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881B1 -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 Google Patents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881B1
KR101532881B1 KR1020140103246A KR20140103246A KR101532881B1 KR 101532881 B1 KR101532881 B1 KR 101532881B1 KR 1020140103246 A KR1020140103246 A KR 1020140103246A KR 20140103246 A KR20140103246 A KR 20140103246A KR 101532881 B1 KR101532881 B1 KR 10153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platinum
frame
gold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장희정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52Attenuated total reflection
    • G01N21/553Attenuated total reflection and using surface plasmons
    • G01N21/554Attenuated total reflection and using surface plasmons detecting the surface plasmon resonance of nanostructured metals, e.g. localised surface plasmon reson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에 따르면, 그 내부에 백금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어 금 나노 입자의 응집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바이오 센서에 이용시 장기간 이용이 가능하고, 바이오 센싱시 여러 용액 또는 공기 중에 노출이 되더라도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신뢰성 있는 센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에 따르면, 에칭제(식각제)가 또한 금속 전구체로도 이용되므로 별도의 중간 세척 과정 없이 환원제를 추가로 넣어줌으로써 금 나노 입자의 에칭 및 재성장 프로세스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내부에 백금 프레임을 갖는 금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표면적이 넓어짐에 의해 구조물의 외부 및 내부에서도 효과적으로 빛과 상호 작용하여 나노 고리의 전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바이오 센싱에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METHOD OF PRODUCINIG GOLD STRUCTURE WITH PLATIUM FRAME LOCATED INSIDE AND CHEMICAL/BIO SENSOR COMPRISING GOLD STRUCTURE WITH PLATIUM FRAME LOCATED INSIDE}
본 발명은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센서의 경우에는 금 입자의 표면 플라즈몬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분자의 검출, 확인 및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의 신뢰성을 위해서는 이용되는 금 나노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금 나노 입자의 경우 응집이 발생될 경우 바이오 센싱을 할 때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정적인 측정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금 나노 입자의 표면 응집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여러가지 방법의 금 나노 입자의 합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머 입자를 주형으로 활용하여 스퍼터를 이용한 리소그래피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2차원적인 기판의 한정된 표면에만 합성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기판과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외에도 은 판상 나노입자에서 금 이온과의 갈바니 치환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으로 합성된 나노입자의 경우 두께를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응집되어 구조적 불안정성을 보이기도 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378117호 (2014. 03. 19) 한국 등록특허 제 10-1399391호 (2014. 05. 20)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응집 현상이 발생되는 금 나노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제작된 금 나노 입자 구조물을 포함한 바이오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부에 백금 프레임을 가지고 외부에 금 나노 입자가 입혀진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구조물을 제공하고, 2차원 형상인 경우 고리 형상의 구조 또는 3차원 형상인 경우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프레임 구조에 의해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외부 및 안쪽 내부에서도 효과적으로 빛과 상호 작용하여 나노 고리의 전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바이오 센싱에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됨을 기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은,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되어 백금 프레임만 남는 단계; 및 환원제를 수용액에 넣어주어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에 의해 상기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한다.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HAuCl4·nH2O 또는 HAuCl4 용액이다.
또한, 상기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에서 금 전구체로 이용된다.
