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79B1 -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 Google Patents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79B1
KR101487379B1 KR20130159250A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KR 101487379 B1 KR101487379 B1 KR 101487379B1 KR 20130159250 A KR20130159250 A KR 20130159250A KR 20130159250 A KR20130159250 A KR 20130159250A KR 101487379 B1 KR101487379 B1 KR 10148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plate portion
coupled
disposed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영 filed Critical 정진영
Priority to KR2013015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1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paper clamps, line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6Desks with inlet and evacu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구획된 독서실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시공성 및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독서유닛의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1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2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사각기둥 형상의 후방지지빔, 상기 제2지지빔의 전방에서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상기 제2지지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고 언더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하측 모서리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지지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시공성과 이동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독서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구획된 독서실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시공성 및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독서유닛의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책상의 경우 일반적으로 책상과 선반을 구비하는데 그쳐 사방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는데, 독서나 학습에 집중하고자 하는 경우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분위기가 저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가정과 사무실의 경우 밀폐된 학습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서는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어 사실상 이러한 학습환경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독서실은 학생이나 수험생들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장소 또는 구획된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독서실은 이용자 상호 간 방해되지 않도록 책상을 중심으로 공간이 구획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며, 최근에는 단일 또는 복수의 책상을 하나의 공간으로 독립되도록 소정의 룸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룸 형식으로 이루어진 독서실은 구체적으로, 밀폐된 일정한 공간에 출입이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내부에 책상, 의자, 수납장 또는 조명장치 등을 구비하게 된다.
종래에는 단순히 책상에 칸막이 등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독서실 책상을 이루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독서실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도 옆자리 등과의 간섭이 불가피하고 최근에는 학습 분위기의 향상을 위하여 독서실을 폐쇄된 룸 형태로 이룸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를 위하여 벽체나 도어 등의 시공을 위하여 과도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학습공간을 시공하더라도 공간상의 한계로 인하여 시공성은 극히 악화되고 견고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미관적으로도 단조로운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폐쇄된 형식의 독서유닛을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현장에서의 조립성과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독서유닛의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1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2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사각기둥 형상의 후방지지빔, 상기 제2지지빔의 전방에서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상기 제2지지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고 언더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하측 모서리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지지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시공성과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각 모서리부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경사를 가진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하면을 관통하여 조절홀이 형성되고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내면에 체결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조절홀에 나삽되는 샤프트부 및 바닥면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은,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하측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견고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높낮이의 조절에 따른 언더프레임의 출입 간섭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도어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조를 연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입출시의 장애 요소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은, 상측에 배치되는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벽체와 지지부재의 결합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으로서, 제1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측판부, 제2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측판부, 상기 제1측판부와 제2측판부를 연결하고 후방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후면판부,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결합되고 후면이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지지되는 전면판부 및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고 제1측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독서유닛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간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판부와 제1측판부에 양측에 연결되는 도어상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후면판부 및 전면판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지지부재의 외곽에 대응되는 외곽을 가지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와,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기구(21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공간을 완전하게 폐쇄하면서도 내부의 공간의 쾌적성이 제공된다.
상기 제1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부 및 상기 제2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전면판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부와 제2연결판부는 각각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측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성과 조립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흡기구는, 제2측판부와 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고며, 상기 배출구는, 제2측판부와 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성이 향상되고, 유로의 배치가 용이하며 조화된 공기의 체류시간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흡기구에 결합되는 흡기팬부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 바닥에 인접된 부위로 온도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흡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동성이 개선된다.
상기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를 연결하도록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책상부, 상기 책상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조명 및 전기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또는 후면판부의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내면에 배치되며 후크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재들이 걸림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된다.
상기 제1측판부 또는 제2측판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결합되며 인접되는 독서유닛과의 방음성능을 향상하는 방음시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독서실 공간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단일벽체에 의한 룸 형성의 경우보다 방음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는, 사각 형태의 벽체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저부에서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전면의 언더프레임의 구조를 통하여 외부에 지지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적인 이점을 가지면서도 독서유닛의 조립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독서유닛들이 상호간에 배치되어 학습모듈을 이루게 되므로 종래에 각각의 룸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에 벽체와 도어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독서실 공간의 바닥과 천장 등에의 체결이나 가공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배치상태를 공간에 적응하여 변경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벽체는 물론 천정의 상판부에 의하여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방음과 밀폐성능이 향상되어 학습의 집중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높이조절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의 후방측 사시도.
