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808B1 - 승강형 수납장 - Google Patents

승강형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808B1
KR101503808B1 KR1020120105591A KR20120105591A KR101503808B1 KR 101503808 B1 KR101503808 B1 KR 101503808B1 KR 1020120105591 A KR1020120105591 A KR 1020120105591A KR 20120105591 A KR20120105591 A KR 20120105591A KR 101503808 B1 KR101503808 B1 KR 10150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ase
screw rod
rail
rotary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069A (ko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김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곤 filed Critical 김영곤
Publication of KR2013013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형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비해 수납장의 승강구조를 간소화 함으로써 제작이 손쉽고 고장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함은 물론, 유지보수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기존에 비해 수납장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하중에 의한 승강구조의 파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승강구조와 관련된 불필요한 공간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제품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형 수납장{CABINET OF ELEVATING TYPE}
본 발명은 주방 등에서 사용되는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장 전체가 상하 승강되도록 하여 수납물품의 수납이 편리하도록 하되, 기존에 비해 승강구조를 간소화함과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는 싱크대 등의 수납장이 여러 군데 설치된다.
대부분 가정 주방의 경우 개수대의 위쪽에도 수납장이 설치되는데, 이 수납장의 경우 개수대의 수도밸브와의 간격을 고려해 대부분 타 수납장에 비해 높은 지점에 위치된다.
따라서 여성이나 어린이처럼 신장이 작은 사람은 해당 수납장의 사용이 매우 불편하여 의자 등을 이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종래 기술은 수납장이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납장을 승강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그런데 이 종래기술은 수납장이 여러 개의 링크를 통해 케이스와 연결되고 각 링크의 회동에 의해 인출 및 승강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링크구조는 여러 개의 링크가 사용되다 보니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고장발생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그리고 수납장이 승강과정에서 일정궤도의 호를 이루면서 이동되는데, 이 경우 수납장의 무게 및 수납물품의 무게하중이 모두 링크에 집중될 수밖에 없고, 링크구조는 구조특성 상 지지력이 높지 못하기 때문에 수납장의 무게로 인해 각 링크 간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그리고 이렇게 여러 개의 링크가 연결된 구조에서는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의 전달구조가 복잡한 단점도 있다.
또한 위 설명처럼 수납장이 호를 이루며 승강됨에 따라 이동반경이 클 수밖에 없어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수납장의 무게하중이 더욱 크게 작용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수납장이 이렇게 호 형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케이스와 수납장의 상부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해야만 상호간의 충돌이 방지된다. 하지만 이렇게 수납장과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충돌방지만을 위해 형성될 뿐 수납기능은 전혀 갖지 못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체 제품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단점도 갖는다.
또한 수납장의 양측 벽과 케이스의 양측벽 사이에도 링크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제품크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37711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5-30353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기존에 비해 수납장의 승강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작이 손쉽고 고장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은 물론, 유지보수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승강형 수납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에 비해 수납장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하중에 의한 승강구조의 파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형 수납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승강구조와 관련된 불필요한 공간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제품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형 수납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전면과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설치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장,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구동모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과 상기 수납장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후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며 전단부쪽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위치하고 있는 회전나사봉, 상기 수납장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나사봉에 체결되어 회전나사봉의 회전 시 회전나사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이동유도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나사봉과 상기 이동유도부재는 상기 수납장의 양측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는 상기 회전나사봉과 동일하게 기울어진 형태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유도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과 상기 수납장의 측벽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회전나사봉과 동일하게 기울어진 형태의 지지레일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과 상기 수납장의 측벽 중 다른 한 곳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일에 삽입되어 지지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각 회전나사봉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해당 회전나사봉 및 반대쪽에 위치한 타 회전나사봉을 연결하여 회전나사봉의 회전력을 타 회전나사봉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 둘레면 중 어느 한쪽 이상에는 케이스의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수납장이 회전나사봉의 회전 시 이동유도부재와 함께 