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692B1 -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692B1
KR101531692B1 KR1020140102510A KR20140102510A KR101531692B1 KR 101531692 B1 KR101531692 B1 KR 101531692B1 KR 1020140102510 A KR1020140102510 A KR 1020140102510A KR 20140102510 A KR20140102510 A KR 20140102510A KR 101531692 B1 KR101531692 B1 KR 10153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bridge
water
was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숙
안태환
Original Assignee
강형숙
안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숙, 안태환 filed Critical 강형숙
Priority to KR102014010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전체를 해체하여 수평배수관 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적은 비용으로 청소할 수 있고, 겨울철 결빙기에도 수평배수관 내 퇴적물의 결빙으로 인해 배수관이 막히지 않으며, 고드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는 교량상판과;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의 하단부 외주면에 용접으로 일체로 오물받이가 3% 이상의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물받이의 상부는 경첩을 매개로 커버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오물받이통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오물받이로 수평배수관의 제일 낮은 하부에서 토사가 낙수와 함께 유도되도록 수평배수관의 경사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가이드판이 오물받이의 선단부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의해 빗물이 오물받이를 통과하여 비중이 큰 토사가 오물받이통에 걸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시공방법은 교량상판과;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의 하단부 외주면에 용접으로 일체로 오물받이가 3% 이상의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하고, 상기 오물받이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물받이의 상부는 경첩을 매개로 커버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오물받이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오물받이통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오물받이로 수평배수관의 제일 낮은 하부에서 토사가 낙수와 함께 유도되도록 수평배수관의 경사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가이드판을 오물받이의 선단부 하단부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판에 의해 빗물이 오물받이를 통과하여 비중이 큰 토사가 오물받이통에 걸러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waste boar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drain}
본 발명은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집수구로부터 유입되는 토사 등의 이물질이 교량 하부의 수평배수관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물받이 겸용 곡관을 설치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배수관이 막히지 않으며, 수직배수관 아래에 수평배수관에서 역고드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배수시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B)의 상판(100) 좌, 우측에 배수로(101)를 교량(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우기 시 교량(B)의 상판(100)에 내리는 강우 등을 유도한 후, 상기 배수로(101)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설된 집수구(102)를 통하여 집수되고, 상기 집수구(102)에 집수된 강우 등을 집수구(102)의 하부에 연통된 다수의 직관과 곡관의 배수관(103, 104)을 통하여 지상이나 하천으로 배수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 교량(B)의 상판(100)에 강우가 상판(100) 좌, 우측으로 유도되어 배수로(101) 상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수로(101)에 유입된 강우는 배수로(102)에 소정간격으로 배설된 집수구(102)로 유입 집수되어 직관 또는 곡관으로 배수되는 배수시설을 통하여 교량(B) 상판(100)의 강우를 지상이나 하천으로 배출하여 교량(B)의 노면에 강우가 고이지 않게 하여 운행하는 차량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때 상기 집수구(102) 내에는 강우는 물론 노면에 있는 모래, 종이, 나뭇잎, 비닐 등의 오물(W)도 같이 배수시설로 유입된다.
