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910B1 -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 Google Patents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910B1
KR101525910B1 KR1020120062630A KR20120062630A KR101525910B1 KR 101525910 B1 KR101525910 B1 KR 101525910B1 KR 1020120062630 A KR1020120062630 A KR 1020120062630A KR 20120062630 A KR20120062630 A KR 20120062630A KR 101525910 B1 KR101525910 B1 KR 10152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ris
regeneration
combustion heat
storage tank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9002A (en
Inventor
김미구
Original Assignee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910B1/en
Publication of KR2013013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는 재생실;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폐원료가 열분해 되는 재생로;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기관; 재생로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재생로 타측에 구비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시키는 잔해물 배출부; 재생로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열분해 된 폐원료를 잔해물 배출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스크루; 열분해가스 배기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잔해물 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잔해물이 1차 저장되는 제1잔해물 저장탱크; 제1잔해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잔해물을 냉각하기 위한 제1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fuel thermal cracking oil recovery device having a debris cooling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ed raw material pyrolysis oil regenerator, comprising: a regeneration chamber into which combustion heat flows from a combustion heat input port; A regeneration furnace installed in the regeneration chamber and pyrolyzing the supplied waste raw material; A pyrolysis gas exhaust pipe formed along the top of the regeneration furnace; A waste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regeneration furnace to supply the waste material into the regeneration furnace; A debris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 to discharge combusted debris; A first conveyance screw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regeneration furnace to transport pyrolyzed waste material to the debris discharge portion side;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to condense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into a liquid state; A first debris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debris discharge unit and storing the debris primarily; And a first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debris stored i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Description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having a debris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서 폐연료가 열분해된 후 남는 슬러지 형태의 고온 잔해물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여 배출되는 잔해물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fuel thermal cracking oil recovery device having a debris cooling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oling a sludge-like high-temperature debris remaining after pyrolysis of a waste fuel in a waste fuel cracking oil regenerating apparatus, and a device for cooling waste fuels having a debris cool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ignition of discharged debris Oil regenerat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아울러 많은 양의 폐원료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폐원료를 무산소(또는 저산소) 분위기에서 간접열을 가하여 열분해하여 발생되는 열분해가스를 응축시켜 기름을 생성하기 위해 열분해유 재생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in addition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y, a large amount of waste material is discharged. In order to generate oil by condensing the pyrolysis gas generated by indirect heat application of such waste raw material in an oxygen-free (or hypoxic) atmosphere, Reproducing apparatus is used.

이와 같은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통상, 연소실과 연결되어 연소열이 유입되는 재생실,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폐원료 공급수단에 의해 내부로 폐원료가 공급되고 공급된 폐원료가 연소열에 의해 열분해 되어 열분해 가스를 발생시키는 재생로,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시키는 폐원료 공급수단, 재생로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연소된 폐원료의 잔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폐원료 배출수단, 재생로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재생로 내부에서 발생한 열분해가스를 배출시키는 열분해 가스 배기관 그리고 열분해 가스 배기관을 통해 토출된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기름으로 회수시키는 응축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재생실과 재생로는 통상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으로 된 드럼형태로 구성되게 된다. Such a recycled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ing apparatus is usually provided in a recycling chamber connected to a combustion chamber and into which a combustion heat is introduced, and a recycle chamber provided inside the reclaiming chamber. The waste raw material is supplied to the inside by the waste raw material supplying means, A regeneration furnace for generating a pyrolysis gas, a waste material feed means for feeding a waste material into the regeneration furnace, a waste material discharging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generation furnace for discharging the residue of the burned waste material, A pyrolysis gas exhaust pipe installed in the regeneration furnace to discharge pyrolysis gas generated inside the regeneration furnace, and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pyrolysis gas discharged through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and recovering the pyrolysis gas as oil. Further, the regenerating chamber and the regenerating furnace are generally formed in a drum shape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이러한 통상의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폐원료 공급수단에 의해 재생로로 폐원료가 투입되게 되면 재생로 내에서 폐연료가 흡열반응을 일으키면서 열분해가 진행되면서 열분해 되지 않은 폐원료는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로 하부에 축적되게 되고, 열분해된 가스는 열분해 가스 배기관을 따라 응축기로 유입되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열분해유가 생성되게 된다. When the waste feedstock is fed to the regeneration furnace by the waste feedstock supply means, the waste fuel in the regeneration furnace causes an endothermic reaction and pyrolysis proceeds, so that the waste raw material that is not pyrolyzed is a sludge- And the pyrolyzed gas flows into the condenser along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and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to generate pyrolysis oil.

