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020B1 - 에어 워셔 - Google Patents

에어 워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020B1
KR101504020B1 KR1020130092168A KR20130092168A KR101504020B1 KR 101504020 B1 KR101504020 B1 KR 101504020B1 KR 1020130092168 A KR1020130092168 A KR 1020130092168A KR 20130092168 A KR20130092168 A KR 20130092168A KR 101504020 B1 KR101504020 B1 KR 10150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ont panel
air washer
water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431A (ko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13009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020B1/ko
Priority to PCT/KR2014/007107 priority patent/WO2015016657A1/en
Priority to US14/909,870 priority patent/US20160175757A1/en
Priority to CN201480054202.2A priority patent/CN105593605A/zh
Priority to CA2920295A priority patent/CA2920295C/en
Priority to EP14832782.8A priority patent/EP3027974A4/en
Publication of KR2015001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6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 B01D47/18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with horizontally-arranged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7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directing the gas to be cleaned essentially tangential to the liqui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 유닛을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 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수조 유닛을 직접 전방으로 인출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유닛에 설치되는 디스크 어셈블리의 크기를 증가시켜 에어 워셔의 가습 성능과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에어 워셔 본체의 수조 수납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 또는 차폐 패널을 이용하여 수조 유닛의 수납시 수조 수납부와 수조 유닛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워셔{AIR WASHER}
본 발명은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크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수조에 물이 직접 저장되는 타입의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는 장치이다.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의 접촉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워셔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방식, 물이 적셔진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는 방식, 물막이 형성된 디스크에 공기를 송풍하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는 소음이 적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가습시 물방울이 보이지 않고, 필터의 교체가 불필요한 구조라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발명의 명칭: 가습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조립, 등록일: 2007.09.04)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에서는 제품의 하부가 물통에 의해 직접 형성되는 구조이고, 디스크 조립체가 물통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이다. 즉, 물을 보충하거나 물통과 디스크 조립체를 세척하는 경우, 제품의 상부를 형성하는 탑 케이스와 미들 케이스를 물통과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따라서, 물을 보충하거나 물통과 디스크 조립체를 세척하는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부품의 분해와 조립 과정에서 부품의 파손, 분실 및 오조립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발명의 명칭: 가습기, 공개일: 2006.03.02)에는 수조가 가습기 본체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는 디스크 타입이 아닌 필터 타입의 제품이고,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탱크가 적용된 구조이다. 따라서,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에서는 수조의 인출시 급수 탱크를 먼저 분리해야 하므로 수조의 인출 작업이 복잡하고, 급수 탱크의 장시간 사용시 급수 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부패 또는 오염될 가능성도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어 워셔 본체에서 전방으로 수조 유닛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고, 수조 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생략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 유닛의 수납시 수조 유닛과 디스크 어셈블리가 수납되는 수조 수납부를 완전히 차폐하여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 유닛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용량이 큰 디스크 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에어 워셔 본체;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 유닛;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디스크 어셈블리; 및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물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수조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과 디스크 어셈블리를 에어 워셔 본체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조 유닛의 내부에 물을 간편하게 공급하고 수조 유닛과 디스크 어셈블리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생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수조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수납부에는 상기 수조 유닛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상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수납부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 및 수납시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차폐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에어 워셔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수조 수납부를 완전 개방시키는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여닫이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전면 패널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미닫이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전면 패널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시계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 및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 및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전면 패널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전면 패널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구비된 탄성 부재, 및 상기 전면 패널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된 상태로 잠금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구비된 잠금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수조 유닛의 이동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 이전에 상기 에어 워셔 본체 또는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후면부 및 상기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후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공기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 경로에서 벗어나는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 경로에 배치된 디스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는 상기 물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조 유닛과 함께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수조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수납부에는 상기 수조 유닛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수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여닫이 타입, 미닫이 타입 또는 시계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상기 수조 수납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에는 공기 흡입구 또는 공기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 또는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수조 유닛을 간편하게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조 유닛의 물 수용부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수용부에 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존에 사용되던 물통을 생략 가능하므로, 물통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제품 사이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수조 