상기 금 구조체는 3차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는 상기 금 구조체의 둘레, 모서리 및 꼭지점을 따라서 백금이 성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은, 금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 구조체의 둘레, 모서리 및 꼭지점을 따라 백금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되어 백금 프레임만 남는 단계; 및 환원제를 수용액에 넣어주어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는, 3차원 형태의 백금 프레임; 및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을 덮고 있는 금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백금 프레임은,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시켜 형성된다. 상기 에칭은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HAuCl4·nH2O 또는 HAuCl4 용액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에 따르면, 그 내부에 백금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어 금 나노 입자의 응집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바이오 센서에 이용시 장기간 이용이 가능하고, 바이오 센싱시 여러 용액 또는 공기 중에 노출이 되더라도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신뢰성 있는 센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에 따르면, 에칭제(식각제)가 또한 금속 전구체로도 이용되므로 별도의 중간 세척 과정 없이 환원제를 추가로 넣어줌으로써 금 나노 입자의 에칭 및 재성장 프로세스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의 내부에 백금 프레임을 갖는 금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표면적이 넓어짐에 의해 구조물의 외부 및 내부에서도 효과적으로 빛과 상호 작용하여 나노 고리의 전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바이오 센싱에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단계별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에 대한 UV-vis 흡수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에칭 용액의 양을 증가시켜 Au3+ 이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금 구조물의 두께를 제어한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3차원 형태의 금 구조물의 단계별 사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에 의한 화학적 센싱의 민감도를 보여주는 데이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은,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S 110);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되어 백금 프레임만 남는 단계(S 120); 및 환원제를 수용액에 넣어주어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S 130)를 포함한다.
S 110 단계에서는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준비한다. 이 단계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2014년 6월에 공개한 논문 "Site-specific growth of a Pt Shell on Au nanoplates: tailoring their surface plasmonic behavior"(Nanoscale, 2014, 6. 7339)에서 공개되어 있으며, 해당 논문은 본 출원의 신규성 상실의 예외 주장 자료로 주장되었다. S 110 단계에서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해당 논문의 개시 내용에 따라 준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합성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에서 디스크 형태의 Au 나노디스크를 준비하고 그 둘레를 따라 Pt를 성장시켜 Au 나노 디스크에 Pt 쉘이 성장된 나노 디스크를 일 실시예로 보여주고 있다. S 110 단계는 도 2에서 Au 나노 디스크에 Pt 쉘이 성장된 나노 디스크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S 120 단계에서는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되어 백금 프레임만 남게 된다. 이는 도 2에서 Etching 과정의 모습으로써 도 2의 모식도에서 보는 것처럼 Au 나노 디크스에서 가운데의 Au가 모두 에칭이 되어 Pt 나노프레임만 남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금을 에칭하기 위해서는 에칭 용액이 필요한데, 이 경우 금 3가 이온(Au3+)을 제공할 수 있는 에칭 용액이 필요하다. 이러한 금 3가 이온은 산화력이 매우 강하고, 따라서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에서 중앙의 금 성분을 에칭시킬 수 있다.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HAuCl4·nH2O 또는 HAuCl4 용액이 이용된다. HAuCl4·nH2O는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AuCl3의 용액 상태의 존재 형태이다.
한편, 이러한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에칭 용액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S 130 단계에서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에서 금 전구체로도 이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S 130 단계에서는 환원제를 수용액에 넣어주어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된다. 이는 도 2에서 Regrowth 단계의 모습으로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들이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이온 상태의 금 이온을 환원시키기 위해 환원제가 이용되며, 도 2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환원제로 아스코르브산 수용액(ascrobic acid)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에 따르면,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최종적인 구조물로서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있고 백금 프레임의 표면을 금 나노 입자가 덮고 있는 구조물이 얻어진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고리 형태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리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다각형, 원형이 가능하고, 또한 3차원 형태도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6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는 금 구조체의 둘레, 모서리 및 꼭지점을 따라서 백금이 성장되어 있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S 110 단계에서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백금은 금 구조체의 둘레, 모서리 및 꼭지점을 따라서 성장된다.
