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79B1 -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79B1
KR101487379B1 KR20130159250A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KR 101487379 B1 KR101487379 B1 KR 101487379B1 KR 20130159250 A KR20130159250 A KR 20130159250A KR 20130159250 A KR20130159250 A KR 20130159250A KR 101487379 B1 KR101487379 B1 KR 10148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plate portion
coupled
disposed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영 filed Critical 정진영
Priority to KR2013015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1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paper clamps, line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6Desks with inlet and evacu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member of a reading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constructability and rigidity while forming a partitioned space of a reading room. Moreover, the supporting member comprises: a firs supporting beam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rranged in the front and the rear of one side; a second supporting beam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rranged to face the first supporting beam; a rear supporting beam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shape to connect the rear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beam and the second supporting beam; an under frame arranged in parallel with a floor surface in the front of the second supporting beam; a front frame in the form of a plate whose rear side is combined with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beam, and whose lower edge is combined with a rear edge of the under frame;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end of one side of the front frame and the end of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ing bea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constructability and mobility while securely supporting the entire structure.

Description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0001] DESCRIPTION [0002]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0003]

본 발명은 독서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구획된 독서실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시공성 및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독서유닛의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ing member of a reading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robustness while forming a space of each divided reading room, and a reading unit having the same.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책상의 경우 일반적으로 책상과 선반을 구비하는데 그쳐 사방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는데, 독서나 학습에 집중하고자 하는 경우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분위기가 저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a desk used in a home or an office, a desk and a shelf are generally provided, and the desk is opened in all directions. If the user intends to concentrate on reading or learning, the ambience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그러나, 가정과 사무실의 경우 밀폐된 학습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서는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어 사실상 이러한 학습환경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home and office, it took a lot of time and money to construct a clos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made it difficult to actually create such a learning environment.

한편, 일반적으로 독서실은 학생이나 수험생들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장소 또는 구획된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독서실은 이용자 상호 간 방해되지 않도록 책상을 중심으로 공간이 구획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며, 최근에는 단일 또는 복수의 책상을 하나의 공간으로 독립되도록 소정의 룸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Meanwhile, in general, a reading room refers to a place or a divided space used for students or examinees to study. In general, the reading room is divided into a space centered on a desk so as not to interfere with users, an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hat a single room or a plurality of desk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room type so as to be independent from one room.

룸 형식으로 이루어진 독서실은 구체적으로, 밀폐된 일정한 공간에 출입이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내부에 책상, 의자, 수납장 또는 조명장치 등을 구비하게 된다.A reading room made up of a room type specifically includes a door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 closed space, and a desk, a chair, a cabinet, or a lighting device is provided therein.

종래에는 단순히 책상에 칸막이 등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독서실 책상을 이루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독서실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Conventionally, it has been common to arrange a reading room by arranging a partition or the like on a desk, and arranging the reading room in series or in parallel.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도 옆자리 등과의 간섭이 불가피하고 최근에는 학습 분위기의 향상을 위하여 독서실을 폐쇄된 룸 형태로 이룸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를 위하여 벽체나 도어 등의 시공을 위하여 과도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such a method, interference with the next place is inevitable. Recently, the reading room has been closed to improve the learning atmospher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struct a wall or a door, excessive cost and time are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또한, 학습공간을 시공하더라도 공간상의 한계로 인하여 시공성은 극히 악화되고 견고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미관적으로도 단조로운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learning space is constructed, the workability is extremely deteriorated due to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not only the rigidity is low but also the aesthetic problem is aesthetically problematic.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폐쇄된 형식의 독서유닛을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현장에서의 조립성과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독서유닛의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ing member of a reading unit, which can improve assembling and mobility in the field whi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installing a closed- And to provide a reading unit for reading.

본 발명은, 일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1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2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사각기둥 형상의 후방지지빔, 상기 제2지지빔의 전방에서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상기 제2지지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고 언더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하측 모서리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지지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시공성과 이동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am splitter comprising: a first support beam in a square pillar shape arranged on one side in a front and a rear direction; a second support beam in a square pillar shap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upport beam; A rear support beam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beam and the second supporting beam, a plate-like underframe horizontally arranged with the bottom surface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ing beam, Shaped front frame to which a lower edge is coupled and an opening formed in a space between one end of the front frame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beam. Therefore, the overall structure is firmly supported, while the workability and mobility are improved.

또한,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각 모서리부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경사를 가진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ing unit disposed at a corner of the first support beam, the second support beam, and the rear support beam and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corner. Thus, it is possible to cope with environments having various shapes and slopes.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하면을 관통하여 조절홀이 형성되고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내면에 체결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조절홀에 나삽되는 샤프트부 및 바닥면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bracket portion having an adjusting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beam, the second supporting beam and the rear supporting beam, a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And a head portion.

일실시예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은,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하측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견고성이 향상된다.In one embodiment, the underframe can interconnec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and the second support beam. Therefore, robustness is improved.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높낮이의 조절에 따른 언더프레임의 출입 간섭이 제거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underframe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frame. Therefore, the interference of the underframe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can be eliminated.

상기 개구부는 도어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조를 연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입출시의 장애 요소가 제거될 수 있다.The opening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oor. Thus, the obstacle of the introduction can be eliminated while supporting the structure continuously.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은, 상측에 배치되는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벽체와 지지부재의 결합성이 향상된다.The first support beams, the second support beams, and the rear support beams have width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astening portions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formed. 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wall and the support member is improved.

한편, 상기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으로서, 제1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측판부, 제2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측판부, 상기 제1측판부와 제2측판부를 연결하고 후방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후면판부,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결합되고 후면이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지지되는 전면판부 및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고 제1측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독서유닛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간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reading unit including the supporting member includes a first side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a second side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eam, and a second side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 front plate par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frame and having a rear surface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and a front plate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fram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plate part And a door unit coupled to the door uni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space efficiency is improved.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판부와 제1측판부에 양측에 연결되는 도어상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And a door top plat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portion and connected to both the front plate portion and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Thus, the structural reliability is improved.

