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92B1 - 자해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자해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92B1
KR101499192B1 KR20140124459A KR20140124459A KR101499192B1 KR 101499192 B1 KR101499192 B1 KR 101499192B1 KR 20140124459 A KR20140124459 A KR 20140124459A KR 20140124459 A KR20140124459 A KR 20140124459A KR 101499192 B1 KR101499192 B1 KR 10149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wrist
fastening
powd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이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2014012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가 손톱으로 자해(自害)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어린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는 등의 행위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아토피, 건선 등과 같은 피부질환 환자가 가려움 증세로 인해 환부를 긁어 상처를 내는 행위를 막기 위한 자해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손목가압 탄성부를 갖는 팔토시, 손투입 개구부와 이 개구부 둘레에 체결부를 갖는 손보호구 및, 상기 팔토시의 탄성부 반대편측에 뒤집혀 형성된 역전부를 손보호구의 체결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해방지기구{SELF-INJURY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해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 환자가 손톱으로 자해(自害)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어린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는 등의 행위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아토피, 건선 등과 같은 피부 질환 환자가 가려움 증세로 인해 환부를 긁어 상처를 내는 행위를 막기 위한 자해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의료 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가 되어 감과 더불어 노인 문제도 크게 늘었는데, 노인성 질환 중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치매'이다.
치매 환자들은 링거를 맞을 때 주사 바늘을 뽑는다거나, 자신의 손톱으로 자해(自害)를 하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우울증 환자가 간혹 스트레스에 의해 자해하는 경우도 있다.
아울러 어린 아이의 경우 손톱을 물어뜯는 나쁜 습관을 갖기도 하고, 피부병 환자들은 가려움으로 인해 환부를 긁어서 상처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모든 행위는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손톱으로 상처를 내는 행위를 동반하는데, 이에 손톱이 다른 부위에 접촉할 수 없도록 하는 수단의 필요성이 재고된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0-0027912호 (2010년03월11일) [치매 환자 및 자해방지용 벙어리장갑] (종래기술1)이 있는데, 종래기술1에는 벙어리장갑을 끼우고 조름 부분을 장갑 안쪽에서 조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3-0051352호 (2013년05월20일) [자해방지용 장갑](종래기술2)이 있는데, 종래기술2에는 지퍼잠금부재를 구비하여 환자가 임의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하는 자해방지용 장갑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59974호 (2012년04월16일) [치매 환자용 장갑](종래기술3)에는 장갑의 손목 부분을 조이는 벨크로에 하드랙을 결합하여 치매 환자 스스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한 치매 환자용 장갑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 및 3은 환자가 임의로 장갑을 벗을 수 없도록 하는 반면, 그 착용 및 착용해제가 용이하지 않아 치매 환자가 아닌 일반 환자(어린아이, 피부병환자 등)에 적용하기에는 착용이 불편하다.
또한 장갑 내부에 여유 공간이 많지 않고 장갑 자체가 밀폐되어 있어 환부를 더 악화시킬 우려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66868호 (2013년05월06일) [환자용 보호장갑](종래기술4)이 있는데, 종래기술4는 메시가 형성된 망사로 이루어지는 내피를 도입하여 외부와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였고, 또한 보호수단이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장착 및 장착해제가 종래기술 2 및 3에 비해 수월하다.