그러나 종래에 이러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경우 폐원료가 열분해된 후 남은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은 고온에 해당하여 원하지 않게 발화될 수 있고, 잔해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변형되거나 폭발할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러지형태의 고온 잔해물의 냉각이 가능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가 요구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ing apparatus, the sludge-like debris remaining after pyrolysis of the waste raw material may be ignite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storage tank storing the debris may be deformed or exploded do. Therefore, a waste raw material pyrolysis oil regenerating device capable of cooling the sludge type high temperature debri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잔해물 배출수단과 연결된 잔해물 저장탱크에 냉각장치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저장된 고온의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을 냉각하게 됨으로써 잔해물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하게 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ling device is installed in a debris storage tank connected to debris discharge means of a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or, And a debris cool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ebris from being ignited by cooling debris in the form of debris.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배출부를 포함하여, 응축된 열분해유를 포집하는 기름포집탱크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연결관, 응축기의 변형을 방지하고 폭발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il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pyrolysis oil can be adjusted, including the gas discharge port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onden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device.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은,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는 재생실;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폐원료가 열분해 되는 재생로; 재생로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열분해가스 배기관; 재생로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재생로 타측에 구비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시키는 잔해물 배출부; 재생로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열분해 된 폐원료를 잔해물 배출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스크루; 열분해가스 배기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잔해물 배출부에 연결되어 잔해물이 1차 저장되는 제1잔해물 저장탱크; 제1잔해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해물을 냉각하기 위한 제1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raw material pyrolysis oil re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regeneration chamber into which combustion heat flows from a combustion heat input port; A regeneration furnace provided inside the regeneration chamber for pyrolyzing the supplied waste raw material; A pyrolysis gas exhaust pip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 A waste material supply mean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 to supply the waste material into the regeneration furnace; A debris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 to discharge combusted debris; A first conveyance screw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regeneration furnace to transport pyrolyzed waste material to the debris discharge portion side;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to condense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into a liquid state; A first debris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debris discharge unit and storing debris primarily; And a first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debris stored i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The apparatus for recovering waste thermal cracking oil according to claim 1,

제1잔해물 저장탱크와 제2잔해물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된 이송관; 이송관에 구비되어 제1잔해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잔해물을 제2잔해물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스크루; 및 이송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잔해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2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transfer pipe provided betwee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and the second debris storage tank; A second conveyance screw provided in the conveyance pipe for conveying the debris stored i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to the second debris storage tank; And a second cooling mean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veyance pipe for cooling the debris being conveyed.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제1냉각수단은 제1잔해물 저장탱크 외측에 설치되는 제1워터재킷으로 구성되며, 제1워터재킷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means includes a first water jacket provided outside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and a first pump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first water jacke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in which cooling water is stored, .

제2냉각수단은 이송관 외측에 설치되는 제2워터재킷으로 구성되며, 제2워터재킷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second cooling means comprises a second water jacket provided outside the transfer pipe and a second pump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second water jacket.

제2워터재킷의 길이는 6 ~ 7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water jacket is 6 to 7 m.

응축기에 구비된 기름포집탱크의 내부에 잔재된 열분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니 위한 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a gas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pyrolysis gas remaining in the oil collecting tank provided in the condenser to the outside.

재생로의 내측에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해 배관 설치되는 다수의 연소열 순환관; 및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소열 중 일부는 연소열 순환관을 통해 순환되게 우도하고, 나머지 연소열은 재생실 내부로 순환되게 유도하기 위해 연소열 투입구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연소열 유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mbustion heat circulation tubes piped to circulate combustion heat inside the regeneration furnace; And a combustion heat induction pip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eat input port for inducing circulation of the remaining combustion heat through the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and circulating the remaining combustion heat to the inside of the recycle chamber, can do.

재생실과 재생로는 각각 상부와 하부로 분리 구획된 상태에서 그 양측에 볼트체결을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하 방향에서 상호 조립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generation chamber and the regeneration chamb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flanges for bolt fastening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generation chamber and the regeneration chamber so that the regeneration chamber and the regeneration chamber are assembled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재생로의 측단면 형태는 상하 대칭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재생로의 하부에는 측단면이 호 형태인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generating furnace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late having a vertically symmetrical polygonal shape and a lower side of the regenerating furnace having a side sectional shape of arc shape.