또한,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후면판부 및 전면판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지지부재의 외곽에 대응되는 외곽을 가지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와,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기구(21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공간을 완전하게 폐쇄하면서도 내부의 공간의 쾌적성이 제공된다.The upper plat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plat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the rear plate portion, and the front plate portion and having an outer contour corresponding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member, And an intake port 210 for introducing the temperature-adjusted air. Therefore, the inner space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inner space is provided with comfort.

상기 제1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부 및 상기 제2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전면판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부와 제2연결판부는 각각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측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성과 조립의 편리성이 향상된다.A first connecting plate portion connected to a front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portion connected to a front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nd coupled to a front plat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portion includes 1 support beam and the second support beam. Thus, the workability and the convenience of assembly are improved.

상기 흡기구는, 제2측판부와 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고며, 상기 배출구는, 제2측판부와 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성이 향상되고, 유로의 배치가 용이하며 조화된 공기의 체류시간이 증가된다.The inlet port is disposed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nd the front plate portion are coupled, and the outlet port is disposed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nd the back plate portion are coupled. Therefore, the fluidity of the air is improved, the flow path is easily arranged,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conditioned air is increased.

또한, 상기 흡기구에 결합되는 흡기팬부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 바닥에 인접된 부위로 온도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흡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동성이 개선된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intake fan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and an intake pipe exten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intake port to discharge conditioned air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bottom. Thus, the flowability of the temperature-adjusted air is improved.

상기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를 연결하도록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책상부, 상기 책상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조명 및 전기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의 효율성이 향상된다.A desk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to connect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 shelf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sk portion, and a controller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helf portion an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electric devices have. Thus, the learning efficiency is improved.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또는 후면판부의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내면에 배치되며 후크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재들이 걸림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된다.And a sliding groov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engage members having a hook-shaped fixing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elected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or the rear plate portion. Therefor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is maximized.

상기 제1측판부 또는 제2측판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결합되며 인접되는 독서유닛과의 방음성능을 향상하는 방음시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독서실 공간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단일벽체에 의한 룸 형성의 경우보다 방음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And a soundproof sheet member joined to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to improve a soundproofing performance with an adjacent reading unit. Thus, a reading room space can be achieved in a simple and efficient manner, and the soundproofing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orming a room by a conventional single wal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는, 사각 형태의 벽체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저부에서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전면의 언더프레임의 구조를 통하여 외부에 지지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적인 이점을 가지면서도 독서유닛의 조립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firmly support the structure at the bottom when the rectangular shaped walls are arranged and the supporting memb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underframe at the fro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ing performance of the read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독서유닛들이 상호간에 배치되어 학습모듈을 이루게 되므로 종래에 각각의 룸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에 벽체와 도어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독서실 공간의 바닥과 천장 등에의 체결이나 가공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배치상태를 공간에 적응하여 변경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reading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mutually to constitute a learning module, the cost and time for construction can be remarkably shorten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wall and a door are provided on the floor for forming each room .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assemble in the field, and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fastening or processing to the floor and ceiling of the reading room space, and in some cases, the arrangement stat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pac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I have.

또한, 벽체는 물론 천정의 상판부에 의하여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방음과 밀폐성능이 향상되어 학습의 집중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ll and the top plate of the ceiling have a structure to be sealed, soundproofing and seal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concentration of learning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높이조절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의 후방측 사시도.
도 7은 도 4의 독서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이 배열된 학습모듈의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ure 1;
3 is a front view of a reading unit hav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of FIG. 4. FIG.
6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unit hav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reading unit of Figure 4;
8 is a front view of a learning module in which a reading unit having a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upporting member and a reading unit having 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상부에 독서유닛이 형성되도록 기초를 이루는 지지부재를 설명하며, 이러한 지지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독서유닛은 내부에 학습이 가능한 소정의 책상과 의자 등을 수용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describes a supporting member for forming a reading unit on the upper portion. A reading unit formed on the supporting member accommodates a desk and a chair capable of learning.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독서유닛은 어느 정도 외부와 차단된 폐쇄공간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폐쇄란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상측, 전후면 또는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ing unit forms a closed space which is blocked to some extent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closing does not mean a completely closed state with the outside. The upper side,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or a part of the side surface may be opened as the case may be.

또한, 본 발명의 지지부재는 독서유닛을 기본적으로 설명하나 외부와 격리되고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하나의 룸 유닛을 형성한다면 단일 또는 복수로서 배열되어 다양한 용도의 공간을 이루는 데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여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독서유닛은 독서실 공간, 독서가 가능한 카페나 휴게실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ea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described as a reading unit, it may be arranged as a single room or a plurality of rooms to form a room for various purposes if the room unit is formed with doors which ar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Please note. For example, such a reading un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spaces such as a reading room, a reading room, and a rest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부재(100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의 외곽을 이루고 내주측에 이용자가 입실하여 학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000)의 재질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측에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판재들이 결합됨에 따라 견고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1000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forms a closed space on the inner circumference side where the user can enter and perform learning and the like. The support member 10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member 1000, a plate made of wood,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000.

본 발명의 지지부재(1000)는 기본적으로, 양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빔(1100) 및 제2지지빔(1300)과, 상기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의 후방측 단부를 연결하는 후방지지빔(1300)과, 상기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언더프레임(1410)을 포함한다.The supporting memb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first supporting beam 1100 and a second supporting beam 1300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first supporting beam 1100 and a second supporting beam 1300 And an underframe 1410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은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호간에 볼팅 또는 용접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전방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된 부위는 후술될 바와 같이 전면의 벽체와 도어가 배치된다.The first support beam 1100,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nd the back support beam 1300 may be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rism,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manner of bolting or welding. The first supporting beam 1100, the second supporting beam 1300 and the rear supporting beam 1300 are formed in a '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opened at the front, The front wall and door are placed together.

일측의 제1지지빔(1100)과 타측의 제2지지빔(1300)의 전방측에는 전방지지부(1400)가 배치되고, 이러한 전방지지부(1400)는 소정의 룸이 형성될 때 전면에서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도록 바닥면과 수평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front support portion 140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on the other side and the front support portion 1400 is visually exposed at the front surface when a predetermined room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floor surface.