또한, 직관, 또는 곡관으로 구성되는 배수관(103)은 통상 교각(40)의 설계를 고려하여 완만한 경사로 배치되어 있어, 직관 또는 곡관 상의 배수관(103, 104) 내부에서 정체현상이 나타나고, 이러한 정체현상으로 인하여 오물(W)이 퇴적되면서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배수관(103, 104)의 내부 용적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우기 시 강우의 유동성의 저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오물(W)의 퇴적으로 인하여 심한 경우에는 직관 또는 곡관 상의 배수관(103, 104)이 오물로 막혀 우천시 특히 폭우가 잦은 우기 시 강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교량 상판 노면의 강우를 효과적으로 배수, 제거할 수 없어 교량 상판의 노면이 침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통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며, 이러한 직관 또는 곡관 상의 배수관 (103, 104)의 막힘에 의하여 강우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고 교량 상판의 노면으로 침수되는 경우에는 막대한 인력과 장비를 소모하면서 일일이 막힌 배수시설을 해체하여 오물(W)을 제거하고, 청소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어, 교량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결점이 있어,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교통장애는 물론 사고의 위험성도 더욱 가중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교량 배수시설의 집수구 하부의 강우가 흐르는 수직 배수관상에 오물받이통을 삽입하여 배치하여 오물(W)을 걸러주는 것도 등장하였으나, 이는 강우와 오물이 흐르는 방향 수직배수관 내의 공간에서 직접 오물(W)을 걸러주는 형태로 설치하고, 걸러주는 오물(W)의 한계가 있어 오히려 걸려진 오물(W)에 의하여 빈번히 쉽게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강우의 배수를 흐름을 막아 교량 상판의 노면이 침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시로 이를 점검, 보수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실용성에 많은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20-0345926(2004.03.13.)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에 배치되는 배수관 설비의 절곡부위에 결합되는 유출부(12)의 후측부에 점검부(13)를 연설하고, 유입부(11) 하부에는 오물수납부(14)를 연설한 다음, 이들의 개방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체(15, 16)를 착탈 가능하게 각각 결합 구성하는 "+"자형 곡관오물배출구(10)와; 배수설비의 직관(103)과 직관(103) 사이에 결합되고 하부에 오물수납부(21)를 연설하고, 이의 개방단에 개폐 가능한 커버체(22)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T" 형 직관오물배출구(20)를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는 "+"자형 또는 "T" 자형의 오물배출관의 하방 오물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분리형이어서 이들의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고, 오물제거시 개폐구가 일시에 전부 개방됨에 따라 막힌 오물이 일시에 외부에 쏟아져 나오므로 오물배출 및 제거작업에 많은 불편이 있으며, 이는 단순히 배수시설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단순히 배출시키는 구조로 오물의 퇴적상태를 점검 및 확인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20-0409378((2006.02.14.)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배치되는 배수설비에 있어서, 상측 수직배수관과 수평배수관 사의의 절곡부에 결합되는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배수설비의 수평배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T" 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수평배수관과 상향 또는 하향수직배수관 사이에 연설되는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10)와 "T" 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에는 오물점검용 투시부(17, 52, 67)와 오물수납부(14, 43, 63)를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는 일반적인 기술로 보일러 배관 등 상온이상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결빙기가 있는 기후조건에서는 교량 등에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동절기에 강설이 교량 상판에 햇빛에 의해 녹아 교량의 집수구로 물이 인입되어 수직관으로 낙수되고, 낙수되는 수평관에 오물받이로 떨어지는 낙수가 오물받이에 고인 물이 결빙되어 고드름 현상으로 수평배수관 및 수직배수관을 막으므로 이로 인하여 교량슬래브 상판이 결빙되어 자동차 사고의 원인 문제가 있다.
특히, 철도승강장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승강장이 빙판이 되어 승객의 안전에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상기 오물받이가 하부에서 고무패킹과 볼트체결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집적소 내에 물이 결빙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고무패킹이 노화하거나 볼트 풀림이 발생하여 물이 누수되어 겨울에는 오물받이 아래에 고드름이 발생되며, 교차되는 도로에서 고드름이 떨어질 때에 사고위험요인을 제공하고, 인도에 떨어질 경우에는 사람에게 상해를 줄 수가 있다.
특히, 배수관은 교량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햇볕이 들지 않고 교량상판 보다 기운이 항상 내려가 있어 배수관의 결빙현상은 일시적으로 해결이 안 되므로 인해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도 9a∼9d는 종래의 교량 배수시설의 오물받이의 결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물받이는 겨울철에 오물받이에 고인 물이 결빙되어 결빙시 물의 부피팽창으로 위로 볼록하게 결빙한다.