공급된 폐열료가 절단되거나 흩어지게 하기 위해 재생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커팅 로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a cutting rotary having at least one in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 to cut or disperse the supplied waste heat.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잔해물 배출수단과 연결된 잔해물 저장탱크에 냉각장치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저장된 고온의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을 냉각하게 됨으로써 잔해물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debris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debris discharge means of the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ion device, thereby cooling the debris of the stored high temperature sludge type, Can be prevent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배출부를 포함하여, 응축된 열분해유를 포집하는 기름포집탱크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연결관, 응축기의 변형을 방지하고 폭발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il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pyrolysis oil, including the gas discharging part, can be adjust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pipe and the condenser, .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냉각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열 순환관과 연소열 유도관 측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5의 C-C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와 가스배출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fuel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debris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waste fuel thermal cracking oil recovery apparatus having a debris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bris cool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and a combustion heat induction pipe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nd a gas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waste fuel thermal cracking oil recovery device 100 having a debris cooling device will be describ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fuel thermal cracking oil recovery apparatus 100 having a debris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waste fuel thermal cracking oil recovery apparatus 100 having a debris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100)는 슬러지 형태의 고온 잔해물 배출수단(5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수단을 갖는 구성 및 그 사상 자체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재생장치(100)의 구성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되고, 이러한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100)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or more cooling means connected to the sludge type high temperature debris discharge means 50 and has its technical fea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gener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s. 1 and 2 and Fig. 3, and any waste raw material pyrolysis oil regenerator 100 in which such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intac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100)는 연소열 투입구(11)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는 재생실(10a, 10b), 그리고 재생실(10a, 10b)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 되는 재생로(20a, 20b), 재생로(20a, 20b)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재생로(20a, 20b) 내부로 폐원료를 투입시키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30), 재생로(20a, 20b)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재생로(20a, 20b) 내부에서 폐원료가 열분해 된 열분해 가스가 배출되는 열분해가스 배기관(21), 재생로(20a, 20b)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폐원료가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50) 및 열분해가스 배개관과 연결되어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and 2, a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gene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into which combustion heat is introduced from a combustion heat input port 11,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installed inside the regenerating furnaces 10a and 10b to pyrolyze the charged waste raw materials and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to supply waste materials into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A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for discharging the pyrolysis gas pyrolyzed from waste raw materials in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5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pyrolysis gas supply pipes (20a, 20b) for discharging the debris from which the waste material is burnt, and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pyrolysis gas discharge pipe to condense the pyrolysis gas into a liquid state .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실(10a, 10b)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로(20a, 20b)와 재생실(10a, 10b)은 상부와 하부로 구획된 상태에서 그 양측에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하 조립을 통해 밀폐된 드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와 하부의 재생실(10a, 10b)은 외부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 구조로 형성하면서 그 사이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1 to 4, the regeneration chambers 20a and 20b and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are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in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for bolt fastening may b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n a state where the bolts are fasten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reconditioning chambers 10a and 10b are preferably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heat loss to the outside, and the reconditioning chambers 10a and 10b are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rebetwe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재생실(10a)의 상단 전방에서 후방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분해가스 배기관(21)을 관통 설치하기 위한 결합구를 형성하고, 그 후단에 근접한 일 지점에는 순환된 연소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연소열 배출구(13)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 재생실(10a)의 전단과 후단에는 후술하는 커팅 로터리(23)를 축 결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pper regeneration chamber 10a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regeneration chamber 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regeneration chamber 10a. And a combustion heat discharge port 13 for discharging circulated combustion heat is formed at a point near the rear end. I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regeneration chamber 10a, a hole for axially coupling the cutting rotary 23 described later is 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열분해 가스 배기관(21)과 폐원료 공급수단(30)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되고, 폐원료 공급수단(30)과 열분해 가스 배기관(21)이 서로 분리되어 재생로(20a, 20b)에 설치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4개의 열분해 가스 배기관(21)과 4개의 폐원료 공급수단(30)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 및 개수에 한정하여 권리범위를 해석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and the waste material supply mean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pyrolysis gas exhaust pipes 21 and four waste raw material supply means 30 are provided. However,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such configuration and number.

