8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26A/ko
Priority to PCT/KR2015/002051 priority patent/WO20151906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일정 길이의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길이 중간 부위로 축볼트(13)가 수직 관통되어 상하부 너트(14)에 의해 연결되고, 축볼트(13)의 전방측에서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마주보는 외주연의 단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톱니(112,122)가 형성되도록 하며, 축볼트(13)의 후방에는 하부 바디(12)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면서 상단부가 상부 바디(11)에 근접하도록 조정 볼트(15)를 구비하는 바디 본체(10); 상기 하부 바디(12)의 선단에서 상단부가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행거축(21)이 축지지되고, 상기 행거축(21)의 하단부에는 수평 체결되는 제1 볼트(23)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연결 밴드(22)가 구비되는 제1 행거(20); 상부 바디(11)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조정 볼트(15)의 상단부가 저면에 밀착되는 수평 절곡부(31)와, 상기 수평 절곡부(31)의 후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도록 하여 상부 바디(11)의 내측 후단면에 상부의 일부가 밀착되도록 한 수직 절곡부(32)와, 상기 하부 바디(12)의 후방에서 상부 바디(11)의 후단면과 수직 절곡부(32)에서 나선을 형성한 홀에 나사결합되는 제2 볼트(33)와, 상기 제2 볼트(33)의 하부에서 수직 절곡부(32)의 하부에 형성한 각도 조절홀(320)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이탈방지되게 축고정되는 제3 볼트(34)로 이루어지는 제2 행거(34)의 결합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빔 클램프{beam clamp having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는 빔에 견고하게 결속되면서도 다양한 각도의 지지물들에 대해서도 클램핑이 가능한 동시에 보다 다양한 각도로 지지물들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건물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으로 H형강 또는 I형강의 빔(beam)을 사용하고 있다.
빔을 설치한 이후에는 이 빔의 바깥측으로 천정 패널이 슬라브 또는 벽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안쪽으로는 건물에 설치되는 다양한 배관용 파이프나 전선 또는 덕트 등이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설비들을 빔을 따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부재로서 적용되는 것이 빔 클램프이다.
빔 클램프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특허등록 제0948662호(2010.03.12.명칭:빔 클램프)가 있으나 이 종래기술에서의 클램프는 말굽형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개방된 단부측으로 빔이 삽입되게 하여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서 클램핑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종래기술의 빔 클램프는 빔이나 빔 클램프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면 점차 볼트 체결력이 약화되면서 빔과의 결속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들 빔 클램프에 의해서는 지지하게 될 구조물 지지용 행거가 빔에 수직의 방향으로만 장착이 가능하므로 빔이 설치되는 상태 즉 수직 또는 수평 또는 경사진 구조에 따라 전혀 다른 클램핑 수단을 사용해야만 하는 폐단이 있다.
특허등록 제0948662호(2010.03.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빔에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는 구조물들을 동시에 안전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조물들의 설치 각도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에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빔 클램프는, 내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일정 길이의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길이 중간 부위로 축볼트가 수직 관통되어 상하부 너트에 의해 연결되고, 축볼트의 전방측에서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마주보는 외주연의 단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톱니가 형성되도록 하며, 축볼트의 후방에는 하부 바디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면서 상단부가 상부 바디에 근접하도록 조정 볼트를 구비하는 바디 본체;
상기 하부 바디의 선단에서 상단부가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축회전이 가능하게 행거축이 축지지되고, 상기 행거축의 하단부에는 수평 체결되는 제1 볼트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연결 밴드가 구비하는 제1 행거;
상부 바디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조정 볼트의 상단부가 저면에 밀착되는 수평 절곡부와, 상기 수평 절곡부의 후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도록 하여 상부 바디의 내측 후단면에 상부의 일부가 밀착되도록 한 수직 절곡부와, 상기 하부 바디의 후방에서 상부 바디의 후단면과 수직 절곡부에서 나선을 형성한 홀에 나사결합되는 제2 볼트와, 상기 제2 볼트의 하부에서 수직 절곡부의 하부에 형성한 각도 조절홀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이탈방지되게 축고정되는 제3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2 행거;로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다기능 빔 클램프에 의해 빔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이나 배선 또는 덕트 등의 다양한 구조물들을 동시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면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각도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따라 제1 행거 또는 제2 행거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하므로써 구조물 지지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에서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축볼트 결합면과 너트의 대응면간으로 요철면을 형성한 실시예를 예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제1 행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제2 행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를 H빔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를 경사진 H빔에 결합시킨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제1 행거에 의한 각도 조절 양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제2 행거에 각재 구조물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제2 행거에 의한 각재 구조물의 각도 조절 양태를 예시한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바디 본체(10)와 제1 행거(20)와 제2 행거(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바디 본체(10)는 다시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와 축볼트(13)와 너트(14) 및 조정 볼트(15)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는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내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는 내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면서 외주연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한 형상이다.