도 7은 도 4의 독서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이 배열된 학습모듈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상부에 독서유닛이 형성되도록 기초를 이루는 지지부재를 설명하며, 이러한 지지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독서유닛은 내부에 학습이 가능한 소정의 책상과 의자 등을 수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독서유닛은 어느 정도 외부와 차단된 폐쇄공간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폐쇄란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상측, 전후면 또는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부재는 독서유닛을 기본적으로 설명하나 외부와 격리되고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하나의 룸 유닛을 형성한다면 단일 또는 복수로서 배열되어 다양한 용도의 공간을 이루는 데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여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독서유닛은 독서실 공간, 독서가 가능한 카페나 휴게실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지지부재(100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의 외곽을 이루고 내주측에 이용자가 입실하여 학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000)의 재질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측에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판재들이 결합됨에 따라 견고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1000)는 기본적으로, 양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빔(1100) 및 제2지지빔(1300)과, 상기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의 후방측 단부를 연결하는 후방지지빔(1300)과, 상기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언더프레임(14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은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호간에 볼팅 또는 용접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전방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된 부위는 후술될 바와 같이 전면의 벽체와 도어가 배치된다.
일측의 제1지지빔(1100)과 타측의 제2지지빔(1300)의 전방측에는 전방지지부(1400)가 배치되고, 이러한 전방지지부(1400)는 소정의 룸이 형성될 때 전면에서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도록 바닥면과 수평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지지부(1400)는 저면의 언더프레임(1410)과 상측의 전면프레임(14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더프레임(1410)은 후방측 모서리에서 제2지지빔(1300)의 전방 단부의 하단측에 용접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방지지부(1400)는 타측으로 전면에 벽체가 지지될 수 있는 부위와, 일측으로 도어가 배치되어 입출이 가능한 부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일측으로는 개구부(143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420)은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타측의 배면에서 제2지지빔(1300)의 전방 단부측과 결합되고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전면프레임(1420)의 하측 모서리는 언더프레임(1410)의 후방 모서리와 용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상태는 측면상 전방지지부(1400)와 언더프레임(1410)이 'ㄴ'자 형태의 모양을 이루게 된다. 다만, 상기 전면프레임(1420)과 언더프레임(1410)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420)의 일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전면프레임(1420)의 길이는 도어의 폭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전면프레임(1420)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1100) 사이에는 개구부(1430)를 형성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도어가 배치되어 이용자가 입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언더프레임(1410)이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을 전방측에서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언더프레임(1410)은 전체적인 구조의 견고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도어의 개폐나 이용자의 입출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저면에 평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에는 측벽체결부(1110)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지지빔(1300)에도 마찬가지로 후면체결부(1310)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후술될 바와 같이 벽체가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110, 1310)들은 경우에 따라 상측으로 볼팅 또는 체결수단이 돌출되어 벽체의 하단부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벽체결부(1110)와, 후면체결부(1310)의 개수 및 배열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에 각각 4개의 측벽체결부(111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후방지지빔(1300)에는 2개가 배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또한, 상기 언더프레임(1410)에는 상하를 관통하도록 전면체결부(1401)가 형성되고 도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면판부(도 3의 140)가 상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1000)는 양측 및 후방측에서는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측에 벽체를 지지하며 외부에 노출되고, 언더프레임(1410)은 전면에 배치되는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면에 실질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룸의 경우 전면의 형태가 미관에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개념에 따라 미관적인 이점이 향상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이에 벽체들이 결합되어 룸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언더프레임(1410)은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을 저부에서 상호 연결하는 판재이며, 일측으로는 개구부(1430)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전면프레임(1420)이 타측 후방에서 제2지지빔(1300)의 단부에 연결되고 하측 모서리에서 언더프레임(1410)에 연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의 배치상태에서 전면판부(1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외벽을 이루게 되며, 언더프레임(1410)의 타측 상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판부(140)와 언더프레임(1410)은 전면체결부(1401)에 관통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전면판부(140)의 하단측 후면은 전면프레임(1420)의 전면에 지지된다.