또한,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재생실(10b)의 전단 일측에는 버너로부터 발생한 연소열을 공급하기 위한 연소열 투입구(11)를 형성하고, 연소열 투입구(11)의 내측 단부에는 유입되는 연소열을 후술하는 재생로(20a, 20b)의 전단으로 안내하여 일부는 연소열 순환관(22)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재생실(10a, 10b) 내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12)을 결합하게 된다. 1, 2, and 3, a combustion heat input port 11 for supplying combustion heat generated from the burn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regeneration chamber 10b, and an inner side of the combustion heat input port 11 And the other end is discharged into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to circulate the combustion heat, while the combustion heat is guided to the front end of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circulated to the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22, The induction tube 12 is coupled.

또한, 하부 재생실(10b)의 전단과 후단에는 후술하는 제1이송 스크루(24)를 축 결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이송스크루(24)는 하단에 잔재되는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을 잔해물 배출수단(5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재생로(20a, 20b) 하단면 상부측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재생실(10b)의 전단에는 사람이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를 형성하고, 출입구(1)는 비 사용시 볼트 체결을 통해 닫아놓기 위한 게폐판(2)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regeneration chamber 10b are formed with holes for axially coupling the first feed screw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nveying screw 24 is configured to move the sludge-like debris remaining at the lower end to the debris discharging means 50, and is installed at the upper side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generating passages 20a and 20b. 1 and 2, an entrance 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regeneration chamber 10b so that a person can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lower regeneration chamber 10b, and the entrance 1 is closed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waste plate 2 for releasing.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로(20a, 20b)는 상부와 하부로 구획된 상태에서 그 양측에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하 조립을 통해 밀폐된 드럼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부 재생로(20a)의 상단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에 체결구를 관통 형성한 상태에서 그 각각의 체결구 상단에 열분해가스 배기관(21)을 밀착시켜 볼트로 체결 고정한다. As shown in FIG. 3, the regenerating furnaces 20a and 20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flanges for bolt fastening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generating furnaces 20a and 20b,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drum. In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regenerating furnace 20a is tight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astening openings by tightly fitting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with bolts while the fastening opening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generating furnace 20a.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원료 공급수단(30)은 열분해가스 배기관(21)의 측면으로 연통된 상태에서 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되는 폐원료를 재생로(20a, 20b)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폐원료 공급수단(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열분해가스 배기관(21)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된 수평관과 수평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호퍼로 부터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수직관으로 형성한다. The waste raw material supplying means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waste raw materials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80 in the state of communicating with the side of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generation ropes 20a, .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waste material supply means 30 includes a horizontal pipe communicated horizontally with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and a vertical pip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ipe to supply the waste material from the hopper It is formed by a vertical tube.

이때, 수평관의 끝단에는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여 유입된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기관(21)으로 밀어 넣기 위한 푸셔(32)를 형성하는데, 이때 푸셔(32)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진 작동시 수직관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방지판(33)을 형성한다. 이때, 수평관에는 푸셔(32)의 유입 방지판(33)이 끼워진 상태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기밀이 향상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ipe, a pusher 32 for pushing the waste raw material, which has flow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31, into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is formed. At this time, An inflow prevention plate 33 is formed which extends to the rear so as to block the loss of the pyrolysis gas while blocking inflow of the waste raw material from the vertical pipe during the forward opera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tube so as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and improve airtightness in a state where the inflow prevention plate 33 of the pusher 32 is fit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100)는 재생로(20a, 20b) 하단부에 별도의 바닥판(25)이 설치되어 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바닥판(25)의 상부측으로 제1이송스크루(24)가 설치되게 되어 폐원료가 제1이송스크루(24)를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되고 잔해물이 이러한 제1이송스크루(24)를 따라 잔해물 배출수단(50)으로 배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waste thermal cracking oil recovery device 100 having the debris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ottom plate 25 at the lower end of the recovery furnaces 20a and 20b. The first conveying screw 24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25 so that the waste material is burned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onveying screw 24 and the debris is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ing screw 24 And is discharged to the debris discharging means (5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냉각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잔해물 냉각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해물 배출수단(50) 내의 배출 스크루(51)에 의해 이송되는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은 제1잔해물 저장탱크(40)로 이동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잔해물 저장탱크(40)의 외부면에는 제1냉각수단(60)가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제1냉각수단(60)는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제1워터재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G. 5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bris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is debris cooling device is capable of moving the debris in the form of sludge conveyed by the discharge screw 51 in the debris discharging means 50 to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40. The first cooling means 6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oling means 60 may be constituted by a first water jacket in a specific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워터재킷은 제1잔해물 저장탱크(40)의 외면을 감싸는 냉각수 파이프와 냉각수 파이프로 구성되고, 제1워터재킷은 냉각수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제1펌프에 의해 제1워터재킷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수냉식으로 제1잔해물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고온의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을 냉각하게 된다. 또한, 제1펌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과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5, the first water jacket is composed of a cooling water pipe and a cooling water pi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40, and the first water jacke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nd is connected by a first pump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water jacket to cool the high temperature sludge type debris stored i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by the water cooling method. In addition, the first pump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flow rate and supply rate of the supplied cooling water.