회전나사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승강되므로, 기존에 비해 수납장의 승강구조가 간소해져 제작이 손쉬워질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 가능성이 최소화 되고 유지보수도 손쉬워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회전나사봉과 이동유도부재가 수납장의 양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작동되기 때문에 수납장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또한 이동부재가 케이스의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납장과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부재와 가이드레일이 수납장의 무게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안정적인 승강이 유도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지지레일 및 이에 연결된 지지부재가 더 설치됨에 따라 수납장의 승강 이동 과정에서 수납장의 지지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더불어 구동모터가 양 회전나사봉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되 해당 회전나사봉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통해 반대쪽 회전나사봉에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모터 설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고 공간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 회전나사봉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됨으로 수납장의 승강 시 양 쪽 구동력의 편차발생 현상이 방지됨으로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 둘레면에 별도의 보강프레임을 중첩 설치함으로써 케이스의 하부가 개방되더라도 케이스의 휨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전체 결합상태에서의 전 단면도
도3은 수납장의 하강 전 상태의 측단면도
도4는 수납장이 하강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5는 동력전달부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6은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7은 케이스 내부둘레면에 보강프레임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승강형 수납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0)와 수납장(200), 승강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100)는 명칭 그대로 후술하는 수납장의 외부케이싱 역할과 동시에 수납장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에는 수납장(200)의 수용을 위한 설치공간(110)이 형성된 상태에서 전면과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벽면이나 천장 등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좌우 내측 면 중간 지점에는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되는데, 가이드레일(120)은 케이스(100)와 후술하는 수납장(200)간의 연결기능과 더불어 수납장(20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20)은 케이스(100)의 좌우 내측 면에 일정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되되 수납장의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직선 레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레일(120)은 후단부로부터 전단부쪽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사선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납장의 승강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케이스의 휨 현상이 방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케이스()의 내부 둘레에 별도의 보강프레임(101)을 덧 댄 형태로 형성시킴에 따라 보강프레임(101)이 케이스의 양측 벽과 후면판을 동시에 잡고 있는 상태가 됨으로 케이스의 휨 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참고로 보강프레임(101)은 도면과 같이 케이스의 내부면이 아니라 외부둘레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와 외부둘레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프레임(101)은 금속 등의 휨 강도가 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0)에는 이러한 가이드레일(120)외에 지지레일(130)이 더 형성된다.
지지레일(130)은 수납장(200)의 안정적인 설치 및 승강과정에서 수납장을 비롯한 수납물의 무게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120)처럼 일정깊이를 갖는 레일홈(132)이 형성되고 레일홈(132)에는 레일플레이트(134)가 삽입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레일홈(132)은 가이드레일(120)과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레일(120)을 기준으로 상하 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레일플레이트(134)는 지지레일(130) 중에서 실질적인 레일 기능 및 수납장의 승강과정에서 후술하는 지지부재(350)와의 마찰에 의한 케이스 훼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일홈(132)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각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마찰력에 의한 마모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이렇게 레일플레이트(134)까지 형성된 케이스(100)의 후측 내벽면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310)의 설치를 위한 모터설치홈(140)이 더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케이스(100)에는 수납장(200)이 설치된다.
수납장(200)은 수납물품의 실질적인 수납기능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설치공간(110)과 비슷한 크기를 갖는 박스 형태이고 내부에는 수납물의 수납공간(2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폐문(2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납장(200)은 케이스(100)의 설치공간(110)에 삽입되어, 개폐문(220)이 케이스(100)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설치된 수납장(200)과 케이스(100)에는 승강구동부(300)가 연결된다.
승강구동부(300)는 수납장(200)의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수납장(200)과 케이스(100)간의 연결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구동모터(310)와 회전나사봉(320) 및 이동유도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구동모터(310)는 승강구동부(300) 중 실제 구동력이 발생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회전모터가 사용되며 케이스(100)의 모터설치홈(14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구동모터(310)가 모터설치홈(140)에 삽입 설치됨에 따라, 케이스(100)의 설치공간(110)내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소모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구동모터(310)는 케이스(100) 후벽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참고로 구동모터(310)는 별도의 제어부(600)와 연결되고 별도의 조작버튼(700)을 통해 작동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600)가 구동모터(310)에 작동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구동모터의 작동여부가 제어된다.
