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98B1 -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98B1
KR101518098B1 KR1020117015614A KR20117015614A KR101518098B1 KR 101518098 B1 KR101518098 B1 KR 101518098B1 KR 1020117015614 A KR1020117015614 A KR 1020117015614A KR 20117015614 A KR20117015614 A KR 20117015614A KR 101518098 B1 KR101518098 B1 KR 10151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ide
side band
base material
band bas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787A (ko
Inventor
요시카즈 오가사와라
노리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15F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43Subsequent to assembly
    • Y10T156/1049Folding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4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of continuous or running length bonded we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등측띠 및 배측띠의 베이스가 되는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에 말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착용시에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지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띠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띠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의 각각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연속하는 등측띠 기재와, 연속하는 배측띠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반송 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기 등측띠 기재에 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기 배측띠 기재에 접합하는 것과,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접어서 포개어,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것과,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는 것과, 가접합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하여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편과 상기 배측띠 기재편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착용시에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지는 흡수성 본체와, 착용시에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띠와, 착용시에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띠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의 각각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은 이미 알려져 있다. 흡수성 물품의 구성에 관해, 그 일례를 설명하면,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착용시에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지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띠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띠를 갖는 것이 있다. 또,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도 있다.
상기 구성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라인에서는, 모두 연속하는 등측띠 기재와 배측띠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상기 반송 방향이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기 등측띠 기재에 접합하고,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기 배측띠 기재에 접합하는 공정이 행해진다. 상기 공정에 의해, 흡수성 본체 기재는, 등측띠 기재와 배측띠 기재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그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예를 들어, 도 5 참조).
또, 상기 제조 라인에서는, 흡수성 본체 기재를 등측띠 기재 및 배측띠 기재에 접합한 후,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접어서 포개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이 행해진다. 서로 겹치게 한 등측띠 기재 및 배측띠 기재는, 그 후,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 의해 절단되고, 이에 따라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이 형성된다. 형성된 각 띠기재편과, 상기 각 띠기재편에 접합된 흡수성 본체 기재는, 계속해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8-253633호 공보를 참조).
그런데, 띠기재 및 띠기재편에는, 최종적으로 전술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은, 띠기재 및 띠기재편의, 흡수성 본체 기재와 겹치고 있는 부분과 비교하여, 두께가 얇고 강성이 부족한 부분이다. 이 때문에, 띠기재편을 흡수성 본체 기재와 함께 반송할 때, 상기 띠기재편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이 말리기 쉬워진다. 이러한 말림이 발생하면, 흡수성 물품의 제조상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등측띠 및 배측띠의 베이스가 되는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에 말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한 본 발명은,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착용시에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지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띠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띠
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 각각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연속하는 등측띠 기재와, 연속하는 배측띠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반송 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기 등측띠 기재에 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기 배측띠 기재에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접어서 포개어,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과,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는 공정과,
가접합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하여,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편과 상기 배측띠 기재편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고,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편과 상기 배측띠 기재편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에서는,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접합되고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반송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 중 하나 이상의 띠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띠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실고무를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 중 하나 이상의 띠기재에,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실고무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띠기재에 상기 실고무가 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며,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상기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단속적으로 가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등측띠의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고, 착용시에 상기 등측띠와 상기 배측띠를 연결시키는 연결편을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등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연결편 기재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등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배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사이에 상기 연결편 기재가 끼워지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고,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상기 연결편 기재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측띠 및 배측띠의 베이스가 되는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에 말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낸 도면이다(제1 도).
도 1b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낸 도면이다(제2 도).
도 2a는, 착용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낸 도면이다(제1 도).
도 2b는, 착용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낸 도면이다(제2 도).
도 3a는, 도 1a 중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1a 중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도 1a 중의 C-C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연속체(1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반송중인 띠기재(20a, 30a), 및 띠기재(20a, 30a)의 사이에 걸쳐진 흡수성 본체 기재(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연속체(1a)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변천도이다(제1 도).
도 6b는, 연속체(1a)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변천도이다(제2 도).
도 6c는, 연속체(1a)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변천도이다(제3 도).
도 6d는, 연속체(1a)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변천도이다(제4 도).
도 6e는, 연속체(1a)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변천도이다(제5 도).
도 7은, 띠기재편(20b, 30b)이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말려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말림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기저귀(1)의 제조 라인에서 실행되는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기저귀(1)의 제조 라인 중의 장치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띠기재(20a, 30a)를 가접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의 가접합 개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연속체(1a)가 절단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연속체편(1b)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변경예에 따른 기저귀(1)의 제조 라인의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의해, 적어도 다음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착용시에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지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띠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띠
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 각각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연속하는 등측띠 기재와, 연속하는 배측띠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반송 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기 등측띠 기재에 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기 배측띠 기재에 접합하는 것과,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접어서 포개어,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것과,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는 것과,
가접합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하여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편과 상기 배측띠 기재편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라면,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띠기재끼리를 가접합하고 나서 상기 띠기재를 절단하기 때문에, 상기 말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띠기재편과 흡수성 본체 기재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원하는 품질을 달성하는 흡수성 물품을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할 때에는,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에서 가접합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편과 상기 배측띠 기재편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때에는,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상기 반송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반송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띠기재편을 흡수성 본체 기재와 함께 반송할 때에는,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말림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조 방법이라면, 말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 중 하나 이상의 띠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띠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 중 하나 이상의 띠기재에,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탄성부 기재를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할 때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띠기재에 상기 탄성부 기재가 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고,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할 때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상기 탄성부 기재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라면, 등측띠 기재와 배측띠 기재를 적절하게 가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 기재는 실고무로 이루어지고,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할 때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상기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단속적으로 가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라면,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지는 결과, 등측띠 기재와 배측띠 기재를 보다 적절하게 가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등측띠의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고, 착용시에 상기 등측띠와 상기 배측띠를 연결시키는 연결편을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등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연결편 기재를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할 때에는, 상기 등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배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사이에 상기 연결편 기재가 끼워지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고,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할 때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상기 연결편 기재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적절하게 가접합하는 경우, 가접합 개소의 두께가 얇을수록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연결편 기재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띠기재끼리를 가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접합 개소가, 연결편 기재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진 개소가 되고, 또한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상기 가접합 개소에 해당하는 부위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도록 띠기재끼리를 가접합하면, 흡수성 물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할 때에는,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회전 롤러의 외측 둘레면에 건 상태로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가접합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고,
가접합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할 때에는,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외측 둘레면에 건 상태로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방향에서 상기 가접합 위치로부터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단부에서 절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라면, 가접합 위치 및 절단 위치가 회전 롤러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결과,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 및 절단 개소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성 물품에 관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이하, 기저귀(1))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용된다. 본 항에서는, 기저귀(1)의 구성 및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저귀(1)의 두께 방향에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측을 피부면측, 그 반대측을 이면측이라고 부른다.
