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158B1 -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158B1
KR101515158B1 KR1020130010230A KR20130010230A KR101515158B1 KR 101515158 B1 KR101515158 B1 KR 101515158B1 KR 1020130010230 A KR1020130010230 A KR 1020130010230A KR 20130010230 A KR20130010230 A KR 20130010230A KR 101515158 B1 KR101515158 B1 KR 101515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disulfanyl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7769A (ko
Inventor
최혜령
Original Assignee
(주)에스테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테위즈 filed Critical (주)에스테위즈
Priority to KR102013001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1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펩티드 CM(시스테인-메티오닌)이 다이설파이드 본딩으로 형성된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 (disulfanyl hypopigmenting peptide, dSHP: 2-{2-amino-3-[(2-amino-2-{[1-carboxy-3-(methylsulfanyl)propyl]carbamoyl}ethyl)disulfanyl]propanamido}-4-(methylsulfanyl)butano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미백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산화능이 있어 하나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양한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DISULFANYL HYPOPIGMENTING PEPTIDE}
본 발명은 펩티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disulfanyl hypopigmenting peptide, 2-{2-amino-3-[(2-amino-2-{[1-carboxy-3- (methylsulfanyl)propyl]carbamoyl}ethyl)disulfanyl]propanamido}-4-(methylsulfanyl)butano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다.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로는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티노이드가 있으며, 이들 색소에 의해 인간의 피부, 모발, 눈 등의 색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현재 미용 목적을 위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멜라닌은 멜라닌세포(melanocytes)에서 아미노산인 타이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일련의 산화 과정을 거쳐 페오멜라닌(pheomelanin) 또는 유멜라닌(eumelanin)의 중합체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멜라닌의 생성 과정을 억제하여 피부의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특정한 펩티드 화합물에 관한 기술로서, 펩티드 관련 미백 조성물에 대한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37517호(멜라닌 생성 억제 펩티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는, 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로서, 특히 첫 번째 아미노산 및 두 번째 아미노산이 타이로신(Tyrosine) 또는 트립토판(Tryptophan)에서 선택되고, 세 번째 아미노산이 트립토판, 네 번째 아미노산이 아르기닌(Arginine)으로 구성되는 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를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60875호(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는 어류로부터 유래한 젤라틴 펩티드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 화합물은 분자 중에 글리신-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Glycine-Proline-Hydroxyproline)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아미노산 3 내지 20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92150호에서는 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다이펩티드(dipeptide)에 의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아미노산들 중 시스테인(Cysteine)은 항산화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티올기(thiol group)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글루타티온(glutathione)으로 전환됨이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메티오닌(methionine)은 시스테인과 함께 황(Sulfur)을 가진 단 두 개의 아미노산으로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을 거쳐 시스테인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시스테인 및 시스테인으로 전환될 수 있는 메티오닌의 펩티드 유도체들을 대상으로 미백효능을 평가한 결과 본 발명의 특정한 형태의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으로 이루어진 펩티드 화합물이 항산화 효능과 함께 정상인의 멜라닌세포에서 미백효능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산화능이 있어 한 가지 유효성분을 이용하여도 미백, 항산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4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된 테트라펩티드와 같은 종래 알려진 미백 기능을 갖는 펩티드가 제조가 어렵고 고가이므로, 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되 테트라펩티드와는 달리 제조가 간단하고 저가로 제조 가능한 펩티드를 통하여 미백, 항산화 효과를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의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disulfanyl hypopigmenting peptide: 2-{2-amino-3-[(2-amino-2-{[1-carboxy-3- (methylsulfanyl)propyl]carbamoyl}ethyl)disulfanyl]propanamido}-4-(methylsulfanyl)butano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1
