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608B1 - 유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608B1
KR101495608B1 KR20140152010A KR20140152010A KR101495608B1 KR 101495608 B1 KR101495608 B1 KR 101495608B1 KR 20140152010 A KR20140152010 A KR 20140152010A KR 20140152010 A KR20140152010 A KR 20140152010A KR 101495608 B1 KR101495608 B1 KR 101495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ld
vacuum
hollow
inser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2014015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23B31/307Vacuum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1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xially supporting turning workpieces, e.g. magnetically,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18Suction pads or vacuum cups, e.g. for attachment of guides to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62Use of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고정수단; 고정프레임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중공의 샤프트와, 샤프트에 장착되어 샤프트의 중공과 연결되는 중공이 가공된 형틀을 구비한 회전수단; 샤프트의 후미측 부위에 장착되어 샤프트의 중공과 연결되는 진공홀이 가공된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연결된 진공발생용 구동원을 구비한 진공수단;을 포함하고, 구동원의 진공 작동이 연결부재, 샤프트, 형틀의 중공을 통해 형틀에 밀착된 그릇을 흡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기 제조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brassware}
본 발명은 유기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릇 형태로 1차 성형된 그릇의 표면을 절삭하여 다듬는 작업을 위해 진공으로 가공물을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세계적으로 특이한 유기(鍮器)라고 하는 놋쇠로 만든 그릇이 있다. 이 놋쇠는 대략 구리 78%와 주석 22% 비율의 합금으로, 식기, 촛대, 향로, 소반, 대야, 악기, 불구(佛具) 등과 같은 전통 제품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놋쇠로 만든 유기는 예로부터 스스로 음식을 살균/소독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러한 유기를 제조하는 종래의 장치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정대(10), 고정대(10)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11), 샤프트(11)에 설치되면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휠(12), 샤프트(11)의 일단측 부위에 장착된 고정구(13)와, 고정구(13)에 일부위가 삽입되면서 그릇 형태로 1차 성형된 그릇(14)이 끼워지는 목형(15)을 포함한다. 이 목형(15)에 그릇(14)을 끼운 후 휠(12)과 샤프트(11)가 회전하여 고정구(13)와 목형(15)이 회전하면 그릇(14)이 함께 회전하고, 외부에서 절삭부재(15)를 그릇(14)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는다.
하지만, 고정구(13)에 목형(15)을 단단히 끼워 고정해야만 한다. 만약 목형(15)이 고정구(13)에서 헐겁게 끼워지게 되면 작업 도중에 그릇(14)이 흔들려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그릇의 크기와 종류 등에 따라 목형(15)을 교체하는 경우 고정구(13)에 단단히 고정된 목형(15)에 큰 외력을 가해 분리해야 하고, 목형(15)으로부터 그릇(14) 역시 큰 외력을 가해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14578호(2007.12.04.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80-0001982(1980.12.12.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의 일단측 부위에 장착된 장착부재가 그릇모양의 형틀을 파지하고, 형틀에 끼워진 그릇을 진공으로 흡착시켜 고정함으로써, 형틀의 교체가 용이하고, 그릇의 고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유기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제조장치는, 고정프레임 을 구비한 고정수단; 고정프레임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중공의 샤프트와, 샤프트에 장착되어 샤프트의 중공과 연결되는 중공이 가공된 형틀을 구비한 회전수단; 샤프트의 후미측 부위에 장착되어 샤프트의 중공과 연결되는 진공홀이 가공된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연결된 진공발생용 구동원을 구비한 진공수단;을 포함하고, 구동원의 진공 작동이 연결부재, 샤프트, 형틀의 중공을 통해 형틀에 밀착된 그릇을 흡착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진공수단은 연결부재의 진공홀과 구동원을 연결하여 장착된 연결관과, 샤프트에 일측부위가 삽입되면서 타측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샤프트의 중공과 형틀의 중공을 연결하도록 중공이 가공된 삽입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부재의 외면에는 샤프트에 삽입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샤프트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밀폐부재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샤프트의 중공 내면에는 삽입부재의 삽입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삽입부재의 삽입된 일측부가 걸리도록 가공된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수단은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면서 