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133B1 -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133B1
KR101491133B1 KR20120108733A KR20120108733A KR101491133B1 KR 101491133 B1 KR101491133 B1 KR 101491133B1 KR 20120108733 A KR20120108733 A KR 20120108733A KR 20120108733 A KR20120108733 A KR 20120108733A KR 101491133 B1 KR101491133 B1 KR 10149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ood waste
microwave
condensed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242A (ko
Inventor
손정기
Original Assignee
손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기 filed Critical 손정기
Priority to KR2012010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처리 장치는, 처리를 위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위치되는 건조처리공간을 가지며, 건조처리공간의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는 건조처리탱크; 건조처리공간 내에 위치된 음식물쓰레기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도록 되어 있는 마이크로웨이브출력장치; 건조처리공간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휘저어주는 교반기; 건조처리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진공상태설정수단; 건조처리공간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진공펌프로 향하는 과정에서 냉각되어 응축수가 되도록 하는 응축기; 응축기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장치는, 설치면적은 작게 차지하면서 건조처리 용량은 크고, 음식물쓰레기를 작업 준비상태로 보관하는 기간은 짧다.
또, 설치면적을 작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진공상태에서 건조처리가 이루어지고, 건조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응축수로 만들어 응축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 아파트 등의 도심 주거지에도 설치 가능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APPARATUS FOR DRYING FOOD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연간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악취 및 침출수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이 너무 많아 그 처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하는 기술 및 퇴비화하는 기술 등이 안출되어 실시되고 있으나 그 처리량에 한계가 있고,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에 비하여 그 처리 용량이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기술이 안출되었다.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면 연소시켜 열을 얻는 원료로 사용될 수도 있고, 비교적 처리속도가 빠르며, 사료화 등을 위한 보관도 용이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함에 있어서 신속한 건조처리와 경제성을 위해 한국 특허등록 제10-0356535호에서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건조처리 기술이 안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 사용 건조처리 장치는 크기가 커 넓은 설치면적이 요구되면서도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처리 용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를 위한 공간으로 서서히 투입하는 것이어서 대기중인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하고 있는 시간이 상당히 길게 발생되고 작업작도 장시간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 등에서 자체적인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시설로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음식물의 건조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구조로 인해 주거지 등의 민원발생 지역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3565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면적을 작게 차지하면서 건조처리 용량은 크고,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처리 과정에서의 악취발생이 미미하며, 처리를 위한 음식물쓰레기를 작업준비상태로 보관하는 기간이 짧아 도심의 주거지 등에도 설치 가능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처리탱크에 다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 진공을 형성한 상태로 음식물쓰레기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면서 휘저어주어 음식물쓰레기가 건조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면적은 작게 차지하면서 건조처리 용량은 크고, 음식물쓰레기를 작업 준비상태로 보관하는 기간이 짧도록 하며, 건조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응축수로 만들어 응축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아파트 등의 도심 주거지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처리를 위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위치되는 건조처리공간을 가지며, 건조처리공간의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는 건조처리탱크를 갖는다.
또, 건조처리공간 내에 위치된 음식물쓰레기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도록 되어 있는 마이크로웨이브출력장치를 갖는다.
또, 건조처리공간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휘저어주는 교반기를 갖는다.
또, 건조처리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진공상태설정수단을 갖는다.
또, 건조처리공간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진공펌프로 향하는 과정에서 냉각되어 응축수가 되도록 하는 응축기를 갖는다.
또, 응축기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탱크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처리탱크에 다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 진공을 형성한 상태로 음식물쓰레기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면서 휘저어주어 음식물쓰레기가 건조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설치면적은 작게 차지하면서 건조처리 용량은 크고, 음식물쓰레기를 작업 준비상태로 보관하는 기간은 짧다.
또, 설치면적을 작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진공상태에서 건조처리가 이루어지고, 건조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응축수로 만들어 응축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 아파트 등의 도심 주거지에도 설치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의 정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절단날을 갖는 교반기의 교반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설치면적을 작게 차지하면서 건조처리 용량은 크고,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처리 과정에서 악취발생이 미미하며, 처리를 위한 음식물쓰레기를 작업준비상태로 보관하는 기간이 짧아 도심의 주거지 등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처리공간(11)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건조처리공간(11)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여 건조처리공간(11)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한다.
대기압 조건에서는 100℃로 가열해야 수분이 스팀이 되지만 진공상태에서는 가열온도가 낮아도 수분이 스팀이 되므로 에너지 효율성과 빠른 건조처리에 도움이 된다.
건조처리공간(11)을 진공상태로 만드는 것은 단순히 가열온도를 낮추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웨이브는 깊은 곳까지 전달되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스팀이 되어 음식물쓰레기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이고, 진공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열풍 사용 건조방식이 아니라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한 건조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단순히 건조처리공간(11)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방식은 건조처리공간(11)에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채워진 조건에서 신속하고 원활한 건조에 어려움이 있다.