상기 전방지지부(1400)는 저면의 언더프레임(1410)과 상측의 전면프레임(14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더프레임(1410)은 후방측 모서리에서 제2지지빔(1300)의 전방 단부의 하단측에 용접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ont support part 1400 may include a bottom side underframe 1410 and an upper side frame 1420. The underframe 1410 may be formed at a rear side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nd the lower end side is welded.

이러한 전방지지부(1400)는 타측으로 전면에 벽체가 지지될 수 있는 부위와, 일측으로 도어가 배치되어 입출이 가능한 부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일측으로는 개구부(1430)가 형성된다.The front supporting portion 1400 may be divided into a portion where the wall can be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and a portion where the door can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1400. An opening 1430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상기 전면프레임(1420)은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타측의 배면에서 제2지지빔(1300)의 전방 단부측과 결합되고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The front frame 1420 may b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t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and extend to one side.

이때, 전면프레임(1420)의 하측 모서리는 언더프레임(1410)의 후방 모서리와 용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상태는 측면상 전방지지부(1400)와 언더프레임(1410)이 'ㄴ'자 형태의 모양을 이루게 된다. 다만, 상기 전면프레임(1420)과 언더프레임(1410)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lower edge of the front frame 1420 may be welded to the rear edge of the underframe 1410. In this engaged state, the front support portion 1400 and the underframe 1410 on the side surface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a'. Of course, the front frame 1420 and the underframe 1410 may be formed by bending a single plate.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420)의 일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전면프레임(1420)의 길이는 도어의 폭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전면프레임(1420)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1100) 사이에는 개구부(1430)를 형성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도어가 배치되어 이용자가 입출할 수 있도록 한다. Also, the length of the front frame 1420 may be optionally extended, and the length of the front frame 1420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door. Accordingly, an opening 1430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front frame 1420 and the first supporting beam 1100, and a door is disposed in a space therebetween so that a user can enter and exit the ope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언더프레임(1410)이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을 전방측에서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언더프레임(1410)은 전체적인 구조의 견고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도어의 개폐나 이용자의 입출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저면에 평평하게 배치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frame 1410 interconnects the first support beams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s 1300 at the front side. The underframe 1410 is arranged flat on the bottom so as to ensure the robustness of the entire structure and to preven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user.

상기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에는 측벽체결부(1110)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지지빔(1300)에도 마찬가지로 후면체결부(1310)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후술될 바와 같이 벽체가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110, 1310)들은 경우에 따라 상측으로 볼팅 또는 체결수단이 돌출되어 벽체의 하단부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re formed so that the side wall coupling part 1110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rear coupling part 1310 also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ear support beam 1300 So that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not shown) can be fastened in a state that the wall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astening portions 1110 and 1310 may be inserted into predetermined insertion grooves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wall by bolting or fastening means protruding upward as the case may be.

이러한 측벽체결부(1110)와, 후면체결부(1310)의 개수 및 배열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에 각각 4개의 측벽체결부(111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후방지지빔(1300)에는 2개가 배치되는 예가 도시된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ide wall fastening portions 1110 and the rear fastening portions 1310 can be selectively made. In the drawing, four sidewall coupling portions 1110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irst support beams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s 1300, and two beams are arranged in the rear support beams 1300.

또한, 상기 언더프레임(1410)에는 상하를 관통하도록 전면체결부(1401)가 형성되고 도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면판부(도 3의 140)가 상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front frame 1401 is formed on the underframe 1410 so as to pass through the front frame 1401, and the front plate 140 (shown in FIG. 3) disposed adjacent to the door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1000)는 양측 및 후방측에서는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측에 벽체를 지지하며 외부에 노출되고, 언더프레임(1410)은 전면에 배치되는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면에 실질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룸의 경우 전면의 형태가 미관에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개념에 따라 미관적인 이점이 향상됨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first support beam 1100,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nd the rear support beam 130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heights on the both sides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00 to support the wall on the upper side, And the underframe 1410 is disposed below the memb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and is not substantially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the shap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oom become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esthetics, the aesthetic advantage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above concep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이에 벽체들이 결합되어 룸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walls are coupled to form a room.

상기한 바와 같이, 언더프레임(1410)은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을 저부에서 상호 연결하는 판재이며, 일측으로는 개구부(1430)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전면프레임(1420)이 타측 후방에서 제2지지빔(1300)의 단부에 연결되고 하측 모서리에서 언더프레임(1410)에 연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nderframe 1410 is a plate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first support beams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s 1300 at the bottom portion. The openings 1430 are formed at one side and the openings 1430 are formed at the other side, The second supporting beam 14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beam 1300 at the other side and connected to the underframe 1410 at the lower corner to form a predetermined height.

도 3의 배치상태에서 전면판부(1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외벽을 이루게 되며, 언더프레임(1410)의 타측 상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판부(140)와 언더프레임(1410)은 전면체결부(1401)에 관통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전면판부(140)의 하단측 후면은 전면프레임(1420)의 전면에 지지된다.3, the front plate 140 has an outer wal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underframe 1410. The front plate portion 140 and the underframe 1410 may be formed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penetrating the front fastening portion 1401, And is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상기 개구부(1430)측에는 도어부(160)가 일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도어부(160)는 측면의 제1지지빔(1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측판부의 전방측에 힌지결합된다.The door portion 16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143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o one side. The door portion 160 is hinge-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beam 1100, do.

상기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장치는 독서유닛임을 고려하여 닫힘 동작에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부(160)의 닫힘 동작시 충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The hinge unit for hinge coupling may include a damper capable of providing resistance to a closing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a reading unit. Th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caused by the impact when the door unit 160 is closed.

상기 도어부(160)는 독서유닛(100)의 상단측까지 형성될 수도 있지만,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전면판부(140)와 제1측판부를 상호 연결하는 도어상판부(1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unit 160 may be form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reading unit 100. However, the door unit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door upper plate part 150 interconnecting the front plate part 140 and the first side plate part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

상기 도어부(160) 및 도어상판부(150)의 높이는 이용자의 키와 공간적인 활용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ight of the door part 160 and the door upper plate part 150 can be selectively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key and spatial usability of the user.