상기 개구부(1430)측에는 도어부(160)가 일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도어부(160)는 측면의 제1지지빔(1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측판부의 전방측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장치는 독서유닛임을 고려하여 닫힘 동작에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부(160)의 닫힘 동작시 충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도어부(160)는 독서유닛(100)의 상단측까지 형성될 수도 있지만,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전면판부(140)와 제1측판부를 상호 연결하는 도어상판부(1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60) 및 도어상판부(150)의 높이는 이용자의 키와 공간적인 활용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160)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책상과 같은 부재는 도시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도어부(160)가 어느 일측으로 배치되어,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1000)의 개구부도 이에 대응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부의 배치상태는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된 지지부재(1000)와 벽체 등의 부재들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독서유닛(100)의 구조는 도 6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의 결합관계및 형태에서 일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프레임(1420)과 언더프레임(1410)이 타측, 즉 제2지지빔(1300)측에 결합되고 함께 개구부(1430)측까지만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1430)는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는 높이조절부(1500)의 배치에 따른 전체적인 지지부재(1000)의 상승에 따라 불필요하게 출입구에 배치되어 걸음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개념에 따라 지지부재(1000)는 내주 모서리측에 높이조절부(1500)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부(1500)는 각각 개별적으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고정된 형태의 독서유닛(100)을 다양한 공간에 배치함에 있어 바닥면의 형상과 경사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500)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빔의 연결부위 내주에 체결되거나 용접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브라켓부(1510)와, 상기 브라켓부(151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한 높이조절부재(1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상기된 높이조절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높이조절부(1500)의 브라켓부(1510)는 상하면에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150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브라켓부(1510)는 상하면과 측면이 형성되고 측면은 빔의 결합부위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하면에는 각각 관통홀(1511)과 조절홀(1512)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1511)과 조절홀(1512)을 관통하여 높이조절부재(1520)의 샤프트부(1522)가 배치된다.
이러한 샤프트부(15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통홀(1511)과 조절홀(1512)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이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샤프트부(1522)의 회전에 따라 저부의 헤드부(1521)가 승하강되면서 해당 모서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부(1522)의 상단측에는 육각 비트와 같은 회전조절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절홈(1523)이 형성되거나 육각 헤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조절을 위한 구성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브라켓부(1510)는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또는 후방지지빔(1300)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이때 높이조절부재(1520)의 샤프트부(1522)가 선택된 빔에 형성되는 소정의 조절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500)는 전체적으로 지지부재(1000) 및 독서유닛(100)을 승하강시키거나 선택된 위치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언더프레임(1410)이 전면프레임(1420)과 함께 제2지지빔(1300)에만 결합됨으로써 개구부(1430)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일실시예와 같이 언더프레임(1410)은 전체적으로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을 상호간에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언더프레임(1410)이 전면프레임(1420)에 대응되고 제2지지빔(1300)에 결합되는 부위와 제1지지빔(1100)의 폭에 대응되며 제1지지빔(1100)에 결합되는 부위로 이루어지는 고정언더프레임(미도시)과 상기 고정언더프레임에 양측이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가변언더프레임(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변언더프레임은 높이조절부(1500)에 의한 승하강에 따라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용자의 출입에 의한 간섭의 가능성은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언더프레임은 고정언더프레임에 상기된 높이조절부(1500)와 유사하게 소정의 높이조절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고정언더프레임에 형성되는 조절홀에 나삽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다른 실시예 및 추가적인 실시예들의 구성들간의 상호 간의 치환, 추가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상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000)를 기준으로 설명되나 상기 지지부재의 선택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독서유닛(10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0)의 모서리를 이루는 상측에는 소정의 벽체들이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제1지지빔(1100)의 상측에 제1측판부(도 7의 110)가 결합되고, 제2지지빔(1300)의 상측에 제2측판부(120)가 결합되며, 후방지지빔(1300)의 상측에 후면판부(130)가 결합된다.