유닛의 인출시 물통을 분리하는 작업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디스크 어셈블리가 배치된 수조 유닛을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조 유닛과 디스크 어셈블리의 청소 및 유지보수를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의 수납시 차폐 패널 또는 전면 패널이 수조 수납부를 완전히 차폐하는 구조이므로,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에어 워셔의 상품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의 인출시 차폐 패널 또는 전면 패널이 수조 수납부를 완전히 개방하는 구조이므로, 디스크 어셈블리와 함께 수조 유닛을 원환하게 인출할 수 있고, 디스크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크게 증대시켜 에어 워셔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전면 패널의 디자인 및 개폐 방식을 설계 조건, 주변 상황, 또는 최근 트랜드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외관을 갖는 제품 라인업(line-up)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전면 패널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제품의 심미감 저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전면 패널의 판매로 인한 새로운 사업 영역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의 인출시 수조 유닛의 이동만으로 전면 패널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수조 유닛의 인출 직전에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면 패널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을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수조 유닛의 인출과 수납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의 하부를 나타낸 우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에서 수조 유닛의 인출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에어 워셔의 하부를 나타낸 우측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에어 워셔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의 하부를 나타낸 우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에서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 송풍 유닛(미도시), 디스크 어셈블리(120), 및 수조 유닛(130)을 포함한다.
송풍 유닛은 에어 워셔(100)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에어 워셔(100)에서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송풍 유닛은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송풍기, 및 그 송풍기의 주위에 배치되는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유닛이 발명의 특징부와 관련이 없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 워셔 본체(110)는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부에는 송풍 유닛, 디스크 어셈블리(120), 및 수조 유닛(130)이 수용될 수 있다.
에어 워셔 본체(110)에는 공기 흡입구(112) 및 공기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12)는 외부 공기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측으로 흡입하는 부분으로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후면부 및 후술하는 전면 패널(14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4)는 가습 및 세척된 공기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송풍 유닛은 공기 흡입구(112)와 공기 배출구(114)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유닛이 공기 배출구(114)의 하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면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에어 워셔 본체(11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수조 수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수납부(116)는 수조 유닛(13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다. 수조 유닛(130)은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140) 및 에어 워셔 본체(110)의 후면부에는 공기 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를 디스크 어셈블리(120)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18)는 전면 패널(140) 또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후면부에서 에어 워셔 본체(110) 내의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가이드(118)의 상단부는 공기 흡입구(11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에어 가이드(118)의 하단부는 디스크 어셈블리(12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공기 흡입구(112)와 공기 배출구(114)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디스크 회전축(122), 디스크 플레이트(124), 및 구동 플레이트(126)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회전축(122)은 후술하는 수조 유닛(130)의 축 지지부(134)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회전축(122)에는 디스크 플레이트(124)와 구동 플레이트(126)가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트(124)와 구동 플레이트(126)는 디스크 회전축(12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트(124)는 디스크 회전축(122)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의 하부는 수조 유닛(130) 내의 물에 잠긴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이 디스크 회전축(122)과 함께 회전되면,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표면에 물막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물막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가습과 세척이 실시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26)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성으로서, 외주부 둘레를 따라 구동력이 입력되는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26)는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의 외측에 단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조 유닛(130)은 에어 워셔(100)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수조 유닛(130)의 내부에는 디스크 어셈블리(1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조 유닛(13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수조 수납부(116)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조 유닛(130)은 수조 본체(132) 및 축 지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수조 본체(132)는 물이 저장되는 박스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에는 물 수용부(136)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조 본체(132)는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조 본체(132)의 하면부의 전방에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사용하는 손잡이부(13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 워셔 본체(110)의 하면부의 전방에는 손잡이부(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손잡이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에 수납된 경우, 손잡이홈(110a)을 통해 손잡이부(138)에 손을 넣어 전방으로 당기면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부(138)를 눈에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에어 워셔(100)의 디자인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축 지지부(134)는 디스크 회전축(122)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물 수용부(136)의 양측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물 수용부(13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의 하부는 물 수용부(136) 내의 물에 잠긴 상태이고,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의 상부는 물 수용부(136)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즉,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물 수용부(136)의 내부에 배치되되,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상부가 수조 본체(13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크기를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에어 워셔(100)의 가습 성능 및 세척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크기가 커지면, 수조 수납부(116)도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디스크 플레이트(124)와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크게 확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에 수납된 경우, 에어 워셔(100)의 전면에는 디스크 어셈블리(120)와 수조 유닛(130)의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공간(S)이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전면 패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140)에는 공기 흡입구(112)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140)의 배면에는 에어 