또한, 상기 도어부(160)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책상과 같은 부재는 도시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도어부(160)가 어느 일측으로 배치되어,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1000)의 개구부도 이에 대응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부의 배치상태는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case, a member such as a desk is in a state shown, and the door part 160 is disposed on one side. To this end, the door part 16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00 The opening may also be disposed on the side corresponding there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 of the door portions is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된 지지부재(1000)와 벽체 등의 부재들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독서유닛(100)의 구조는 도 6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reading unit 100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000 and the members such as the wall are combined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의 결합관계및 형태에서 일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first supporting beam 1100, the second supporting beam 1300, and the rear supporting beam 1300 in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form of the embodiment is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프레임(1420)과 언더프레임(1410)이 타측, 즉 제2지지빔(1300)측에 결합되고 함께 개구부(1430)측까지만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1430)는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The front frame 1420 and the underframe 1410 are coupled to the other side, i.e.,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beam 1300, and extend only to the side of the opening 1430, In an open form.

이는 높이조절부(1500)의 배치에 따른 전체적인 지지부재(1000)의 상승에 따라 불필요하게 출입구에 배치되어 걸음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이다.This is a structure for eliminating an obstacle obstructing element disposed at the doorway unnecessarily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entire supporting member 10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500.

상기 개념에 따라 지지부재(1000)는 내주 모서리측에 높이조절부(1500)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부(1500)는 각각 개별적으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고정된 형태의 독서유닛(100)을 다양한 공간에 배치함에 있어 바닥면의 형상과 경사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cept, the support member 1000 has a height adjusting unit 1500 on the inner edge side,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1500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500 individually. Accordingly, when the reading unit 100 is structurally fixed,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when the reading unit 100 is arranged in various spaces.

이러한 높이조절부(1500)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빔의 연결부위 내주에 체결되거나 용접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브라켓부(1510)와, 상기 브라켓부(151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한 높이조절부재(1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part 1500 preferably includes a bracket part 1510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art of each beam in a manner of being fastened or welded and a height adjustable member 1520 ).

도 5는 상기된 높이조절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er in more detail.

높이조절부(1500)의 브라켓부(1510)는 상하면에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150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브라켓부(1510)는 상하면과 측면이 형성되고 측면은 빔의 결합부위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bracket part 1510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500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a predetermined hol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insert the height adjusting part 1500. The bracket part 1510 has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side surfaces,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eam.

상하면에는 각각 관통홀(1511)과 조절홀(1512)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1511)과 조절홀(1512)을 관통하여 높이조절부재(1520)의 샤프트부(1522)가 배치된다.The through hole 1511 and the adjustment hole 1512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 1511 and the adjustment hole 1512. The shaft portion 1522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1520 is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511 and the adjustment hole 1512 .

이러한 샤프트부(15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통홀(1511)과 조절홀(1512)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이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샤프트부(1522)의 회전에 따라 저부의 헤드부(1521)가 승하강되면서 해당 모서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1522 and a corresponding screw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 1511 and the adjustment hole 1512 to rotate the shaft portion 1522 1521 move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corner portion.

상기 샤프트부(1522)의 상단측에는 육각 비트와 같은 회전조절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절홈(1523)이 형성되거나 육각 헤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조절을 위한 구성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1522 may have an adjusting groove 1523 or a hexagonal head for inserting a rotation adjusting means such as a hexagonal bit. have.

다만, 상기 브라켓부(1510)는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또는 후방지지빔(1300)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이때 높이조절부재(1520)의 샤프트부(1522)가 선택된 빔에 형성되는 소정의 조절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portion 1510 may be replaced with a first support beam 1100, a second support beam 1300 or a back support beam 1300. At this time, the shaft portion 1522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1520 may be replaced with a second support beam 1300, May be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y are inserted into predetermined adjustment holes formed in the selected beam.

이러한 높이조절부(1500)는 전체적으로 지지부재(1000) 및 독서유닛(100)을 승하강시키거나 선택된 위치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언더프레임(1410)이 전면프레임(1420)과 함께 제2지지빔(1300)에만 결합됨으로써 개구부(1430)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e height adjuster 1500 can elevate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member 1000 and the reading unit 100 or change the height of the selected pos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underframe 1410 It is preferable to completely open the opening 1430 by being coupled only to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together with the front frame 1420. [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일실시예와 같이 언더프레임(1410)은 전체적으로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을 상호간에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언더프레임(1410)이 전면프레임(1420)에 대응되고 제2지지빔(1300)에 결합되는 부위와 제1지지빔(1100)의 폭에 대응되며 제1지지빔(1100)에 결합되는 부위로 이루어지는 고정언더프레임(미도시)과 상기 고정언더프레임에 양측이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가변언더프레임(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underframe 1410 may be arranged to connect 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s a whole, in which case an underframe 1410 A fixed underframe corresponding to the front frame 1420 a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a variable underframe (not shown)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underframe and is raised and lowered.

이 경우, 상기 가변언더프레임은 높이조절부(1500)에 의한 승하강에 따라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용자의 출입에 의한 간섭의 가능성은 제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variable underfram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variable underfram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s the height adjuster 1500 ascends and descends, thereb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caused by access by the user.

이때, 상기 가변언더프레임은 고정언더프레임에 상기된 높이조절부(1500)와 유사하게 소정의 높이조절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고정언더프레임에 형성되는 조절홀에 나삽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variable underframe can be coupled to the fixed underframe through a predetermined height adjusting member similar to the height adjusting unit 1500 described above, and is coupled to the fixed underframe in such a manner as to be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formed in the fixed underframe, Can be achieved.

상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다른 실시예 및 추가적인 실시예들의 구성들간의 상호 간의 치환, 추가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It should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bstitutions, additions, or vari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and further embodiments are mutually exclusive.