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의 폭은 제1측판부(110), 제2측판부(120) 및 후면판부(13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미관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결합은 측벽체결부(1110)와, 후면체결부(131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상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부(130), 제1측판부(110) 및 제2측판부(120)의 하측으로 지지부재(1000)의 높이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와 같은 빔의 결합관계로 인하여 저면에서의 지지능력이 향상되고 이는 구조적인 견고성을 형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제1측판부(110)가 도어부(16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경우만이 도시되었으나, 도어부(160)가 제1측판부(110)보다 타측으로 더 이동되어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되며 이때 상기 제1측판부(110)는 전면에 소정의 면적만큼 타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면프레임(1420)의 일부는 개구부(1430)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빔(1100)에 연결된 일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부(160)는 제1측판부(110) 또는 제2측판부(120)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상태로 인하여 종래에 단순히 판재들이 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내구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판재와 부재들을 개별적으로 이송하고 현장에서의 조립시의 시공성이 지지부재로 인하여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후면판부(130)와 제1측판부(110) 및 제2측판부(120)의 결합은 볼팅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정의 부싱과 같은 삽입체결부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측판부(110)와 제2측판부(120)는 하나의 판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독서유닛(100)의 경우 폭보다 전후방측으로의 길이가 더 확보될 필요성이 있음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벽체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제1측판부(110)와 제2측판부(120)의 전방측으로 제1연결판부(111)와 제2연결판부(1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부들의 전후방 길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측판부(110)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부(111)는 전방측에서 도어부(160)를 힌지결합하고, 상측에서 도어상판부(150)와 결합된다. 또한, 제2측판부(120)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부(121)는 전방측에서 전면판부(14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외벽의 구조가 형성되면, 내부 공간의 폐쇄를 위하여 상측에 상판부(20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상판부(200)는 제1측판부(110), 후면판부(130), 제2측판부(120), 전면판부(140) 및 도어상판부(150)의 상단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판부(200)의 외주의 모양은 지지부재(1000)의 외주의 모양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독서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부(200)는 룸 내부의 천정측에 배치되는 소정의 장치들의 결합을 위한 개구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독서유닛(100) 내부의 환풍 또는 공기조화를 위한 구조로서 배출구(220)와 흡기구(210)가 개구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220)와 흡기구(210)의 배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학습모듈(도 8의 2000)들이 배열되어 상호간에 전면이 마주보고 통로를 이루며 이러한 통로의 일부에 공기조화기가 배치됨에 비추어 상기 흡기구(210)는 전면측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220)와 흡기구(210)는 인접되는 독서유닛(100)들 간의 배치 간격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어느 일측으로 선택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210)가 상판부(200)의 전방측의 어느 일측에 선택된 경우 배출구(220)도 마찬가지로 해당 일측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입이 소정의 공기조화유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배열상태 및 미관을 고려하여 흡기구(210)가 상판부(200)의 후방측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흡기구(210)는 상기 공기조화유로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210)와 배출구(220)는 온도조화된 공기를 유입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룸 유닛 외부로 배출하도록 소정의 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220)는 공기조화의 효율성 및 흡기구(210)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흡기구(210)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예에 따라, 상기 흡기구(210)는 전면판부(140)와 제2측판부(120)의 연결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배출구(220)는 후면판부(130)와 제2측판부(120)의 연결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의하여 흡기구(210)와 배출구(220)는 상판부(200)에서 제2측판부(120) 측에 인접된 전후방에 배치되는 형태가 제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200)의 중심측에는 내부의 조명을 위한 조명고정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화재감지 등의 센싱을 위한 센서고정부(240)가 조명고정부(230)에 인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지지부재(1000)와 벽체들과의 결합관계에서 제1연결판부(111), 제2연결판부(121), 전면판부(140) 및 도어부(16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의 전방측으로는 측벽체결부(1110)의 일부가 연결판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며, 측벽체결부(1110)가 네 개가 배치되는 경우 연결판부와의 결합을 위한 측벽체결부(1110)는 전방측으로 하나가 결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측판부(110), 제2측판부(120) 및 후면판부(130)는 평면상 내부에서 'ㄷ'자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며 그 사이에 학습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측판부(110)와 제1측판부(110)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책상부(320)가 결합되고, 그 상측으로는 책이나 물품의 수납을 위한 선반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부(310)의 하측으로는 조명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된 배출구의 팬이나 조명 또는 전기적인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330)가 상기 조명과 모듈화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판부(110) 및/또는 제2측판부(120) 및/또는 후면판부(130)는 내측에서 다양한 물품들이 