<<기저귀(1)의 구성>>
우선, 기저귀(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a는, 피부면측에서 본 전개 상태의 기저귀(1)의 도면이고, 도 1b는,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착용 상태의 기저귀(1)의 도면이다. 도 3a∼도 3c는, 도 1a 중의 A-A 단면, B-B 단면 및 C-C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도 3a 및 도 3c는, 기저귀(1)의 두께 방향에서 일부를 분해한 상태로 상기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폭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고, 도 3a∼도 3c에는, 두께 방향과 폭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기저귀(1)는, 전개 상태(도 1a 참조)로부터 착용 가능하게 접힌 상태(도 2a, 도 2b 참조)로 이용된다. 기저귀(1)는, 착용시에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져 뇨 등의 체액(액체에 해당)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10)와,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띠(20)와,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띠(30)와, 등측띠(20) 및 배측띠(30)를 연결하는 연결편(40)을 포함하고 있다.
전개 상태의 기저귀(1)의 외관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에서 볼 때 대략 H형상을 이루고, 배측띠(30)와 등측띠(20)가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나열되고, 이들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가 걸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10)가 그 길이 방향 중앙 위치를 접는 위치(Pb)로 하여 반으로 접히고, 이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등측띠(20) 및 배측띠(30)가, 연결편(40)을 개재하여 환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결편(40)은, 등측으로부터 배측으로 감돌아 착용자의 복부의 옆구리 근처에서, 착탈 가능한 패스닝 테이프(41)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등측띠(20)와 배측띠(30)의 연결에 의해, 기저귀(1)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착용 형태가 된다. 착용 형태의 상태에서는, 등측띠(20), 배측띠(30) 및 연결편(40)이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덮게 되고, 몸통 둘레 개구(2) 및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3)가 형성된다(도 2a 및 도 2b 참조). 이하, 기저귀(1)의 구성 요소(흡수성 본체(10), 등측띠(20), 배측띠(30) 및 연결편(40) 등)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10)는, 직사각형의 적층 시트이며, 뇨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11)와, 흡수체(11)를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덮는 표면 시트 부재(12)와, 흡수체(11)를 표면 시트 부재(12)의 반대측에서 덮어 기저귀(1)의 외장을 겸하는 이면 시트 부재(13)를 포함하고 있다. 흡수체(11)는, 고흡수성 폴리머 등을 포함한 펄프 섬유 등의 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표면 시트 부재(12)는, 흡수체(11)보다 큰 평면 사이즈의 액투과성의 부직포이다. 이면 시트 부재(13)는, 흡수체(11)보다 큰 평면 사이즈의 액불투과성 시트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의 샘방지 시트(14)와, 부직포 등의 외장 시트(15)가 접합된 2층 구조의 시트이다. 이면 시트 부재(13)와 표면 시트 부재(12)는, 그 사이에 흡수체(11)를 끼운 상태로, 상기 흡수체(11)의 4변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에서 접합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시트 부재(12)와 흡수체(11) 사이나 이면 시트 부재(13)와 흡수체(11) 사이에, 티슈 페이퍼 등의 액투과성 시트(16)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 이면 시트 부재(13)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샘방지 시트(14)와 외장 시트(15)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실고무로 이루어진 주름 형성 부재(17)가 부착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기저귀(1)의 각 다리 둘레 개구(3)를 둘러싸는 부분에 신축성이 부여되어, 다리 둘레 주름부(4)(도 2a 및 도 2b 참조)가 형성된다. 다리 둘레 주름부(4) 대신 입체 주름부(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되어도 좋다.
등측띠(20) 및 배측띠(30)는,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로 이루어진 띠형상 부재이며, 각 띠(20, 30)가 2장 겹쳐진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각 띠(20, 30)는, 각각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10)와 교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등측띠(20)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와 교차하고, 배측띠(30)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와 교차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띠(20, 30)를 구성하는 2장이 겹쳐진 부직포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단부가 끼워져도 좋다.
등측띠(20) 및 배측띠(30)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띠(20, 30)는 두께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폭방향(환언하면, 띠(20, 30)의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가 띠(20, 30) 간에서 일치한다. 또, 도 1a,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에서 각 띠(20, 30)의 양단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1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즉,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21, 31)가, 등측띠(20) 및 배측띠(30)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또, 등측띠(20)의 피부면측의 표면에는, 폭방향 단부보다 약간 중앙쪽의 위치에 한쌍의 연결편(40)이 접착되어 있다. 연결편(40)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고, 기저귀(1)의 중앙선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한쌍 포함되어 있다. 한쌍의 연결편(40)은 각각, 기저귀(1)의 착용시에, 내측으로 접혀 포개어져 닫힌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열린다. 이 열린 상태에서 피부면측에 오는 표면의 선단에는, 패스닝 테이프(41)가 접착되어 있다. 각 연결편(40)의 고정단측의 단부(43)는, 바깥쪽으로 접혀 등측띠(20)의 돌출부(21)에 접합되어 있다. 연결편(40) 주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시트(42)가 연결편(40)과 패스닝 테이프(41)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한쌍의 연결편(40)은, 기저귀(1)의 출하 시점에서 1장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기저귀(1)의 착용시에 분단선으로서의 스티치(44)(도 1a 참조)를 따라서 분단된다.