회전나사봉(320)은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을 수납장(200)으로 전달하여 수납장의 승강 작동 유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120) 및 지지레일(130)과 거의 동일한 길이의 봉 형태이고 둘레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나사봉(320)은 두개로 구비되어 각 회전나사봉(320)의 후단부가 구동모터(310)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전측을 향해 인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각 회전나사봉은 가이드레일(120)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각 가이드레일(120)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동모터(310) 및 회전나사봉(320)과 함께 승강구동부(300)를 구성하는 이동유도부재(330)는 수납장(200)과 회전나사봉(320) 간의 연결기능 및 수납장(200)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각 블록 형태이고 수납장(200)의 양측 벽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 이동유도부재(330)는 양 가이드레일(120)에 삽입되어 가이드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이동유도부재(330)에는 관통공이 전후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각 회전나사봉(320)이 관통공에 관통됨에 따라, 결국 수납장(200)이 이동유도부재(330)를 매개로하여 회전나사봉(32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이동유도부재(330)가 가이드레일(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납장(200)과 회전나사봉(320)을 연결함에 따라, 수납장(200)의 무게하중이 회전나사봉(320)에 집중되지 않고 이동유도부재(330)와 가이드레일(120)을 통해 케이스(100)에 분산된다.
따라서 수납장의 무게에 의해 회전나사봉의 회전이 방해되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회전나사봉과 구동모터 간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이동유도부재(330)와 회전나사봉(320)은 일반적인 볼스크류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이동유도부재(330)가 회전나사봉(320)의 회전 시 회전나사봉(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 직선 이동되는 구조를 갖고, 이로 인해 수납장(200)도 함께 사선방향으로 전후 직선 이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승강구동부(3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수납장(200)에는 지지부재(350)가 더 설치된다.
지지부재(350)는 수납장(200)의 추가적인 지지체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승강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블록 형태이고 수납장(200)의 양 측면 중 지지레일(130)과 마주보는 지점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레일(130)의 레일플레이트(134)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수납장(200)이 사선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350)도 지지레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지지부재와 지지레일(130)간 결합구조에 의해 수납장(200)의 무게하중은 이동유도부재(330)를 비롯해 지지부재(350)를 통해서도 케이스에 분산된 상태로 전달되므로 수납장이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레일(130)과 지지부재(350)의 설치위치가 반대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즉 지지레일(130)이 수납장(200)의 양측 면에 형성되고 지지부재가 케이스(100)의 양 내측 면에 돌출 형성된 구조로도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이동유도부재(330)와 가이드레일(120)만으로 수납장(200)의 무게하중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다면 지지부재(350)와 지지레일(130)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예에 의한 본 실시예의 직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처럼 평소 수납장(200)이 케이스(100)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수납장(200) 및 내부의 수납물 하중이 아래쪽으로 작용되는데, 이때 수납장(200)은 이동유도부재(330)와 지지부재(350)를 통해 케이스(100)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장(200)의 무게하중은 회전나사봉에 집중되지 않고 이동유도부재(330)와 지지부재(350)를 통해 분산된 상태로 케이스에 전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전나사봉(320)과 구동모터(310)간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수납장 전체가 안정적으로 케이스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수납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조작버튼(700)을 누르면 제어부(600)로부터 작동신호가 부여됨에 따라 각 구동모터(310)가 동시에 작동되고, 이로 인해 각 회전나사봉(320)이 회전된다.
회전나사봉(320)이 회전됨에 따라 양 이동유도부재(330)가 회전나사봉(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납장(200)도 함께 앞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나사봉(320)이 사선방향으로 위치됨에 따라 수납장(200)이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사선방향으로 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동유도부재(330)가 가이드레일(120)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유도부재(330)는 가이드레일(120)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유도부재(330)가 가이드레일(120)에 삽입 및 걸쳐진 상태로 이동됨에 이동과정에서 수납장의 하중이 분산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가이드레일(120)이 회전나사봉(320)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수납장의 사선인출 및 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유도부재(330)와 더불어 지지부재(350)가 지지레일(130)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납장(200)이 전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납장(200)의 하중이 추가적으로 분산되므로 안정적이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지레일(130)도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납장(200)의 사선인출 및 하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수납장이 사선방향으로 충분히 하강되어 이동유도부재(330)나 지지부재(350)가 가이드레일(120)이나 지지레일(130)의 단부 부근까지 위치되면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수납장의 하강을 중지시킨다.