상호 대응되는 상부 바디(11)의 상부면과 하부 바디(12)의 하부면으로는 보강용 돌기(110,120)가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이들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길이 중간 부위에는 축볼트(13)가 수직으로 관통되게 축결합되어 상부 바디(11)의 상부와 하부 바디(12)의 하부에서 각각 축볼트(13)에 너트(14)가 체결되도록 하여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간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축볼트(13)가 연결되는 하부 바디(12)의 후방으로는 양측면간 폭이 상부 바디(12) 보다는 축소되도록 하면서 양측 외주연 상단부에는 가이드 돌기(121)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 바디(11)에는 가이드 돌기(121)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드 홀(11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축볼트(13)와 동일 수평선상의 후방에는 하부 바디(12)를 수직 관통하여 조정 볼트(15)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며, 이때의 조정 볼트(15)는 상단부가 상부 바디(11)의 저면에 근접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간을 연결하는 축볼트(13)를 기준으로 전방측의 상호 마주보는 외주연 단면을 따라 각각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톱니(112,122)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는 축볼트(13)가 결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톱니(112,122)를 형성하는 전방은 상호 대칭되는 동일한 사이즈로서 형성되는 반면 축볼트(13)의 후방은 하부 바디(12)의 양측 외주연부간 폭이 상부 바디(11)보다는 축소되도록 하면서 후단부측 길이도 짧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축볼트(13)가 관통하면서 너트(14)와 대향하는 축볼트(13)의 주연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너트(14)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면(16)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요철면(16)은 일방향의 회전방향으로 높이가 점차 상승하도록 하는 경사면이 일정 각도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형상이며, 이러한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에 형성되는 요철면(16)은 너트(14)에 형성되는 요철면(16)과는 경사면 형성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바디 본체(10)의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를 축볼트(13)와 너트(14) 및 조정 볼트(15)의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축볼트(13)를 기준으로 전방으로는 톱니(112,122)를 형성하고, 후방으로는 가이드 홀(111)과 가이드 돌기(121)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 바디(11)의 톱니(112)와 하부 바디(12)의 톱니(122) 사이로 빔의 플랜지면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발명(특허출원 2013-0036090호)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축볼트(13)의 하단부에는 다양한 형상의 행거를 연결하여 배관 또는 배선용 파이프 또는 덕트 등의 설비들이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설비들이 제1 행거(20)와 제2 행거(30)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행거(20)는 하부 바디(12)의 선단에서 다양한 각도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제1 행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행거(20)는 행거축(21)과 연결 밴드(22)와 제1 볼트(23)로서 이루어진다.