또한, 제1잔해물 저장탱크(40)와 제2잔해물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이송관(6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이송관(61)의 내부에는 제2이송스크루(63)가 구비되어 제2이송스크루(63)의 회전에 의해 제1잔해물 저장탱크(40) 내에 저장된 잔해물을 제2잔해물 저장탱크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송관(61)의 외측에는 제2냉각수단(62)이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transfer tube 61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pipe 61 connecting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40 and the second debris storage tank. A second transfer screw 63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pipe 61 The debris stored i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40)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debris storage tank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feed screw (63). 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cooling means 62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transfer pipe 61.

그리고, 이러한 제2냉각수단(62)은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제2워터재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워터재킷은 이송관(61)의 외면을 감싸는 냉각수 파이프와 냉각수 파이프로 구성되고, 제2워터재킷은 냉각수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제2펌프에 의해 제2워터재킷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수냉식으로 이송관(61)을 따라 이송되는 고온의 슬러지 형태의 잔해물을 냉각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워터재킷은 5 ~ 7m정도의 길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펌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과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And, the second cooling means 62 may be constituted by a second water jacket in the specific embodiment. 5, the second water jacket is composed of a cooling water pipe and a cooling water pi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pipe 61, and the second water jacke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jacket to cool the high-temperature sludge-shaped debris conveyed along the conveyance pipe 61 in a water-cooled man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ater jacket has a length of about 5 to 7 m. In addition, the flow rate and the supply speed of the cooling water to be supplie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econd pump.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열 순환관(22)과 연소열 유도관(12) 측의 확대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C-C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열의 순환 경로와 폐원료의 연소후 잔해물을 배출경로,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열분해가스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의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 및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제시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6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22 and the combustion heat induction pipe 12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Hereinafter, a circulation path of combustion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path of debris after combustion of waste materials, and a condenser for condensing pyrolysis gas generated by pyrolysis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constitutions and functions described below are merely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재생로(20a)의 내부에는 전단과 후단을 관통하는 커팅 로터리(23)를 3 지점에 축 설치하여 열분해가스 배기관(21)을 통해 유입되는 폐원료를 절단하거나 흩뿌리도록 한다. 도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재생로(20b)의 내부에는 외부의 연소열을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직선 형태의 연소열 순환관(22)을 횡 방향으로 등 간격에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부 재생로(20b)의 하측에는 전단과 후단을 관통하는 제1이송스크루(24)를 축 설치하여 재생로(20a, 20b) 내부로 유입된 후 열분해된 폐원료를 후술하는 잔해물 배출수단(50)으로 이송한다.6, in the upper regenerating furnace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ting rotary 23 passing throug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s installed at three points to form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To cut or scatter the incoming raw material. As shown in Fig. 6 and Fig. 7, in the lower regenerating furnace 20b, a linear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22 for circulating the external heat of combustion to the inside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 A first conveying screw 24 passing throug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regenerating passage 20b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egenerating passage 20b and flows into the regenerating passages 20a and 20b. (50).

또한, 상부와 하부로 구획된 재생실(10a, 10b)과 재생로(20a, 20b)는 각각 대칭되는 반구 또는 사다리꼴 형태의 다각형으로 구성하는데,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결합시 전체적으로 6각형 드럼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하부 재생로(20b)가 사다리꼴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바닥면에는 제1이송 스크루(24)를 통해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호형의 바닥판(25)을 더 구성한다.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and the regenerating paths 20a and 20b, which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re each composed of a symmetric polygonal shape having a hemispherical or trapezoidal shap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It is most preferred to have a square drum shape. Particularly, when the lower regenerating path 20b is formed as a trapezoidal polygon, the arc-shaped bottom plate 25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so as to discharge smoothly through the first conveying screw 24.