이렇게 수납장의 하강이 완료되면 [도 6]처럼 개수대 앞에 서 있는 사용자가 팔을 들어 올리면 수납장의 개폐문을 개폐함은 물론 수납장 안의 수납물품을 빼내거나 수납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장을 사용한 뒤 다시 작동신호를 부여하면 구동모터가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위와 반대 과정을 통해 수납장이 사선 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케이스내부에 삽입 위치된다.
참고로 [도 4]과 같이 이동유도부재(330)나 지지부재(350)에 별도의 센서(500)를 설치하여 수납장(200)의 승강과정에서 이동유도부재(330)나 지지부재(350)가 각 레일의 단부 부근에 위치될 경우 구동모터(310)가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500)는 지지부재(350)나 이동유도부재(330)가 아닌 지지레일(130)이나 가이드레일(120)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300)가 단순히 구동모터 및 회전나사봉으로 이루어짐으로 기존 링크구조에 비해 구조가 훨씬 간소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수납장이 단순히 회전나사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기존에 비해 훨씬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수납장(200) 상부면과 케이스 상부 사이에 충돌방지용 공간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납장의 무게하중이 이동유도부재와 가이드레일 및 지지부재와 지지레일을 통해 분산됨으로 무게 하중에 수납장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수납장이 추락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회전나사봉(320)과 구동모터(310), 이동유도부재(330) 및 지지부재(350)가 모두 가이드레일(120)과 지지레일(130) 및 모터설치홈(140)에 삽입되는 형태이므로 위 구성의 설치에 필요한 추가적인 공간소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체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변형예 중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적으로 회전나사봉(320)과 이동유도부재(330) 및 지지부재(350)가 구비된 기본 구조는 위 실시예와 동일한 반면, 승강구동부(300)의 구조를 변형시켜 구동모터(310)의 설치개수를 줄임과 동시에 양 회전나사봉(320)의 회전속도 및 작동타이밍을 항시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모터(310)가 양 회전나사봉(320)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고 추가적으로 동력전달부(40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구동모터와 연결되지 않은 회전나사봉(이하 '종동나사봉(324)이라 함)의 후단부는 케이스의 후측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400)는 구동모터(310)에 연결된 회전나사봉(이하 '구동나사봉(322)'이라 함)의 회전력을 반대쪽에 위치한 종동나사봉(324)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나사봉(322)의 후단부에 풀리(pulley)나 스프로킷(sprocket) 형태의 구동회전체(410)가 연결되고 종동나사봉(324)의 후단부에는 구동회전체(410)와 동일한 형태의 종동회전체(420)가 연결되고 구동회전체(410)와 종동회전체(420)는 벨트나 체인 등의 연결체(430)를 통해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구동모터(310)에 의해 구동나사봉(322)이 회전됨과 동시에 종동나사봉(324)이 연결체(430)를 통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회전속도 또한 동일한 상태가 된다.
참고로 각 회전나사봉마다 별도의 구동모터가 연결될 경우 각 구동모터의 상태에 따라 각 회전나사봉의 작동타이밍 및 회전속도에 차이가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 수납장(200)의 승강 시 양측에 부여되는 구동력 편차로 인해 수납장(20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동력전달부를 구비할 경우 언제나 구동나사봉(322)과 종동나사봉(324)이 동일한 타이밍 및 속도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100)의 개방되어 있는 하부에 여닫이문 형태의 도어를 설치하여 수납장이 하강되면서 도어를 아래로 밀어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어를 설치함에 따라 도어가 위 실시예의 보강프레임(101)처럼 케이스의 보강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도어의 경첩부분에는 토션스프링 형태 등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수납장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 수납장의 개폐도어를 생략하고 케이스 전면에 개폐도어를 설치하여 수납장이 하강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를 앞쪽으로 밀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고 수납장이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개폐도어가 탄성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적으로 회전나사봉(320)을 이용해 승강구동력을 얻는 기본 개념은 위 실시예와 동일하나, 승강구동력을 수납장(200)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이송와이어(800)를 사용한 것에 차이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는 도면과 같이 수납장(200)이 케이스(100) 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장(200)의 후면과 케이스(100)의 후측 내면 사이에는 공간부(1)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부(1)의 하부에는 구동모터(310)가 설치되는데, 이때 구동모터(310)의 모터축이 위쪽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구동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사용된다.