원활한 건조를 위해서는 발생되는 스팀을 건조처리공간(11)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처리공간(11)이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또,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채워진 것이기 때문에 스팀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에서는 진공펌프(41)를 통해 건조처리공간(11)을 진공상태로 만들어주어 건조처리공간(11) 내의 스팀이 진공펌프(41)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건조처리공간(11)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또, 건조처리공간(11) 내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휘저어주는 교반기(30)를 구비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스팀이 되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는, 처리를 위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위치되고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는 건조처리공간(11)을 가지는 건조처리탱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건조처리공간(11) 내에 위치된 음식물쓰레기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도록 되어 있는 마이크로웨이브출력장치(20)를 갖는다.
또, 건조처리공간(11)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휘저어주는 교반기(30)를 갖는다.
또, 건조처리공간(11)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41)를 갖는 진공상태설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건조처리공간(11)에서 배출되는 스팀은 상당한 악취를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곧바로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구조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 배출되는 스팀이 탈취장치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할 경우 냄새의 완전한 제거에는 어려움이 있고,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탈취장치의 규모가 커져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냉각하여 응축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는, 건조처리공간(11)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진공펌프(41)로 향하는 과정에서 냉각되어 응축수가 되도록 하는 응축기(50)를 갖는다.
또, 응축기(50)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탱크(60)를 갖는다.
응축수저장탱크(60)에 저장된 응축수는 그 용량이 대용량이라고 할 경우에는 폐수처리시설로 옮겨 정수처리할 수 있으며, 소량인 경우에는 아파트 단지 등의 정화조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매우 작은 용량이라면 오수처리관을 통해 오수로 배출되도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응축수에는 유기물과 무기물 및 중금속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해 응축수에 초음파를 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응축수에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발생수단(90)을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초음파발생수단(90)의 초음파출력몸체(초음파진동자 설치부)는 응축수저장탱크(60)에 설치할 수도 있고, 스팀이 응축수가 되어 이동되는 배관(응축수와 응축수저장탱크(60)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초음파출력몸체는 배관의 단면적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 배열되면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도 복수 개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응축수저장탱크(60)에 저장된 응축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처리공간(11)으로 공급하도록 된 슬러지공급수단(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응축수에는 슬러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슬러지가 다시 건조처리공간(11)으로 공급되어 다시 건조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응축수저장탱크(60)에 저장된 응축수를 보다 깨끗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므로 오수관 등을 통해 배출하는 구조에 더욱 적합하다.
슬러지는 대부분 응축수저장탱크(6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하부에 위치된 응축수만을 건조처리공간(11)으로 공급하는 방법을 통해 슬러지를 건조처리공간(11)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슬러지 공급방식에서의 슬러지 공급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당량의 슬러지가 쌓여 있다고 판단될 때 실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응축수저장탱크(60)에 저장된 응축수에 응집제를 가하여 슬러지가 더욱 원활하게 응집되도록 하는 응집제투여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본 발명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건조처리공간(11)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자동 배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조처리공간(11)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81)를 구비한다.
또, 습도감지센서(81)에 감지된 습도가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건조처리공간(11)에 형성된 처리물배출구(12)가 개방되어 건조처리된 음식물쓰레기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자동배출수단(82)을 구비한다.
자동배출수단(82)는 처리물배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나 모터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에 어류의 뼈, 동물의 뼈, 조개 껍데기 등을 포함하여 배출하지 않도록 규제한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것들을 포함하여 배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어류의 뼈, 동물의 뼈, 조개 껍데기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건조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활용에 많은 제악이 따른다.
즉, 사료용으로 사용하는데도 어려움이 있고, 퇴비 등으로 사용하는데도 상당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처리물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즉, 어류의 뼈, 동물의 뼈, 조개껍데기 등을 완전 분쇄하는 분쇄기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런데 어류의 뼈, 동물의 뼈, 조개껍데기 등을 분쇄기로 분쇄하더라도 사료나 퇴비 등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면 상당히 고운 분말로 가공해야 하므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건조처리공간(11)에서 건조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경유하게 되면서 공극보다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메쉬망을 갖는 이물질분리기를 구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물질분리기를 건조처리공간(11)의 앞쪽에 설치하여 이물질분리기를 경유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처리공간(1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은 음식물쓰레기가 메쉬망에 걸려서 메쉬망을 막는 현상 등이 발생되고, 그러한 막힘현상이 발생된 경우 제거작업을 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건조처리전의 음식물쓰레기는 입자도 굵고 상대적으로 질긴 특성이 있음)
이물질분리기를 구비한 조건에서 전술한 분쇄기가 구비된 구조일 수도 있고, 분쇄기가 구비되지 않은 구조일 수도 있다.
즉, 단순히 어류의 뼈, 동물의 뼈, 조개껍데기 등이 이물질분리기에 의해 분리되어 버려지거나 별도로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물질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어류의 뼈, 동물의 뼈, 조개껍데기 등에는 상당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에 진동이나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에 부착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분리되도록 하거나 이물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에 부착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질세척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반기(30)는 고속 회전될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휘저어주면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도록 절단날(31a)이 형성되어 있는 교반날개(31)를 갖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즉, 음식물쓰레기 중에는 길이가 긴 음식물쓰레기도 상당히 많다.