그리고, 커팅 로터리(23)와 제1이송 스크루(24)는 재생실(10a, 10b)의 후단에 노출된 각 회전축에 스프라켓을 결합한 상태에서 모터(미도시)의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재생실(10a, 10b) 주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한편, 폐원료 공급수단(30)의 각 일측에는 호퍼를 통해 폐원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80)를 설치한다. 또한, 연소열에 의해 재생실(10a, 10b)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수 순환구조를 갖는데 이와 같이 냉각수 순환구조에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더 구성할 수 있다.The cutting rotary 23 and the first conveying screw 24 are connected to sprockets of a motor (not shown) by chains in a state where the sprockets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rotary shafts exposed at the rear ends of the reconditioning chambers 10a and 10b, . As shown in Fig. 1, a passage is formed around the reclamation chambers 10a and 10b so that a person can move. On the other hand, a waste material is continuously supplied to one side of the waste material supply means 30 through a hopper A conveyor 80 is installed. 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the heat of combustion, a separate cooling water circulation structure is provided. In this way, a water tank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structure can be further construc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배출수단(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로(20a, 20b)의 후단 측 하부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재생실(10a, 10b)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잔해물 배출수단(50)의 내부에는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배출 스크루(51)를 설치하는데, 배출 스크루(51)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모터를 통해 회전되도록 한다.5, the debris discharging means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in a state of being communicated from one point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regeneration paths 20a and 20b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 discharge screw 51 is installed in the debris discharging means 50 in a closely adhered state. The discharge screw 51 is rotated through a mot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잔해물 배출수단(50)에 있어서 배출 스크루(51)는 내부 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한 상태에서 잔해물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의 잔여물이 외부 공기와 급하게 접촉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debris discharging means 50, the discharging screw 51 gradually discharges the debris in a state where 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thereby preventing the hot residue from making a sudde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and causing a fire .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연소열 투입구(11)와 연결된 연소열 유도관(12)이 구비되어 일부의 연소열은 재생로(20a, 20b) 내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치된 다수의 연소열 순환관(22)으로 보내져 재생로(20a, 20b) 내부를 가열하게 되고, 나머지는 재생실(10a, 10b)로 유입되어 재생실(10a, 10b)을 가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재생로(20a, 20b)는 내부와 외부에 동시에 연소열을 공급시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생로(20a, 20b) 내부에 설치된 연소열 순환관(22)과 재생실(10a, 10b) 각각으로 유입된 연소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열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게 됨을 알 수 있다. 6 and 7,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heat induction pipe 12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eat input port 11 is provided, and a part of the combustion hea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from the front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are heated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and the remainder flowing into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 Accordingly,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can supply combustion heat to the inside and outside at the same tim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The combustion heat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22 and the regeneration chambers 10a and 10b provided in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heat exhaust port 13 as shown in FIG. Able to know.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와 가스배출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는 재생로(20a, 20b) 상단의 각 열분해가스 배기관(21)에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열분해가스를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한다. 즉, 응축기는 통상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기체 상태의 열분해가스를 액체 상태로 물성을 변화시키게 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nd a gas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cool the pyrolysis gas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yrolysis gas exhaust pipes 21 at the upper ends of the regeneration furnaces 20a and 20b to extract the pyrolysis oil. That is, the condenser usually circulates the cooling water to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aseous pyrolysis gas into a liquid stat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분해 가스가 응축되어 생성된 기름(열분해유)은 기름포집탱크(70)에서 포집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열분해가스 배기관(21)에서 배출되는 열분해가스에 의해 열분해가스 배기관(21)과 기름포집탱크(70)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열분해가스 배기관(21) 및 기름포집탱크(70)가 변형되거나 폭발하게 되는 위험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는 기름포집탱크(70)의 상부 일측에 가스배출부를 구비하여 내부 압력(이러한 내부압력은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가스 배출부를 작동시켜 가스배출부를 개방하여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oil (pyrolysis oil) produced by condensing the pyrolysis gas is collected in the oil collecting tank 70. However, due to the pyrolysis gas discharged from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the pressure inside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and the oil collection tank 70 becomes high, and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21 and the oil collection tank 70 are deformed or exploded The risk of becoming Accordingly, 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 discharge por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il collecting tank 70,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gas discharge unit to open the gas discharge unit to discharge the gas to the outside.

