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371B1 -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371B1
KR101505371B1 KR1020140084821A KR20140084821A KR101505371B1 KR 101505371 B1 KR101505371 B1 KR 101505371B1 KR 1020140084821 A KR1020140084821 A KR 1020140084821A KR 20140084821 A KR20140084821 A KR 20140084821A KR 101505371 B1 KR101505371 B1 KR 10150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ap
pipe
collecting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영
Original Assignee
이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자영 filed Critical 이자영
Priority to KR102014008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포집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는 내통부 및 상기 포집부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통부를 지지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을 분리하면 상기 내통부는 상기 포집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pipe connector and pip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에 관한 것이다.
교량 상판의 빗물과 나뭇잎,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 등은 배관을 통하여 지상이나 강 등으로 배출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관에는 이물질이 쌓여 막힌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배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바, 이물질이 쌓여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과 배관에 쌓인 이물질을 손쉽게 처리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87807호 (2010.10.07)
본 발명은 배관에 쌓인 이물질의 축적 정도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포집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는 내통부 및 상기 포집부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통부를 지지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을 분리하면 상기 내통부는 상기 포집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내통부는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는 내통 및 상기 내통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분리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통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부는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는 내통 및 상기 내통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이 인출될 때 상기 포집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통에 형성된 내통 투명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 투명창과 마주하는 포집 투명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과 상기 캡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내통을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통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물질이 내부에 축적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통 및 상기 포집부에 연결되어 있고 빗물 및 이물질을 상기 보조통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연결구는 상기 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집부 내부를 볼 수 있는 캡 투명창 및 상기 포집부와 상기 캡 사이에 위치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포집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포집부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포집부 내부를 단속하는 캡 및 상기 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집부 내부를 볼 수 있는 캡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은 위에서 서술한 배관 연결구,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 연결구와 연결된 집수관 및 상기 배관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캡 투명창을 통해 캡을 포집부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포집부에 축적된 이물질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배관의 관리 및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부에서 캡을 분리하면 축적된 이물질이 배출되므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 제거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부에서 캡을 분리하면 포집부 내부에 위치하고 이물질이 축적된 내통부가 인출될 수 있다. 이에 캡 분리 시 이물질이 바로 배출되지 않고 이물질이 축적된 내통부가 인출되고, 내통부의 도어를 개방하면 내통 축적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즉, 캡 분리 시 이물질이 바로 쏟아지지 않으므로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 투명창과 내통 투명창을 통해 내통에 축적된 이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캡 등을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이물질의 축적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통부가 포집부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배수공을 통해 내통의 빗물이 배수될 수 있다. 이에 빗물 배수에 의해 이물질의 중량이 줄어들어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통에 보조통이 배치되어 있어 도어 개방 시 이물질이 쏟아지지 않고 보조통이 내통에서 인출되고, 보조통은 분리방지부재에 의해 내통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이물질을 보조통에서 털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므로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포집부와 캡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IV-IV 선을 따라 배관 연결구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포집부와 캡이 나사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내통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내통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내통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1는 도 8에 도시한 XI-XI선을 따라 배관 연결구를 자른 단면도(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단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내통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배관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배관 연결구가 적용된 배관을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상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배관(100)은 집수관(1), 배관 연결구(3) 및 배수관(2)을 포함하며, 교량 상판(5)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5)에 있는 빗물, 이물질 등을 지상, 강 등으로 배수한다.
집수관(1)은 교량 상판(5)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교량 상판(5)에 있는 빗물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집수관(1)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그레이팅(1a)이 설치되어 있다.
배수관(2)은 통해 배관 연결구(3)를 통해 집수관(1)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관(1) 및 배관 연결구(3)를 통과한 빗물을 지상, 강 등으로 배수한다. 배수관(2)은 빗물이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그레이팅(1a)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은 빗물과 함께 배관 연결구(3)에 유입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집수관(1) 및 배수관(2)의 세부 구조는 널리 알려진 교량의 집수관 및 배수관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배관 연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포집부와 캡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IV-IV 선을 따라 배관 연결구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는 본체(31), 캡(41) 및 캡 투명창(42)을 포함하며, 집수관(1)과 배수관(2)을 연결한다.