도 6은 상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ding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supporting member as seen from the rear side.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000)를 기준으로 설명되나 상기 지지부재의 선택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독서유닛(10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 FIG. 6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upport member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elected embodiments of the support member can variously form the reading unit 100.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0)의 모서리를 이루는 상측에는 소정의 벽체들이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제1지지빔(1100)의 상측에 제1측판부(도 7의 110)가 결합되고, 제2지지빔(1300)의 상측에 제2측판부(120)가 결합되며, 후방지지빔(1300)의 상측에 후면판부(130)가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predetermined walls a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1000, and specifically,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of FIG. 7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1100,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eam 1300 and the rear plate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pport beam 1300.

제1지지빔(1100), 제2지지빔(1300) 및 후방지지빔(13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의 폭은 제1측판부(110), 제2측판부(120) 및 후면판부(13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미관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The first support beam 1100,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and the back support beam 1300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0,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portion 120 and the thickness of the rear plate portion 130 is preferably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 appearance and safety.

상기와 같은 결합은 측벽체결부(1110)와, 후면체결부(131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upling may be performed by a side wall coupling portion 1110 and a coupl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rear coupling portion 1310.

이러한 배치상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부(130), 제1측판부(110) 및 제2측판부(120)의 하측으로 지지부재(1000)의 높이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와 같은 빔의 결합관계로 인하여 저면에서의 지지능력이 향상되고 이는 구조적인 견고성을 형상하게 된다.In this arrangement state,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1000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part 130, the first side plate part 110 and the second side plate part 120 as shown in the figure, Due to the joining relationship, the supportability at the bottom surface is improved, resulting in a structural rigidity.

한편,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제1측판부(110)가 도어부(16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경우만이 도시되었으나, 도어부(160)가 제1측판부(110)보다 타측으로 더 이동되어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되며 이때 상기 제1측판부(110)는 전면에 소정의 면적만큼 타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면프레임(1420)의 일부는 개구부(1430)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빔(1100)에 연결된 일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portion 160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portion 160 is further moved to the other side than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may be extended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area on the front side. In this case, a part of the front frame 1420 may be formed at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beam 1100 with the opening 1430 therebetween.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부(160)는 제1측판부(110) 또는 제2측판부(120)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door portion 160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or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as the case may be.

이러한 결합상태로 인하여 종래에 단순히 판재들이 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내구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판재와 부재들을 개별적으로 이송하고 현장에서의 조립시의 시공성이 지지부재로 인하여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This combined state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compared to the case of merely joining the plate members in the past,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ly transfer the plate members and the members, and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assembly at the site is remarkably So that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mproved.

상기 후면판부(130)와 제1측판부(110) 및 제2측판부(120)의 결합은 볼팅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정의 부싱과 같은 삽입체결부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upling between the back plate 130 and the first side plate 110 and the second side plate 120 may be accomplished through bolting or through an insertion member such as a bushing, no.

한편, 상기 제1측판부(110)와 제2측판부(120)는 하나의 판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독서유닛(100)의 경우 폭보다 전후방측으로의 길이가 더 확보될 필요성이 있음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벽체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제1측판부(110)와 제2측판부(120)의 전방측으로 제1연결판부(111)와 제2연결판부(121)가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may be formed as a single plate material, in general, the reading unit 100 needs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than the width there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portion 121 are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

상기 연결판부들의 전후방 길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측판부(110)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부(111)는 전방측에서 도어부(160)를 힌지결합하고, 상측에서 도어상판부(150)와 결합된다. 또한, 제2측판부(120)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부(121)는 전방측에서 전면판부(140)와 결합된다.The first connecting plate part 111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part 110 may be hinged on the door part 160 on the front side and may be hinged on the door top plate part 150 ). The second connecting plate portion 121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140 at the front side.

이와 같이 외벽의 구조가 형성되면, 내부 공간의 폐쇄를 위하여 상측에 상판부(20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상판부(200)는 제1측판부(110), 후면판부(130), 제2측판부(120), 전면판부(140) 및 도어상판부(150)의 상단측에 결합된다. When the outer wall structur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200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for closing the inner space. The upper plate 20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110, a rear plate 130, The side plate portion 120, the front plate portion 140, and the door upper plate portion 15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상판부(200)의 외주의 모양은 지지부재(1000)의 외주의 모양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독서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2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ing member 1000, so that the reading unit 1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한편, 상기 상판부(200)는 룸 내부의 천정측에 배치되는 소정의 장치들의 결합을 위한 개구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Meanwhile, the upper plate 200 may have openings for coupling certain devices disposed on the ceiling inside the room,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독서유닛(100) 내부의 환풍 또는 공기조화를 위한 구조로서 배출구(220)와 흡기구(210)가 개구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220)와 흡기구(210)의 배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220 and the air inlet 210 may be formed in an open form as a structure for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in the reading unit 100. The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port 220 and the air inlet 210 may be optional have.

일반적으로 소정의 학습모듈(도 8의 2000)들이 배열되어 상호간에 전면이 마주보고 통로를 이루며 이러한 통로의 일부에 공기조화기가 배치됨에 비추어 상기 흡기구(210)는 전면측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ake port 2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in view of the fact that a predetermined learning module (2000 of FIG. 8) is arranged to form a passageway facing each other and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a part of the passageway Do.

또한, 상기 배출구(220)와 흡기구(210)는 인접되는 독서유닛(100)들 간의 배치 간격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어느 일측으로 선택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210)가 상판부(200)의 전방측의 어느 일측에 선택된 경우 배출구(220)도 마찬가지로 해당 일측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220 and the air inlet 210 may be selectively disposed on either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uniformity of arrangement intervals between adjacent reading units 100. Therefore, when the intake port 210 is select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upper plate 200, the discharge port 220 may be similarly disposed on the one rear side.

다만,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입이 소정의 공기조화유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배열상태 및 미관을 고려하여 흡기구(210)가 상판부(200)의 후방측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흡기구(210)는 상기 공기조화유로에 연통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onditione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predetermined air-conditioning duct, the intake port 2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plate 200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state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and the intake port 210 is connected to the air- Can be communicated.