따라서 S 120 단계에서 금을 에칭하면 백금의 프레임만 남고, 이후 다시 S 130 단계에서 금을 재성장 시키면 본 발명의 구조물이 얻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고로 하여 다시 설명하면, A 단계에서는 금 구조체가 준비되고, B 단계에서 금 구조체의 꼭지점 및 모서리를 따라서 백금이 성장되어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가 준비된다. 이후 에칭에 의해 C 단계에서 처럼 백금 프레임만 남게 되고, 재성장 단계에 의해 D 단계에서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나노 입자가 재성장되어 최종적인 구조물이 얻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3차원 형태의 금 구조물의 단계별 사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은, 금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 플레이트의 둘레, 모서리 및 꼭지점을 따라 백금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되어 백금 프레임만 남는 단계; 환원제를 수용액에 넣어주어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도 8에서 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각 단계는 S 710 내지 S 740 단계에 해당된다. 도 8의 내용에서 S 720 단계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금 플레이트 표면에 은 1가 이온과 환원제를 이용해 얇게 은을 쌓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과정을 거쳐야만 S 720 단계에서 백금이 금 플레이트의 둘레/모서리/꼭지점을 따라서 성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은 바이오 센서용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바이오 센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는, 원형, 다각형 또는 3차원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백금 프레임; 및 백금 프레임의 표면을 덮고 있는 금 입자를 포함한다. 이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내부에 위치한 Pt 프레임과 이러한 프레임을 금 입자가 덮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3-6과 함께 이하의 실시예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Pt 프레임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는 과정을 통해 내부의 금을 모두 에칭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이러한 에칭인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에 의해 수행된다.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HAuCl4·nH2O 또는 HAuCl4 용액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은 도 2-6에서 보는 것처럼 구조물의 내부(구조물 자체의 내부가 아닌 구조물이 이루는 형태의 내부 공간을 의미)에 빈 공간을 가짐으로써 구조물의 표면적이 증가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빛과 상호 작용이 가능하고 따라서 바이오 센서로 이용시 깨끗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내부에 백금 프레임이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금 나노 입자가 응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금 나노 입자의 형태가 유지 되므로 신뢰도 있는 바이오 센서의 측정로의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이 화학적/바이오 센서로 이용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은 화학물질에 대한 센싱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이오 센서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에 의한 화학적 센싱의 민감도를 보여주는 데이터이다. 도 7을 살펴보면, A의 경우 용매의 굴절률(1.33-1.48)을 변화시킴에 따라 금 나노링 구조의 흡수 스펙트럼의 장파장으로의 이동을 보이고 있다. B의 경우 앞선 스펙트럼에서 굴절률에 대한 피크 위치의 변화를 다시 도시한 것으로 본 나노입자의 화학적 센싱이 민감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 실시예
실험은 모든 과정이 수용액상 반응을 통해 만들어 졌으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을 활용하여 반응정도를 판별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2014년 6월에 공개한 논문 "Site-specific growth of a Pt Shell on Au nanoplates: tailoring their surface plasmonic behavior"(Nanoscale, 2014, 6. 7339)을 토대로 합성하여 디스크 형태의 Au 나노 디스크에 그 둘레를 따라 Pt를 성장시켜 증류수 5ml에 분산된 Au 나노 디스크에 Pt 쉘이 성장된 나노 디스크를 준비하였다.
이후 금속 나노입자 안정제로 0.05M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 수용액 2ml에 에칭 및 금 전구체로 2 mM HAuCl4 수용액 100μl를 첨가하였고, 이 수용액에 위에서 준비된 증류수 5ml에 분산된 Au 나노디스크에 Pt 쉘이 성장된 나노 디스크를 300μl 첨가한 후 50℃의 온도에서 30분간 에칭을 하였다.
에칭이 종료된 이후 상기 반응 용액의 온도가 상온으로 떨어진 이후 5.3 mM 아스코르브산 250μl를 첨가하여 재성장 과정을 거쳤으며, 약 4시간 이후 재성장 과정이 종결되었다.
이용된 시약 정보는 다음과 같다.
