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893B1 -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893B1
KR101499893B1 KR20130164350A KR20130164350A KR101499893B1 KR 101499893 B1 KR101499893 B1 KR 101499893B1 KR 20130164350 A KR20130164350 A KR 20130164350A KR 20130164350 A KR20130164350 A KR 20130164350A KR 101499893 B1 KR101499893 B1 KR 10149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er
guide groove
intermediate member
abutmen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창
허재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6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893B1/ko
Priority to PCT/KR2014/012168 priority patent/WO201509932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과 연결되며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캡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안내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Attachment apparatus of dental structure}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부착력을 전체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반복된 부착과정에서 발생하는 마모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착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51585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과용 부착장치는, 지지대 헤드 또는 헤드 부분(20)과 나사산이 형성된 포스트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포스트 또는 샤프트(14)를 갖는 단일의 임플란트(12), 임플란트(12)의 헤드(20)와 분리 가능하게 스냅 맞물림을 이루는 보존 부재(15),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부분 틀니 등과 같은 치과용 기구(18) 내의 인덴트(indent) 내에 안착되도록 설계된 캡(16)을 포함한다. 임플란트(12)는 코팅된 티타늄 또는 일반적으로 치과용 앵커들 또는 지지대들에 사용되는 다른 표준적인 재료들과 같은 상대적으로 강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포스트(14)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도시우스 뼈(100) 내에 준비된 보어(bore) 내에서 직접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헤드(20)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제1 말단(22)과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곡선을 이루거나 볼록한 로케이팅(locating) 부분(23)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부분 또는 커프 부분(24)은 로케이팅 부분(23)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적으로 테이퍼져 있는 테이퍼 부분(25)은 제1 원통형 부분(24)으로부터 연장된다. 임플란트들은 서로 다른 조직의 높이를 갖는 환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커프 부분들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부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먼저, 캡(16)은 치과용 기구(18)에 형성된 구멍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데, 이때 치과용 기구(18)의 크기가 한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캡(16)의 전체적인 크기도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캡(16)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보존부재(15)도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보존부재(15)는 캡(16)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서 삽입되어 있게 되는데, 캡(16)의 크기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내부의 수용공간의 크기도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서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보존부재(15)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력이 약하게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고정력 저하로 인하여 보존부재(15)가 캡(16)으로부터 탈락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존부재(15)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보존부재(15)는 캡(16)과 임플란트(12)간의 체결 반복과정에서 마찰로 인하여 제품 손상이 발생될 염려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5158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구조물 내의 부착을 위한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쉽게 이탈되거나 탈락되지 않고, 반복적인 체결과정에서도 쉽게 마모 내지 변형이 되지 않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과 연결되며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안내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제1안내홈은 일단이 상측으로 열려진 상태에서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제2안내홈은 상기 제1안내홈의 하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제2안내홈에는 삽입되는 걸림돌기에 의하여 눌려서 탄성변형됨으로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제2안내홈 내에 고정시키는 유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하단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캡부재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기구 삽입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구 삽입홀은 다각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 내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의 하단은 상기 캡부재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중간부재는,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보다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지대주의 상단과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캡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안내홈에 의하여 안내되어 중간부재에 결합되기 때문에, 중간부재와 캡부재의 결합후에도 중간부재가 캡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며, 스냅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체결 반복시에도 마모 내지 변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염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분리도.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도 2의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가 구강 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분리도.
도 6, 7은 도 5의 치과용 구조물의 일 구성인 캡부재를 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8, 9는 도 5의 치과용 구조물의 일 구성인 중간부재를 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 11은 도 5의 치과용 구조물에서 중간부재에 캡부재가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
도 12는 도 4의 치과용 구조물이 결합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100)에 대한 것으로서, 캡부재(200), 중간부재(300) 및 지대주(400)를 포함한다.
