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228B1 -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 Google Patents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228B1
KR101499228B1 KR1020080124033A KR20080124033A KR101499228B1 KR 101499228 B1 KR101499228 B1 KR 101499228B1 KR 1020080124033 A KR1020080124033 A KR 1020080124033A KR 20080124033 A KR20080124033 A KR 20080124033A KR 101499228 B1 KR101499228 B1 KR 10149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head
angle
deposition
linea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616A (ko
Inventor
이주현
정진구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228B1/ko
Priority to US12/535,568 priority patent/US8632635B2/en
Publication of KR2010006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23C14/542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 C23C14/545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deposited material

Abstract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선형 헤드와 상기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선형헤드, 증착속도, 각도제어

Description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VAPOR DEPOSITION METHOD}
본 발명은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형 헤드를 가지는 증착 장치 및 그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나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박막을 형성하고 패터닝하는 공정이 다수 소요된다.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소스의 종류에 따라 화학 기상 증착, 물리 기상 증착 등이 있고, 물리 기상 증착에는 증발(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이온 플레이팅(ionplating), 아크 증착(arc deposition), 이온빔 보조 증착(ion beam assisted deposition) 등이 있다.
물리 기상 증착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점형 소스를 사용하던 것에서 대면적 증착이 가능한 선형 소스로 발전되어 왔다. 선형 소스란 증착 소스를 선형으로 공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선형 헤드(linear head)를 채용하여 소스가 선상에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증착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며, 증착의 균일성 확보를 위하여 선형 헤드에 복수의 노즐 을 형성하고, 노즐의 크기, 개수, 간격 등을 조절함으로써 증착의 균일성을 도모한다.
그러나 선형 헤드의 노즐의 크기, 개수, 간격 등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서는 특정한 조건하에서만 균일한 증착이 가능하고, 증기 압력 등의 조건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균일한 증착을 담보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조건에 관계없이 균일한 증착이 가능한 증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는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선형 헤드와 상기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 중간부 및 말단부 중 적어도 두 곳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증착 속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속도 감지 센서는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 중간부 및 말단부와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속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형 헤드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선형 헤드와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증착 소스를 기화시켜 상기 선형 헤드에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를 포함하는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은 상기 증착 속도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증착 속도를 계산하고, 증착 속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선형 헤드의 각도를 산출하는 감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은 증착 소스를 기화시켜 상기 선형 헤드에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증착 소스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착 속도 감지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센서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에 배치되어 있고, 증착 소스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증착 대상물인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선형 헤드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방법은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선형 헤드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에서, 증착 조건을 설정하고 두 곳 이상에서 증착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두 곳 이상에서 측정된 증착 속도를 기초로 상기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증착 대상물에 증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를 사용하면,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증착 조건에 관계없이 균일한 증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구성 부분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그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100)는 장치 외벽(103), 선형 헤드(13), 각도 조절부(12), 선형 헤드 제어 유닛(11), 기판 지지부(21), 증착 속도 감지부(30)를 포함한다.
장치 외벽(103)에는 증착 대상물인 기판(40)을 증착 장치(10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기판 투입문(101)과 증착이 완료된 기판(40)을 증착 장치(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판 배출문(102)이 형성되어 있다.
선형 헤드(13)에는 기화된 증착 소스가 분출되는 노즐(14)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노즐(14)의 크기는 균일하거나 선형 헤드(13)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가면서 일정한 비율로 점점 커질 수 있다. 노즐(14) 사이의 간격도 균일하거나 선형 헤드(13)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가면서 일정한 비율로 점점 커질 수 있다.
각도 조절부(12)는 선형 헤드(13)의 한 쪽 끝에 설치되어 있고, 선형 헤드(13)가 기판(40)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부(12)에는 기화된 증착 소스를 선형 헤드(13)에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선형 헤드(13)의 회전 축 역할을 한다. 각도 조절부(12)의 위치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형 헤드(13)가 기판(4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위치나 형태라도 무방하다.