Hydrogen tetrachloroaurate(III) hydrate (HAuCl4·nH2O, 99%, Kojima), L-ascorbic acid (C6H8O6, 99.5%, Sigma Aldrich), 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C19H42BrN, 95%, Fluka), 증류수 (18.2 ㏁, Milli-Q)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의 단계별 사진이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A 단계에서 Au 나노 디스크에 Pt 쉘이 성장된 나노 디스크를 준비하였고, B 단계에서는 금을 에칭하였으며, C 단계에서 재성장을 시켜 최종 구조물을 얻었다. C 단계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고리 형태의 구조물이 얻어졌으며, E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러한 구조물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F는 구조물의 확대 사진이며, G에서 보는 것처럼 백금 프레임에 금 입자들이 그 표면을 덮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에 대한 UV-vis 흡수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다. A는 에칭 과정에서의 UV-vis 흡수 스펙트럼 모습으로써 금이 에칭됨에 의해 금에 대한 피크가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는 재성장 과정의 UV-vis 흡수 스펙트럼 모습으로써 재성장에 의해 금 나노 입자가 백금 프레임 표면에 재성장되므로 금에 대한 피크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 방법은 수용액상 반응을 통해 합성되므로 에칭 수용액(HAuCl4 수용액)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수월하게 금 구조물의 두께를 조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에칭 용액의 양을 증가시켜 Au3+ 이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금 구조물의 두께를 제어한 모습이다. 도 5의 경우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리 형태의 실시예의 구조물을 만든 것이다. 도 5의 경우 a는 원형, b는 삼각형, c는 다각형의 모습으로 제작한 것이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에칭 용액의 양을 증가시킨 것이고, 이에 의해 최종적인 금 구조물의 두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는 에칭 용액이 또한 금속 전구체로도 이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금 구조물의 두께의 조절이 에칭 용액의 양의 조절을 통해 매우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두께 조절을 통해 광학 스펙트럼의 피크 위치 역시 조절할 수 있었다. 또한, 금으로 표면이 이루어져 있어 금과 부착이 잘 되는 것으로 알려진 싸이올을 활용하면 바이오물질을 부착하는 등의 표면개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구조물은 표면이 금으로 이루어져 광학적 활성을 갖는 동시에 내부에 백금 골격을 가지고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광학적 활성으로 인해 표면 플라즈몬 공명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비등방성으로 인한 면외 모드와 면내 모드를 뚜렷이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일반적으로 비등방성 나노입자의 경우 부피 대비 표면적이 커서 전자기장과 보다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내부공간이 열려 있어 나노링의 안쪽 표면에서도 화학적인 개질이 가능하고 더불어 내부공간에서 전자기장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입자의 표면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표면개질을 통해 바이오물질을 부착하여 바이오센싱 재료로서 응용이 가능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되어 백금 프레임만 남는 단계; 및
    환원제를 수용액에 넣어주어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에 의해 상기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HAuCl4·nH2O 또는 HAuCl4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에서 금 전구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 구조체는 3차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는, 상기 금 구조체의 둘레, 모서리 및 꼭지점을 따라서 백금이 성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7. 금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 구조체의 둘레, 모서리 및 꼭지점을 따라 백금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되어 백금 프레임만 남는 단계; 및
    환원제를 수용액에 넣어주어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에 금 입자가 환원되어 재성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8. 3차원 형태의 백금 프레임; 및
    상기 백금 프레임의 표면을 덮고 있는 금 입자를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 프레임은, 백금이 둘레에 성장된 금 구조체를 수용액 상에서 에칭하여 내부의 금이 모두 에칭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은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 3가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은 HAuCl4·nH2O 또는 HAuCl4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센서.