가이드(118)가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패널(140)은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에어 워셔(10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전면 패널(140)은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본체(132)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완전히 차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면 패널(140)이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완전히 차폐하면, 에어 워셔(100)의 전방에서 공간(S)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에어 워셔(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공간(S)을 통해 에어 워셔(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전면 패널(140)의 전면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문양이나 그림을 추가할 경우, 전면 패널(140)의 사용으로 인해서 에어 워셔(100)의 상품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140)은 고객의 취향에 따라 교체 가능한 구조이므로, 에어 워셔(100)의 외관 및 디자인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고, 최근의 트랜드에 따라 신속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140)은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수조 수납부(116)를 완전 개방시키는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과 전면 패널(140)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전면 패널(140)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수조 수납부(116)에서 전방으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140)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여닫이(hinged door)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패널(14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패널(140)의 상단부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면 패널(140)의 개방 각도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에 간섭되지 않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140)의 하단부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의 상단부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14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와 함께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덮는 구조이다. 즉, 에어 워셔(100)의 전면은 전면 패널(140) 및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탄성 부재(150) 및 잠금 기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전면 패널(140)에 개방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탄성 부재(150)는 전면 패널(140)과 에어 워셔 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150)는 전면 패널(140)의 힌지축에 구비된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전면 패널(14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 기구(160)는 전면 패널(140)을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배치된 상태로 잠금시키는 부재이다. 잠금 기구(160)는 전면 패널(14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 기구(160)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의 상단부에 걸리는 후크(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후크(162)는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162)의 일측에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 상태에서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의 상단부에 걸리는 걸림면(162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162)의 타측에는 수조 유닛(130)이 수납된 이후에 전면 패널(140)을 차폐시키는 경우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의 상단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도록 경사면(16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기구(160)에 의한 전면 패널(140)의 구속 상태는 수조 유닛(130)을 인출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그 전면 패널(140)은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140)은 수조 유닛(130)을 수납한 이후에 전면 패널(140)을 닫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잠금 기구(16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 과정에서 잠금 기구(160)의 잠금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잠금 기구(160)의 구조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 기구(16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조작부(미도시)가 에어 워셔 본체(110) 또는 전면 패널(14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작부는 누름 버튼, 회전 노브, 슬라이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의 인출 이전에 조작부를 조작하여 잠금 기구(16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전면 패널(14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와 도 8에는 여닫이(hinged door) 타입의 전면 패널(140)에 대한 다른 변형예가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에어 워셔(102)의 우측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142)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142)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의 전면이 전면 패널(140) 및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에 의해서 형성되나, 도 5에 도시된 에어 워셔(102)의 전면은 전면 패널(142)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 워셔(102)의 전면 모습을 보다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142)의 교체를 통해 에어 워셔(102)의 전면 디자인을 완전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에어 워셔(104)의 우측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144)이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144)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의 전면이 전면 패널(140) 및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에 의해서 형성되나, 도 6에 도시된 에어 워셔(104)의 전면은 전면 패널(144),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 및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전면 패널(144)은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차폐시킬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도 1 내지 도 3의 전면 패널(14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흡입구(112) 및 에어 가이드(118)를 전면 패널(144)에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공기 흡입구(112) 및 에어 가이드(118)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전면 패널(144)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에어 워셔(106)의 상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146)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146)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면 패널(140)에서는 전면 패널(140)의 상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나, 도 7에 도시된 전면 패널(146)에서는 전면 패널(146)의 측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다. 따라서, 에어 워셔(106)의 설치 공간 또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전면 패널(146)의 개폐 방향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에어 워셔(108)의 상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148)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148)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 패널(148)들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면 패널(140)에서는 전면 패널(140)의 상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나, 도 8에 도시된 전면 패널(148)에서는 전면 패널(148)의 측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8에는 여닫이(hinged door) 타입의 전면 패널(140, 142, 144, 146, 148)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 워셔(100, 102, 104, 106, 108)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에어 워셔(100)의 장시간 사용시 물이 부족하거나,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에어 워셔(100)가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의 청소 또는 유지보수를 일정 시간마다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물의 보충, 물의 교환, 수조 유닛(130)의 청소와 유지보수, 또는 디스크 어셈블리(120)의 청소와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외부로 인출할 필요성이 있다.