샤프트가 자전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수단은 동력원, 이 동력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샤프트 를 자전시키도록 설치된 휠, 형틀을 파지하기 위해 샤프트의 일측부에 체결되면서 샤프트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관통하도록 중공이 가공된 장착부재를 더 구비하고, 여기서 장착부재는 샤프트의 일단부에 구비된 플랜지에 장착되는 몸체, 이 몸체에 장착되어 왕복 이동하면서 형틀을 파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죠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죠우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회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형틀은 일측부가 죠우에 파지되도록 가공되고, 타측부가 그릇의 외면 또는 내면과 밀착하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형틀은 그릇의 외면 또는 내면을 다듬는 경우에 따라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제작되고, 형틀에 그릇이 진공에 의한 흡착되기 이전에 중심을 잡으면서 가 밀착되도록 오목한 내면 또는 볼록한 외면에 깊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인 경우 깊이 방향에 대해 돌출된 높이가 더 높아지는 밀착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삽입부재는 장착부재에 삽입된 부위의 외경이 샤프트에 삽입된 외경보다 더 크게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원의 진공 작동이 연결관, 연결부재, 샤프트, 삽입부재, 장착부재, 형틀을 통해 형틀에 밀착된 그릇까지 전달되어 진공으로 그릇을 형틀에 흡착시킴으로써, 그릇이 형틀에 견고히 흡착될 수 있고, 형틀과 그릇을 손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그릇의 교체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에 고정된 장착부재의 죠우를 왕복 이동시켜 형틀을 파지함으로써, 형틀을 손쉽게 착탈할 수 있고, 형틀의 교체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 형틀에 삽입부재를 단순히 끼우는 동작으로, 삽입부재의 외면에 장착된 밀폐부재를 통해 중공의 형틀 내면과 삽입부재의 외면 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형틀과 삽입부재의 착탈이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착부재에 파지된 형틀의 중공과 샤프트의 중공 간의 연결이 삽입부재의 중공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샤프트와 형틀 간의 진공상태를 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샤프트에 일부위가 삽입된 삽입부재의 외면에 장착된 밀폐부재를 통해 샤프트의 내면과 삽입부재의 외면 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샤프트와 삽입부재의 착탈 역시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유기 제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제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에 렌치가 끼워진 상태와, 장착부재에 삽입된 삽입부재와 동일한 삽입부재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삽입부재가 별도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7c는 도 4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샤프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후미측 부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장치에 형틀과 그릇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제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에 렌치가 끼워진 상태와, 장착부재에 삽입된 삽입부재와 동일한 삽입부재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삽입부재가 별도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7c는 도 4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샤프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후미측 부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장치에 형틀과 그릇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제조장치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00), 고정수단(100)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일측부에 형틀(230)이 장착되는 중공(中空)의 샤프트(210)를 포함한 회전수단(200), 샤프트(210)의 중공인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형틀(230)에 끼워진 1차 성형된 그릇(400)을 진공으로 흡착시키도록 설치된 진공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그릇(400)은 1차 성형된 다음 표면을 다듬기 위한 상태인 그릇을 지칭한다.
고정수단(100)은 도 4와 도 6에서와 같이, 회전수단(200)의 샤프트(21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샤프트(21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샤프트(210)가 관통하는 베어링(120)을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10)은 도 2에서와 같이 샤프트(210)가 가로질러 배치되어 전부(前部)와 후부(後部)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로바를 구비할 수 있고, 1개 또는 3개 이상의 가로바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바인 경우 바의 길이방향으로 샤프트(210)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베어링(120)은 관통하여 배치된 샤프트(210)의 자전(自轉)을 보장하도록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된다.