제1 행거(20)의 행거축(21)은 하부 바디(12)의 상부로부터 수직 관통되도록 하되 상단부는 하부 바디(12)에서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이고, 행거축(21)의 하단부에는 연결 밴드(22)가 제1 볼트(23)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행거축(21)은 하부의 일정 높이가 일정 두께와 면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평판에는 일정 직경의 홀이 수평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행거축(21)에는 연결 밴드(22)의 상단부가 연결되는데 연결 밴드(22)는 삼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 하부측 상단부를 일정 폭으로 분리되게 하여 분리된 양단부를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도록 하는 형상이며, 이때의 상향 연장시킨 양단면으로도 행거축(21)의 하부에 형성한 홀과 동일한 사이즈의 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들 홀들을 통해 제1 볼트(23)를 관통 결합시켜 행거축(21)과 연결 밴드(22)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행거축(21)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연결 밴드(22)의 일단면측 홀에는 나선을 일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너트 체결없이 제1 볼트(23)와의 체결에 의해서 행거축(21)과 연결 밴드(22)를 안정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너트를 체결하여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행거(20)는 행거축(21)의 상단부가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 밴드(22)는 행거축(21)에 상단부가 제1 볼트(2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되게 함으로써 제1 볼트(23)에 축결합된 상단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결국 제1 행거(20)는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만 연결 밴드(22)의 하단부에는 볼트체결홀(24)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산볼트와 같은 또 다른 연결 수단을 이용하거나 상단부로 볼트를 형성한 별도의 행거가 연결되도록 한다.
하부 바디(12)의 선단측으로 구비되는 제1 행거(20)와는 달리 제2 행거(30)는 상부 바디(11)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제2 행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행거(30)는 상단부가 일부 수평 절곡되도록 하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제2 행거(30)는 상단부의 수평 절곡부(31)와 수직 절곡부(32)로서 이루어진다.
상단부의 수평 절곡부(31)는 상부 바디(11)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수평 절곡부(31)의 후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도록 한 수직 절곡부(32)는 상부 바디(11)의 내측 후단면에 상부의 일부가 밀착되면서 하부 바디(12)의 후단부 외측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 바디(12)를 수직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조정 볼트(15)는 상단부가 제2 행거(30)의 수평 절곡부(32) 저면으로 밀착되게 한다.
한편, 상부 바디(11)의 후단면에 밀착되면서 하부 바디(12)의 후방에 위치되는 수직 절곡부(32)에는 상부 바디(11)의 후단부측 외주연을 동시에 수평 관통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도록 하되 이 홀의 수직 절곡부(32)측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2 볼트(33)의 일단이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제2 볼트(33)와 나사결합되는 홀의 하부측 수직 절곡부(32)에도 제3 볼트(34)의 일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 볼트(33)는 수직 절곡부(32)에서 나선을 형성한 홀에 나사결합되도록 하지만 제3 볼트(34)는 수직 절곡부(32)를 관통한 단부로 너트가 체결되게 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 절곡부(32)의 상부 바디(11)와 밀착되는 면 하부로는 일정 폭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 원호형상의 판면에는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홀(3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각도 조절홀(320)에는 제2 볼트(33)와 동일하게 제3 볼트(34)가 연결되도록 하면서 제3 볼트(34)에는 와셔 홀더(35)가 축결합되고, 수직 절곡부(32)의 각도 조절홀(320)을 관통한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수직 절곡부(32)는 상부 바디(11)의 하부로 연장시킨 원호형상의 판면이 상부 바디(11)의 후단부 외주면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직 절곡부(32)에는 각각 제2 볼트(33)와 제3 볼트(34)가 나사결합되도록 하되 제2 볼트(33)와 제3 볼트(34)의 헤드부측으로는 수직 절곡부(32)와의 사이에서 지지하고자 하는 각재의 두께 이상의 폭으로 이격시켜 양단부가 절곡되도록 한 와셔 홀더(35)가 축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 홀더(30)에 의해서는 각형의 관이나 채널이 고정되도록 하며, 특히 빔(40)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각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2 홀더(30)의 수직 절곡부(32)와 와셔 홀더(35)의 사이에서 제2 볼트(33)와 제3 볼트(34)가 각형의 관이나 채널을 관통하여 축고정되도록 하고, 이때 수직 절곡부(32)의 각도 조절홀(320)을 관통하도록 축지지한 제3 볼트(34)를 각도 조절홀(320)에서 필요로 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되게 함으로써 수직의 방향으로 구비되는 각형의 관이나 채널 등을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다기능 빔 클램프의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빔 클램프는 본원발명의 선출원 발명에서와 같이 I빔이나 H빔에서 일측으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빔 클램프는 도 7에서와 같이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를 축볼트(13)와 너트(14)로 연결하고, 하부 바디(12)에 조정 볼트(15)를 체결한다.