특히, 상기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는 0.000001 ~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비누 및 미백용 연고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제형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유분, 물, 저급알콜, 점증제, 보습제, 보존제, 안정화제, 완충제, pH 조절제, 감미제, 향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보조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더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 또는 광산란제를 더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는 정상인의 멜라닌세포에서 미백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항산화능이 있으므로, 하나의 화합물을 이용하면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으로 이루어진 테트라펩티드와는 달리 다이펩티드 2개가 펩티드 결합이 아닌 다이설파이드 본딩을 이룬 화합물로서, 테트라펩티드보다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dSHP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는 HPLC chromatogram 및 Mass spectrum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백 펩티드를 멜라닌 세포에 주사 후 72시간 경과에 따른 p-ERK, t-ERK, MITF 및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될 수 있는 펩티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본 발명의 펩티드 화합물에서 아미노산이 4개 존재하기는 하나, 테트라펩티드가 아닌 2개의 시스테인-메티오닌 다이펩티드의 각 시스테인의 티올기가 반응하여 다이설파이드 본딩을 이룬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2

[화학식 2]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4
상기 화학식 1 ~ 3의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는 "disulfanyl hypopigmenting peptide, 2-{2-amino-3-[(2-amino-2-{[1-carboxy-3-(methylsulfanyl)propyl]carbamoyl}ethyl)disulfanyl]propanamido}-4-(methylsulfanyl)butanoic acid" 라고 화학적 명칭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의 편의상 "dSHP"로 약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dSH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미백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산화능이 있어 하나의 화합물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미노산들 중 시스테인(Cysteine)은 구조적으로는 티올기(thiol group, -SH)를 가지고 있는데, 티올기는 항산화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글루타티온(glutathione)으로 전환됨이 알려져 있다. 또한 메티오닌(methionine)은 시스테인과 함께 황(Sulfur)을 가진 단 두 개의 아미노산 중 하나로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을 거쳐 시스테인으로 전환될 수 있어, 메티오닌 역시 황산화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시스테인 및 시스테인으로 전환될 수 있는 메티오닌의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정상인의 멜라닌세포에서 미백효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시스테인-메티오닌으로 이루어진 CM(시스테인-메티오닌) 다이펩티드 2개가 서로 펩티드 결합, 예를 들어, CMCM, CMMC, MCCM 등의 테트라펩티드가 아닌 CM과 CM 사이의 시스테인의 티올기가 서로 결합되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펩티드는 종래 테트라펩티드와는 달리 다이펩티드 CM과 CM 사이에 펩티드 결합을 하지 않으며, 일 CM에서의 티올기와 타 CM에서의 티올기가 상호 반응하여 "disulfide bonding"이 형성된 일종의 "Sulfur containing double dipeptide"를 형성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인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법에 따라 “시스테인-메티오닌”의 다이펩티드(화학식 4 참조)를 합성한 후, "시스테인-메티오닌” 다이펩티드를 0.1M 공기제거 중탄산암모늄(deaerated ammonium bicarbonate, ammonium bicarbonate 용액을 질소로 퍼지한 것)에 0.5 mM 농도로 용해한다. 상온에서 약 18시간 방치하여 다이설파이드 본드(disulfide bond)가 CM과 CM의 각 시스테인 사이에 형성되도록 기다린다. 반응이 완결되면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dSHP)를 회수한다. 첨부도면 1a 및 1b와 같이 HPLC chromatogram 및 Mass spectrum을 통하여 dSHP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상기 방법 이외에 CM 사이의 티올기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방법에 한정하여 제조할 필요는 없다.
실험예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dSHP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다양한 효능 실험을 하였다.
실험예 1: 티로시나제 억제효능 조사
배양한 정상 멜라닌세포를 100μL의 MGM(Melanocyte growth medium, Clonetics)에 13,000개 되도록 뿌려주었다. 24시간 후 시료가 첨가된 100 μL의 MGM을 추가로 더해 주었다. 72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130 μL의 세포용해액(1% Triton-X100/0.1 M sodium phosphate buffer)을 넣어주었다. 4번 반복하여 세포를 얼리고 녹인 후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80μL의 cell lysate를 96웰에 넣어주었다. 20 μL의 5 mM DOPA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켜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0분 간격으로 3시간 측정하고 단백질 농도에 따라 보정을 시행하였다. 대조시료로는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뛰어난 효능을 보인 dSHP를 제외하고 다른 서열들은 별 효능을 보이지 않았다.