회전수단(200)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샤프트(210)의 전부에 장착되는 형틀(230)과 그릇(4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수단(100)에 자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샤프트(210), 샤프트(210)의 전부측에 장착된 장착부재(220), 장착부재(220)에 파지되는 형틀(230), 샤프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휠(240)과, 휠(240)을 동작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2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샤프트(210)는 고정수단(100)의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일 예로 도 4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정프레임(110)의 한 쌍의 가로바를 가로질러 배치되면서 베어링(120)을 관통하여 자전하도록 설치된다. 이 샤프트(210)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내부를 구비한다. 이 중공인 내부가 진공수단(300)에 의해 진공상태가 되도록 진공수단(300)이 설치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샤프트(210)의 전부측 부위는 도 4와 도 7에서와 같이 장착부재(220)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211)를 구비한다. 또한, 샤프트(2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삽입부재(330)가 삽입되고, 이 삽입부재(330)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삽입부재(330)의 삽입된 일측부위 일 예로, 일측단면이 걸리도록 샤프트(210)의 내면에는 걸림턱(미도시)이 가공된다. 이 걸림턱은 일부위에만 돌출되도록 가공될 수도 있고, 걸림턱을 기준으로 샤프트(210)의 일측부과 타측부의 내경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부재(220)는 도 4, 도 6 및 도 9에서와 같이 샤프트(210)의 선단측 부위에 고정되어 형틀(230)을 파지하는 부재이다. 이 장착부재(220)는 샤프트(210)의 선단측 부위, 일 예로 플랜지(211)에 고정되는 몸체(221), 몸체(221)에 장착되어 몸체(221)의 중심을 향해 왕복 이동하도록 장착된 다수의 죠우(222)와, 죠우(222)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몸체(221)에 장착된 회전구(223)를 구비한다. 여기서, 죠우(222)의 왕복 이동은 도 7a에서와 같이 회전구(223)에 렌치(224)를 끼우고, 렌치(22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왕복 이동하는 죠우(222)에 도 9에서와 같이, 형틀(230)이 탈부착된다. 이와 같이, 죠우(222)의 왕복 이동으로 형틀(23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고, 쉽게 분리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형틀(230)을 아주 편리하면서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 형틀(230)은 도 9에서와 같이, 장착부재(220)에 파지되면서 일측부에 그릇(400)을 견고히 끼우는 부재이다. 이 형틀(230)의 일측부는 끼워지는 그릇(400)의 표면과 밀착되는 형태로 가공되고, 타측부는 장착부재(220)의 죠우(222)에 파지되는 형태로 가공된다. 또한, 형틀(230)은 삽입부재(330)에서 그릇(400)까지 관통된 중공(미도시)을 구비하고, 이 중공을 통해 중공인 샤프트(210)와 삽입부재(330)에 형성된 진공상태가 그릇(400)에 전달되도록 한다. 물론, 형틀(230)의 중공 부위에 삽입부재(330)의 일부위가 진공 유지를 위해 밀폐되도록 삽입됨은 당연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 삽입부재(330)의 설명에서 다시 설명한다.
또한, 형틀(230)는 그릇(40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그릇(400)의 내면 또는 외면과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물론, 그릇(400)은 진공 압력에 의해 형틀(230)에 흡착되므로 반드시 억지 끼움으로 끼워질 필요는 없지만, 표면을 다듬는 절삭작업시 그릇(400)의 형태가 일그러질 수 있으므로 형틀(23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진다. 또한, 그릇(400)과 밀착되는 형틀(230)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폐곡선 또는 개곡선이면서 깊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인 가(假) 밀착용 밀착링(미도시)이 배치된다. 만약, 그릇(400)의 안쪽 면을 다듬는 경우 오목하게 제작된 형틀(230)의 오목한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착링이 배치되고, 그릇(400)의 바깥 면을 다듬는 경우 볼록하게 제작된 형틀(230)의 볼록한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착링이 깊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형틀(230)의 깊이 방향을 따라 밀착링의 돌출된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그릇(400)의 크기가 약간 차이가 있는 경우 어느 하나 이상의 밀착링에 주로 밀착되고, 기타 밀착링에 보조로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그릇(400)은 형틀(230)의 중심과 1차적으로 맞추게 되고, 진공수단(300)에 의한 흡착시 완벽하게 동심을 이루게 된다. 물론, 밀착링의 탄성력은 진공수단(300)의 진공에 의해 형틀(230)에 그릇(400)이 흡착될 때, 형틀(230)과 그릇(400)의 중심이 맞춰지면서 형틀(230)의 표면과 그릇(400)의 표면이 밀착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리고, 휠(240)은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샤프트(210)를 자전시키도록 장착되고, 동력원(25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동력원(250)은 휠(2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일 예의 구조로, 벨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벨트 이외에 체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진공수단(300)은 도 4에서와 같이, 진공발생용 구동원(미도시)에 일측부가 장착된 연결관(310), 이 연결관(310)의 타측부가 장착되면서 샤프트(210)의 후미측 부위에 체결된 연결부재(320), 일부위가 샤프트(210)에 삽입되면서 타측 일부가 장착부재(220)보다 외부로 돌출된 삽입부재(330)를 구비한다.