본체(31)는 연결부(311) 및 포집부(312)를 포함한다. 연결부(311)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분에는 집수관(1)이 연결될 수 있고, 좌우 양측에는 배수관(2)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11)의 내부는 집수관(1) 및 배수관(2)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포집부(312)는 배수관(2)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집수관(1)의 중앙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집수관(1)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이에 본체(31)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집부(312)의 내부는 연결부(311)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하 관통되어 있다.
집수관(1)으로 유입된 빗물과 이물질은 배관 연결구(3)를 통해 배수관(2)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빗물과 이물질은 포집부(312)에 모인 후 배수관(2)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물질보다 빗물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 빗물은 포집부(312)를 넘쳐 흘러 배수관(2)을 통해 지상, 강 등으로 배수된다. 그리고 이물질은 포집부(312)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포집부(312) 내부에 축적될 수 있다.
본체(31)에는 본체(3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본체 투명창(3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 투명창(311a)은 생략될 수 있다.
캡(41)은 포집부(312)의 하부측에 클램프(41a)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캡(41)은 포집부(312)에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41b)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포집부(312)와 캡(41)의 분리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캡(41)은 본체(31)와 체인(44)으로 연결되어 있다. 체인(44)은 포집부(312)에서 분리된 캡(41)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포집부(312)에서 분리된 캡(41)은 본체(31)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검 및 보수 시 분리된 캡(41)을 작업자가 들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배관(100)의 정비 및 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캡(41)과 포집부(312a) 사이에는 실링부재(43)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부재(43)는 캡(41)이 포집부(312)에 결합될 때 압착되어 빗물이 새지 않도록 한다.
캡 투명창(42)은 캡(41)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캡 투명창(42)을 통해 포집부(312)에 축적된 이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배관(100)의 점검 및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캡 투명창(42)은 아크릴, 강화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체 투명창(311a), 캡 투명창(42) 등을 통해 이물질의 축적 상태를 확인한 뒤 캡(41)을 포집부(312)에서 분리하면 포집부(312)에 축적된 빗물, 이물질 등이 배출될 수 있다. 캡(41)을 분리하면 빗물, 이물질 등이 배출되므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내통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본체(31), 내통부(32) 및 캡(4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및 캡(41)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본체(31) 및 캡(4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통부(32)는 내통(33) 및 분리방지부재(392)를 포함한다.
내통(33)은 포집부(312) 내부에 배치되어 캡(41)에 놓여 있다. 내통(33)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에는 복수의 배수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집수관(1)을 통해 유입된 빗물 및 이물질 등은 내통(3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물질이 내통(33)으로 유입될 때 내통(33)과 포집부(312) 내부둘레면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내통(33)의 외부둘레면과 포집부(312)의 내부둘레면은 근접되어 있다. 캡(41)이 포집부(312)에서 분리되면 내통(33)은 포집부(3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분리방지부재(39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은 내통(33)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본체(31)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31)의 내부면은 연결부(311) 또는 포집부(312)의 내부면일 일 수 있다. 내통(33)은 분리방지부재(392)에 의해 인출되었을 때 본체(31)에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분리방지부재(392)는 와이어, 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캡 투명창(42)과 배수공(33a)을 통해 이물질의 축적 상태를 확인한 뒤 캡(41)을 포집부(312)에서 분리하면 포집부(312) 내의 빗물은 배출되고 내통(33)은 포집부(3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내통(33)은 분리방지부재(392)에 의해 본체(31)에 매달린 상태가 되고 배수공(33a)을 통해 이물질과 함께 있던 빗물이 배수될 수 있다. 내통(33)을 털면 내통(33) 에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캡 투명창(42)을 통해 이물질의 축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인출된 내통(33)에서 축적된 이물질을 배출하므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를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내통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내통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1는 도 8에 도시한 XI-XI선을 따라 배관 연결구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내통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본체(31), 내통부(32) 및 캡(4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및 캡(41)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및 캡(4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312)의 하부측 내부 둘레면에는 걸림턱(312a)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32)는 내통(33), 도어(34), 이탈방지턱(33b), 경첩(35), 잠금부재(36) 및 받침돌기(37)를 포함한다.