시험물질 알부틴 dSHP
처리농도(μM) 100 0.1 1 10 20
티로시나제 억제능(%) 34.7 0.2 1.1 32.0 71.9
정상멜라닌세포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높아 멜라닌합성에 중요한 티로시나아제의 억제효과를 판정하는데 가장 유용한 세포이다. 표 1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dSHP(화학식 I, II, III)는 20 μM의 농도에서 71.9%의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100 μM 농도의 알부틴(arbutin)이 34.7%의 억제효과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1/5의 적은 농도에서 2배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어 매우 뛰어난 효과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하기 화학식 4의 CM의 경우 정상멜라닌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가 20 μM의 농도에서 20% 미만으로 미미하였고, 하기 화학식 5 내지 7의 CM 변형 다이펩티드의 경우 억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5
상기 화학식 4는 시스테인-메티오닌(Cys-Met, 또는 2-(2-amino-3-sulfanylpropanamido)-4-(methylsulfanyl)butanoic acid)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6
상기 화학식 5는 본 발명에서 비교예로 평가된 화합물인 메티오닌의 티올기가 산화된 시스테인-메티오닌(Cys-Met(O), 또는 2-(2-amino-3-sulfanylpropanamido)-4-methanesulfinylbutanoic acid)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7
상기 화학식 6은 CM 다이펩티드의 C말단이 아미드화된 시스테인-메티오닌(H-Cys-Met-NH2, 또는 2-(2-amino-3-sulfanylpropanamido)-4-(methylsulfanyl)butanamide)이다.
[화학식 7]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8
상기 화학식 7은 메티오닌-시스테인(Met-Cys, 또는 2-[2-amino-4-(methylsulfanyl)butanamido]-3-sulfanylpropanoic acid)이다.
실험예 2: 항산화 작용 시험( DPPH 제거 시험)
1,1-디페닐-2-피크릴 하이드라질라디칼(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은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로 517 nm에서 강한 흡광(자홍색) 봉이 있는데, 자유기 제거제가 있을 때 그 탈색정도는 일정한 비율관계를 갖고 있어, 항산화제 스크리닝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dSHP와 비타민C(대조군)를 대상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방법을 간략하게 기술하면 적당 농도의 시료 5 μL를 80 μL의 0.25 mM DPPH 용액과 115 μL의 70% 에탄올에 혼합하여 DPPH의 마지막 농도가 0.06 mM이 되도록 하였다. 심하게 흔들고 어둠 속에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한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비타민C
(대조군)
dSHP
처리농도(μg/mL) 1 10 10 100 250
항산화능(%) 29.9 95.9 11.8 26.7 53.1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비타민C보다는 항산화능이 낮기는 하지만, 이는 비타민C의 항산화능이 매우 우수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보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dSHP에서도 충분히 높은 항산화능(11.8 ~ 53.1%)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dSHP PGE 2 생산억제효과
각질형성세포를 KGM(keratinocyte growth medium) 2 mL 안에 100,000개가 되도록 6 웰플레이트에 뿌려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0.1% BSA가 포함된 KBM(keratinocyte basal medium) 2 mL로 배지를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같은 배지에 펩티드의 최종농도가 10 μg/mL 되도록 첨가하여 준비한 새 배지 2 mL로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단, 양성대조군인 NS-398(Sigma)은 자외선 B를 조사하기 한 시간 전에 5 μM 농도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한 배지를 새 24 웰플레이트에 옮겨 담고 세포에 DPBS 1 mL씩 넣었다. 옮겨 담은 배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안 세포배양기에 넣어 보관하였다. PGE2 생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자외선 B를 100 mJ/cm2 되도록 세포에 조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은박지로 가려두었다. 자외선 조사 후 DPBS를 제거하고 보관해 둔 배지를 다시 넣어 주었다. 24시간 더 배양한 후 배지 2 mL 중 1 mL을 마이크로센트리퓨즈 튜브(microcentrifuge tube)에 옮겨 담고 약 1 mL의 배지가 남은 세포에 MTT 용액 100 uL를 첨가하여 3~4시간 세포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MTT 용액이 포함된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 mL을 넣어서 포르마잔을 충분히 용해시킨 후 200 uL를 96 웰플레이트에 취하여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한편, 튜브에 옮겨 담은 배지는 미량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냉장 조건에서 12,000~15,000 rpm 속도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새 튜브에 담아서 PGE2를 측정할 때까지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PGE2 Assay Kit(KGE004,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대로 PGE2를 측정하였다. 표준 그래프로부터 각 샘플의 PGE2농도를 산출하여 MTT 실험 결과 흡광도 값으로 보정한 후 PGE2생성 억제 정도를 계산하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았다.