한편, 배측띠(30)의 이면측의 표면에는, 타겟 테이프(50)가 접착되어 있다. 이 타겟 테이프(50)는, 패스닝 테이프(4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부직포이다. 또한, 등측띠(20) 및 배측띠(30) 중 하나 이상의 띠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18)를 신장 상태로 고정하여, 하나 이상의 띠에 신축성을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고무로 이루어진 탄성부가 등측띠(20)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등측띠(20)에 신축성이 부여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탄성부(18)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에서의 등측띠(2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간격마다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의 참고예>>
다음으로,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기저귀(1)는, 연속 생산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생산된다. 이 연속 생산 라인에서는, 기저귀(1)를 구성하는 각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기재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속체(1a)를 형성한다. 도 4는, 연속체(1a)를 나타낸 도면이다. 연속체(1a)는,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연속체(1a)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제품 단위로 절단하면, 최종적으로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가 완성된다. 이하, 연속체(1a)를 형성하기까지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연속체(1a)를 형성함에 있어서, 우선, 띠형상으로 연속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각 띠기재(20a, 30a)는, 각각 등측띠(20) 또는 배측띠(30)의 원반(原反)이고, 롤형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풀려, 그 연속 방향을 따라서 반송된다. 띠기재(20a, 30a)는, 서로간에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나열된 상태로 반송된다(도 5 참조).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띠기재(20a, 30a)가 반송되는 동안에,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흡수성 본체 기재(10a)가 양 띠기재(20a, 30a)의 사이에 걸쳐져 상기 양 띠기재(20a, 30a)에 접합된다. 도 5는, 반송중인 띠기재(20a, 30a), 및 띠기재(20a, 30a)의 사이에 걸쳐진 흡수성 본체 기재(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흡수성 본체 기재(10a)란, 흡수성 본체(10)의 베이스가 되는 재료이며, 기저귀(1)의 연속 생산 라인에서의 각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흡수성 본체(10)가 된다.
상기와 같이, 등측띠 기재(20a)와 배측띠 기재(30a)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길이 방향과 반송 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등측띠 기재(20a)에 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배측띠 기재(30a)에 접합한다. 접합 방법에 관해서는, 공지의 접합 방법 중, 흡수성 본체 기재(10a)와 띠기재(20a, 30a)를 접합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또, 각 띠(20, 30)를 2장이 겹쳐진 부직포로 하고,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단부를 상기 2장이 겹쳐진 부직포 사이에 끼운 구성의 기저귀(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부직포를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흡수성 본체 기재(10a)를 상기 하나의 부직포에 접합하고, 그 후, 다른 하나의 부직포를 하나의 부직포에 겹쳐서 접합하면 된다(도 6a 및 도 6c 참조).
이상에 의해, 각 띠기재(20a, 30a) 중,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장래에(기저귀(1)의 완성시에) 전술한 돌출부(21, 31)가 형성되는 부분(21a, 31a)이 형성된다. 상기 부분(21a, 31a)(이하, 돌출부 베이스부)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띠기재(20a, 30a)에서 각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양 옆구리에 형성된다. 즉, 1개의 흡수성 본체 기재(10a)당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가 2개 존재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는,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한쌍 형성된다.
그 후, 흡수성 본체 기재(10a)는, 그 길이 방향을 반송 방향과 교차시킨 상태로 각 띠기재(20a, 30a)와 함께 반송된다. 이후, 도 6a∼도 6e에 나타낸 상태를 거쳐 연속체(1a)가 형성된다. 도 6a∼도 6e는, 연속체(1a)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변천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등측띠(20) 및 배측띠(30) 중 하나 이상의 띠(20, 30)에 탄성부(18)를 형성하는 경우, 도 6a에 나타낸 상태(흡수성 본체 기재(10a)가 각 띠기재(20a, 30a)에 접합된 상태)에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 중 하나 이상의 띠기재(20a, 30a)에, 실고무로 이루어진 탄성부 기재(18a)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접합하게 된다(도 6b 참조). 탄성부 기재(18a)란, 탄성부(18)의 베이스가 되는 재료이며,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어, 최종적으로 탄성부(18)가 된다.
그 후,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측띠 기재(20a)의 피부면측의 표면에 연결편 기재(40a)가 접합된다. 연결편 기재(40a)란, 한쌍의 연결편(40)의 베이스가 되는 재료이며, 분단선으로서의 스티치(44)가 형성된 1장형의 부직포이다. 연결편 기재(40a)가 등측띠 기재(20a)에 접합될 때, 상기 연결편 기재(40a)에는 미리, 패스닝 테이프(41) 및 보강 시트(42)가 정해진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 그 양단부가 접혀 있다. 이 접음부(43a)가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에 접착됨으로써, 연결편 기재(40a)는 등측띠 기재(20a)에 접합된다.
한편,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측띠 기재(30a)의 이면측의 표면에 타겟 테이프 기재(50a)가 접합된다. 타겟 테이프 기재(50a)란, 타겟 테이프(50)의 베이스가 되는 재료이며, 정해진 길이에 절단되어, 최종적으로 타겟 테이프(50)가 된다.
그 후, 흡수성 본체 기재(10a)가 길이 방향 대략 중앙을 접는 위치(Pb)(도 6d 참조)로 하여 반으로 접음 형상으로 접혀서 포개져, 등측띠 기재(20a) 상에 배측띠 기재(30a)가 서로 겹쳐진다. 그 결과,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흡수성 본체 기재(10a)와, 서로 겹쳐진 띠기재가, 위쪽에서 볼 때 대략 T자를 이루게 된다. 띠기재(20a, 30a)끼리 서로 겹칠 때에는, 각 띠기재(20a, 3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끼리도 서로 겹쳐진다. 또,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할 때에는,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와, 배측띠 기재(30a)의 돌출부 베이스부(31a) 사이에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지도록, 상기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한다.
지금까지의 공정이 반복하여 실행되는 결과, 연속체(1a)가 형성된다. 연속체(1a)는, 흡수성 본체 기재(10a)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절단된다. 이 위치는, 띠기재(20a, 3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의 경계선(흡수성 본체 기재(10a) 사이에서 인접하는 한쌍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21a(31a, 31a))의 경계선)의 위치이다. 즉, 각 띠기재(20a, 30a)는, 반송 방향에서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의 단부에서 절단된다.
절단 공정에 의해, 연속체(1a)의 말단부(반송 방향에서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대략 제품형상의 연속체편(1b)이 형성된다. 즉, 등측띠 기재(20a)로부터는 등측띠 기재편(20b)이, 배측띠 기재(30a)로부터는 배측띠 기재편(30b)이, 탄성부 기재(18a)로부터는 탄성부 기재편(18b)이, 타겟 테이프 기재(50a)로부터는 타겟 테이프 기재편(50b)이, 각각 형성된다(도 4 참조). 각 기재편(20b, 30b, 18b, 50b)은, 각 기재(20a, 30a, 18a, 50a)를 제품 형상에 맞춰 절단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속체편(1b)은, 후단의 공정을 향해 계속해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 후, 연속체편(1b)으로부터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가 완성되고, 기저귀(1)는 최종적으로 포장되어 출하된다.