거치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34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라이딩홈(340)은 소정의 레일 형태의 브라켓들이 내면에 체결된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340)은 후크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선반, 책꽂이, 필통, 거치대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고정되고 위치가 선택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제2측판부(120)의 내면에 대략 평행하게 두 개의 열로서 슬라이딩홈(340)이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는데, 슬라이딩홈(340)의 개수, 길이 및 모양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독서유닛(100)은 학습이나 독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부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외부의 인터넷공유기가 연결되는 랜포트, 시계 및 알람장치, 원격강의 및 통신을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음향장치, 산소발생기, 백색소음기,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330)는 소정의 마이콤을 구비하여 상기된 다양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는 터치센서 스위치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상기된 독서유닛이 배열된 학습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독서유닛(100)들은 소정의 독서실 공간에서 상호간에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학습모듈(2000)을 이루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독서실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세 개의 독서유닛(100)이 직렬로 배열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독서유닛(100)들 상호간은 측벽에서 밀착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데, 즉 하나의 제1측판부(110)와 인접되는 독서유닛(100)의 제2측판부(120)가 상호 대면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독립된 공간인 독서유닛(100)들 간의 방음성의 향상을 위하여 인접되는 독서유닛(100)의 측판의 밀착시 그 사이에 방음시트부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어부(160)에는 전면측에 미관적 향상을 위한 데코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데코부는 전면에 도장되거나, 시트가 부착되거나 소정의 패널이나 장식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부(160)가 전면측에 소정의 삽입부재를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판재인 데코부의 양단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데코부는 바람직하게는 유리판재 또는 아크릴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데코부와 도어부의 사이에 미관적향상을 위한 도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데코부는 도어부(160)는 물론 전면판부(140)나 도어상판부(150)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독서유닛(100)은 상판부(200)에서 배출구(220)와 독서유닛(100)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210)와 유입구(220)는 도어부(160)에서 먼 측, 즉 제2측판부(120)의 상측에 전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흡기구(210)는 전면판부(14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흡기팬부(211)가 결합되어 팬의 동작으로서 외부의 온도조화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구(220)는 후면판부(13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배기팬부(미도시)가 결합되어 팬의 동작으로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이때, 흡기구(210)로부터 유입된 온도 조화된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팬부(211)로부터 압송되는 공기의 압력이 배출구(220)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흡기팬부(211)로부터의 공기를 독서유닛(100) 내부의 저면으로 최대한 가깝게 보낼 수 있도록 상기 흡기팬부(211)가 배치되는 흡기구(210)에는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의 흡기관(미도시)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기관은 공기의 양측으로의 분산을 억제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저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는 후방 상측에 배치되는 배출구(220)로의 배출 과정에서 조화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소정의 공기조화유로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흡기구(210)는 외부의 공기조화기(미도시)와 소정의 연통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공기조화유로는 학습모듈(2000)의 후방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로는 각각 연통부로 분기되고 각각의 연통부는 흡기구(210)에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온도조화된 공기가 독서유닛(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흡기구(210)는 상판부(20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렇게, 각각의 독서유닛(100)들이 상호간에 배치되어 학습모듈(2000)을 이루는 경우 종래에 각각의 룸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에 벽체와 도어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독서실 공간의 바닥과 천장 등에의 체결이나 가공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배치상태를 공간에 적응하여 변경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면판부(140), 도어부(160) 및 도어상판부(150)의 데코레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독서실 공간과 통로 부위의 미관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식이나 미관향상을 위한 장치가 불필요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부(200)의 상측에 다각뿔이나 한옥 또는 프로방스형 등의 선택적인 미관 향상을 위한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독서유닛 110...제1측판부
111...제1연결판부 120...제2측판부
121...제2연결판부 130...후면판부
140...전면판부 150...도어상판부
160...도어부 200...상판부
210...흡기구 211...흡기팬부
220...배출구 230...조명고정부
240...센서고정부 310...선반부
320...책상부 330...컨트롤러부
340...슬라이딩홈 1000...지지부재
1100...제1지지빔 1110...측벽체결부
1200...제2지지빔 1300...후방지지빔
1310...후면체결부 1400...전방지지부
1401...전면체결부 1410...언더프레임
1420...전면프레임 1430...개구부
1500...높이조절부 1510...브라켓부
1511...관통홀 1512...조절홀
1520...높이조절부재 1521...헤드부