시험물질 NS-398
(대조군)
dSHP
처리농도(μM) 5 0.1 1 10 20
PGE2 억제능(%) 88.1 2.0 15.4 32.0 82.5
상기 표 3의 결과와 같이 PGE2 억제 효과가 우수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dSHP를 20 μM처리한 경우 PGE2 억제효능이 대조군과 비슷할 정도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물론 0.1 내지 10 μM 처리한 경우에도 대조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이와 같이 낮은 농도에서도 여전히 PGE2 생성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미백능 조사
정상인 4명을 대상으로 각각 5 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자외선 조사와 함께 하루 한 번씩 본 발명의 1% 펩티드 용액을 도포하였다. 한 명은 펩티드 용액을 도포하지 않았다. 조사 전과 비교하여 멜라닌 인덱스의 변화를 통하여 미백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표 4(자외선 조사 전과 비교하여 조사 1일 후, 일주일 후, 이주일 후에 펩티드를 도포하면서 측정한 멜라닌 인덱스의 변화 측정 결과)는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의 펩티드는 피부색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Case 1 Case 2 Case 3 대조군
조사 전 88.67±23.64 89.73±16.50 83.60±22.25 91.93±22.36
1일 후 64.33±18.27 62.80±23.54 58.47±18.42 68.00±20.19
일주 후 83.47±21.52 82.53±15.28 89.67±17.14 112.87±16.72
이주 후 95.67±16.96 96.07±14.46 86.73±18.30 115.00±26.03
** 상기 수치는 멜라닌 인덱스의 "평균±표준편차"임
상기 결과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멜라닌 인덱스의 증가가 2주 후에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본 발명의 다이펩티드가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제형예
본 발명의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는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 가능한데, 조성물 전체에서 0.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량 증진에 따른 증진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비누 또는 미백용 연고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며, 피부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분말 형태의 제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보조제, 예를 들어 유분, 물, 저급알콜, 점증제, 보습제, 보존제, 안정화제, 완충제, pH 조절제, 감미제, 향료 및 염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 또는 광산란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제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제형예는 예시일 뿐으로서, 하기 제형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형예 1 ~ 2: 미백 화장품의 제조
하기 표 5의 제형예 1 및 제형예 2의 조성 비율로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각각 75℃까지 가열하고,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40℃까지 냉각시킨 후, 향료 및 dSHP를 넣어 크림상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 (%)
제형예 1 제형예 2
유상 에탄올 1 1
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0.7 0.7
유동 파라핀 10 10
스테아린산 1.4 1.4
트윈60 1.5 1.5
수상 글리세린 60 60
카보머 0.12 0.12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2 0.12
정제수 to 100% to 100%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3 0.3
향료 0.15 0.15
미백제 펩티드 10 5
제형예 3: 미백 연고의 제조
dSHP 1%(w/w), 디에틸세바케이트 8.0%(w/w), 경납 5.0%(w/w),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EO4) 6.0%(w/w),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바세린 잔량으로 통상의 연고 제조방법에 따라 연고를 제조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험관 내 티로시나아제 효소 억제시험이 아니라, 정상인의 피부에서 분리한 멜라닌세포를 대상으로 미백 효능을 확인하여 실제 사람에서의 효과가 있음을 상기 실험예와 같이 증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아미노산 4개로 구성된 dSHP의 미백효능을 규명하였는데, 역시 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로서, 특히 첫 번째 아미노산 및 두 번째 아미노산이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에서 선택되고, 세 번째 아미노산이 트립토판, 네 번째 아미노산이 아르기닌으로 구성되는 총 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에 미백 효능이 있음이 보고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837517호(멜라닌 생성 억제 펩티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와는 펩티드 서열에 차이가 있으며 또한 보고된 것에 비해 효능이 매우 뛰어났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에서는 시험관 내에서 티로시나제 효소를 억제하는 펩티드를 검색하였으나,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세포를 사용하여 세포 수준에서 미백능 확인 실험을 시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과거 실험에 의하면 시험관 내에서 티로시나제 효소를 전혀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세포 차원에서는 미백 효능이 있는 예가 많았다. 이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미백 효능을 규명한 dSHP 역시 시험관 내에서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신호전달기전을 조절하여 미백 효능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Kim DS et al. Sphingosine-1-phosphate Decreases Melanin Synthesis via Sustained ERK Activation and Subsequent MITF Degradation. J of Cell Sci, 2003)