본 참고예와 같이 흡수성 본체 기재(10a)를 접어서 포개어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고 나서 절단 공정을 실시하는 이유는, 가령 각 띠기재(20a, 30a)를 절단하고 나서 띠기재편(20b, 30b)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고자 하면, 절단후의 띠기재편(20b, 30b)을 붙잡으면서 서로 겹치게 하게 되어 상기 연속체편(1b)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이 번잡해지지만, 본 참고예의 순서라면, 보다 효율적으로 연속체편(1b)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띠기재(20a, 30a)를 서로 겹치게 하고 나서 상기 띠기재(20a, 30a)를 절단하면, 양 띠기재(20a, 30a)를 한번에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용 날의 갯수나 사이즈를 최소한으로 할 수도 있다.
===띠기재편(20b, 30b)의 말림에 관해===
상기 참고예에 따른 기저귀(1)의 제조 방법에서는, 띠기재(20a, 30a)를 절단하여 띠기재편(20b, 30b)를 형성한 후에, 띠기재편(20b, 30b)을 흡수성 본체 기재(10a) 등의 다른 기재와 함께 계속해서 반송하는 공정이 행해진다. 여기서, 띠기재편(20b, 30b)의 반송 방향 단부에는,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는, 띠기재편(20b, 30b)의, 흡수성 본체 기재(10a)와 겹쳐진 부분에 비해 저강성이며, 용이하게 말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성질에 의해, 띠기재편(20b, 30b)의 반송중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기재편(20b, 30b)이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말려 버린다(소위 입구 열림 현상). 도 7은,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가 말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반송중인 연속체편(1b)을 띠기재편(20b, 30b)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띠기재편(20b, 30b)의 말림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에 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연속체편(1b)은,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반송 장치(300)에 의해 반송된다. 이 반송 장치(300)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301, 302)를 가지며, 이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띠기재편(20b, 30b)을 포함하는 연속체편(1b) 전체를 끼운 상태로 상기 연속체편(1b)을 반송한다. 여기서, 연속체편(1b)이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진입할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기재편(20b, 30b)의 반송 방향 단부(특히,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가 말려 있으면, 연속체편(1b)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들어가기 어려워져, 연속체편(1b)의 반송이 어려워진다.
또, 연속체편(1b)이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서 나올 때에는, 띠기재편(20b, 30b)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가 벨트 컨베이어(301, 302)에 끌려, 각 띠기재편(20b, 30b)이 말리기 쉬워진다.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서 나온 연속체편(1b)은, 그 후,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가 되어 포장용으로 정렬되게 되지만, 상기 말림이 남은 채로는 적절하게 기저귀(1)를 정렬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서 나온 연속체편(1b)에 대하여 정해진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말림이 남은 채로는, 상기 처리의 실시가 어려워져 버린다.
이상과 같이, 상기 말림을 기인으로 하는 문제점이,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의 품질에까지 파급되어 버리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기재편(20b, 30b)의 말림의 발생을 방지하는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다음 항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제조 라인(제조 방법)은, 도 9 중의 각 공정으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제조 라인 중의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조 라인은, 등측띠 기재(20a)와 배측띠 기재(30a)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길이 방향과 반송 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등측띠 기재(20a)에 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배측띠 기재(30a)에 접합하는 공정(S001)과,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에 연결편 기재(40a)를 접합하는 공정(S003)과, 흡수성 본체 기재(10a)를 접어서 포개어, 등측띠 기재(20a)와 배측띠 기재(30a)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S005)을 갖는다.
상기 각 공정은 전술한 순서로 반복하여 실행되고, 이에 따라,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는 연속체(1a)가 형성된다.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S005)에서는,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와, 배측띠 기재(30a)의 돌출부 베이스부(31a) 사이에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지도록, 등측띠 기재(20a)와 배측띠 기재(30a)를 서로 겹치게 한다.
또, 상기 제조 라인에서는, 등측띠(20) 및 배측띠(30) 중 하나 이상의 띠(본 실시형태에서는 등측띠(20))의, 폭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탄성부(18)가 형성되는 기저귀(1)가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제조 라인은,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 중 하나 이상의 띠기재(본 실시형태에서는 등측띠 기재(20a))에, 반송 방향을 따라서 탄성부 기재(18a)를 접합하는 공정(S002)을 갖게 된다. 이 공정에 관해서도 전술한 순서로 실행된다.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S005)에서는, 하나 이상의 띠기재(20a, 30a)에 탄성부 기재(18a)가 접합된 상태로, 등측띠 기재(20a)와 배측띠 기재(30a)를 서로 겹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조 라인은, 배측띠 기재(30a)의 이면측의 표면에 타겟 테이프 기재(50a)를 접합하는 공정(S004)을 가지며,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S005)에서는, 배측띠 기재(30a)에 타겟 테이프 기재(50a)가 접합된 상태로,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한다. 단,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고 나서, 타겟 테이프 기재(50a)를 배측띠 기재(30a)에 접합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한 후(즉, 연속체(1a)를 형성한 후), 띠기재(20a, 30a)끼리를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 가접합하고 나서, 연속체(1a)를 절단하여 연속체편(1b)을 형성한다. 그 후, 띠기재편(20b, 30b)끼리 가접합된 상태로, 연속체편(1b)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즉, 상기 제조 라인은, 서로 겹치게 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 가접합하는 공정(S006)과, 가접합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절단하여 등측띠 기재편(20b) 및 배측띠 기재편(30b)를 형성하는 공정(S007)과,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등측띠 기재편(20b)과 배측띠 기재편(30b)이 가접합된 상태로, 등측띠 기재편(20b), 배측띠 기재편(30b), 흡수성 본체 기재(10a) 등을 갖는 연속체편(1b)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S008)을 더 갖는다.
이하, 상기 공정(S001∼008) 중, 서로 겹치게 한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가접합 공정(S006),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를 절단하는 절단 공정(S007) 및 띠기재편(20b, 30b)끼리 가접합된 상태로 연속체편(1b)을 반송하는 반송 공정(S008)에 관해 설명한다.