내통(33)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포집부(312)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집수관(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내통(33)의 상부측 외부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탈방지턱(33b)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33)과 포집부(312)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33b)의 외곽 부분은 내통(33)의 내부 둘레면에 근접되어 있다.
내통(33)은 캡(41) 분리 시 포집부(312)에서 인출될 수 있다(도 9 및 도 12 참조). 내통(33)이 인출될 때 이탈방지턱(33b)이 걸림턱(312a)에 걸리게 되면서 내통(33)은 포집부(312)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고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통(33)이 위치한 포집부(312)가 배수관(2)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내통(33)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축적되고, 빗물은 내통(33)을 넘쳐 배수관(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빗물은 배수관(2)을 통하여 지상, 강 등으로 배수될 수 있다.
내통(33)의 하면은 도어(34)에 의해 막혀 있다. 내통(33)이 포집부(312)에서 인출되었을 때 이물질과 함께 내통(33)에 있는 빗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도어(34)에는 복수의 배수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33)에도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내통(33)의 둘레면에 내통 투명창(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빗물의 배수로 이물질의 중량이 줄어들어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어(34)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캡 투명창(42), 내통 투명창을 통해 내통(33)의 내부를 더욱 잘 볼 수 있다. 그러나 캡 투명창(42)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배관(3)의 정비 및 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어(34)는 내통(33) 하면에 경첩(35)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어(34)는 경첩(35)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며, 내통(33) 하면을 여닫는다. 도어(34)는 잠금부재(36)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잠금부재(36)는 제1 슬라이드 홀(361a)을 가지며 도어(34)에 연결된 제1 브래킷(361), 제2 슬라이드 홀(362a)을 가지며 내통(33) 저면에 연결된 제2 브래킷(362) 및 제1 슬라이드 홀(361a)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2 슬라이드 홀(362a)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바(363)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바(363)가 제2 슬라이드 홀(362a)에 삽입되면 도어(34)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슬라이드바(363)가 제2 슬라이드 홀(362a)을 벗어나면 도어(34)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도어(34)가 개방되면 내통(33)에 축적된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 10에서 잠금부재(36)를 제1 브래킷(361), 제2 브래킷(362) 및 슬라이드바(363)로 도시 하였지만 잠금부재(36)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어(34)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33)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34)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내통(33)에 결합되어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13의 내통(33)의 둘레면과 도어(34)에는 복수의 배수공(33a, 3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3의 실시예의 내통(33) 및 도어(34)에는 배수공(33a, 34a)이 생략되거나 도어(34), 내통(33)의 둘레면 또는 내통(33)의 하면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공(33a, 34a)이 생략된 부분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돌기(37)는 내통(33)의 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받침돌기(37)는 내통(33)의 저면을 기준으로 잠금부재(36) 및 경첩(35)보다 캡(41)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받침돌기(37)의 끝 부분은 캡(41)의 내부면에 접할 수 있다. 잠금부재(36)와 경첩(35)에 의해 내통(33)이 포집부(312) 내에서 기울어질 수 있으나, 받침돌기(37)에 의해 내통(33)은 포집부(312) 내부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받침돌기(37)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어(34)가 내통(33)의 둘레면에 형성된 경우에도 받침돌기(37)는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내통(33)의 하면이 캡(41)에 바로 접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배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량 상판(5)의 빗물 및 이물질 등이 집수관(1)을 통하여 본체(31) 내부로 유입될 때 집수관(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배수관(2)보다 아래에 위치한 내통(33)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빗물은 내통(33)을 넘쳐 배수관(2)으로 유입되어 지상, 강 등으로 배수될 수 있고, 이물질은 내통(33)에 축적될 수 있다. 일부 빗물은 내통(33)과 포집부(312)에 있을 수 있다. 포집부(312)로 유입된 빗물은 실링부재(43)에 의해 포집부(312) 외부로 새지 않는다.