선형 헤드 제어 유닛(11)은, 도 2를 참고하면, 각도 조절부(12)를 제어하여 선형 헤드(13)의 각도를 조절하고 선형 헤드(13)와 각도 조절부(12)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51), 증착 소스를 기화시켜 선형 헤드(13)에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52), 증착 속도 감지부(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증착 속도를 계산하고, 증착 속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선형 헤드(13)의 각도를 산출하여 구동 제어부(51)에 전달하거나 인터페이스(54)를 통해 표시하며, 증착 속도 센서(32)와 센서 위치 조절부(31)를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53), 사용자가 구동 제어부(51), 감지 제어부(53), 재료 공급부(52) 등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54)를 포함한다.
기판 지지부(21)는 증착 대상인 기판(40)을 고정한다.
증착 속도 감지부(30)는 센서 위치 조절부(31)와 증착 속도 센서(32)를 포함하고, 선형 헤드(13)의 양단과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증착 속도 센서(32)는 선형 헤드(13)의 노즐(14)을 통하여 분출된 소스가 증착되는 속도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선형 헤드 제어 유닛(11)에 전달한다. 센서 위치 조절부(31)는 증착 속도 측정시에는 증착 속도 센서(32)를 기판(40)이 놓일 위치에 가져다 놓고, 기판(40)에의 증착이 수행되는 시기에는 장치 외벽(103) 쪽으로 이동하여 증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증착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증착 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이나 배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증착 장치(100)는 기판(40)에 대하여 선형 헤드(13)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면 다른 구성은 얼마든지 변형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헤드(13)와 기판(40)을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증착 장치(1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을 제조함에 있어서 유기물을 증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증착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 선형 헤드를 제어하여 증착 균일성을 도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헤드(13)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기화된 증착 소스를 공급하여 선형 헤드(13)의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증착 소스의 증착 속도를 측정한다. 이 때, 센서 위치 조절부(31)를 이용하여 증착 속도 센서(32)를 기판(40)이 배치될 위치까지 이동시켜 증착 소스의 증착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세 부분의 증착 속도 센서(CS1, CS2, CS3) 사이의 간격을 460mm로 하고, 선형 헤드(13)로부터 증착 속도 센서(CS1, CS2, CS3)까지의 거리를 100mm로 설정한 상태에서 중간부 증착 속도 센서(CS2)의 증착 속도가 1Å/초부터 20Å/초가 되도록 증기 압력을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증착 속도 및 증착 속도비(CS1/CS2, CS3/CS3)이다.
<표 1>
Figure 112008084404305-pa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기 압력이 낮아서 증착 속도가 느릴수록 증착 속도비(CS1/CS2, CS3/CS3)가 100% 점점 크게 벌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형 헤드(13)의 시작부와 중간부 및 말단부에서의 증착 속도 차이도 기화된 증착 소스의 증기 압력 등의 조건이 달라지면 달라진다. 따라서 기판(40)에 증착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증착 조건을 설정한 상태에서 시작부와 중간부 및 말단부에서의 증착 속도 차이를 측정하여 이를 보정해주어야 균일한 증착이 이루어진다.