이어서, 집수구로 인입되어 떨어지는 낙수에 의해 결빙된 오물받이 위로 고드름과 역고드름이 발생된다.
이어서, 오물받이 위로 발생된 역고드름에 막혀 수직배수관을 타고 흘러 내린 물이 고여 수평배수관에 결빙이 발생된다.
이어서, 점차 교량 상판의 눈이 녹아 집수구 내부로 인입되면서 배수관 전체에 결빙현상 발생으로 결빙시 물의 부피팽창으로 인해 고무패드 사이로 누수되어 오물받이 하부에 고드름이 발생하여 고드름 낙하에 의해서 교량 하부의 교통사고 및 위험요소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345926(2004.03.13.) 등록실용신안 20-0409378((2006.02.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수관 전체를 해체하여 수평배수관 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적은 비용으로 청소할 수 있고, 겨울철 결빙기에도 수평배수관 내 퇴적물의 결빙으로 인해 배수관이 막히지 않으며, 수직배수관 아래에 수평배수관에서 역고드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는 교량상판과;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의 하단부 외주면에 용접으로 일체로 오물받이가 3% 이상의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물받이의 상부는 경첩을 매개로 커버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오물받이통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오물받이로 수평배수관의 제일 낮은 하부에서 토사가 낙수와 함께 유도되도록 수평배수관의 경사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가이드판이 오물받이의 선단부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의해 빗물이 오물받이를 통과하여 비중이 큰 토사가 오물받이통에 걸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시공방법은 교량상판과;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의 하단부 외주면에 용접으로 일체로 오물받이가 3% 이상의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하고, 상기 오물받이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물받이의 상부는 경첩을 매개로 커버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오물받이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오물받이통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오물받이로 수평배수관의 제일 낮은 하부에서 토사가 낙수와 함께 유도되도록 수평배수관의 경사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가이드판을 오물받이의 선단부 하단부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판에 의해 빗물이 오물받이를 통과하여 비중이 큰 토사가 오물받이통에 걸러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동절기인 경우 종래의 오물받이에 있는 물이 결빙되어 수직배수관 아래에 있는 수평배수관에 역고드름이 발생되어 수직배수관 및 수평배수관에 얼음으로 막혀 교량 상부에 있는 눈이 녹은 물이 배수가 되지 못하므로 교량 상부가 빙판이 형성되므로 교통 안전을 유지하기 어렵고, 본래의 배수관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평배수관 내에 퇴적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교량 배수시설의 유지보수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수직배수관의 하단부 외주면에 오물받이가 용접 설치되므로 겨울철 물의 결빙시에 팽창압력을 견딜 수 있고, 고무패킹의 노화 등으로 인한 누수로 인한 고드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수평배수관에 퇴적된 토사를 오물받이에 있는 오물받이통을 통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 배수시설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의 오물 퇴적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의 오물 제거 및 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a∼9d는 종래의 교량 배수시설의 오물받이의 결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의 오물받이통을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도 15의 B-B선 단면도,
도 17a∼17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의 청소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 18a∼18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의 결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의 오물받이통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A)는 교량상판(10)과; 상기 교량상판(10)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20)와; 상기 집수구(2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30)과; 상기 수직배수관(30)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4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30)의 하단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오물받이(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물받이(100)의 선단부 하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판(11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A)는 오물받이(100)와 가이드판(11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오물받이(100)는 수직배수관(30)의 하단부 외주면에 용접으로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100)로 수평배수관(40)의 제일 낮은 하부에서 토사가 낙수와 함께 유도되도록 수평배수관(40)의 경사도 보다 작은 각도의 가이드판(110)이 오물받이(100)의 선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물받이(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물받이(100)의 상부는 경첩(120)에 의해서 커버(130)가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10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오물받이통(140)이 설치되며, 상기 오물받이(100)의 선단부에는 가이드판(11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110)에 의해 빗물이 오물받이(100)를 통과함으로써 비중이 큰 토사가 오물받이통(140)에 걸려지도록 한다.