상기 캡부재(200)는, 치과용 구조물(미도시)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진다. 또한, 캡부재(200)의 외면에는 상기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에 확고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내측으로 패여진 안착홈(21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캡부재 상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커팅부(211)가 1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캡부재(20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강 내에 삽입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캡부재의 외관은 샌드블라스팅과 같은 표면처리를 통해 거칠기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캡부재(200)의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22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220) 내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2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221)는 캡부재(200)의 하단 내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캡부재(200)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캡부재(200)의 외관은 샌드블라스팅과 같은 표면처리를 통해 거칠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300)는, 캡부재(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치과용 구조물이 구강 내 설치될 때 고정력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캡부재(200)보다 연질의 소재로서 구체적으로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능저하나 손상시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중간부재(300)는, 상기 캡부재(200)의 제1수용공간(220)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지대주(400)의 상측결합부(410)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310)와, 상기 상면부(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면부(310)와 측면부(320)에 의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제2수용공간(330)이라고 하며, 이 제2수용공간(330)은 하측으로 열려있어 지대주(400)의 상측결합부(410)가 제2수용공간(330)의 하측을 통하여 삽입되어 제2수용공간(330) 내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부(320)는 상기 상면부(310)보다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충격완화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300)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200)의 걸림돌기(221)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34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홈(340)은 상기 캡부재(200)의 걸림돌기(221)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300)가 상기 캡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아래로 떨어져)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안내홈(341)과, 상기 제1안내홈(341)과 연결되며 상기 캡부재(200)의 걸림돌기(221)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300)가 캡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아래로 떨어져)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안내홈(342)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안내홈(341)은 상단이 상측으로 열려진 상태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있어, 캡부재(200)의 걸림돌기(221)는 상기 제1안내홈(341)의 상단에서 진입하여 하강함에 따라서 제1안내홈(341)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내홈(342)은 상기 제1안내홈(341)의 하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안내홈(341)의 하단에 위치된 걸림돌기(221)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중간부재(300)가 상기 캡부재(200)로부터 떨어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안내홈(341)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선형태로 경사져서 아래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안내홈(34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 수평방향과 예각의 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2안내홈(342)에는 삽입되는 걸림돌기(221)에 의하여 놀려서 탄성변형됨으로서 상기 걸림돌기(221)를 상기 제2안내홈(342)에 위치고정시키는 유지돌기(34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돌기(343)로 인하여 제2안내홈(34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21)는 슬라이드 체결이 됨으로서 고정을 확고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300)는, 상기 캡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221)가 상기 제2안내홈(342)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300)의 하단이 상기 캡부재(200)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대주(400)와 캡부재(200)의 체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소재의 캡부재(200)와 지대주(400)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마모나 손상을 막고 제 위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대주(400)는, 상기 중간부재(300)의 제2수용공간(33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410)와, 상기 상측결합부(4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420)가 마련된다. 상기 지대주(400)는 그 자체로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조골에 이미 식립되어 있는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치조골에 이미 식립되어 있는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지대주(400)를 도시하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측결합부(41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 처리된 대략 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은 다소 평평한 평면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상측결합부(410)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기구 삽입홀(4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구 삽입홀(411)은 다각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별도의 툴없이 치과 내에 일반적으로 비치되어 있는 Hex driver 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픽스쳐 내에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대주(400)의 상단과 상기 중간부재(300)의 상면부(3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430)이 마련되어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이격공간(430)으로 인하여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완충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지대주(400)가 상기 중간부재(3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결합부(420)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치조골 내지 치과용 픽스쳐 내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측결합부(4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대주(400)를 치조골 내지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하측결합부(420)를 상기 치조골 내지 치과용 픽스쳐에 나사결합시킨다. 이후에는, 치과용 구조물의 결합공 내에 이미 삽입되어 위치고정되어 있는 캡부재(200)에 중간부재(30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간부재(300)는 상기 제1수용공간(220)의 열려진 하측을 통하여 진입하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200)의 걸림돌기(221)가 제1안내홈(341)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할 수 있도록 중간부재(300)를 캡부재(200) 내에 삽입한다. 걸림돌기(221)가 제1안내홈(341)의 하단까지 진입된 후에는, 상기 중간부재(300)를 캡부재(2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대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21)가 제2 안내홈(34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2안내홈(342)에는 스냅결합을 유도하는 유지돌기(34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안내홈(342)에 충분하게 삽입된 걸림돌기(221)는 상기 제2안내홈(342) 내에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안내홈(342) 내에 걸림돌기(221)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중간부재(300)는 캡부재(200)에 대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부재(300)가 캡부재(200)에 견고하게 결합된 후에는, 상기 중간부재(300)의 제2수용공간(330)에서 열린 부분을 통하여 상기 지대주(400)에 진입하여 제2수용공간(330) 내에 안착함으로서, 상기 지대주(400)와 중간부재(300)간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캡부재(200), 중간부재(300) 및 지대주(400)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 12에 도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치과용 구조물 내에서 캡부재가 위치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종래기술과 같이 중간부재가 캡부재에 대하여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안내홈에 의하여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이탈이 어렵게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캡부재와 중간부재 간의 결합력이 높아짐은 물론 반복적인 체결과정을 통하여 상기 중간부재가 캡부재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제2안내홈의 내부에는 