1:출입구
2:게폐판
10a:상부 재생실
10b:하부 재생실
11:연소열 투입구
12:연소열 유도관
13:연소열 배출구
20a:상부 재생로
20b:하부 재생로
21:열분해가스 배기관
22:연소열 순환관
23:커팅 로터리
24:제1이송 스크루
25:바닥판
30:폐원료 공급수단
31:실린더
32:푸셔
33:유입방지판
40:제1잔해물 저장탱크
50:잔해물 배출수단
51:배출스크루
60:제1냉각수단
61:이송관
62:제2냉각수단
63:제2이송스크루
70:기름포집탱크
71:가스배출부
80:컨베이어
100: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1: Entrance and exit
2: Crab closure plate
10a: upper regeneration chamber
10b: Lower regeneration chamber
11: Combustion heat input port
12: Combustion heat induction pipe
13: Combustion heat outlet
20a: upper regeneration furnace
20b:
21: Pyrolysis gas exhaust pipe
22: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23: Cutting rotary
24: 1st feed screw
25: bottom plate
30: waste material feeding means
31: Cylinder
32: pusher
33: Inflow prevention plate
40: First debris storage tank
50: Debris discharge means
51: Discharge screw
60: first cooling means
61: conveying pipe
62: second cooling means
63: 2nd feed screw
70: Oil collecting tank
71: gas discharge portion
80: Conveyor
100: Waste fuel pyrolysis oil regenerating device having a debris cooling device

Claims (10)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는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폐원료가 열분해 되는 재생로;
상기 재생로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열분해가스 배기관;
상기 열분해가스 배기관의 측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시키는 잔해물 배출부;
상기 재생로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열분해 된 폐원료를 잔해물 배출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스크루;
상기 열분해가스 배기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상기 잔해물 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잔해물이 1차 저장되는 제1잔해물 저장탱크;
상기 제1잔해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잔해물을 냉각하기 위한 제1냉각수단;
상기 제1잔해물 저장탱크와 제2잔해물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잔해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잔해물을 상기 제2잔해물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스크루;
상기 이송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잔해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2냉각수단;
상기 응축기에 구비된 기름포집탱크의 내부에 잔재된 열분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니 위한 가스배출부;
상기 재생로의 내측에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해 배관 설치되는 다수의 연소열 순환관;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소열 중 일부는 상기 연소열 순환관을 통해 순환되게 우도하고, 나머지 연소열은 재생실 내부로 순환되게 유도하기 위해 상기 연소열 투입구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연소열 유도관;
상기 재생로의 측단면 형태는 상하 대칭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재생로의 하부에는 측단면이 호 형태인 바닥판;
공급된 폐연료가 절단되거나 흩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재생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커팅 로터리; 및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냉각수단은 상기 제1잔해물 저장탱크 외측에 설치되는 제1워터재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워터재킷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냉각수단은 상기 이송관 외측에 설치되는 제2워터재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워터재킷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워터재킷의 길이는 6 ~ 7m이며,
상기 재생실과 상기 재생로는 각각 상부와 하부로 분리 구획된 상태에서 그 양측에 볼트체결을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하 방향에서 상호 조립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In the waste raw material pyrolysis oil regenerating apparatus,
A regeneration chamber into which combustion heat flows from the combustion heat input port;
A regeneration furnace provided in the regeneration chamber for pyrolyzing the supplied waste raw material;
A pyrolysis gas exhaust pip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generation furnace;
A waste raw material supply mean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to supply waste raw material into the regeneration furnace;
A debris discharge unit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regeneration line to discharge combusted debris;
A first conveying screw provid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regeneration furnace to convey the pyrolyzed waste material to the debris discharging part side;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pyrolysis gas exhaust pipe to condense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into a liquid state;
A first debris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debris discharge unit and storing the debris primarily;
First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debris stored i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A transfer pipe provided betwee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and the second debris storage tank;
A second conveyance screw provided on the conveyance pipe for conveying the debris stored in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to the second debris storage tank;
A second cooling mean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nveyance pipe for cooling the debris being conveyed;
A gas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yrolysis gas remaining in the oil collecting tank provided in the condenser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combustion heat circulation tube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 so as to circulate the heat of combustion;
A combustion heat induction pip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eat input port to guide some of the combustion heat introduced through the combustion heat input port to circulate through the combustion heat circulation pipe and circulate the remaining combustion heat to the inside of the recycle chamber;
Wherein the side wall of the regeneration furnace has a vertically symmetrical polygonal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generating furnace has a side wall having an arc shape;
A cutting rotary having at least one inside of the regeneration furnace for cutting or scattering the supplied waste fuel; And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in which cooling water is stored,
Wherein the first cooling means comprises a first water jacket provided outside the first debris storage tank and a first pump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first water jacket,
The second cooling means includes a second water jacket provided outside the conveyance pipe and a second pump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second water jacket,
The length of the second water jacket is 6 to 7 m,
Wherein the regeneration chamber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flanges for bolt fastening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generation chamber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so as to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62630A 2012-06-12 2012-06-12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KR101525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630A KR101525910B1 (en) 2012-06-12 2012-06-12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630A KR101525910B1 (en) 2012-06-12 2012-06-12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02A KR20130139002A (en) 2013-12-20
KR101525910B1 true KR101525910B1 (en) 2015-06-10