상기한 오물받이(100) 내에 오물받이통(140)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오물받이(100)를 청소할 때에 이물질, 토사 등이 담긴 오물받이통(140)을 오물받이(100)로부터 분리시켜 한 번에 청소를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시공방법은 교량상판(10)과; 상기 교량상판(10)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20)와; 상기 집수구(2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30)과; 상기 수직배수관(30)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4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30)의 하단부 외주면에 오물받이(10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오물받이(100)의 선단부 하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판(110)을 고정 설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시공방법은 종래의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수직배수관(30)의 하단부 외주면에 내부에 오물받이통(140)이 구비되고, 경첩(120)에 의해 커버(130)가 구비된 오물받이(100)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오물받이(100)의 선단부에 하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판(110)을 고정 설치한다.
한편, 도 17a∼17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의 청소상태를 도시한 공정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A)를 청소할 때는 먼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볼트를 풀러, 커버(130)에 부착된 손잡이(150)를 들어올려 커버(130)를 연 다음 오물받이(100) 내에 위치된 오물받이통(140)을 들어내어 상기 오물받이통(140)에 침적된 오물을 제거한 후, 상기 오물받이통(140)을 오물받이(100) 내에 위치시킨 후, 커버(130)를 덮고 아이볼트를 고정하는 순서로 오물받이통(140)에 집적된 오물을 처리한다.
도 18a∼18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의 결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A)의 결빙은 오물받이(100) 내의 물로 인해 결빙이 이루어지고, 오물받이(100)의 측면 낙수부분에 고드름이 형성되나, 수평배수관(40) 하부에는 역고드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수평배수관(40) 하부에는 결빙된 물이 없기 때문에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역고드름이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은 교량에 설치되는 수평배수관(40)은 3% 이상의 하향구배를 갖고 설치됨으로써 3% 이내의 경사면을 갖고 수직배수관(30) 하단부에 외주면에 설치된 오물받이(100)는 물이 결빙되어도 수직배수관(30)의 낙수와 함께 떨어지므로 낙수에 의한 역고드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토사는 낙수와 함께 비중이 물보다 크므로 오물받이(100)의 오물받이통(140)에 걸려지고, 비중이 낮은 오물은 물과 함께 흘러가면서 다음 청소용 오물받이(100)의 가이드판(110)을 따라 오물받이(100)를 통과하면서 오물받이통(140)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겨울철 물의 결빙시에 팽창압력을 견딜 수 있고, 고무패킹의 노화 등으로 인한 누수로 인한 고드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수평배수관에 퇴적된 토사를 오물받이(100)의 오물받이통(140)을 통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 교량상판 20: 집수구
30: 수직배수관 40: 수평배수관
100: 오물받이 105: 아이볼트
110: 가이드판 120: 경첩
130: 커버 140: 오물받이통
145: 손잡이 150: 손잡이
A: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Claims (6)

  1. 교량상판(10)과; 상기 교량상판(10)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20)와; 상기 집수구(2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30)과; 상기 수직배수관(30)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4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30)의 하단부 외주면에 용접으로 일체로 오물받이(100)가 3% 이상의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물받이(100)의 상부는 경첩(120)을 매개로 커버(13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오물받이(10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오물받이통(14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오물받이(100)로 수평배수관(40)의 제일 낮은 하부에서 토사가 낙수와 함께 유도되도록 수평배수관(40)의 경사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가이드판(110)이 오물받이(100)의 선단부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110)에 의해 빗물이 오물받이(100)를 통과하여 비중이 큰 토사가 오물받이통(140)에 걸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2. 삭제
  3. 삭제
  4. 교량상판(10)과; 상기 교량상판(10)에 고정 설치되는 집수구(20)와; 상기 집수구(2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수관(30)과; 상기 수직배수관(30)으로부터 일정한 구배를 갖고 배치되는 수평배수관(4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30)의 하단부 외주면에 용접으로 일체로 오물받이(100)가 3% 이상의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하고, 상기 오물받이(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물받이(100)의 상부는 경첩(120)을 매개로 커버(130)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오물받이(10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오물받이통(14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오물받이(100)로 수평배수관(40)의 제일 낮은 하부에서 토사가 낙수와 함께 유도되도록 수평배수관(40)의 