그러나 고정수단의 고장으로 인한 불편함이 예상되며, 손목부분의 유격 때문에 장갑이 쉽게 흔들려 착용감이 불편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팔토시와 손보호구로 이루어진 자해방지기구가 팔토시를 뒤집어 체결부를 활용하여 손보호구와 결합되기 특성을 통해 착용 및 착용해제가 용이한 자해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체결부재를 탄성밴드로 구비하여 볼트결합, 끼움결합 등에 비해 간편한 착탈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손보호구에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하여 특히 여름철과 같은 날씨에 '땀띠', '습진'등과 같은 밀폐성에 의한 추가 질병의 발병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손보호구 내부로 뒤집힌 팔토시의 일부가 배열되게 하는 접힘부를 구비하여 보온, 냉감 효과와 더불어, 외부의 '날카로운 물체'가 통기공으로 침입하여 환자의 손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추가로 손보호구를 분체로 구성하고 절개부를 구비하여 장착의 용이성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는
손목가압 탄성부를 갖는 팔토시,
손투입 개구부와, 이 개구부 둘레에 체결부를 갖는 손보호구 및,
상기 팔토시의 탄성부 반대편측에 뒤집혀 형성된 역전부를 손보호구의 체결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손보호구의 체결부는 요홈체결부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손보호구는 복수의 통기공을 갖고, 수용된 손과 내벽이 이격된 여유 공간을 갖도록 투광성 경질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팔토시는 냉감직물, 온감직물, 방풍성 직물, 또는 보온성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손보호구는 개구부 반대편 내면에 보조체결부를 갖고,
상기 팔토시는 손목가압 탄성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뒤집히고 다시 뒤집혀 각각 역전부 및 재역전부를 구성하고, 이 중첩된 역전부 및 재역전부는 손보호구 내면에 배열되며,
역전부와 재역전부 사이의 접힘부를 상기 손보호구의 보조체결부에 밀착 고정하는 보조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보호구는 개구부, 체결부, 길이방향 절개부, 개구부 반대편의 제1나사부를 갖는 제1분체와,
보조체결부, 제1나사부와 결합되는 제2나사부를 갖는 제2분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팔토시와 손보호구로 이루어진 자해방지기구가 팔토시를 뒤집어 체결부를 활용하여 손보호구와 결합되기 특성을 통해 착용 및 착용해제가 용이하고,
또한 체결부재를 탄성밴드로 구비하여 볼트결합, 끼움결합 등에 비해 간편하게 착탈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손보호구에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하여 특히 여름철과 같은 날씨에 '땀띠', '습진'등과 같은 밀폐성에 의한 추가 질병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손보호구 내부로 뒤집힌 팔토시의 일부가 배열되게 하는 접힘부를 구비하여 보온, 냉감 효과와 더불어, 외부의 '날카로운 물체'가 통기공으로 침입하여 환자의 손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추가로 손보호구를 분체로 구성하고 절개부를 구비하여 장착의 용이성을 극대화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용 전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용 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방지끈과 관련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엄밀하지 않은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을 기준으로 착용자의 손끝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 착용자의 손목(또는 팔꿈치)의 방향을 후방으로 설정하여 설명하고,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특허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길이방향'이라 지칭한 것은 전후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에 대해 상세하게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는 착용자의 팔을 감싸는 팔토시(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팔토시(10)는 착용감을 위해 부드러운 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손보호구(20) 내부로 인입되는 점을 감안할 때 최소한 손목에서 팔꿈치정도까지의 길이는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팔토시(10)는 냉감직물, 온감직물, 방풍성 직물, 또는 보온성 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팔토시(10)는 착용 및 고정을 위해 손목가압 탄성부(1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1)는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착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라 변할 수 있도록 일정 탄성력을 갖는 라텍스,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11)는 손목 부분에 배열되고,
탄성부(11)와 팔토시(10)와의 결합은 접착부재를 활용하거나, 봉제 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스태플러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도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는 착용자의 손 부분을 감싸 보호하는 손보호구(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보호구(20)는 손투입 개구부(21)를 포함한다. 개구부(21)는 손보호구(20)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된 부분을 의미하며, 착용자의 손이 가장 먼저 진입하는 구성요소이다.
개구부(21)의 크기는 착용자의 손바닥의 폭 정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보호구(20)는 개구부(21) 둘레에 체결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23)는 내측으로 움푹 파인 '리세스'(요홈체결부)를 의미하고, 이 체결부(23)에 뒤집힌 팔토시(10)가 배열되고, (배열된 팔토시(10) 부분을 특별히 '역전부(13)'로 명명한다.)
체결부(23) 및 역전부(13)가 체결부재(30)를 통해 결합 및 고정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자해방지기구(A)의 착용이 완료된다.
전기한 '뒤집힌 팔토시(10)'와 관련하여 보다 명확한 설명을 하기 위해 '뒤집힌'의 의미를 부연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팔토시(10)를 착용하는 경우 손목 가압 탄성부(11)가 손목에 배열되고 팔토시(10)는 착용자의 팔 부분에 배열된다. (도 2 참조)
이상 및 이하에서 '뒤집다'라는 의미는 탄성부(11)를 중심으로 팔토시(10)를 전방으로(또는 손가락 측으로) 뒤집어 팔토시(10)의 팔꿈치 측 단부를 전방으로 향하게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2는 '뒤집힌 팔토시(10)'를 손보호구(20)와 체결하여 착용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손보호구(20)는 투광성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손가락 및 손등 부위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용된 손과 내벽이 이격된 여유 공간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치매환자, 아토피환자, 피부병 환자 등이 가려움이나 기타 질환에 따른 작용으로 인해 손톱으로 자해(自害)하거나, 환부를 긁는 등을 막기 위함이다.