본체 투명창(311a)을 통하여 내통(33)에 축적된 이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캡(41)을 포집부(312)에서 분리하면 캡(41)은 체인(44)에 의해 본체(31)에 매달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캡(41) 분리로 내통(33)은 포집부(312) 외부로 인출되며, 이탈방지턱(33b)이 걸림턱(312a)에 걸리어 내통(33)은 포집부(312)에 매달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내통(33)이 인출되면 내통(33)에 유입된 빗물은 배수공(34a)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포집부(312)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내통(33)과 걸림턱(312a) 사이 틈새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빗물이 배수된 상태에서 도어(34)를 개방하면 이물질은 내통(33)에서 배출될 수 있다. 빗물이 배수공(34a)을 통해 배수된 후 이물질이 배출되므로 이물질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캡(41) 분리 시 이물질이 바로 배출되지 않고, 내통(33)이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34)를 개방하면 이물질이 배출되므로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본체(31), 내통부(32), 캡(41), 포집 투명창(313) 및 내통 투명창(3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내통부(32) 및 캡(41)은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내통부(32) 및 캡(4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집 투명창(313)은 포집부(31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통 투명창(38)은 내통(33)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33)의 둘레면에는 빗물 배수를 위한 배수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포집 투명창(313)과 내통 투명창(38)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포집 투명창(313)과 내통 투명창(38)은 아크릴, 강화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포집 투명창(313)을 통해 집수관(312)에 수용된 빗물을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포집 투명창(313)과 내통 투명창(38)에 의해 내통(33)에 유입된 빗물 및 이물질 등의 축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인출된 내통(33)이 포집부(312) 내부로 삽입될 때 포집 투명창(313)과 내통 투명창(38)이 일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포집부(312)와 내통(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포집 투명창(313)은 생략될 수 있다. 포집 투명창(313) 생략 시 내통(33)이 포집부(312)에서 인출되면 내통 투명창(38)을 통하여 내통(33)에 축적된 이물질을 확인하고, 도어(34)를 개방하여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내통 투명창(38)이 내통(33)의 일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통(33) 전체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가 보일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본체(31), 내통부(32) 및 캡(4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및 캡(41)은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및 캡(4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통부(32)는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다만 내통(33)에 빗물이 배수되고, 이물질의 축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배수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33)이 포집부(312)에서 인출될 때 내통(33)에 유입된 빗물은 배수공(33a)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빗물이 배수된 후 도어(34)를 개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본체(31), 내통부(32) 및 캡(4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및 캡(41)은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31) 및 캡(4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내통부(32)는 보조통(39), 유도부재(391) 및 분리방지부재(392)를 더 포함한다.
보조통(39)은 내통(33)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배수공(39a)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통(39)의 직경은 내통(33)의 직경보다 작다. 이에 내통(33) 상부측에는 우수 및 이물질 등을 보조통(39)으로 유도하는 유도부재(391)가 배치되어 있다. 도어(34)가 개방되면 보조통(39)은 내통(33)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분리방지부재(392)는 보조통(39)과 내통(33)을 연결하며, 인출된 보조통(39)이 내통(3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분리방지부재(392)는 와이어, 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통(33)을 포집부(312)에서 인출한 뒤 도어(34)를 개방하면 보조통(39)이 내통(33)에서 인출될 수 있다. 분리방지부재(392)에 의해 보조통(39)은 내통(33)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한다. 배수공(39a)을 통해 빗물이 배수되면 작업자는 인출된 보조통(39)에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이에 도어(34)를 개방하였을 때 이물질이 바로 쏟아지지 않아 이물질 제거 작업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집수관 2: 배수관
3: 배관 연결구 31: 본체
311: 연결부 311a: 본체 투명창
312: 포집부 312a: 걸림턱
313: 포집 투명창 32: 내통부
33: 내통 33a, 34a, 39a: 배수공
33b: 이탈방지턱 34: 도어
35: 경첩 36: 잠금부재
361: 제1 브래킷 361a: 제1 슬라이드 홀
362: 제2 브래킷 362a: 제2 슬라이드 홀
363: 슬라이드바 37: 받침돌기
38: 내통 투명창 39: 보조통
391: 유도부재 392: 분리방지부재
41: 캡 41a: 클램프
42: 캡 투명창 43: 실링부재
44: 체인 5: 교량 상판
100: 배관

Claims (12)

  1.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포집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는 내통부 및
    상기 포집부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통부를 지지하는 캡
    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부는,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는 내통,
    상기 내통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및
    상기 내통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이 인출될 때 상기 포집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이탈방지턱
    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에 형성된 내통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
  6. 제5항에서,
    상기 포집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포집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
  7. 제1항에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과 상기 캡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내통을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돌기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
  8. 제1항에서,
    상기 내통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관 연결구.