먼저, 연결관(310)은 도 4에서와 같이, 진공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연결부재(320)를 연결하여 설치된다. 이 구동원에 흡기(吸氣) 작동을 통해 샤프트(210)의 내부 공기를 구동원측으로 흡기시키기 위해 연결된 매개체이다. 이때, 샤프트(210)의 내부 공기는 연결부재(320)와 연결관(310)을 통해 구동원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320)는 도 4와 도 8에서와 같이, 샤프트(210)의 후미에 장착되고, 일측 개구(開口)가 샤프트(210)의 중공인 내부와 연결되면서 타측 개구에 연결관(310)이 장착되도록 가공된 진공홀(321)을 구비한다. 즉, 연결부재(320)가 샤프트(210)의 후미에 장착되면, 진공홀(321)의 일측 개구는 샤프트(210)의 내부와 연결되고, 진공홀(321)의 타측 개구는 연결관(310)의 일측부가 밀폐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구동원이 작동하면 연결관(310), 연결부재(320)를 통해 샤프트(210) 내부의 공기를 흡기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부재(330)는 도 4, 도 5, 도 7a, 도 7b와 도 9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이 개구된 중공을 구비하고, 대부분이 샤프트(210)와 장착부재(220)에 삽입되고, 일부위가 장착부재(22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삽입부재(330)는 일측부가 샤프트(210)의 내면에 가공된 돌출턱까지 삽입되고, 타측부가 형틀(230)에 삽입된다. 즉, 삽입부재(330)의 중공 양측부는 각각 샤프트(210)의 내부 중공과 형틀(230)의 내부 중공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삽입부재(330)의 외면에는 진공유지용 밀폐부재(일 예로 오링(O-ring),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홈(331)을 구비한다. 따라서, 삽입부재(330)가 샤프트(210)에 삽입되면 삽입부재(330)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홈(331)에 각각 장착된 밀폐부재와 샤프트(210)의 내면이 밀착되어 샤프트(210)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샤프트(210) 또는 장착부재(2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삽입부재(330)의 일부위에도 밀폐부재홈(330)이 가공되고, 이 밀폐부재홈(331)에 밀폐부재가 장착된다. 따라서, 삽입부재(330)의 돌출된 일부위가 형틀(230)의 중공에 삽입되면 밀폐부재가 형틀(230)의 중공 내면과 밀착되어 형틀(230)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삽입부재(330)는 샤프트(210)의 플랜지(211)를 경계로 장착부재(220)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경이 샤프트(210)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하고, 외경이 넓은 부위가 장착부재(220)의 죠우(222)에 견고히 물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구동원, 연결관(310), 연결부재(320), 샤프트(210)에 발생한 흡기 현상이 삽입부재(330)를 통해 형틀(230)까지 도달하게 되고, 형틀(230)에 밀착된 그릇(400)에 까지 흡기가 도달하여 그릇을 형틀(230)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요약하면, 구동원의 진공 작동이 연결관(310), 연결부재(320), 샤프트(210), 삽입부재(330) 및 형틀(230)을 통해 그릇(400)까지 전달되어 형틀(230)에 그릇(40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원의 진공 작동이 멈추게 되면 형틀(230)에서 그릇을 손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샤프트
110:고정프레임
120:베어링
200:회전수단
210:샤프트
211:플랜지
220:장착부재
221:몸체
222:죠우
223:회전구
224:렌치
230:형틀
240:휠
250:동력원
300:진공수단
310:연결관
320:연결부재
321:진공홀
330:삽입부재
331:밀폐부재홈
400:그릇

Claims (9)

  1. 고정프레임(110)을 구비한 고정수단(100);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중공의 샤프트(210)와, 샤프트(210)에 장착되면 샤프트(210)의 중공과 연결되는 중공이 가공된 형틀(230)을 구비한 회전수단(200);
    상기 샤프트(210)의 후미측 부위에 장착되어 샤프트(210)의 중공과 연결되는 진공홀(321)이 가공된 연결부재(320)와, 이 연결부재(320)에 연결된 진공발생용 구동원을 구비한 진공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수단(300)은 연결부재(320)의 진공홀(321)과 구동원을 연결하여 장착된 연결관(310)과, 상기 샤프트(210)에 일측부위가 삽입되면서 타측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샤프트(210)의 중공과 형틀(230)의 중공을 연결하도록 중공이 가공된 삽입부재(3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재(330)의 외면에는 샤프트(210)에 삽입부재(3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샤프트(210)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밀폐부재가 장착되도록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홈(331)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의 진공 작동이 연결부재(320), 샤프트(210), 형틀(230)의 중공을 통해 형틀(230)에 밀착된 그릇(400)을 흡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유기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10)의 중공 내면에는 삽입부재(330)의 삽입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삽입부재(330)의 삽입된 일측부가 걸리도록 가공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유기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00)은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되면서 샤프트(210)가 