그리고 구동모터(310)은 케이스 등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나 기타 리모컨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케이스 외부에서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축에는 회전나사봉(320)이 연결되는데,
회전나사봉(320)은 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모터(310)이 최초로 출력되는 부분으로, 역시 볼스크류 형태가 사용되고 공간부 바닥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단부가 구동모터(310)의 모터축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나사봉(320)의 상단부는 별도의 베어링 하우징(B)에 의해 지지 되는데, 베어링 하우징(B)은 회전나사봉(320)의 지지기능 및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베어링이 매설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베어링 하우징(B)은 케이스(100) 중 수납장(200)의 후면과 마주하는 면 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나사봉(320)의 상단부가 내부의 베어링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이로 인해 회전나사봉(320)은 상하단부가 각각 구동모터(310)와 베어링 하우징(B)에 연결된 상태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후측면에는 직선유도레일(920)이 설치된다.
직선유도레일(920)은 회전나사봉(320)의 회전 시 후술하는 이송블록(910)의 상하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나사봉(320)과 거의 동일한 길이의 바아 형태이고 케이스의 내측면에 회전나사봉(320)과 수평 상태로 마주한 상태로 위치된다.
이 때 직선유도레일(920)의 양측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이송블록(910)과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참고로 직선유도레일(920)은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외에 케이스에 매설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가이드홈 대신에 돌기 구조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직선유도레일(920)이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나사봉(320)에는 이송블록(910)이 설치된다.
이송블록(910)은 회전나사봉(32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이송와이어(800)로 최초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각 블록 형태이고 내부에는 회전나사봉(32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공이 상하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블록(910)은 회전나사봉(320)이 나사공을 관통되어진 상태로 결합되고, 후면에는 직선유도레일과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한 레일 형태의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블록의 홈에 직선유도레일(920)이 삽입됨에 따라 이송블록(910)은 회전나사봉(320)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고 직선유도레일(9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직선이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이송블록(910)이 설치된 회전나사봉(320)의 일측에는 승강용 롤러부가 설치된다.
승강용 롤러부는 이송블록(910)의 승강력을 수납장(200)으로 최종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지지편(930)과 이송롤러(9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지지편(930)은 후술하는 이송롤러(940)의 고정 설치를 위한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의 후측면 중 회전나사봉(320)의 측부에 근접된 지점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편(930)은 단순 판재 형태 등 이송롤러(940)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이송롤러(940)를 케이스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면 지지편은 생략이 가능하다.
이송롤러(940)는 이송블록(910)의 승강력을 후술하는 이송와이어(8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롤러 형태이고 양측부가 중심축을 통해 지지편(930)에 고정설치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이송롤러(940)는 수납장(200)의 후면 중간지점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됨에 따라 후술하는 이송와이어(800)가 수납장 후면 중간지점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승강 과정에서 이송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힘이 케이스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이송롤러(940)에는 이송와이어(800)가 연결된다.