또한, 상기 대한민국특허등록 제837517호에서는 펩티드 최고농도 1000μM에서 30 ~ 40% 억제의 미백 효능을 보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dSHP는 20μM(펩티드 농도 10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약 72%에 가까운 미백 효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dSHP가 기존에 보고된 펩티드와는 전혀 다른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효과는 발명자들이 기존에 보고한 바와 같이 ERK의 활성화를 통한 MITF의 억제에 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가설에 따라 배양한 멜라닌세포에 dSHP을 처리하고 24, 48, 72시간 관찰한 결과 예상과 같이 24시간에 ERK의 활성화가 관찰되고 이후 48시간, 72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ITF는 24시간에 감소한 결과가 48시간, 72시간이 경과하여도 지속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도 2 참조). 물론 이와 함께 티로시나제의 양도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여 dSHP는 ERK 활성화를 통해 티로시나제를 억제시켜 미백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하기의 화학식 1의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disulfanyl hypopigmenting peptide: 2-{2-amino-3-[(2-amino-2-{[1-carboxy-3- (methylsulfanyl)propyl]carbamoyl}ethyl)disulfanyl]propanamido}-4-(methylsulfanyl)butano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08854407-pat00009
  2. 제1항에서, 상기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는 0.000001 ~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비누 및 미백용 연고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분, 물, 저급알콜, 점증제, 보습제, 보존제, 안정화제, 완충제, pH 조절제, 감미제, 향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보조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 또는 광산란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30010230A 2013-01-30 2013-01-30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51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30A KR101515158B1 (ko) 2013-01-30 2013-01-30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30A KR101515158B1 (ko) 2013-01-30 2013-01-30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69A KR20140097769A (ko) 2014-08-07
KR101515158B1 true KR101515158B1 (ko) 2015-04-24

Family

ID=5174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230A KR101515158B1 (ko) 2013-01-30 2013-01-30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606B1 (ko) * 2014-11-24 2015-1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frp5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75B1 (ko) 2006-06-21 2007-10-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75B1 (ko) 2006-06-21 2007-10-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69A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0603B2 (ja) 目の下のたるみおよびくまを緩和するための皮膚外用剤組成物
KR102281774B1 (ko) 피부 재생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6087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230021049A (ko) 에틸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15158B1 (ko) 다이설파닐 미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225550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産生抑制及び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0544034B1 (ko)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9988B1 (ko) 디하이드로코리달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48149B1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07B1 (ko) 폴리갈라사포닌 f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629065B1 (ko)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비타민 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3927B1 (ko) 팡키놀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2010536920A (ja) 皮膚、体毛または頭髪の色素形成を誘導、回復または刺激するための2,2’−シクロリグナンの使用
JP2013166731A (ja) エンドセリン作用抑制剤及び美白剤
KR101874028B1 (ko) Sac 유도체 또는 smc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26592B1 (ko)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50066660A (ko) 스핑고지질-루시놀 중합체 및 그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조성물
JP2012126654A (ja) ベオミセス酸含有抽出物の製造方法
KR101627080B1 (ko)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3041B1 (ko) 린코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41A (ko) Prim-O-글루코실시미푸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5911293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