자전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120)을 더 포함하는 유기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00)은 동력원(250), 이 동력원(2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샤프트(210)를 자전시키도록 설치된 휠(240), 형틀(230)을 파지하기 위해 샤프트(210)의 일측부에 체결되면서 샤프트(210)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30)가 관통하도록 중공이 가공된 장착부재(2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재(220)는 샤프트(210)의 일단부에 구비된 플랜지(211)에 장착되는 몸체(221), 이 몸체(221)에 장착되어 왕복 이동하면서 형틀(230)을 파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죠우(222),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죠우(222)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회전구(223)를 포함하는 유기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230)은 일측부가 죠우(222)에 파지되도록 가공되고, 타측부가 그릇(400)의 외면 또는 내면과 밀착하도록 가공되는 유기 제조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230)은 그릇(400)의 외면 또는 내면을 다듬는 경우에 따라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제작되고, 형틀(230)에 그릇(400)이 진공에 의한 흡착 이전에 중심을 잡으면서 가 밀착되도록 오목한 내면 또는 볼록한 외면에 깊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인 경우 깊이 방향에 대해 돌출된 높이가 더 높아지는 밀착링을 구비하는 유기 제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330)는 장착부재(220)에 삽입된 부위의 외경이 샤프트(210)에 삽입된 외경보다 더 크게하여 제작되는 유기 제조장치.
KR20140152010A 2014-11-04 2014-11-04 유기 제조장치 KR101495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010A KR101495608B1 (ko) 2014-11-04 2014-11-04 유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010A KR101495608B1 (ko) 2014-11-04 2014-11-04 유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608B1 true KR101495608B1 (ko) 2015-02-26

Family

ID=5259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2010A KR101495608B1 (ko) 2014-11-04 2014-11-04 유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925A (ko) 2020-01-09 2021-07-19 박영자 내주면을 가공한 유기그릇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982Y1 (en) * 1979-08-29 1980-12-12 Jung Sam Song Vessel making equipment
KR20040077237A (ko) * 2003-02-28 2004-09-04 최종진 연마 가공물 고정용 지그
KR20040097421A (ko) * 2003-05-12 2004-11-18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가공력 제어식 가공 장치
KR101259587B1 (ko) * 2011-11-30 2013-04-30 박유진 주방 용기의 표면 광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982Y1 (en) * 1979-08-29 1980-12-12 Jung Sam Song Vessel making equipment
KR20040077237A (ko) * 2003-02-28 2004-09-04 최종진 연마 가공물 고정용 지그
KR20040097421A (ko) * 2003-05-12 2004-11-18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가공력 제어식 가공 장치
KR101259587B1 (ko) * 2011-11-30 2013-04-30 박유진 주방 용기의 표면 광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925A (ko) 2020-01-09 2021-07-19 박영자 내주면을 가공한 유기그릇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130B2 (en) Food processor
EP1441048A3 (en) Plating apparatus, plating cup and cathode ring
EP4249759A3 (en) Power operated rotary knife
NZ601903A (en) Suction tool for vacuum cleaner
KR101495608B1 (ko) 유기 제조장치
JP2010046737A (ja) 鋼管構造物の鋼管内部除錆処理装置
PL1733665T3 (pl) Rozłączalny zespół łączący pomiędzy trzonem narzędzia a zespołem silnika ręcznych mieszarek
KR20160031749A (ko) 방전가공용 전극의 클램핑장치
JP6189135B2 (ja) ブレード着脱具及びブレードケース
ATE541672T1 (de) Maschinenanordnung mit einer absaughaube
JP2021079513A (ja) ナットランナ装置
EP1777179A3 (en) Material transfer vacuum device
JP2015226939A (ja) 芯振れ抑制機構を備えたナットランナ工具
CN206761662U (zh) 一种机械联动洗碗装置
CA2539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mming containers
CN104015538A (zh) 散热吹风式手工雕刻机
CN205703175U (zh) 油桶盖套圈机
CN103586832A (zh) 圆柱工件取放装置
CN203944940U (zh) 锥柄插齿刀
JP5752290B2 (ja) 紫外線ランプモジュール
CN218491459U (zh) 一种羊肉罐头生产用罐头瓶消毒装置
CN218278649U (zh) 一种多角度食品杀菌机
FR3035338A1 (fr) Adaptateur de liaison pour melangeur sous vide
CN210999945U (zh) 一种用于吹塑机的取出装置
CN220048819U (zh) 可旋转的零件加工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