상기 흡기구(210)와 배출구(220)는 온도조화된 공기를 유입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룸 유닛 외부로 배출하도록 소정의 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220)는 공기조화의 효율성 및 흡기구(210)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흡기구(210)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ake port 210 and the exhaust port 22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fan for introducing the conditioned air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room unit to the outside of the room uni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220 is spac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inlet 210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air conditioning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nlet 210.

선택된 예에 따라, 상기 흡기구(210)는 전면판부(140)와 제2측판부(120)의 연결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배출구(220)는 후면판부(130)와 제2측판부(120)의 연결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의하여 흡기구(210)와 배출구(220)는 상판부(200)에서 제2측판부(120) 측에 인접된 전후방에 배치되는 형태가 제시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selected example, the inlet port 2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ront plate portion 140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and the outlet port 220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plate portion 130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intake port 210 and the exhaust port 220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djacent to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side in the top plate portion 200. [

또한, 상기 상판부(200)의 중심측에는 내부의 조명을 위한 조명고정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화재감지 등의 센싱을 위한 센서고정부(240)가 조명고정부(230)에 인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fixture 230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200, and a sensor fixture 240 for sensing a fire or the like may be adjacent to the illumination fixture 230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rea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예에서는 지지부재(1000)와 벽체들과의 결합관계에서 제1연결판부(111), 제2연결판부(121), 전면판부(140) 및 도어부(16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7,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111, the second connection plate portion 121, the front plate portion 140, and the door portion 160 are removed i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00 and the walls Respectively.

제1지지빔(1100)과 제2지지빔(1300)의 전방측으로는 측벽체결부(1110)의 일부가 연결판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며, 측벽체결부(1110)가 네 개가 배치되는 경우 연결판부와의 결합을 위한 측벽체결부(1110)는 전방측으로 하나가 결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ortion of the sidewall coupling portion 1110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 beam 1100 and the second support beam 1300 for connection with the coupling plate portion and the sidewall coupling portion 1110 is exposed The side wall fastening portions 1110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ion plate portions may be determined one to the front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측판부(110), 제2측판부(120) 및 후면판부(130)는 평면상 내부에서 'ㄷ'자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며 그 사이에 학습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side plate part 110, the second side plate part 120 and the rear plate part 130 form a 'C' shaped space in a plane, and various devices for learning and the like can be inserted therebetween hav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측판부(110)와 제1측판부(110)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책상부(320)가 결합되고, 그 상측으로는 책이나 물품의 수납을 위한 선반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sk part 320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plate part 110 and the first side plate part 110, and on the upper side thereof, a shelf part 310 May be disposed.

또한, 상기 선반부(310)의 하측으로는 조명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된 배출구의 팬이나 조명 또는 전기적인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330)가 상기 조명과 모듈화되어 결합될 수 있다.Further, a lighting un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elf unit 310, and a controller unit 330, which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fans, lights, or electric devices, may be modularly combined with the lighting unit .

또한, 상기 제1측판부(110) 및/또는 제2측판부(120) 및/또는 후면판부(130)는 내측에서 다양한 물품들이 거치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34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라이딩홈(340)은 소정의 레일 형태의 브라켓들이 내면에 체결된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ide plate portion 110 and / or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and / or the rear plate portion 130 may have sliding grooves 340 on which various articles can be mounted. The sliding groove 34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brackets of a predetermined rail shape ar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상기 슬라이딩홈(340)은 후크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선반, 책꽂이, 필통, 거치대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고정되고 위치가 선택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liding groove 340 may be formed in a laterally long shape so that various devices such as a shelf, a bookcase, a pencil case, a holder, and the like having a hook-shaped fixing portion can be fixed and selected.

도면의 예에서는 제2측판부(120)의 내면에 대략 평행하게 두 개의 열로서 슬라이딩홈(340)이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는데, 슬라이딩홈(340)의 개수, 길이 및 모양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the figure, two rows of sliding grooves 340 ar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120. The number, length, and shape of the sliding grooves 340 may be optionally selected have.

한편, 본 발명의 독서유닛(100)은 학습이나 독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부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외부의 인터넷공유기가 연결되는 랜포트, 시계 및 알람장치, 원격강의 및 통신을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음향장치, 산소발생기, 백색소음기,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ad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various device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and reading, such as a LAN port to which an external Internet router is connected, a clock and an alarm device, A display and a sound device, an oxygen generator, a white silencer, a camera, and the like can be applied.

상기 컨트롤러부(330)는 소정의 마이콤을 구비하여 상기된 다양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는 터치센서 스위치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troller unit 33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microcomputer to integrally control the various devices, and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through a touch sensor switch.

도 8은 상기된 독서유닛이 배열된 학습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learning modul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reading units are arranged.

상기 독서유닛(100)들은 소정의 독서실 공간에서 상호간에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학습모듈(2000)을 이루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독서실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ading units 100 may be arranged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reading room space to form a learning module 2000, thereby forming a whole reading room.

도면의 예에서는 세 개의 독서유닛(100)이 직렬로 배열되는 상태가 도시된다.In the example of the figure, a state in which three reading units 100 are arranged in series is shown.

독서유닛(100)들 상호간은 측벽에서 밀착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데, 즉 하나의 제1측판부(110)와 인접되는 독서유닛(100)의 제2측판부(120)가 상호 대면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The reading unit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ding units 100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t the side walls, that is, the first side plate portions 110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s 120 of the adjacent reading units 100 face each other do.

이때, 독립된 공간인 독서유닛(100)들 간의 방음성의 향상을 위하여 인접되는 독서유닛(100)의 측판의 밀착시 그 사이에 방음시트부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oundproof sheet memb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reading units 100 when the side plates of the adjacent reading units 100 are closely contacted to improve the sound insulation between the reading units 100 as independent spaces.