이렇게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빔(40) 특히 H빔 일측의 가로대(41)에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톱니(112) 사이로 삽입되게 하고, 너트(14)를 조작하여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톱니(112)가 가로대(4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즉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톱니(112)에 빔 가로대(41)의 일측 상부면과 하부면이 동시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후방의 조정 볼트(15)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 바디(12)에 나사 결합된 조정 볼트(15)가 상부 바디(11)측으로 상승하면서 상부 바디(11)의 후방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축볼트(13)가 결합된 위치를 기준으로 조정 볼트(15)와 반대측의 빔 가로대(41)에 접촉된 상태인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톱니(112,122)간 간격이 더욱 좁아지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서 가로대(41)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게 된다.
특히,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는 상호 마주보는 외주연 단면에 형성시킨 톱니(112,122)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있으므로 가로대(41)에 밀착되면서 가해지는 가압력이 더욱 집중되게 되어 가로대(41)와의 결합력을 보다 증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정 볼트(1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조정 볼트(15)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있는 상부 바디(11)의 상부면을 밀어 올리게 되면 축볼트(13)로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조정 볼트(15)측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간 간격이 더욱 벌어지게 되면서 조정 볼트(15)가 연결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톱니(112,122)가 형성되는 단부측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간 간극이 점차 좁아지게 한다.
따라서 조정 볼트(1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축볼트(13)를 축으로 지렛대 원래에 의해서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의 톱니(112,122)에 의해서 바디 본체(10)는 더욱 강력하게 가로대(41)에 고정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지렛대 작용에 의한 바디 본체(10)의 고정은 선출원 발명에서도 명시한 바와 같이 더욱 가로대(41)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빔(40)에 전달되더라도 톱니(112,122)들 사이에서의 결합력은 안정되게 유지될 수가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바디 본체(10)의 축볼트(13)에는 하단부로 너트홀을 형성한 다양한 홀더 등이 나사결합되고, 이 홀더에 다양한 배선 및 배관용 파이프 또는 덕트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디 본체(10)는 수직의 빔이나 수평의 빔 또는 천정과 같은 일정 경사각을 갖는 트러스 빔에도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배관 및 배선의 높이나 좀더 다양한 시공 각도로서의 구현이 가능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바디 본체(10)를 일정 경사각을 갖는 트러스 빔(40)에 고정시키는 경우 본 발명의 축볼트(13)는 지지 각도가 매우 한정적인 반면 하부 바디(12)에 축지지되는 제1 행거(20)는 행거축(21)이 축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행거축(21)에 연결되는 연결 밴드(22)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제1 볼트(23)에 상단부가 축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연결 밴드(22)의 볼트 체결홀(24)에 결합되는 전산볼트를 통해 지지되는 다양한 형상의 홀더들을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로 배관 및 배선되는 관들이 필요로 하는 각도로 지지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빔 클램프에서 제1 행거(20)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구조물 견인용 홀더가 고정될 수가 있으므로 빔(40)의 형성 각도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클램프가 굳이 준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바디 본체(10)가 일정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빔(40)에 고정해야 하는 경우에도 상부 바디(11)와 하부 바디(12)간을 연결하는 축볼트(13)는 빔(40)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이 축볼트(13)에 의해서는 구조물 지지 각도가 매우 한정적이나 제1 행거(20)는 행거축(21)에 대해 연결 밴드(22)는 보다 다양한 각도로서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좀더 다양한 각도로서 배관 또는 배선이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바디 본체(10)와는 수직의 방향으로 배관 등이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배관 지지는 바디 본체(10)와의 간섭으로 제1 행거(20)를 통해서는 안정되게 지지가 곤란하고, 이러한 배관 지지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제2 행거(30)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제2 행거(30)는 바디 본체(10)의 후방에서 바디 본체(10)와는 수직의 방향으로 각형의 채널이 고정되도록 하여 이 각형의 채널을 통해 다양한 배관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빔에 고정시킨 바디 본체(10)에 보다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배관이나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건물에서 배관 또는 배선의 상태를 더욱 간소화할 수가 있는 동시에 배관 및 배선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가 있다.