<<가접합 공정 S006>>
본 공정은, 도 10 중의 가접합 장치(100)에 의해 실행된다. 도 10은, 기저귀(1)의 제조 라인중의 장치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접합 장치(100)는, 상하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401, 402)의 사이에 연속체(1a)를 끼워 넣고 상기 연속체(1a)를 반송하는 상류측 반송 장치(400)로부터 연속체(1a)를 수취하여, 연속체(1a)에서 서로 겹쳐 있는 띠기재(20a, 30a)를 가접합한다. 여기서, 가접합이란, 띠기재(20a, 30a)(또는 띠기재편(20b, 30b), 띠(20, 30))가 다시 분리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접합이며, 이용시에는 기능(장래에 띠(20, 30)로서 발휘되는 기능)을 손상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접합하는 것을 말한다. 가접합에 의한 접합 강도에 관해서는, 3 N/㎠∼5 N/㎠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접합 장치(10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하 한쌍의 가접합 롤러(101, 102)를 갖고 있다. 연속체(1a)는, 서로 겹쳐진 띠기재(20a, 30a)가 한쌍의 가접합 롤러(101, 102)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 동안에 가접합 장치(100)가, 띠기재(20a, 30a)끼리를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 가접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컨베이어(401, 402)의 사이에서 나온 연속체(1a)가, 가접합 롤러(101, 102)의 사이에 진입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면서, 반송 방향을 따라서 직진한다. 단, 벨트 컨베이어(401, 402)의 사이에서 나온 연속체(1a)가, 하측의 가접합 롤러(102)의 외측 둘레면에 일단 걸려, 상기 가접합 롤러(102)의 회전에 의해 가접합 롤러(101, 102)의 사이에 유도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가접합 롤러(101, 102)의 구조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측의 가접합 롤러(101)의 외측 둘레면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볼록부(103)가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각 볼록부(10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의 가접합 롤러(102)의 외측 둘레면과의 사이에서 띠기재(20a, 30a)를 끼워 넣고, 그 끼워 넣어진 부위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다. 엠보스 가공은, 서로 겹쳐진 띠기재(20a, 30a)를 가열하면서 압박함으로써 엠보스를 형성하는 처리이며, 서로 겹쳐진 띠기재(20a, 30a)는, 엠보스의 형성 개소에서 가접합되게 된다. 도 11은, 띠기재(20a, 30a)를 가접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측의 가접합 롤러(102)의 외측 둘레면에도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측의 가접합 롤러(101)의 볼록부(103)와의 협동에 의해, 띠기재(20a, 30a)를 끼워 넣고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엠보스 가공은, 띠기재(20a, 3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끼리 서로 겹쳐진 개소에 실시된다. 즉, 띠기재(20a, 30a)끼리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 가접합된다. 여기서,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및 배측띠 기재(30a)의 돌출부 베이스부(31a)는, 각각 흡수성 본체 기재(10a) 마다 2개씩 존재하지만(도 4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2개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 중 하나 이상에서 가접합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 기재(10a)에서 볼 때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직전(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 및 직후(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 중, 후자에서만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한다.
또,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의 사이에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져 있는 영역과,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져 있지 않은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당연히, 후자쪽이 전자보다 두께가 얇게(환언하면 저단위 중량) 되어 있다. 여기서, 서로 겹치게 한 띠기재(20a, 30a)끼리를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 가접합할 때, 상기 가접합 개소의 두께가 얇을수록, 효율적으로 가접합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서로 겹치게 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가접합한다. 도 12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의 가접합 개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탄성부 기재(18a)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가접합한다. 가령 가접합 개소가 탄성부 기재(18a)의 접합 개소에 도달하면, 상기 띠기재(20a, 30a)끼리 적절하게 가접합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 기재(18a)의 접합 개소를 피하여 가접합을 행하기 때문에, 띠기재(20a, 30a)끼리를 적절하게 가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스가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단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 기재(18a)를 구성하는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가접합 개소가 떨어지도록,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단속적으로(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트형으로) 가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가접합 개소를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떼어내기 쉬워지는 결과, 띠기재(20a, 30a)끼리를 보다 적절하게 가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끼리 서로 겹쳐진 부분의 단부(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서,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일정 간격마다 가접합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이후의 공정에서 가접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단,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끼리 서로 겹쳐진 부분 중, 적어도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에 가접합을 실시하면 된다.
<<절단 공정(S007)>>
본 공정은, 도 10 중의 절단 장치(200)에 의해 실행된다. 절단 장치(200)는, 가접합 장치(100)로부터 연속체(1a)를 수취하고, 전술한 절단선(도 4 참조)을 따라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연속체(1a)로부터 대략 제품형상의 연속체편(1b)이 형성된다.
절단 장치(20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하 한쌍의 절단 롤러(201, 202)를 갖고 있다. 연속체(1a)는,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가 절단 롤러(201, 202)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 동안에, 절단 장치(200)가 연속체(1a)를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한다.
절단 롤러(201, 202)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측의 절단 롤러(201)는 소위 커터 롤러이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쐐기형의 날(203)을 외측 둘레면에 포함하고 있다. 이 날(203)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의 절단 롤러(202)의 외측 둘레면과의 사이에서,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를 상기 절단선이 위치하는 개소에서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연속체(1a)가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되어 연속체편(1b)이 형성되게 된다. 도 13은, 연속체(1a)를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절단선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존재하고, 날(203)은, 하측의 절단 롤러(202)의 외측 둘레면과 함께 연속체(1a)의 각 절단선이 위치하는 개소를 끼워 넣기에 충분한 수만큼 포함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하측의 가접합 롤러(102)의 외측 둘레면에, 상기 날(203)을 받는 볼록형의 날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받침부와 날(203)이 띠기재(20a, 30a)를 끼워 넣고 연속체(1a)를 절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런데, 절단선은,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21a(31a, 31a))의 경계선에 해당하기 때문에, 연속체(1a)가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됨으로써, 인접해 있던 한쌍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21a(31a, 31a))끼리 분리된다. 그 결과, 각 띠기재(20a, 30a)가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단편형으로 재단되어, 띠기재편(20b, 30b)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 기재(10a)의 직후(반송 방향 하류측)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만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연속체(1a)를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하면, 가접합된 쪽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측에서는 가접합 상태가 유지되는 한편, 가접합되지 않은 쪽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측에서는, 띠기재편(20b, 30b)끼리 단순히 겹쳐진(접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체편(1b)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 중,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가 가접합되고, 반송 방향상류측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는 가접합되지 않은 상태로, 연속체편(1b)은 절단 롤러(201, 202)의 사이에서 나오게 된다. 도 14는, 연속체편(1b)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반송 공정(S008)>>
본 공정은, 도 10 중의 반송 장치(300)에 의해 실행된다. 반송 장치(300)는, 절단 장치(200)로부터 수시로 연속체편(1b)을 수취하여, 상기 연속체편(1b)을 정해진 반송처를 향해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또, 반송 장치(300)는, 띠기재편(20b, 30b)의 말림에 관한 항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체편(1b) 전체를 끼워 넣으면서 상기 연속체편(1b)을 반송하는 상하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301, 302)를 갖는다. 절단 롤러(201, 202)의 사이에서 나온 연속체편(1b)은,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진입하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서 나온다.