먼저, 에어 워셔(100)의 작동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수조 유닛(130)의 손잡이부(138)를 잡아서 수조 유닛(130)을 전방으로 끌어 당긴다.
그러면, 수조 유닛(130)은 디스크 어셈블리(120)와 함께 수조 수납부(116)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그 과정에서 잠금 기구(16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전면 패널(140)이 개방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조 유닛(130)의 전방 인출시 수조 본체(132)와 잠금 기구(160) 간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잠금 기구(16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전면 패널(14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전면 패널(140)이 최대로 회전되면, 수조 수납부(116)를 완전히 개방시켜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가 에어 워셔 본체(1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면,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깨끗하게 세척하거나 또는 정비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의 물 수용부(136)에 저장된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로 다시 채울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수조 유닛(130)의 물 수용부(136) 내에 설치한 후 수조 유닛(130)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수조 수납부(116)에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이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가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전면 패널(140)을 원위치로 회전시킨다.
전면 패널(140)을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전면 패널(140)에 구비된 잠금 기구(160)가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에 걸려서 전면 패널(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전면 패널(14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차폐시키는 위치에서 잠금 기구(160)에 의해 동작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방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유닛(130)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의 세척 또는 유지 보수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2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에어 워셔(200)의 하부를 나타낸 우측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20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과 상이한 점은, 전면 패널(240)이 미닫이(sliding door) 타입으로 개폐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전면 패널(24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미닫이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패널(24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패널(240)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연결 구조는 통상의 슬라이딩 이동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면 패널(240)은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수조 수납부(116)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면 패널(240)은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유닛(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이 완전히 차폐되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240)의 승강 거리는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유닛(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200)도, 전면 패널(240)에 개방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미도시), 및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유닛(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이 차폐되는 상태로 전면 패널(240)을 구속하는 잠금 기구(26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전면 패널(24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전면 패널(240)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사이에 구비된 일자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전면 패널(240)의 배면에 연결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잠금 기구(260)는 전면 패널(24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 기구(260)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0)에 걸리는 후크(2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후크는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의 일측에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 상태에서 수조 본체(132)의 걸림턱(230)에 걸리는 걸림면(262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의 타측에는 수조 유닛(130)이 수납된 이후에 전면 패널(240)을 차폐시키는 경우 수조 본체(132)의 걸림턱(230)을 타고 넘어가도록 경사면(26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면 패널(240)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면 패널(140)과 비교하여 에어 워셔(200)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에어 워셔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1 내지 도 14에는 미닫이(sliding door) 타입의 전면 패널(240)에 대한 다른 변형예가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에어 워셔(202)의 우측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242)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242)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에어 워셔(200)의 전면이 전면 패널(240) 및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에 의해서 형성되나, 도 11에 도시된 에어 워셔(202)의 전면은 전면 패널(242)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 워셔(202)의 전면 모습을 보다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242)의 교체를 통해 에어 워셔(202)의 전면 디자인을 완전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 수납부(116)의 개방시 전면 패널(242)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매우 크게 증가되므로, 에어 가이드(118)의 간섭 위험이 높아서 전면 패널(242)에 에어 가이드(118)의 형성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가이드(118)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에어 워셔(204)의 우측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244)이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244)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에어 워셔(200)의 전면이 전면 패널(240) 및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에 의해서 형성되나, 도 12에 도시된 에어 워셔(204)의 전면은 전면 패널(244),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 및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전면 패널(244)은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차폐시킬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도 9의 전면 패널(24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244)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면 패널(244)은 에어 워셔 본체(110)와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전면 패널(244)의 상방향 이동시 전면 패널(244)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가이드(118)를 전면 패널(244)의 배면에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에어 가이드(118)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전면 패널(244)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에어 워셔(206)의 상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246)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246)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전면 패널(240)에서는 전면 패널(240)의 양측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양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나, 도 13에 도시된 전면 패널(246)에서는 전면 패널(246)의 상부와 하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상부와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다. 