시작부와 중간부 및 말단부에서의 증착 속도 차이를 측정하였으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기판(40)이 배치될 면에서 증착 속도가 균일해 지도록 선형 헤드(13)를 기울인다. 선형 헤드(13)를 기울이는 것을 각도 조절부(12)를 구동하여 수행한다. 이 과정은 감지 제어부(53)의 계산과 구동 제어부(51)의 구동 과정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54)를 통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선형 헤드(13)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여 증착 속도의 균일화를 도모하면 증착 조건에 관계없이 균일한 증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의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 선형 헤드를 제어하여 증착 균일성을 도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증착 장치 11 : 선형 헤드 제어 유닛
12 : 각도 조절부 13 : 선형 헤드
14 : 노즐 21 : 기판 지지부
30 : 증착 속도 감지부 31 : 센서 위치 조절부
32 : 증착 속도 센서 40 : 증착 대상 기판
101 : 기판 투입문 102 : 기판 배출문
103 : 장치 외벽

Claims (14)

  1.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선형 헤드,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 중간부 및 말단부 중 적어도 두 곳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증착 속도 감지 센서,
    상기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그리고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은
    상기 증착 속도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증착 속도를 계산하고, 증착 속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선형 헤드의 각도를 산출하는 감지 제어부, 그리고
    상기 감지 제어부로부터 상기 선형 헤드의 상기 각도를 전달 받아, 상기 선형 헤드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선형 헤드와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속도 감지 센서는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 중간부 및 말단부와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속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은 증착 소스를 기화시켜 상기 선형 헤드에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증착 소스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증착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증착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증착 속도 감지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센서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증착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선형 헤드의 시작부에 배치되어 있고, 증착 소스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증착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형 헤드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선형 헤드와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증착 소스를 기화시켜 상기 선형 헤드에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를 포함하는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증착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선형 헤드 제어 유닛은 상기 증착 속도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증착 속도를 계산하고, 증착 속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선형 헤드의 각도를 산출하는 감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증착 장치.
  13. 제1항에서,
    증착 대상물인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선형 헤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선형 헤드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증착 장치.
  14. 삭제
KR1020080124033A 2008-12-08 2008-12-08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KR10149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33A KR101499228B1 (ko) 2008-12-08 2008-12-08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US12/535,568 US8632635B2 (en) 2008-12-08 2009-08-04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vapor deposi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33A KR101499228B1 (ko) 2008-12-08 2008-12-08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16A KR20100065616A (ko) 2010-06-17
KR101499228B1 true KR101499228B1 (ko) 2015-03-05

Family

ID=4223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033A KR101499228B1 (ko) 2008-12-08 2008-12-08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32635B2 (ko)
KR (1) KR101499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58B1 (ko) * 2012-02-21 2018-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WI473894B (zh) * 2013-09-11 2015-02-21 Au Optronics Corp 蒸鍍設備
WO2021173274A1 (en) * 2020-02-25 2021-09-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chatronic spatial atomic layer deposition system with closed-loop feedback control of parallelism and component align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386B1 (ko) * 1995-10-28 1999-06-15 구본준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반응가스 분사장치
KR200205136Y1 (ko) * 1995-10-25 2000-12-01 김영환 반도체 소자 증착 장치
US20030193672A1 (en) * 2002-03-26 2003-10-16 Hiroyuki Okada Film thickness measuring method and measuring apparatus for organic thin film fo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 device
KR20060018745A (ko) * 2004-08-25 2006-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수직 이동형 유기물 증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9003B (en) * 1984-11-16 1987-12-31 Sony Corp Chemical vapour deposition