각 연속체편(1b)은,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때,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띠기재편(20b, 30b)끼리 가접합된 상태로 있다. 즉, 반송 공정(S008)은,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등측띠 기재편(20b)과 배측띠 기재편(30b)이 가접합된 상태로, 연속체편(1b) 중의 각 기재(등측띠 기재편(20b), 배측띠 기재편(30b) 및 흡수성 본체 기재(10a) 등)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체편(1b)에 포함되는 2개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 중, 반송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가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연속체편(1b) 중의 각 기재를 반송한다. 즉, 2개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 중, 먼저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진입하고 먼저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서 나오는 쪽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는, 가접합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연속체편(1b)으로부터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가 완성되어, 상기 기저귀(1)는 검품 및 포장된 후에 출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하시에 등측띠(20)와 배측띠(30)가 돌출부(21, 31)에서 가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용자는, 등측띠(20)와 배측띠(30)의 가접합 상태를 해제하여 기저귀(1)를 전개시킨 다음(도 1a에 나타낸 상태로 한 다음) 기저귀(1)를 착용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의 유효성에 관해==
이상의 기저귀(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등측띠 기재편(20b) 및 배측띠 기재편(30b)에 말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품질을 갖춘 기저귀(1)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띠기재편(20b, 30b)의 말림에 관한 항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띠기재편(20b, 30b)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돌출부(21, 31)가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는, 띠기재편(20b, 30b)의 흡수성 본체 기재(10a)와 겹치는 부분과 비교하여 저강성이어서, 말리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띠기재편(20b, 30b)끼리를 접합하지 않고 단순히 서로 겹치게 한 상태로 연속체편(1b)을 반송하면, 전술한 입구 열림 현상이 발생해 버린다(도 7 참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연속체편(1b) 전체를 끼워 넣고 상기 연속체편(1b)을 반송하는 경우, 띠기재편(20b, 30b)의 단부(특히,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가 말려 있으면, 연속체편(1b)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도 8 참조). 또, 연속체편(1b)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서 나올 때에는, 띠기재편(20b, 30b)의 단부가 벨트 컨베이어(301, 302)에 끌려 상기 단부가 말려 버리면, 이후의 공정(예를 들어, 기저귀(1)를 정렬시키는 공정, 제품의 양부를 검품하는 공정 등)에서 적절한 처리가 행해지기 어려워진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고 나서 상기 띠기재(20a, 30a)를 절단한다. 그 후,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띠기재편(20b, 30b)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띠기재편(20b, 30b) 및 흡수성 본체 기재(10a)를 포함하는 연속체편(1b)을 반송한다. 이에 따라, 연속체편(1b)을 반송하는 동안, 상기 말림의 발생을 억제하여, 연속체편(1b)을 정상적인 상태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결과, 상기 과제가 해결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서로 겹치게 한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공정(S006)에서는,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2개의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 중 하나 이상에서 가접합한다. 또,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띠기재편(20b, 30b)끼리 가접합된 상태로 연속체편(1b)을 반송하는 공정(S008)에서는, 2개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 중,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가 가접합된 상태로 연속체편(1b)을 반송한다. 연속체편(1b)을 반송할 때에는, 반송 방향 하류측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에서 말림이 보다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적어도 말림이 발생하기 쉬운 측의 단부에서 띠기재편(20b, 30b)끼리를 가접합해 두면 된다. 기저귀(1)의 착용시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가능한 한 가접합 개소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은, 등측띠(20) 및 배측띠(30) 중 하나 이상의 띠의, 폭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띠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부(18)를 갖는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이며,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 중 하나 이상의 띠기재에, 반송 방향을 따라서 탄성부 기재(18a)를 접합하는 공정(S002)을 갖는다. 또,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S005)에서는, 하나 이상의 띠기재(20a, 30a)에 탄성부 기재(18a)가 접합된 상태로, 등측띠 기재(20a)와 배측띠 기재(30a)를 서로 겹치게 한다. 또한, 서로 겹치게 한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공정(S006)에서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탄성부 기재(18a)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가접합한다. 이에 따라, 띠기재(20a, 30a)끼리를 보다 적절하게 가접합할 수 있다. 단, 적절한 가접합이 실현되는 한, 가접합 개소가 탄성부 기재(18a)의 접합 개소에 도달해도 좋다.
또한, 탄성부(18) 및 탄성부 기재(18a)가 실고무로 이루어지고, 서로 겹치게 한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공정(S006)에서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단속적으로 가접합한다. 이에 따라, 가접합 개소를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떼어내기 쉬워져, 띠기재(20a, 30a)끼리를 보다 적절하게 가접합할 수 있다. 단,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띠기재(20a, 30a)끼리를 연속적으로 가접합해도 좋다. 또, 탄성부(18) 및 탄성부 기재(18a)가 실고무 이외(예를 들어 밴드형 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은, 등측띠(20)의 돌출부(21)에 부착되고, 착용시에 등측띠(20)와 배측띠(30)를 연결시키는 연결편(40)을 갖는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이며,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에 연결편 기재(40a)를 접합하는 공정(S003)을 갖는다. 또, 띠기재(20a, 30a)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S005)에서는,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와, 배측띠 기재(30a)의 돌출부 베이스부(31a) 사이에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지도록, 등측띠 기재(20a)와 배측띠 기재(30a)를 서로 겹치게 한다. 또, 서로 겹치게 한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공정(S006)에서는,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가접합한다. 이에 따라, 띠기재(20a, 30a)끼리를 한층 더 적절하게 가접합할 수 있다.