따라서, 에어 워셔(206)의 설치 공간 또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전면 패널(246)의 개폐 방향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에어 워셔(208)의 상면도를 살펴보면, 전면 패널(248)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 및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248)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 패널(248)들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전면 패널(240)에서는 전면 패널(240)의 양측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양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나, 도 14에 도시된 전면 패널(248)에서는 전면 패널(248)의 상부와 하부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상부와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이다. 또한, 전면 패널(248)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 내지 도 14에는 미닫이(sliding door) 타입의 전면 패널(240, 242, 244, 246, 248)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 워셔(200, 202, 204, 206, 208)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300)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5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30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과 상이한 점은, 전면 패널(340)이 시계 타입으로 개폐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전면 패널(34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시계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패널(34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회전축(3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회전축(310)에 전면 패널(340)이 연결될 수 있다.
전면 패널(340)은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수조 수납부(116)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전면 패널(340)은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의 인출 경로 상에서 벗어날 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34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양측에 전면 패널(34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300)도, 전면 패널(340)에 개방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미도시), 및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유닛(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이 차폐되는 상태로 전면 패널(340)을 구속하는 잠금 기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회전축(310)에 구비된 비틀림 스프링이거나, 또는 에어 워셔 본체(110)와 전면 패널(340)의 사이에 구비된 일자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 기구는 전면 패널(340)의 배면에 구비되되,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홀에 걸리는 후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5에 도시된 전면 패널(34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에어 워셔(300)의 전방 및 상측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400)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6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40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과 상이한 점은, 전면 패널(340)이 생략되고,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유닛(130) 사이의 공간(S)을 차폐하는 차폐 패널(440)이 구비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차폐 패널(440)은 수조 유닛(130)의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패널 형상의 부재이다. 차폐 패널(440)은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 사이의 공간(S)을 차폐할 수 있는 높이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에 차폐 패널(440)을 적용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유닛(130) 사이의 공간(S)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에어 워셔
110: 에어 워셔 본체
118: 에어 가이드
120: 디스크 어셈블리
130: 수조 유닛
140, 240, 340: 전면 패널
150: 탄성 부재
160: 잠금 기구
440: 차폐 패널
S: 수조 유닛과 수조 수납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Claims (21)

  1.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에어 워셔 본체;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 유닛;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디스크 어셈블리; 및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물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수조 수납부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구비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수조 유닛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수조 수납부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에 탄성력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개방 방향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구비된 탄성 부재; 및
    상기 전면 패널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전면 패널의 개방 동작을 잠금시키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구비된 잠금 기구;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상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 수납부는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가 함께 통과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수조 유닛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조 수납부를 개방시키는 위치에 자동적으로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되는 에어 워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수납부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 유닛은 상기 수조 수납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전방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조 유닛에 의해 잠금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조 유닛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한 이후에 상기 전면 패널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잠금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교체 가능한 구조로 배치된 에어 워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여닫이 타입으로 구비된 에어 워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미닫이 타입으로 구비된 에어 워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시계 타입으로 구비된 에어 워셔.