또한, 각각의 도어부(160)에는 전면측에 미관적 향상을 위한 데코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데코부는 전면에 도장되거나, 시트가 부착되거나 소정의 패널이나 장식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부(160)가 전면측에 소정의 삽입부재를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판재인 데코부의 양단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데코부는 바람직하게는 유리판재 또는 아크릴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데코부와 도어부의 사이에 미관적향상을 위한 도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데코부는 도어부(160)는 물론 전면판부(140)나 도어상판부(150)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Each of the door units 160 may further include a decor unit (not shown)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front unit. The decor unit may be painted on the front surface, a sheet may be attached, . ≪ / RTI > Preferably, the door portion 16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sertion member on the front side so a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plate-like decor portion. The decor unit may be made of a glass plate or an acrylic plate, and a drawing or the like for improving aesthetic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ecor unit and the door uni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a decorating part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late part 140 or the door top plate part 150 as well as the door part 160.

각각의 독서유닛(100)은 상판부(200)에서 배출구(220)와 독서유닛(100)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210)와 유입구(220)는 도어부(160)에서 먼 측, 즉 제2측판부(120)의 상측에 전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Each reading unit 100 can b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220 and a reading unit 100 in the upper plate 200. The discharge port 210 and the inlet port 220 are formed on the side far from the door portion 160, 2 side plate portion 1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흡기구(210)는 전면판부(14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흡기팬부(211)가 결합되어 팬의 동작으로서 외부의 온도조화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구(220)는 후면판부(13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배기팬부(미도시)가 결합되어 팬의 동작으로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The inlet port 2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plate section 140 and the intake fan section 211 is coupled to suck ambient conditioned air as an operation of the fan and the outlet port 220 is adjacent to the rear plate section 130 And an exhaust fan part (not shown) is coupled to discharge the contaminated air inside as an operation of the fan.

이때, 흡기구(210)로부터 유입된 온도 조화된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팬부(211)로부터 압송되는 공기의 압력이 배출구(220)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흡기팬부(211)로부터의 공기를 독서유닛(100) 내부의 저면으로 최대한 가깝게 보낼 수 있도록 상기 흡기팬부(211)가 배치되는 흡기구(210)에는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의 흡기관(미도시)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기관은 공기의 양측으로의 분산을 억제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저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는 후방 상측에 배치되는 배출구(220)로의 배출 과정에서 조화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flowability of the conditioned air introduced from the intake port 210, the pressure of the air fed from the intake fan 211 may be made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20. In order to allow air from the intake fan unit 211 to be transmit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ottom of the reading unit 100, the intake port 210, in which the intake fan unit 211 is disposed,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intake pipe (not shown) Such an intake tube enables the inflow of air to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by suppressing the dispersion of the air to both sides, which maximizes the flow path of the harmonized air in the discharge process to the discharge port 220 disposed at the rear upper side It should be noted tha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ke it possible.

한편, 소정의 공기조화유로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흡기구(210)는 외부의 공기조화기(미도시)와 소정의 연통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공기조화유로는 학습모듈(2000)의 후방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로는 각각 연통부로 분기되고 각각의 연통부는 흡기구(210)에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온도조화된 공기가 독서유닛(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흡기구(210)는 상판부(20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If the air conditioning duct is separately formed, the air inlet 2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conditioner (not shown)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ath. For this purpose, the air conditioning duc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learning module 2000 As shown in Fig. Each of the air-conditioning channels is branched into a communication unit, and each of the communication units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210 so that the conditioned air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ading unit 10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ake port 2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plate 200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disposition.

이렇게, 각각의 독서유닛(100)들이 상호간에 배치되어 학습모듈(2000)을 이루는 경우 종래에 각각의 룸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에 벽체와 도어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the case where each reading unit 100 is arranged between the reading units 100 to constitute the learning module 2000, the cost and the time for the construction a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of installing the wall and the door on the floor in order to form each room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markably shortened.

즉,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독서실 공간의 바닥과 천장 등에의 체결이나 가공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배치상태를 공간에 적응하여 변경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t is easy to assemble in the field, and the process of fastening or processing the floor space and the ceiling of the reading room space can be omitted, and in some cases, the arrangement stat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pace, thereby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또한, 전면판부(140), 도어부(160) 및 도어상판부(150)의 데코레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독서실 공간과 통로 부위의 미관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식이나 미관향상을 위한 장치가 불필요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부(200)의 상측에 다각뿔이나 한옥 또는 프로방스형 등의 선택적인 미관 향상을 위한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 because the aesthetics of the reading room space and the passageway can be determined by applying the decoration of the front plate portion 140, the door portion 160, and the door upper plate portion 150, a separate decoration or a device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is unnecessary . At this time, structures for enhanc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a polygonal horn, a hanok or a provence type can be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2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독서유닛 110...제1측판부
111...제1연결판부 120...제2측판부
121...제2연결판부 130...후면판부
140...전면판부 150...도어상판부
160...도어부 200...상판부
210...흡기구 211...흡기팬부
220...배출구 230...조명고정부
240...센서고정부 310...선반부
320...책상부 330...컨트롤러부
340...슬라이딩홈 1000...지지부재
1100...제1지지빔 1110...측벽체결부
1200...제2지지빔 1300...후방지지빔
1310...후면체결부 1400...전방지지부
1401...전면체결부 1410...언더프레임
1420...전면프레임 1430...개구부
1500...높이조절부 1510...브라켓부
1511...관통홀 1512...조절홀
1520...높이조절부재 1521...헤드부
1522...샤프트부 2000...학습모듈
100 ... reading unit 110 ... first side plate portion
111 ... first connecting plate portion 120 ... second side plate portion
121 ... second connecting plate part 130 ... rear plate part
140 ... front plate part 150 ... door top plate part
160 ... door part 200 ... top plate
210 ... intake port 211 ... intake fan section
220 ... Outlet 230 ... Illumination fixture
240 ... sensor fixing portion 310 ... shelf portion
320 ... desk portion 330 ... controller portion
340 ... sliding groove 1000 ... supporting member
1100 ... first support beam 1110 ... side wall fastening portion
1200 ... second support beam 1300 ... rear support beam
1310 ... rear fastening portion 1400 ... front support portion
1401 ... front fastening part 1410 ... underframe
1420 ... front frame 1430 ... opening
1500 height adjusting portion 1510 bracket portion
1511 ... through hole 1512 ... adjustment hole
1520 ... height adjustment member 1521 ... head portion
1522 ... shaft part 2000 ... learning module