  9. 제1항에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물질이 내부에 축적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통 및
    상기 포집부에 연결되어 있고 빗물 및 이물질을 상기 보조통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
  10. 제1항에서,
    상기 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집부 내부를 볼 수 있는 캡 투명창 및 상기 포집부와 상기 캡 사이에 위치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
  11. 삭제
  12. 제1항,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배관 연결구,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 연결구와 연결된 집수관 및
    상기 배관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
    을 포함하는 배관.
KR1020140084821A 2014-07-07 2014-07-07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KR10150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21A KR101505371B1 (ko) 2014-07-07 2014-07-07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21A KR101505371B1 (ko) 2014-07-07 2014-07-07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371B1 true KR101505371B1 (ko) 2015-03-23

Family

ID=5302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821A KR101505371B1 (ko) 2014-07-07 2014-07-07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7058A (zh) * 2020-07-10 2020-10-27 龚泯宇 一种桥面混凝土的自动行走式整平装置
KR20210131055A (ko) 2020-04-23 2021-11-02 이지용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26Y1 (ko) 2003-12-08 2004-03-22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100987807B1 (ko) 2008-07-18 2010-10-13 이지용 교량배수시설 공사용 파이프 오물수거구
KR101226110B1 (ko) 2012-03-30 2013-01-2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배수장치의 모래받이용 모래 수거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26Y1 (ko) 2003-12-08 2004-03-22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100987807B1 (ko) 2008-07-18 2010-10-13 이지용 교량배수시설 공사용 파이프 오물수거구
KR101226110B1 (ko) 2012-03-30 2013-01-2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배수장치의 모래받이용 모래 수거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055A (ko) 2020-04-23 2021-11-02 이지용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KR102390582B1 (ko) * 2020-04-23 2022-04-26 이지용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CN111827058A (zh) * 2020-07-10 2020-10-27 龚泯宇 一种桥面混凝土的自动行走式整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1233B2 (ja) 遮集タンク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US7799216B2 (en) Drain trap with strainer and cup
KR101700333B1 (ko)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KR101505371B1 (ko)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KR102079534B1 (ko) 교량 배수관 연결구
US7531088B2 (en) Drain trap with strainer and cup
KR101098900B1 (ko) 교량용 집수구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KR101024536B1 (ko)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KR101187656B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KR102390582B1 (ko)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KR100627572B1 (ko) 하수 맨홀 쓰레기 제거 장치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100937505B1 (ko) 배수 청소관
KR101924508B1 (ko) 우수 오염물 배제장치
KR101103420B1 (ko) 오물 수거가 용이한 교량 배수관
JP6471993B2 (ja) 取水装置
JP6473319B2 (ja) 樋部材
KR102093866B1 (ko)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0989415B1 (ko) 우수 저류시설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US20180112384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JP6418887B2 (ja) 樋部材
JP6013811B2 (ja) 樋部材
KR20170006998A (ko) 교량 집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