  9.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 및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 및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12.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전면부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배치된 에어 워셔.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수조 유닛의 이동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 이전에 상기 에어 워셔 본체 또는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1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후면부 및 상기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후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에어 워셔.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30092168A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KR10150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68A KR101504020B1 (ko)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PCT/KR2014/007107 WO2015016657A1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US14/909,870 US20160175757A1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CN201480054202.2A CN105593605A (zh) 2013-08-02 2014-08-01 空气净化器
CA2920295A CA2920295C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EP14832782.8A EP3027974A4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68A KR101504020B1 (ko)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3388A Division KR20150022959A (ko) 2015-01-28 2015-01-28 에어 워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31A KR20150017431A (ko) 2015-02-17
KR101504020B1 true KR101504020B1 (ko) 2015-03-18

Family

ID=5243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68A KR101504020B1 (ko)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75757A1 (ko)
EP (1) EP3027974A4 (ko)
KR (1) KR101504020B1 (ko)
CN (1) CN105593605A (ko)
CA (1) CA2920295C (ko)
WO (1) WO2015016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99B1 (ko) * 2014-09-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셔
US10180259B2 (en) 2015-10-30 2019-01-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267528B2 (en) 2015-10-30 2019-04-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0113759B2 (en) 2015-10-30 2018-10-3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74130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EP3163205B1 (en) * 2015-10-30 2024-02-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97B1 (en) * 2015-10-30 2020-02-26 LG Electronics Inc.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16572B1 (ko) * 2018-01-19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2335055B1 (ko) * 2018-03-07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08356B1 (ko) * 2018-03-07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3125B1 (ko) * 2018-03-16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8746050A (zh) * 2018-04-26 2018-11-06 无锡泰源机器制造有限公司 安装可拆卸水箱的箱式清洗机
CN210717936U (zh) * 2019-09-11 2020-06-09 覃永 一种潜水式上加水加湿器
CN110986233A (zh) * 2019-12-18 2020-04-10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加湿器
KR20210101899A (ko) * 2020-02-11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469013B1 (ko) * 2020-08-14 2022-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80726B1 (ko) * 2020-09-23 2023-09-20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가이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8308A (ja) * 2005-03-15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
KR20070091713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파비스코리아 냉풍기의 냉각수통 인출구조
KR20110001958A (ko) * 2009-06-30 2011-01-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가습기
KR101224646B1 (ko) * 2008-07-30 2013-01-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내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0589A (en) * 1968-09-30 1971-10-05 Gen Electric Canada Humidifier
KR100467665B1 (ko) * 2002-10-02 2005-01-24 김선 자연증발식 가습기
CN2833402Y (zh) * 2005-09-19 2006-11-01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扇
JP4628327B2 (ja) * 2006-08-08 2011-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KR20110039692A (ko) * 2009-10-12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 가습기 및 그 디스크 어셈블리
KR20120019790A (ko)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리홈 탈착 가능한 토출 패널을 구비한 가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8308A (ja) * 2005-03-15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
KR20070091713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파비스코리아 냉풍기의 냉각수통 인출구조
KR101224646B1 (ko) * 2008-07-30 2013-01-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내기
KR20110001958A (ko) * 2009-06-30 2011-01-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3605A (zh) 2016-05-18
CA2920295A1 (en) 2015-02-05
US20160175757A1 (en) 2016-06-23
CA2920295C (en) 2017-09-05
EP3027974A1 (en) 2016-06-08
WO2015016657A1 (en) 2015-02-05
KR20150017431A (ko) 2015-02-17
EP3027974A4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020B1 (ko) 에어 워셔
KR101504021B1 (ko) 에어 워셔
KR101223773B1 (ko) 손 건조 장치
KR20150146185A (ko) 에어 워셔
KR20150022959A (ko) 에어 워셔
KR2020011143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14204774A (ja) 食器洗い機
CN111503726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20150022951A (ko) 에어 워셔
JP2019208583A (ja) 食器洗い機
KR10227063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6026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CN219895674U (zh) 一种前开门式洗鞋机
JP4612724B2 (ja) 食器洗浄機
KR10229307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N214469075U (zh) 空气调节装置
JP5758772B2 (ja) 食器洗浄機
JP2006167021A (ja) 食器洗い機
TWI677610B (zh) 洗衣烘乾機
JP2006263106A (ja) 食器洗浄機
KR20220059738A (ko) 식기 세척기
TW201420057A (zh) 餐具清洗機
JP2006000189A (ja) 食器洗浄機
JP2010131186A (ja) 遊技機用ヒンジ機構
KR2020010286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