나아가 습관에 의한 손톱을 물어뜯는 행위, 손가락을 빠는 행위, 특정 부위를 손톱으로 긁는 행위 등을 막고,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전기한 행위를 보편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어린아이의 습관 치료용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를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보호구(20)는 복수의 통기공(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한 수용된 손과 내벽이 이격된 여유 공간을 갖는 특징과 더불어, 손보호구(20)의 외면에 구비된 통기공(25)은 통풍을 통해 피부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땀이나 습기 등에 의해 일명 '땀띠', '습진'과 같은 피부질환의 발병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는 팔토시(10)와 손보호구(2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뒤집힌 팔토시(10)는 역전부(13)를 갖고, 전기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는 팔토시(10)의 탄성부(11) 반대편측에 뒤집혀 형성된 역전부(13)를 손보호구(20)의 체결부(23)에 고정한다.
착용의 용이성 및 쉬운 착용 및 착용해제를 위해 체결부재(30)는 탄성밴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일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로 하여금 얼마든지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는 목걸이(40) 및 분리방지끈(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를 자주 착용하다 보면 분실의 위험이 있고,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착용자의 손에서 이탈하게 되면 착용자가 무의식중에 다시 자해(自害)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목둘레에 목걸이(40)를 착용시키고 분리방지끈(50)의 일 단부는 목걸이(40)에 고정하고 타 단부는 손보호구(20)의 일면에 고정하여 분실 위험성을 해결하였다.
또한 분리방지끈(50)과 더불어 자해방지기구(A)를 2개를 좌수(左手)용 및 우수(右手)용 한 세트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 역시 동시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자해방지기구(A)를 착용함에 있어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에 보온효과를 갖고, 여름철과 같은 더운 날씨에는 냉감효과를 갖고, 통기공(25)을 관통하여 손보호구(20) 내측으로 침입할 수 있는 '날카로운 물체' 등에 의해 착용자의 손이 부상당할 염려를 방지하기 위해 제1실시예에서는 팔토시(10)의 일부를 손보호구(20)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재역전시켜(다시 뒤집어) 단부는 빠져나오도록 구비하였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보호구(20)는 개구부(21) 반대편 내면에 보조체결부(27)를 갖는다.
보조체결부(27) 역시 체결부(23)와 마찬가지로 움푹 파인'리세스'로 이루어지고 내면에 구비된 것이기 때문에 손보호구(20)의 외면으로는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팔토시(10)는 손목가압 탄성부(11)가 결합된 상태에서 뒤집히고 다시 뒤집혀 각각 역전부(13) 및 재역전부(16)를 구성하고, 이 중첩된 역전부(13) 및 재역전부(16)는 손보호구(20) 내면에 배열되어, 역전부(13)와 재역전부(16) 사이의 접힘부(18)를 이루는데,
이 접힘부(18)가 손보호구(20)의 보조체결부(27)에 배열되고, 접힘부(18) 및 보조체결부(27)를 밀착 고정하는 보조체결부재(60)가 접힘부(18)보다 내측에 배열되어 접힘부(18)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한다.
제1실시예를 통해 손보호구(20)의 내면에 팔토시(10)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착용자의 손이 배열되어, 마치 착용자의 손을 팔토시(10)가 감싸는 형태를 이루게 되어 전기한 '보온 및 냉감 효과', '손 피부 보호' 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해방지기구(A)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손보호구는 도면참조부호 70으로 병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보호구(70)는 제1 및 제2분체(70A)(70B)로 이루어지고,
제1분체(70A)는 제2분체(70B)의 후방에 배열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손이 투입되는 개구부(71)를 갖는다.
또한 제1분체(70A)는 탄성밴드인 체결부재(30)가 결합되어 팔토시(10)와 손보호구(70)를 고정하는 체결부(72)를 갖는다.