특히, 김장철에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크기가 작지 않은 배추잎이나 무우 잎 등이 상당히 포함되어 있다.
또, 음식물이 교반날개(31)에 의해 휘저어지면서 서로 엉켜서 존재하는 경우도 발생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원활한 건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조가 완료된 후 처리물배출구(12)를 통해 배출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으며, 건조된 음식물쓰레기의 활용에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교반날개(31)의 절단날(31a)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10. 건조처리탱크
11. 건조처리공간
12. 처리물배출구
20. 마이크로웨이브출력장치
30. 교반기
31. 교반날개
31a. 절단날
40. 진공상태설정수단
41. 진공펌프
50. 응축기
60. 응축수저장탱크
70. 슬러지공급수단
81. 습도가지센서
82. 자동배출수단
90. 초음파발생수단

Claims (9)

  1.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처리를 위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위치되고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는 건조처리공간(11)을 갖는 건조처리탱크(10);
    상기 건조처리공간(11) 내에 위치된 음식물쓰레기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도록 되어 있는 마이크로웨이브출력장치(20);
    상기 건조처리공간(11)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휘저어주는 교반기(30);
    상기 건조처리공간(11)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41)를 갖는 진공상태설정수단(40);
    상기 건조처리공간(11)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진공펌프(41)로 향하는 과정에서 냉각되어 응축수가 되도록 하는 응축기(50);
    상기 응축기(50)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탱크(60); 및
    상기 응축수저장탱크(60)에 저장된 응축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하여 상기 건조처리공간(11)으로 공급하도록 된 슬러지공급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에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발생수단(90);이 더 구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처리공간(11)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81);
    상기 습도감지센서(81)에 감지된 습도가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건조처리공간(11)에 형성된 처리물배출구(12)가 개방되어 건조처리된 음식물쓰레기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자동배출수단(82);이 더 구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장탱크(60)에 저장된 응축수에 응집제를 가하여 슬러지가 응집되도록 하는 응집제투여수단;이 더 구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가 더 구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7.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처리공간(11)에서 건조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경유하게 되면서 공극보다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메쉬망을 갖는 이물질분리기;가 더 구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에 진동이나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에 부착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분리되도록 하거나 이물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에 부착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질세척장치;가 더 구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9.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30)는 고속 회전될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휘저어주면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도록 절단날(31a)이 형성되어 있는 교반날개(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20120108733A 2012-09-28 2012-09-28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10149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8733A KR101491133B1 (ko) 2012-09-28 2012-09-28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8733A KR101491133B1 (ko) 2012-09-28 2012-09-28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42A KR20140042242A (ko) 2014-04-07
KR101491133B1 true KR101491133B1 (ko) 2015-02-05

Family

ID=5065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8733A KR101491133B1 (ko) 2012-09-28 2012-09-28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953A (ko) 2019-04-18 2020-10-28 박정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복합건조방식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시스템
KR20200122955A (ko) 2019-04-18 2020-10-28 박정수 정화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시스템
KR20200122954A (ko) 2019-04-18 2020-10-28 박정수 마이크로웨이브의 차폐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시스템
KR20220077808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33A (ko) * 1998-03-05 1999-10-05 구자홍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JP2010516454A (ja) * 2007-01-25 2010-05-20 イノテ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コー ホールディング ウント ハンデルス カーゲー 有機物質の乾燥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33A (ko) * 1998-03-05 1999-10-05 구자홍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JP2010516454A (ja) * 2007-01-25 2010-05-20 イノテ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コー ホールディング ウント ハンデルス カーゲー 有機物質の乾燥設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953A (ko) 2019-04-18 2020-10-28 박정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복합건조방식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시스템
KR20200122955A (ko) 2019-04-18 2020-10-28 박정수 정화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시스템
KR20200122954A (ko) 2019-04-18 2020-10-28 박정수 마이크로웨이브의 차폐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 시스템
KR20220077808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427947B1 (ko) * 2020-12-02 2022-08-02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42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10149113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3891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31188B1 (ko) 악취제거설비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처리 시스템
JP2002018397A (ja) 含水ゴミ脱水乾燥装置
KR102085833B1 (ko) 폐가축처리장치
KR20140047379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JP2008284483A (ja) 乾燥装置
KR20100029961A (ko)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3279247A (ja) 減圧乾燥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1707699U (zh) 一种卧式厨余处理设备
KR10065320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6051483A (ja) 有機廃棄物の複合加熱による乾燥処理装置
KR10158125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협잡물의 제거 및 건조장치
KR201500557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9990030372A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0204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43383B1 (ko)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 및 복원방법
KR101227593B1 (ko) 파쇄건조기
KR1014751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11938A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