1522...샤프트부 2000...학습모듈

Claims (16)

  1. 일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후방지지빔;
    상기 제2지지빔의 전방 하측에서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상기 제2지지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고 언더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하측 모서리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각 모서리부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하면을 관통하여 조절홀이 형성되고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내면에 체결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조절홀에 나삽되는 샤프트부 및 바닥면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2. 일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후방지지빔;
    상기 제2지지빔의 전방 하측에서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상기 제2지지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고 언더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하측 모서리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각 모서리부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프레임은,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도어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7. 삭제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으로서,
    제1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측판부;
    제2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측판부;
    상기 제1측판부와 제2측판부를 연결하고 후방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후면판부;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결합되고 후면이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지지되는 전면판부; 및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고 제1측판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판부와 제1측판부에 양측에 연결되는 도어상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부; 및
    상기 제2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전면판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부와 제2연결판부는 각각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측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후면판부 및 전면판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지지부재의 외곽에 대응되는 외곽을 가지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와,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제2측판부와 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고며,
    상기 배출구는, 제2측판부와 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에 결합되는 흡기팬부;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 바닥에 인접된 부위로 온도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흡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를 연결하도록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책상부;
    상기 책상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조명 및 전기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또는 후면판부의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내면에 배치되며 후크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재들이 걸림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또는 제2측판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결합되며 인접되는 독서유닛과의 방음성능을 향상하는 방음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KR20130159250A 2013-12-19 2013-12-19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KR10148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ko) 2013-12-19 2013-12-19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ko) 2013-12-19 2013-12-19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79B1 true KR101487379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ko) 2013-12-19 2013-12-19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20Y1 (ko) 2003-05-20 2003-08-25 조유순 다목적 받침대
KR101301964B1 (ko) 2013-07-22 2013-08-30 (주)서전기전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20130102174A (ko) * 2012-03-07 2013-09-17 김철호 룸식 독서실 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20Y1 (ko) 2003-05-20 2003-08-25 조유순 다목적 받침대
KR20130102174A (ko) * 2012-03-07 2013-09-17 김철호 룸식 독서실 책상
KR101301964B1 (ko) 2013-07-22 2013-08-30 (주)서전기전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1137A (ko) 스탠드형 에어컨
US20160069064A1 (en) Room system
US20120208447A1 (en) Motorized vav linear diffuser
KR101487379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JP5799575B2 (ja) 吹出グリル
KR2020011106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JP5684499B2 (ja) 建物の通気構造
JP6386757B2 (ja) 建物
JP5759767B2 (ja) 建物の間仕切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通気制御システム
JP7347733B2 (ja) 空調空気吹出部構造
JP6554543B2 (ja) 通風装置の空気吐出口
JP4419902B2 (ja) 音響拡散パネル装置
JPH08158672A (ja) ブース用ドア
JP6035136B2 (ja) 建物
JP2893372B2 (ja) トイレ室の構造
JP5820098B2 (ja) 喫煙ブース
CN110847456A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
KR101552614B1 (ko) 공기조화기
CN117287850A (zh) 一种带吹风装置的电热水器的壳体
JP4642690B2 (ja) レンジフード
JP4325144B2 (ja) 分電盤を収納した什器
KR20180001014U (ko)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JPH0116432Y2 (ko)
JPS6340732Y2 (ko)
JPH06207437A (ja) 床下空気導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