아울러 제1분체(70A)는 길이방향으로(전후 방향) 형성된 절개부(73)를 포함하여 외면에 불연속 구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바닥 부위가 손목 부위 보다 폭이 크기 때문에 손보호구(70)의 내직경(또는 내측 폭)은 손바닥 부위의 폭에 맞춰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 때문에 손목 부위가 헐거워져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착용 시 손목 부위를 잡아주기 위하여 손목가압 탄성부(11)가 착용자의 손목을 너무 조이게 되면, 혈류 억제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절개부(73)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절개부(73)를 벌려서 장착하면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보호구(70)의 후단부(또는 제1분체(70A)의 후단부)를 손목의 폭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절개부(73)의 도입을 위해 제1분체(70A)는 자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분체(70A)와 제2분체(70B)는 서로 나사결합 되는데, 제1분체(70A)에는 제1나사부(74)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분체(70B)에는 제2나사부(7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제1분체(70A)에는 수나사부가, 제2분체(70B)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제1분체(70A)에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분체(70B)는 수나사부가 구비된다.)
아울러 제2분체(70B)에는 통기공(25), 보조체결부(27)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성은 전기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5의 우상단 쇄선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73)로 인해 둘로 나눠지는 제1분체(70A)는 좌분체(75A)와 우분체(75B)로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그대로 좌측을 좌분체(75A), 우측을 우분체(75B)로 명명하나, 실제로 완전 분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절개부(73)에 의해 일부만이 분리되어 있다.)
둘의 결합은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좌분체(75A)에는 결합홈(751)이, 우분체(75B)에는 결합돌기(7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분체(75A)와 우분체(75B)의 결합을 자체의 탄성만으로 지지하는 경우, 좌분체(75A) 및 우분체(75B)의 위치가 정확히 맞아 서로를 밀어서 지탱하는 형태로 절개부(73)를 폐쇄하여야 하는데, 이는 좌분체(75A)와 우분체(75B)의 작은 변위 차에 의해서도 쉽게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분체(75A)와 우분체(75B)의 결합을 지지하기 위해 좌분체(75A)의 결합부위에 결합홈(751)을 형성하고, 우분체(75B)의 결합부위에 결합돌기(752)를 형성하여,
좌분체(75A)와 우분체(75B)가 자체의 탄성으로 인해 서로를 가압하여 지지할 때, 결합홈(751)과 결합돌기(752)가 맞물려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전기한 제2실시예에 따른 손보호구(70)의 착용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팔토시(10)를 착용한 후,
제1분체(70A)를 착용하는데 이 때, 절개부(73)를 벌려 개구부(71)를 넓힌 다음 착용이 완료되면 절개부(73)를 원위치 시킨다.
다음 팔토시(10)를 뒤집어 체결부재(30)를 통해 제1분체(70A)와 팔토시(10)를 결합하고,
다음으로 제2분체(70B)를 제1분체(70A)에 돌려서 결합하면 착용이 완료된다.
보조체결부재(60)를 도입해야하는 경우에는 제2분체(70B)를 제1분체(70A)에 결합하기 전에 팔토시(10)의 접힘부(18)를 보조체결부(27)에 배열하고 보조체결부재(60)로 결합해주고, 이 후 제1분체(70A)와 제2분체(70B)를 결합하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자해방지기구(A)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자해방지기구 10: 팔토시
11: 탄성부(손목가압) 13: 역전부
16: 재역전부 18: 접힘부
20: 손보호구 21: 개구부(손투입)
23: 체결부 25: 통기공
27: 보조체결부
30: 체결부재 40: 목걸이
50: 분리방지끈 60: 보조체결부재
70: 손보호구(제2실시예) 70A 제1분체
71: 개구부(제2실시예) 72: 체결부(제2실시예)
73: 절개부 74: 제1나사부
70B: 제2분체 77: 제2나사부

Claims (4)

  1. 손목가압 탄성부를 갖는 팔토시;
    손투입 개구부와, 이 개구부 둘레에 체결부를 갖는 손보호구; 및
    상기 팔토시의 탄성부 반대편측에 뒤집혀 형성된 역전부를 손보호구의 체결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손보호구는 복수의 통기공을 갖고, 수용된 손과 내벽이 이격된 여유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해방지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보호구의 체결부는 요홈체결부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해방지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보호구는 투광성 경질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팔토시는 냉감직물, 온감직물, 방풍성 직물, 또는 보온성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해방지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보호구는 개구부 반대편 내면에 보조체결부를 갖고,
    상기 팔토시는 손목가압 탄성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뒤집히고 다시 뒤집혀 각각 역전부 및 재역전부를 구성하고, 이 중첩된 역전부 및 재역전부는 손보후구 내면에 배열되며,
    역전부와 재연전부 사이의 접힘부를 상기 손보호구의 보조체결부에 밀착 고정하는 보조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보호구는
    개구부, 체결부, 길이방향 절개부, 개구부 반대편의 제1나사부를 갖는 제1분체와,
    보조체결부, 제1나사부와 결합되는 제2나사부를 갖는 제2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해방지기구.