US4858556A (en) * 1986-09-15 1989-08-22 Siebert Jerome F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of thin films
US4897290A (en) 1986-09-26 1990-01-30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GB2245508B (en) * 1990-06-28 1995-02-01 Nec Corp Spray type flux applying device
US6558735B2 (en) * 2001-04-20 2003-05-06 Eastman Kodak Company Reusable mass-sensor in manufacture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DE10128091C1 (de) 2001-06-11 2002-10-02 Applied Films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die Beschichtung eines flächigen Substrats
KR100430104B1 (ko) 2001-09-18 2004-05-03 디지웨이브 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선형 증착과 간접 가열을 이용한 진공증착장치 및 그증착방법
US20030168013A1 (en) 2002-03-08 2003-09-11 Eastman Kodak Company Elongated thermal physical vapor deposition source with plural apertures for mak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20050211172A1 (en) * 2002-03-08 2005-09-29 Freeman Dennis R Elongated thermal physical vapor deposition source with plural apertures
US20040000379A1 (en) 2002-06-27 2004-01-01 Ulvac, Inc. Evaporation container and evaporation source
US20040007183A1 (en) 2002-07-11 2004-01-15 Ulva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thin films
KR100460304B1 (ko) 2002-07-26 2004-12-04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유기이엘 디스플레이의 박막형성 시스템
JP4026449B2 (ja) 2002-08-30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装置
JP2004207545A (ja) 2002-12-26 2004-07-22 Hitachi Cable Ltd 半導体気相成長装置
US20040135160A1 (en) 2003-01-10 2004-07-15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KR101137901B1 (ko) * 2003-05-16 2012-05-02 에스브이티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박막 증착 증발기
KR100517255B1 (ko) 2003-06-20 2005-09-27 주식회사 야스 유기 발광소자 박막 제작을 위한 선형 노즐 증발원
JP4013859B2 (ja) 2003-07-17 2007-11-28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薄膜の製造装置
JP2006114427A (ja) 2004-10-18 2006-04-27 Canon Inc 真空蒸着方法
JP4329738B2 (ja) * 2005-07-14 2009-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製造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2007291506A (ja) * 2006-03-31 2007-11-08 Canon Inc 成膜方法
JP2008019477A (ja) * 2006-07-13 2008-01-31 Canon Inc 真空蒸着装置
KR101106289B1 (ko) 2006-08-04 2012-01-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증착 공정을 위한 선형 증착 소스
JP2008108611A (ja) 2006-10-26 2008-05-08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蒸着層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80049263A (ko) 2006-11-30 200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방법
JP2008140669A (ja) 2006-12-04 2008-06-19 Canon Inc 真空蒸着装置および真空蒸着方法
KR20080061668A (ko) 2006-12-28 2008-07-03 세메스 주식회사 유기 박막 증착 장치
US20100159132A1 (en) * 2008-12-18 2010-06-24 Veeco Instruments, Inc. Linear Deposition Sour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136Y1 (ko) * 1995-10-25 2000-12-01 김영환 반도체 소자 증착 장치
KR100201386B1 (ko) * 1995-10-28 1999-06-15 구본준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반응가스 분사장치
US20030193672A1 (en) * 2002-03-26 2003-10-16 Hiroyuki Okada Film thickness measuring method and measuring apparatus for organic thin film fo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 device
KR20060018745A (ko) * 2004-08-25 2006-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수직 이동형 유기물 증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2635B2 (en) 2014-01-21
US20100143587A1 (en) 2010-06-10
KR20100065616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7989A (en) Method and system for a vacuum evaporative deposition process
US7959971B2 (en) Film formation method with deposition source position control
CN102217038B (zh) 沉积仪器及利用该沉积仪器的沉积方法
KR20060043310A (ko) 퇴적 두께 측정 방법, 재료층의 형성 방법, 퇴적 두께 측정장치 및 재료층의 형성 장치
KR101499228B1 (ko)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JP2011012309A (ja) 真空蒸着装置
JP2004035964A (ja) 蒸着装置
TW201224186A (en) Film formation apparatus and film formation method
KR101218228B1 (ko) 균일 비율에서의 물질 기화 방법
JP2005281859A (ja) 堆積厚測定方法、材料層の形成方法、堆積厚測定装置および材料層の形成装置
KR20080045974A (ko) 박막 증착장치 및 박막 증착방법
JP2005281858A (ja) 堆積厚測定方法、材料層の形成方法、堆積厚測定装置および材料層の形成装置
TW201219586A (en) Film formation apparatus and film formation method
US6082296A (en) Thin film deposition chamber
US20060270243A1 (en) Alignment shield for evaporator used in thin film deposition
WO2013073201A1 (ja) 真空蒸着装置
JP2005206896A (ja) 膜厚モニタ並びに蒸着装置
JP2825298B2 (ja) 膜厚測定装置
KR20150114097A (ko) 실시간 증착두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증착두께 모니터링 방법
KR20070051609A (ko) 증착 챔버의 두께 측정 장치
KR20080098277A (ko) 소스가스 공급장치 및 방법
JP5197277B2 (ja)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JP2022120515A (ja) 真空蒸着装置用の蒸着源及びこの蒸着源を備える真空蒸着装置
CN219670630U (zh) 一种蒸镀装置以及蒸镀***
JP2014070240A (ja) 蒸着装置、および、蒸着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