Claims (16)

일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후방지지빔;
상기 제2지지빔의 전방 하측에서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상기 제2지지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고 언더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하측 모서리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각 모서리부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하면을 관통하여 조절홀이 형성되고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내면에 체결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조절홀에 나삽되는 샤프트부 및 바닥면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A first support beam disposed on one side in front and back;
A second support beam disposed opposite the first support beam;
A rear support beam connecting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and the second support beam;
A plate-shaped underframe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bottom surface at a front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eam;
A plate-shaped front frame having a rear surface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beam and a lower edge coupled to a rear edge of the underframe;
An opening formed in a space between one end of the front frame and a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beam; And
And a height adjusting unit disposed at a corner of the first support beam, the second support beam, and the rear support beam and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corner,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bracket portion having an adjusting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beam, the second supporting beam and the rear supporting beam, a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And a head portion.
일측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지지빔;
상기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후방지지빔;
상기 제2지지빔의 전방 하측에서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상기 제2지지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고 언더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하측 모서리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제1지지빔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제1지지빔, 제2지지빔 및 후방지지빔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각 모서리부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A first support beam disposed on one side in front and back;
A second support beam disposed opposite the first support beam;
A rear support beam connecting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and the second support beam;
A plate-shaped underframe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bottom surface at a front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eam;
A plate-shaped front frame having a rear surface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beam and a lower edge coupled to a rear edge of the underframe;
An opening formed in a space between one end of the front frame and a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beam; And
And a height adjusting unit disposed at a corner of the first support beam, the second support beam, and the rear support beam and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corner,
Wherein the underfram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프레임은,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derframe interconnects the front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and the second support bea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도어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oor portion.
삭제delete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독서유닛으로서,
제1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측판부;
제2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측판부;
상기 제1측판부와 제2측판부를 연결하고 후방지지빔의 상측에 결합되는 후면판부;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결합되고 후면이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지지되는 전면판부; 및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고 제1측판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A reading unit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and 6,
A first side plat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eam;
A second side plat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eam;
A rear plat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part and the second side plate part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pport beam;
A front plat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frame and having a rear surface suppor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And
And a door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판부와 제1측판부에 양측에 연결되는 도어상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door top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portion and connected to both the front plate portion and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부; 및
상기 제2측판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전면판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부와 제2연결판부는 각각 제1지지빔과 제2지지빔의 전방측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connecting plate portion connected to a front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part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part and coupled to the front plate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portion are supported on the front sid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beam and the second supporting beam,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후면판부 및 전면판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지지부재의 외곽에 대응되는 외곽을 가지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와, 온도조화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top plat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the rear plate portion, and the front plate portion and having an outer contour corresponding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upper plate portion comprise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and an air inlet for flowing the temperature-conditioned ai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제2측판부와 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고며,
상기 배출구는, 제2측판부와 후면판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take port is disposed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nd the front plate portion are coupled,
And the discharge port is disposed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nd the back plate portion are coupl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에 결합되는 흡기팬부;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 바닥에 인접된 부위로 온도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흡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An intake fan unit coupled to the intake port; And
And an intake pipe exten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intake port and discharging conditioned air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botto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를 연결하도록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책상부;
상기 책상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조명 및 전기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A desk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to connect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A shelf disposed above the desk; And
And a controller uni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helf unit an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electrical apparatu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제2측판부 또는 후면판부의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내면에 배치되며 후크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재들이 걸림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sliding groov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engage members having a hook-shaped fixing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elected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or the rear plate portion Read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 또는 제2측판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결합되며 인접되는 독서유닛과의 방음성능을 향상하는 방음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oundproof sheet member joined to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late portion to improve soundproof performance with an adjacent reading unit.

KR20130159250A 2013-12-19 2013-12-19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KR101487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en) 2013-12-19 2013-12-19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en) 2013-12-19 2013-12-19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79B1 true KR101487379B1 (en) 2015-01-29

Family

ID=5259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250A KR101487379B1 (en) 2013-12-19 2013-12-19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20Y1 (en) 2003-05-20 2003-08-25 조유순 The multipurpose support
KR101301964B1 (en) 2013-07-22 2013-08-30 (주)서전기전 Switchgear equipped with polygon bus bar and anti-vibrating bus bar support fixture
KR20130102174A (en) * 2012-03-07 2013-09-17 김철호 Reading desk of room ty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20Y1 (en) 2003-05-20 2003-08-25 조유순 The multipurpose support
KR20130102174A (en) * 2012-03-07 2013-09-17 김철호 Reading desk of room type
KR101301964B1 (en) 2013-07-22 2013-08-30 (주)서전기전 Switchgear equipped with polygon bus bar and anti-vibrating bus bar support fix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1137A (en) Vertical air conditioner
US20160069064A1 (en) Room system
US20120208447A1 (en) Motorized vav linear diffuser
KR101487379B1 (en) Support member and reading unit with the same
JP5799575B2 (en) Blowout grill
KR20200111061A (en) A modula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684499B2 (en) Building ventilation structure
JP6386757B2 (en) building
JP5759767B2 (en) Partition wall structure of building and ventilation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JP7347733B2 (en) Air conditioning air outlet structure
JP6554543B2 (en) Ventilation system air outlet
JP4419902B2 (en) Acoustic diffusion panel device
JPH08158672A (en) Door for booth
JP6035136B2 (en) building
JP5820098B2 (en) Smoking booth
KR101552614B1 (en) air conditioner
CN117287850A (en) Shell of electric water heater with blowing device
KR100753446B1 (en) Air conditioner
JP4642690B2 (en) Range food
JP4325144B2 (en) A fixture containing a distribution board
KR20180001014U (en) booth with side-by-side type sliding doors
JPH0116432Y2 (en)
JPS6340732Y2 (en)
JPH06207437A (en) Underfloor air introduction device
JPH07259357A (en) Structure of toilet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