이송와이어(800)는 이송블록(910)의 승강력을 수납장(200)에 최종 전달하여 실질적인 승강유도에 필요한 구동력이 출력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와이어 형태이고 일단부가 이송블록(9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송롤러(940)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이송와이어(800)의 타단부는 수납장(200)의 후면에 연결되는데, 이때 위 설명처럼 이송와이어(800)는 수납장(200)의 후면 중간지점에 연결되어 이송와이어(800)의 구동력이 수납장 양측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이송와이어(800)는 이송블록(910)의 승강 시 이송롤러(940)를 중심으로 당김과 풀림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와 연결된 수납장(200)이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이송와이어는 금속와이어 등 자체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파단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케이스(100)의 내측 양측면에는 레일홈(132)이 전측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기울어진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레일홈(132)에는 레일플레이트(134)가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수납장(200)의 양측부에는 지지부재(350)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재(350)가 레일플레이트(13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수납장(100)은 이송와이어(800)에 의해 승강하는 과정에서 사선방향으로 승강이 유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0]와 같이 수납장(200)이 케이스(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송블록이 회전나사봉(320)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이송와이어(800)는 완전히 당겨진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수납장(200)은 이송와이어(800)의 당김력에 의해 당겨져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장(200)을 아래로 내리고자 할 경우,
구동모터(310)를 작동시키면 회전나사봉(320)이 회전되고, 이로 인해 이송블록(910)이 회전나사봉(320) 및 직선유도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상승 된다.
이렇게 이송블록(910)이 상승함에 따라 이송와이어(800)의 타 단부는 이송롤러(940)를 기준으로 풀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수납장(20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이송와이어(800)는 항시 팽팽하게 당겨져 적정 장력을 유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수납장(200)은 하강 시 이송와이어의 풀림 길이 만큼씩만 서서히 하강 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납장(200)이 하강되는 과정에서 수납장(200)은 지지부재(350)가 레일플레이트(134)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납장(200)이 사선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하강 과정에서 점점 앞쪽으로 인출된다.
반대로 수납장(200)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 위와 반대되는 과정을 통해 수납장이 상승하여 케이스 내에 삽입상태로 위치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이송롤러(940)와 이송와이어(800)를 통해 회전나사봉의 구동력을 수납장에 전달함에 따라, 위 실시예와 달리 회전나사봉을 레일플레이트 내에 설치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이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회전나사봉을 수납장 양측에 모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적으로도 간소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2]는 이러한 이송와이어를 접목시킨 실시예의 변형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송와이어(800)의 단부를 여러 갈래로 분할 구현하여, 각 분할갈래(810)들이 수납장의 후면 중간지점을 비롯해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이송와이어에 의한 승강력이 수납장의 후면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포될 뿐만 아니라, 이송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 또한 각 분할갈래로 분산되기 때문에 수납장의 원활한 승강이 유도됨은 물론 이송와이어의 파단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지지부재(350)와 레일플레이트(134)에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이송와이어의 파단 시 수납장이 케이스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되는 안전장치의 일 실시예로는 도면과 같이 지지부재(350)의 바닥면에 매설홈(352)을 지지부재(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시키고 각 매설홈(352) 내에는 스프링(354)이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매설홈(352) 내부 중 스프링(354)의 단부에는 걸림편(353)이 위치된다.
또한 레일플레이트(134)의 하단부 부근 내부면에는 여러 개의 걸림홈(135)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다.
이 상태에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걸림편(353)이 레일플레이트(134) 중 걸림홈(135)이형성된 지점의 위쪽 구간에 위치되어 있을 시, 걸림편(353)이 레일플레이트(134)와 접촉되어 가압됨에 따라 스프링(354)이 압축되어 각 매설홈(352) 내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걸림홈(135)은 레일플레이트(134) 중 수납장의 최대 하강지점, 즉 지지부재(350)의 최대 하강지점보다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만약 수납장(200)이 하강되는 과정에서 이송와이어가 끊어졌을 경우 수납장이 자중에 의해 하강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각 걸림편(353)이 걸림홈(135)지점에 위치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 걸림편(353)이 인출되어 각 걸림홈(135)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걸림편(353)과 걸림홈(135) 간의 결합력에 의해 수납장(200)은 더 이상 하강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수납장이 회전나사봉의 회전 시 회전나사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직선이동형태로 승강되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전체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케이스 110 : 설치공간
120 : 가이드레일 130 : 지지레일
132 : 레일홈 134 : 레일플레이트
140 : 모터설치홈 200 : 수납장
210 : 수납공간 220 : 개폐문
300 : 승강구동부 310 : 구동모터
320 : 회전나사봉 330 : 이동유도부재
350 : 지지부재 400 : 동력전달부
410 : 구동회전체 420 : 종동회전체
430 : 연결체 322 : 구동나사봉
324 : 종동나사봉 500 : 센서
600 : 제어부 700 : 조작버튼

Claims (5)

  1. 전면과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설치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장,
    상기 설치공간 중 상기 수납장의 후면과 상기 케이스 사이 지점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구동모터,
    하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세워져 있는 회전나사봉,
    상기 회전나사봉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나사봉의 회전 시 회전나사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한 이동유도부재,
    상기 회전나사봉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이송롤러,
    일단부가 상하 이동유도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송롤러에 걸쳐진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수납장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와이어 중 상기 이송롤러에 걸쳐진 지점에서부터 상기 수납장에 연결된 지점까지의 구간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호 별개로 수납장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형 수납장.