경사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가이드판(110)을 오물받이(100)의 선단부 하단부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판(110)에 의해 빗물이 오물받이(100)를 통과하여 비중이 큰 토사가 오물받이통(140)에 걸러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배수용 오물받이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40102510A 2014-08-08 2014-08-08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3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0A KR101531692B1 (ko) 2014-08-08 2014-08-08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0A KR101531692B1 (ko) 2014-08-08 2014-08-08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692B1 true KR101531692B1 (ko) 2015-06-26

Family

ID=535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10A KR101531692B1 (ko) 2014-08-08 2014-08-08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6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435A (zh) * 2017-07-19 2017-10-20 深圳市中科智诚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疏通管道堵塞且具有防水功能的桥梁
CN109137732A (zh) * 2018-06-08 2019-01-04 中交隧道工程局有限公司 一种防电挂槽柔性排水装置
KR102180455B1 (ko) 2020-04-29 2020-11-18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집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배수 구조
KR102639928B1 (ko) 2023-05-30 2024-02-27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배수로의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교량 배수관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379Y1 (ko) * 2006-05-17 2006-07-26 삼우기연 주식회사 청소용 도어를 가진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0683123B1 (ko) * 2006-10-09 2007-02-16 김원주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KR101187656B1 (ko) * 2011-09-29 2012-10-04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KR20130092113A (ko) * 2012-02-10 2013-08-20 김창영 점검램프를 이용한 교량 배수시설의 오물감지 및 배수촉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379Y1 (ko) * 2006-05-17 2006-07-26 삼우기연 주식회사 청소용 도어를 가진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0683123B1 (ko) * 2006-10-09 2007-02-16 김원주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KR101187656B1 (ko) * 2011-09-29 2012-10-04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KR20130092113A (ko) * 2012-02-10 2013-08-20 김창영 점검램프를 이용한 교량 배수시설의 오물감지 및 배수촉진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435A (zh) * 2017-07-19 2017-10-20 深圳市中科智诚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疏通管道堵塞且具有防水功能的桥梁
CN107268435B (zh) * 2017-07-19 2019-04-19 深圳市中科智诚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疏通管道堵塞且具有防水功能的桥梁
CN109137732A (zh) * 2018-06-08 2019-01-04 中交隧道工程局有限公司 一种防电挂槽柔性排水装置
KR102180455B1 (ko) 2020-04-29 2020-11-18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집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배수 구조
KR102639928B1 (ko) 2023-05-30 2024-02-27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배수로의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교량 배수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CA2711427C (en) Rainwater collection and redistribution system
KR100977173B1 (ko)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KR101531692B1 (ko)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CN208121937U (zh) 一种雨水箅子及滤水收水井
CN207538151U (zh) 下凹式绿地及用于下凹式绿地的井盖
KR200409378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JP4936955B2 (ja) 雨水一時貯留槽
US20060096186A1 (en) Building drainage system
KR20060008252A (ko)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101932145B1 (ko) 단위면적당 강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장치
CN107514045A (zh) 下凹式绿地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CN210031499U (zh) 一种桥梁排水***
JP201018519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0647994B1 (ko) 빗물 저장장치
KR102249356B1 (ko)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KR101974535B1 (ko)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초기빗물 배제장치
KR102093866B1 (ko)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CN207348188U (zh) 一种市政用排水装置
CN105668658B (zh) 餐厨废弃物分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