또,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서, 연결편 기재(40a)의 접음부(43a)(도 6d 참조)가 등측띠 기재(20a)의 돌출부 베이스부(21a)에 접착된 개소에 가접합이 실시되면, 상기 개소가 딱딱해져, 기저귀(1)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닿아 빳빳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에 비해,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진 개소에 가접합을 실시하면, 상기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저귀(1)가 완성된 시점에서, 가접합 개소에 해당하는 부분은, 폭방향에서 연결편(40)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기저귀(1)를 착용 상태로 한 경우(즉, 도 2a, 도 2b에 나타낸 상태로 한 경우)에는, 상기 가접합 개소에 해당하는 부분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연결편(40)의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개재하게 된다. 즉, 상기 가접합 개소에 해당하는 부분은, 기저귀(1)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기 때문에, 빳빳한 느낌을 착용자에게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접합 개소가, 연결편 기재(40a)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진 개소이며, 또한 기저귀(1)의 착용시에 가접합 개소에 해당하는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도록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면, 기저귀(1)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상기 실시형태(이하, 본건 예)에서는, 가접합 장치(100)와 절단 장치(200)가 반송 방향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공정과,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를 절단하는 공정이, 상기 반송 방향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실시되는 형태에 관해 설명했다. 단, 본건 예와 달리, 예를 들어 동일 부재 상에서 상기 2개의 공정이 실시되는 형태(이하, 변경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하, 변경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건 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경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방향에서 상류측 반송 장치(400)와 반송 장치(300) 사이에, 연속체(1a)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롤러(5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는, 변경예에 따른 기저귀(1)의 제조 라인의 모식도이다. 회전 롤러(500)는, 상류측 반송 장치(400)로부터 연속체(1a)를 외측 둘레면(500a)에서 수취하여, 서로 겹쳐진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가 외측 둘레면(500a)에 걸린 상태로 회전 롤러(500)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띠기재(20a, 30a)를 포함하는 연속체(1a)는, 회전 롤러(50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또, 회전 롤러(500)는, 연속체(1a)로부터 형성된 연속체편(1b)을 외측 둘레면(500a)으로부터 반송 장치(300)로 전달한다.
그리고, 변경예에서는, 연속체(1a)가 회전 롤러(500)의 외측 둘레면(500a)에 걸려 있는 동안에,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공정 및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를 절단하는 공정의 양 공정이 실시된다. 환언하면,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하는 가접합 위치와,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를 절단하는 절단 위치가, 상기 외측 둘레면(500a) 상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롤러(50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가접합 롤러(510)와, 커터 롤러(520)가 배치되어 있다. 가접합 롤러(510)는, 전술한 가접합 롤러(10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그 외측 둘레면 상에 볼록부(511)를 포함하여, 상기 볼록부(511)와 회전 롤러(500)의 외측 둘레면(500a) 사이에 띠기재(20a, 30a)를 끼워 넣어, 엠보스 가공에 의해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한다. 커터 롤러(520)는, 전술한 절단 롤러(20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그 외측 둘레면 상에 날(521)을 포함하고, 상기 날(521)과 회전 롤러(500)의 외측 둘레면(500a) 사이에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를 끼워 넣어, 상기 띠기재(20a, 30a)를 절단한다.
이상의 구성하에서, 회전 롤러(500)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 방향을 따라서 연속체(1a)가 이동하는 동안에, 회전 롤러(500)의 외측 둘레면(500a)에 걸린 상태로 서로 겹쳐진 띠기재(20a, 30a)끼리에 대하여, 가접합 롤러(510)에 의한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띠기재(20a, 30a)끼리 가접합된다. 그 후, 회전 롤러(500)가 다시 회전함에 따라 연속체(1a)가 회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가, 커터 롤러(520)의 날(521)에 의해 정해진 개소(절단선이 위치하는 개소)에서 절단된다. 이에 따라, 띠기재(20a, 30a)로부터 띠기재편(20b, 30b)이 형성된다(즉, 연속체(1a)로부터 연속체편(1b)이 형성된다).
연속체편(1b)은, 회전 롤러(500)가 다시 회전함에 따라 회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 후, 반송 장치(300)에 전달된다. 그 후, 연속체편(1b)은, 2개의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 중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 베이스부(21b, 31b)가 가접합된 상태로, 계속해서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이상, 변경예에서는, 서로 겹치게 한 띠기재(20a, 30a)끼리를 가접합할 때,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회전 롤러(500)의 외측 둘레면(500a)에 건 상태로 상기 회전 롤러(500)를 회전시킴으로써,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를, 회전 롤러(500)의 회전 방향에서의 가접합 위치로 이동시켜, 양 띠기재(20a, 30a)를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에서 가접합한다. 또, 가접합된 띠기재(20a, 30a)를 절단할 때에는, 등측띠 기재(20a) 및 배측띠 기재(30a)를 상기 외측 둘레면(500a)에 건 상태로 회전 롤러(500)를 더 회전시킴으로써,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를 회전 방향에서 가접합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 이동시켜, 양 띠기재(20a, 30a)를 돌출부 베이스부(21a, 31a)의 단부(절단선의 위치)에서 절단한다.
이상과 같이, 변경예에서는, 본건 예와 달리, 가접합 위치와 절단 위치가 동일 부재 상에(구체적으로는, 회전 롤러(500)의 외측 둘레면(500a) 상)에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속체(1a)에서의 가접합 개소 및 절단 개소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점에서는 변경예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한편, 장치의 메인터넌스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가접합 장치(100)와 절단 장치(200)가 나뉘어져 있고 가접합 위치와 절단 위치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점에서는 본건 예가 바람직한 형태이다.