  2.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벽면에는 전측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기울어져 있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장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홈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장의 승강 시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수납장.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회전나사봉과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직선유도레일,
    상기 이동유도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유도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유도부재의 상하 직선이동 과정에서 함께 상기 직선유도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송블록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와이어는 상기 이송블록을 통해 상기 이동유도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형 수납장.
  5. 제2항에서,
    상기 레일홈의 하단부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걸림홈,
    상기 지지부재의 바닥면에 상기 걸림홈과 동일한 개수 및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매설홈,
    상기 각 매설홈 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연결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각 매설홈 외부로 인출가능한 상태로 매설홈 내에 위치되어 있는 걸림편
    을 더 포함하는 승강형 수납장.
KR1020120105591A 2012-06-08 2012-09-24 승강형 수납장 KR101503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1716 2012-06-08
KR1020120061716 2012-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69A KR20130138069A (ko) 2013-12-18
KR101503808B1 true KR101503808B1 (ko) 2015-03-18

Family

ID=4998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591A KR101503808B1 (ko) 2012-06-08 2012-09-24 승강형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383A (ko) 2020-01-10 2021-07-20 최창열 수납장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10098170A (ko) 2020-01-31 2021-08-10 권진대 높이 조절형 수납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3838A (zh) * 2016-08-31 2016-12-14 天津津旅泊泰投资发展有限公司 下拉式橱柜
US11096485B2 (en) 2019-08-05 2021-08-24 Cmech (Guangzhou) Ltd. Steel cable steering device, steel cable steering system and lifting cabinet
CA3063378C (en) * 2019-08-05 2022-07-19 Cmech (Guangzhou) Ltd. Transmission assembly, power unit and lifting cabin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40U (ja) * 1993-11-02 1995-05-23 勇 草薙 棚昇降機
JPH11206474A (ja) * 1997-12-26 1999-08-03 Yon Kim Yun 厨房用機器の上下移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40U (ja) * 1993-11-02 1995-05-23 勇 草薙 棚昇降機
JPH11206474A (ja) * 1997-12-26 1999-08-03 Yon Kim Yun 厨房用機器の上下移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383A (ko) 2020-01-10 2021-07-20 최창열 수납장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10098170A (ko) 2020-01-31 2021-08-10 권진대 높이 조절형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69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808B1 (ko) 승강형 수납장
TWI457093B (zh) Lift hanging cabinet
WO2018209780A1 (zh) 电动置物架
KR20120017067A (ko) 가구 아이템
WO2022193779A1 (zh) 升降装置及储物柜
CN105455451A (zh) 一种可移动的储物橱柜
US10385600B2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JP3232196U (ja) 自動式収納棚
CN109924730B (zh) 一种可升降抽屉
KR100640905B1 (ko) 냉장고
JP2008229189A (ja) 収容棚の昇降機構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JP2009299406A (ja) 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KR20060042567A (ko) 냉장고
CN109924732B (zh) 可升降抽屉
JPH07313274A (ja) 昇降式吊戸棚
JP5452362B2 (ja) 吊戸棚
JP5452363B2 (ja) 吊戸棚
CA2976501C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CN110840370B (zh) 一种洗碗机
KR20100012675A (ko) 모니터 승강장치
KR200468250Y1 (ko) 리프트 식기건조기
KR20090065067A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JP2005137830A (ja) 昇降引出し式戸棚
KR100614083B1 (ko) 천정부착형 상품진열대의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