KR20140124459A 2014-09-18 2014-09-18 자해방지기구 KR10149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4459A KR101499192B1 (ko) 2014-09-18 2014-09-18 자해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4459A KR101499192B1 (ko) 2014-09-18 2014-09-18 자해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192B1 true KR101499192B1 (ko) 2015-03-09

Family

ID=5302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4459A KR101499192B1 (ko) 2014-09-18 2014-09-18 자해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724B1 (ko) * 2018-02-14 2019-07-12 손강 자해방지 손커버
GB2591783A (en) * 2020-02-06 2021-08-11 Emil Reuter Moritz Limb shielding devices
KR20230100079A (ko) 2021-12-28 2023-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치매환자용 안전 손가락 보호대
CN117481897A (zh) * 2023-12-22 2024-02-02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防非计划性拔管指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467A (ja) * 1994-12-22 1996-07-09 Nobuyuki Kamiyama 医療用手袋
JP2003105614A (ja) * 2001-07-23 2003-04-09 Masako Koyama いたずら防止用手袋
JP2009213522A (ja) * 2008-03-07 2009-09-24 Machiko Yoshida 医療補助用ハンドカバー
JP2010150726A (ja) * 2008-12-26 2010-07-08 Taketora Human Care Kk 医療介護用手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467A (ja) * 1994-12-22 1996-07-09 Nobuyuki Kamiyama 医療用手袋
JP2003105614A (ja) * 2001-07-23 2003-04-09 Masako Koyama いたずら防止用手袋
JP2009213522A (ja) * 2008-03-07 2009-09-24 Machiko Yoshida 医療補助用ハンドカバー
JP2010150726A (ja) * 2008-12-26 2010-07-08 Taketora Human Care Kk 医療介護用手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724B1 (ko) * 2018-02-14 2019-07-12 손강 자해방지 손커버
GB2591783A (en) * 2020-02-06 2021-08-11 Emil Reuter Moritz Limb shielding devices
GB2591783B (en) * 2020-02-06 2022-03-09 Emil Reuter Moritz Limb shielding devices
KR20230100079A (ko) 2021-12-28 2023-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치매환자용 안전 손가락 보호대
CN117481897A (zh) * 2023-12-22 2024-02-02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防非计划性拔管指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92B1 (ko) 자해방지기구
US20120066810A1 (en) Hand and forearm protection apparel
US9380820B1 (en) Clench arresting glove
JP6829966B2 (ja) 介護用ミトン
KR200449599Y1 (ko) 의료 시술용 고무장갑
KR200477334Y1 (ko) 기능성 의복
CN203564395U (zh) 医用约束手套
KR200293568Y1 (ko) 피부질환 환자용 의료보조기구
CN103976810A (zh) 医用护手手套
US20200093201A1 (en) Pillar pad system and method
JP2011194187A (ja) 関節サポーター
KR101609994B1 (ko) 기능성 상의
CN204766062U (zh) 防指/趾间溃烂的防护套
TW200714216A (en) Garment
KR101768804B1 (ko) 기능성 상의
CN212186823U (zh) 分指加固防非计划拔管保护装置
CN219000810U (zh) 一种防抓伤手套
CN212488659U (zh) 可调节手套
CN210727983U (zh) 一种预防非计划拔管防护套
CN211407747U (zh) 一种武警训练用皮手套
KR200486556Y1 (ko) 손목 안쪽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절단되어 형성된 손목부를 가진 장갑
JP5554802B2 (ja) 手袋
JP3134800U (ja) 保護具
CN210250210U (zh) 一种一体式上肢约束具
JP4915629B1 (ja) 見開き型防寒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