유지돌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안내홈에 진입한 걸림돌기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대주의 상단과 중간부재의 상면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치과용 구조물에 저작력과 같은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도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대주의 상측결합부 및 제2수용공간은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의 존재로 인하여 지대주가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에는 다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회전기구 삽입홀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범용적인 드라이버를 통하여 손쉽게 지대주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간부재와 캡부재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상기 중간부재의 하단이 상기 캡부재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되기 때문에, 지대주에 장착시에도 캡부재가 직접 지대주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마모나 손상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간부재에서, 상면부보다 측면부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측방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이격공간이 충격을 흡수하고,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측면부가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 가해지는 대부분의 힘에 대하여 충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200...캡부재
210...안착홈 211...회전방지 커팅부
220...제1수용공간 221...걸림돌기 300...중간부재 310...상면부 320...측면부 330...제2수용공간 340...안내홈 341...제1안내홈 342...제2안내홈 343...유지돌기 400...지대주 410...상측결합부 420...하측결합부 430...이격공간

Claims (11)

  1.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과 연결되며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캡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홈은 일단이 상측으로 열려진 상태에서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제2안내홈은 상기 제1안내홈의 하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홈에는 삽입되는 걸림돌기에 의하여 눌려서 탄성변형됨으로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제2안내홈 내에 고정시키는 유지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상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커팅부가 1개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외관은 샌드블라스팅과 같은 표면처리를 통해 거칠기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하단 내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캡부재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기구 삽입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구 삽입홀은 다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 내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의 하단은 상기 캡부재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다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보다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상단과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20130164350A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49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4350A KR101499893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PCT/KR2014/012168 WO2015099328A1 (ko) 2013-12-26 2014-12-10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4350A KR101499893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893B1 true KR101499893B1 (ko) 2015-03-06

Family

ID=5302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4350A KR101499893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9893B1 (ko)
WO (1) WO201509932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995B1 (ko) 2017-07-05 2017-09-05 (주)대구덴탈 구강 스캔용 스캔 캡
KR101829912B1 (ko) 2016-07-18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829911B1 (ko) 2018-01-09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WO2019027177A3 (ko) * 2017-07-31 2019-03-21 ㈜예스바이오테크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KR102107991B1 (ko) * 2019-10-18 2020-05-07 채희진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KR20220140285A (ko) * 2021-04-09 2022-10-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2527261B1 (ko) * 2022-11-08 2023-04-27 주식회사 오디에스 구강 스캐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임플란트용 스캔바디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77A (ja) * 2005-05-04 2008-11-20 スパインフロンティア インク 脊椎固定ロック機構
KR20100011847A (ko) * 2008-07-25 2010-02-03 이도상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042372B1 (ko) * 2009-04-09 2011-06-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일체형 임플란트
KR101111176B1 (ko) * 2008-08-26 2012-02-17 제스트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치과용 앵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77A (ja) * 2005-05-04 2008-11-20 スパインフロンティア インク 脊椎固定ロック機構
KR20100011847A (ko) * 2008-07-25 2010-02-03 이도상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111176B1 (ko) * 2008-08-26 2012-02-17 제스트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치과용 앵커 장치 및 방법
KR101042372B1 (ko) * 2009-04-09 2011-06-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일체형 임플란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912B1 (ko) 2016-07-18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770995B1 (ko) 2017-07-05 2017-09-05 (주)대구덴탈 구강 스캔용 스캔 캡
WO2019027177A3 (ko) * 2017-07-31 2019-03-21 ㈜예스바이오테크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KR101829911B1 (ko) 2018-01-09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2107991B1 (ko) * 2019-10-18 2020-05-07 채희진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KR20220140285A (ko) * 2021-04-09 2022-10-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2551331B1 (ko) * 2021-04-09 2023-07-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2527261B1 (ko) * 2022-11-08 2023-04-27 주식회사 오디에스 구강 스캐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임플란트용 스캔바디 세트
WO2024101839A1 (ko) * 2022-11-08 2024-05-16 주식회사 오디에스 구강 스캐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임플란트용 스캔바디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9328A1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893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US8075313B2 (en) Transfer copings and related methods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s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KR101489950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ES2870992T3 (es) Sistema de restauración dental
US9456881B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y
EP2732791B1 (en) Angular friction joint type of dental implant
JPH07255750A (ja) 骨内歯科用インプラント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治療用カラー
KR101298246B1 (ko)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KR10104237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20160029875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BR112014029096B1 (pt) Inserto de retenção e dispositivo de conexão para aplicações dentárias
JP2019501702A (ja) 歯科用構成要素に取り付け可能な歯科用継手及び歯科用継手を備える歯科用アセンブリ
KR101873605B1 (ko) 상부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6696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598495B1 (ko) 치과용 멀티 픽스쳐 드라이버
TWI533846B (zh) 上部構造可拆卸的假牙裝置及相關的螺絲
EP3169267B1 (en) Overdenture retention implant
EP1702581A1 (en) Dental implants integrated into the bone to sustain a dental prosthesis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1105187B1 (ko) 미소변위가 가능한 임플란트
KR200408815Y1 (ko) 치아교정용 임플란트
KR101981778B1 (ko) 어뷰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1018299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256882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