Family

ID=4998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630A KR101525910B1 (en) 2012-06-12 2012-06-12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9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139B1 (en) * 2019-08-07 2021-02-05 조상태 Sludge Discharge Device by Pyrolysis
KR102437281B1 (en) * 2022-02-18 2022-08-29 (주)에코크레이션 Waste plastic coke treatmen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43A (en) * 1995-07-01 1997-01-14 Nippon Furnace Kogyo Kaisha Ltd Decomposition vessel of waste plastic liquefaction apparatus
JP2007154201A (en) * 2006-12-12 2007-06-21 Yuji Obara Decomposition treatment method and decomposition treatment apparatus for waste plastic material
KR20090051542A (en) * 2007-11-19 2009-05-22 김영호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using waste material
KR20090102161A (en) * 2008-03-25 2009-09-30 김영호 Playback device with the structure of the rotor horizontal direction waste plasrics pyrolysis o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43A (en) * 1995-07-01 1997-01-14 Nippon Furnace Kogyo Kaisha Ltd Decomposition vessel of waste plastic liquefaction apparatus
JP2007154201A (en) * 2006-12-12 2007-06-21 Yuji Obara Decomposition treatment method and decomposition treatment apparatus for waste plastic material
KR20090051542A (en) * 2007-11-19 2009-05-22 김영호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using waste material
KR20090102161A (en) * 2008-03-25 2009-09-30 김영호 Playback device with the structure of the rotor horizontal direction waste plasrics pyrolysis o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139B1 (en) * 2019-08-07 2021-02-05 조상태 Sludge Discharge Device by Pyrolysis
KR102437281B1 (en) * 2022-02-18 2022-08-29 (주)에코크레이션 Waste plastic coke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02A (en)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25934A (en) Energy recovery system using pyrolysis
US8834682B2 (en) Coal materi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combined screw-type bins
US20050240068A1 (en) Dephlegmatic phased method of organic waste utilization and dephlegmatic pyrolysis apparatus
CN103589441B (en) Improved energy-saving continuous gasification cracking furnace
CN110578923A (en) Cracking equipment
BR112017012697B1 (en) METHOD OF TRIGGERING IGNITION IN AN OVEN BY BURNING FUEL AND OVEN
KR101525910B1 (en)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CN102827619A (en) Integrated gas retort
WO2013147543A1 (en) Integrated combustion boiler apparatus for pyrolyzing and gasifying solid fuel products
US7942666B2 (en) Apparatus for burning organic substances
US8057735B2 (en) Center backfire inner heat regenerative energy saving high efficiency furnace and tank integration reduction furnace system
WO2014173054A1 (en) Dry distillation and quenching system and process for lignite powder
CN211040976U (en) Cracking equipment
KR100956654B1 (en)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using waste material
CN1249809A (en) Reactor
CN201883062U (en) Easy-discharging tank-type formed coke carbonizing furnace
KR20110100110A (en) Solid fuel boiler for perfect combustion
KR101489382B1 (en)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taper shape using waste material
KR101424631B1 (en)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movableblocking wall using waste material
KR20130004322A (en) A lateral transfer system
BR11201807662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REUSABLE FUEL, METHOD FOR CLEANING CARBONIZED CARBONIZED FROM VAPORS IN A REA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FUEL
KR101223372B1 (en) Water tube boiler
KR101113110B1 (en) Moving disk type tube reactor having tandem hot gas generator
CN213739292U (en) Gas full-circulation gas retort
CN220926673U (en) Fatlute pyrolysi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