KR1020140103246A 2014-08-11 2014-08-11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KR10153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246A KR101532881B1 (ko) 2014-08-11 2014-08-11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246A KR101532881B1 (ko) 2014-08-11 2014-08-11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881B1 true KR101532881B1 (ko) 2015-06-30

Family

ID=5352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246A KR101532881B1 (ko) 2014-08-11 2014-08-11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8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09B1 (ko) * 2020-01-28 2021-06-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단일 또는 이중 프레임 나노 입자 합성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일 또는 이중 프레임 나노 입자
KR102497161B1 (ko) * 2021-09-06 2023-02-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나노입자의 합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면증강 라만산란 분석방법
KR20230082715A (ko) * 2021-12-01 2023-06-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중 또는 사중 나노링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44068A1 (ko) * 2022-06-17 2023-12-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중 프레임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058A (ko) * 2007-01-22 2008-07-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할로겐 이온을 이용한 다양한 결정형의 금 나노입자의합성방법
JP2011042863A (ja) * 2009-08-19 2011-03-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金属シードを用いた金属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金属シードを含む金属ナノ粒子
KR20130106043A (ko) * 2012-03-19 2013-09-27 한국과학기술원 금 나노입자의 성장 유도물질의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058A (ko) * 2007-01-22 2008-07-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할로겐 이온을 이용한 다양한 결정형의 금 나노입자의합성방법
JP2011042863A (ja) * 2009-08-19 2011-03-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金属シードを用いた金属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金属シードを含む金属ナノ粒子
KR20130106043A (ko) * 2012-03-19 2013-09-27 한국과학기술원 금 나노입자의 성장 유도물질의 검출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13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09B1 (ko) * 2020-01-28 2021-06-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단일 또는 이중 프레임 나노 입자 합성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일 또는 이중 프레임 나노 입자
US11796476B2 (en) 2020-01-28 2023-10-24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ingle or double frame nanoparticle synthesis method, and single or double frame nanoparticle produced thereby
KR102497161B1 (ko) * 2021-09-06 2023-02-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나노입자의 합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면증강 라만산란 분석방법
KR20230082715A (ko) * 2021-12-01 2023-06-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중 또는 사중 나노링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8030B1 (ko) 2021-12-01 2024-01-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중 또는 사중 나노링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44068A1 (ko) * 2022-06-17 2023-12-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중 프레임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iseau et al. Silver-based plasmonic nanoparticles for and their use in biosensing
Chen et al. Anisotropic growth of silver nanoparticles is kinetically controlled by polyvinylpyrrolidone binding
Lee et al. Ultrasmooth, highly spherical monocrystalline gold particles for precision plasmonics
Zhou et al. Facile synthesis of silver nanocubes with sharp corners and edges in an aqueous solution
KR102260209B1 (ko) 단일 또는 이중 프레임 나노 입자 합성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일 또는 이중 프레임 나노 입자
Khlebtsov et al. Au@ Ag core/shell cuboids and dumbbells: Optical properties and SERS response
Venditti Gold nanoparticles in photonic crystals applications: A review
García-Santamaría et al. Synthetic opals based on silica-coated gold nanoparticles
KR101532881B1 (ko)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 합성 방법 및 백금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한 금 구조물을 포함한 화학적/바이오 센서
Fernanda Cardinal et al. Modulation of localized surface plasmons and SERS response in gold dumbbells through silver coating
Takahata et al. Gold ultrathin nanorods with controlled aspect ratios and surface modifications: formation mechanism and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Xie et al. Seedless, surfactantless, high-yield synthesis of branched gold nanocrystals in HEPES buffer solution
Cumberland et al. Analysis of the nature of oxyanion adsorption on gold nanomaterial surfaces
Vigderman et al. Starfruit-shaped gold nanorods and nanowires: synthesis and SERS characterization
Zhang et al. Synthesis of silver nanostructures by multistep methods
Stine Biosensor applications of electrodeposited nanostructures
Chow et al. Colloidal gold nanorings and their plasmon coupling with gold nanospheres
Martinsson et al. Optimizing the refractive index sensitivity of plasmonically coupled gold nanoparticles
Jia et al. Synthesis of highly branched gold nanodendrites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and tunable NIR and SERS using a multiamine surfactant
Tripathy et al. Time-dependent control of hole-opening degree of porous ZnO hollow microspheres
Liu et al. Polyoxometalate-assisted galvanic replacement synthesis of silver hierarchical dendritic structures
Aguirre et al. CTAB mediated reshaping of metallodielectric nanoparticles
SS dos Santos et al. Advances in plasmonic sensing at the NIR—A review
Wu et al. Trisodium citrate-assisted biosynthesis of silver nanoflowers by Canarium album foliar broths as a platform for SERS detection
Montaño-Priede et al. Estimating near electric field of polyhedral gold nanoparticles for plasmon-enhanced spectroscop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