특히 천정의 경사진 빔으로도 바디 본체(10)를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비록 바디 본체(10)가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제1 행거(20)와 제2 행거(30)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관 또는 배선을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빔 클램프에 배관 또는 배선이 집중되게 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외관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10 : 바디 본체 11 : 상부 바디
12 : 하부 바디 112, 122 : 톱니
13 : 축볼트 14 : 너트
15 : 조정 볼트 16 : 요철면
20 : 제1 행거 21 : 행거축
22 : 연결 밴드 23 : 제1 볼트
30 : 제2 행거 31 : 수평 절곡부
32 : 수직 절곡부 320 : 각도 조절홀
33 : 제2 볼트 34 : 제3 볼트
35 : 와셔 홀더

Claims (10)

  1. 내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일정 길이의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길이 중간 부위로 축볼트가 수직 관통되어 상하부 너트에 의해 연결되고, 축볼트의 전방측에서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마주보는 외주연의 단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톱니가 형성되도록 하며, 축볼트의 후방에는 하부 바디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면서 상단부가 상부 바디에 근접하도록 조정 볼트를 구비하는 바디 본체;
    상기 하부 바디의 선단에서 상단부가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축회전이 가능하게 행거축이 축지지되고, 상기 행거축의 하단부에는 수평 체결되는 제1 볼트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연결 밴드가 구비하는 제1 행거;
    상부 바디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조정 볼트의 상단부가 저면에 밀착되는 수평 절곡부와, 상기 수평 절곡부의 후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도록 하여 상부 바디의 내측 후단면에 상부의 일부가 밀착되도록 한 수직 절곡부와, 상기 하부 바디의 후방에서 상부 바디의 후단면과 수직 절곡부에서 나선을 형성한 홀에 나사결합되는 제2 볼트와, 상기 제2 볼트의 하부에서 수직 절곡부의 하부에 형성한 각도 조절홀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이탈방지되게 축고정되는 제3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2 행거;
    로서 구비되는 다기능 빔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축볼트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톱니 형성 부위는 상기 상부 바디와 대칭이 되는 동일한 사이즈로서의 형성되고, 축볼트의 후방은 양측면 폭과 후방측 단부의 길이가 상부 바디보다는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다기능 빔 클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대응되는 상부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 바디의 하부면으로는 보강용 돌기가 복수 개로서 형성되는 다기능 빔 클램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볼트가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부 바디의 후방에서 폭 방향의 양측 외주연 상단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 바디에는 가이드 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다기능 빔 클램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축볼트가 관통하는 주연부와 너트의 대향면에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기능 빔 클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은 일방향의 회전방향으로 높이가 점차 상승하는 경사면이 일정 각도로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이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에 형성되는 요철면은 너트에 형성되는 요철면과는 경사면 형성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빔 클램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행거의 연결 밴드는 삼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 하부측 상단부를 일정 폭으로 분리되게 하여 분리된 양단부를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도록 하는 형상인 다기능 빔 클램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와 제3 볼트의 헤드측으로는 와셔 홀더가 축결합되는 다기능 빔 클램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절곡부의 각도 조절홀은 일정 각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기능 빔 클램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절곡부는 상부 바디의 후단부의 하부로 연장시킨 판면의 외주면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다기능 빔 클램프.