변경예는, 전술한 상이점 이외에 관해서는 본건 예와 동일하며, 본건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는, 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1)(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고,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전술한 설정값, 치수값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1)의 출하 시점에서, 등측띠(20)와 배측띠(30)가 돌출부(21, 31)에서 가접합되어 있고, 착용시에 가접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연속체편(1b)을 반송 장치(300)에 의해 반송한 후, 기저귀(1)의 완성 직전에 가접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압박에 의한 엠보스 가공으로 띠기재(20a, 30a)를 가접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를 이용한 용착법, 핫멜트계 접착제를 이용한 방법 등, 다른 가접합 방법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웨브(띠)형으로 연속된 띠기재(20a, 30a)를 서로 분리하여 평행하게 나열한 상태로 반송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띠기재(20a, 30a)는, 연속된 상태로 반송되는 것인 한, 띠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301, 302)의 사이에 연속체편(1b)을 끼워 넣어 상기 연속체편(1b)을 반송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반송 기기(예를 들어, 연속체편(1b)을 배치하여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나, 연속체편(1b)을 둘레면에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반송 롤러)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픈형 기저귀(1)를 일례로 들어 그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했지만, 입고 벗는 형(소위 팬츠형)의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흡수성 본체(10)와, 등측띠(20)와, 배측띠(30)를 가지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21)가 등측띠(20) 및 배측띠(30)의 각각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인 한, 다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기저귀 1a : 연속체
1b : 연속체편 2 : 몸통 둘레 개구
3 : 다리 둘레 개구 4 : 다리 둘레 주름부
10 : 흡수성 본체 10a : 흡수성 본체 기재
11 : 흡수체 12 : 표면 시트 부재
13 : 이면 시트 부재 14 : 샘방지 시트
15 : 외장 시트 16 : 액투과성 시트
17 : 주름 형성 부재 18 : 탄성부
18a : 탄성부 기재 18b : 탄성부 기재편
20 : 등측띠 20a : 등측띠 기재
20b : 등측띠 기재편 21 : 돌출부
21a, 21b : 돌출부 베이스부(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30 : 배측띠 30a : 배측띠 기재
30b : 배측띠 기재편 31 : 돌출부
31a, 31b : 돌출부 베이스부(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40 : 연결편 40a : 연결편 기재
41 : 패스닝 테이프(fastenig tape) 42 : 보강 시트
43 : 고정단측의 단부 43a : 접음부
44 : 스티치(미싱눈) 50 : 타겟 테이프
50a : 타겟 테이프 기재 50b : 타겟 테이프 기재편
100 : 가접합 장치 101, 102 : 가접합 롤러
103 : 볼록부 200 : 절단 장치
201, 202 : 절단 롤러 203 : 날
300 : 반송 장치 301, 302 : 벨트 컨베이어
400 : 상류측 반송 장치 401, 402 : 벨트 컨베이어
500 : 회전 롤러 500a : 외측 둘레면
510 : 가접합 롤러 511 : 볼록부
520 : 커터 롤러 521 : 날

Claims (6)

  1.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착용시에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지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띠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교차하고, 착용시에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띠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 각각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연속하는 등측띠 기재와, 연속하는 배측띠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반송 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기 등측띠 기재에 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기 배측띠 기재에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접어서 포개어,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과,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는 공정과,
    가접합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하여 등측띠 기재편 및 배측띠 기재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편과 상기 배측띠 기재편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고,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편과 상기 배측띠 기재편이 가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에서는,
    2개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접합되고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편, 상기 배측띠 기재편, 및 상기 흡수성 본체 기재를 반송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등측띠 및 상기 배측띠 중 하나 이상의 띠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띠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실고무를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 중 하나 이상의 띠기재에,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실고무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띠기재에 상기 실고무가 접합된 상태로,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며,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상기 실고무의 접합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단속적으로 가접합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등측띠의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고, 착용시에 상기 등측띠와 상기 배측띠를 연결시키는 연결편을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등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연결편 기재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등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배측띠 기재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 사이에 상기 연결편 기재가 끼워지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와 상기 배측띠 기재를 서로 겹치게 하고,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가접합 개소가 상기 연결편 기재가 끼워져 있는 개소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겹치게 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회전 롤러의 외측 둘레면에 건 상태로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가접합하는 가접합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접합하고,
    가접합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외측 둘레면에 건 상태로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방향에서 상기 가접합 위치로부터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등측띠 기재 및 상기 배측띠 기재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단부에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7015614A 2008-12-18 2009-12-02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1518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2779A JP5393133B2 (ja) 2008-12-18 2008-12-18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JP-P-2008-322779 2008-12-18
PCT/JP2009/070255 WO2010071023A1 (ja) 2008-12-18 2009-12-02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787A KR20110098787A (ko) 2011-09-01
KR101518098B1 true KR101518098B1 (ko) 2015-05-06

Family

ID=4226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614A KR101518098B1 (ko) 2008-12-18 2009-12-02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84593B2 (ko)
EP (1) EP2377499A1 (ko)
JP (1) JP5393133B2 (ko)
KR (1) KR101518098B1 (ko)
CN (1) CN102256577B (ko)
AU (1) AU2009328034A1 (ko)
WO (1) WO2010071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3920B2 (ja) * 2009-09-18 2014-03-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728907B2 (ja) * 2010-11-30 2015-06-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001335B2 (ja) * 2012-05-31 2016-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折り畳み動物用***物処理シート
US10383774B2 (en) 2013-09-30 2019-08-20 Zuiko Cor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disposable wearable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wearable article
EP3219297B1 (en) * 2014-11-14 2019-07-24 Zuiko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wearable article
WO2018096691A1 (ja) * 2016-11-28 2018-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09771140A (zh) * 2017-11-13 2019-05-21 叶正瑜 一种可节约材料的拉拉裤的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1344B1 (en) 1994-04-12 2002-10-08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ts-type diaper or sanitary panty, and such an article
JP2005533529A (ja) 2001-12-28 2005-11-10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締結可能な吸収性衣類及びこれを組み立てる方法
WO2008079061A1 (en) 2006-12-22 2008-07-03 Sca Hygiene Products Ab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pant-type absorbent articles
JP2008272250A (ja) 2007-04-27 2008-11-13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9315B2 (ja) * 2002-09-27 2006-07-1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012865B2 (ja) * 2003-08-22 2007-11-2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オムツの製造方法
JP5053288B2 (ja) * 2005-12-19 2012-10-17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再固定可能なパンツ状の吸収材物品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JP4966716B2 (ja) 2007-04-06 2012-07-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1344B1 (en) 1994-04-12 2002-10-08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ts-type diaper or sanitary panty, and such an article
JP2005533529A (ja) 2001-12-28 2005-11-10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締結可能な吸収性衣類及びこれを組み立てる方法
WO2008079061A1 (en) 2006-12-22 2008-07-03 Sca Hygiene Products Ab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pant-type absorbent articles
JP2008272250A (ja) 2007-04-27 2008-11-13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93133B2 (ja) 2014-01-22
JP2010142417A (ja) 2010-07-01
WO2010071023A1 (ja) 2010-06-24
CN102256577B (zh) 2013-08-28
KR20110098787A (ko) 2011-09-01
CN102256577A (zh) 2011-11-23
EP2377499A1 (en) 2011-10-19
AU2009328034A1 (en) 2011-07-28
US20110277921A1 (en) 2011-11-17
US8784593B2 (en)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1120B1 (ja)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10325156B (zh)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制造装置及吸收性物品
JP5706396B2 (ja) 非連続伸縮性糸を備える伸縮性ウェブ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RU26549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боковых швов на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ях
KR101518098B1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4953730B2 (ja) 吸収性物品
KR101600657B1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5977590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100284476B1 (ko) 측면 솔기를 구비한 속옷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예비성형품
JP5926121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72667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39350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019172B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508060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6194476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
WO2016194477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10314223A (ja) 吸収性物品並びにその製法及び製造装置
WO2022259570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343588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879379B2 (ja) 吸収性物品製造装置
WO2023248818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438845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2022054154A (ja) カッター装置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314069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