KR1020140072413A 2014-06-13 2014-06-13 다기능 빔 클램프 KR10153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413A KR101533829B1 (ko) 2014-06-13 2014-06-13 다기능 빔 클램프
PCT/KR2015/002051 WO2015190671A1 (ko) 2014-06-13 2015-03-03 다기능 빔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413A KR101533829B1 (ko) 2014-06-13 2014-06-13 다기능 빔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26A KR20150001626A (ko) 2015-01-06
KR101533829B1 true KR101533829B1 (ko) 2015-07-09

Family

ID=5247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413A KR101533829B1 (ko) 2014-06-13 2014-06-13 다기능 빔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3829B1 (ko)
WO (1) WO20151906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94B1 (ko) * 2019-04-02 2020-04-06 김상현 빔 클램프
KR20210089834A (ko) * 2020-01-09 2021-07-19 조동주 철탑용 클램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57Y1 (ko) 2015-10-15 2017-1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43Y1 (ko) * 2003-10-22 2004-01-13 이상선 빔을 결합시키는 클램프
KR100925716B1 (ko) * 2009-07-27 2009-11-10 대신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배관용 빔 클램프 어셈블리
KR20130103451A (ko) * 2013-04-03 2013-09-23 박노평 빔 클램프
KR20140035100A (ko) * 2012-09-13 2014-03-21 이점용 빔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139B1 (ko) * 2003-10-06 2006-01-11 김동기 철골 조립용 스크류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43Y1 (ko) * 2003-10-22 2004-01-13 이상선 빔을 결합시키는 클램프
KR100925716B1 (ko) * 2009-07-27 2009-11-10 대신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배관용 빔 클램프 어셈블리
KR20140035100A (ko) * 2012-09-13 2014-03-21 이점용 빔 클램프
KR20130103451A (ko) * 2013-04-03 2013-09-23 박노평 빔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94B1 (ko) * 2019-04-02 2020-04-06 김상현 빔 클램프
KR20210089834A (ko) * 2020-01-09 2021-07-19 조동주 철탑용 클램프 장치
KR102450554B1 (ko) * 2020-01-09 2022-09-30 조동주 철탑용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671A1 (ko) 2015-12-17
KR20150001626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829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KR101533831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KR101846811B1 (ko) 건축외장패널용 지지장치
JP2010019055A (ja) クランプ機構
JP2009046968A (ja) 新設下地材及びその取付構造
JP5133302B2 (ja) ホールダウン金物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JP5290879B2 (ja) 折板屋根用力骨体及び折板屋根の力骨体取付構造
JP2015010417A (ja) 鋼材接合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タッピング型ボルト
JP6481742B1 (ja) 天井下地構造
JP5094367B2 (ja) パネル支持装置
JP5877573B1 (ja) 支柱固定具
JP7340253B2 (ja) 屋根用雪止め装置
JP2006233495A (ja) 梁勝ちの柱梁架構構造
JP4721420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木製筋交い材取付構造
JP4699441B2 (ja) 仮設建築物用パイプクランプ及び仮設建築物用パイプ連結装置
KR100532718B1 (ko) 배관고정구
JP6150872B2 (ja) 仮設建築物用のシート取付装置
JP5882441B2 (ja) 天井ブレース下部取付金具
JP5437856B2 (ja) 柱梁接合構造
JP2015183458A (ja) 天井構造
JP6271347B2 (ja) 構造材に対する板材の取付金具
JP6999886B2 (ja) 形鋼固定金具
JP2006104774A (ja) 建築部材の接合構造
WO2018199302A1 (ja) ルーバー用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